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3333B1 - 평판소자의접속구조 - Google Patents

평판소자의접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3333B1
KR100453333B1 KR1019960042804A KR19960042804A KR100453333B1 KR 100453333 B1 KR100453333 B1 KR 100453333B1 KR 1019960042804 A KR1019960042804 A KR 1019960042804A KR 19960042804 A KR19960042804 A KR 19960042804A KR 100453333 B1 KR100453333 B1 KR 100453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layer
connection structure
electrode
width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2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3340A (ko
Inventor
권혁채
구본희
이창수
Original Assignee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42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3333B1/ko
Publication of KR19980023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3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33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8Terminal pa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21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conductive adhesi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소자를 외부회로에 접속하는 신규한 접속구조를 개시한다.
종래의 FPC는 소자의 규격별로 별도로 제작하여 정확하게 정합부착해야 하는 제조 및 조립상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전극보다 충분히 좁은 폭으로 세절(細切: 가늘게 절단)된 도전층을 접착시이트에 부착하여 소자의 전극상에 도전성 접착제로 부착함으로써 접합되지 않은 부분이 접착시이트와 함께 분리되도록 하여, 단일한 접속구를 임의 규격의 소자에 정합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평판소자의 접속구조
본 발명은 평판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를 외부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매트릭스방식으로 구동되는 평판소자는 주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E)이 교차 대향 배열된 2기판(P1, P2)구조를 가지는데, 특히 LCD(액정), PDP(방전기체), FED(고진공)등과 같이 미리 정해진 작동 분위기를 필요로 하는 소자에서 두 기판(P1, P2)의 외주는 측벽(W)으로 밀봉된다.
전극(E)은 이 측벽(W)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어 그 단부에서 전극패드(D)를 구성하게 되고 이 전극패드(D)에 미리 정해진 접속구(10)가 접속됨으로써 소자를 외부회로에 연결하게 된다.
여기서 일반적인 접속구(10)는 FPC(Flexible Panel Connector)로 호칭되는 것으로, 두 절연시이트(11, 12) 사이에 동박(銅薄)등으로 전극패드(D)의 전극(E)에 대응하는 피치의 접속전극(X)을 형성한 것이다.
이 접속구(10)는 그 접속전극(X)과 전극패드(D)의 전극(E)를 열융착성의 도전성 접착제로 1:1 대응 접착시킴으로써 소자의 접속을 수행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접속구(10)는 제조와 사용에 모두 많은 문제가 있다. 즉 이러한 접속구(10)는 전극(E)의 피치별로 각각 별도로 제작해야 할 뿐아니라 동일한 피치의 전극(E)이라 하더라도 전극패드(D)의 구성방식이 다르면 다른 접속구(10)를 구성해야 한다.
뿐만아니라 접속구(10)의 각 접속전극(X)을 전극패드(D)의 각 전출(E)에 정확히 정합(align)시켜 접속시켜야 하는 바, 그 작업이 매우 어렵고 자칫하면 인접전극(E)간에 터치(touch)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전극의 피치나 전극패드의 구성에 무관하게 공용할 수 있으며 정합도 불필요한 접속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접속구는 도전층이 전극의 폭에 비해 충분히 작은 폭으로 세절(細切: 가늘게 절단)된 상태로 점착(粘着)시이트에 부착 구성되어, 도전층을 전체적으로 전극패드의 전극에 도전성 접착제로 접합시킨 후 점착시이트를 벗겨내면 전극과 부착되지 않은 도전층의 부분이 분리되고 나머지 잔류되는 부분이 접속전극을 구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접속구의 접속전극간의 피치는 전극패드의 전극의 피치에 따라 사후적으로 자동 결정되므로 한 구성의 접속구를 소요폭으로 절단하여 임의 규격의 소자접속에 공용할 수 있을 뿐아니라 일일이 접속구를 정합시키려 애쓸 필요도 없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2에서, 본 발명에 의한 접속구(1)는 전극(E)의 폭보다 충분히 좁은 폭, 예를 들어 일반적인 화상표시용의 평판표시소자의 전극(E)의 폭이 수분의 1mm 내지 수mm 정도이므로 0.1 내지 0.3 정도의 폭이면 임의 규격의 소자에 적용가능한 바이러한 폭으로 세절(細切: 가늘게 절단)된 도전층(2)이 점착시이트(3)에 부착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도전층(2)은 충분한 인성을 가져야 하는 바, 종래의 FPC등에 사용되는 동박등의 금속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점착시이트(3)는 역시 PP나 PE등 FPC의 유연한 절연시이트(I1, I2)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접속후 도전층(2)의 전후 절연을 위해 도전층(2)과 점착시이트 사이에는 도전층(2)과 함께 세절된 절연층(4)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전층(2)의 하부에는 종래의 배면측 절연시이트(12)와 같이 도전층(2)의 선단을 노출시키도록 이보다 짧은 절연재질의 지지시이트(5)를 접합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 층간의 접합력에는 차이가 있는 것이 바람직한 바, 도전층(2)과 절연층(4)간의 접합력은 여타 층간의 접합력보다 크고, 도전층(2)과 전극(E)간의 도전성 접착제(A)예 의한 접합력이 점착시이트(3)의 접합력보다 커야 하며, 지지시이트(5)와 도전층(2)간, 그리고 점착시이트(3)와 절연층(4)간의 접합력은 서로 유사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후술하는 설명으로 명확해질 것이다.
