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8062B1 - 예비 충전 앰풀에 포함된 액체 주입용 무바늘 주사기 - Google Patents

예비 충전 앰풀에 포함된 액체 주입용 무바늘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8062B1
KR100458062B1 KR10-2002-7010212A KR20027010212A KR100458062B1 KR 100458062 B1 KR100458062 B1 KR 100458062B1 KR 20027010212 A KR20027010212 A KR 20027010212A KR 100458062 B1 KR100458062 B1 KR 100458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ure
downstream
container
reservoir
syr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0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7051A (ko
Inventor
알렉산더파트릭
브루퀴에레스베르나르
카스타노사비에르
고티어필리페
Original Assignee
크로스젝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로스젝트 filed Critical 크로스젝트
Publication of KR20020087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7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0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0Syringes for injection by jet action, without needle, e.g. for use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06Having specific accessories
    • A61M2005/2013Having specific accessories triggering of discharging means by contact of injector with patient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86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having piston damping means, e.g. axially or rotationally acting reta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61M2005/3132Syringe barrels having flow passages for injection agents at the distal end of the barrel to bypass a sealing stopper after its displacement to this end due to internal pressure incr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43Damping means for syringe components executing relative movements, e.g. retarders or attenuators slowing down or timing syringe mechanis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활성 성분을 주입하기 위한 무바늘 주사기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초기 상태에서 원활한 주입을 제공하기 위한 단순한 기기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주사기는 액체(6)를 포함하며 변위 가능한 폐쇄기(4, 5)에 의해 밀봉되는 저장조(3)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조는, 도관의 입구(8a)가 개방되도록 하류측 폐쇄기(5)를 수용하는 블라인드 보어(10)를 포함하는 용기(7)의 외측에 위치된 적어도 두 개의 주위 주입 도관(8)을 포함하도록 설계된 주입 시스템으로부터 초기에 분리되어 있다.

Description

예비 충전 앰풀에 포함된 액체 주입용 무바늘 주사기{Needleless syringe for injecting a liquid contained a prefilled ampule}
예비 충전 주사기에 있어서의 제 1의 필수 조건은 액체 활성 성분과 상기 액체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저장조 사이의 장기간의, 일반적으로 3년 동안의 양립성(compatibility)이다. 예비 충전법과 관련된 다른 필수 조건은 저장조가 주사기에 끼워지기 전에 저장조의 정확한 충전의 규칙적인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투명한 저장조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러한 필수 조건들은 실질적으로 투명하며 소정의 기간 동안 활성 성분과 양립 가능한 재료로 제조되는 저장조의 제조를 야기하며, 상기 재료는 일반적으로 약제용 글래스, 즉 글래스 타입 I 또는 II이다.
주입의 초기 조건은, 주사기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주입 도관을 갖는지의 여부에 따라 액체의 제트 또는 제트들의 피부 내로의 침투에 있어 중요하다. 복수의 주입 도관 구조는 통증을 완화하는데 적합하다. 최종 생체 이용성은 이러한 초기 조건의 정확한 실시에 좌우되며, 급가속을 성취하기 위한 압력 맥동이 너무 큰경우에 제트의 다수의 요동 없이 주입 도관 내에서 액체의 급가속이 발생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모든 필수 조건들에 부합하는 다수의 주입 도관을 갖는 주사기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미국 특허 제 4,941,880호에는 다수의 관점에서 매우 복잡한 주사기가 개시되어 있다. 먼저, 상기 특허의 주사기는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앰풀을 교환함으로써 수회 사용되도록 의도된 공압식 구동부를 구비한 주사기이다. 상기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앰풀은 두 개의 병렬 배치된 부분을 포함한다. 활성 성분의 장기간 저장을 위한 상류측 부분은, 폐쇄기(obturator)에 의해 양 단부가 폐쇄되어 있는 글래스 튜브이며 폴리카보네이트 튜브 내에 배치되며, 이러한 장치는 양립성을 보장하며 충전 검사를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사용 전에, 수술자는, 액체를 배출하는 플런저와 하류측 폐쇄기를 압박함으로써, 중간 저장조의 기능을 하는 앰풀의 하류측 부분으로 활성 성분을 전달하며, 상기 저장조의 하류측 부분은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조되고 두꺼운 벽을 가지며, 구동 기기에 의해 발생하는 작동압을 견딜 수 있다. 수술자는 앰풀을 위치시키고, 따라서 주입 기구 내로의 주입을 준비하며, 주입 기구의 상류측은 중간 주입 저장조의 하류측 단부에 배치된 바이패스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단일의 주입 도관을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는 저장조의 저항의 문제점을 해결하며 어느 정도까지는 주입의 초기 요동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단일의 주입 도관을 공급하기 위한 비틀린 주입 시스템에서의 상당한 압력 손실을 갖는다. 제조 및 사용에 있어서의 상기 기기의 복잡성은 자명하다.프랑스 특허 제 2 775 603호에는 그 상류측 단부에서 변위 가능한 폐쇄기에 의해 폐쇄되어 있으며 그 하류측 단부에서는 앰풀이 충전된 후 스토퍼에 의해 폐쇄된 중앙 충전 오리피스를 갖는 다중 구멍 주입기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예비 충전 앰풀을 구비하는 무바늘 주사기가 개시되어 있다.미국 특허 제 4,668,223호에는 변위 가능한 폐쇄기에 의해 그 단부들 각각에서 폐쇄되어 있는 예비 충전 앰풀을 구비하는 주사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앰풀의 상류측 단부는 플런저 로드용 안내 부재를 수용하며, 하류측 단부는 하류측 폐쇄기가 수용되는 용기를 형성하는 부분을 수용한다.
