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8108A - 기초 대사를 결정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기초 대사를 결정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8108A
KR20020018108A KR1020010052458A KR20010052458A KR20020018108A KR 20020018108 A KR20020018108 A KR 20020018108A KR 1020010052458 A KR1020010052458 A KR 1020010052458A KR 20010052458 A KR20010052458 A KR 20010052458A KR 20020018108 A KR20020018108 A KR 20020018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bolism
age
ffm
basal metabolism
bm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2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다마미유키
사토히토시
헤임스필드스티븐비.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가부시키가이샤 타니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가부시키가이샤 타니타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20018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810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2Body f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7Measuring body composition by impedance, e.g. tissue hydration or fat cont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기초대사는 대상의 연령을 알고; 대상의 무지방 질량을 결정하고; 결정된 무지방 질량 및 연령의 역수를 사용하여 대상의 기초대사를 계산함으로써 결정된다. 기초대사는 BMR =A × FFM + B ×(1/연령) + C 로 표시되는 식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BMR 은 기초대사(kcal/일)이고, FFM 은 무지방 질량(kg)이며, A, B, 및 C 는 상수이다.

Description

기초 대사를 결정하는 방법{METHOD FOR DETERMINING BASAL METABOLISM }
본 발명은 환자의 기초대사를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무지방 질량을 사용하여 기초대사를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상의 정확한 기초대사를 결정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고비용이고 넓은 범위를 차지하는 장치를 필요로 한다. 게다가, 많은 로드 및 측정 조건이 요구되며, 대상은 안면마스크와 마우스피스를 한 채로 오랜기간동안 휴식상태로 유지되어야만 한다. 게다가, 단지 전문가만이 측정 장치를 다룰 수 있고 측정 결과를 평가할 수 있다. 일반 대중은 그들 자신의 기초대사의 정확한 측정을 얻기 위해 그들 자신을 시험대상으로서 수행하기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의 경우에 통계학적으로 표준 기초대사값이 기초대사 결정에 사용된다. 통계학적으로 표준 기초대사값은 예를 들어, 일본의 건강 복지부의 공공의료국(Health Service Bureau of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에 따라서 체중별 성별 및 연령에 기초하여 기초대사 기준 값을 곱함으로써 얻어진다. 비만 및 기초 대사간의 관계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표준값이 사용된다.
그러나, 기초대사는 실제 체중보다 무지방 질량에 직접적으로 비례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도 1 에서 보여진 대로, 상기-언급된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된 기초대사는 표준 체형 및 표준 체조성을 가지는 사람에게 적당한데, 이는 체조성이 강력한 유효 인자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초대사의 계산값은 과체중 및 많은 지방량을 가지는 피크닉형(즉, 고 지방율을 가지는 사람)에서 기초대사의 관찰값보다 더 높은 경향이 있다. 또한, 기초대사의 계산값은 마르고 근육질의 사람(즉, 저 지방율을 가지는 사람)에서 기초대사의 관찰값보다 더 낮은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기초대사를 계산하는 상기-언급된 방법은 비만에 대한 가이드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기초대사는 무지방 질량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기 때문에, 하기와 같이 표시되는 식이 외국의 영양과학 아카데미에서 사용된다.
