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4857B1 - 카드조작식쇄정장치 - Google Patents

카드조작식쇄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4857B1
KR100454857B1 KR1019980008197A KR19980008197A KR100454857B1 KR 100454857 B1 KR100454857 B1 KR 100454857B1 KR 1019980008197 A KR1019980008197 A KR 1019980008197A KR 19980008197 A KR19980008197 A KR 19980008197A KR 100454857 B1 KR100454857 B1 KR 100454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or
plunger
card key
original position
releas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8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4534A (ko
Inventor
김석진
장동준
김정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시큐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시큐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시큐어
Priority to KR1019980008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4857B1/ko
Priority to EP99104401A priority patent/EP0942129A3/en
Priority to TW088103481A priority patent/TW425452B/zh
Priority to US09/266,946 priority patent/US6286345B1/en
Priority to CNB991039742A priority patent/CN1154779C/zh
Publication of KR19990074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4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4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48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05B47/067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by disconnecting the handle
    • E05B47/068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by disconnecting the handle axially, i.e. with an axially disengaging coupl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38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using permanent magnets
    • E05B47/0043Mechanical locks operated by cards having permanent magn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611For control and machine elements
    • Y10T70/5646Rotary shaft
    • Y10T70/5673Freely movable when locked
    • Y10T70/5677Shaft-carried clut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611For control and machine elements
    • Y10T70/5757Handle, handwheel or knob
    • Y10T70/5765Rotary or swinging
    • Y10T70/5805Freely movable when lock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70Operating mechanism
    • Y10T70/7051Using a powered device [e.g., motor]
    • Y10T70/7057Permanent magn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70Operating mechanism
    • Y10T70/7441Key
    • Y10T70/7486Single key
    • Y10T70/7508Tumbler type
    • Y10T70/7559Cylinder type
    • Y10T70/7582Sliding plu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70Operating mechanism
    • Y10T70/7441Key
    • Y10T70/7757Push or pull key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onvey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드키에 의하여 작동자가 이동되면 고정프레임에 설치된 회전축이 회전 가능 상태로 되어 회전축이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하여 쇄정장치가 잠기거나 해제되도록 하기 위하여, 작동자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16)와, 작동자가 카드키에 의하여 이동하여 회전축이 회동 가능하여 질 때, 상기 작동자가 원위치로 돌아가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플랜지를 걸어 록킹시키는 걸쇠(18)와, 회전축과 같이 회동하여 상기 걸쇠를 록킹해제위치로 밀어서 작동자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해제편(20)을 구비하여, 카드키가 작동자를 이동시킨 후, 카드키의 유무에 관계없이 작동자가 걸쇠에 의한 록킹상태로 되어 있다가 회전축이 회동하여 쇄정장치를 잠그거나 해제시키게 되면 회전축의 회전에 의하여 움직이는 해제편에 의하여 걸쇠의 록킹이 해제되어 작동자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인 카드조작식 쇄정장치이다. 걸쇠와 플랜지 대신에 플런져(30)와 걸림턱(32)으로 대치하여 구성하여도 된다.

Description

카드조작식 쇄정장치
본 발명은 카드조작식 쇄정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카드키에 의하여 작동자가 이동되면 고정프레임에 설치된 회전축이 회전 가능 상태로 되어 회전축이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하여 쇄정장치가 잠기거나 해제되도록 구성된 카드조작식 쇄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드조작식 쇄정장치에 최근 기술이 한국특허 공고 제90-7221호에 공개되어 있다. 이 특허공보에 기재된 내용은 1986.3.7.자 미국특허출원 제837,528호를 우선권 주장하여 한국에 출원한 것이다.
