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5522B1 - 유량조절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량조절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5522B1
KR100455522B1 KR10-2002-0063240A KR20020063240A KR100455522B1 KR 100455522 B1 KR100455522 B1 KR 100455522B1 KR 20020063240 A KR20020063240 A KR 20020063240A KR 100455522 B1 KR100455522 B1 KR 100455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hole
rotor
stoppe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3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3944A (ko
Inventor
우경섭
Original Assignee
(주)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02-0063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5522B1/ko
Publication of KR20040033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3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5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55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16K27/04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slide valves with flat obturat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68Mounting of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량조절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텝모터를 이용하여 유량을 단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그 공급유량을 정확하고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고, 유체를 스텝모터의 축방향으로 공급함으로써 유체의 압력손실을 최소화하고, 스텝모터에 대한 냉각효율을 높인 유량조절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제1,2스테이터(3,5)와 하부제1,2스테이터(13,15)를 각각 내장한 제1,2보빈(4,14)에 전원을 인가하여 로터마그네트(8)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스텝모터를 이용하여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보빈(4)의 상부에 고정 구비된 상부커버(1)의 유체유입구(1-1)를 통해 상기 로터마그네트(8)내에 고정된 로터(10)의 내주면을 거쳐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이 유량조절판(11)의 제1유량조절구멍(11-1)과 유량조절홈(11-2) 그리고 차단판(12)의 제2유량조절구멍(12-1)과 차단구멍(12-4)에 의해 조절되어 상기 제2보빈(14)의 하부에 고정 구비된 하부커버(19)의 유량배출구멍(19-1)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로터(10)의 제2스토퍼(10-3)가 상부커버(1)의 제1스토퍼(1-2)에 걸리면서 로터(10)의 반시계방향 회전이 제한되는 초기단계와; 로터(10)가 시계방향으로 240°회전하게 되면 제3스토퍼(11-4)가 제4스토퍼(12-2)와 접하면서제1유량조절구멍(11-1)과 제2유량조절구멍(12-1)을 일치시키는 유량조절준비단계와; 로터(10)가 시계방향으로 75°회전하게 되면 제3스토퍼(11-4)가 제4스토퍼(12-2)를 밀게 되면서 차단구멍(12-4)이 유체배출구멍(19-1)과 일치하고, 제1유량조절구멍(11-1)과 제2유량조절구멍(12-1)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를 차단구멍(12-4)을 거쳐 유량배출구멍(19-1)으로 배출하는 유로개방준비단계와; 로터(10)를 반시계방향으로 240°를 단계별로 분할 회전시키면 유량조절판(11)만이 회전되고, 유체조절홈(11-2)이 제2유량조절구멍(12-1)과 중첩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공급유량을 서서히 감소시키게 되는 유량조절단계와; 로터(10)를 반시계방향으로 75°회전시키어 제3스토퍼(11-4)로 제4스토퍼(12-2)를 밀면 차단구멍(12-4)이 유체배출구멍(19-1)과 이격되면서 유체의 공급이 차단되는 유체공급차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유량조절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DNTROLLING QUANTITY OF FLOW}
본 발명은 유량조절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텝모터를 이용하여 유량을 단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그 공급유량을 정확하고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유량조절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량조절장치는 도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전동모터(33)의 구동축(34)이 구동되면 밀폐판(35)이 회전하게 되고, 유입배관(39)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일치된 밀폐판의 통과개구(31)와 개구(36)를 거쳐 유출배관(40)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다수의 통과개구(31)를 구비하는 밀폐판(35)은 밀폐시트(37)에 탄성적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개구(36)와 일치되는 통과개구를 통해 유체를 배출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유량조절구조는 밀폐판(35)과 밀폐시트(37) 사이를 통해 유체의 누설이 발생되고, 누설된 유체량에 의해 정확한 공급유량조절이 불가능한 한계가 있다.