BMR= A × FFM + B
BMR 은 기초대사(kcal/일)이고, FFM 은 무지방 질량(kg)이며, A 및 B 는 상수이다. 기초대사 및 무지방 질량간의 관계는 도 2 에서 보여진다. 식은 상관계수 0.824 를 산출하며, 이것은 식이 관찰 결과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상기 언급된 식으로 얻어진 기초대사는 성인에게는 적용되지만 성장기 어린이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 게다가, 식에 의한 계산값은 낮은 무지방 질량을 가지는 사람, 특히 본 발명자에 의해 측정된 결과에 따른 젊고 마른 여성에서의 관찰값보다 더 낮은 경향이 있다. 따라서, 가이드가 피크닉 형 사람에 대한 다이어트 및 운동에 관해서 뿐만아니라 아이에게도 효과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기초 대사의 관찰값과 더욱 정확한 상관관계가 있는 계산값을 제공하는 기초대사를 계산하는 개선된 장치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발명의 개요)
이러한 요구는 기초대사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 의해 충족된다. 본 발명은 대상의 연령을 아는 단계; 대상의 무지방 질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무지방 질량 및 연령의 역수를 사용하여 대상의 기초대사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초대사 결정 인자로서 무지방 질량뿐만 아니라 연령의 역수를 첨가함으로써, 본 발명은 기초대사 결정에 사용된 산술적 방법의 정확성을 개선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서, 기초대사는 BMR=A × FFM + B × (1/연령) + C 로 표시되는 식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BMR 은 기초대사(kcal/일)이고, FFM 은 무지방 질량(kg)이며, A, B, 및 C 는 상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BMR = A ×FFM2+ B × FFM + C ×(1/연령) + D 로 표시된 식을 사용하여 기초 대사를 결정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BMR 은 기초대사(kcal/일)이고, FFM 은 무지방 질량(kg)이며, A,B,C, 및 D 는 상수이다.
추가적인 구체예에서, 본 방법은 대상의 연령 및 체중을 아는 단계; 대상의 무지방 질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무지방 질량, 체중, 및 연령의 역수를 사용하여 대상의 기초대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초 대상 결정 인자로서 무지방 질량뿐만 아니라 연령 및 체중을 첨가함으로써, 본 발명은 기초대사 결정에 사용된 산술적 방법의 정확성을 개선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서, 기초대사는 BMR=A × FFM + B × (1/연령) + C × 체중 + D 로 표시되는 식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BMR 은 기초대사 (kcal/일)이고, FFM 은 무지방 질량(kg)이며, A, B, C, 및 D 는 상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기초대사는 BMR = A ×FFM2+ B × FFM + C ×(1/연령) + D × 체중 + E 로 표시되는 식을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BMR 은 기초대사(kcal/일)이고, FFM 은 무지방 질량(kg)이며, A,B,C,D, 및 E 는 상수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잇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고, 본원에서는 단지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가 제시되고, 본 발명의 수행에 기대되는 최상의 방식의 예를 대신하여 간단하게 개시된다. 구체화될 것이지만,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취지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른 구체예가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한정이 아니라 그 자체로 예시로 간주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고, 여기에서 같은 참조 번호 표시를 가지는 요소는 전체적으로 같은 요소를 나타내며, 여기에서;
도 1 은 기초대사의 관찰값과 기초대사의 계산값 및 지방율간의 차이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 는 무지방 질량과 기초대사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 은 연령 및 기초대사 기준값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 는 체중 및 연령별 기초대사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 는 기초대사의 계산값과 기초대사의 관찰값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 은 기초대사의 관찰값과 기초대사의 계산값, 및 무지방 질량간의 차이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 은 기초대사의 계산값과 기초대사의 관찰값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 은 기초대사의 관찰값과 기초대사의 계산값 및 무지방 질량간의 차이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9 는 기초대사의 계산값과 기초대사의 관찰값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0 은 기초대사의 계산값과 기초대사의 관찰값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구체예는 도면을 참조로 하여 개시될 것이다. 도 3 에 보여진 대로, 본 발명의 발명자는 건강복지부의 공공의료국에 의해서 제공된 기초대사값을 개관했고 이 값이 대상의 연령에 반비례한다는 것을 측정했다. 게다가, 도 4 에 개시된 대로, 본 발명의 발명자는 체중 당 기초대사가 연령에 반비례한다는 것을 독립적으로 관찰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발명자는 기초대사를 계산할 때 무지방 질량뿐만 아니라 연령의 역수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기초대사가 BMR = A × FFM + B × (1/연령) + C 로 표시되는 식을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BMR 은 기초대사(kcal/일)이고, FFM 은 무지방 질량(kg)이며, A, B, 및 C 는 상수이다. 그러나, 식은 미터 측정 시스템 값을 사용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어떤 형태의 측정 시스템 값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만 한다.