현재 제품화되고 있는 이 특허공보에 기재된 쇄정장치는 도1,2,3에 개략적으로 보인 바와 같이, 작동자(12)가 고정프레임(11)에 대하여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고, 카드키(10)를 키홀로 삽입하여 밀면 작동자(12)가 이동하고, 작동자가 이동하면 작동자와 일체로 형성된 임펠러(8)가 결합스프링(9)을 잡아 당겨서 결합축(7)을 이동시켜 두 개의 스프라인축(6,6')을 결합시키고, 손잡이(5)를 돌리면 축(6')과 결합된 걸쇠를 작동시켜 문을 해제시키거나 잠기게 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카드키를 삽입하여 누른 후 카드키에 가한 힘을 제거하여도 작동자(12)가 복원스프림(13)의 힘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원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후크캠(4)과 제한스프링(3) 설치되어 있고, 카드키(10)를 빼면 후크캠(4)이 제한스프링(3)과 결합 해제되어 작동자가 복원스프링(13)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원하게 된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카드조작식 쇄정장치는 카드키를 삽입하여 힘을 삽입 방향으로 가하여 작동자를 이동시킨 후, 곧 바로 손잡이를 돌려서 문을 잠그거나 열어야 하며, 만약 손잡이를 돌리기 전에 카드키를 빼어 내면 손잡이를 돌릴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카드키를 카드 슬롯에 그대로 꽂아 둔 채로 방내로 들어가거나 외출하는 경우가 있어서 쇄정장치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드조작식 쇄정장치에 있어서 카드키를 삽입하여 작동자를 이동시킨 후 카드키를 빼어 내어도 손잡이를 돌려서 문을 잠그거나 열어야 하는동작을 1 회 하는 동안은 작동자가 원위치로 복원되지 못하게 하여, 손잡이를 돌리기 전에 카드키를 빼어 내어도 1회에 한하여 손잡이를 돌릴 수 있게 하는 카드조작식 쇄정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드조작식 쇄정장치는, 작동자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와, 작동자가 카드키에 의하여 이동하여 회전축이 회동 가능하여 질 때, 상기 작동자가 원위치로 돌아가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플랜지를 걸어 록킹시키는 걸쇠와, 회전축과 같이 회동하여 상기 걸쇠를 록킹해제위치로 밀어서 작동자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해제편을 구비하여, 카드키가 작동자를 이동시킨 후, 카드키의 유무에 관계없이 작동자가 걸쇠에 의하여 잡혀 있다가 회전축이 소정의 각도 이상 회동하게 되면 회전축에 일체로 부착된 해제편에 의하여 걸쇠의 록킹이 해제되어 작동자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 다른 본 발명에 따른 카드조작식 쇄정장치로는, 작동자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 하부에 설치되고, 스프링으로 부세 된 플런져와, 상기 플런져를 밀고 있다가 일정한 거리 이상 하향하면 튀어 나와 걸리도록 고정프레임에 형성된 걸림턱과, 회전축과 같이 회동하여 상기 플런져를 록킹해제위치로 밀어서 작동자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해제편을 구비하여, 카드키가 작동자를 이동시킨 후, 카드키의 유무에 관계없이 작동자가 플런져에 의한 록킹상태로 되어 있다가 회전축이 회동하여 쇄정장치를 잠그거나 해제시키게 되면 회전축의 회전에 의하여 회동하는 해제편에 의하여 플런져가 원위치로 밀려서 걸림턱과 이탈되고 작동자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된다.
도 1 및 도2는 종래의 카드조작식 쇄정장치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카드조작식 쇄정장치의 작동자 부분 사시도
도4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카드조작식 쇄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7 내지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인 카드조작식 쇄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10 및 도11은 본 발명의 해제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6은 종래의 쇄정장치를 도시한 도 1 내지 3에서 본 발명의 설명의 편리를 위하여 필요한 부분만을 추출하여 간략하게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이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 기술에서의 후크캠과 제한스프링(도 3에서 도면 부호 4 및 3 참조)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도 4 내지 6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작동자(12)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16)와 작동자가 카드키에 의하여 이동하여 회전축이 회동 가능하여 질 때 상기 작동자가 원위치로 돌아가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플랜지를 걸어 록킹시키는 걸쇠(18)를 이용한다.
작동자는 암호 코드를 가지고 있고, 카드키가 이 코드에 일치하는 것일 때에 한하여 카드의 미는 힘에 의하여 움직일 수 있게 된 것으로서, 종래 기술에서 사용하던 것과 같은 것이다. 그리고 작동자에는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지만 임펠러(8)가 형성되어 있고, 이 임펠러는 결합 스프링(9)과 결합되어서 작동자가 하향으로 움직이면 결합 스프링(9)이 결합축(7)을 움직여서 두 개의 스프라인축(6 및 6')을 하나로 결합시키도록 된 점도 같다.
