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7416B1 - 3-히드록시에스터 화합물로부터 1,3-알칸디올을 제조하는방법 - Google Patents

3-히드록시에스터 화합물로부터 1,3-알칸디올을 제조하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7416B1
KR100457416B1 KR10-2001-0067901A KR20010067901A KR100457416B1 KR 100457416 B1 KR100457416 B1 KR 100457416B1 KR 20010067901 A KR20010067901 A KR 20010067901A KR 100457416 B1 KR100457416 B1 KR 100457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alyst
solvent
reaction
copper
hydro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7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6951A (ko
Inventor
이병노
정인선
장은주
이정호
김형록
한요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7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7416B1/ko
Priority to EP02253279A priority patent/EP1308431A3/en
Priority to JP2002141460A priority patent/JP2003137826A/ja
Priority to CN02122156A priority patent/CN1417186A/zh
Priority to US10/212,671 priority patent/US6617478B2/en
Publication of KR20030036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6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4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B01J23/76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combined with metals, oxides or hydroxides provided for in groups B01J23/02 - B01J23/36
    • B01J23/84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combined with metals, oxides or hydroxides provided for in groups B01J23/02 - B01J23/36 with arsenic, antimony, bismuth, vanadium, niobium, tantalum, polonium,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B01J23/889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B01J23/8892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9/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9/132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reduction of an oxygen containing functional group
    • C07C29/136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reduction of an oxygen containing functional group of >C=O containing groups, e.g. —COOH
    • C07C29/14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reduction of an oxygen containing functional group of >C=O containing groups, e.g. —COOH of a —CHO group
    • C07C29/141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reduction of an oxygen containing functional group of >C=O containing groups, e.g. —COOH of a —CHO group with hydrogen or hydrogen-containing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B01J23/72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9/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9/132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reduction of an oxygen containing functional group
    • C07C29/136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reduction of an oxygen containing functional group of >C=O containing groups, e.g. —COOH
    • C07C29/147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reduction of an oxygen containing functional group of >C=O containing groups, e.g. —COOH of 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07C29/149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reduction of an oxygen containing functional group of >C=O containing groups, e.g. —COOH of 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with hydrogen or hydrogen-containing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06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01J21/08Silic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009Use of binding agents; Moulding; Pressing; Powdering; Granulating; Addition of materials ameliorat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roduct cataly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2Impregnation, coating or precipitation
    • B01J37/03Precipitation; Co-precipi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16Reducing
    • B01J37/18Reducing with gases containing free hydrog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히드록시에스터 화합물로부터 1,3-알칸디올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i) 구리염 수용액에 알칼리성 침전제를 가하여 입자를 생성시키고, 여기에 콜로이달 실리카를 가하여 숙성시켜 촉매를 제조하는 단계; ii) 제조된 촉매를 활성화 용매의 존재하에 5~2000psig 압력의 수소기체 또는 수소/질소 혼합기체를 사용하여 100~250℃의 온도에서 환원하여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iii) 상기 활성화된 촉매 및 반응용매의 존재 하에 50~3000psig 압력의 수소기체 또는 수소/질소 혼합기체를 사용하여 100~250℃의 온도에서 액상 슬러리법으로 3-히드록시에스터 화합물의 수소화 반응을 진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1,3-알칸디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에 의해 고수율 및 고선택성으로 1,3-알칸디올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3-히드록시에스터 화합물로부터 1,3-알칸디올을 제조하는 방법 {Process for preparing 1,3-alkanediols from 3-hydroxyester compounds}
