KR100463268B1 - 혼상식(混床式) 당액 정제장치 및 그의 재생법 - Google Patents

혼상식(混床式) 당액 정제장치 및 그의 재생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3268B1
KR100463268B1 KR10-2000-0075913A KR20000075913A KR100463268B1 KR 100463268 B1 KR100463268 B1 KR 100463268B1 KR 20000075913 A KR20000075913 A KR 20000075913A KR 100463268 B1 KR100463268 B1 KR 100463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hange resin
mixed
basic anion
cation exchange
anion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5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2380A (ko
Inventor
유지 아사카와
Original Assignee
오르가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르가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오르가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10062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3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32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3SUGAR INDUSTRY
    • C13BPRODUCTION OF SUCROS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C13B20/00Purification of sugar juices
    • C13B20/14Purification of sugar juices using ion-exchange materials
    • C13B20/142Mixed bed
    • CCHEMISTRY; METALLURGY
    • C13SUGAR INDUSTRY
    • C13BPRODUCTION OF SUCROS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C13B20/00Purification of sugar juices
    • C13B20/14Purification of sugar juices using ion-exchang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9/00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ion-exchangers; Apparatus therefor
    • B01J49/05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ion-exchangers; Apparatus therefor of fixed beds
    • B01J49/09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ion-exchangers; Apparatus therefor of fixed beds of mixed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9/00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ion-exchangers; Apparatus therefor
    • B01J49/50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ion-exchangers;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regeneration re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상식 당액정제장치 및 그의 재생법에 관한 것으로서,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4)와 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3)에 알칼리 재생제 A를 통과시킴으로써, 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를 재생함과 동시에,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에 포착되어 있는 아미노산 등의 양성유기물을 탈착한 후,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에 산 재생제 B를 통과시켜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를 재생하는 기술이 제시된다.

Description

혼상식(混床式) 당액 정제장치 및 그의 재생법{MIXED-BED TYPE SUGAR SOLUTION REFINING SYSTEM AND REGENERATION METHOD FOR SUCH APPARATUS}
본 발명은 전분당액 등의 탈염, 탈색을 수행하는 당액 정제장치의 재생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강산성 양이온교환수지와 염기성 음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혼상식(混床式) 당액 정제장치의 이온교환수지의 재생법에 관한 것이다.
전분을 산 또는 효소로 가수분해하면, 그 분해조건에 따라 다양한 전분당(전분을 원료로 하여 제조된 당류의 총칭)을 얻을 수 있다. 전분의 가수분해공정은 액화와 당화의 2공정으로 나뉘어지며, 전분의 당화에 의해 전분당액이 얻어지는데, 상기 전분당액 중에는 다양한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불순물의 제거를 목적으로 전분의 당화공정 후에는 전분당액의 정제가 이루어진다.
전분당액을 정제하는 경우, 탄산포충(炭酸飽充), 입상활성탄 여과, 골탄(骨炭)여과 등의 정제공정의 후처리로서, 이온교환처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온교환처리에는, 탈색을 목적으로 한 이온교환처리와 탈염을 목적으로 한 이온교환처리가 있다.
탈염을 목적으로 한 이온교환처리는, 일반적으로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층과 약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층을 이용한 복상식(複床式)의 전(前) 탈염시스템과,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와 II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를 이용한 혼상식(混床式) 최종 탈염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며, 전 탈염시스템에서 원액속의 염류, 색소,그 밖의 불순물의 대부분을 제거하고, 최종 탈염시스템에서 최종의 탈염, 탈색, pH조정을 수행하고 있다. 상기 탈염처리는 공업적으로 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고순도의 당액을 얻을 수 있는 점에서 당액의 정제처리법으로 우수한 방법이다. 이것은 혼상층을 이용한 최종 탈염이 순조롭게 잘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최근에는 II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 대신에 약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나 I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를 이용하여 혼상을 형성하는 방법도 제안되고 있다.
