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4183B1 - 기초대사량 측정용 장치 - Google Patents

기초대사량 측정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4183B1
KR100454183B1 KR10-2001-0059483A KR20010059483A KR100454183B1 KR 100454183 B1 KR100454183 B1 KR 100454183B1 KR 20010059483 A KR20010059483 A KR 20010059483A KR 100454183 B1 KR100454183 B1 KR 100454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bolic rate
ffm
subject
age
bas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9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7177A (ko
Inventor
고다마미유키
사토히토시
사카타가즈히코
헤임스필드스티븐비.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타니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타니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타니타
Publication of KR20020027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7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4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41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7Measuring body composition by impedance, e.g. tissue hydration or fat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62Apparatus with built-in sensors
    • A61B2560/0468Built-in electr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기초대사량 측정용 장치는 개인 데이터, 예를 들어 피험자의 연령을 입력하는 디바이스; 피험자의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디바이스; 개인 데이터 및 임피던스를 기초로 하여 제지방량을 계산하는 디바이스; 및 연령의 역수 및 제지방량을 기초로 하여 피험자의 기초대사량을 계산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기초대사량은 BMR = A×FFM + B×(1/연령) + C로 표현되는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는데, 여기에서 BMR은 기초대사량(kcal/일)이고, FFM은 제지방량(kg)이고, A,B,C는 상수이다.

Description

기초대사량 측정용 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BASAL METABOLISM}
본 발명은 피험자의 기초대사량을 결정하는 것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제지방량을 사용하는 기초대사량 측정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싼 대규모의 장치가 피험자의 정확한 기초대사량을 측정하기 위해 보통 필요하다. 또한, 많은 부하 및 측정 조건이 요구되고, 피험자는 안면마스크 및 마우스피스를 착용한 채로 장시간동안 휴식을 취해야 한다. 또한, 오직 전문의만이 측정 장치를 조작할 수 있고 그 측정 결과를 평가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일반적인 사람들은 그들 자신의 기초대사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그들 자신의 테스트를 거의 실행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해서, 대부분의 경우에 통계적으로 표준인 기초대사량 값이 기초대사량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일본에서, 통계적으로 표준인 기초대사량은 보건복지부의 공공의료국에 따른 성 및 연령에 기초한 기초대사량의 기준값을 체중으로 곱함으로써 얻어진다. 이러한 표준 값은 비만증과 기초대사량 사이의 관계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사용된다.
그러나, 기초대사량은 실제 체중보다는 오히려 제지방량에 정비례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지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조성은 강한 효과적인 인자이기 때문에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된 기초대사량은 표준 체형 및 표준 체조성을 갖는 사람에게 적당하다. 그러나, 기초대사량의 계산값은 과중한 체중 및 과다한 지방을 갖는 피크닉(pycnic) 타입의 사람(즉, 고지방율을 갖는 사람)에게 있어서 기초대사량의 관찰값보다 더 높은 경향이 있다. 또한, 기초대사량의 계산값은 마르고 근육질의 사람(즉, 저지방율을 가진 사람)에게 있어서 기초대사량의 관찰값보다 더 낮은 경향이 있다. 따라서, 상기 기초대사량을 계산하는 방법은 비만에 대해 지도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기초대사량이 제지방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표현된 공식은 비만 연구를 위한 북미 협회(North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Obesity)와 같은 외국 영양 과학 협회에서 사용된다.