본 발명은 3-히드록시에스터 화합물로부터 1,3-알칸디올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상슬러리법을 적용하여 고수율 및 고선택성으로 1,3-알칸디올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1,3-알칸디올은 폴리에스테르의 합성원료로 뿐만 아니라, 코팅이나 유기합성의 중간체로 사용되는 등 용도가 다양한 제품으로, 지금까지의 제조방법으로는 에폭사이드 화합물을 하이드로포밀화 (Hydroformylation) 하여 3-히드록시알데히드 유도체를 합성하고 이것을 수소화하여 1,3-알칸디올을 합성하는 방법 (미국특허 제 5,770,776호, 제 5,723,389호, 제 5,731,478호 및 제 5,777,182호)과 아크롤레인을 수화반응시켜 3-히드록시프로판알을 합성하고 이것을 수소화시키는 방법 (미국특허 제 6,232,511호 및 미국특허 제 6,140,543호) 및 글리세롤로부터 생물학적인 방법으로 1,3-알칸디올을 제조하는 방법 (미국특허 제 6,136,576호, 미국특허 제 6,013,494호 및 미국특허 제 5,821,092호) 등이 알려져 있고, 상업적으로는 에틸렌옥사이드의 하이드로포밀화 반응에 의해 3-히드록시프로판알을 합성하고, 이것을 수소화시키는 공정이 쉘(Shell)사에 의해 상업화되어 생산 중에 있다. 그러나, 3-히드록시프로판알을 중간체로 하는 합성방법의 경우, 알데히드 자체가 불안정하여 올리고머가 형성되거나 부산물인 아세탈 생성 등으로 원하는 1,3-프로판디올로 수소화가 완전히 진행되지 않거나 최종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다른 제조방법으로는 에폭사이드 화합물을 일산화탄소 및 알코올과 함께 반응시키는 카르보에스터화 반응에 의해서 3-히드록시에스터 화합물을 합성하고, 이 화합물의 에스터기를 수소화시켜 1,3-알칸디올 화합물을 만드는 방법도 가능하나, 이 방법으로 1,3-알칸디올을 제조하는 공정은 아직까지 공업화된 예가 없다. 이것은 3-히드록시에스터 화합물이 구리-크롬산화물 촉매나 구리-아연산화물 혹은 레니니켈(Raney Ni)과 같은 통상의 에스터기의 수소화 촉매 상에서 매우 비선택적으로 반응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1,4-부탄디올이나 에틸렌 글리콜의 합성과 같이 β위치가 아닌 에스터의 수소화 경우에는 탈수반응에 의한 부산물이 생성되는 예가 거의 없어서 손쉽게 높은 선택성과 수율로 합성할 수 있는 반면, 본 발명의 대상 기질 화합물과 같이 특별히 β위치에 히드록실기를 함유한 경우에 탈수반응에 의한 부산물의 생성이 많다.
카르보닐기를 함유한 화합물, 특히 에스터 화합물로부터 대응하는 알코올을 제조하기 위해 많은 촉매들이 개발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구리함유 촉매 및 귀금속 촉매에 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대상 기질화합물과 같이특별히 β-위치에 하이드록실기를 함유한 3-히드록시에스터 화합물로부터 1,3-알칸디올을 제조하는데 유용한 촉매 공정의 예는 그다지 많지 않다. 국제공개 제 00/18712호 및 미국특허 제 6,191,321호에서는 메탄올과 같은 알코올 용매 하에서 Cu/ZnO계 촉매를 사용하여 1,3-프로판디올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인용발명에서 용매로 사용한 알코올은 반응물인 3-히드록시에스터 화합물 자체의 락톤화 및 에스터기가 분해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긍정적 작용이 있는 반면, 고정상 촉매반응기의 수소가스 흐름하에서 비점이 낮은 알코올을 사용할 경우 높은 전환율에서 고선택성을 유지시킨다거나 촉매의 장기 반응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반응물인 3-히드록시에스터 화합물과 생성물인 1,3-알칸디올은 화학적 특성이나 끊는점 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에 전환율이 낮을 때 반응물과 생성물의 분리, 정제가 어려워 공정적으로 문제가 된다.
이에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0-71643호에서 4 ~ 10nm크기의 나노 입자로 형성된 CuO/SiO2계 촉매를 적용하여 3-히드록시에스터 화합물로부터 기상법 또는 액-기상법에 의해 1,3-알칸디올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한 바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비교적 높은 촉매 활성과 선택성으로 1,3-알칸디올을 합성할 수 있으나, 1,3-알칸디올의 선택성을 90% 이상으로 높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고, 반응물의 농도가 높을 경우 락톤 및 고비점 부산물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촉매의 환원시 발생가능한 열화로 인해 촉매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이 기상법 또는 액-기상법에 의해 3-히드록시에스터 화합물로부터 1,3-알칸디올을 제조하는 방법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1,3-알칸디올의 선택성을 90% 이상 높이는 것이 가능하고, 촉매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1,3-알칸디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i) 구리염 수용액에 알칼리성 침전제를 가하여 입자를 생성시키고, 여기에 콜로이달 실리카를 가하여 숙성시켜 촉매를 제조하는 단계;
ii) 제조된 촉매를 활성화 용매의 존재하에 5~2000psig 압력의 수소기체 또는 수소/질소 혼합기체를 사용하여 100~250℃의 온도에서 환원하여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iii) 상기 활성화된 촉매 및 반응용매의 존재 하에 50~3000psig 압력의 수소기체 또는 수소/질소 혼합기체를 사용하여 100~250℃의 온도에서 액상 슬러리법으로 3-히드록시에스터 화합물의 수소화 반응을 진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1,3-알칸디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3-히드록시에스터 화합물로부터 1,3-알칸디올을 제조하는 수소화 공정에 실리카로 안정화된 구리촉매를 적용한다. 상기 촉매의 주성분은 산화물 상태의 구리로서, 산화구리(CuO) 대 실리카(SiO2)의 중량비가 95:5 내지 50:50이다. 상기와 같은 실리카로 안정화된 산화구리 촉매는 CuO-SiO2로 표시할 수 있으나 미국특허 제4,511,744호에서 공지된 바와 같은, 통상의 실리카 담체에 구리를 담지시키는 방법으로는 본원 발명이 목표로 하는 성능을 발현하는 촉매를 제조할 수 없으며, 10nm 이하의 미세 산화구리 전구체 입자를 실리카로 안정화시키는 특별한 방법으로 제조하여야 고활성을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는 구리염 수용액에 알칼리족 탄산염이나 수산화나트륨과 같은 알칼리성 침전제를 가하여 입자를 생성시키고 여기에 콜로이달 실리카를 가하여 숙성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촉매 중에 포함된 실리카는 필수성분으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와는 구별된다.