본 발명은 인체 또는 수의용 약물의 치료 용도로 의도되는 액체 활성 성분의 피내, 피하, 근육내 주입에 사용되는 주사기와 같은, 예비 충전 및 1회용 무바늘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의 종단면도.
도 2는 하류측 폐쇄기가 압축성 부분을 갖는 주사기의 하류측 단부의 부분도.
도 3 및 도 4는 하류측 폐쇄기가 리세스를 포함하는, 다른 변형예에 따른 주사기의 하류측 단부의 작동 전 및 작동 후를 각각 도시하는 부분도.
도 5는 상류측 및 하류측 폐쇄기를 변위시키기 위한 단차형 플런저를 갖는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가능한한 단순하며 주입 후 폐기 가능하며 전문 요원 뿐만 아니라 일반 환자에 의해서도 사용 가능한 기기에 의해 상기의 모든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변위 가능한 상류측 폐쇄기와, 변위 가능한 하류측 폐쇄기에 의해 폐쇄되어 있으며 액체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저장조를 포함하는 무바늘 주사기로서, 상기 저장조는 본체와 일체로 되어 있는 주입 시스템으로부터 초기에 격리되어 있으며, 상기 주사기는 상류측 폐쇄기, 액체 및 하류측 폐쇄기의 조립체를 변위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무바늘 주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주입 시스템은 하류측 폐쇄기용 용기의 외측에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주위 주입 도관을 포함하며, 상기 하류측 폐쇄기가 용기의 저부와 접촉할 때 상기 용기의 블라인드 보어(blind bore)의 천공 높이(free height)는 주위 도관의 입구의 간극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액체 활성 성분 또는 약제는 주로 다소간의 점성 액체 또는 액체의 혼합물 또는 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활성 성분은 주입을 위한 적합한 용매에 용해된 고체일 수 있다. 활성 성분은 적합한 액체의 다소간의 농축 현탁액 내의 분말 형태의 고체일 수 있다. 고체 활성 성분의 미립도는, 도관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폐색을 방지하도록 채택되어야 한다.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저장조는 글래스 타입 I 또는 타입 II로 제조되지만, 투명하며 활성 성분과 양립 가능한 임의의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상류측 폐쇄기에 작용하는 구동 수단은, 압축 스프링의 해제 또는 공압식 해제; 압축 가스의 방출 또는 파이로테크닉(pyrotechnic); 연소 가스의 방출과 같은 기계적 구동 수단일 수 있다.
주사기는 하기와 같이 작용한다: 구동 수단은 상류측 폐쇄기에 작용하여 상류측 폐쇄기, 액체 및 하류측 폐쇄기의 조립체를 변위시키는데, 이는 액체가 비압축성이기 때문이다. 하류측 폐쇄기는 용기의 저부와 접촉할 때까지 용기의 블라인드 보어 내로 변위되어 삽입된다. 상기 보어의 높이는, 하류측 폐쇄기가 용기의 저부와 접촉할 때 용기의 주위부 상의 주입 도관의 입구가 개방되고, 액체가 보어로 역류되어 상류측 폐쇄기의 변위에 의해 주입되며 저장조가 비워질 때까지 주입이 계속되며, 다음, 상류측 폐쇄기가 하류측 폐쇄기와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무바늘 주사기는, 액체 활성 성분의 저장조가 주입 시스템이 고정되는 본체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한 변형예에 따르면, 하류측 폐쇄기가 수용되는 용기는 주사기의 본체의 부분이다.