BMR = A×FFM + B
여기에서 BMR은 기초대사량(kcal/일)이고, FFM은 제지방량(kg)이고, A,B는 상수이다. 기초대사량 및 제지방량 사이의 관계는 도 2의 직선으로 도시되었다. 도 2의 곡선으로 도시된 것은 BMR = A×FFM2+B×FFM+C에 의한 관계를 나타난 것이나, 이러한 공식은 잘 사용되지 않는다. 상기 직선으로 나타난 공식은 0.824의 상관계수를 산출하고, 이것은 이 공식이 관찰된 결과와 밀접하게 상관한다는 것을 도시한다. 그러나, 상기 공식에서 얻어진 기초대사량은 성인에게 적용되지만 성장기의 아이들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 또한, 이 공식으로 계산된 값은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해 측정된 결과에 따른, 저지방량을 갖는 사람, 특히 어리고 마른 여성에게서 관찰된 값보다 더 낮은 경향이 있다. 따라서, 기초대사량의 관찰값과 더 정확하게 상관하는 계산값을 제공하는, 향상된 기초대사량 계산용 장치가 필요하고, 그럼으로써 피크닉 타입의 사람 및 또한 아이들을 위한 다이어트 및 운동에 관한 지도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필요가 기초대사량 측정용 장치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충족된다. 이 장치는 개인 데이터, 예를 들어 피험자의 연령을 입력하는 디바이스; 피험자의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디바이스; 개인 데이터 및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제지방량을 계산하는 디바이스; 및 연령의 역수 및 제지방량에 기초하여 피험자의 기초대사량을 계산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제지방량에 더하여 기초대사량을 결정하는 인자로서 연령의 역수를 더함으로써 본 발명은 기초대사량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산술적인 방법의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 기초대사량은 BMR = A×FFM + B×(1/연령) + C 로 표현되는 공식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는데, 여기에서 BMR은 기초대사량(kcal/일)이고, FFM은 제지방량(㎏)이고, A,B,C는 상수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라서, 디바이스는 BMR = A×FFM2+ B×FFM + C×(1/연령) + D로 표현되는 공식을 사용하여 기초대사량을 계산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 BMR은 기초대사량(kcal/일)이고, FFM은 제지방량(kg)이고, A,B,C,D는 상수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개인 데이터, 예를 들어 피험자의 연령 및 체중을 입력하는 디바이스; 피험자의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디바이스; 개인 데이터의 역수 및 임피던스를 기초로 하여 제지방량을 계산하는 디바이스; 및 연령, 체중 및 제지방량을 기초로 하여 피험자의 기초대사량을 계산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기초대사량을 결정하는 인자로서 연령 및 체중 모두를 더함으로써, 본 발명은 기초대사량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 산술적 방법의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 기초대사량은 BMR = A×FFM + B×(1/연령) + C×체중 + D로 표현되는 공식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는데, 여기에서 BMR은 기초대사량(kcal/일)이고, FFM은 제지방량(kg)이고, A,B,C,D는 상수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서, 기초대사량은 BMR = A×FFM2+ B×FFM + C×(1/연령) + D×체중 + E로 표현되는 공식으로 계산될 수 있는데, 여기에서 BMR은 기초대사량(kcal/일)이고, FFM은 제지방량(kg)이고, A,B,C,D,E는 상수이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피험자의 체중이 입력 디바이스에 수동으로 입력되는 체중계가 없는 휴대용 장치이다. 대안으로, 피험자의 체중은 체중을 측정하는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로서 입력될 수 있다. 더욱이, 체지방 측정 어셈블리는 체중계에 부착될 수 있고 피험자의 체중은 임피던스가 측정됨과 동시에 신호로서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장점은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들에게 용이하게 명백해질 것이고, 여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만이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상의 모드를 단지 예시함으로써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이해될 것처럼, 본 발명은 또 다른 상이한 실시예를 실행할 수 있고, 그 몇가지 상세한 설명이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 없이 다양한 명백한 태양에서 모두 수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면 및 설명은 예시로서 여겨져야 하고 제한하는 것으로 여겨져서는 안된다.
