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8379B1 - 론 모우어 - Google Patents

론 모우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8379B1
KR100458379B1 KR10-2002-0060045A KR20020060045A KR100458379B1 KR 100458379 B1 KR100458379 B1 KR 100458379B1 KR 20020060045 A KR20020060045 A KR 20020060045A KR 100458379 B1 KR100458379 B1 KR 100458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deck
air
grass
opening
cutt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0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9020A (ko
Inventor
이이다테츠오
코바야시타카오
하세이쇼지
시마다켄조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9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9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3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3/00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 A01D43/06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with means for collecting, gathering or loading mown material
    • A01D43/063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with means for collecting, gathering or loading mown material in or into a container carried by the mower; Contain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with means for discharging mown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 A01D34/826Noise reduc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101/00Lawn-m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론 모우어에 있어서, 공기를 커터데크로 복귀시키기 위한 압력차를 충분히 생성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압력손실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커터데크에 내재하는 절단날을 구동원으로 회전시켜 풀을 자르고, 잘려진 풀은 반송풍과 함께 풀반송통로를 통해 그래스 백에 반송되어 수집되며, 그래스 백으로부터 공기만을 공기복귀통로를 경유시켜 커터데크로 복귀시키는 론 모우어가 제공되는데, 이러한 론 모우어에 있어서 공기복귀통로는 커터데크의 상부면에, 그리고 커터데크측 개구는 절단날의 에어리프트부의 회전범위에 면하도록 형성되며, 이때 절단날의 회전에 의해 생성되는 선회류를 이용하여 커터데크측 개구로부터 커터데크 내부로 공기를 흡인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그래스 백으로부터 커터데크로의 능률적인 공기순환이 가능하며, 그 결과 론 모우어의 소음이 저감되고 먼지발생이 억제되는 효과가 생긴다.

Description

론 모우어{LAWN MOWER}
본 발명은 론 모우어(잔디 깎는 기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잘려진 풀들이 반송풍에 의해 반송통로를 경유하여 그래스 백에 반송되고, 공기는 그래스 백으로부터 커터 데크(CUTTER DECK)로 신장하는 공기복귀통로를 경유하여 모우어 바디의 커터데크 내부로 다시 복귀되는 배기순환식 론모우어에 관한 것이다.
배기순환식 론모우에 관해서는, 예를 들어 일본국 실개소63-66423호 공보에는 "예초기의 분진 비산 방지구조"가 그리고 일본국 실개소63-71622호 공보에는 "예초기에서의 집초(集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실개소63-66423호 공보의 예초기는 절단날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공기를 흡인하는 것에 의해 기류를 생성하여, 이 기류에 의해 절단날로 잘려진 풀을 캐처(catcher)로 배출하고, 캐처로부터 절단날 케이스로 다시 공기를 순환시키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이 예초기는 절단날 케이스의 중앙부로 공기를 복귀시키는 구조를가지고, 절단날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재는 절단날 케이스의 중앙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구동부재의 주위로 우회통로를 형성하거나, 공기의 누출을 막아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구조가 복잡해진다.
일본국 실개소63-71622호 공보의 예초기는 절단부의 배초구(排草口)와 그래스 백의 취입구(取入口)를 풀 반송통로로 연결하고, 그래스 백 및 절단부를 공기통로 B로 연결함에 의해서 공기순환로를 형성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이 예초기의 집초장치는 절단부(5)의 후방으로 공기를 복귀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절단부로 복귀되는 공기를 직각으로 굴곡시켜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은 압력의 손실을 야기한다. 나아가, 집초장치는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소음이 크고 먼지가 방출된다.