걸쇠(18)는 도10에서 보인 바와 같은 판스프링을 사용한다. 이 판스프링의 형태는 작동자의 플랜지(16)가 걸릴 수 있도록 플랜지와 대응되는 곡률로 걸림턱(19)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쇠는 판스프링 대신 걸림턱을 가진 회동 플레이트를 스프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 걸림 기구를 사용하여도 된다.
걸림턱(19)에 걸린 플랜지(16)를 해제시키기 위하여 걸쇠(18)를 플랜지 반대방향으로 밀어주기위한 해제편(20)이 회전축(14)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다. 이 해제편(20)은 도11에서 보인 바와 같이 원판형으로 되어 있는데, 중앙에 형성된 톱니형 구멍(22)을 통하여 스프라인축에 위치 고정된다. 고정시키는 방법은 억지 끼워 맞춤으로 하거나 위치고정핀(14-1, 14-2)으로 고정시켜도 된다. 도11a는 해제편(20)의 평면도이고 도11b는 도11a의 B-B 선 단면도이고, 도11c는 도11a의 C-C선 단면도이다. 해제편(20)은 산 또는 돌부(21)와 골 또는 요부(23)가 원판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다. 골(23)부분이 걸쇠와 마주하게 될 때는 플랜지(16)가 걸쇠(18)에 걸리게 되고, 산(21)부분이 걸쇠와 마주하게 되면 걸쇠가 밀려서 플랜지가 걸쇠와 이탈하게 된다.
회전축(14)은 도 4 내지 9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지만 도 1에서 보인 종래의 기술과 같이 회전축의 일단에는 손잡이(5)가 부착되어 있고, 타단에는 스프라인축(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스프라인축(6)은 결합스프링(9)의 힘에 의한 결합축(7)의 이동으로 다른 스프라인축(6')와 결합되거나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라인축(6')은 다른 잠금 장치와 연결되어서 도어를 잠그거나 여는 동작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본 쇄정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카드키(10)를 삽입하여 삽입 방향으로 계속 밀면, 카드키가 작동자에 기록되어 있는 코드와 일치하는 코드를 가진 키이면, 작동자(12)가 이동하여 플랜지(16)가 걸쇠(18)의 걸림턱(19)에 걸려서 카드키를 뽑아 내어도 작동자는 그대로 걸려 있게 된다. 즉 도4의 상태에서 도5와 같은 상태로 된다. 그러면 작동자에 형성된 임펠러(8)에 의하여결합스프링(9)은 결합축(7)을 눌러서 손잡이가 붙은 스프라인축(6)과 잠금 장치가 결합된 스프라인축(6')를 결합시키게 되어서 손잡이를 돌리게 되면 잠금 장치를 잠그거나 해제할 수 있게 되다. 손잡이를 돌려서 회전축(14)이 회전하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편의 산(21)부분이 걸쇠(18)를 밀어 주게 되어 걸림턱(19)이 플랜지(16)와 이탈되어 작동자(12)는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회전축에는 축의 회전 토르크가 없어지면 회전축의 회전 량을 원위치 시키는 스프링이 있어서 소정의 잠금 작동이나 해제 작동을 한 후에는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는 다른 실시 예를 도7 내지 9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 내지 9는 종래의 쇄정장치를 도시한 도 1 내지 3에서 본 발명의 설명의 편리를 위하여 필요한 부분만을 추출하여 간략하게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이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번 예에서도 종래 기술에서의 후크캠과 제한스프링(4 및 3)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작동자가 카드키에 의하여 이동하여 회전축이 회동 가능하여 질 때 상기 작동자가 원위치로 돌아가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도 7에서 보인 바와 같이, 작동자에 부착된 플런져(30)와 걸림턱(32)을 이용한다. 그리고 회전축과 같이 회동하여 상기 플런져(30)를 록킹해제위치로 밀어서 작동자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회전축에 설치한 해제편(34)은 도11에서 보인 해제편(20)과 같이 산과 골이 형성된 것이지만, 도4에서 축과의 결합된 형태를 보인 바와 다르게, 즉 해제편(20)을 180도 뒤집은 형태로 된 해제편(34)를 최전축(14)과 결합시킨 것이다. 기타의 구성은 먼저번 실시 예와 같다.