도 1은 기초대사량의 관찰값 및 기초대사량의 계산값 사이의 차와 지방율과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2는 제지방량 및 기초대사량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3은 기초대사량의 기준값 및 연령과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4는 체중에 대한 기초대사량 및 연령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5는 기초대사량의 계산값 및 기초대사량의 관찰값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6은 기초대사량의 관찰값 및 기초대사량의 계산값 사이의 차와 제지방량과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7은 기초대사량의 계산값 및 기초대사량의 관찰값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8은 기초대사량의 관찰값 및 기초대사량의 계산값 사이의 차와 제지방량과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9는 기초대사량의 계산값 및 기초대사량의 관찰값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10은 기초대사량의 계산값 및 기초대사량의 관찰값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그래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초대사량을 측정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장치의 외형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초대사량을 측정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장치의 전기 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초대사량을 측정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장치의 플로우차트, 및
도 14 내지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상의 디스플레이의 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기초대사량 측정용 장치는 피험자의 연령을 포함하는 개인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력 디바이스; 상기 피험자의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측정 디바이스; 상기 입력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개인 데이터 및 상기 측정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제지방량을 결정하는 제지방량 계산 디바이스; 및 상기 제지방량 계산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제지방량 및 상기 입력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연령의 역수를 사용하여 상기 피험자의 기초대사량을 결정하는 기초대사량 계산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초대사량 측정용 장치는 피험자의 연령 및 체중을 포함하는 개인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력 디바이스; 상기 피험자의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측정 디바이스; 상기 측정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임피던스 및 상기 입력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개인 데이터의 역수를 사용하여 제지방량을 결정하는 제지방량 계산 디바이스; 및 상기 제지방량 계산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제지방량 및 상기입력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연령 및 상기 체중을 사용하여 상기 피험자의 기초대사량을 결정하는 기초대사량 계산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명자는 보건복지부의 공공의료국에 의해 제공된 기초대사량의 값을 관찰한 결과 이러한 값들이 피험자의 연령에 반비례한다고 단정하였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명자는 체중 당 기초대사량이 연령에 반비례한다는 것을 독자적으로 관찰하였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발명자는 제지방량에 더하여 연령의 역수를 기초대사량을 계산할 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기초대사량을 BMR = A×FFM + B×(1/연령) + C 로 나타나는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여기에서 BMR은 기초대사량(kcal/일)이고, FFM은 제지방량(㎏)이고, A,B,C는 상수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A=7.38, B=2683.40, C=190.55 이다. 그러나, 이 공식은 미터 측정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종류의 측정 시스템값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된 공식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기초대사량 및 관찰된 기초대사량 사이의 상관계수는 0.870이다. 이 관찰값은 내쉬어진 공기를 분석하여 얻어졌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지방량에 대한 관찰값 및 계산값 사이의 차는 종래 데이터의 절반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대사량의 계산값은 극히 낮은 제지방량을 갖는 신체에서의 관찰값보다 더 낮은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제지방량에 더하여 그 제곱 및 연령의 역수가 기초대사량을 계산할 때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기초대사량을 BMR = A×FFM2+ B×FFM + C×(1/연령) + D로 표현되는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여기에서 BMR은 기초대사량(kcal/일)이고, FFM은 제지방량(kg)이고, A,B,C,D는 상수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A=-0.036, B=5.83, C=2811.50, D=621.90이다. 그러나, 이 공식은 미터 측정 시스템값을 사용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종류의 측정 시스템값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식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기초대사량 및 관찰된 기초대사량 사이의 상관계수는 0.88이다. 이 관찰값은 내쉬어진 공기를 분석함으로써 얻어졌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지방향에 대한 관찰값 및 계산값 사이의 차는 거의 동일하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특히 젊고 마른 여성 및 아이들에게 있어 기초대사량의 계산값이 낮은 제지방량을 갖는 신체에서의 기초대사량의 관찰값보다 더 낮다는 것을 인지하였다. 그런 점에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제지방량에 더하여 연령의 역수 및 체중이 기초대사량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기초대사량을 BMR = A×FFM + B×(1/연령) + C×체중 + D로 표현되는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여기에서 BMR은 기초대사량(kcal/일)이고, FFM은 제지방량(kg)이고, A,B,C,D는 상수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A=5.12, B=3745.90, C=5.89, D=95.90 이다. 