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5766B1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생된 단말기 결함정보 통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생된 단말기 결함정보 통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5766B1
KR100455766B1 KR10-2001-0087026A KR20010087026A KR100455766B1 KR 100455766 B1 KR100455766 B1 KR 100455766B1 KR 20010087026 A KR20010087026 A KR 20010087026A KR 100455766 B1 KR100455766 B1 KR 100455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fect
power
information
tu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7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6742A (ko
Inventor
강신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7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5766B1/ko
Publication of KR20030056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6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5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57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오류 검출 태스크(Error Collector TASK)를 설정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결함 발생 시에 발생된 결함에 대한 정보를 설정된 오류 검출 태스크에 의해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저장된 결합 정보를 사용자 또는 A/S 담당자에 의한 단말기 작동 시에 단말기의 표시부로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말기 결함정보 통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말기 작동 중 결함 발생으로 실행되는 결함 검출 태스크에서 상기 단말기의 제어부를 통해 결함 발생으로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 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전원 오프 판별단계와; 상기 판별결과 전원이 오프되면 상기 단말기에 장착된 보조 전원을 이용해 전원 인가하고, 전원이 오프되지 않으면 주 전원을 이용하는 전원 인가단계와; 상기 인가된 전원을 통해 실행된 상기 결함 검출 태스크에서 발생된 결함 정보를 검출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단계와; 상기 결함이 발생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켜지면 상기 결함 검출 태스크에 의해 메모리부에 저장된 결함정보가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결함정보 표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단말기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발생되는 결함을 확인할 수 있고, A/S 시에 표시되는 결함 정보로 보다 빠르게 결함에 대처할 수 있으며 단말기 결함 원인 분석 과정으로 낭비되는 시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생된 단말기 결함정보 통보방법{Method of notifying any defects in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말기 결함정보 통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 오류 검출 태스크(Error Collector TASK)를 설정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결함 발생 시에 발생된 결함에 대한 정보를 설정된 오류 검출 태스크에 의해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저장된 결합 정보를 사용자 또는 A/S 담당자에 의한 단말기 작동 시에 단말기의 표시부로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말기 결함정보 통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러한 다양한 기능들이 단말기 내부의 하드웨어(H/W) 또는 소프트웨어(S/W)의 결함으로 인해 실행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되어 단말기의 정보가 리셋(Reset)되거나 전원이 꺼지는 현상이 발생되곤 하였다.
이 경우에 단말기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 센터에 아프터서비스(A/S)를 의뢰하는데, 이동통신 단말기 센터를 통해 단말기 고장의 원인이 분석되기 전까지는 어떠한 이유로 단말기가 리셋 되거나 전원이 꺼지는 것인지를 알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에 따라 단말기 A/S 시 고장 원인 분석을 위해 시간이 낭비되고, 에러 수정에 빠르게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결함 발생 시에 단말기에 설정된 오류 검출 태스크가 작동되어 결함 발생까지의 작업 및 처리 과정과 같은 발생된 결함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단말기에서의 결함 발생에 따라 단말기 사용자 또는 A/S 담당자에 의해 단말기에 전원이 인가되어 단말기 전원이 켜지면 오류 검출 태스크가 작동되어 메모리부에 저장된 결함 정보를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함으로써 단말기 사용자 또는 A/S 담당자가 단말기 결함 원인을 인지해 결함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말기 작동 중 결함 발생으로 실행되는 결함 검출 태스크에서 상기 단말기의 제어부를 통해 결함 발생으로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 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전원 오프 판별단계와; 상기 판별결과 전원이 오프되면 상기 단말기에 장착된 보조 전원을 이용해 전원 인가하고, 전원이 오프되지 않으면 주 전원을 이용하는 전원 인가단계와; 상기 인가된 전원을 통해 실행된 상기 결함 검출 태스크에서 발생된 결함 정보를 검출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단계와; 상기 결함이 발생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켜지면 상기 결함 검출 태스크에 의해 메모리부에 저장된 결함정보가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결함정보 표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생된 단말기 결함정보를 통보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키 입력부 200 : 제어부
300 : 표시부 400 : 전원 공급부
500 : 메모리부 600 : 무선 주파부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일 실시 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숫자 키와 기능 키가 구비되며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키에 해당되는 키 데이터를 발생하는 키 입력부(100)와, 키 입력부(100)로부터 전송되는 키 데이터에 해당되는 기능을 실행하는 등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하며 단말기 동작 과정에서 발생되는 결함에 대한 정보를 검출해 처리하는 결함 검출 태스크를 설정하는 제어부(200)와, 제어부(200)의 동작 제어과정에서 발생되는 정보신호 및 키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되는 각종 숫자나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300)와, 제어부(200)를 통한 단말기 운용을 위해 단말기 내부의 각 회로에 요구되는 전압을 제공하는 주 전원인 배터리팩 및 보조 전원인 소형 리튬전지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400)와, 제어부(200)의 단말기 동작 제어를 위한 운용 알고리즘 및 제어부(200)에 의한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정보 신호와 키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500)와, 제어부(200)의 동작 제어에 따라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무선주파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함 검출 태스크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과정에서 단말기 내부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결함으로 인해 오류가 발생되면 단말기의 작업과정에 해당되는 히스토리(history) 및 작업 태스크와 같은 발생된 결함과 관련된 정보를 검출해 메모리부(500)에 저장하고, 단말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단말기의 표시부(300)를 통해 저장된 결함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부(200)에 의해 설정된다.