상술한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와 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를 이용한 혼상식 당액정제장치(최종 탈염시스템)에 있어서의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은, 종래에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우선, 혼상탑에서 당액처리를 마친 후, 혼상탑 내에서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를 하층으로 분리하고, 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를 상층으로 분리한다. 혼합상태의 양 수지의 분리는 역(逆)세정에 의해 양 수지의 비중차를 이용하여 실시한다. 그리고, 하층의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에 염산수용액 등의 산 재생제를 통과시켜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의 재생을 수행한다. 마찬가지로, 상층의 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에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등의 알칼리 재생제를 통과시켜 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의 재생을 수행한다. 한쪽 수지층에 재생제를 통과시킬 때에는 다른쪽 수지층에 물을 통과시키고, 양 수지의 분리경계면에 설치한 콜렉터를 통해 수지재생폐액 및 상기 물을 배출한다. 또한, 양 수지층에 동시에 재생제를 통과시키는 방법도 있다. 양 수지를 재생시킨 후에는 이들을 다시 혼합하여 혼상을 형성시킨다.
그러나, 상술한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와 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를 이용한 혼상식 당액정제장치는, 종래의 재생법, 즉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에 산 재생제와, 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에 알칼리 재생제를 각각 통과시키는 방법에 의해 재생처리를 수 사이클 실시한 후, 처리당액의 도전율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처리당액의 도전율이 악화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혼상식 당액정제장치의 재생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아미노산 등의 양성유기물이 처리당액 속으로 누설되는 원인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당액속의 아미노산 등의 양성유기물은, 통액(通液) 당초에는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와 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에 포착되지만, 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의 이온포착성능은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에 비해 약하며, 또한 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는 통액을 반복함으로써 이온포착성능이 더욱 약해져 가기 때문에, 최종적으로는 당액속의 아미노산 등의 양성유기물은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에 포착된다는 사실을 알았다.
또한, 당액속의 아미노산 등의 양성유기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에 포착되는데, 산 재생제를 이용한 통상의 재생법에서는 상기 양성유기물은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로부터 탈착되기 어렵다는 사실을 알았다. 이는 추측이지만, 아미노산 등의 양성유기물이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에 포착되는 경우에는 양성유기물의 아미노기 등과 같은 양이온부가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에 포착되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염산 등의 산 재생체를 통과시켜도 양성유기물 자체는 탈착되지 않고, 단지 포착되지 않은 카본산기 등과 같은 음이온부가 이온교환될 뿐이라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로부터 아미노산 등과 같은 양성유기물을 탈착시키는 수단에 대하여 다양한 검토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산화나트륨 등의 알칼리 재생제를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에 통과시킨 경우,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로부터 아미노산 등의 양성유기물이 효율적으로 탈착되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는 추측이지만,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에 알칼리 재생제를 접촉시키면, 포착되어 있던 아미노기 등과 같은 양이온부가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로부터 떨어져 나가고, 그 결과 양성유기물 전체가 탈착되는 것이 아닐까 하고 생각된다.
본 발명은, 상기 지식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와 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를 충전시킨 혼상식 당액정제장치의 이온교환수지를 재생하는데 있어서,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 및 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에 알칼리 재생제를 접촉시킨 후,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에 산 재생제를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상식 당액정제장치의 재생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재생법은,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와 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에 알칼리 재생제를 통과시킴으로써, 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를 재생함과 동시에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에 포착되어 있는 아미노산 등의 양성유기물을 탈착시킨 후,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에 산 재생제를 통과시켜 상기 수지를 재생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아미노산 등의 양성유기물의 처리당액 속으로 누설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여처리당액 품질의 안정화를 꾀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우선,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와 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에 알칼리 재생제를 통과시킨다. 알칼리 재생제의 종류를 한정하지는 않지만,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와 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에 알칼리 재생제를 통과시키는 경우, 양 이온교환수지를 분리하기 전에 알칼리 재생제를 통과시켜도 좋으며, 분리한 후에 알칼리 재생제를 통과시켜도 좋다. 특히, 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로서 약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재생효율이 좋기 때문에 양 이온 교환수지를 분리하기 전에 알칼리 재생제를 통과시켜도 아무런 문제는 없다.
본 발명에서는, 다음으로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에 산 재생제를 통과시킨다. 산 재생제의 종류를 한정하지는 않지만, 염산수용액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로 산 재생제를 통과시키는 것은 양 이온교환수지를 분리한 상태에서 실시하면 좋다.
