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0314B1 - 종이 접시 성형기 - Google Patents

종이 접시 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0314B1
KR100460314B1 KR10-2002-0062450A KR20020062450A KR100460314B1 KR 100460314 B1 KR100460314 B1 KR 100460314B1 KR 20020062450 A KR20020062450 A KR 20020062450A KR 100460314 B1 KR100460314 B1 KR 100460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heet
seated
plat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2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3385A (ko
Inventor
한규섭
Original Assignee
한규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규섭 filed Critical 한규섭
Priority to KR10-2002-0062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0314B1/ko
Publication of KR20040033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3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3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5/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B31D5/0004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for making inserts, e.g. partitions, for boxes
    • B31D5/0021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for making inserts, e.g. partitions, for boxes the inserts having the form of a tr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3Plates, dishes or the like for using only once, e.g. made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5/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B31D5/02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including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0077Shaping by methods analogous to moulding, e.g. deep drawing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접착제가 필요없이 자동으로 네 모서리를 접착하여 접시로 성형하는 접시 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재료지를 적층하는 재료지 적재장치;
상기 재료지 적재장치와 지주로 연결 고정되는 하부에 상기 재료지를 안착시키고 수평 이동되게 일정 길이를 가지면서 안내턱을 구비한 좌우 한 쌍의 가이드;
안착된 재료지의 최 하부층에 한 장을 하강시켜서 상기 가이드에 안착시키는 재료지 하강장치;
상기 가이드에 안착된 재료지의 한쪽 측면을 밀어서 수평 이동시키는 로딩장치;
상기 한 쌍의 가이드를 상면 양측에 고정시키고, 자체는 바디의 상부면 중앙에 체결되어, 상기 로딩장치에 의하여 밀려온 재료지를 안착시키는 하금형;
상기 하금형에 안착된 상기 재료지의 모서리를 가열하는 가열장치; 및
상기 하금형에 안착된 상기 재료지를 압착하여, 상기 가열된 모서리들을 중첩시키는 컬럼에 결합된 상금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종이 접시 성형기{Paper dish manufacturer}
본 발명은 접시 성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PE가 코팅된 종이 재료지를 적층시켜서 놓으면, 별도의 접착제가 필요없이 자동으로 네 모서리를 접착하여 접시로 성형하는 접시 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이로 제조되는 접시는 페스트푸드점 등의 튀김류나, 소스 및 피클 등을 담는 접시로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접시는 도 2e에서와 같이 재단된 평면형의 재료지를 수조작으로 네 모서리를 중첩되게 하여 접착제로 접착하여서 접시를 완성하거나, 간단한 수조작 공구를 이용하여 접시를 성형했다.
또한 이때 네 모서리를 부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는 위생을 이유로 화학성 접착제가 사용되지 못하고, 유기성 접착제가 사용되었다. 따라서 상기한 유기성 접착제에 의해 습하고 더운 날이면 접착제가 부패되어서 오히려 위생에 좋지 않는 등으로 상기한 종이 접시의 유통기한이 매우 짧아서 제조된 물품의 물류 또한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체의 수조작이 필요없는 접시 자동 제조기를 제공하면서, 인체에 무해한 PE코팅된 재료지를 이용하여 유기 접착제에 의한 부패를 해소한 위생적인 종이 접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재료지를 적층하는 재료지 적재장치;
상기 재료지 적재장치와 지주로 연결 고정되는 하부에 상기 재료지를 안착시키고 수평 이동되게 일정길이를 가지면서 안내턱을 구비한 좌우 한 쌍의 가이드;
안착된 재료지의 최 하부층에 한 장을 하강시켜서 상기 가이드에 안착시키는 재료지 하강장치;
상기 가이드에 안착된 재료지의 한쪽 측면을 밀어서 수평 이동시키는 로딩장치;
상기 한 쌍의 가이드를 상면 양측에 고정시키고, 자체는 바디의 상부면 중앙에 체결되어, 상기 로딩장치에 의하여 밀려온 재료지를 안착시키는 하금형;
상기 하금형에 안착된 상기 재료지의 모서리를 가열하는 가열장치; 및
상기 하금형에 안착된 상기 재료지를 압착하여, 상기 가열된 모서리들을 중첩시키는 컬럼에 결합된 상금형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에서 재료지 적재장치는;
재료지의 평면형태를 포함하는 개구를 갖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대각선 방향의 양측 상부면 각각에 결합되는 볼트에 관통되는 장공을 갖고, 상기 재료지의 모서리 양쪽 연단에 접촉되어 적층된 재료지를 정 위치로 세팅시키는 한 쌍의 봉을 설치한 한 쌍의 수직 가이더와,
상기 개구의 안쪽 가장자리로 돌출되어 재료지를 받침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탄성 받침편; 및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적층된 재료지의 하부로 향하는 에어 분사 노즐을 구비해서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한 쌍의 가이드 후방 쪽으로는 가드를 가지고, 이 가드의 끝단에는 스톱퍼를 구비한다.
