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6557B1 -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6557B1
KR100456557B1 KR10-2001-0082001A KR20010082001A KR100456557B1 KR 100456557 B1 KR100456557 B1 KR 100456557B1 KR 20010082001 A KR20010082001 A KR 20010082001A KR 100456557 B1 KR100456557 B1 KR 100456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height
support bar
seat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2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2110A (ko
Inventor
박정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2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6557B1/ko
Publication of KR20030052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2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6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65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18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with stepwise pos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2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adjusting mechanisms, e.g. 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헤드레스트는 수동으로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착좌시 안락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바, 이를 배제하고 대신에 운전자의 신장에 따라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장에 따라 용이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장치{Height-adjuster of headrest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헤드레스트는 수동으로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착좌시 안락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바, 이를 배제하고 대신에 시트의 최후단 이동상태에서 상하로 가변될 수 있도록 형성된 헤드레스트의 지지바와, 차체에 고정된 시트의 하부 레일을 와이어로 연결하고, 상부 레일을 와이어의 연결 매개체로 하여 시트가 고정된 상부 레일을 운전자의 신장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즉 신장이 작을시에 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와이어가 당겨지도록 함에 따라 헤드레스트가 하강 이동하고, 신장이 상대적으로 커서 시트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와이어가 그 이동한 거리만큼 상기 지지바 하단에 탄설된 스프링에 의해 상승되어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장에 따라 용이하게 자동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시트의 시트백 상단에는 운전자로 하여금 머리를 받쳐줄 수 있는 헤드레스트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 헤드레스트는 주행 중 급발진이나 급가속 또는 급제동이나 차량 충돌 사고시의 반작용에 따라 운전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머리를 편하게 받쳐주기 위한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헤드레스트 중, 독립식 헤드레스트는 상하로 높이 조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단계별로 몇 개의 고정홈을 형성한 2개의 지지봉에 의하여 시트백의고정홈에 삽입되어 승객의 신체에 맞게 설치되므로 수동으로 높이를 조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수동으로 높이를 조절하는 헤드레스트는 자동으로 조절되지 않아 착좌시 안락감의 저하 뿐만 아니라 승객의 안전에도 큰 우려를 끼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시트의 최후단 이동상태에서 상하로 가변될 수 있도록 형성된 헤드레스트의 지지바와, 차체에 고정된 시트의 하부 레일을 와이어로 연결하고, 상부 레일을 와이어의 연결 매개체로 하여 시트가 고정된 상부 레일을 운전자의 신장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즉 신장이 작을시에 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와이어가 당겨지도록 함에 따라 헤드레스트가 하강 이동하고, 신장이 상대적으로 커서 시트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와이어가 그 이동한 거리만큼 상기 지지바 하단에 탄설된 스프링에 의해 상승되어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장에 따라 용이하게 자동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트 11 : 시트백
12 : 시트백 프레임 13 : 헤드레스트
14 : 고정 브라켓 14a, 14b : 연장부
15 : 지지바 15a : 플랜지부
16 : 와이어 17 : 시트트랙
17a : 상부 레일 17b : 하부 레일
18 : 스프링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장치는 시트백 프레임(12)의 전방부 상단에 헤드레스트(13)가 장착되는 고정 브라켓(14)이 고정되어 있는바, 상기 고정 브라켓(14)은 상단과 하단에 각각 전방으로 돌출된 연장부(14a, 14b)가 형성되고, 상단의 연장부(14a)에는 헤드레스트를 양쪽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일체로 형성된 헤드레스트(13)의 지지바(15)가 관통/삽입되며, 그 지지바(15)의 하단을 연결하는 와이어(16)가 그 하단의 연장부(14b)를 관통하는 한편, 시트백 프레임(13)을 따라 아래로 연장되어 시트트랙(17)의 상부 레일(17a)을 관통하여 하부 레일(17b)의 소정부위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고정 브라켓(14) 하단의 연장부(14b)와 지지바(15) 사이의 와이어(16)에는 상기 헤드레스트(13)가 탄성 가변이동할 수 있도록 스프링(18)이 탄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바(15)의 상측 끝단에는 상기 헤드레스트(13)가 최하 높이에 도달했을시, 더이상 하강하지 않도록 플랜지부(15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10은 시트를 나타낸다.