하류측 폐쇄기용 용기는 적합하게는 용기의 저부의 정지부에 도달하기 전에 하류측 폐쇄기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단을 포함한다. 폐쇄기의 반향을 방지하는 이러한 충격 흡수는 작동의 개시 중에 주입 요동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 1 변형예에 따르면, 하류측 폐쇄기는 용기를 향해 지향된 표면에, 용기의 저부와 일체로 형성된 스터드의 형상과 부합되는 형상을 갖는 리세스를 포함한다. 변위 중에, 하류측 폐쇄기는 리세스를 경유하여 스터드에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은 용기의 저부 상의 폐쇄기의 충격 에너지를 흡수한다. 게다가, 이러한 결합은 예를 들면 스터드 둘레에 배치된 플랜지 또는 노치에 의해 비가역적으로 제공된다.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하류측 폐쇄기는 용기로의 입구에서 큰 단면을 가지며 저부에서 작은 단면을 갖는 미소 절두형 용기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용기 내의 수용을 위한 폐쇄기의 변형은 충격을 흡수한다.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하류측 폐쇄기는 압축성 부분을 포함한다. 하류측 폐쇄기는 상기 압축성 부분을 충돌시킴으로써 용기의 보어에 수용되며, 보어의 깊이는 변형 전의 폐쇄기의 높이 보다 작다. 상기 변형 가능한 부분의 충돌에 의해 하류측 폐쇄기의 충격이 흡수된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수단은 상류측 폐쇄기에 직접 작용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수단은 플런저에 의해 상류측 폐쇄기에 작용한다. 본 실시예는, 구동 수단이 공압식 또는 파이로테크닉 발생기인 경우에 해당한다. 단일의 플런저 대신에 단차형 플런저를 사용함으로써, 상류측 폐쇄기, 액체 및 하류측 폐쇄기의 조립체를 변위시키고 용기 내에 충격 없이 하류측 폐쇄기를 결합시키기 위해 저압 및 저속으로 제 1 상태를 실행시킬 수 있으며, 다음 고속에서의 주입을 위해 고압에서 제 2 상태를 실행시킬 수 있다.
구동 수단은 적합하게는 파이로테크닉 가스 발생기이다. 이러한 기기는 콤팩트하고 강력하며 특히 매우 신뢰적이며, 이러한 형태의 발생기의 저장 수명은 활성 성분의 보존 기간 보다 훨씬 길다.
저장조와 주사기의 본체는, 장기간 동안 활성 성분과 양립 가능하며 작동 중에 고압에 대한 저항성이 있는 단일 유닛을 적합하게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조는, 주사기의 본체와 저장조의 구동 수단 상으로의 조립시에 중간 물질에 의해 본체 내로 수축 끼워맞춤된다.
주사기의 본체는 주입 순간까지 활성 성분의 저장조를 관찰할 수 있게 하는 투명한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적합하다.
그러나, 상기 본체는 주사기의 본체가 투명하지 않은 경우에는 저장조의 내용물을 관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를 포함한다.
상류측 폐쇄기에 작용하는 플런저는 주사기의 본체의 윈도우 또는 투명부에 표시됨으로써 주사기의 작동 지시기로서 적합하게 작용한다. 상류측 폐쇄기가 또한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의 다수의 주입 도관을 갖는 무바늘 주사기는 당면 과제들을 해결한다. 액체 활성 성분과 상기 액체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저장조 사이의 장기간 양립성은 저장조의 형상 및 재료의 선택에 좌우된다. 높은 작동압에 대한 저장조의 안정성은 본체 내의 저장조의 상이한 조립 형태에 좌우된다. 액체의 가속 상태의 개시 중에 요동이 없는 주입은 충격의 흡수 및 기기의 작동에 좌우된다.
주입 도관 내에 매우 소량으로 초기에 포획된 공기는 어떠한 악영향도 야기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주입의 종료시에 도관에 잔류하는 활성 성분은 활성 성분의 무시할만한 손실을 수반하며, 이는 예비 충전시에 보상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기기의 두 개의 부분을 분리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갖는다. 약제용 부분이라 칭할 수 있는 부분은 상류측 및 하류측 폐쇄기를 구비하는 저장조 및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부분은 약제 분야에서 적용되는 조건하에서, 특히 살균 및 무균 처리와 관련하여 처리될 수 있다. 상기 부분은 함께 조립된 부품들을 갖는 주사기의 나머지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며, 이러한 조립은 약제 분야와 관련된 조건들 보다 덜 엄격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하류측 폐쇄기가 용기 내에 비가역적으로 수용되면, 주사기는 재사용이 매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장치는 또한 초기 약제 용도 이외의 목적으로 상기 주사기가 재사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구성은 주입이 수행되기 전에 주입 도관을 경유하여 액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을 갖는다. 이는 액체가 현탁 입자를 포함하는 경우 혼합물을 균질화하거나 액체의 탁도를 검사하기 위해 기기가 종종 요동되기 때문이다(이는 때로는 추천되기도 함). 주입 전에 활성 성분이 도관으로부터 격리되어 있다는 사실은 이러한 손실 위험에 대한 궁극적인 보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상이한 특정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의 종단면도를 도시하며, 하향 지향된 주입 시스템을 수직으로 도시한다.
주사기(1)는 액체 활성 성분(6)을 포함하는 저장조(3)를 수용하는 본체(2)를 구비한다. 본체(2)의 하류측 단부에 배치된 용기(7)는 예를 들면 도관(8)과 같은 3개의 주입 도관을 포함한다. 상기 주입 시스템은 주사기의 무균 상태를 보장하기 위해 외부 보호부에 의해 덮여지며, 상기 보호부는 주사기의 단부 둘레에 주름 형성된 미세한 금속 보호 밀봉부를 통해 주사기의 외부면에 부착된 탄성 중합 멤브레인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부는 주입 전에 제거될 수 있다. 대향 단부에서, 주사기의 본체(2)는, 본 실시예에서는 하기에 설명하는 파이로테크닉 가스 발생기인 구동 수단(70)에 고정된다.