이와 관련하여 공기를 커터데크 내부로 복귀시키기 위한 충분한 압력차가 생성가능하고, 압력손실이 저감될 수 있는 론 모우어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를 커터데크로 복귀시키기 위한 압력차를 충분히 생성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압력손실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론 모우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2-2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3번 화살표 방향에서 본 론 모우어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커터데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5-5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6-6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고;
도 7a 및 7b는 커터데크 와 그래스 백 사이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도 7a는 론 모우어의 측면에서 본 공기의 흐름을, 도 7b는 론 모우어의 저면에서 본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터데크 측 개구의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터데크 측 개구의 측단면도이고;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터데크측 개구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의 설명*
10: 론 모우어 11: 바디
13: 엔진(구동원) 14: 절단날
24: 그래스 백 28: 회전축
32: 풀반송통로 33: 공기복귀통로
35, 51, 52, 53: 커터데크측 개구 36: 그래스 백측 개구
39: 에어리프트부 42: 통기성 격벽
43: 상실(上室) 44: 하실(下室)
본 발명에 따르면,
모우어 바디; 모우어 바디에 장착되는 구동원;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절단날, 절단날의 절단부 반대쪽에는 에어리프트부를 가지며; 및 모우어 바디의 후방에설비되며 절단날에 의해 잘려진 풀을 수납하기 위한 그래스 백을 포함하는 론모우어로서,
상기 모우어바디는;
절단날을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커터데크; 절단날에 의해 잘려진 풀을 그래스 백으로 유도하는 풀반송통로; 및 그래스 백으로부터 공기만을 커터데크로 유도하는 공기복귀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복귀통로는 커터데크의 상부면상에 형성되며, 공기복귀통로의 커터데크측 개구는 에어리프트의 회전범위와 면(面)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론모우어가 제공된다.
그래스 백 내부의 공기를 커터데크로 복귀시키기 위해서는 그래스 백과 커터데크 사이의 유효 압력차가 요구된다. 본 발명에서 공기복귀통로는 커터데크의 상부 내면에 형성되고, 공기복귀통로의 커터데크 측 개구는 절단날의 에어리프트의 회전범위와 대면했으므로, 복귀된 공기는 절단날의 회전에 따른 선회류를 통해 커터데크 측 개구로부터 커터데크의 내부로 흡인된다. 이를 통해 그래스 백으로부터 커터 데크 내부로의 효율적인 공기순환이 가능하고, 그 결과 론모우어의 소음이 저감되고 먼저의 발생도 억제된다.
본 발명의 커터데크 측 개구는 개구로부터 분출되는 공기가 절단날의 회전에 의해 생성되는 커터데크내부의 기류와 일치되는 방향을 지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커터데크 내부에서 생성된 기류에의 역류를 방지해 줌으로써, 커터데크 내부의 원활한 공기흐름을 가져온다.
또한, 커터데크측 개구를, 절단날의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풀 반송통로의 반대측에 배치함으로써, 공기복귀통로에서의 압력손실이 저감된다.
공기복귀통로의 그래스 백측 개구는 상방을 향하도록 열려 있다. 이는 잘려진 풀과 반송공기와의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그래스 백에 풀반송통로와 공기복귀통로와를 구분하는 통기성 격벽을 형성하여 그래스 백을 상하 2실로 분리하고, 상실은 공기복귀통로와 접속하고, 하실은 풀반송통로와 접속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통풍격벽을 형성하여 그래스 백을 상실과 하실로 나눔으로써 잘려진 풀이 공기보다 무거워 상실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잘려진 풀이 걸러진 공기만이 커터데크 내부로 복귀된다.
본 발명에서 커터데크측 개구는 커터데크쪽으로 돌출되지 않게 형성되거나, 혹은 절단되어 상방으로 굽혀 세워진 전단 및 절단되어 하방으로 굽혀 세워진 후단을 가질 수 있으며, 개구의 중점의 앞부분은 잘려져 하방으로 굽혀 세워지고, 중점의 뒷부분은 상방으로 굽혀 세워짐으로써 형성되는 두 개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2에서 보면, 본 실시예의 론 모우어(10)는 절단날(14)을 회전시키고 후륜(17)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으로써의 엔진(13)을 가지는 자주식(self-propelled) 론 모우어이다. 엔진(13)은 모우어 바디(11)에 장착된다. 헤드커버(27)는 엔진(13)의 상부에 부착된다. 절단날(14)은 엔진(13)의 출력축인 회전축(28)에 부착된다. 절단날(14)의 회전은 커터레버(25)에 의해 제어된다. 작업자는 핸들(22)을 파지하고 속도변환레버(26)를 조작하여 예초작업을 수행한다. 절단날(14)의 회전에 의해 잘려진 풀은 그래스 백(24)으로 반송된다.