이 때 사용가능한 구리염으로는 질산구리, 염화구리, 초산구리 및 황산구리 등이 있으며, 바람직한 구리염의 농도는 5~25중량%이다.
사용되는 콜로이달 실리카는 알려진 방법으로 제조할 수도 있으며 ("The chemistry of silica",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1979, pp331 ~334),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Ludox AS-40(듀퐁, 실리카 중량 40중량%), Snowtex(닛산화학공업, 실리카 중량 30~40중량%), SILIFOG(에이스하이테크, 실리카 중량 30~40중량%)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소화 촉매는 수소화 활성이나 또는 선택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적어도 일개 성분 이상의 촉진제(promoter)를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유용한 촉진제 성분으로는 레늄(Re), 루테늄(Ru), 팔라듐(Pd), 백금(Pt), 로듐(Rh), 은(Ag), 셀레늄(Se), 텔루늄(Te), 몰리브덴(Mo) 및 망간(Mn) 등이 있으며, 사용량은 구리 대비 0.001∼10몰%, 바람직하게는 0.003내지 7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촉매를 성형하는 방법으로는 압출법이나 타정법, 또는 내화성담체에 담지시키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성형된 촉매는 200~800℃ 바람직하게는 300~700℃에서 2~10시간 동안 소성된다.
소성된 산화물 상태의 촉매는 수소나 수소함유 기체를 이용하여 100~250℃에서 1~60시간 정도 활성화시킨 뒤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활성화 과정은 소성된 산화물 상태의 촉매를 반응기에 충진하고 적절한 유기용매의 존재하에 수소기체 또는 수소기체를 질소나 아르곤 등으로 희석시킨 기체를 흘려 보내면서 실시하나, 이 때 촉매의 환원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촉매가 열화를 입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수소화 반응이 액상 슬러리법으로 진행되는 공정의 특성상 수소로 촉매를 환원하는 과정에 활성화 용매를 사용하여, 촉매가 활성화 과정 중에 열화를 입거나 다른 형태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종래의 액-기상 및 기상법에 비하여 훨씬 더 효율적으로 촉매 활성화가 수행되도록 하였다.
상기 촉매 활성화 과정에서 사용되는 수소 또는 수소함유 기체의 압력은 5~2000psig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촉매 활성화에 사용 가능한 용매로는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이하"TEGDME"라 함), 펜타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또는 술포란(sulfolane) 등의 고비점 용매나, 펜탄, 헥산, 1,4-디옥산, 메탄올 등의 저비점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촉매 활성화에 사용된 용매는 3-히드록시에스터 화합물의 수소화 반응에 적용하기에 앞서 여과 및/또는 세척에 의해 제거되거나, 또는 제거되지 않은 채 반응용매와 혼합되어 반응에 참여할 수 있다. 촉매 활성화에 사용된 용매와 반응용매가 혼합되는 경우, 활성화 용매 대 반응용매의 혼합비는 5:95 내지 90:10(w/w)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수소화 촉매는 활성이나 선택성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알킬실란 화합물을 사용하여 개질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실리카의 하이드록실기는 알킬실란 화합물에 의하여 마스킹되며, 촉매는 친수성에서 소수성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사용가능한 알킬실란 화합물로는 트리알콕시모노알킬실란, 디알콕시디알킬실란 또는 모노알콕시트리알킬실란 화합물 등이 있다. 상기 실란 화합물에서, 알킬기는 탄소수가 1∼30 이고, 알콕시기는 C5이하의 선형 또는 비선형 알콕시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톡시기 또는 에톡시기이다. 이러한 화합물의 예로는 트리메톡시프로필실란, 트리메톡시옥틸실란, 디메톡시디메틸실란, 디메톡시메틸프로필실란, 디메톡시메틸옥틸실란, 메톡시트리메틸실란, 메톡시디메틸프로필실란, 메톡시디메틸옥틸실란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수소화 반응에 기질로 사용되는 3-히드록시에스터 화합물은 다음화학식 1로 표현된다.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R3, R4및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C1~C20의 포화된 가지가 없는 지방족 탄화수소, C3~C30의 가지가 있는 지방족 탄화수소, C2~C30의 포화된 고리형 탄화수소, C3~C30의 고리를 포함하는 사슬형 탄화수소, 또는 상기 탄화수소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소사슬의 수소가 에스터기, 하이드록실기, 알콕시기 등으로 치환된 탄화수소이다.