그러나 이 공식은 미터 측정 시스템값을 사용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종류의 측정 시스템값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식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기초대사량 및 관찰된 기초대사량 사이의 상관계수는 0.879이다. 이 관찰값은 내쉬어지는 공기를 분석함으로써 얻어졌다. 제지방량에 대한 관찰값 및 계산값 사이의 차는 도 6에 도시된 데이터의 절반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대사량의 계산값은 극히 낮은 제지방량을 갖는 신체내의 기초대사량의 관찰값 보다 더 낮은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제지방량에 더하여 그 제곱 및 연령의 역수가 기초대사량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기초대사량이 BMR = A×FFM2+ B×FFM + C×(1/연령) + D×체중 + E로 표현되는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여기에서 BMR은 기초대사량(kcal/일)이고, FFM은 제지방량(kg)이고, A,B,C,D,E는 상수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A=-0.041, B=1.788, C=3821.99, D=5,269, E=523.95이다. 그러나, 이 공식은 미터 측정 시스템 값을 사용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종류의 측정 시스템 값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식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기초대사량 및 관찰된 기초대사량 사이의 상관계수는 0.88이다. 이 관찰값은 내쉬어진 가스를 분석함으로써 얻어졌다. 제지방량에 대한 관찰값 및 계산값은 실질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데이터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는 안정시의 내쉬는 숨의 산소 섭취량과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으로부터 기초대사를 구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이용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지방량, 연령 및 체중에 대한 값은 기초대사량을 계산하기 위해 필요하다. 따라서, 기초대사량은 예를 들어 체중값을 수동으로 입력하는 체지방 측정 장치 또는 체중계가 부착된 상업적으로 유용한 체지방 측정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을 바꿈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제지방량을 결정하는 임의의 방법이 본 발명과 함께 사용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생체 임피던스 분석 방법(BIA 방법), DEXA 방법, 캘리퍼스를 사용하는 방법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기초대사량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상기 장치의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장치는 체중계에 부착된 체지방 측정 어셈블리 및 기초대사량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의 조합체이다. 이 장치 본체(1)는 베이스부(2) 및 플랫폼(3)을 포함한다. 작동중에, 피험자가 플랫폼(3)에 올라 피험자의 체중은 측정될 수 있지만, 체중을 측정하는 다른 방법이 체중을 측정하는 분야에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이 플랫폼(3)은 체지방을 측정할 수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지방 측정 어셈블리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전극은 플랫폼(3)의 상표면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전극(4a,5a)은 전류에 대한 전극이고 각각은 좌측 및 우측 발에 사용된다. 전극(4b,5b)은 전압 측정용이고 각각 좌측 및 우측 발에 사용된다.
또한 플랫폼은 피험자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7) 및 디스플레이부(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 디스플레이부(6) 및 입력부(7)는 플랫폼(3)의 상표면의 전방 부분에 제공된다. 이 입력부(7)는 데이터를 결정하는 설정키(8), 데이터의 값을 낮추는 다운 키(9), 데이터의 값을 올리는 업 키(10), 및 개인 키(12)를 포함할 수 있다.
개인 키(12)는 상기 장치 본체(1)의 베이스부(2)의 전방부에 제공될 수 있다. 이 키(12)는 특정 키(12)가 눌려질 때 각 피험자에 대한 개인 데이터를 불러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3개의 개인 키가 본 실시예에서 예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방식에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수의 키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키 또는 4개의 키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구조가 체중계가 부착된 종래의 체지방 측정 어셈블리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 구조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기초대사량 측정에 사용하기 위한 도 11에 도시된 장치(1)의 전기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2에 사용된 부재번호는 도 11에 도시된 동일한 부분을 나타낸다. 다양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부(15)는 전력 공급 스위치(16)를 통해서 배터리(17)와 연결될 수 있다. 이 프로세서부(15)는 당업분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다른 전원을 통해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고주파 전류 공급부(18)는 프로세서부(15)에 연결될고, 또한 전류 공급부(18)는 전극(4a,5a)에 연결된다. 전압 검출부(19) 역시 프로세서부(15)에 연결되고, 또한 전극(4b,5b)에 연결된다. 또한 이 프로세서부(15)는 체중을 측정하는 측정부(20), 입력부(7), 디스플레이부(6), 및 처리할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부(21)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의 작동의 예는 도 13에 도시된 플로우차트 및 도 14 내지 도 2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의 예와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처음에, 도 12에 도시된 전력 공급 스위치(16) 또는 개인 키(12)중 하나는 전력 공급을 초기화하기 위해 턴 온된다. 전력이 공급된 후에, 디스플레이부(16)등은 단계 S1에서 초기화된다. 그후에 단계 S2에서, 전력 공급 스위치를 턴 오프하는 자동 파워 오프 타이머(예를 들어, 30초)가 설정되어 신호는 단계 S3로 들어간다. 설정키(8)가 턴 온 되었는지 또는 턴 오프되었는지는 단계 S3에서 결정된다. 설정키(8)가 턴 오프되었을 때, 전형적인 체중 측정 모드는 작동하고 체중을 측정하기 위해 피험자가 플랫폼(3)에 오르도록 요구하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데, 이것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4이다.