참조번호 15는 전륜을 나타내며, 16은 전단 높이조절기구, 18은 후단 높이조절기구를 나타낸다. 그래스커버(23)는 모우어바디(11)와 그래스 백(24)의 사이에 장착되어 잘려진 풀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 론 모우어(1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잘려진 풀을 그래스 백(24)으로 반송한 후 그래스 백의 내부 공기를 모우어바디(11)의 커터데크(12)로 다시 복귀시키는 배기순환식 론 모우어이다. 상세한 것은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우어바디(11)는 커터데크(12), 풀반송통로(32) 및 공기복귀통로(33)를 가진다. 커터데크(12)는 절단날(14)을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한다. 풀반송통로(32)는 커터데크(12)의 후방으로부터 신장하며, 잘려진 풀들이 반송풍에 의해 그래스 백(24)으로 반송되도록 유도한다. 공기복귀통로(33)는 잘려진 풀들은 그래스 백(24)의 내부에 남기고 공기만을 커터데크(12) 내부로 유도한다.
풀반송통로(32)는 모우어 바디(11)의 후방에, 그리고 모우어 바디(11)의 횡축의 좌 또는 우의 어느 일측에 형성된다.
공기복귀통로(33)는 커터데크(12)의 내부와 접속하는 복수의 커터데크측 개구(35)와 그래스 백(24)과 접속하는 그래스 백측 개구(36)를 가진다. 커터데크측 개구(35)는 커터데크(12)의 상부에 형성되며 절단날(14)의 에어리프트부(39, 39)의 회전범위와 면하고 있다.
그래스 백측 개구(36)는 상방을 향해 열려 있다. 공기는 가볍고 잘려진 풀들은 공기 보다 무겁다. 그래서 공기복귀통로의 그래스 백측 개구(36)가 상방을 향해 열려 있으므로 잘려진 풀들과 공기를 분리하기가 용이하다.
절단날(14)은 회전방향에 대해 앞쪽에 절단부(38, 38 도 3 참조)를, 그리고 회전방향에 대해 뒤쪽에는 절단부(38, 38)로부터 상방으로 만곡되어 형성된 에어리프트부(airlifts 39, 39)를 가진다.
절단날(14)이 회전되면, 에어리프트부(39, 39)의 하면에 생성되는 부압(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이 지표의 풀들을 일으키게 되고, 이 풀들은 절단부(38, 38)에 의해 잘리게 된다. 잘려진 풀들은 에어리프트부(39, 39)의 상면에 부딪히고, 절단날(14)의 회전으로 생성된 선회류에 실려, 반송풍과 함께 그래스 백(24)에 반송된다.
그래스 백(24)은 통기성을 줄인 본체부(41), 본체부(41)의 내부를 상부와 하부로 구분하는 통기성 격벽(42) 및 이 통기성 격벽(42)에 의해 구분되는 상실(43)과 하실(44)을 가진다. 공기복귀통로(33)의 그래스 백측 개구(36)는 상실(43)과 접속된다. 풀반송통로(32)의 출구는 하실(44)과 접속된다. 다시 말해, 그래스 백(24)은 풀반송통로(32) 및 공기복귀통로(33)를 구분하는 통기성 격벽(42)에 의해 상실과 하실로 나뉘어진다.
통기성 격벽(42)은 잘려진 풀들과 공기를 분리 가능한 필터이며, 하실(44)에 잘려진 풀들을 모으고, 상실(43)로는 공기만을 통과시키는 부재이다. 따라서, 잘려진 풀들과 공기의 완전한 분리가 이루어지며, 잘려진 풀들이 제거된 공기만이 커터데크(12)의 내부로 복귀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복귀통로(33)의 커터데크측 개구(35)는 절단날(14)의 에어리프트부(39, 39)의 회전범위와 면하게 된다. 절단날(14)의 회전방향은 화살표 a로 표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이다. 즉, 커터데크측 개구(35)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절단날의 회전방향과 일치하게 된다. 커터데크측 개구(35)는 회전축(28)을 지나는 길이 방향의 기체중심선 C를 사이에 두고 풀반송통로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공기복귀통로(33)는 커터데크(12)의 상부 내면에 형성된다. 또한 공기복귀통로(33)의 커터데크측 개구(35)는 절단날(14)의 에어리프트부(39, 39)의 회전범위와 면하도록 형성된다.
