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0778B1 - 자동차용 문짝틀 내부판넬의 용접을 위한 지그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문짝틀 내부판넬의 용접을 위한 지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0778B1
KR100460778B1 KR10-2002-0001987A KR20020001987A KR100460778B1 KR 100460778 B1 KR100460778 B1 KR 100460778B1 KR 20020001987 A KR20020001987 A KR 20020001987A KR 100460778 B1 KR100460778 B1 KR 100460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welding
welded
jig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1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1481A (ko
Inventor
황석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원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원정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원정공
Priority to KR10-2002-0001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0778B1/ko
Publication of KR20030061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1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7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06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18Sheet pan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문짝틀의 내부판넬을 제조하는데 관한 것으로, 여러장의 판넬을 용접하여 하나의 판넬을 구성함에 있어서 여러개의 용접부위를 한번에 용접할 수 있도록 각 판넬을 효율적으로 정렬하는 지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문짝틀의 내부판넬을 구성하는 상부판넬(1), 하부판넬(2), 좌측판넬(3), 우측판넬(4)을 동일평면상에 안착하여 상기 각 판넬을 상측부를 다수의 실린더(16)(20')에 의해 작동하는 누름판(17)(20)으로써 각각 가압하여 상기 각 판넬을 용접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용접지그(10)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용접지그(10)에 상부판넬(1)과 하부판넬(2)의 용접을 필요치 않는 일측을 지지하는 고정대(11)(12) 및 상기 각 고정대(11)(12)측으로 상부판넬(1)과 하부판넬(2)을 통상의 실린더로써 가압하는 이송수단(13)(13')을 각각 형성함과 아울러, 좌측판넬(3)이 용접되는 상기 상부판넬(1) 및 하부판넬(2)의 일측 용접부(1')(2')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도록 실린더(30)에 의해 작동하는 한 쌍의 지지돌부(14)(14') 및 상기 지지돌부(14)(14')에 상부판넬(1)과 하부판넬(2)의 일측 용접부(1')(2')가 각각 접하도록 상부판넬(1) 및 하부판넬(2)의 타측 용접부(1")(2")를 각각 가압하는 한 쌍의 이송수단(15)(15')을 형성하되, 상기 각 이송수단(15)(15')은 상부판넬(1)과 하부판넬(2)의 타측 용접부(1")(2")에 선택적으로 접하도록 실린더(32)에 의해 상하 작동하는 밀편(33)과 상기 밀편(33)이 상부판넬(1)과 하부판넬(2)을 지지돌부(14)(14') 측으로 가압하도록 좌우 이송하는 또 다른 실린더(31)로 형성하는 한편, 용접지그(10)에 안착된 좌측판넬(3) 및 우측판넬(4)의 용접을 필요치 않는 일측을 지지하는 고정대(19)(19') 및 상기 고정대(19)(19') 측으로 좌측판넬(3)과 우측판넬(4)을 통상의 실린더로써 가압하는 이송수단(18)(18')을 각각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좌측판넬(3) 및 우측판넬(4)의 일측 용접부(3')(3")(4')(4")를 이미 정위치에 정렬된 상부판넬(1)과 하부판넬(2)의 각 용접부(1')(1")(2')(2")에 대응하여 접하도록 통상의 실린더로써 좌측판넬(3)과 우측판넬(4)을 각각 가압하는 이송수단(21)(2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최초 각각 분할된 상부판넬(1), 하부판넬(2), 좌측판넬(3), 우측판넬(4)을 빠른 시간내에 용접이 가능하도록 정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번의 용접공정으로 상기 각 판넬을 용접할 수 있어 용접작업시간 및 노동력 절감에 따른 생산성 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자동차용 문짝틀 내부판넬의 용접을 위한 지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문짝틀 내부판넬의 용접을 위한 지그장치{Welding jig for door panel of a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문짝틀 내부에 설치되어 문짝틀의 강도를 강화하는 역할을 하는 판넬(Panel-Reinforce Side Outer)이나 또는 문짝틀 내부를 구성하는 판넬(Panel-Side Inner) 등을 제조하는데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두께가 다르거나 재질이 다른(혹은 두께와 재질이 동시에 다른) 여러장의 판넬을 용접하여 하나의 판넬을 구성함에 있어서 여러개의 용접부위를 한번에 용접할 수 있도록 각 판넬을 효율적으로 정렬하는 지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문짝틀 내부에 설치되어 문짝의 강도를 강화하는 보강판 등의 판넬은 통상 좌측 및 우측판넬과 상부 및 하부판넬 등 4개의 판넬을 평면상에서 용접하여 중앙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하나의 판넬형태로 구성하고 있으며,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큰 강도를 요구하는 부위의 판넬은 두꺼운 강판으로 구성하고 그러하지 아니한 부위의 판넬은 얇은 강판을 맞대 용접(레이저 용접)하여 사용을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좌측 및 우측판넬과 상부 및 하부판넬을 용접하기 위해서는 용접지그를 구성한 후 여기에 각 판넬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용접을 하는데, 종래의 용접 공정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우측판넬을 정확한 위치에 안착시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 후 상부판넬 및 하부판넬을 밀어서 각 용접면이 서로 맞닿도록 하며 맞닿은 용접면에 용접을 실시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부판넬 및 하부판넬을 우측판넬 방향으로 밀어주는 과정에서 상부 및 하부판넬을 정확히 이동시켜 직선으로 가공된 우측판넬의 용접면에 상부 및 하부판넬의 용접면이 정확히 맞닿게 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상기 우측판넬과 용접을 하고난 후 반대쪽, 즉 상부 및 하부판넬의 좌측판넬이 용접될 부위의 용접면은 좌측판넬의 용접면과 동일한 직선을 이루지 못하는 것이다.