이 카드 조작식 쇄정장치는 작동자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16)하부에 스프링으로 부세 된 플런져(30)를 설치하고, 이 플런져(30)를 밀고 있다가 일정한 거리 이상 하향하면 플런져(30)가 튀어 나와 걸리도록 걸림턱(32)을 고정프레임에 설치하고, 회전축이 일정한 각도(예:60도) 이상 회전하면 플런져(30)를 원래의 위치로 밀어 주는 해제편(34)을 구비한다.
플런져(30)는, 도7내지 9에서 보인 단면과 같이, 플런져통(35)내에 삽입된 스프링(36)에 의하여 걸림턱(32) 방향으로 밀리는 힘을 받도록 설치된다.
해제편(34)은 회전축(14)에 고정 부착된다. 해제편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가 경사진 원판 형태를 가지며, 스프라인축에 고정하기 위하여 중앙에 형성된 축공(22)에는 기어가 형성되어 있다. 또 해제편은 가장자리에 산 또는 돌부(21)와 골 또는 요부(23)가 형성되어 있다. 골(23)부분이 플런져(30)와 마주하게 될 때는 플런져(30)가 걸림턱(32)에 걸리게 되고, 산(21)부분이 플런져(30)와 마주하게 되면 플런져(30)가 밀려서 플런져가 걸림턱(32)에서부터 밀려서 복귀 스프링의 힘으로 작동자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 예에서도 회전축(14)은 도 4 내지 9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지만 도 1에서 보인 종래의 기술과 같이 회전축의 일단에는 손잡이(5)가 부착되어 있고, 타단에는 스프라인축(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스프라인축(6)은 결합스프링(9)의 힘에 의한 결합축(7)의 이동으로 다른 스프라인축(6')와 결합되거나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라인축(6')은 다른 잠금장치와 연결되어서 도어를 잠그거나 여는 동작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쇄정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카드키(10)를 삽입하여 삽입 방향으로 계속 밀면, 카드키가 작동자에 기록되어 있는 코드와 일치하는 코드를 가진 키이면 작동자(12)가 이동하여 플런져(30)가 걸림턱(32)에 걸려서 카드키를 뽑아 내어도 작동자는 그대로 걸려 있게 된다. 즉 도7의 상태에서 도8의 상태로 된다. 그러면 작동자에 형성된 임펠러(8)에 의하여 결합스프링(9)은 결합축(7)을 밀어서 손잡이가 붙은 스프라인축(6)과 잠금 장치가 결합된 스프라인축(6')를 결합시키게 되어서 손잡이를 돌리게 되면 잠금 장치를 잠그거나 해제할 수 있게 되다. 손잡이를 돌려서 회전축(14)이 일정한 각도(예:60도) 이상 회전하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편(34)의 산(21)부분이 플런져(30)를 밀어 주게 되어 플랜지(30)가 걸림턱(32)에서 이탈되어 작동자(12)는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회전축에는 축의 회전 토르크가 없어지면 회전축의 회전 량을 원위치 시키는 스프링이 있어서 소정의 잠금 작동이나 해제 작동을 한 후에는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있다.
종래의 카드조작식 쇄정장치는 카드키를 삽입하여 작동자를 이동시킨 후, 곧 바로 손잡이를 돌려서 문을 잠그거나 열어야 하며, 만약 손잡이를 돌리기 전에 카드키를 빼어 내면 손잡이를 돌릴 수 없게 되고, 카드키를 카드 슬롯에 그대로 꽂아 둔 것을 잊고 방내로 들어가거나 외출하는 경우가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카드키를 삽입하여 작동자를 이동시킨 후 카드키를 빼어 내어도 손잡이를 돌려서 문을 잠그거나 열어야 하는 동작을 1 회 하는 동안은 작동자가 원위치로 복원되지 못하게되어 있으므로, 카드키를 삽입하여 작동자를 이동시킨 후 카드키를 빼어 내서 소지한 상태에서 문을 열거나 잠가서 카드키를 카드키 슬롯에 그대로 두는 일은 없어진다.