그래스 백(24)(도 2 참조) 내부의 공기를 커터데크(12)의 내부로 효과적으로 복귀시키기 위해서는 그래스 백(24)과 커터데크(12)사이에 유효한 압력차가 요구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복귀통로(33)는 커터데크(12)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고, 공기 복귀통로(33)의 커터데크측 개구(35)는 절단날(14)의 에어리프트부(39)의 회전범위와 면하고 있다. 복귀된 공기는 절단날(14)의 회전에 따른 선회류에 의해 발생된 부압을 이용하여 커터데크측 개구(35)로부터 커터데크(12)의 내부로 흡인된다. 이는 그래스 백(24, 도2 참조)으로부터 커터데크(12) 내부로의 능률적인 공기순환을 가능케 하여 결과적으로 소음과 먼지의 발생을 저감시킨다.
또한, 공기복귀통로(33)의 커터데크측 개구(35)를 절단날(14)의 에어리프트부(39)의 회전범위와 면하게 함으로써 공기가 커터데크(12)의 중앙부로 복귀하는 경우에 비하여 능률적인 공기순환을 위한 구조를 간단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6은 커터데크측 개구(35)로부터 커터데크(12)내부로 흡인되는 공기의 모습을 나타낸다.
절단날(14)을 화살표 a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커터데크(12)의 내부에는 화살표 b, b와 같은 선회류가 생성된다. 선회류는 벤츄리관(venturi tube)에서 처럼 화살표 c로 표시된 바와 같이 커터데크측 개구(35)로부터 커터데크(12)의 내부로 공기를 흡인한다.
참조번호 P3는 절단날(14)의 회전에 의해 에어리프트부(39)의 하단에 형성되는 부압(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지역을 나타낸다.
커터데크(12)의 내부에서 선회류에 의해 부압이 생성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개구부 P{커터데크측 개구(35)}를 일정한 속도를 가지는 선회류와 평행하게 설비함으로써 분무기(또는 벤츄리관)에서와 같이 선회류에로 공기가 흡인된다. 이러한 이유로 개구부{커터데크측 개구(35)}에는 부압이 생성된다.
"일정한 속도를 가지는 선회류에 대해 평행한 개구부는 고정된 상태"에 있다. 이러한 관계는 "선회류를 고정시킨 것으로 보고, 개구부를 선회류와 역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와 동일하다고도 말할 수 있다. 이 상태는 "회전중의 절단날(14)의 에어리프트부(39)의 하면의 상태(부압지역 P3이 형성된다)에 극히 유사하다. 따라서, 선회류에 대해 고정된 개구부{커터데크측 개구(35)}에 큰 부압이생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론 모우어(10)에서의 공기의 흐름이 도 7a 및 7b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도 7a에서, 절단날(14)이 회전하면 에어리프트부(39)의 하면에는 먼저 부압(부압지역 P3)이 생성된다. 부압은 지표의 풀을 일으켜 세운다. 절단부(38, 38)는 풀을 자른다. 잘려진 풀(G)은 에어리프트부(39, 39)의 상면에 부딪히고, 절단날(14)의 회전에 의해 유도된 선회류에 실려 반송풍과 함께 그래스 백(24)으로 반송된다.