또한, 제어부(200)는 발생된 결함에 의해 단말기의 전원이 꺼지면, 단말기에 장착된 보조 전원인 소형 리튬 전지를 통해 결함정보 처리를 위한 최소 전원을 인가해 발생된 결함정보를 메모리부(500)에 저장한 후에 전원 오프 되도록 설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말기 작동 중 결함 발생으로 실행되는 결함 검출 태스크에서 상기 단말기의 제어부를 통해 결함 발생으로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 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전원 오프 판별단계와; 상기 판별결과 전원이 오프되면 상기 단말기에 장착된 보조 전원을 이용해 전원 인가하고, 전원이 오프되지 않으면 주 전원을 이용하는 전원 인가단계와; 상기 인가된 전원을 통해 실행된 상기 결함 검출 태스크에서 발생된 결함 정보를 검출하여 메모리부(500)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단계와; 상기 결함이 발생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켜지면 상기 결함 검출 태스크에 의해 메모리부(500)에 저장된 결함정보가 단말기의 표시부(300)에 표시되는 결함정보 표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면, 단말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되는 프로세스를 작동시켜 선택된 기능을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1).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200)는 단말기 동작과정에서 단말기 내부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오류에 의해 발생되는 결함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S2),결함이 발생되면 단말기의 제어부(200)에 의해 설정된 결함 검출 태스크가 작동되어 제어부(200)를 통해 발생된 결함으로 인해 단말기의 전원 OFF 여부를 판별한다(S3).
판별결과 발생된 결함으로 인해 단말기의 전원이 OFF된 경우에는 단말기의 제어부(200)에서 장착되는 보조 전원인 소형 리튬전지를 작동시켜 설정된 결함 검출 태스크 실행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도록 하고(S4), 제공된 전원으로 결함 검출 태스크가 실행되어 발생된 결함에 관련된 정보를 단말기의 메모리부(500)에 저장한다(S5).
판별결과 발생된 결함으로 인해 단말기의 전원이 OFF되지 않고 단말기의 데이터가 리셋되는 것과 같은 데이터 오류만 발생된 경우에는 제어부에(200)에 의해 설정된 결함 검출 태스크에서 발생된 결함에 관한 정보를 검출해 메모리부(500)에 저장한다(S5).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결함 발생으로 전원이 꺼지거나 데이터 오류만이 발생되어 단말기 사용자 또는 A/S 담당자가 단말기 작동을 위해 단말기에 전원을 인가하여 단말기가 초기화되면, 설정된 결함 검출 태스크가 실행되어 메모리부(500)에 저장된 결함 정보를 검출해 단말기의 표시부(300)로 표시한다.