Claims (4)

  1. 카드키(10)에 의하여 작동자(12)가 이동되면 고정프레임에 설치된 회전축(14)이 회전 가능 상태로 되어 회전축이 일정한 각도 만큼 회전하여 쇄정장치가 잠기거나 해제되도록 구성된 카드조작식 쇄정장치로서,
    작동자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16)와,
    작동자가 카드키에 의하여 이동하여 회전축이 회동 가능하여 질 때, 상기 작동자가 원위치로 돌아가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플랜지를 걸어 록킹시키는 걸쇠(18)와,
    회전축과 같이 회동하여 상기 걸쇠를 록킹해제위치로 밀어서 작동자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해제편을 구비하여,
    카드키가 작동자를 이동시킨 후, 카드키의 유무에 관계없이 작동자가 걸쇠에 의한 록킹상태로 되어 있다가 회전축이 회동하여 쇄정장치를 잠그거나 해제시키게 되면 회전축의 회전에 의하여 움직이는 해제편에 의하여 걸쇠의 록킹이 해제되어 작동자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인 카드조작식 쇄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쇠(18)는 작동자의 플랜지(16)를 걸어주기위한 걸림턱(19)을 가지고, 고정프레임(11)에 부착된 판스프링이고,
    상기 해제편은 회전축(14)에 고정 부착되고 가장자리가 경사진 산부분과 골부분을 가진 원판형태를 가지며, 회전축이 잠금장치를 해제하는 위치로 회전하였을 때, 상기 해제편의 가장자리의 산부분이 상기 걸쇠(18)를 밀어서 플랜지(16)와 걸쇠를 분리하게 되고, 회전축이 원위치로 다시 회동하면 걸쇠(18)가 원위치 될 수 있도록 해제편의 골부분이 걸쇠와 마주하게 되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인 카드조작식 쇄정장치.
  3. 카드키(10)에 의하여 작동자(12)가 이동되면 고정프레임에 설치된 회전축(14)이 회전 가능 상태로 되어 회전축이 일정한 각도 만큼 회전하여 쇄정장치가 잠기거나 해제되도록 구성된 카드조작식 쇄정장치로서,
    작동자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16)하부에 설치되고, 스프링으로 부세된 플런져(30)와,
    상기 플런져(30)를 밀고 있다가 일정한 거리 이상 하향하면 튀어 나와 걸리도록 고정플레임에 형성된 걸림턱(32)과,
    회전축과 같이 회동하여 상기 플런져(30)을 록킹해제위치로 밀어서 작동자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해제편을 구비하여,
    카드키가 작동자를 이동시킨 후, 카드키의 유무에 관계없이 작동자가 플런져(30)에 의한 록킹상태로 되어 있다가 회전축이 회동하여 쇄정장치를 잠그거나 해제시키게 되면 회전축의 회전에 의하여 회동하는 해제편에 의하여 플런져(30)가 원위치로 밀려서 걸림턱(32)와 이탈되고 작동자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인 카드조작식 쇄정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플런져(30)는 플런져통(35)내에 삽입된 스프링(36)에 의하여 걸림턱(32) 방향으로 밀리는 힘을 받도록 설치되고,
    상기 해제편은 회전축(14)에 고정 부착되고, 가장자리에 산부분과 골부분이 형성된 원판 형태를 가지며, 회전축이 잠금장치를 해제한 위치로 회전하였을 때 상기 해제편의 산부분이 상기 플런져(30)을 밀어서 걸림턱(32)과 분리되게하고, 회전축이 원위치로 다시 회동하면 상기 플런져(30)가 다시 튀어 나올수 있도록하기위하여 해제편의 골부분이 플런져와 마주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인 카드조작식 쇄정장치.