본 발명을 적용하는 혼상식 당액정제장치의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 및 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의 종류에 한정은 없으며, 처리목적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앰버라이트(amberite)(등록상표, 이하 동일) 200CT, IR120B, IR124, IR118, 다이아이온(등록상표, 이하 동일) SK1B, SK102, PK208, PK212(이상,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 앰버라이트 XE583, IRA67, IRA96SB, 다이아이온 WA10, WA20, WA30(이상, 약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 앰버라이트 IRA402BL, IRA400,IRA440B, XT5007, IRA400, IRA900, IRA904, 다이아이온 SA10A, SA11A, PA306, PA308(이상, I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 앰버라이트 IRA411S, IRA410, IRA910, 다이아이온 SA20, PA418(이상, II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는 혼상식 당액정제장치는,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의 총 이온교환용량과 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의 총 이온교환용량의 비를 4 : 1∼1 : 4로 하여 혼상을 형성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처리액의 pH를 안정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재생법은, 예를들면 하기 당액정제시스템 (A)∼(C)에 있어서의 혼상식 당액정제장치에 대하여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를 이용한 양이온 교환장치와, 약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를 이용한 음이온 교환장치와,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 및 I형 또는 II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를 이용한 혼상식 당액정제장치를 이 순서대로 설치한 당액정제시스템.
(B)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를 이용한 양이온 교환장치와,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 및 약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를 이용한 혼상식 당액정제장치를 이 순서대로 설치한 당액정제시스템.
(C)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를 이용한 양이온 교환장치와,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 및 약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를 이용한 혼상식 당액정제장치와,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 및 I형 또는 II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를 이용한 혼상식 당액정제장치를 이 순서대로 설치한 당액정제시스템.
본 발명의 재생법은, 예를들면, 전분당액을 처리하는 혼상식 당액정제장치의 재생법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혼상식 당액정제장치의 재생법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예의 혼상식 당액정제장치의 재생을 본 발명의 재생법에 의해 실시하는 순서는, 예를들면 하기와 같다.
(1) 당액처리를 종료한 후, 혼상탑 내에서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4)를 하층으로 분리하고, 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3)를 상층으로 분리한다. 양 수지의 분리는, 역(逆)세정에 의해 양 수지의 비중차를 이용하여 실시한다. 상기 역세정은, 통상시와는 반대경로로 물을 흘려보냄으로써 실시한다.
(2) 상부 디스트리뷰터(6)로부터, 상층의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3) 및 하층의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4)에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등의 알칼리 재생제를 하향류로 일괄 통과시킨다. 알칼리 재생제의 흐름을 도에서 한점쇄선 A로 모식적으로 나타냄과 동시에, 상기 상태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이로써, 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3)의 재생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4)로부터 아미노산 등의 양성유기물이 탈착된다. 이어서, 알칼리 재생제를 물로 밀어내어 필요에 따라 수지층을 물세정한다.
(3) 하부 디스트리부터로부터, 하층의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4)에 염산수용액 등의 산 재생제를 상향류로 통과시킨다. 동시에, 상층의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3)에 물을 하향류로 통과시킨다. 그리고, 수지재생폐액 및 물을 콜렉터(2)로부터 배출한다. 산 재생제의 흐름을 도에서 파선 B로 나타냄과 동시에, 상기 상태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이로써,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4)의 재생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산 재생제를 물로 밀어내어 수지층을 물세정한다.
(4) 재생된 양 수지를 다시 혼합하여 혼상을 형성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혼상식 당액정제장치의 한 예를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다.
도 2는 알칼리제에 의한 재생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산에 의한 재생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온교환탑 2 : 콜렉터
3 : 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
4 :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
6 : 디스트리뷰터 8 : 지지부재
9 : 밸브 10 : 콘트롤러
이하, 구체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는데, 본 발명은 하기 구체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혼상식(混床式) 당액정제장치의 한 예를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이온교환탑(1) 내의 하부에는, 지지부재(8)가 설치되고, 그 위에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 및 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의 혼상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온교환탑(1)의 상부에는, 재생제를 공급하는 상부 디스트리뷰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온교환탑(1)의 지지부재(8)의 하방에는 재생제를 공급하는 하부 디스트리뷰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시에는, 비중에 의해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와 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를 분리한다. 이로써,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층에 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층(3)이 형성되고, 하층에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층(4)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분리경계면(7)의 위치에 재생폐액을 배출하는 콜렉터(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피처리당액은 이온교환수지탑(1)의 상부로부터 공급되고, 처리가 끝난 당액은 이온교환탑(1)의 바닥부로부터 배출된다. 그리고, 처리시 및 재생시에 있어서 액체를 유통시키는 각 경로에는 밸브(9)가 배치되고, 상기 밸브(9)를 콘트롤러(10)로 제어하여 각종 액체의 유통을 제어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각 경로에 펌프를 배치하여 상기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액체의 유통을 제어한다.