특히, 밀폐판(35)과 밀폐시트(37) 사이에 그리스를 충전하여 그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기도 하나, 오히려 그리스가 밀폐판(35)의 통과개구(31)를 막아 버리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텝모터를 이용하여 유량을 단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그 공급유량을 정확하고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고, 유체를 스텝모터의 축방향으로 공급함으로써 유체의 압력손실을 최소화하고, 스텝모터에 대한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스텝모터내에 설치되어 그 유체에 대한 우수한 기밀성을 갖게 되고 특히 가스기기의 적용에 적합한 유량조절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단면도,
도2 내지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6a 내지 도6f는 본 발명의 작용을 예시한 모식도,
도7은 본 발명중 유량조절판의 구조를 설명하는 평면도와 저면도,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중 차단판의 구조를 설명하는 평면도와 저면도,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중 유량조절판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상부커버 1-1: 유체유입구 1-2: 제1스토퍼 2: 오링 3: 상부제1스테이터 4: 제1보빈 5: 상부제2스테이터 6: 로터하우징 7: 상부코일하우징 8: 로터마그네트 9: 중심핀 10: 로터 10-1: 돌기편 10-2: 키 10-3: 제2스토퍼 10-4: 지지리브 10-5: 격막 10-6: 보스 10-7: 유체구멍 10-8: 키 11: 유량조절판 11-1: 제1유량조절구멍 11-2: 유량조절홈 11-3: 키홈 11-4: 제3스토퍼 12: 차단판 12-1: 제2유량조절구멍 12-2: 제4스토퍼 12-3: 요홈 12-4: 차단구멍 12-5: 통공 13: 하부제1스테이터 14: 제2보빈 15: 하부제2스테이터 16: 하부코일하우징 17: 오링 18: 자석흡착링 19: 하부커버 19-1: 유량배출구멍 30: 하우징 31: 통과개구 33: 전동모터 34: 구동축 35:밀폐판 36: 개구 37: 밀폐시트 39: 유입배관 40: 유출배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제1,2스테이터와 하부제1,2스테이터를 각각 내장한 제1,2보빈에 전원을 인가하여 로터마그네트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스텝모터를 이용하여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보빈의 상부에 고정 구비된 상부커버의 유체유입구를 통해 상기 로터마그네트내에 고정된 로터의 내주면을 거쳐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이 유량조절판의 제1유량조절구멍과 유량조절홈 그리고 차단판의 제2유량조절구멍과 차단구멍에 의해 조절되어 상기 제2보빈의 하부에 고정 구비된 하부커버의 유량배출구멍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로터의 제2스토퍼가 상부커버의 제1스토퍼에 걸리면서 로터의 반시계방향 회전이 제한되는 초기단계와; 로터가 시계방향으로 240°회전하게 되면 제3스토퍼가 제4스토퍼와 접하면서 제1유량조절구멍과 제2유량조절구멍을 일치시키는 유량조절준비단계와; 로터가 시계방향으로 75°회전하게 되면 제3스토퍼가 제4스토퍼를 밀게 되면서 제3유량조절홀이 유체배출구멍과 일치하고, 제1유량조절구멍과 제2유량조절구멍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를 차단구멍을 거쳐 유량배출구멍으로 배출하는 유로개방준비단계와; 로터를 반시계방향으로 240°를 단계별로 분할 회전시키면 유량조절판만이 회전되고, 유체조절홈이 제2유량조절구멍과 중첩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공급유량을 서서히 감소시키게 되는 유량조절단계와; 로터를 반시계방향으로 75°회전시키어 제3스토퍼로 제4스토퍼를 밀면 차단구멍이 유체배출구멍과 이격되면서 유체의 공급이 차단되는 유체공급차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2 내지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6a 내지 도6f는 본 발명의 작용을 예시한 모식도이며, 도7은 본 발명중 유량조절판의 구조를 설명하는 평면도와 저면도, 단면도이고, 도8은 본 발명중 차단판의 구조를 설명하는 평면도와 저면도, 단면도이며, 도9는 본 발명중 유량조절판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2 내지 도5에 예시한 바와 같이 스텝모터를 이용하여 유량조절판(11)의 회전각도를 제어함으로써 유량조절판(11)의 제1유량조절구멍(11-1)과 제2,3유량조절구멍(12-1,12-4) 그리고 유체배출구멍(19-1)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유량을 조절하여 배출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서 사용하고 있는 스텝모터는상부제1,2스테이터(3,5)가 서로 맞물리는 상태로 결합되어 제1보빈(4)에 내장되고, 다시 이 제1보빈이 상부코일하우징(7)에 내장된다.