따라서 좌측판넬과 상부 및 하부판넬을 용접하는 공정에서는 용접불량이 많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상부판넬 및 하부판넬의 좌측판넬이 용접될 부위를 필요한 치수보다 조금 크게 구성하여 우측판넬과의 용접을 먼저 실시하고, 그 후 상부판넬 및 하부판넬의 좌측판넬이 용접될 부위를 일직선으로 절단하여 좌측판넬의 용접면과 평행한 일직선이 되도록 용접면을 만든 다음 다시 좌측판넬과의 용접을 실시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방식의 문제점으로는 용접공정이 상부 및 하부판넬과 우측판넬의 용접, 상부 및 하부판넬의 다른쪽 가공, 상부 및 하부판넬과 좌측판넬의 용접 등으로 여러단계가 되므로 용접작업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 생산성이 매우 낮은 단점이 있으며, 우측판넬을 용접한 후 상부 및 하부판넬의 다른 쪽을 가공하는데 따른 재료의 낭비가 있어서 결국 문짝틀 내부판넬을 용접하는데 따르는 불필요한 원가의 상승이 문제가 되는 것이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본 발명은 문짝틀 내부판넬을 구성하는 4개의 판넬을 동시에 용접지그에 안착시킨 후 연속으로 모든 용접부를 한꺼번에 일치시켜 정렬할 수 있도록 각 판넬을 밀어주는 구성과 받침이 되는 지지구성을 유기적으로 결합한 지그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문짝틀 내부판넬을 제조하는 용접작업이 매우 능률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용접지그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송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상부판넬 1', 1": 용접부
2: 하부판넬 2', 2": 용접부
3: 좌측판넬 3', 3": 용접부
4: 우측판넬 4', 4": 용접부
10: 용접지그 11, 12: 고정대
13, 13': 이송수단 14, 14': 지지돌부
15, 15': 이송수단 16: 실린더
17: 누름판 18, 18': 이송수단
19, 19': 고정대 20: 누름판
21, 21': 이송수단 30, 31, 32: 실린더
33: 밀편 40: 실린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문짝틀 내부판넬의 용접을 위한 지그장치(10, 이하 "용접지그"라 함)는, 로보트를 이용하여 상부판넬(1), 하부판넬(2), 좌측판넬(3), 우측판넬(4)을 상기 평면상의 용접지그(10) 상에 모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안착시킨 후 작동을 하는 것으로, 하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용접지그(10)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용접지그(10)의 구성에 앞서 그에 따른 상기 용접지그(10)의 개략적인 작용을 우선하여 살펴보면, 상부판넬(1)과 하부판넬(2)을 먼저 정위치시키고, 정위치의 상부판넬(1) 및 하부판넬(2)을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시킨 상태에서 좌측판넬(3) 및 우측판넬(4)을 상부판넬(1) 및 하부판넬(2)을 향해 밀어줌으로써 용접부(1')(1")(2')(2")(3')(3")(4')(4")가 모두 정확히 맞닿도록 하는 바,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용접지그(10)의 작용을 보다 상세히 상세히 살펴본다.