KR1019980008197A 1998-03-12 1998-03-12 카드조작식쇄정장치 KR100454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8197A KR100454857B1 (ko) 1998-03-12 1998-03-12 카드조작식쇄정장치
EP99104401A EP0942129A3 (en) 1998-03-12 1999-03-04 Card locking device
TW088103481A TW425452B (en) 1998-03-12 1999-03-06 Card locking device
US09/266,946 US6286345B1 (en) 1998-03-12 1999-03-12 Card locking device
CNB991039742A CN1154779C (zh) 1998-03-12 1999-03-12 卡锁定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8197A KR100454857B1 (ko) 1998-03-12 1998-03-12 카드조작식쇄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4534A KR19990074534A (ko) 1999-10-05
KR100454857B1 true KR100454857B1 (ko) 2005-01-13

Family

ID=19534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8197A KR100454857B1 (ko) 1998-03-12 1998-03-12 카드조작식쇄정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86345B1 (ko)
EP (1) EP0942129A3 (ko)
KR (1) KR100454857B1 (ko)
CN (1) CN1154779C (ko)
TW (1) TW4254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673B1 (ko) * 2006-11-30 2007-09-07 주식회사 케이코하이텍 도어록킹장치
US8210008B2 (en) * 2008-08-08 2012-07-03 Lear Corporation Ignition module with multi-beam spring
JP2010095970A (ja) * 2008-10-20 2010-04-30 Elm International:Kk 扉の解錠・施錠装置
EP3351711A1 (en) * 2017-01-24 2018-07-25 Tunstall Nordic AB A door handle device and a door comprising such a door handle device
US11920378B2 (en) * 2019-04-05 2024-03-05 dormakaba USA, Inc Electronic lock
CN112208769B (zh) * 2020-09-25 2022-11-04 中国直升机设计研究所 一种直升机外吊挂货物挂钩收纳存放可调式锁闭机构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2703A (en) * 1956-01-31 noregaard
US2593573A (en) * 1948-01-22 1952-04-22 Sargent & Co Door latch
US2704934A (en) * 1951-01-22 1955-03-29 Nilsson Fabian Key controlled tumbler lock
US3271983A (en) * 1964-07-14 1966-09-13 Schlage Lock Co Magnetic locking device and method of combinating the same
GB1188747A (en) * 1968-09-24 1970-04-22 Walter Warren Barney Magnet Controlled Lock.
DE2123850C3 (de) * 1971-05-13 1981-01-08 Noel Litvin Flachschlüsselbetätigbares Türschloß
US4475364A (en) * 1981-08-17 1984-10-09 Claire D. Frank Door-barring lock apparatus
US4676083A (en) * 1986-03-07 1987-06-30 Sedley Bruce S Locking mechanism with actuator
DE4091347T (ko) * 1989-08-10 1992-06-25
DE4001153A1 (de) * 1990-01-17 1991-07-18 Schulte Schlagbaum Ag Magnetkartenschloss mit schluesselkarte
DE4002092A1 (de) * 1990-01-25 1991-08-01 Schulte Schlagbaum Ag Schloss mit durch einschieben einer bereichsweise magnetisierten schluesselkarte freizugebender schliessfunktion
US5469723A (en) * 1990-07-25 1995-11-28 Litwin; Noel Safety locks
KR0137881B1 (ko) * 1994-11-17 1998-06-15 김경수 카드키를 이용한 시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86345B1 (en) 2001-09-11
CN1154779C (zh) 2004-06-23
CN1238419A (zh) 1999-12-15
EP0942129A2 (en) 1999-09-15
EP0942129A3 (en) 2002-03-06
TW425452B (en) 2001-03-11
KR19990074534A (ko) 199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5453A (en) Cylinder lock
JP2742553B2 (ja) ロック
JPH0662150U (ja) 引出し回転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US5285667A (en) Cylinder lock
KR100454857B1 (ko) 카드조작식쇄정장치
US3485069A (en) Lock mechanisms and keys therefor
EP0978608A1 (en) Cylinder lock mechanism
JPS6365538B2 (ko)
US20220243498A1 (en) Catch mechanism for a locking device
JPS5921129B2 (ja) キ−スイツチ
GB1572366A (en) Latch device
JP2883609B1 (ja) デッドボルト付きラッチ装置
JP3090356B2 (ja) シリンダ錠
JP3648318B2 (ja) 戸先錠
KR200202460Y1 (ko) 도어록의 백세트
JP4438105B2 (ja) 本締り錠における防犯装置
KR200446702Y1 (ko) 문잠금장치의 손잡이 고정용 리테이너
JPH0636200Y2 (ja) 引出し回転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GB2143572A (en) A lock for use both as a latch and a deadlock for a door
JP4291981B2 (ja) 錠装置
KR100280927B1 (ko) 자물쇠 장치
GB2214968A (en) Door lock with automatically engaging cylindrical bolt
JPS58117182A (ja) ドア錠の非常解錠装置
JP4219143B2 (ja) 扉錠装置
JP2980251B2 (ja) シリンダ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