구체예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앰버라이트 120B) 0.6L를 충전시킨 양이온 교환장치와,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앰버라이트 120B) 0.4L 및 약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앰버라이트 XE583) 1.5L를 충전시킨 혼상식 당액정제장치를 이용하여 당액정제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이 경우, 양이온 교환장치를 전단, 혼상식 당액정제장치를 후단에 설치하였다.
상기 당액정제시스템을 이용하여 수 사이클의 당액정제처리를 실시한 후, 각 이온교환장치의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을 실시하였다. 전단의 양이온 교환장치의 재생에서는,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를 물로 역(逆)세정한 후, 상기 수지에 1N의 염산수용액 1.2L를 통과시켰다. 이어서, 수지를 순수로 세정하고 재생공정을 종료하였다.
후단의 혼상식 당액정제장치의 재생은 이하와 같이 실시하였다. 우선, 상향류의 역세정수에 의해 수지층을 150% 전개하여,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를 하층, 약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를 상층으로 분리하였다. 이어서, 장치 상부로부터 양 수지에 1N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4L를 하향류로 일괄 통과시키고, 상층의 약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를 재생함과 동시에, 하층의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로부터 아미노산 등의 양성유기물을 탈착시켰다.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물로 밀어낸 후, 장치 하부로부터 하층의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에 1N의 염산수용액 0.9L를 상향류로 통과시킴과 동시에, 장치 상부로부터 상층의 약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에 물을 하향류로 통과시켜, 수지재생폐액 및 물을 양 수지의 분리면에 설치한 콜렉터로부터 배출시키고, 하층의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를 재생하였다. 다음으로, 장치 상부 및 하부로부터, 상층의 약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 및 하층의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에 세정수를 각각 통과시켜 세정수를 콜렉터로부터 배출하고 재생처리를 완료하였다.
재생한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와 약겸기성 음이온 교환수지를 혼합하여 혼상을 형성시킨 후, 전분당액의 정제처리를 실시하였다. 정제처리에 있어서는, 60L를 1사이클로 하여 통액(通液)을 실시하여, 총 5사이클의 통액을 실시하였다. 원당액의 성상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재생후 5사이클째의 통액시에 있어서 30L의 원당액을 처리하였을 때의 처리당액의 성상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구체예와 마찬가지로 당액정제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당액정제시스템을 이용하여 수 사이클의 당액정제처리를 수행한 후, 각 이온교환장치의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을 실시하였다. 전단의 양이온 교환장치의 재생은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후단의 혼상식 당액정체장치의 재생은 이하와 같이 실시하였다. 우선, 상향류의 역세정수에 의해 수지층을 150% 전개하고,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를 하층, 약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를 상층으로 분리하였다. 이어서, 장치 상부로부터 상층의 약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에 1N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4L를 하향류로 통과시킴과 동시에, 장치 하부로부터 하층의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에 물을 상향류로 통과시키고, 수지재생폐액 및 물을 양 수지의 분리면에 설치한 콜렉터로부터 배출시켜, 상층의 약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를 재생하였다. 그 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하층의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의 재생 및 양 수지의 세정을 수행하여 재생처리를 완료하였다.
재생한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와 약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를 혼합하여 혼상을 형성시킨 후, 전분당액의 정제처리를 실시하였다. 정제처리는 실시예와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재생 후 5사이클째의 통액시에 있어서 30L의 원당액을 처리하였을 때의 처리당액의 성상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분석항목 원당액 실시예 1 비교예 1
B×(%) 46.0 45.8 45.8
아미노태질소농도(mgN/L) 50 <5 20
pH 4.51 5.65 6.45
전기전도율(㎲/cm) 165 0.44 1.25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재생법으로 재생처리를 실시한 실시예는, 종래법으로 재생처리를 실시한 비교예에 비해 아미노산이 처리당액 속으로 누설되는 양이 적으며, 처리당액의 성상이 안정되어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발명에 의하면, 아미노산 등의 양성유기물을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로부터 효율적으로 탈착시킬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혼상식 당액정제장치의 재생법에 의하면, 혼합수지속의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에 포착된 아미노산 등의 양성유기물을 상기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로부터 효율적으로 탈착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양성유기물이 처리당액 속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처리당액 품질의 안정화를 꾀할 수 있다.