주사기의 본체(2)는 저장조(3)에 포함된 활성 성분을 관찰하기 위한 두 개의 직경방향 대향 윈도우를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들은 본체 내의 두 개의 직사각형 개구(12)로서 단순히 도시되어 있다. 하기에 설명하는 원통 원추형 용기(7)가 주사기의 본체(2)의 하류측에 배치되며 적합한 형상의 보어에 결합된다. 글래스로 제조되는 저장조(3)는 용기(7) 상에 지지되어 배치되며 본체(2)의 하류측에 중심 설정되며, 상기 저장조는 투명한 중간 물질(9)에 의해 둘러싸인다. 상류측에서,상기 주사기의 본체(2)는 저장조의 다른 단부 둘레에 중심 설정되는 구동 수단의 본체(71)를 수용하며, 환형 중심 설정 크라운은 중간 물질(9)에 지지되며 따라서 주사기의 본체(2) 상으로의 구동 수단의 조립 순간에 본체(2)의 저장조(3)에 수축 끼워맞춤된다. 이러한 수축 끼워맞춤은 작동압이 작용할 때 튜브의 저항을 증가시킨다. 저장조(3)는 변위 가능한 상류측 폐쇄기(4) 및 하류측 폐쇄기(5)에 의해 양 단부가 폐쇄되어 있는 튜브이며, 상기 폐쇄기들은 적합하게는 주사기 내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플런저 스토퍼들이며, 상기 부품들은 장기간 동안 활성 성분과 양립 가능한 탄성 중합체의 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부품들이며, 각각의 부품들은 플랜지 또는 립(lip)(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을 경유하여 기밀 기능 및 플런저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부품들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탄성 중합체는, 예를 들면 약 45 및 약 70 쇼어 경도를 갖는 클로로부틸 또는 브로모부틸이다. 상기 부품들은 특히 관형 저장조에서의 변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자유 상태일 때, 플런저 스토퍼는 상기 스토퍼를 수용하게 되는 튜브의 내경 보다 약 10% 정도 큰 직경을 가지며, 플런저 스토퍼의 높이는 상기 내경의 약 0.5 내지 0.8배이다. 플런저 스토퍼가 튜브 내에 결합될 때, 변형에 의해 스토퍼의 높이는 저장조의 내경의 약 0.6 내지 약 1.0배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 용기(7)는, 하류측 폐쇄기(5)가 수용되는 중앙 보어(10)를 포함하는 원통 원추형(cylindro-conical) 외형을 갖는 부분이다. 그 주변부에서, 상기 용기는 3개의 주입 도관을 포함하며, 도 1의 단면도에는 하나만을 도면 부호 8로 도시하고 있다. 보어의 직경은 저장조의 직경과 동일하다. 용기(7)의 블라인드 보어(10)의 천공 높이는 저장조(3) 내에 장착된 하류측 폐쇄기(5)의 높이와 동일하다. 하류측 폐쇄기(5)가 용기의 저부(7a)에 도달할 때, 주입 도관(8)의 입구(8a){저장조(3)를 향한}는 액체(6)와 연통하게 되며, 액체는 상류측 폐쇄기(4)에 의해 전달된 압력에 대응하는 속도로 유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 수단은 상류측 폐쇄기(4)의 유효 단면과 동일한 유효 단면을 갖는 플런저(11)에 의해 상류측 폐쇄기에 작용한다. 상기 플런저(11)는 상류측 폐쇄기(5)와 접촉하며, 작동의 개시 중에 충격 또는 압력 맥동 효과가 발생하지 않는다. 기밀 시스템에 의해, 상기 플런저(11)는 장약(charge)(72)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가 상류측 폐쇄기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며, 따라서 상류측 폐쇄기의 손상 및 저장조 내에 포함된 활성 성분을 향한 가스의 방출을 방지한다. 적합한 색상이 제공된 플런저(11)는 또한 주사기의 본체(2)의 관찰 윈도우 내에 표시됨으로써 작동 지시기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파이로테크닉 발생기(70)의 주요 부품을 설명한다. 파이로테크닉 발생기는 플런저의 상부의 본체(71) 내에서, 공이(striker)(74)에 의해 격발되는 뇌관(73)에 의해 연소가 개시되는 파이로테크닉 장약(72)을 포함한다. 뇌관(73)은 뇌관 홀더에 수용된다. 초기 위치에서, 공이(74)는 상기 공이의 홈에 부분적으로 결합된, 볼(77)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볼에 의해, 본체(71)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는 공이 가이드(75)에 유지된다. 공이 장치는 홈(75)과 내부 스프링(76)을 갖는 푸시 버튼(78)을 포함한다.