도 5 에 제시된 대로, 상기 언급된 식을 사용하여 얻어진 기초대사와 관찰된 기초대사간의 상관계수는 0.870 이다. 관찰값은 호기의 분석에 의해서 얻어진다. 도 6 에 제시된 대로, 자유 지방 질량에 대한 관찰값과 계산값간의 차이는 종래 데이타의 반이다.
도 2 에 제시된 대로, 기초대사의 계산값은 매우 낮은 무지방 질량을 가지는 사람에서의 관찰값보다 더 낮은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기초대사를 계산할 때 무지방 질량뿐만 아니라 연령의 역수 및 무지방 질량의 제곱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발명자는 기초대사는 BMR = A × FFM2+ B × FFM + C × (1/연령) + D 로 표시되는 식을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BMR 은 기초대사(kcal/일)이고, FFM 은 무지방 질량(kg)이며, A, B, C, 및 D 는 상수라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식은 미터 측정 시스템 값을 사용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어떤 형태의 측정 시스템 값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7 에서 제시진 대로, 상기 언급된 식을 사용하여 얻어진 기초대사와 관찰된 기초대사간의 상관계수는 0.88 이다. 관찰값은 호기의 분석으로 얻어졌다. 도 8 에서 제시진 대로, 무지방 질량에 대한 관찰값과 계산값간의 차이는 거의 동일하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기초대사의 계산값은 낮은 무지방 질량을 가지는 사람에게서, 특히 젊고 마른 여성 및 아이에서 그것의 관찰값보다 더 낮은 경향이 있다는 것을 인식했다. 그 자체로, 본 발명자는 무지방질량뿐만 아니라 연령의 역수 및 체중이 기초대사 계산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기초대사는 BMR= A × FFM + B × (1/연령) + C × 체중 + D로 표시되는 식을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고, 여기에서 BMR 은 기초대사(kg/ 일)이고, FFM 은 무지방 질량(kg)이며, A, B, C, 및 D 는 상수라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식은 미터 측정 시스템 값을 사용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어떤 형태의 측정 시스템 값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9 에서 제시된 대로, 상기 언급된 식을 사용하여 얻어진 기초대사와 관찰된 기초대사간의 상관계수는 0.879 이다. 관찰값은 호기의 분석으로 얻어졌다. 무지방 질량에 대한 관찰값과 계산값간의 차이는 도 6 에서 제시된 데이타의 반이다.
도 2 에서 제시된 대로, 기초대사의 계산값은 매우 낮은 무지방 질량을 가지는 사람에게서 그것의 관찰값보다 더 낮은 경향이 있다. 본 발명자는 소모된 무지방 질량뿐만 아니라 연령의 역수 및 무지방 질량의 제곱이 기초대사 계산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기초대사는 BMR= A × FFM2+ B × FFM + C × (1/연령) + D × 체중 + E 로 표시되는 식을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고, 여기에서 BMR 은 기초대사(kg/ 일)이고, FFM 은 무지방 질량(kg)이며, A, B, C, D, 및 E 는 상수라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식은 미터 측정 시스템 값을 사용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어떤 형태의 측정 시스템 값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0 에서 제시된 대로, 상기 언급된 식을 사용하여 얻어진 기초대사와 관찰된 기초대사간의 상관계수는 0.88 이다. 관찰값은 호기의 분석으로 얻어졌다. 무지방 질량에 대한 관찰값 및 계산값간의 차이는 도 8 에서 제시된 데이타와 실제로 일치한다.