그리고 가이드에 재료지를 안착시키는 재료지 하강장치는;
상기 플레이트의 개구 하부에서 승강되는 에어 흡입반을 가지는 암이 실린더)에 의해 승강되는 것에 의해 달성되고, 재료지 로딩장치는;
가이드에 안착된 재료지를 미는 푸셔를 가지는 로드를 구비한 실린더에 의해달성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하금형은 단면이 상협하광의 경사부 구조를 가지는 함체형의 베이스 바닥 중앙의 구멍을 통하여 하부로부터 상부로 걸림되게 관통시켜서 스프링을 삽입 탄설한 머리부를 갖는 봉 상단에 바닥판을 고정해서 되고,
상금형은 상기 함체형의 베이스내에 맞게 삽입되는 상광하협상의 경사부를 갖는 수금형으로 형성되어 실린더의 작동으로 승강되게 한 것으로 달성된다.
상기 상금형의 양측에는 앵글형 누름발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하금형에 안착된 재료지의 모서리들을 가열하는 가열장치는;
하금형을 고정한 바디의 상부 양측으로 관통시켜서 고정된 상부가 막힌 파이프의 상부에 각각 4개씩의 가는 파이프로 분지되고, 상기 상부가 막힌 파이프의 내부에 히터가 설치되고, 이 히터가 설치된 파이프 하부로 바람을 불어 넣어주는 블로워를 연결 구성한 것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하금형의 후방으로는 경사 슈트가 부착 설치되고, 그 경사 슈트의 하부에는 완성품을 적층하는 상자가 설치되며, 그 상자의 하부 플레이트는 실린더에 연동되어 개폐되는 제품 적층 배출장치를 더 포함해서 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도로써,
도 2a는 적층된 재료지를 하부로 이송하기 위한 작동상태 사시도.
도 2b는 가이드에 안착된 재료지를 로딩장치에 의해 하금형 상부로 로딩시키는 작동상태 사시도.
도 2c는 하금형에 놓여진 재료지가 접시로 성형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d는 완성된 접시를 쳐내어 성형접시 적층 상자에 적층하는 것을 보인 작동상태 단면도.
도 2e는 접시 성형전 재료지의 평면도 및 접시 성형후의 접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가열장치를 보인 부분 절취된 요부 확대 사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의 첨부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도로써, 도 2a는 적층된 재료지를 하부로 이송하기 위한 작동상태 사시도이고, 도 2b는 가이드에 안착된 재료지를 로딩장치에 의해 하금형 상부로 로딩시키는 작동상태 사시도이며, 도 2c는 하금형에 놓여진 재료지가 접시로 성형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d는 완성된 접시를 쳐내어 성형접시 적층 상자에 적층하는 것을 보인 작동상태 단면도이며, 도 2e는 접시 성형전 재료지의 평면도 및 접시 성형후의 접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가열장치를 보인 부분절취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어진다.
재료지(P)를 적층하는 재료지 적재장치(10);
상기 재료지 적재장치(10)와 지주(20)로 연결 고정되는 하부에 상기 재료지를 안착시키고 수평 이동되게 일정길이를 가지면서 안내턱(31)을 구비한 좌우 한 쌍의 가이드(30);
안착된 재료지의 최 하부층에 한 장을 하강시켜서 상기 가이드에 안착시키는 재료지 하강장치(40);
상기 가이드에 안착된 재료지(P)의 한쪽 측면을 밀어서 수평 이동시키는 로딩장치(50);
상기 한 쌍의 가이드(30)를 상면 양측에 고정시키고, 자체는 바디(100)의 상부면 중앙에 체결되어, 상기 로딩장치(50)에 의하여 밀려온 재료지(P)를 안착시키는 하금형(60A);
상기 하금형(60A)에 안착된 상기 재료지(P)의 모서리를 가열하는 가열장치(70); 및
상기 하금형(60A) 방향으로 하강하고, 상기 하금형에 안착된 상기 재료지(P)를 압착하여, 상기 가열된 모서리들을 중첩시키는 컬럼(110)에 결합된 상금형(60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재료지는 종이에 PE코팅된 것으로써, 인체에 무해한 재료를 사용한다. 그리고 재료지는 도 2e에서와 같이, 사귀부를 절개하여서된 것이다.