상부판넬(1)과 하부판넬(2)의 각 용접부가 없는 방향의 일측에 필요한 위치 만큼으로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대(11)(12)를 용접지그(10)에 각각 형성하여 상기 고정대(11)(12)를 향해 상부판넬(1)과 하부판넬(2)을 이송수단(13)(13')으로써 각각 밀어주도록 하고, 상기 상부판넬(1) 및 하부판넬(2)과 좌측판넬(3)의 사이에는 필요시에만 돌출가능한 한 쌍의 지지돌부(14)(14')를 형성하여 이를 돌출시키되 상기 상부판넬(1) 및 하부판넬(2)의 반대측과 우측판넬(4)의 사이에는 필요시 돌출이 됨과 아울러 돌출된 상태로 다시 상부판넬(1) 및 하부판넬(2)을 좌측판넬(3)측으로 밀어줄 수 있는 한 쌍의 기계적인 이송수단(15)(15')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판넬(1) 및 하부판넬(2)의 일측 용접부(1')(2')를 상기 지지돌부(14)(14')에 각각 접하도록 밀어주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판넬(1) 및 하부판넬(2)을 정위치 시킨 다음에는 상부에서 실린더(16)에 의하여 작동하는 한 쌍의 누름판(17)을 하강시켜 상부판넬(1)과 하부판넬(2)이 움직이지 않도록 눌러주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정렬된 상부판넬(1) 및 하부판넬(2)에 좌측판넬(3) 및 우측판넬(4)을 정렬하는 용접지그(10)의 작용을 살펴보면, 좌측판넬(3) 및 우측판넬(4)의 용접을 필요치 않는 일측을 지지하는 고정대(19)(19')를 용접지그(10)에 각각 형성하되 상기 고정대(19)(19')는 상부판넬(1) 및 하부판넬(2)의 일측단에 대하여 좌측판넬(3) 및 우측판넬(4)의 일측단이 연속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각 고정대(19)(19')의 타측에는 한 쌍의 기계적인 이송수단(18)(18')를 형성하여 상기 좌측판넬(3)과 우측판넬(4)을 고정대(19)(19')측으로 각각 밀어주는 한편, 상기 좌측판넬(3)의 용접부(3')(3")와 우측판넬(4)의 용접부(4')(4")가 상부판넬(1) 및 하부판넬(2)의 각 용접부(1')(1")(2')(2")에 접하도록 상기 좌측판넬(3)과 우측판넬(4)을 밀어주는 기계적인 이송수단(21)(21')을 형성하여 가압함으로써 각 판넬의 용접부(1',3')(1",4')(2',3")(2",4")가 서로 밀착되도록 각 판넬이 완전하게 정렬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판넬(1), 하부판넬(2), 좌측판넬(3), 우측판넬(4)이 정렬된 후에는 실린더(20')에 의하여 작동하는 다수의 누름판(20)을 완전히 하강시켜 좌측판넬(3) 및 우측판넬(4)을 위치 고정하는 바, 좌측판넬(3) 및 우측판넬(4)이 이송수단(21)(21')에 의해 움직일때에는 작동에 지장이 없도록 살짝만 눌러주고 이동이 완료된 다음에는 완전히 눌러 고정을 시키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지그의 바람직인 실시예의 구성을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용접지그에 있어 상부판넬(1) 및 하부판넬(2)을 정렬하기 위한 구성을 살펴보면, 일정한 간격으로 안착되는 상부판넬(1) 및 하부판넬(2)의 용접을 필요치 않는 바깥부위에 상부판넬(1) 및 하부판넬(2)이 밀려나오면 더 이상 움직이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고정대(11)(12)를 각각 설치하고, 상부판넬(1) 및 하부판넬(2) 사이의 공간에 각 고정대(11)(12) 방향으로 밀어주는 기계적인 이송수단(13)(13')을 각각 설치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이송수단(13)(13')을 작용시키면 상부판넬(1) 및 하부판넬(2)이 밀리다가 고정대(11)(12)에 걸려 더 이상 밀리지 않도록 한 것이다.
상부판넬(1) 및 하부판넬(2)의 일측 용접부(1')(2')의 위치기준이 되는 용접지그(10) 상면에는 한 쌍의 지지돌부(14)(14')를 출몰가능하게 구성하여 돌출시키되, 용접지그(10)의 하면에 한 쌍의 실린더(30)를 경사지게 구성한 후 그 선단에 지지돌부(14)(14')를 각각 설치하여 실린더(30)의 작용으로 작동되게 하였다.