반송풍에 의해 그래스 백(24)의 내부는 언제나 정압(대기압보다 큰 압력)이 된다. 선회류에 의해 공기 복귀통로(33)의 커터데크측 개구(35)의 근방은 부압이 된다. 여기에서 그래스 백(24)의 내부의 압력을 P1, 공기복귀 통로(33)의 커터데크측 개구(35) 근방의 압력을 P2라 하면, P1>P2가 된다. 따라서, 능률적인 공기순환을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공기순환을 순서대로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절단날(14)의 회전에 의해 생성된 선회류는 잘려진 풀(G)을 반송풍과 함께, 화살표 ①로 도시된 바와 같이, 풀 반송통로(32)로부터 그래스 백(24)의 하실(44)로 반송한다. 잘려진 풀(G)은, 화살표 ②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그래스 백(24)의 하실(44)에 쌓인다. 통기성 격벽(42)에 의해 먼지 등이 제거된 공기는, 화살표 ③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실(44)로부터 상실(43)로 보내어진다. 공기는, 화살표 ④로 표시된 바와 같이, 그래스 백(24)의 상실(43)로부터 공기복귀통로(33)로 복귀된다. 이 공기는, 화살표 ⑤로 표시된 바와 같이, 공기복귀통로(33)의 커터데크측 개구(35)로부터 커터데크(12)의 내부로 복귀된다. 이처럼 공기가 화살표 ① 내지 ⑤와 같이 순환하므로, 예초 작업중의 소음과 먼지의 발생이 저감된다. 그 결과 작업자 보호 및 주변환경의 보전이 가능해 진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날(14)의 회전에 의해 커터데크(12)의 내부에는 화살표 ⑥으로 도시되는 선회류가 생성되며, 잘려진 풀은 풀반송통로(32)를 통하여, 화살표 ⑦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반송풍과 함께 그래스 백(24)으로 반송된다. 복귀된 공기는, 화살표 ⑧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기 복귀통로(33)의 커터데크측 개구(35)로부터 커터데크(12)의 내부로 흡인된다.
즉, 커터데크측 개구(35)는 이 개구(35)로부터 분출되는 공기가 커터데크(12) 내부에서의 공기의 흐름(선회류)과 일치되도록 지향된다. 이와 같이, 개구(35)로부터 분출하는 공기는 커터데크(12) 내부에서 회전에 의해 생성되는 공기의 흐름에 거스르지 않으므로 커터데크(12)의 내부에는 원활한 공기의 흐름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개구(35)는 커터데크(12) 내부에서의 공기 흐름을 따르는 방향으로 오픈(open)되어 있으며, 절단날(14)의 회전축(28)을 사이에 두고 풀반송통로(32)의 역측에 배치된다. 그 결과, 공기복귀통로(33)에서의 압력손실 저감을 가져오는 원활한 공기의 흐름이 얻어진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의 커터데크측 개구(35)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의 커터데크측 개구(51)는 절단 후 공기 복귀통로 쪽으로 굽혀 세워져 형성되며,커터데크(12)의 내부로의 돌출이 방지된다. 그 결과, 커터데크(12) 내부의 공간 효율이 향상된다. A1은 절단날(14)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며, A2는 선회류, A3는 복귀 기류를 나타낸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의 커터데크측 개구(52)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의 커터데크측 개구(52)는 절단 후 상방으로 굽혀 세워진 개구전단(52a) 및 절단 후 하방으로 굽혀 세워진 개구후단(52b)을 가진다. B1은 절단날(14)의 회전방향, B2는 선회류, B3는 복귀 기류를 나타낸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의 커터데크측 개구(53)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의 커터데크측 개구(53)는 두 개의 개구를 가지는데, 개구 중점의 앞부분인 전측개구(53a)는 절단 후 하방으로 굽혀 세워지고, 개구 중점의 뒷부분인 후측개구(53b)는 절단후 상방으로 굽혀 세워진다. C1은 절단날(14)의 회전방향, C2는 선회류, C3는 복귀 기류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공기복귀통로(33)는 저면에서 보았을 때, 기체중심선 C에 대해 좌측에 배치되고, 풀 반송통로(32)는 기체중심선 C에 대해 우측에 배치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배치로 한정되는 아니며, 따라서 풀반송통로(32) 및 공기복귀통로(33)는 서로 좌우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복귀통로는 커터데크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고, 공기복귀통로의 커터데크측 개구는 절단날의 에어리프트부의 회전범위와 면하고 있어, 복귀된 공기는 절단날의 회전에 따른 선회류에 의해 발생된 부압을 이용하여 커터데크측 개구로부터 커터데크의 내부로 흡인되기 때문에, 그래스 백으로부터 커터데크 내부로의 능률적인 공기순환이 가능하여 결과적으로 소음과 먼지의 발생이 저감된다.