마찬가지로, 스텝모터에서는 하부제1,2스테이터(13,15)가 서로 맞물리는 상태로 결합되어 제2보빈(14)에 내장되고, 다시 이 제2보빈이 하부코일하우징(16)에 내장된다.
이때, 상하부코일하우징(7,16)은 로터하우징(6)에 끼워지게 되고, 다시 이 로터하우징(6)에는 그 내측에 로터마그네트(8)에 끼워지게 되며, 로터마그네트에는 그 내주면에 로터(10)가 다수의 돌기편(10-1)에 의해 억지 끼움상태로 결합된다.
여기서, 로터(10)는 그 돌기편(10-1)의 상단에 키(10-2)이 형성되어 있고, 이 키(10-2)이 로터마그네트(8)의 키홈(8-1)에 삽입되면서 핀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로써 로터마그네트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특히, 로터(10)는 그 중심축을 따라 구비되는 보스(10-6)가 방사상의 지지리브(10-4)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그 하부에 설치되는 격막(10-5)에 다수의 유체구멍(10-7)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로터하우징(6)의 상부에 끼워지는 상부커버(1)의 유체유입구(1-1)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는 로터(10)의 지지리브(10-4) 사이공간을 거쳐 격막(10-5)의 유체구멍(10-7)을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로터(10)의 상단면 일측에 구비된 제2스토퍼(10-3)는 상부커버(1)의 하부일측에 구비된 제1스토퍼(1-2)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로터의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스텝모터는 제1,2보빈(4,14)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하부제1,2스테이터(3,5)(13,15)에 자기장을 유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로터마그네트(8)를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로터(10)의 하부에 끼워지는 유량조절판(11)은 도7에 예시한 바와 같이 그 상부면 외측에 다수의 키홈(11-3)이 형성되어 있고, 이 키홈(11-3)에는 로터의 하단면을 따라 구비된 다수의 키(10-8)이 끼워지게 되면서 로터의 회전시 유량조절판도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유량조절판(11)에는 그 중앙측에 제1유량조절구멍(10-1)이 구비되어 있고, 그 하면에 유량조절홈(11-2)을 제1유량조절구멍(10-1)과 이어지도록 형성하되 제1유량조절구멍과 멀어질수록 점차 그 폭과 깊이가 감소되도록 다시 말하면 그 유량통과의 단면적이 점차 감소되도록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유량조절판(11)에는 그 하부 외측편의 일측에 제3스토퍼(11-4)가 구비되어 있고, 로터(10)의 제2스토퍼(10-3)와 상하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제3스토퍼는 제4스토퍼(12-2)에 걸리면서 유량조절판(11)의 회전력을 차단판(12)에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차단판(12)은 도8에 예시한 바와 같이 유량조절판(11)의 하부에 기밀이 유지된 상태로 결합되며 그 상부면에 형성된 제2유량조절구멍(12-1)위로 유량조절판(11)의 제1유량조절구멍(11-1)과 유량조절홈(11-2)이 회전하며 이동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차단판(12)의 하부면에 형성된 차단구멍(12-4)은 그 일부가 제2유량조절구멍(12-1)과 겹치면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로터하우징(6)의 하부에 끼워지는 하부커버(19)는 그 상부면이 차단판(12)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있다.