이러한 지지돌부(14)(14')의 반대쪽 위치에는 승강작용으로 출몰이 가능하면서 동시에 상부판넬(1) 및 하부판넬(2)을 지지돌부(14)(14') 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는 한 쌍의 이송수단(15)(15')을 구성하였는데, 상기 각 이송수단(15)(15')은 측방향으로 이송운동을 하는 실린더(31)에 다시 승강작용을 하는 실린더(32)를 구성한 후 승강작용을 하는 실린더(32)의 선단에 밀편(33)을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지지돌부(14)(14')를 돌출시킨 후 이송수단(15)(15')을 작용시킴으로써 상부판넬(1) 및 하부판넬(2)이 고정대(11)(12) 및 이송수단(13)(13')에 밀착된 상태로 지지돌부(14)(14')쪽으로 밀리다가 지지돌부(14)(14')에 밀착되면서 정위치에 안착되는 것이다.
정위치를 잡고나면 용접지그(10)의 상부에 실린더(16)에 의해 작동토록 구성된 누름판(17)을 작동시킴으로써 누름판(17)이 상부판넬(1) 및 하부판넬(2)을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시키고 이러한 상태에서 지지돌부(14)(14')와 이송수단(15)(15')을 원복시키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상기 정위치에 고정된 상부판넬(1) 및 하부판넬(2)에 좌측판넬(3)과 우측판넬(4)을 밀착하는 구성을 살펴보면, 좌측판넬(3) 및 우측판넬(4)의 용접을 필요치 않는 일측을 지지하는 고정대(19)(19')를 용접지그(10)에 각각 형성하되 상기 고정대(19)(19')는 상부판넬(1) 및 하부판넬(2)의 일측단에 대하여 좌측판넬(3) 및 우측판넬(4)의 일측단이 연속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각 고정대(19)(19')의 타측에는 한 쌍의 기계적인 이송수단(18)(18')를 형성하여 상기 좌측판넬(3)과 우측판넬(4)을 고정대(19)(19')측으로 각각 밀어줌으로써 상부판넬(1) 및 하부판넬(2)의 용접부(1')(1")(2')(2")와 좌측판넬(3)과 우측판넬(4)의 용접부(3')(3")(4')(4")가 평행하게 마주보도록 만들어주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는 좌측판넬(3)과 우측판넬(4)이 상부판넬(1) 및 하부판넬(2)과 맞닿을 때 상부판넬(1) 및 하부판넬(2)의 위로 좌측판넬(3) 및 우측판넬(4)이 겹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린더(20')에 의해 작동하는 누름판(20)을 하강시키는데, 이때는 좌측판넬(3) 및 우측판넬(4)이 용접지그(10)의 상면으로부터 들뜨지만 않을 정도로 가볍게 눌러준다.
그리고 좌측판넬(3)과 우측판넬(4)의 외부에 상기 좌측판넬(3) 및 우측판넬(4)을 상부판넬(1) 및 하부판넬(2) 방향으로 밀 수 있는 이송수단(21)(21')을 각각 구성하여 이를 작동시킴으로써 각 용접부(1')(1")(2')(2")(3')(3")(4')(4")가 정확히 맞닿을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정렬작업이 완료된 후 공지의 레이저용접기가 작용을 시작하여 맞닿아 있는 각 용접부(1')(3'), (1")(4'), (2')(3"), (2")(4")를 연속으로 용접하게 되고 따라서 용접이 완료된 문짝틀 내부판넬이 배출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고정대(11)(12)와 다른 고정대(19)(19') 및 이송수단(13)(13')(18)(18')(21)(21')의 선단부는 완만한 원호형으로 구성함으로써 각 판넬과의 접촉면적을 줄이고 차종에 따라 모양이 약간씩 다른 판넬을 용접할 때도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이송수단(13)(13')(18)(18')(21)(21')의 구체적인 구성 예로는 도면과 같이 통상적인 실린더(40)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자동차의 문짝틀을 구성하는 내부판넬을 예로들어 방법과 구성 및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기타 자동차의 다른 부위에도 여러장의 철판을 접합하여 판넬을 구성하는 부분이 있으며, 자동차 외에 다른 수송수단이나 기계장치에서도 그러한 구성의 판넬이 필요한 경우가 다수 있으므로 상기한 본 발명의 대상으로 설명한 것과 유사한 형태의 판넬을 구성하고자 할 때는 본 발명의 방법과 장치의 구성을 거의 그대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러한경우 본 발명의 권리에 포함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과 장치에 의하면, 상부판넬(1)과 하부판넬(2)을 빠른 시간내에 정확한 위치로 이동을 시킬 수 있으며, 곧이어 좌측판넬(3)과 우측판넬(4)을 정위치에 고정된 상부판넬(1) 및 하부판넬(2)에 밀착을 시킨 후 4개소의 용접부를 동시에 용접할 수 있게끔 하는 것으로, 상부판넬(1) 및 하부판넬(2)에 일측의 측면판넬을 용접한 후 다시 끝단을 가공한 후 다른 일측판넬을 용접하던 종래의 방법에 비하여 매우 신속하게 용접작업을 할 수 있게되는 것이고, 아울러 그에 따른 재료의 절감, 원가의 인하 및 생산성의 향상을 얻을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삭제