본 발명의 상기-개시된 구체예에 따라서, 무지방 질량, 연령, 및 체중에 대한 값은 기초대사 계산에 필요하다. 그러므로, 기초대사는 예를 들어, 체중계가 부착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체지방 측정 장치 또는 수동으로 체중값을 입력하는 체지방 측정 장치의 조절 프로그램를 변화시킴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무지방 질량을 결정하는 어떤 방법도 본 발명의 사용에 허용가능하고, 예를 들어, 생물학적임피던스 분석 방법(BIA 방법), DEXA 방법, 캘리퍼를 사용하는 방법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방법학 및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장비 및 방법학의 상세한 설명은 본원에서 상세하게 제시되지 않는다. 종래의 개시에서, 많은 구체적인 상세한 설명이 본 발명의 전체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제시된 상세한 설명에 의존하지 않고 수행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본 발명을 불필요하게 불명료하게 하지 않기 위해서 잘 알려진 공정 구조 또는 방법은 상세히 개시되지 않았다.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 및 다양한 용도의 몇 가지 예가 본원에 제시되고 개시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본원에 표현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에서 변화 또는 변형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본 발명은 기초대상 결정인자로서 무지방 질량뿐만 아니라 연령의 역수를 사용하여 기초대사 결정에 사용된 산술적 방법의 정확성을 개선한다.

Claims (6)

  1. 대상의 연령을 아는 단계;
    대상의 무지방 질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무지방 질량 및 연령의 역수를 사용하여 대상의 기초대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초대사를 결정하는 산술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기초대사는 BMR = A × FFM + B × (1/연령) + C 로 표시되는 식을 사용하여 계산되며, 여기에서 BMR 은 기초대사이고, FFM 은 무지방 질량이며, A, B, 및 C 는 상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기초대사는 BMR =FFM2+ B × FFM + C ×(1/연령) + D 로 표시되는 식을 사용하여 계산되며, 여기에서 BMR 은 기초대사이고 FFM 은 무지방 질량이며, A, B, C, D 는 상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대상의 연령 및 체중을 아는 단계;
    대상의 무지방 질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무지방 질량, 체중, 및 연령의 역수를 사용하여 대상의 기초대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대사를 결정하는 산술적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기초대사는 BMR = A × FFM + B × (1/연령) + C × 체중 + D 로 표시되는 식을 사용하여 계산되며, 여기에서 BMR 은 기초대사이고 FFM 은 무지방 질량이며, A, B, C , 및 D 는 상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기초대사는 BMR =FFM2+ B × FFM + C ×(1/연령) + D × 체중 + E 로 표시되는 식을 사용하여 계산하며, 여기에서 BMR 은 기초대사이고 FFM 은 무지방 질량이며, A, B, C, D, 및 E 는 상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10052458A 2000-08-30 2001-08-29 기초 대사를 결정하는 방법 KR200200181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2876700P 2000-08-30 2000-08-30
US60/228,767 2000-08-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8108A true KR20020018108A (ko) 2002-03-07

Family

ID=22858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2458A KR20020018108A (ko) 2000-08-30 2001-08-29 기초 대사를 결정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80736B1 (ko)
EP (1) EP1183994B1 (ko)
JP (2) JP2002112982A (ko)
KR (1) KR20020018108A (ko)
CN (1) CN1781445A (ko)
DE (1) DE60137288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2547B2 (ja) 2001-07-19 2006-07-05 株式会社タニタ 生体測定装置
JP2004008659A (ja) * 2002-06-11 2004-01-15 Tanita Corp 生体測定装置
WO2005020813A1 (en) * 2003-08-28 2005-03-10 Tanita Corporation Body composition analyzer
JP4667938B2 (ja) * 2005-01-21 2011-04-13 株式会社タニタ 基礎代謝量測定装置
JP4589776B2 (ja) 2005-03-28 2010-12-01 株式会社タニタ 妊婦用生体測定システム
JP2006288678A (ja) * 2005-04-11 2006-10-26 Tanita Corp 基礎代謝量測定装置
US7751907B2 (en) * 2007-05-24 2010-07-06 Smiths Medical Asd, Inc. Expert system for insulin pump therapy
US8013745B2 (en) 2007-06-15 2011-09-06 University Of Tennessee Research Foundation Passive microwave assessment of human body core to surface temperature gradients and basal metabolic rate
JP4694555B2 (ja) * 2007-11-30 2011-06-08 株式会社タニタ 運動消費エネルギー推定装置
US9202111B2 (en) 2011-01-09 2015-12-01 Fitbit, Inc. Fitness monitoring device with user engagement metric functionality