상기에서, 재료지 적재장치(10)는; 도 1 및 도 2a에서와 같이,
재료지(P)의 평면형태를 포함하는 개구(11)를 갖는 플레이트(12)와,
상기 플레이트(12)의 대각선 방향의 양측 상부면 각각에 나사결합되는 볼트(13)에 관통되는 장공(14)을 갖고, 상기 재료지(P)의 모서리 양쪽단에 접촉되어 적층된 재료지(P)를 정위치로 세팅시키는 한 쌍의 봉(15)을 설치한 한 쌍의 수직 가이더(16)와,
상기 개구(11)의 안쪽 가장자리로 돌출되어 재료지(P)를 받침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탄성받침편(17); 및
상기 플레이트(12)에는 상기 적층된 재료지(P)의 하부로 향하는 에어 분사 노즐(18)을 구비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도 2a 및 도 2b에서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가이드(30) 후방 쪽으로는 로딩되는 재료지(P)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드(32)를 가지고, 이 가드의 끝단에는 로딩되는 재료지의 정확한 위치고정을 위한 스톱퍼(33)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가이드(30)로 재료지(P)를 안착시키는 재료지 하강장치(40)는; 도 1 및 도 2a에서와 같이,
상기 개구(11) 하부에서 승강되는 에어 흡입반(41)을 가지는 암(42)이 실린더(43)에 의해 승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가이드(30)에 안착된 재료지(P)를 하금형(60A)으로 이동시키는 재료지 로딩장치(50)는, 도 1 및 도 2b에서와 같이, 가이드에 안착된 재료지의 일측면을 접촉하여 미는 푸셔(51)를 가지는 로드(52)를 구비한 실린더(53)로 로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하금형(60A)은 도 2c에서와 같이, 단면이 상협하광의 경사부 구조를 가지는 함체형의 베이스(61) 바닥 중앙의 구멍(62)을 통하여 하부로부터 상부로 걸림되게 관통시켜서 스프링(63)을 삽입탄설한 머리부(64)를 갖는 봉(65) 상단에 바닥판(66)을 고정해서 되고,
상금형(60B)은 상기 함체형의 베이스(61)내에 맞게 삽입되는 상광하협상의 경사부를 갖는 수금형(67)으로 형성되어 실린더(S)의 작동으로 승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금형(60B)의 양측에는 하금형(60A)에 하강되어 접시로 성형된 제품이 관성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컬럼(110)의 저면에 고정되는 로드봉(68)의 하단에 앵글형 누름발(69)을 더 포함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하금형(60A)에 안착된 재료지(P)의 모서리들을 가열하는 가열장치(70)는, 도 3에서와 같이 하금형을 고정한 바디(100)의 상부 양측으로 관통시켜서 고정된 상부가 막힌 파이프(71)의 상부에 각각 4개씩의 가는 파이프(72)로 분지되고, 상기 파이프(71)의 내부에는 히터(73)가 설치되고, 이 히터가 설치된 파이프(71) 하부로 바람을 불어 넣어주는 블로워(75)를 연결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하금형(60A)의 후방으로는 도 1 및 도 2d에서와 같이, 경사 슈트(81)가 부착 설치되고, 그 경사 슈트의 하부에는 접시로 제조된 완성품을 적층하는 상자(82)가 설치되며, 그 상자의 하부 플레이트(83)는 실린더에 연동되어 개폐되게 형성된 제품 적층 배출장치를 더 포함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작용을 적층된 재료지로부터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접시로 성형되는 과정을 따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재료지 적재장치(10)에 적층 안착된 재료지(P)는 적어도 대각선 방향으로 플레이트(12)에 볼트(13)에 의해 세워 설치된 한 쌍의 수직가이더(16)에 의해 정 위치로 세팅되어 있다. 그 원리는 대체로 사각평면을 갖는 재료지의 대각선 방향의 모서리부 양측 연단을 수직가이더(16)의 봉(15)에 연접되어 있으며, 이는 볼트(13)를 풀고 장공(14)을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전후진 가이드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는 재료지의 정확한 위치세팅뿐만 아니라 용량이 다른 접시를 제조하기 위해 조절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용량이 너무 커져서 재료지의 평면적이 플레이트(12)의 개구(11)내에 포함되지 않을 때에는, 포함하는 크기의 개구를 갖는 다른 플레이트를 간단히 교체 조립할 수 있다. 이는 상기한 플레이트(12)가 지주(20)에 나사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손쉽게 가능하다.