상기 푸시 버튼(78)은 공이 가이드(75)의 외측 상에서 미끄러지며, 횡방향홈에서 이동하는 스터브에 의해 유지된다. 상기 푸시 버튼(78)은 이 경우 방아쇠 부재이다.
파이로테크닉 장약(72)의 연소를 개시하기 위해,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상술한 공이 장치 이외의 개시 장치(initiation device)를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원에서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 없이, 일례로서 전기 배터리를 갖는 개시 장치 또는 압전 개시 장치를 인용한다.
적합하다면, 파이로테크닉 가스 발생기는 신속하게 개방될 수 있는 밸브에 의해 폐쇄된 압축 가스의 저장조에 의해 형성된 가스 발생기로 대체될 수 있다. 방아쇠 부재는 상기 밸브를 개방시킬 수 있으며, 저장조의 압축 가스가 팽창하여 추진 수단에 작용한다.
무균 처리 스토퍼를 제거하고 주사기의 하류측 표면을 치료 대상물의 피부에 배치시킨 후, 수술자는 엄지 손가락으로 푸시 버튼(78)을 눌러 푸시 버튼을 하향으로 구동시키고 스프링(76)을 압축시킨다. 푸시 버튼은 홈(78)이 공이(74)의 홈과 동일한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변위되며, 공이(74)를 유지하는 볼(77)과 같은 볼이 홈(79) 내로 이동하고 공이를 해제시키며, 공이는 뇌관(73)에 격렬하게 충돌하여 파이로테크닉 장약(72)을 폭발시킨다. 뇌관 홀더(80) 상에 지지된 공이(74)는 뇌관이 적소에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며 기밀성을 보장한다: 연소 가스는 푸시 버튼을 향해 상승하지 않는다.
파이로테크닉 장약의 연소는 플런저(11)에 작용하는 가스를 발생시킨다.
도 2는 하류측 폐쇄기(25)가 부분적으로 압축 가능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도를 도시한다. 작동 전에, 상기 폐쇄기는 용기(27)의 블라인드 보어(21)의 높이 보다 큰 높이 또는 두께를 갖는다.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동 수단은 상류측 폐쇄기(24), 액체(26) 및 하류측 폐쇄기(25)의 조립체를 변위시키며, 하류측 폐쇄기는 용기의 블라인드 보어(21) 내에 수용되며, 그 후 저부와 접촉하게 되며, 압력의 작용하에서 압축 가능한 부분은 주입 도관의 입구와 충돌하여 입구를 개방시키며 액체의 통과를 허용한다. 용기의 블라인드 보어 내에서의 하류측 폐쇄기(25)의 부분 압축에 의한 변형은 하류측 폐쇄기의 정지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며 액체의 다중 분출 형태의 배출을 방지한다. 하류측 폐쇄기(25)는, 예를 들면 저장조를 향해, 활성 성분과 양립 가능한, 변형 가능하지만 압축 불가능한 탄성 중합체의 층(29)과, 상기 층의 하부에, 하류측 폐쇄기가 용기의 저부에 결합될 때 충돌하는 매우 압축 가능한 재료의 층(29a)인 상이한 재료의 두 개의 층으로 형성된다.
한 변형예에서, 하류측 폐쇄기는 활성 성분과 양립 가능한 동일한 탄성 중합체로 제조되지만, 용기의 저부와 접촉하게 되는 그의 하부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공동을 가지며, 상기 공동은 용기 내에서의 하류측 폐쇄기의 결합시에 탄성 중합체의 변형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상기 변형은 폐쇄기의 충격을 흡수하며 또한 폐쇄기가 점유하는 체적을 감소시킨다.
도 3은 하류측 폐쇄기의 특정 형상 및 주사기의 본체 내의 저장조의 고정의 관점에서 상기 실시예들과는 상이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도를 도시한다.
주사기의 본체(32)는 투명하며 높은 작동압을 견디기에 충분한 두께를 갖는 재료로 제조된다. 원통 원추형 용기(37)가 본체(32)의 하류측 단부에 결합된다.액체 활성 성분을 포함하며 상류측 폐쇄기(34) 및 하류측 폐쇄기(35)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저장조(33)가 본체(32) 내에 수용된다. 상기 본체(32)는 주입시에 저장조(33)를 위한 보강부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특정의 특징은 변위 가능한 폐쇄기(35)의 하류측 표면 상의 리세스(36) 및 용기의 저부에 고정된 스터드(39)이다. 상기 리세스(36)와 스터드(39)는, 플런저(31)에 의해 전달된 압력의 작용하에서 하류측 폐쇄기(35)가 변위될 때 결합을 허용하는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결합은 용기(37)의 저부 상의 폐쇄기(35)의 충격을 완화하며 에너지를 흡수한다: 하류측 폐쇄기(35)의 반향이 없으며 스터드(39) 상에 결합되어 유지된다.
용기 내의 하류측 폐쇄기의 충격 흡수는 또한 하류측 폐쇄기가 수용되어 변형되는 미소 절두형 용기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충격 흡수는 또한 용기 내에서의 변위시에 하류측 폐쇄기에 의해 구동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정 배기구에 의해 공압식으로 성취될 수 있다.