피험자가 플랫폼(3)에 오를 때, 체중에 관한 데이터는 단계 S5와 같이 측정부(20)로부터 프로세서부(15)로 전송된다. 이것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6에서 디스플레이부(6)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자동 파워 오프 타이머가 단계 S7에서 타임 아웃될 때까지 계속된다. 자동 파워 오프 타이머가 타임 아웃될 때, 파워 공급 스위치는 단계 S8에서 턴 오프된다.
설정키(8)가 단계 S3에서 턴 온 될 때, 신호는 단계 S9로 들어가 설정키(8)가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었는지를 결정될 수가 있다. 설정키(8)가 턴 온 되지 않을 때, 턴 온 된 개인 키(12; 번호 1 내지 번호 3까지)중 하나에 상응하는 신장 및 연령과 같은 개인 데이터가 메모리부(21)로부터 호출되고 이러한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6)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단계 S10). 그다음, 체중은 단계 S4 및 단계 S5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단계 S11 및 단계 S12에서 측정된다. 또한, 임피던스가 단계 S13에서 측정된다. 임피던스의 측정이 종래의 체지방 측정 어셈블리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체지방율 및 제지방량(FFM)이 단계 S14에서 임피던스, 체중 및 개인 데이터로부터 얻어진다. 더욱이, 일상활동의 강도가 고려되는 소모 에너지의 전체 양및 기초대사량이 상기 산술적인 표현에 기초하여 얻어진다. 복수의 산술적 표현이 있기 때문에, 이 산술적 표현은 측정 장치의 정확도, 비용등에 따라 적합하게 선택될 수 있다.
단계 S15에서, kg 체중 당 기초대사량의 계산값은 (a)보건복지부에 의해 표시된 연령에 따른 kg 체중 당 기초대사량의 값보다 10%이상 더 낮거나(단계 S16), (b)10% 이상 더 높거나(단계 S17), 또는 (c)상기 2개의 그룹 사이에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단계 S18).
단계 S15에서 상기 계산값이 10% 이상 더 낮을 때, 마크는 3개의 패턴 중 비만의 성향의 신체를 나타내는 부분에서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3개의 패턴은 비만의 성향이 있는 신체, 표준 신체, 및 마른 성향의 신체를 포함한다. 단계 S16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다른 정보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 체중, 연령, 체지방율, 기초대사량 및 소모 에너지의 전체 양을 포함한다.
10% 이상 더 낮은 값에서, 피험자의 kg 체중 당 기초대사량의 값은 보건복지부에 의해 표시된 기초대사량의 값보다 더 낮다. 따라서, 소모 에너지의 양이 낮다면, 피험자가 다른 사람들과 같이 음식으로부터 동일한 칼로리를 섭취하였을 때, 칼로리의 일부는 신진대사되지 않고 신체에 누적되게 된다. 이것은 지방이 누적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소모 에너지의 전체 양은 아래에 설명되는 일상활동의 강도를 고려하는 기초대사량에 의해 얻어진다.
그러나, 단계 S15에서 계산되는 기초대사량이 10% 이상 더 높을 때, 피험자는 보통 강한 근육을 가진 에너지 소비가 높은 사람이다. 따라서, 피험자가 다른 사람들과 같이 음식으로부터 동일한 칼로리를 섭취할 때, 많은 양의 칼로리가 소비되고 신체내에 누적되지 않는다. 이것은 더 이상 지방이 증가하지 않거나 지방이 감소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 때에, 마크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7에서 비만이 아닌 성향의 신체를 표시하는 부분에서 디스플레이된다.