한편 탄성 받침편(17)은 재료지를 받침하는 기능과, 재료지(P)를 일정의 힘으로 잡아당기면, 재료지 자체의 탄성과 받침편(17)의 탄성으로 종이를 하부로 한 장씩 인출할 수 있도록 된다.
그리고 에어분사노즐(18)은 적층된 재료지(P)가 정전기 현상 등으로 복수 장씩 딸려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2a에서와 같이, 재료지 하강장치(40)의 실린더(43)의 로딩에 따라 암(42)에 결합된 흡입반(41)이 상승하여 적층된 재료지(P)의 하부면에 접촉되면서 도시되지 않은 에어컴프레셔에 의한 흡입력으로 부착되고, 상기 실린더(43)의 언로딩에 따라 최하부 층에 적재된 재료지(P)가 재료지 자체의 탄성과 받침편(17)의 탄성으로 하부로 한 장이 인출된다.
이렇게 하강되는 재료지(P)는 에어 흡입력이 해제되고, 한 쌍의 가이드(30)사이의 안내턱(31)에 안착된다.
이후 도 2b에서와 같이, 재료지 로딩장치(50)의 실린더(53)가 로딩됨에 따라로드(52)단의 푸셔(51)가 가이드(30)에 안착된 재료지(P)의 후단을 밀어주면서 전방으로 안내 전진한다. 이때 가이드(30)의 전방에는 가드(32)가 있어서 전진 안내되는 재료지(P)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이때 이 가드(32)는 다양하게 설치가능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비용이 적게 들면서 효과적인 방법으로 철심을 이용하여 설치했다. 물론 상기한 푸셔(51) 역시 한 쌍의 철심을 이용하여 그 끝단을 절곡하여 구성한 것으로, 본 발명이 꼭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만은 아니다.
상기한 가드(32)의 철심은 전방에 후방으로 갈수록 완만한 경사를 가지게 설치되어 최종적으로 재료지가 하금형 상에 위치해서는 적당한 탄력으로 재료지를 붙잡아 주는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30)의 끝단의 스톱퍼(33)가 하금형 상의 정위치에 서도록 정지시킨다.
이때 도 2c에서와 같이, 가열장치(70)의 양측의 8개 파이프(72)는 하금형 상에 세팅된 재료지의 네모서리 면의 상하 면을 향하도록 되어있다.
이렇게 세팅된 재료지의 네모서리에 열풍이 가해지면서 코팅된 PE가 녹으면서 가압에 의해 부착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는 파이프(71)내에 설치된 히터(73)가 가열된 상태에서 블로워(75)가 불어주는 것에 의해 열풍이 가는 파이프(72)를 통해 분사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후 실린더(S)의 로딩에 따라 상금형(60B)의 수금형(67)이 하강되면서 하금형(60A)의 바닥판(66) 상면에 놓여진 재료지(P)를 가압한다. 이에 따라 하금형(60A)의 바닥판(66)이 스프링(63)을 압축시키면서 봉(65)이 베이스(61)의 구멍(62)을 통하여 하강된다. 따라서 함체형의 베이스(61)와 수금형(67)의 경사면에에 의해 재료지(P) 네모서리부의 절개된 부분이 중첩되면서 접시 모양을 갖추어 가면서 최종에는 그 경사면 사이에 재료지가 협지되어서 가압됨에 따라 모서리부에서 열풍에 의해 녹은 PE가 붙는다. 이후 실린더(S)가 언로딩 상승되면서 성형된 접시가 스프링(63)의 복귀력에 의해 상부로 올라온다. 이때 상기 스프링의 탄성 및 관성에 따라 종이 접시가 이탈되는 것을, 상금형(60B)의 양측에 부착 설치된 누름발(68)에 의해 저지시킨다.
이후 상기한 작용 설명에 따른 반복 작동이 계속되고, 다음 재료지(P)가 푸셔(51)에 의해 밀려들어오면서 상기한 먼저 만들어진 접시를 밀어내는 것이다.