도 4는 주입 중에 하류측 폐쇄기(35) 및 상류측 폐쇄기(34)의 위치를 도시하는 부분도이다. 하류측 폐쇄기(35)는 용기(37)의 블라인드 보어 내에 위치되며, 용기의 저부에 고정된 스터드(39) 상에 리세스(36)를 통해 결합되며, 상기 결합은 스터드(39) 둘레의 플랜지에 의해 비가역적으로 제공된다. 플런저(31)에 의해 압박되는 상류측 폐쇄기(34)는 액체를 구동시킨다. 도 4는 주입 과정을 명확하게 도시하는데, 폐쇄기(35)는 용기(37)의 저부에 지지되며 주입 도관(38)의 입구(38a)를개방시키며 상류측 폐쇄기(34)가 이동을 중단하고 하류측 폐쇄기(35)에 지지될 때까지 상기와 같이 작동한다.
도 5는 단차형 플런저(51)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도 2의 실시예와는 상이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가스 발생기를 향해서, 플런저(51)는, 작동의 개시 중에 상류측 폐쇄기(54), 액체(56) 및 하류측 폐쇄기(55)의 조립체를 운동시켜 가속시키기 위한 적당한 힘을 전달하는 작은 단면의 헤드를 포함한다. 변위 길이는, 작은 단면의 헤드가 자유 상태일 때, 보다 정확하게는 플런저(51)의 상부 밀봉부가 작동을 정지할 때, 하류측 폐쇄기(55)가 용기(57) 내에 완전히 수용되고, 다음 발생기의 가스가 플런저(51)의 큰 단면에 작용하여 액체(56)에 고압을 인가하며, 다음 주입 도관(58)의 개구(58a)와 연통하게 되며, 액체(56)는 고속으로 주입되며, 피부의 관통 및 활성 성분의 양호한 생체 이용성을 위해 적합하도록 선택된다.

Claims (16)

  1. 변위 가능한 상류측 폐쇄기(4, 24, 34, 54)와 변위 가능한 하류측 폐쇄기(5, 25, 35, 55)에 의해 폐쇄되어 있으며 액체 활성 성분(6)을 포함하는 원통형 저장조(3, 33)를 수용하는 본체(2)와, 용기의 외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주입 도관(8)을 구비하는 하류측 용기(7, 27, 37, 57)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는 블라인드 보어(10, 20, 21)를 포함하며, 상기 블라인드 보어의 천공 높이는, 상류측 폐쇄기, 액체 및 하류측 폐쇄기의 조립체를 변위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70)의 작동에 의해 상기 하류측 폐쇄기(2, 25, 35, 55)가 상기 용기의 저부(7a)와 접촉할 때 주위 도관(8)의 입구의 간극을 허용하는, 무바늘 주사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하류측 폐쇄기가 상기 용기(7, 37) 내의 정지부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하류측 폐쇄기(5, 35)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바늘 주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37)는 상기 하류측 폐쇄기(35)가 리세스(36)를 경유하여 결합되는 스터드(3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바늘 주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류측 폐쇄기(25)는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바늘 주사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27)는 변형 전의 하류측 폐쇄기(25)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바늘 주사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70)은 상기 상류측 폐쇄기(4, 24, 34, 54)에 직접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바늘 주사기.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70)은 플런저(11, 31, 51)에 의해 상기 상류측 폐쇄기(4, 24, 34, 54)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바늘 주사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70)은 파이로테크닉 가스 발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바늘 주사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와 본체는 단일 유닛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바늘 주사기.
  9.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3)는 상기 구동 수단(70)에 조립시에 중간 물질(9)을 경유하여 상기 본체(2)에 수축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바늘 주사기.
  10.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32)는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바늘 주사기.