상기 화학식 1에서 에스터기의 R은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부틸, 시클로헥실 또는 시클로헥산메틸이다.
상기 3-히드록시에스터 화합물의 바람직한 예로는 메틸(혹은 에틸) 3-히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3-히드록시부틸산에스터, 3-히드록시펜탄산에스터, 3-히드록시헵탄산에스터, 3-히드록시옥탄산에스터, 3-히드록시노난산에스터, 3-히드록시 데칸산에스터, 2-메틸-3-히드록시프로판산에스터, 2-메틸-3-히드록시부탄산에스터, 2-메틸-3-히드록시펜탄산에스터, 2-메틸-3-히드록시헥산산에스터, 2-메틸-3-히드록시헵탄산에스터, 2-메틸-3-히드록시옥탄산에스터, 2-메틸-3-히드록시노난산에스터, 2-메틸-3-히드록시데칸산에스터, 2-에틸-3-히드록시부탄산에스터, 2-에틸-3-히드록시펜탄산에스터, 2-에틸-3-히드록시헥산산에스터, 2-에틸-3-히드록시헵탄산에스터, 2-에틸-3-히드록시옥탄산에스터, 2-에틸-3-히드록시노난산에스터, 2-에틸-3-히드록시데칸산에스터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수소화 촉매를 사용하여 상기 3-히드록시에스터 화합물로부터 1,3-알칸디올을 제조하는데 있어 액상 슬러리법을 적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적용된 액상 슬러리 반응법은 종래의 기상 반응이나, 기액상 반응과는 달리 촉매 층이 고정되어 있지 않고, 슬러리 상태의 촉매가 교반에 의하여 빠른 속도로 반응용매에 녹아 있는 수소 및 반응물과 접촉하여 수소화 반응을 일으키는 방법이다. 액상 슬러리 방법으로 수소화 반응을 진행하게 되면 액-기상 반응법이나 기상 반응법과는 다른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의 액-기상 및 기상 반응법에서는 1,3-알칸디올의 선택성을 90% 이상으로 높이는 데는 한계가 있었으나, 본원발명의 액상슬러리법에서는 반응물의 농도 또는 수소 압력과 같은 반응조건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에 의해 1,3-알칸디올의 선택성을 90% 이상으로, 바람직하게는 100%까지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고수율의 1,3-알칸디올을 합성하기 위해서는 비록 전환율이 낮다 할지라도 선택성이 높을 것이 요구되는데, 이는 전환율이 낮은 경우에도 1,3-알칸디올의 선택도가 높은 경우에는 미반응한 3-히드록시에스터를 분리하여 다시 수소화 반응에 사용하게 되면 반응물의 사용 효율이 훨씬 높아지게 되며, 전환율이 높은 경우에도 1,3-알칸디올의 선택도가 낮은 경우는 얻고자 하는 1,3-일칸디올에 비하여 부산물을 더 많이 생성하게 되므로 전체적인 반응의 효율은 낮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액상슬러리법은 종전의 액-기상 또는 기상 반응법에 비교하여 훨씬 적은 수소 사용량으로도 높은 전환율 및 선택성을 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액-기상 및 기상 반응법에서 반응물의 농도가 높을 경우 문제가 되었던 락톤의 생성을 줄임으로써 분리 및 그로 인해 생성되는 유독한 부산물의 생성으로 인한 환경 문제까지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액상 슬러리법을 적용함에 있어, 3-히드록시에스터 반응물 자체 또는 반응물과 생성물간의 락톤화 및 축합반응 등으로 인한 부반응화를 억제하고, 반응 중 촉매와 접촉하는 반응물의 농도를 조절하여 반응 활성 및 선택성을 증진시키며, 높은 전환율 하에서 선택성이 급격히 감소되는 것을 완화시키기 위해, 3-히드록시에스터 화합물을 알코올 용매 또는 끊는점이 반응물이나 생성물보다 높은 고비점 용매의 혼합용매에 용해시켜 공급한다. 이때, 3-히드록시에스터 화합물은 상기 용매에 2~98 중량%의 농도로 용해된다.