또한, 커터데크측 개구로부터 분출하는 공기는 커터데크 내부에서 절단날의 회전에 의해 생성되는 공기의 흐름에 거스르지 않으므로 커터데크의 내부에는 원활한 공기의 흐름이 실현되며,
게다가, 커터 데크측 개구는 절단날의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공기복귀통로의 반대측에 형성되므로, 공기복귀통로의 급격한 방향변환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여, 그 결과 공기복귀통로에서의 압력손실은 감소된다.
또한, 공기복귀통로의 그라스 백측 개구를 상방향으로 하여 잘린 풀과 반송풍을 쉽게 분리되도록 하였으며,
공기복귀통로를 분할하는 통기성 격벽은 잘린 풀과 공기를 완전히 분리하여 공기만을 커터데크로 복귀시키게 된다.

Claims (8)

  1. i)모우어 바디(11);
    ii)상기 모우어 바디에 장착되는 구동원(13);
    iii)상기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절단날(14), 상기 절단날의 절단부(38, 38)의 반대쪽에는 에어리프트부(39, 39)를 가지며; 및
    iv)상기 모우어 바디의 후방에 설비되며 상기 절단날에 의해 잘려진 풀을 수납하기 위한 그래스 백(24)을 포함하는 론모우어로서,
    상기 모우어바디는;
    a)상기 절단날(14)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커터데크(12);
    b)상기 절단날(14)에 의해 잘려진 풀을 상기 그래스 백(24)으로 유도하기 위한 풀 반송 통로(32); 및
    c)상기 그래스 백(24)으로부터 공기만을 상기 커터데크(12) 내부로 유도하기 위한 공기복귀통로(33)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복귀통로(33)는 상기 커터데크(12)의 상부면상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복귀통로의 커터데크측 개구(35)는 상기 에어리프트부(39, 39)의 회전범위와 면(面)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론 모우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데크측 개구(35)는 상기 개구(35)로부터 분출되는 공기가 상기 절단날(14)의 회전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커터데크(12) 내부에서의 공기의 흐름과 일치되도록 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론 모우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데크측 개구(35)는 상기 절단날(14)의 회전축(28)을 사이에 두고 상기 풀반송통로(32)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론 모우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복귀통로(33)의 그래스 백측 개구(36)는 상방을 향해 열려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론 모우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스 백(24)에 풀반송통로(32) 및 공기복귀통로(33)를 구분하는 통기성 격벽(42)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실 및 하실로 분리하며, 상기 상실은 상기 공기복귀통로와 접속되며, 상기 하실은 상기 풀반송통로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론 모우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데크측 개구(51)는 상기 커터데크(12)쪽으로 돌출하지 않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론 모우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데크측 개구(52)는 절단되어 상방으로 굽혀 세워진 전단(52a) 및 절단되어 하방으로 굽혀 세워진 후단(52b)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론 모우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데크측 개구(53)는 개구 중점의 앞부분(53a)을 절단 후 하방으로 굽혀 세우고, 개구 중점의 뒷부분(53b)은 절단 후 상방으로 굽혀 세움으로써 형성되는 두 개의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론 모우어.