  2. 자동차 문짝틀의 내부판넬을 구성하는 상부판넬(1), 하부판넬(2), 좌측판넬(3), 우측판넬(4)을 동일평면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안착하여 상기 각 판넬을 상측부를 다수의 실린더(16)(20')에 의해 작동하는 누름판(17)(20)으로써 각각 가압하여 상기 각 판넬을 용접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용접지그(10)에 있어서;
    상부판넬(1)과 하부판넬(2)의 용접을 필요치 않는 바깥측을 지지하는 고정대(11)(12)와; 상부판넬(1) 및 하부판넬(2)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각 고정대(11)(12)측으로 상부판넬(1)과 하부판넬(2)을 통상의 실린더로써 가압하는 이송수단(13)(13')과; 좌측판넬(3)이 용접되는 용접기준위치에 형성하여 상기 상부판넬(1) 및 하부판넬(2)의 일측 용접부(1')(2')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도록 실린더(30)에 의해 작동하는 한 쌍의 지지돌부(14)(14')와; 상기 지지돌부(14)(14')에 상부판넬(1)과 하부판넬(2)의 일측 용접부(1')(2')가 각각 접하도록 상부판넬(1) 및 하부판넬(2)의 타측 용접부(1")(2")를 각각 가압하되, 상부판넬(1)과 하부판넬(2)의 타측 용접부(1")(2")에 선택적으로 접하도록 실린더(32)에 의해 상하 작동하는 밀편(33)과 상기 밀편(33)이 상부판넬(1)과 하부판넬(2)을 지지돌부(14)(14') 측으로 가압하도록 좌우 이송하는 또 다른 실린더(31)로 형성한 한 쌍의 이송수단(15)(15')과; 용접지그(10)에 안착된 좌측판넬(3) 및 우측판넬(4)의 용접을 필요치 않는 일측을 지지하는 고정대(19)(19')와; 상기 고정대(19)(19') 측으로 좌측판넬(3)과 우측판넬(4)을 통상의 실린더로써 가압하는 이송수단(18)(18')과; 상기 좌측판넬(3) 및 우측판넬(4)의 일측 용접부(3')(3")(4')(4")를 이미 정위치에 정렬된 상부판넬(1)과 하부판넬(2)의 각 용접부(1')(1")(2')(2")에 대응하여 접하도록 통상의 실린더로써 좌측판넬(3)과 우측판넬(4)을 각각 가압하는 이송수단(21)(21')을 상기 용접지그(10)에 형성하는 한편; 고정대(11)(12)와 다른 고정대(19)(19') 및 이송수단(13)(13')(18)(18')의 선단부는 완만한 원호형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문짝틀 내부판넬의 용접을 위한 지그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02-0001987A 2002-01-14 2002-01-14 자동차용 문짝틀 내부판넬의 용접을 위한 지그장치 KR100460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987A KR100460778B1 (ko) 2002-01-14 2002-01-14 자동차용 문짝틀 내부판넬의 용접을 위한 지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987A KR100460778B1 (ko) 2002-01-14 2002-01-14 자동차용 문짝틀 내부판넬의 용접을 위한 지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1481A KR20030061481A (ko) 2003-07-22
KR100460778B1 true KR100460778B1 (ko) 2004-12-08

Family

ID=32217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1987A KR100460778B1 (ko) 2002-01-14 2002-01-14 자동차용 문짝틀 내부판넬의 용접을 위한 지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07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959B1 (ko) * 2008-03-14 2011-01-14 김강득 유리판용 필름접착장치
CN103192209B (zh) * 2012-01-06 2015-06-03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用于多块板料的拼接装置
CN102642108B (zh) * 2012-05-02 2015-05-20 南京雷尔伟新技术有限公司 司机室门框组焊工装
CN102922193B (zh) * 2012-10-17 2015-05-20 龙工(上海)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压路机侧门框架定位焊接方法
CN104191132B (zh) * 2014-08-29 2016-01-06 广西玉柴专用汽车有限公司 车厢后门拼焊工装