이때, 유량조절판(11)의 회전시 차단판(12)이 유량조절판(11)과 함께 회전되지 않도록 차단판의 하부면과 하부커버(19)의 상부면 사이에는 유량조절판의 하부면과 차단판의 상부면 사이에 작용되는 마찰력보다 상대적으로 큰 마찰력이 작용되도록 구성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차단판(12)은 그 중심에서 제2유량조절구멍(12-1) 중심까지의 거리가 차단판(12)의 중심에서 차단구멍(12-4) 중심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하여 유량조절판(11)과 차단판(12)사이의 접촉면적을 차단판(12)과 하부커버(19) 사이의 접촉면적보다 적게 하며, 이에 따라 상기 유량조절판(11)과 차단판(12) 사이의 마찰력이 차단판(12)과 하부커버(19) 사이의 마찰력보다 상대적으로 적게함으로써 유량조절시 유량조절판과 차단판이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더욱이, 차단판(12)과 하부커버(19) 사이에 점착성을 갖는 유체누설방지용 실링그리스를 도포하여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한편 차단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차단판(12)의 하면에 요홈(12-3)을 구비하여 차단판의 하면과 하부커버(19)의 상면 사이의 접촉면을 감소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도포되는 실링그리스에 의한 과도한 마찰력증대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차단판(12)의 하면에 통공(12-5)을 설치하여 요홈(12-3)내의 압력이낮아지면서 차단판이 하부커버(19)의 상면에 흡착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차단판(12)의 차단구멍(12-4)은 하부커버(19)의 유체배출구멍(19-1)과 완전히 겹치면서 제2유량조절구멍(12-1)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를 유체배출구멍으로 배출하게 된다.
한편, 중심핀(9)은 그 상하단측이 상하부커버(1,19)에 고정 결합되면서 로터(10)의 보스(10-6), 유량조절판(11)과 차단판(12)이 회전 가능하도록 차례로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자성흡착링(18)은 하부커버(19)의 상부측 요홈에 억지 끼움방식으로 장착되어 로터마그네트(8)의 하부측에 자력를 이용하여 로터마그네트(8)를 하부커버측으로 밀착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유량조절판(11)과 차단판(12) 및 하부커버(19)의 상부면이 상호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시켜 준다.
또한, 오링(2,17)을 사용하여 상하부커버(1,19)를 통한 유체누설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도6a 내지 도6f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부커버(1)의 유체유입구(1-1)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는 로터(10)의 지지리브(10-4) 사이공간을 거쳐 다수의 유체구멍(10-7)을 통해 공급되어지게 된다.
또한, 다수의 유체구멍(10-7)을 통해 공급되어지는 유체는 제1유량조절구멍(11-1)을 거쳐 직접 또는 유량조절홈(11-2)을 통해 제2유량조절구멍(12-1)과 차단구멍(12-4)에 전달되고, 다시 하부커버(19)의 유체배출구멍(19-1)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유량조절단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6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초기단계는 로터(10)의 제2스토퍼(10-3)가 상부커버(1)의 제1스토퍼(1-2)에 걸리면서 로터의 반시계방향 회전이 제한된 상태이다.
그리고, 제1,2보빈(4,14)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도6b에 예시한 바와 같이 로터(10)가 시계방향으로 240°회전하게 되면 유량조절판(11)의 제3스토퍼(11-4)가 차단판(12)의 제4스토퍼(12-2)와 접하는 유량조절준비단계에 이르게 된다.
특히, 유량조절준비단계에서는 유량조절판(11)의 제1유량조절구멍(11-1)과 차단판(12)의 제2유량조절구멍(12-1)이 일치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유로개방준비단계에서는 도6c에 예시한 바와 같이 로터(10)가 시계방향으로 75°회전하게 되면 제3스토퍼(11-4)가 제4스토퍼(12-2)를 밀게 되면서 유량조절판(11)과 함께 차단판(12)이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차단판(12)의 차단구멍(12-4)이 하부커버(9)의 유체배출구멍(19-1)과 일치하게 되면서 제1유량조절구멍(11-1)과 제2유량조절구멍(12-1)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를 차단구멍(12-4)을 거쳐 유량배출구멍(19-1)으로 배출하게 되는데, 그 배출유량은 최고가 된다.
그리고, 유량조절단계에서는 도6d 및 도6e에 예시한 바와 같이 로터(10)를 반시계방향으로 240°를 단계별로 분할 회전시키면 유량조절판(11)만이 회전되면서 공급유량을 서서히 감소시키게 된다.
다시 말하면, 유량조절판(1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2유량조절구멍(12-1)은 초기에 제1유량조절구멍(11-1)과 완전 일치하다가 서서히그 일치면적이 감소되면서 유체조절홈(11-2)과 접하게 되고, 유량조절판(11)의 제3스토퍼(11-4)가 차단판(12)의 제4스토퍼(12-2)와 접하면 제2유량조절구멍(12-1)과 유체조절홈(11-2)이 완전 격리되어 유체공급이 차단된다.