KR10-2002-0060045A 2001-10-04 2002-10-02 론 모우어 KR1004583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09120A JP3703752B2 (ja) 2001-10-04 2001-10-04 芝刈機
JPJP-P-2001-00309120 2001-10-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9020A KR20030029020A (ko) 2003-04-11
KR100458379B1 true KR100458379B1 (ko) 2004-12-03

Family

ID=19128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0045A KR100458379B1 (ko) 2001-10-04 2002-10-02 론 모우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705068B2 (ko)
EP (1) EP1300063B1 (ko)
JP (1) JP3703752B2 (ko)
KR (1) KR100458379B1 (ko)
CN (2) CN2599910Y (ko)
AU (1) AU2002301225B2 (ko)
CA (1) CA2405207C (ko)
DE (1) DE60200542T2 (ko)
TW (1) TWI2249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77714A1 (en) * 2000-11-09 2006-12-14 Dunning Charles E Collector and separator apparatus for lawn and garden
US6658833B2 (en) 2000-11-09 2003-12-09 Bestrake, Llc Collector and separator apparatus for lawn and garden
JP3703752B2 (ja) * 2001-10-04 2005-10-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芝刈機
JP2005016436A (ja) 2003-06-26 2005-01-20 Honda Motor Co Ltd 芝刈り機用エンジンの回転数制御装置
JP4343781B2 (ja) * 2004-06-25 2009-10-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芝刈機
EP1609350B1 (en) * 2004-06-25 2011-04-20 Honda Motor Co., Ltd. Lawn mower
WO2006125053A1 (en) * 2005-05-17 2006-11-23 Mtd Products Inc. Bagging lawn mower with selective mulch or discharge options
US20070101692A1 (en) * 2005-11-09 2007-05-10 Barlow Dale V Lawn mower
US20070234699A1 (en) * 2006-04-07 2007-10-11 Textron Inc. Noise reduction of rotary mowers using an acoustical helmholtz resonator array
US8091332B2 (en) * 2007-09-26 2012-01-10 John Deere Enschede B.V. Mower deck with air inlets
US7736422B2 (en) 2008-01-29 2010-06-15 Honda Motor Co., Ltd. Cyclonic separation grassbag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owing machines
US7805920B2 (en) * 2008-11-13 2010-10-05 The Toro Company Lawn mower having steeply inclined exit tunnel and battery access through rear face of mower cutting deck
US7849665B2 (en) * 2009-03-23 2010-12-14 Honda Motor Co., Ltd. Recirculating grass bagging apparatuses and methods
CN101790921B (zh) * 2010-03-11 2012-05-02 常州合力电器有限公司 防倾倒手推式电动割草机
JP5124005B2 (ja) * 2010-10-26 2013-01-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歩行型芝刈機
US9642508B1 (en) * 2012-04-16 2017-05-09 Billy Goat Indutries, Inc. Debris-collect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llecting debris
ITMI20120292U1 (it) 2012-08-02 2014-02-03 Ggp Italy Spa Tosaerba munito di una protezione inferiore per migliorare l'efficienza di evacuazione dell'erba tagliata.
ITMI20131240A1 (it) * 2013-07-24 2015-01-25 Ggp Italy Spa Tosaerba con pala di post-compressione.
JP6066860B2 (ja) 2013-08-05 2017-01-25 株式会社クボタ 草刈機
JP6362841B2 (ja) * 2013-09-27 2018-07-25 株式会社クボタ モーアユニット
AU2016263058B2 (en) * 2015-05-18 2019-08-22 Husqvarna Ab Walk behind lawn mower with a collector dump assembly
JP6193420B2 (ja) * 2016-02-29 2017-09-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芝刈機
JP2018102234A (ja) * 2016-12-27 2018-07-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カッタブレード及び芝刈機
JP7010460B2 (ja) * 2017-10-17 2022-01-26 落合刃物工業株式会社 刈取機
CN108271497A (zh) * 2018-02-06 2018-07-13 宁波大叶园林设备股份有限公司 改进的一种草坪割草机底部后轴用拨切排草通道机构
CN108419504A (zh) * 2018-05-21 2018-08-21 浙江亚特电器有限公司 一种旋刀式割草机的切割刀片及旋刀式割草机
CN113226012B (zh) 2018-09-27 2023-03-17 南京泉峰科技有限公司 割草机
CN210610343U (zh) 2018-09-27 2020-05-26 南京德朔实业有限公司 割草机以及适用于割草机的刀片组件