이 접시는 하금형(60A) 후방의 슈트(81)를 통하여 상자(82)에 차곡차곡 쌓이고, 일정 단위로 적층된 완성 접시는 하부플레이트(83)가 실린더에 의해 언로딩됨에 따라 하부가 개방되는 상자(82)의 저면을 통해 낙하되어서 완성된다. 물론 이 하부로 낙하되는 일정 매수의 포장접시는 여러대의 접시 성형기를 라인화 한 컨베이어 상부에 떨어지게 하여 한 곳으로 집결하게 함으로써, 완전한 자동화 작업이 가능해 지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위생적으로 PE코팅된 재료지를 이용하여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완전 자동화하여 대량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재료지(P)를 적층하는 재료지 적재장치(10);
    상기 재료지 적재장치(10)와 지주(20)로 연결 고정되는 하부에, 일정 길이를 가지면서 안내턱(31)을 구비한 좌우 한 쌍의 가이드(30);
    안착된 재료지의 최 하부층에 한 장을 하강시켜서 상기 가이드에 안착시키는 재료지 하강장치(40);
    상기 가이드에 안착된 재료지(P)의 한쪽 측면을 밀어서 수평 이동시키는 로딩장치(50);
    상기 한 쌍의 가이드(30)를 상면 양측에 고정시키고, 자체는 바디(100)의 상부면 중앙에 체결되어, 상기 로딩장치(50)에 의하여 밀려온 재료지(P)를 안착시키는 하금형(60A);
    상기 하금형(60A)에 안착된 상기 재료지(P)의 모서리를 가열하는 가열장치 (70); 및
    상기 하금형에 안착된 상기 재료지(P)를 압착하여, 상기 가열된 모서리들을 중첩시키는 컬럼(110)에 결합된 상금형(60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종이 접시 성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재료지 적재장치(10)는;
    재료지(P)의 평면형태를 포함하는 개구(11)를 갖는 플레이트(12)와,
    상기 플레이트(12)의 대각선 방향의 양측 상부면 각각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13)에 관통되는 장공(14)을 갖고, 상기 재료지(P)의 모서리 양쪽단에 접촉되어 적층된 재료지(P)를 정위치로 세팅시키는 한 쌍의 봉(15)을 설치한 한 쌍의 수직 가이더(16)와,
    상기 개구(11)의 안쪽 가장자리로 돌출되어 재료지(P)를 받침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탄성 받침편(17); 및
    상기 플레이트(12)에는 상기 적층된 재료지(P)의 하부로 향하는 에어 분사 노즐(18)을 구비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종이 접시 성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한 쌍의 가이드(30) 후방쪽으로는 로딩되는 재료지(P)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드(32)를 가지고, 이 가드의 끝단에는 로딩되는 재료지의 정확한 위치 고정을 위한 스톱퍼(33)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 종이 접시 성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가이드(30)로 재료지(P)를 안착시키는 재료지 하강장치 (40)는;
    상기 개구(11) 하부에서 승강되는 에어 흡입반(41)을 가지는 암(42)이 실린더(43)에 의해 승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종이 접시 성형기.
  5. 제 1 항에 있어서, 가이드(30)에 안착된 재료지(P)를 하금형(60A)으로 이동시키는 재료지 로딩장치(50)는;
    가이드에 안착된 재료지의 일측면을 접촉하여 미는 푸셔(51)를 가지는 로드(52)를 구비한 실린더(53)로 로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종이 접시 성형기.
  6. 제 1 항에 있어서, 하금형(60A)은 단면이 상협하광의 경사부 구조를 가지는 함체형의 베이스(61) 바닥 중앙의 구멍(62)을 통하여 하부로부터 상부로 걸림되게 관통시켜서 스프링(63)을 삽입 탄설한 머리부(64)를 갖는 봉(65) 상단에 바닥판 (66)을 고정해서 되고,
    상금형(60B)은 상기 함체형의 베이스(61)내에 맞게 삽입되는 상광하협상의 경사부를 갖는 수금형(67)으로 형성되어 실린더(S)의 작동으로 승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종이 접시 성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금형(60B)의 양측에는 하금형(60A)에 하강되어 접시로 성형된 제품이 관성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컬럼(110)의 저 면에 고정되는 로드봉(68)의 하단에 앵글형 누름발(69)을 더 포함한 특징으로 한 종이 접시 성형기.
  8. 제 1 항에 있어서, 하금형(60A)에 안착된 재료지(P)의 모서리들을 가열하는 가열장치(70)는;
    하금형을 고정한 바디(100)의 상부 양측으로 관통시켜서 고정된 상부가 막힌파이프(71)의 상부에 각각 4개씩의 가는 파이프(72)로 분지되고, 상기 파이프(71)의 내부에는 히터(73)가 설치되고, 이 히터가 설치된 파이프(71) 하부로 바람을 불어 넣어주는 블로워(75)를 연결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종이 접시 성형기.