이러한 처리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을 일 실시 예로 설명하면, 만일 단말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 중에 작동 오류가 발생해 단말기의 전원이 갑자기 꺼졌다면, 단말기 사용자는 단말기가 고장이 나서 꺼진 것인지 배터리가 소모되어 꺼진 것인지를 알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단말기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단말기 사용자가 단말의 전원을 켜면, 단말기의 제어부(200)에 의해 설정된 결함 검출 태스크에 의해 발생된 결함 정보가 단말기의 표시부(300)에 표시되는데, 배터리 소모에 의한 것으로 표시되면 단말기 사용자는 단말기에 이상이 없음을 확인하게 되고, 내부 회로의 특정 칩에 이상이 있는 경우로 표시되면 A/S 담당자에게 이를 알려 담당자가 해당되는 결함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를 통해 결함 검출 태스크를 설정하여 단말기에서 결함 발생 시에 발생된 결함 정보를 검출해 메모리부에 저장한 후에 단말기 작동 시에 단말기의 액정 표시부를 통해 발생된 결함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발생되는 결함을 확인할 수 있고, A/S 시에 표시되는 결함 정보로 보다 빠르게 결함에 대처할 수 있으며 단말기 결함 원인 분석 과정으로 낭비되는 시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말기 작동 중 결함 발생으로 실행되는 결함 검출 태스크에서 상기 단말기의 제어부를 통해 결함 발생으로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 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전원 오프 판별단계와;
    상기 판별결과 전원이 오프되면 상기 단말기에 장착된 보조 전원을 이용해 전원 인가하고, 전원이 오프되지 않으면 주 전원을 이용하는 전원 인가단계와;
    상기 인가된 전원을 통해 실행된 상기 결함 검출 태스크에서 발생된 결함 정보를 검출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단계와;
    상기 결함이 발생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켜지면 상기 결함 검출 태스크에 의해 메모리부에 저장된 결함정보가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결함정보 표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결함정보 통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 검출 태스크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과정에서 단말기 내부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결함으로 인해 오류가 발생되면 단말기의 작업과정에 해당되는 히스토리 및 작업 태스크와 같은 발생된 결함과 관련된 정보를 검출해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단말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단말기의 표시부를 통해 저장된 결함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부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생된 단말기 결함정보 통보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발생된 결함에 의해 단말기의 전원이 꺼지면, 단말기에 장착된 보조 전원인 소형 리튬 전지를 통해 결함정보 처리를 위한 최소 전원을 인가해 발생된 결함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한 후에 전원 오프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생된 단말기 결함정보 통보방법.
  4. 삭제
KR10-2001-0087026A 2001-12-28 2001-12-28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생된 단말기 결함정보 통보방법 KR100455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026A KR100455766B1 (ko) 2001-12-28 2001-12-28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생된 단말기 결함정보 통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026A KR100455766B1 (ko) 2001-12-28 2001-12-28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생된 단말기 결함정보 통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742A KR20030056742A (ko) 2003-07-04
KR100455766B1 true KR100455766B1 (ko) 2004-11-06

Family

ID=32214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7026A KR100455766B1 (ko) 2001-12-28 2001-12-28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생된 단말기 결함정보 통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57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466Y1 (ko) * 2009-08-13 2010-10-05 영 성 왕 적층생육을 위한 조립설치용 가로등화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9285A (ja) * 1992-11-30 1994-06-14 Oki Electric Ind Co Ltd 障害検出機能付き携帯型電話機
KR19990039672A (ko) * 1997-11-13 1999-06-05 윤종용 셀룰라폰의 자체 고장 진단장치 및 방법
KR20000018400A (ko) * 1998-09-02 2000-04-06 강병호 이동통신단말기의 자체 진단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06168A (ko) * 2000-07-11 2002-01-19 송문섭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장 진단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9285A (ja) * 1992-11-30 1994-06-14 Oki Electric Ind Co Ltd 障害検出機能付き携帯型電話機
KR19990039672A (ko) * 1997-11-13 1999-06-05 윤종용 셀룰라폰의 자체 고장 진단장치 및 방법
KR20000018400A (ko) * 1998-09-02 2000-04-06 강병호 이동통신단말기의 자체 진단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06168A (ko) * 2000-07-11 2002-01-19 송문섭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장 진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742A (ko) 200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4559B1 (ko) 휴대전자기기 및 무선통신장치
US9660301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battery protection
JP2002325280A (ja) データ退避機能を持つ携帯情報機器及びデータ退避方法
CN112415367A (zh) 驱动芯片异常侦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JP2010250614A (ja) 情報処理装置
KR101303039B1 (ko) 리미트 스위치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045576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생된 단말기 결함정보 통보방법
CN111478817A (zh) 网络故障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设备
JP3404965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診断方法
JP2000231939A (ja) 携帯用端末装置
KR100746548B1 (ko) 내장 배터리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20000065595A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및 사용 예상 시간 표시 방법
KR19980016365A (ko) 휴대폰의 자기진단 방법
KR20000008115A (ko) 무선 단말기의 종료/전원키 운용 방법
KR100238728B1 (ko) 셀룰라폰의 자체 고장 진단장치 및 방법
JP2003234838A (ja) リモートメンテナンス装置、リモートメンテナンス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3138577B2 (ja) 携帯電話装置
JPH087930A (ja) 電源監視装置
JP2019053414A (ja) 情報処理装置
JP3961942B2 (ja) 画像制御方法、画像制御部を備えた移動局
JP2006270859A (ja) 携帯通信装置におけるユーザデータの保護方法、携帯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0141249B1 (ko) 키폰 전화기용 액정 표시부의 오동작 검출장치 및 그 방법
KR20010104586A (ko) 인터넷망을 이용한 기기 고장 진단 장치
CN112531835A (zh) 移动终端的充电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CN115942435A (zh) 终端电池运输节电关机模式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