  11.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는 저장조의 내용물을 관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바늘 주사기.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51)는, 상류측 폐쇄기(54), 액체(56) 및 하류측 폐쇄기(55)의 조립체를 변위시키고 상기 용기(57) 내에 충격 없이 하류측 폐쇄기를 결합시키기 위해 저압 및 저속으로 제 1 상태를 실행시키며, 다음 고속 주입을 위해 고압에서 제 2 상태를 실행시키기 위한 단차형 플런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바늘 주사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발생기측에서, 상기 단차형 플런저(51)는 상류측 폐쇄기(54), 액체(56) 및 하류측 폐쇄기(55)의 조립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적당한 힘을 발생시키기 위한 작은 단면의 헤드를 포함하며, 변위 길이는, 상기 작은 단면의 헤드가 자유 상태가 될 때, 상기 하류측 폐쇄기(55)가 용기(57) 내에 완전히 수용되며 다음 상기 발생기로부터의 가스가 플런저(51)의 큰 단면에 작용하며, 액체가 고압을 받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바늘 주사기.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2-7010212A 2000-02-11 2001-01-26 예비 충전 앰풀에 포함된 액체 주입용 무바늘 주사기 KR1004580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0/01721 2000-02-11
FR0001721A FR2804869B1 (fr) 2000-02-11 2000-02-11 Seringue sans aiguille pour l'injection d'un liquide contenu dans une ampoule pre-rempli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7051A KR20020087051A (ko) 2002-11-21
KR100458062B1 true KR100458062B1 (ko) 2004-11-26

Family

ID=8846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0212A KR100458062B1 (ko) 2000-02-11 2001-01-26 예비 충전 앰풀에 포함된 액체 주입용 무바늘 주사기

Country Status (26)

Country Link
US (1) US7056300B2 (ko)
EP (1) EP1263489B1 (ko)
JP (1) JP3718167B2 (ko)
KR (1) KR100458062B1 (ko)
CN (1) CN1168508C (ko)
AT (1) ATE322299T1 (ko)
AU (1) AU765358B2 (ko)
BR (1) BR0108389B1 (ko)
CA (1) CA2398552C (ko)
CZ (1) CZ300270B6 (ko)
DE (1) DE60118532T2 (ko)
DZ (1) DZ3291A1 (ko)
ES (1) ES2259023T3 (ko)
FR (1) FR2804869B1 (ko)
HK (1) HK1052474B (ko)
HU (1) HU226759B1 (ko)
IL (2) IL150815A0 (ko)
IS (1) IS2292B (ko)
MA (1) MA25708A1 (ko)
MX (1) MXPA02007745A (ko)
NO (1) NO330380B1 (ko)
PL (1) PL197494B1 (ko)
RU (1) RU2218942C1 (ko)
UA (1) UA69494C2 (ko)
WO (1) WO2001058512A1 (ko)
ZA (1) ZA2002063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10554B1 (fr) * 2000-06-22 2003-05-16 Poudres & Explosifs Ste Nale Seringue sans aiguille munie d'un reservoir modulable
US6471669B2 (en) * 2001-03-05 2002-10-29 Bioject Medical Technologies Inc. Disposable needle-free inj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8440791B2 (en) * 2001-09-06 2013-05-14 Mgp Biotechnologies, Llc Thimerosal removal device
US7767872B2 (en) * 2001-09-06 2010-08-03 Mpg Biotechnologies, Llc Thimerosal removal device
GB0125506D0 (en) * 2001-10-24 2001-12-12 Weston Medical Ltd Needle free inj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030163111A1 (en) * 2002-02-26 2003-08-28 Daellenbach Keith K. End effector for needle-free injection system
FR2853836B1 (fr) * 2003-04-16 2006-01-06 Crossject Seringue sans aiguille avec un injecteur-receptacle optimise
FR2865407B1 (fr) * 2004-01-27 2006-04-28 Crossject Seringue sans aiguille avec un injecteur receptacle amortissant
NZ556186A (en) * 2004-12-01 2010-06-25 Acushot Inc Needle-free injector
TW200722101A (en) 2005-03-23 2007-06-16 Glaxosmithkline Biolog Sa Novel composition
US20070055199A1 (en) 2005-08-10 2007-03-08 Gilbert Scott J Drug delivery device for buccal and aural applications and other areas of the body difficult to access
US8480617B2 (en) 2005-12-07 2013-07-09 Painless Tech Gmbh Injection device and ampoule unit
TWI457133B (zh) 2005-12-13 2014-10-21 Glaxosmithkline Biolog Sa 新穎組合物
DK2043682T3 (da) 2006-07-17 2014-06-02 Glaxosmithkline Biolog Sa Influenzavaccine
FR2903908B1 (fr) 2006-07-18 2009-02-27 Crossject Sa Dispositif d'injection sans aiguille a double stoppeur a profils de pression abaisses
US7942845B2 (en) * 2006-09-19 2011-05-17 Bioject, Inc. Needle-free injector and process for providing serial injections
US7547293B2 (en) * 2006-10-06 2009-06-16 Bioject, Inc. Triggering mechanism for needle-free injector
WO2008103997A2 (en) * 2007-02-23 2008-08-28 Bioject Inc. Needle-free injection devices and drug delivery systems therefor
US9533098B2 (en) 2007-11-19 2017-01-03 Painless Tech Gmbh Injection device for the needle-free injection of a medium