  9. 제 1 항에 있어서, 하금형(60A)의 후방으로는 경사 슈트(81)가 부착 설치되고, 그 경사 슈트의 하부에는 접시로 제조된 완성품을 적층하는 상자(82)가 설치되며 그 상자의 하부 플레이트(83)는 실린더에 연동되어 개폐되게 형성된 제품 적층 배출장치를 더 포함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종이 접시 성형기.
KR10-2002-0062450A 2002-10-14 2002-10-14 종이 접시 성형기 KR100460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450A KR100460314B1 (ko) 2002-10-14 2002-10-14 종이 접시 성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450A KR100460314B1 (ko) 2002-10-14 2002-10-14 종이 접시 성형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0567U Division KR200300770Y1 (ko) 2002-10-14 2002-10-14 종이 접시 성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385A KR20040033385A (ko) 2004-04-28
KR100460314B1 true KR100460314B1 (ko) 2004-12-08

Family

ID=37332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2450A KR100460314B1 (ko) 2002-10-14 2002-10-14 종이 접시 성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03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37994A (zh) * 2018-10-13 2020-04-21 环县海明农技科研有限公司 福纸盘粘压机
KR102172859B1 (ko) * 2018-12-27 2020-11-02 김익성 종이상자 성형기계
KR102201339B1 (ko) * 2018-12-27 2021-01-08 김익성 종이상자 제조 시스템
KR102172874B1 (ko) * 2019-01-07 2020-11-02 김익성 종이용기 성형기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508Y1 (en) * 1984-05-17 1986-04-07 Shin Myong Bom Device for the preparation of paper dish
JPH0811246A (ja) * 1994-07-04 1996-01-16 Okabe Eng Kk 紙シ−トとパルプ繊維シ−トを素材とする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80068181U (ko) * 1997-05-30 1998-12-05 이우호 제과용 포장용기 제조장치
KR200210086Y1 (ko) * 2000-07-27 2001-01-15 김성진 주름용기 제조장치
KR20010107466A (ko) * 2000-05-29 2001-12-07 신문현 기판의 자동 로딩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508Y1 (en) * 1984-05-17 1986-04-07 Shin Myong Bom Device for the preparation of paper dish
JPH0811246A (ja) * 1994-07-04 1996-01-16 Okabe Eng Kk 紙シ−トとパルプ繊維シ−トを素材とする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80068181U (ko) * 1997-05-30 1998-12-05 이우호 제과용 포장용기 제조장치
KR20010107466A (ko) * 2000-05-29 2001-12-07 신문현 기판의 자동 로딩장치
KR200210086Y1 (ko) * 2000-07-27 2001-01-15 김성진 주름용기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385A (ko) 200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16120A1 (zh) 往复式泡棉热贴机
JPH01101840A (ja) 食物パツテイー成形機用紙差込機
JPS5854666B2 (ja) フランジ付きトレイを組立てるための方法法
CN109334211B (zh) 一种底托板覆膜装置
KR20160042074A (ko) 판지 패키징 절단체 상에 보강부를 체결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및 대응 패키징
KR100460314B1 (ko) 종이 접시 성형기
US6643992B2 (en) Process and machine for fastening objects into a box having a square or rectangular cross-section
KR200300770Y1 (ko) 종이 접시 성형기
KR102201339B1 (ko) 종이상자 제조 시스템
JPH02502176A (ja) 繊維質断熱バット包装機械
JP2002240808A (ja) 食品トレー等の自動袋詰装置
JP3609625B2 (ja) 合成樹脂シートを成形して裁断する成形品の製造装置
CN216072153U (zh) 一种用于摄像头模组自动摆盘装置
CN212244039U (zh) 包装袋开袋套袋设备
JP3341059B2 (ja) トレーカップの自動供給装置
CN210651841U (zh) 一种吸塑托盘成型裁切一体机
CN210592739U (zh) 一种全自动包装盒封底机
CN210655284U (zh) 一种吸塑盘不停机供料装置
JP3512363B2 (ja) プラスチック製成形シートの裁断装置
JPS6240188B2 (ko)
JP4131462B2 (ja) 袋詰め品のカップ投入方法、及びその装置
EP0093480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vacuum packaging
JP2959454B2 (ja) 食材積載用トレイ
CN216709774U (zh) 一种自动化装箱机
CN216072072U (zh) 一种用于摄像头模组自动摆盘装置的料盘存储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