상기 시트(10)에는 뼈대를 구성하는 시트 프레임이 내장되어 있는바, 시트백(11)에 형성된 시트백 프레임(12)의 전방부 상단에 헤드레스트(13)가 장착되는 고정 브라켓(14)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14)은 상단과 하단에 각각 전방으로 돌출된 연장부(14a, 14b)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단의 연장부(14a)에는 헤드레스트를 양쪽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일체로 형성된 헤드레스트(13)의 지지바(15)가 관통/삽입되어 있으며, 그 지지바(15)의 하단을 연결하는 와이어(16)가 그 하단의 연장부(14b)를 관통하여 시트백 프레임(12)을 따라 아래로 연장되어 시트트랙(17)의 상부 레일(17a)을 관통하여 하부 레일(17b)의 소정부위에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 브라켓(14) 하단의 연장부(14b)와 지지바(15) 사이의 와이어(16)에는 스프링(18)이 탄설되어 상기 헤드레스트(13)가 탄성 가변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지지바(15)의 상측 끝단에는 상기 헤드레스트(13)가 최하 높이에 도달했을시, 더이상 하강하지 않도록 플랜지부(15a)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0)의 최후단 이동상태에서 운전자가 자신의 신체에 맞게 상기 시트(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시트(10)의 하단에 장착된 상부 레일(17a)이 하부레일(17b)의 위를 슬라이드 직선 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상부 레일(17a)에 관통되어 하부 레일(17b)에 고정된 와이어(16)는 상부 레일(17a)의 이동 거리만큼 당겨지게 되어 헤드레스트(13)가 탄성 하강하게 되어 신장에 맞게 상기 헤드레스트(13)를 조절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큰 신장을 가진 운전자가 그 상태에서 후방으로 시트(10)를 이동시키면 당겨진 와이어(16)가 시트(10)의 이동 거리만큼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헤드레스트(13)가 상승하는 힘은 스프링(18)의 탄성력에 의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장치는 운전자의 신장에 따라 헤드레스트의 높낮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어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시트백 프레임(13)의 전방부 상단에 헤드레스트(13)가 장착되는 고정 브라켓(14)이 고정되어 있되, 상기 고정 브라켓(14)은 상단과 하단에 각각 전방으로 돌출된 연장부(14a, 14b)가 형성되고, 상단의 연장부(14a)에는 헤드레스트를 양쪽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일체로 형성된 헤드레스트(13)의 지지바(15)가 관통/삽입되며, 그 지지바(15)의 하단을 연결하는 와이어(16)가 그 하단의 연장부(14b)를 관통하면서 시트백 프레임(13)을 따라 아래로 연장되어 시트트랙(17)의 상부 레일(17a)을 관통하여 하부 레일(17b)의 소정부위에 고정되는 한편, 상기 고정 브라켓(14) 하단의 연장부(14b)와 지지바(15) 사이의 와이어(16)에는 상기 헤드레스트(13)가 탄성 가변이동할 수 있도록 스프링(18)이 탄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15)의 상측 끝단에는 상기 헤드레스트(13)가 최하 높이에 도달했을시, 더이상 하강하지 않도록 플랜지부(15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장치.
KR10-2001-0082001A 2001-12-20 2001-12-20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장치 KR100456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001A KR100456557B1 (ko) 2001-12-20 2001-12-20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001A KR100456557B1 (ko) 2001-12-20 2001-12-20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2110A KR20030052110A (ko) 2003-06-26
KR100456557B1 true KR100456557B1 (ko) 2004-11-10

Family

ID=29576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2001A KR100456557B1 (ko) 2001-12-20 2001-12-20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655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2110A (ko) 200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6557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장치
EP0571097A1 (en) Vehicle seats
KR100506679B1 (ko)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높이 고정 장치
KR950012262B1 (ko) 전후이동 및 절곡가능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KR20040042946A (ko) 자동차의 센터 시트 마운팅 구조
KR0123794Y1 (ko) 아암레스트와 연동되는 승용차 뒷좌석 중앙부의 헤드레스트
KR0166547B1 (ko) 시트 쿠션 사이드 볼스터 높이 조절장치
KR100358946B1 (ko) 자동차의 기능성 시트
KR100534955B1 (ko) 가스스프링을 이용한 자동차용 시트장치
JP2000127826A (ja)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構造
KR100534945B1 (ko) 목 상해 방지용 자동차 시트의 처짐 방지 구조
KR100361983B1 (ko)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프리텐셔너 구조
KR100520209B1 (ko) 자동차용 시트쿠션 프레임
KR100494548B1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KR101000413B1 (ko) 시트백 상단 돌출판을 갖는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KR0145969B1 (ko) 출몰식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0494507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서브머린 방지장치
KR100223250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위치조절장치
KR100534958B1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KR19980046747U (ko) 이동 가능한 자동차의 헤드 레스트
KR20040041305A (ko) 승용차량의 리어시트용 아암 레스트 장치
KR19980054287A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KR20030073953A (ko) 자동차용 시트로크 메모리장치
KR20040107578A (ko) 차량의 완충특성 가변형 시트
KR19980029690U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