단계 S15에서 계산된 기초대사량이 보건복지부에 의해 표시된 기초대사량의 값의 -10% 및 +10%의 사이에 있는 피험자는 표준인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마크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8에서 표준 신체를 나타내는 부분에서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자동 파워 오프 타이머가 단계 S19,S20,S21에서 타임 아웃될 때까지 계속된다. 이 자동 파워 오프 타이머가 타임 아웃될 때, 전력 공급 스위치는 단계 S22,S23,S24에서 턴 오프된다.
평가용 기초대사량의 상기 기준 값 및 기초대사량의 계산값 사이의 차의 범위는 단지 예일 뿐이다. ±15% 및 ±20%와 같은 범위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는 이러한 3개 단계 디스플레이로 제한되지 않고 수정될 수도 있다.
그다음, 설정키(8)가 단계 S9에서 턴 온 되는 것으로 판정될 때, 신호는 단계 S25로 들어가서 개인 데이터 입력 모드가 작동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 이 장치가 초기에 처음으로 얻어져 사용될 때, 개인 데이터 입력 모드는 자동적으로초기화될 수 있고, 그래서 이전에 입력되지 않았던 개인 입력을 얻을 수 있다.
단계 S25에서, 신장의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초기값, 예를 들어 160㎝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된다. 이 신장 값은단계 S26에서 업 키(10) 및 다운 키(9)를 사용하여 피험자에 대해 설정될 수 있다. 그후에, 설정키(8)는 단계 S27에서 눌려져 신호는 다음 단계 S28로 들어간다. 설정키(8)가 눌려지지 않았다면,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았기 때문에 설정키(8)가 턴 온 되는 것을 기다리기 위해 더 이상 진행하지 않는다.
단계 S28에서, 연령의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초기값, 예를 들어 30살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된다. 단계 S29, 단계 S30에서, 연령을 입력하는 프로세스는 신장을 입력하는 프로세스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서, 보건복지부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1에서 4까지의 범위의 일상활동의 강도는 단계 S31에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될 수 있다. 그후에 단계 S14에서 일일 소모 에너지의 전체 양은 일상활동의 강도의 값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단계 S32, 단계 S33에서, 일상활동의 강도를 입력하는 프로세스는 신장을 입력하는 프로세스와 동일할 수 있다.
단계 S34 내지 단계 S36에서, 피험자의 상기 입력된 데이터는 장치 본체(1)의 전방부상에 제공된 개인 키(12)중 하나를 사용하여 저장될 수 있다. 이 데이터는 개인 키(12)의 번호를 입력함으로써 메모리부(21)내에 저장된다. 그후에, 단계 S10에서, 이 개인 데이터는 개인 키(12)의 이러한 번호를 누름으로써 디스플레이부(6)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단계 S36에서 저장이 완료된 후에, 신호는 단계 S11 이전 프로세스로 들어가고, 그후에 이것은 측정 모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모드가 측정 모드로 들어가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이러한 방식에 제한되지 않고 입력 모드는 측정 모드로 들어가기 위해 요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술된 형태로 수행되고 제지방량에 더하여 연령의 역수를 사용함으로써 기초대사량 계산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과 같은 장점을 포함한다. 또한 기초대사량은 BMR = A×FFM + B×(1/연령) + C로 표현되는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고, 그래서 관찰값에 상응하는 기초대사량의 값이 얻어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 BMR은 기초대사량(kcal/일)이고, FFM은 제지방량(kg)이고, A,B,C는 상수이다. 더욱이, 기초대사량은 BMR = A×FFM2+ B×FFM + C×(1/연령) + D로 표현되는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고, 그래서 관찰값에 한층 더 상응하는 기초대사량의 값이 얻어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 BMR은 기초대사량(kcal/일)이고, FFM은 제지방량(kg)이고, A,B,C,D는 상수이다.
기초대사량의 정확도는 제지방량에 더하여 연령의 역수 및 체중을 사용함으로써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기초대사량은 BMR = A×FFM + B×(1/연령) + C×체중 + D로 표현되는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고, 그래서 관찰값에 상응하는 기초대사량의 값이 얻어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 BMR은 기초대사량(kcal/일)이고, FFM은 제지방량(kg)이고, A,B,C,D는 상수이다. 더욱이, 기초대사량은 BMR = A×FFM2+ B×FFM + C×(1/연령) + D×체중 + E로 표현되는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고, 그래서 관찰값에 더욱 상응하는 기초대사량의 값이 얻어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 BMR은 기초대사량(kcal/일)이고, FFM은 제지방량(kg)이고, A,B,C,D,E는 상수이다.