CN108098226A (zh) * 2016-01-17 2018-06-01 芜湖瑞德机械科技有限公司 车门止口总成结构以及该结构的焊接夹具
CN106002045B (zh) * 2016-06-16 2018-02-23 安徽大洋机械制造有限公司 左前侧面车门内板总成的定位方法
CN107310061B (zh) * 2017-07-07 2019-07-19 广东乐华家居有限责任公司 一种浴缸裁边打孔机的定位装置
CN108655648A (zh) * 2018-06-25 2018-10-16 华帝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制造吸油烟机集烟罩的夹具
CN108817797B (zh) * 2018-06-28 2020-05-22 中车长春轨道客车股份有限公司 用于侧梁正装焊接的组对定位工装
KR102459866B1 (ko) * 2021-02-03 2022-10-28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조립식 패널용 창틀부 일체형 측면 프레임의 제조를 위한 용접용 지그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9109A (en) * 1984-04-23 1986-12-16 Tachikawa Spring Co. Ltd Jig for welding frames
JPH0443479A (ja) * 1990-06-08 1992-02-13 Seiko Instr Inc ゲート管理システム
US5374799A (en) * 1991-01-30 1994-12-20 Mazda Motor Corporation Method for the assembly of automotive vehicle bodies and a jig unit therefor
KR0178908B1 (ko) * 1996-06-18 1999-02-18 양재신 자동차의 차체 용접용 고정 장치
JP2001247063A (ja) * 2000-03-06 2001-09-11 Mazda Motor Corp 車両ドアの製造方法及び車両のドア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9109A (en) * 1984-04-23 1986-12-16 Tachikawa Spring Co. Ltd Jig for welding frames
JPH0443479A (ja) * 1990-06-08 1992-02-13 Seiko Instr Inc ゲート管理システム
US5374799A (en) * 1991-01-30 1994-12-20 Mazda Motor Corporation Method for the assembly of automotive vehicle bodies and a jig unit therefor
KR0178908B1 (ko) * 1996-06-18 1999-02-18 양재신 자동차의 차체 용접용 고정 장치
JP2001247063A (ja) * 2000-03-06 2001-09-11 Mazda Motor Corp 車両ドアの製造方法及び車両のドア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1481A (ko) 2003-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0778B1 (ko) 자동차용 문짝틀 내부판넬의 용접을 위한 지그장치
EP1211014B1 (en) Device and method for seam welding
EP0565088B1 (e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manufacturing two or more different types of welded panels
JP4992298B2 (ja) ワーク位置決め装置
EP2008760A1 (en) Jig pallet
KR100666767B1 (ko) 용접 블랭크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0565121B1 (ko) 레이저 용접용 지그 장치
JP3820346B2 (ja) 鋼板の突き合わせ溶接方法および装置
JP2004001081A (ja) 金属板の突き合わせ溶接方法及び装置
KR20090061740A (ko) 빔 뒤틀림 교정방법 및 장치
JP2003275883A (ja) 板材の突き合わせ接合方法
CN110065238B (zh) 一种流水线式pp中空板箱体搭接机
CN216370650U (zh) 一种高强度钢工件的激光焊接工装及激光焊接系统
KR200244802Y1 (ko) 자동차용 머플러 조립체의 바디 탱크 용접을 위한 고정장치
JPS5858941A (ja) トランスファプレスのアイドルワ−ク支持装置
JPH0825065B2 (ja) 板継ぎ自動溶接装置
JPH07178637A (ja) ワーク組立装置
JP2000254785A (ja) 複数プレス品の重ね溶接方法と装置
KR200363138Y1 (ko) 마스크 프레임 제조장치
KR0131937B1 (ko) 가접된 골조패널의 고정구
JPH0530577B2 (ko)
KR100553367B1 (ko) 마스크 프레임, 마스크 프레임 제조방법 및 장치
JPH0724172Y2 (ja) 位置決めクランプ装置
CN111940975A (zh) 一种用于薄壁矩形梁的拼装焊接胎具及其使用方法
KR0131935B1 (ko) 용접구조물의 치구팰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