Claims (12)

  1. 당액의 정제를 수행하는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와 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를 충전한 혼상식(混床式) 당액정제장치의 상기 양 이온교환수지를 재생하는 혼상식 당액정제장치의 재생방법에 있어서,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 및 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에 알칼리 재생제로서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접촉시키고, 그 후,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에 산재생제를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상식 당액정제장치의 재생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가 약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상식 당액정제장치의 재생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의 총 이온교환용량과, 상기 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의 총 이온교환용량의 비를 4 : 1∼1 : 4의 범위 내로 하여 혼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상식 당액정제장치의 재생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당액이 전분당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상식 당액정제장치의 재생방법.
  6. 당액의 정제를 수행하는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와 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를 충전한 혼상식 당액정제장치의 상기 양 이온교환수지를 재생하는 혼상식 당액정제장치에 있어서,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 및 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에 알칼리 재생제로서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접촉시키고, 그 후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에 산 재생제를 접촉시키도록 알칼리 재생제 및 산 재생제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상식 당액정제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와 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의 계면에 상당하는 위치에 배치된 콜렉터를 가지며,
    상기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를 통과한 산 재생제의 재생폐액을 상기 콜렉터로부터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상식 당액정제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에 산 재생제를 통과시키고 있을 때, 상기 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에는 물을 통과시키고,
    상기 콜렉터로부터 상기 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를 통과한 물을 상기 산 재생제의 재생폐액과 함께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상식 당액정제장치.
  9. 삭제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가 약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상식 당액정제장치.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의 총 이온교환용량과, 상기 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의 총 이온교환용량의 비를 4 : 1∼1 : 4의 범위 내로 하여 혼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상식 당액정제장치.
  1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당액이 전분당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상식 당액정제장치.
KR10-2000-0075913A 1999-12-20 2000-12-13 혼상식(混床式) 당액 정제장치 및 그의 재생법 KR1004632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360960 1999-12-20
JP36096099A JP4210403B2 (ja) 1999-12-20 1999-12-20 混床式糖液精製装置の再生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380A KR20010062380A (ko) 2001-07-07
KR100463268B1 true KR100463268B1 (ko) 2004-12-23

Family

ID=18471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5913A KR100463268B1 (ko) 1999-12-20 2000-12-13 혼상식(混床式) 당액 정제장치 및 그의 재생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6362240B2 (ko)
JP (1) JP4210403B2 (ko)
KR (1) KR100463268B1 (ko)
TW (1) TWI2381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142A (ko) * 2000-08-24 2002-03-04 이구택 혼상탑 이온교환수지 재생방법
FI20020592A (fi) * 2002-03-27 2003-09-28 Danisco Sweeteners Oy Menetelmä sokereiden, sokerialkoholien, hiilihydraattien ja niiden seosten erottamiseksi niitä sisältävistä liuoksista
AU2007318897B2 (en) * 2006-11-08 2011-07-21 Tongaat Hulett Limited Treatment of sugar juice