본 발명은 종래 방법 및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장치 및 방법의 상세한 사항은 여기에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았다. 이전 설명에서, 수많은 구체적 상세한 설명이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설명된 상세한 설명에 의지함없이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다른 예에서, 주지된 처리 구조 및 방법은 본 발명을 불필요하게 흐리게 하지 않기 위해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뿐 만 아니라 몇가지 융통성있는 예가 본 발명의 발표에서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조합 및 환경을 사용할 수 있고 여기에 설명된 본 발명의 개념의 범위내에서의 변형 및 수정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9)

  1. 기초대사량 측정용 장치에 있어서,
    피험자의 연령을 포함하는 개인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력 디바이스;
    상기 피험자의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측정 디바이스;
    상기 입력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개인 데이터 및 상기 측정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제지방량을 결정하는 제지방량 계산 디바이스; 및
    상기 제지방량 계산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제지방량 및 상기 입력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연령의 역수를 사용하여 상기 피험자의 기초대사량을 결정하는 기초대사량 계산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대사량은 BMR = A×FFM + B×(1/연령) + C로 표현되는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되고, 여기에서 BMR은 기초대사량이고, FFM은 제지방량이고, A,B,C는 상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대사량은 BMR = A×FFM2+ B×FFM + C×(1/연령) + D로 표현되는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되고, 여기에서 BMR은 기초대사량이고, FFM은 제지방량이고, A,B,C,D는 상수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기초대사량 측정용 장치에 있어서,
    피험자의 연령 및 체중을 포함하는 개인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력 디바이스;
    상기 피험자의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측정 디바이스;
    상기 측정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임피던스 및 상기 입력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개인 데이터의 역수를 사용하여 제지방량을 결정하는 제지방량 계산 디바이스; 및
    상기 제지방량 계산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제지방량 및 상기 입력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연령 및 상기 체중을 사용하여 상기 피험자의 기초대사량을 결정하는 기초대사량 계산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대사량은 BMR = A×FFM + B×(1/연령) + C×(체중) + D로 표현되는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되고, 여기에서 BMR은 기초대사량이고, FFM은 제지방량이고, A,B,C,D는 상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대사량은 BMR = A×FFM2+ B×FFM + C×(1/연령) + D×체중 + E로 표현되는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되고, 여기에서 BMR은 기초대사량이고, FFM은 제지방량이고, A,B,C,D,E는 상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험자의 체중은 상기 입력 디바이스에 수동으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험자의 체중은 상기 피험자의 체중을 측정하는 체중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로서 상기 입력 디바이스에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험자의 체중은 상기 임피던스가 측정됨과 동시에 상기 피험자의 체중을 측정하는 체중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로서 상기 입력 디바이스에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1-0059483A 2000-10-04 2001-09-26 기초대사량 측정용 장치 KR1004541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3740200P 2000-10-04 2000-10-04
US60/237,402 2000-10-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177A KR20020027177A (ko) 2002-04-13
KR100454183B1 true KR100454183B1 (ko) 2004-10-26

Family

ID=22893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9483A KR100454183B1 (ko) 2000-10-04 2001-09-26 기초대사량 측정용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477409B2 (ko)
EP (1) EP1195138B1 (ko)
JP (1) JP3795363B2 (ko)
KR (1) KR100454183B1 (ko)
DE (1) DE6010670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0914B2 (ja) * 2003-10-08 2010-12-22 株式会社タニタ 体型判定装置
JP4667938B2 (ja) * 2005-01-21 2011-04-13 株式会社タニタ 基礎代謝量測定装置
JP4589776B2 (ja) * 2005-03-28 2010-12-01 株式会社タニタ 妊婦用生体測定システム