또한, 유체공급차단단계에서는 도6f에 예시한 바와 같이 계속적으로 로터(10)를 반시계방향으로 75°회전시키게 되면 유량조절판(11)의 제3스토퍼(11-4)가 차단판(12)의 제4스토퍼(12-2)를 밀면서 차단판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차단판(12)의 차단구멍(12-4)이 하부커버(19)의 유체배출구멍(19-1)과 이격되어 유체의 공급이 원천적으로 차단되어지는 도5a와 같은 초기단계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스텝모터의 중앙통로를 따라 공급되는 유체는 스텝모터내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하는 냉각작용을 하게 되고, 공급되는 과정에서 압력손실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구조적인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스텝모터를 이용하여 유량을 단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그 공급유량을 정확하고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고, 유체를 스텝모터의 축방향으로 공급함으로써 유체의 압력손실을 최소화하고, 스텝모터에 대한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유로차단시 유체의 기밀성이 우수하여 가스기기의 적용에 적합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6)

  1. 상부제1,2스테이터(3,5)와 하부제1,2스테이터(13,15)를 각각 내장한 제1,2보빈(4,14)에 전원을 인가하여 로터마그네트(8)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스텝모터를 이용하여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보빈(4)의 상부에 고정 구비된 상부커버(1)의 유체유입구(1-1)를 통해 상기 로터마그네트(8)내에 고정된 로터(10)의 내주면을 거쳐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이 유량조절판(11)의 제1유량조절구멍(11-1)과 유량조절홈(11-2) 그리고 차단판(12)의 제2유량조절구멍(12-1)과 차단구멍(12-4)에 의해 조절되어 상기 제2보빈(14)의 하부에 고정 구비된 하부커버(19)의 유량배출구멍(19-1)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1)의 제1스토퍼(1-2)와 대응되는 제2스토퍼(10-3)에 의해 상기 로터(10)의 회전이 제한되고, 상기 로터(10)의 하부에 키결합된 상기 유량조절판(11)은 서로 대응되는 제3,4스토퍼(11-4,12-2)를 이용하여 상기 차단판(12)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판(11)의 하면에 구비된 유량조절홈(11-2)은 상기 제1유량조절구멍(11-1)과 연통되도록 구성하되 그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12)의 상하면에 각각 형성된 제2유량조절구멍(12-1)과 차단구멍(12-4)은 서로 그 중심축을 달리하도록 구성되면서 그 일부분이 서로 중첩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제2유량조절구멍(12-1)은 제1유량조절구멍(11-1)과 유량조절홈(11-2)에 중첩되지만, 차단구멍(12-4)은 상기 하부커버(19)의 유량배출구멍(19-1)과 중첩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차단판(12)의 내부에서 굴곡된 유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장치.
  6. 로터(10)의 제2스토퍼(10-3)가 상부커버(1)의 제1스토퍼(1-2)에 걸리면서 로터(10)의 반시계방향 회전이 제한되는 초기단계와;
    로터(10)가 시계방향으로 240°회전하게 되면 제3스토퍼(11-4)가 제4스토퍼(12-2)와 접하면서 제1유량조절구멍(11-1)과 제2유량조절구멍(12-1)을 일치시키는 유량조절준비단계와;
    로터(10)가 시계방향으로 75°회전하게 되면 제3스토퍼(11-4)가제4스토퍼(12-2)를 밀게 되면서 차단구멍(12-4)이 유체배출구멍(19-1)과 일치하고, 제1유량조절구멍(11-1)과 제2유량조절구멍(12-1)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를 차단구멍(12-4)을 거쳐 유량배출구멍(19-1)으로 배출하는 개방단계와;
    로터(10)를 반시계방향으로 240°구간내에서 단계별로 분할 회전시키면 유량조절판(11)만이 회전되고, 유체조절홈(11-2)이 제2유량조절구멍(12-1)과 중첩된 상태로 회전이동 되면서 공급유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게 되는 유량조절단계와;
    로터(10)를 반시계방향으로 75°회전시켜 제3스토퍼(11-4)로 제4스토퍼(12-2)를 밀면 차단구멍(12-4)이 유체배출구멍(19-1)과 이격되면서 유체의 공급이 차단되는 유체공급차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방법.