상기에서 사용가능한 알코올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반응 후 분리, 정제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이소부탄올, t-부탄올 등 C5이하의 선형 또는 비선형 알코올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고비점 용매도 3-히드록시에스터 화합물과 잘 섞이고 끊는점이 높으며, 생성되는 1,3-알칸디올과의 끊는점 차이가 커서 분리ㆍ정제에 문제가 없는 것이면 어느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나, TEGDME(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나 펜타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또는 술포란 등의 에테르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코올 대 고비점 용매의 혼합비는 5:95∼90:10(w/w)인 것이 바람직하다.
슬러리상 반응시 3-히드록시에스터 화합물로부터 1,3-알칸디올을 합성하기 위한 반응온도는 100~250℃, 바람직하게는 120~200℃이고, 반응압력은 수소 또는 수소함유 기체의 압력으로서 50~3,000psig, 바람직하게는 150~2,000psig이다.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히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에 불과하며, 발명의 영역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질산구리[Cu(NO3)2ㆍ3H2O](60.0)g과 질산망간[Mn(NO3)2·6H2O](2.56)g을 400ml의 증류수에 녹인 수용액에 16중량%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24ml을 가하여 공침시켰다. 침전용액에 콜로이달 실리카 수용액 루독스(Ludox) AS-40(암모늄안정형, 실리카 40중량% 함유)을 21.2g 가한 뒤 70~80℃에서 4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침전된 슬러리를 여과하여 회수한 뒤, 증류수로 세척하고 120℃에서 12시간 동안 건조한 후, 분말을 가압하여 성형하고 파쇄 후 20~40 메쉬 크기로 분별하였다. 이것을 450℃, 공기 분위기 하에서 6시간 동안 소성하여 CuO(77중량%)-SiO2(20중량%)-MnO2(3중량%) 촉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상기 실시예 1로부터 얻어진 CuO(77중량%)-SiO2(20중량%)-MnO2(3중량%) 촉매 분말 5.0g을 600mL 부피를 가진 고압 반응기에 투입하고 활성화 용매로서 정해진 양의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TEGDME)를 가한 다음, 상기 반응기에 5% H2/N2혼합가스를 500psig로 채우고 180℃로 승온한 후 20시간 동안 환원반응을 수행하여 촉매를 활성화시켰다.
이와 같이 활성화된 촉매를 질소 분위기에서 메탄올로 여러 번 세척한 후, 세척된 촉매 5.0g에 3-히드록시메틸 프로피오네이트(HPM) 5.0g과 반응용매로서 메탄올을 350ml 가하고 150℃, 1450psig 의 조건하에서 20시간 동안 수소화 반응을 수행하였다. 샘플링 튜브를 이용하여 생성물을 채취한 후 GC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
상기 실시예 1로부터 얻어진 CuO(77중량%)-SiO2(20중량%)-MnO2(3중량%) 촉매 분말을 할성화 시간이 2시간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환원반응을 수행하여 촉매를 활성화시켰다. 이와 같이 활성화된 촉매를 질소 분위기에서 메탄올로 여러 번 세척한 후, 세척된 촉매 10.0g에 3-히드록시메틸프로피오네이트(HPM) 10.0g과 반응용매로서 메탄올을 300ml를 가하고 150℃, 1450psig의 조건하에서 15시간 동안 수소화 반응을 수행하였다. 샘플링 튜브를 이용하여 생성물을 채취한 후 GC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로부터 얻어진 CuO(77중량%)-SiO2(20중량%)-MnO2(3중량%) 촉매 분말을 활성화 시간이 44시간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환원반응을 수행하여 촉매를 활성화시켰다. 이와 같이 활성화된 촉매를 질소 분위기에서 메탄올로 여러 번 세척한 후, 세척된 촉매 10.0g에 3-히드록시메틸 프로피오네이트(HPM) 10.0g과 반응용매로서 메탄올을 250ml 가하고 150℃, 1450psig 의 조건하에서 20시간 동안 수소화 반응을 수행하였다. 반응 중, 샘플링 튜브를 이용하여 반응 중에도 생성물을 채취한 후 GC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활성화시간(h) 활성화용매(mL) 반응시간(h) 반응온도(℃) 반응용매(mL) 반응압력(psig) 전환율(%) 선택도
13PD1) 1PO2) MP3)
실시예2 20 250 20 150 350 1450 90.92 100 0 0
실시예3 2 250 15 150 300 1450 64.13 86.32 3.77 9.9
실시예4 44 250 15 150 250 1450 60.44 82.07 3.03 14.9
44 250 20 150 250 1450 83.75 84.61 3.07 12.32
1) 13PD : 1,3-프로판디올, 2) 1PO: 1-프로판올, 3) MP: 메틸프로피오네이트
실시예 5 :
실시예 5에서는 상기 실시예 1로부터 얻어진 촉매 5.0g을 600mL 고압반응기에 투입하고 활성화 용매로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250mL을 가한 다음, 상기 반응기에 5% H2/N2혼합가스를 500psig로 채우고 180℃로 승온한 후 20시간 동안 환원반응을 수행하여 촉매를 활성화시켰다.