US8475367B1 (en) 2011-01-09 2013-07-02 Fitbit, Inc. Biometric monitoring device having a body weight sensor,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JP6467819B2 (ja) * 2014-08-27 2019-02-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活動状態情報演算システム
CN109846033A (zh) * 2019-01-17 2019-06-07 广州秋草堂健康科技有限公司 标准代谢减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5176A (en) * 1991-11-29 1995-05-16 Tanita Corporation Apparatus for measuring body fat
US5579782A (en) * 1993-08-12 1996-12-03 Omron Corporation Device to provide data as a guide to health management
JP3628509B2 (ja) * 1998-01-28 2005-03-16 株式会社タニタ Sw端子兼用lcd駆動装置及びsw端子兼用lcd駆動装置を備えた体脂肪測定装置
JP3242071B2 (ja) * 1998-08-17 2001-12-25 ヤーマン株式会社 カロリー計算機
KR100333166B1 (ko) * 1999-07-29 2002-04-18 차기철 생체 전기 임피던스법을 이용한 간편 인체 성분 측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480736B1 (en) 2002-11-12
CN1781445A (zh) 2006-06-07
JP2006130324A (ja) 2006-05-25
EP1183994B1 (en) 2009-01-07
JP2002112982A (ja) 2002-04-16
EP1183994A1 (en) 2002-03-06
DE60137288D1 (de) 200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rrow Indices of adiposity.
Kuczmarski et al. Ultrasonic assessment of body composition in obese adults: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skinfold caliper
Borkan et al. Comparison of ultrasound and skinfold measurements in assessment of subcutaneous and total fatness
Gauld et al. Height prediction from ulna length
JP2006130324A (ja) 基礎代謝量の決定方法
US628039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ody composition
Levenhagen et al. A comparison of air displacement plethysmography with three other techniques to determine body fat in healthy adults
Balogun et al. Calorimetric validation of the Caltrac® accelerometer during level walking
Eto et al. Validity of the body mass index and fat mass index as an indicator of obesity in children aged 3–5 year
JPH07100122A (ja) 体内脂肪量計
Adelnia et al. Moderate‐to‐vigorous physical activity is associated with higher muscle oxidative capacity in older adults
Wu et al. Predicting body composition using foot-to-foot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in healthy Asian individuals
Roche Growth assessment in abnormal children
KR100454183B1 (ko) 기초대사량 측정용 장치
Maughan An evaluation of a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er for the estimation of body fat content.
Dimitrijevic et al. Body Fat Evaluation in Male Athletes from Combat Sports by Comparing Anthropometric, Bioimpedance, and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Measurements
JP2002172099A5 (ko)
Jaffrin et al. Evaluation of a foot-to-foot impedance meter measuring extracellular fluid volume in addition to fat-free mass and fat tissue mass
Demura et al. The influence of transient change of total body water on relative body fats based on three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es methods: Comparison between before and after exercise with sweat loss, and after drinking
Dimitrijevic et al. Correlation of different anthropometric methods and bioelectric impedance in assessing body fat percentage of professional male athletes
Young et al. Bioelectrical-impedance analysis as a measure of body composition in a West Indian population
Oppliger et al. Reliability of hydrostatic weighing and skinfold measurements of body composition using a generalizability study
Midorikawa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tissue body composition and resting energy expenditure in prepubertal children
Francis Body-composition assessment using underwater weighing techniques
TWM630144U (zh) 體組成分析儀之資料整合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