CN111819987B (zh) * 2019-04-18 2023-05-12 南京泉峰科技有限公司 割草机
USD995569S1 (en) 2019-04-18 2023-08-15 Nanjing Chervon Industry Co., Ltd. Mower blade assembly
US11895945B2 (en) * 2020-12-04 2024-02-13 The Toro Company Assembly for adding ambient air to the cutting chamber of a walk power mow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6423U (ko) * 1986-10-21 1988-05-02
JPS6371622U (ko) * 1986-10-28 1988-05-13
JPH0391720A (ja) * 1989-09-04 1991-04-17 Sharp Corp 異方性導電膜の貼付装置
JPH07123835A (ja) * 1993-11-04 1995-05-16 Yamaha Motor Co Ltd 芝刈機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5095A (en) * 1973-01-17 1974-03-05 Jacobsen Mfg Co Vented rotary lawn mower
JPS61191740U (ko) * 1985-05-22 1986-11-28
US4631909A (en) * 1985-07-23 1986-12-30 Mclane Frank E Lawn mower vacuum apparatus
JPS6366423A (ja) 1986-09-09 1988-03-25 Atago Bussan Kk 分光照射装置
JPS6371622A (ja) 1986-09-16 1988-04-01 Nissan Motor Co Ltd 液量検出装置
US4848070A (en) * 1987-07-14 1989-07-18 Berglund Andrew L Grass catching apparatus for mower
GB9109100D0 (en) * 1991-04-26 1991-06-12 Black & Decker Inc Lawn mower
US5370234A (en) * 1991-11-08 1994-12-06 National Recovery Technologies, Inc. Rotary materials separator and method of separating materials
GB9123912D0 (en) * 1991-11-11 1992-01-02 Electrolux Norther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grass-cutting machines
GB9304952D0 (en) * 1993-03-11 1993-04-28 Electrolux Norther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grass cutting machines
US5678399A (en) * 1995-12-26 1997-10-21 Baron; Kyle L. Lawn mower housing
GB2315658A (en) * 1996-08-01 1998-02-11 Electrolux Outdoor Prod Ltd Lawnmower
JP3703752B2 (ja) * 2001-10-04 2005-10-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芝刈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6423U (ko) * 1986-10-21 1988-05-02
JPS6371622U (ko) * 1986-10-28 1988-05-13
JPH0391720A (ja) * 1989-09-04 1991-04-17 Sharp Corp 異方性導電膜の貼付装置
JPH07123835A (ja) * 1993-11-04 1995-05-16 Yamaha Motor Co Ltd 芝刈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03752B2 (ja) 2005-10-05
TWI224946B (en) 2004-12-11
DE60200542D1 (de) 2004-07-01
EP1300063A1 (en) 2003-04-09
CA2405207C (en) 2005-09-06
US6705068B2 (en) 2004-03-16
CA2405207A1 (en) 2003-04-04
US20030066280A1 (en) 2003-04-10
DE60200542T2 (de) 2004-09-30
KR20030029020A (ko) 2003-04-11
CN1409943A (zh) 2003-04-16
CN2599910Y (zh) 2004-01-21
AU2002301225B2 (en) 2007-03-22
JP2003111508A (ja) 2003-04-15
EP1300063B1 (en) 2004-05-26
CN1330233C (zh) 200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8379B1 (ko) 론 모우어
US4361001A (en) Collecting accessory for air supported lawn mower
EP1269901B1 (en) Vacuum cleaner having airflow recirculation path for cooling beater brush motor
KR101170170B1 (ko) 예초기
US6360517B1 (en) Mower unit
JP5688341B2 (ja) 船外機
US11895945B2 (en) Assembly for adding ambient air to the cutting chamber of a walk power mower
JP2002089380A (ja) 建設機械
US6948457B2 (en) Fan arrangement of a portable handheld work apparatus driven by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GB2315658A (en) Lawnmower
JP2009050222A (ja) 芝刈機
JP4134085B2 (ja) 芝刈機
JP4455444B2 (ja) 除雪機
US11533848B2 (en) Lawn mower
JP6498482B2 (ja) 動力作業機
JP6799691B2 (ja) ブリーザ装置、及びブリーザ装置を備える除雪機
EP0510279A1 (en) Lawn mower
JP3562992B2 (ja) モーア
JP2579566Y2 (ja) コンバインのエンジン装置
JP2023122020A (ja) エアクリーナボックス、及び作業機
JP2009018359A (ja) チェーンソー
JP2965194B2 (ja) エアー吸入機構を有する芝刈機
JP3425677B2 (ja) 移動農機の防塵装置
JP2003080957A (ja) コンバイン
JPH06104013B2 (ja) 芝刈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