이와 같이 활성화된 촉매를 질소 분위기에서 메탄올로 여러 번 세척한 후, 세척된 촉매 5.0g에 3-히드록시메틸 프로피오네이트(HPM) 5.0g과 반응용매로서 메탄올을 350ml 가하고 150℃, 1450psig의 조건에서 수소화 반응을 4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샘플링 튜브를 이용하여 생성물을 채취한 후 GC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7:
실시예 6에서는 상기 실시예 1로부터 얻어진 촉매 10.0g을 600mL 고압반응기에 투입하고 활성화 용매로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250mL을 가한 다음, 상기 반응기에 5% H2/N2혼합가스를 500psig로 채우고 180℃로 승온한 후 2시간 동안 환원반응을 수행하여 촉매를 활성화시켰다.
이와 같이 활성화된 촉매를 질소 분위기에서 메탄올로 여러 번 세척한 후,세척된 촉매 10.0g에 3-히드록시메틸 프로피오네이트(HPM) 5.0g과 반응용매로서 메탄올을 300ml 가하고 150℃, 1450psig의 조건에서 수소화 반응을 2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실시예 7에서는 활성화 반응을 44시간 동안 진행하고, 반응용매인 메탄올의 양을 250ml 사용하여 3시간 동안 수소화 반응을 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시예들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활성화시간(h) 활성화용매(mL) 반응시간(h) 반응온도(℃) 반응용매(mL) 반응압력(psig) 전환율(%) 선택도(%)
13PD 1PO MP
실시예5 20 250 4 150 350 1450 31.63 100 0 0
실시예6 2 250 2 150 300 1450 12.65 95.38 0 4.62
실시예7 44 250 3 150 250 1450 21.07 93.55 0 6.33
실시예 8, 9
실시예 8, 9에서는 상기 실시예 1로부터 얻어진 촉매 10.0g을 600mL 고압용 반응기에 투입하고 활성화 용매로서 250ml의 테트라 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에테르를 가한 다음, 상기 반응기에 수소기체를 1000psig로 채우고 180℃로 승온한 후 4시간 동안 환원반응을 수행하여 촉매를 활성화 시켰다.
상기 활성화된 촉매에서 활성화 용매를 제거하지 않고, 반응용매로서 메탄올 200mL과 3-히드록시메틸 프로피오네이트(HPM) 10.0g을 첨가하고, 반응온도 165℃및 150℃, 반응압력 1450psig의 조건에서 수소화 반응을 수행하였다. 반응 중에 샘플링 튜브를 이용하여 생성물을 채취한 후 GC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활성화용매 반응시간(h) 반응온도(℃) 반응용매 전환율(%) 선택도(%)
13PD 1PO MP
실시예8 TEGDME 16 165 TEGDME/메탄올 60.43 91.41 0 8.59
실시예9 TEGDME 16 165 TEGDME/메탄올 21.60 100 0 0
실시예 10, 11
실시예 10에서는 상기 실시예 1로부터 얻어진 촉매 20.0 g 을 600 mL 고압용 반응기에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200 mL 넣고 반응기에 수소 가스를 1000psig로 채우고 180℃로 승온하여 40 시간 동안 촉매를 환원시켰다. 활성화된 촉매 용액에 3-히드록시메틸 프로피오네이트(HPM) 10.0g과, 메탄올 200mL를 추가하여 반응온도 165℃, 수소 1450psig의 압력으로 반응을 18 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반응을 종료하고, 사용한 촉매를 반응 용액으로부터 분리하고, 메탄올로 세척한 후 공기 중에서 건조시켰다.