KR10-2002-0063240A 2002-10-16 2002-10-16 유량조절장치 및 방법 KR100455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240A KR100455522B1 (ko) 2002-10-16 2002-10-16 유량조절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240A KR100455522B1 (ko) 2002-10-16 2002-10-16 유량조절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944A KR20040033944A (ko) 2004-04-28
KR100455522B1 true KR100455522B1 (ko) 2004-11-06

Family

ID=37333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3240A KR100455522B1 (ko) 2002-10-16 2002-10-16 유량조절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55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693B1 (ko) * 2013-10-23 2014-10-01 주식회사 그린비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466B1 (ko) * 2013-06-17 2013-10-29 최의택 유량 조절 기능을 갖는 수도기기 장착용 절수장치
KR102136374B1 (ko) * 2019-03-04 2020-07-21 동일기계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히트펌프의 양방향성 팽창밸브
KR102650747B1 (ko) * 2022-01-21 2024-03-26 (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 수액 유량 조절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50691A (en) * 1980-03-28 1981-11-21 Festo Maschf Stoll G Pneumatic throttle device
JPH02119572A (ja) * 1988-10-28 1990-05-07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直流電源装置
JPH11315948A (ja) * 1998-04-30 1999-11-16 Fujikoki Corp 電動流量制御弁
KR200229079Y1 (ko) * 2001-01-30 2001-07-28 (주)메가메디칼 조절밸브
JP2002317880A (ja) * 2001-04-19 2002-10-31 Pacific Ind Co Ltd 電動流量制御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50691A (en) * 1980-03-28 1981-11-21 Festo Maschf Stoll G Pneumatic throttle device
JPH02119572A (ja) * 1988-10-28 1990-05-07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直流電源装置
JPH11315948A (ja) * 1998-04-30 1999-11-16 Fujikoki Corp 電動流量制御弁
KR200229079Y1 (ko) * 2001-01-30 2001-07-28 (주)메가메디칼 조절밸브
JP2002317880A (ja) * 2001-04-19 2002-10-31 Pacific Ind Co Ltd 電動流量制御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693B1 (ko) * 2013-10-23 2014-10-01 주식회사 그린비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WO2015060658A1 (ko) * 2013-10-23 2015-04-30 주식회사 그린비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944A (ko) 200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207609A1 (ja) バルブ装置
US7174971B1 (en)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rotation control device of a pneumatic tool
WO2017208785A1 (ja) バルブ装置
US7458764B2 (en) Nozzle device for a turbocharger and associated control method
KR19980042500A (ko) 밸브장치의 시트 이격장치
KR100455522B1 (ko) 유량조절장치 및 방법
WO2022217783A1 (zh) 多端口阀门、以及具有该多端口阀门的热管理系统
JP7418564B2 (ja) 電子膨張弁
WO2022116550A1 (zh) 一种带有硬密封结构的电磁阀
US4393896A (en) Radial vane gas throttling valve for vacuum systems
KR20230015458A (ko) 작동기 및 리버싱 밸브
JP4566715B2 (ja) ニードルバルブの調芯固定方法
US6962320B2 (en) Flow control device
CN218718830U (zh) 膨胀阀
WO2023274394A1 (zh) 一种电动阀
JPS62126290A (ja) 可逆回転式圧縮機
US20240102561A1 (en) Proportional valve
CN218718828U (zh) 膨胀阀
CN220749118U (zh) 一种阀装置
KR102089525B1 (ko) 반도체 설비용 스로틀 밸브
CN217381700U (zh) 一种气密结构、燃气阀门调节机构和燃气具
CN220016253U (zh) 电动阀、空调器和车辆
CN220828537U (zh) 一种高密封性阀门
CN115560093A (zh) 一种阀芯和电动阀
KR200354108Y1 (ko) 유로 절환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