JP2006288678A (ja) * 2005-04-11 2006-10-26 Tanita Corp 基礎代謝量測定装置
JP4553252B2 (ja) * 2005-04-27 2010-09-29 株式会社タニタ 基礎代謝量測定システム
JP4064426B2 (ja) * 2006-03-23 2008-03-19 株式会社タニタ 運動消費エネルギー推定装置
US20080050740A1 (en) * 2006-06-23 2008-02-28 Cassidy Pamela M Nutritional and Exercise Plan Based On A Person's Individual Genetic APO E Genotype
US8013745B2 (en) 2007-06-15 2011-09-06 University Of Tennessee Research Foundation Passive microwave assessment of human body core to surface temperature gradients and basal metabolic rate
JP4694555B2 (ja) * 2007-11-30 2011-06-08 株式会社タニタ 運動消費エネルギー推定装置
JP2010181377A (ja) * 2009-02-09 2010-08-19 Omron Healthcare Co Ltd 体重管理装置、体重管理方法、および体重管理プログラム
JP5440434B2 (ja) * 2010-07-22 2014-03-12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体重管理装置
US8475367B1 (en) 2011-01-09 2013-07-02 Fitbit, Inc. Biometric monitoring device having a body weight sensor,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US9202111B2 (en) 2011-01-09 2015-12-01 Fitbit, Inc. Fitness monitoring device with user engagement metric functionality
JPWO2019188259A1 (ja) * 2018-03-29 2021-03-18 株式会社タニタ 成分決定装置、成分決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5176A (en) * 1991-11-29 1995-05-16 Tanita Corporation Apparatus for measuring body fat
US5372141A (en) * 1992-07-01 1994-12-13 Body Composition Analyzers, Inc. Body composition analyzer
US5579782A (en) * 1993-08-12 1996-12-03 Omron Corporation Device to provide data as a guide to health management
US5840042A (en) * 1997-05-16 1998-11-24 St. Luke's-Roosevelt Hospital Method of predicting body composition in prepubertal children infected with human immunodenficiency virus
JP3628509B2 (ja) * 1998-01-28 2005-03-16 株式会社タニタ Sw端子兼用lcd駆動装置及びsw端子兼用lcd駆動装置を備えた体脂肪測定装置
JP3242071B2 (ja) * 1998-08-17 2001-12-25 ヤーマン株式会社 カロリー計算機
KR100333166B1 (ko) * 1999-07-29 2002-04-18 차기철 생체 전기 임피던스법을 이용한 간편 인체 성분 측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40197A1 (en) 2002-04-04
JP2002172099A (ja) 2002-06-18
DE60106708T2 (de) 2006-02-09
DE60106708D1 (de) 2004-12-02
KR20020027177A (ko) 2002-04-13
US6477409B2 (en) 2002-11-05
EP1195138B1 (en) 2004-10-27
JP3795363B2 (ja) 2006-07-12
EP1195138A1 (en) 2002-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ishman et al. Measurement of physical activity
US7147603B2 (en) Apparatus for measurement of living body
KR100454183B1 (ko) 기초대사량 측정용 장치
US628039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ody composition
EP083507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body composition using a new electrode system based on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US6539310B2 (en) Body type determination apparatus
US6400983B1 (en) Apparatus for analyzing body composition using novel hand electrodes and method thereof
JPH0549050B2 (ko)
Jensen et al. A maximal rowing ergometer protocol to predict maximal oxygen uptake
JP3516357B2 (ja) 消費カロリー計
US7252635B2 (en) Biological data acquiring apparatus
KR20030091052A (ko) 신체의 자세균형을 측정하는 기능을 갖는 체중계
KR20020018108A (ko) 기초 대사를 결정하는 방법
US20050080352A1 (en) Body type determining apparatus
KR20160080347A (ko) 체성분 분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석방법
JPH05212136A (ja) カロリー計付き心拍測定装置
CN215741734U (zh) 一种评定有氧锻炼的运动强度的可穿戴设备及系统
JP2000316833A (ja) 脂肪燃焼量の演算方法及びその装置
WO2001076454A3 (en) Kiosk with body fat analyzer
JP2017113315A (ja) 代謝評価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70027401A1 (en) Body composition analyzer
TW520281B (en) Apparatus for measuring basal metabolism
JP2002028153A (ja) 運動能力診断および履物選択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30042254A (ko)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
CN115475369A (zh) 一种评定运动强度的方法、可穿戴设备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