실시예 11에서는 상기 실시예 10에서 사용하고 분리한 뒤 세척한 촉매를 재사용하기 위하여 실시예 10에서와 같은 조건에서 수소화 반응을 18 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실시예 10과 실시예 11의 반응중에 샘플링 튜브를 이용하여 생성물을 채취한 후 GC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반응시간(h) 반응온도(℃) 반응용매 반응압력(psig) 전환율(%) 13PD선택도(%)
실시예10 8 165 TEGDME/메탄올 1450 43.39 97
10 53 95
12 60 95
14 68 94
16 76 92
18 80.68 91.08
실시예11 0 165 메탄올 1450 0 0
2 10.25 96
6 31.06 94
14 72.09 92
18 80.92 87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3-히드록시에스터 화합물을 수소화시켜 1,3-알칸디올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액상슬러리법에 의해 높은 선택성과 수율로 1,3-알칸디올의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6)

  1. i) 구리염 수용액에 알칼리성 침전제를 가하여 입자를 생성시키고, 여기에 콜로이달 실리카를 가하여 숙성시켜 촉매를 제조하는 단계;
    ii) 제조된 촉매를 활성화 용매의 존재하에 5~2000psig 압력의 수소기체 또는 수소/질소 혼합기체를 사용하여 100~250℃의 온도에서 환원하여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iii) 상기 활성화된 촉매 및 반응용매의 존재 하에 50~3000psig 압력의 수소기체 또는 수소/질소 혼합기체를 사용하여 100~250℃의 온도에서 액상 슬러리법으로 3-히드록시에스터 화합물의 수소화 반응을 진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1,3-알칸디올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에 사용되는 알칼리성 침전제가 알칼리족 탄산염 또는 수산화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염 수용액이 질산구리, 염화구리, 초산구리 또는 황산구리의 5∼25중량%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에 포함된 산화구리(CuO) 대 실리카(SiO2)의 중량비가 95:5 내지 50:5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가 촉진제로서 레늄(Re), 팔라듐(Pd), 루테늄(Ru), 플라티늄(Pt), 로듐(Rh), 은(Ag), 셀레늄(Se), 텔루늄(Te), 몰리브덴(Mo) 및 망간(Mn)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원소를 구리 대비 0.001∼10몰%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히드록시에스터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R3, R4및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C1~C20의 포화된 가지가 없는 지방족 탄화수소, C3~C30의 가지가 있는 지방족 탄화수소, C2~C30의 포화된 고리형 탄화수소, C3~C30의 고리를 포함하는 사슬형 탄화수소, 또는 상기 탄화수소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소사슬의 수소가 에스터기, 하이드록실기, 알콕시기 등으로 치환된 탄화수소이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R이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부틸, 시클로헥실 또는 시클로헥산메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용매가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펜타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및 술포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고비점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용매가 펜탄, 헥산, 1,4-디옥산 및 메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저비점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i) 단계에서 활성화된 촉매로부터 활성화 용매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iii) 단계의 수소화 반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용매와 반응용매의 혼합비가 5:95∼90:10(w/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ii) 단계에서 활성화된 촉매로부터 활성화 용매를 제거한 후 iii) 단계의 수소화 반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ii) 단계의 반응용매가 알코올, 또는 알코올과 비점이 1,3-알칸디올보다 높은 고비점 용매의 혼합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이소부탄올 및 t-부탄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고비점 용매가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펜타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또는 술포란이고, 상기 알코올 대 고비점 용매의 혼합비가 5:95∼90:10(w/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ii)단계의 수소화 반응 후, 미반응 3-히드록시에스터 화합물을 생성 혼합물로부터 분리하여 ii)단계로 재순환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1-0067901A 2000-11-29 2001-11-01 3-히드록시에스터 화합물로부터 1,3-알칸디올을 제조하는방법 KR100457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7901A KR100457416B1 (ko) 2001-11-01 2001-11-01 3-히드록시에스터 화합물로부터 1,3-알칸디올을 제조하는방법
EP02253279A EP1308431A3 (en) 2001-11-01 2002-05-10 Process for preparing 1,3-alkandiols from 3-hydroxyester
JP2002141460A JP2003137826A (ja) 2001-11-01 2002-05-16 3−ヒドロキシエステル化合物から1,3−アルカンジオールを製造する方法
CN02122156A CN1417186A (zh) 2001-11-01 2002-05-31 由3-羟基酯制备1,3-烷二醇的方法
US10/212,671 US6617478B2 (en) 2000-11-29 2002-08-06 Process for preparing a 1,3-alkandiol from 3-hydroxyes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7901A KR100457416B1 (ko) 2001-11-01 2001-11-01 3-히드록시에스터 화합물로부터 1,3-알칸디올을 제조하는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6951A KR20030036951A (ko) 2003-05-12
KR100457416B1 true KR100457416B1 (ko) 2004-11-18

Family