US20090137949A1 (en) * 2007-11-26 2009-05-28 Bioject Inc. Needle-free injection device with nozzle auto-disable
US8617099B2 (en) * 2007-11-26 2013-12-31 Bioject Inc. Injection device plunger auto-disable
AU2012257771C1 (en) 2011-05-17 2015-12-03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Vaccine against Streptococcus pneumoniae
GB201210082D0 (en) * 2012-06-07 2012-07-25 Consort Medical Plc Improved syringe
SI2900301T1 (sl) * 2012-09-26 2016-11-30 Bayer Pharma Aktiengesellschaft Predhodno napolnjena injekcijska brizga
JP6297794B2 (ja) * 2013-06-12 2018-03-20 株式会社ダイセル 注射器
JP2017533238A (ja) 2014-10-28 2017-11-09 アンスティチュ ナショナル ドゥ ラ サンテ エ ドゥ ラ ルシェルシュ メディカル 抗原特異的寛容の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WO2016123027A1 (en) 2015-01-26 2016-08-04 Nano Precision Medic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moting fluid uptake into an implant
CN106344205A (zh) * 2016-10-31 2017-01-25 湖北省国融商贸有限公司 一种无针高速射流注射器
US10695497B2 (en) * 2017-08-01 2020-06-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ubcutaneous jet injector with a manually operated injector pump
CN112336949A (zh) * 2019-08-08 2021-02-09 武汉大学 一种气动式无针注射驱动气压切换装置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8315A (en) * 1971-04-20 1974-01-29 S Laurens Disposable cutaneous transjector
DE3662752D1 (en) * 1985-02-07 1989-05-18 Duphar Int Res Syringe
US4941880A (en) 1987-06-19 1990-07-17 Bioject, Inc. Pre-filled ampule and non-invasive hypodermic injection device assembly
US5730723A (en) * 1995-10-10 1998-03-24 Visionary Medical Products Corporation, Inc. Gas pressured needle-less injection device and method
EP0888791A1 (en) * 1997-07-04 1999-01-07 PowderJect Research Limited Syringe and drug capsule therefor
US6004287A (en) * 1997-09-23 1999-12-21 Loomis; Dale J Biolistic apparatus for delivering substances into cells and tissues
GB9802508D0 (en) * 1998-02-05 1998-04-01 Boc Group Plc Needleless medical device
FR2775603B1 (fr) * 1998-03-03 2000-04-28 Tino Dalto Dispositif d'injection sous cutanee sans aiguille a pulverisation
US6264629B1 (en) 1998-11-18 2001-07-24 Bioject, Inc. Single-use needle-less hypodermic jet injection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3191501A (en) 2001-08-20
FR2804869A1 (fr) 2001-08-17
RU2218942C1 (ru) 2003-12-20
AU765358B2 (en) 2003-09-18
DZ3291A1 (fr) 2001-08-16
EP1263489A1 (fr) 2002-12-11
ZA200206303B (en) 2003-10-16
EP1263489B1 (fr) 2006-04-05
ATE322299T1 (de) 2006-04-15
DE60118532D1 (de) 2006-05-18
PL357717A1 (en) 2004-07-26
BR0108389A (pt) 2003-03-11
KR20020087051A (ko) 2002-11-21
IS2292B (is) 2007-10-15
CA2398552A1 (fr) 2001-08-16
MA25708A1 (fr) 2003-04-01
IS6473A (is) 2002-07-16
US20030050596A1 (en) 2003-03-13
US7056300B2 (en) 2006-06-06
HU226759B1 (en) 2009-09-28
FR2804869B1 (fr) 2002-05-17
HK1052474B (zh) 2005-03-04
MXPA02007745A (es) 2004-09-10
BR0108389B1 (pt) 2009-01-13
UA69494C2 (uk) 2004-09-15
NO20023794L (no) 2002-09-30
JP3718167B2 (ja) 2005-11-16
JP2003530147A (ja) 2003-10-14
DE60118532T2 (de) 2006-11-23
PL197494B1 (pl) 2008-04-30
CA2398552C (fr) 2007-07-03
ES2259023T3 (es) 2006-09-16
CN1168508C (zh) 2004-09-29
NO330380B1 (no) 2011-04-04
RU2002124138A (ru) 2004-02-20
NO20023794D0 (no) 2002-08-09
WO2001058512A1 (fr) 2001-08-16
HK1052474A1 (en) 2003-09-19
CZ300270B6 (cs) 2009-04-08
IL150815A (en) 2006-04-10
HUP0204453A2 (en) 2003-03-28
CN1398191A (zh) 2003-02-19
IL150815A0 (en) 2003-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8062B1 (ko) 예비 충전 앰풀에 포함된 액체 주입용 무바늘 주사기
JP4571649B2 (ja) 緩和させる注入器容器が備えられている針無し注射器
JP2781719B2 (ja) 使い捨て無針注射器
JP3701914B2 (ja) 多数のダクト噴射器を遮断する膜を有する針なし注射器
US20090105685A1 (en) Two Stage Jet Injection Device
US6610042B2 (en) Disposable unit-dose jet-injection syringe for pre-filled and/or transfilled liquid injectable medical drug or vaccine products and method thereof
JP4125517B2 (ja) 一時的に保持される押し込み手段を有する無針注射器
US20090024094A1 (en) Device for injecting an injectable product
CA2669764C (en) Injection apparatus and ampoule unit
KR101137711B1 (ko) 최적화된 주사기-수용구를 포함하는 무침 주사기
JP3759726B2 (ja) 薬液収容貯蔵器の圧迫によって働く針無注射器
US8197440B2 (en) Needleless injection device with double stopper with low pressure profiles
US20100063439A1 (en) Inj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