CN100413593C (zh) * 2006-12-22 2008-08-27 南京大学 吸附树脂的原位电再生工艺
CN100425346C (zh) * 2006-12-28 2008-10-15 大连交通大学 铝型混合树脂的电再生方法
CN100408187C (zh) * 2006-12-31 2008-08-06 徐东 一种离子交换树脂复合协同复苏剂
US20100160624A1 (en) * 2008-12-20 2010-06-24 Ragus Holdings, Inc. Process for Producing High-Purity Sucrose
US20110189342A1 (en) * 2010-02-01 2011-08-04 Jeong Hea-Seok High-purity galactooligosaccharides and uses thereof
JP2016525886A (ja) * 2013-05-28 2016-09-01 ローム アンド ハース カンパニーRohm And Haas Company 糖溶液からの不純物の除去
WO2016028643A1 (en) * 2014-08-19 2016-02-25 Purolite Corporation Regeneration of weak base anion exchange resins
CN106350614B (zh) * 2016-11-01 2020-12-22 无锡甜丰食品有限公司 一种麦芽糖浆制取离交水及酸碱的综合回收利用方法
CN108383083A (zh) * 2018-03-16 2018-08-10 三峡大学 一种负载型盐酸脱色剂及其制备方法和脱色工艺
CN112619713A (zh) * 2020-12-30 2021-04-09 保龄宝生物股份有限公司 一种生产功能性低聚糖的离子交换系统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0541A (ko) * 1979-05-21 1983-04-16 호쓰 쇼오헤이 용액 처리방법
JPS58153580A (ja) * 1982-03-05 1983-09-12 Hitachi Ltd 復水脱塩装置の再生方法
KR840000278A (ko) * 1981-06-22 1984-02-18 윌리엄플러머토머스 양이온교환수지를 재생시키는 방법
JPH047080A (ja) * 1990-04-24 1992-01-10 Ebara Infilco Co Ltd 復水脱塩装置の再生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73725A (en) * 1960-12-01 1963-01-15 Popper Karel Ion exchange processes
US4140541A (en) * 1977-03-25 1979-02-20 Karel Popper Treatment of crude sugar juices by ion exchange
GB2221696B (en) * 1988-07-15 1991-10-02 Itoh Sugar Co Ltd C Method for refining sugar liquor
BR9306034A (pt) 1992-03-06 1997-11-18 Henkel Corp Processo para a recuperação de resinas trocadoras de ions do tipo quelante
US5443732A (en) * 1994-04-01 1995-08-22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Boron isotope separation using continuous ion exchange chromatography
IT1282653B1 (it) * 1996-02-20 1998-03-31 Bracco Spa Dispositivo e metodo per la rigenerazione di letti misti di resine a scambio ionico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0541A (ko) * 1979-05-21 1983-04-16 호쓰 쇼오헤이 용액 처리방법
KR840000278A (ko) * 1981-06-22 1984-02-18 윌리엄플러머토머스 양이온교환수지를 재생시키는 방법
JPS58153580A (ja) * 1982-03-05 1983-09-12 Hitachi Ltd 復水脱塩装置の再生方法
JPH047080A (ja) * 1990-04-24 1992-01-10 Ebara Infilco Co Ltd 復水脱塩装置の再生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62240B2 (en) 2002-03-26
TWI238196B (en) 2005-08-21
US6508939B2 (en) 2003-01-21
KR20010062380A (ko) 2001-07-07
US20020058715A1 (en) 2002-05-16
US20010006985A1 (en) 2001-07-05
JP4210403B2 (ja) 2009-01-21
JP2001169800A (ja) 2001-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3268B1 (ko) 혼상식(混床式) 당액 정제장치 및 그의 재생법
US5951874A (en) Method for minimizing wastewater discharge
EP087908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wastewater discharge
JP4192557B2 (ja) 糖液の精製方法
JP3765653B2 (ja) 混床式イオン交換樹脂塔の混合樹脂の分離方法および混床式ショ糖精製装置の再生方法
JP4294203B2 (ja) 糖液精製装置の再生法
JP4245745B2 (ja) 混床式糖液精製装置
JP4216998B2 (ja) 混床式糖液精製装置の再生法
JPH0577400B2 (ko)
JP4210408B2 (ja) 糖液精製装置の強酸性カチオン交換樹脂塔の再生法
JP3592452B2 (ja) 混床式の糖液精製装置
JP2845489B2 (ja) 混床式ショ糖液精製装置の再生法
JP3638624B2 (ja) 混床式ショ糖液精製装置の再生法
JPS621307B2 (ko)
JP2001232217A (ja) イオン交換樹脂の再生法
JPS6259630B2 (ko)
JP3311875B2 (ja) 糖液の脱塩精製装置
JP2742975B2 (ja) イオン交換装置の再生方法
JP3951456B2 (ja) 純水製造装置
JP2654053B2 (ja) 復水脱塩装置
JP2006254794A (ja) 糖液精製システムにおけるフェノール系吸着樹脂の再生方法および糖液精製装置
JPH1170000A (ja) ショ糖液精製装置およびショ糖液精製装置の再生方法
JP2002355100A (ja) 混床式糖液精製装置、混床式糖液精製装置の再生方法および糖液の精製方法
SU1608133A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от алифатических аминов
JP2002186500A (ja) 糖液精製装置及び該装置の混床層の再生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