ID=19715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7901A KR100457416B1 (ko) 2000-11-29 2001-11-01 3-히드록시에스터 화합물로부터 1,3-알칸디올을 제조하는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308431A3 (ko)
JP (1) JP2003137826A (ko)
KR (1) KR100457416B1 (ko)
CN (1) CN141718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60552C (zh) * 2006-12-07 2009-11-18 中国科学院兰州化学物理研究所 甘油加氢制备1,2-丙二醇的方法
CN102408304B (zh) * 2010-09-21 2014-04-02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醛选择加氢制备醇的方法
CN101993352A (zh) * 2010-12-10 2011-03-30 广东石油化工学院 一种3-羟基丙酸甲酯加氢制备1,3-丙二醇的方法
JP6529375B2 (ja) * 2015-07-29 2019-06-12 株式会社日本触媒 金属触媒、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再生方法
CN107245026A (zh) * 2017-06-22 2017-10-13 江苏飞翔化工股份有限公司 无溶剂由内酯制备二醇的方法
JP2022504061A (ja) * 2018-10-02 2022-01-13 シムライズ アーゲー アルカンジオールの製造方法
CN111632597B (zh) * 2020-04-16 2021-06-01 天津大学 一种经含叔胺基硅烷偶联剂硅烷化改性的铜硅催化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0873A (en) * 1981-04-30 1984-04-03 Ube Industries, Ltd. Process for producing ethylene glycol and/or glycolic acid ester, catalyst composition used therefor,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KR20000016054A (ko) * 1996-05-30 2000-03-25 오노 알버어스 1,3-알칸디올의 제조방법
US6191321B1 (en) * 1998-09-30 2001-02-20 Shell Oil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1,3-propanediol from methyl 3-hydroxypropionate
KR20010077977A (ko) * 2000-02-03 2001-08-20 윤종용 에폭사이드 유도체로부터 1,3-알칸디올을 제조하기 위한방법
KR20020042397A (ko) * 2000-11-29 2002-06-05 윤종용 3-하이드록시에스터 화합물로부터 1,3-알칸디올을제조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1080B2 (ja) * 1987-12-03 1997-01-16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光学活性1,2−アルカンジオールの製造法
JP3482371B2 (ja) * 1999-03-09 2003-12-22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エポキシド誘導体のカルボニル化方法
EP1122235B1 (en) * 2000-02-03 2004-09-15 Davy Process Technology Limited Process for preparing 1,3-alkanediol from epoxide derivativ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0873A (en) * 1981-04-30 1984-04-03 Ube Industries, Ltd. Process for producing ethylene glycol and/or glycolic acid ester, catalyst composition used therefor,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KR20000016054A (ko) * 1996-05-30 2000-03-25 오노 알버어스 1,3-알칸디올의 제조방법
US6191321B1 (en) * 1998-09-30 2001-02-20 Shell Oil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1,3-propanediol from methyl 3-hydroxypropionate
KR20010077977A (ko) * 2000-02-03 2001-08-20 윤종용 에폭사이드 유도체로부터 1,3-알칸디올을 제조하기 위한방법
KR20020042397A (ko) * 2000-11-29 2002-06-05 윤종용 3-하이드록시에스터 화합물로부터 1,3-알칸디올을제조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17186A (zh) 2003-05-14
EP1308431A2 (en) 2003-05-07
EP1308431A3 (en) 2003-10-29
JP2003137826A (ja) 2003-05-14
KR20030036951A (ko) 2003-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7477B2 (en) Process for preparing 1,3-alkanediols from 3-hydroxyesters
US5276181A (en) Catalytic method of hydrogenating glycerol
US4536347A (en) Selective hydrogenation of unsaturated carbonyl compounds
EP2781498A1 (en) Method for producing alkanediol
KR100457416B1 (ko) 3-히드록시에스터 화합물로부터 1,3-알칸디올을 제조하는방법
JP2009533468A (ja) アルデヒドに水素添加するための方法
JP3616642B2 (ja) 1,4−ブタンジオールの製造法
KR100453296B1 (ko) 3-하이드록시에스터 화합물로부터 1,3-알칸디올을제조하는 방법
US5395989A (en) Process for producing neopentyl glycol
US4083882A (en) Production of 1,4-butanediol
US6617478B2 (en) Process for preparing a 1,3-alkandiol from 3-hydroxyester
KR100431898B1 (ko) 카르보닐기 함유 화합물의 수소화 또는 사이클로알콜의탈수소화 반응에 유용한 구리-실리카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JP2813770B2 (ja) エタノールの製造方法
RU2261242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1,3-диола
KR100496324B1 (ko) 3-하이드록시프로판산 알킬로부터 1,3-프로판디올을 제조하는 방법
JP2004034021A (ja) 水素化触媒、およびこれを用いた1,3−プロパンジオールの製造方法
JPH0920703A (ja) 1,3−プロパンジオールの製法
US5874652A (en) Process for hydrogenating aqueous aldehyde mixtures
CA2473936A1 (en) Method for producing toluol derivatives
US4161616A (en) Acrolein conversion to butanediol
CN111320531B (zh) 一种羟基酮类化合物的制备方法
KR100718767B1 (ko) 1,2,4-부탄트리올의 연속 제조방법
KR100528837B1 (ko) 말레인산에스테르로부터의 감마-부티로락톤의 제조 방법
WO2005014167A1 (en) Catalyst
KR20040079236A (ko) 말레인산에스테르로부터의 1,4-부탄디올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