도3 (a)에서 본 발명 접속구(1)의 도전층(2) 표면, 또는 전극패드(D)의 전극(E) 표면에는 도전성 접착제(A)가 도포되고, 그러면 본 발명 접속구(1)의 도전층(2)은 상방으로부터 근접하여 도3 (b)와 같이 전극패드(D)의 전극(E)상에 접착된다.
여기서 접착은 바람직하기로 종래와 같이 가압 및 가열에 의한 열접착으로 이루어지는 바, 접속구(1)의 전면을 균일하게 가압하면 도전성 접착제(A)를 도전층(2) 또는 전극(E)상에 전면적으로 도포하더라도 도전층(2)은 돌출된 전극(E)의 표면만에 접착된다.
그러면 도3 (c)와 같이 점착시이트(3)를 벗겨 내게 되는데, 이때 도전층(2)은 좁은 폭으로 세절되어 있고 도전성 접착제(A)의 접합력이 점착시이트(3)의 접합력보다 크므로, 도3 (d)와 같이 전극(E)에 접착되지 않은 도전층(2)과 절연층(4)의 부분만 점착시이트(3)와 함께 분리되어 도전층(2)의 잔류부분이 접속전극(X)을 구성하는 도4와 같은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4에서, 도전층(2)의 잔류부분으로 구성된 접속전극(X)은 전극패드(D)의 전극(E)에 대응하는 폭과 피치만이 잔류하여 그 상부는 절연층(4)의 잔류부분이 보호하고 하부는 지지시이트(5)가 절연상태로 보호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 접속구(1)는 소요폭으로 접속구(1)를 절단하여 도전성 접착제(A)로 접착시킨후 점착시이트(3)를 벗겨 내는 작업만으로 접속전극(X)을 소요폭과 피치로 연결하는 접속이 이루어지게 되어, 접속구(1)를 임의 규격의 소자에 매우 간편하게 공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5에는 본 발명의 접속구(1)를 제조하는 바람직한 한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5 (a)와 같이 지지시이트(5)상에 도전층(2)과 절면층(4)을 순차적으로 접합시킨다.
다음 도5 (b)와 같이 이를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커터(X) 하부로 통과시킴으로써 화살표로 표시된 깊이, 즉 도전층(2)과 절연층(A)을 전극(E)보다 충분히 작은 폭으로 세절시킨다.
여기서 커터(K)에 의해 수분의 1mm로 도전층(2)과 절연층(4)을 기계적으로 세절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은 커터(K)를 서로 미리 정해진 피치만큼씩편이(shift)된 복수의 열로 구성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0.3mm 간격으로 도전층(2) 및 절연층(4)을 세절시키기 위한 커터는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0.3mm의 2배수인 0.6mm 간격으로 배열된 카터의 2세트를 서로 0.3mm 편이시켜 2열로 배열시키거나, 0.3mm의 4배수인 1.2mm 간격의 커터는 4세트를 4열로, 또는 0.3mm의 8배수인 2.4mm 간격의 커터(K)는 8세트를 8열 배열시키는 등과 같이, n을 양의 정수로 할 때, 소요간격의 n 배수간격으로 배열된 커터(K)를 n세트만큼 n열로 서로 소요간격만큼 편이시켜 배열시킨 구성에 의에 세절이 가능하게 되어, 그다지 복잡한 구성의 기계장치가 아니더라도 충분히 미세한 폭의 세절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면 도5 (c)와 같이 지지시이트(5)상에 도전층(2)과 절연층(4)이 세절된 상태로 적층되는 바, 이에 도5 (d)와 같이 점착시이트(3)를 부착하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접속구(1)가 완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접속구를 임의 규격의 평판소자에 공용할 수 있게 될 뿐아니라 그 정합도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본 발명의 평판소자 제조의 생산성 향상과 원가절감에 큰 효과가 있다.
도1은 평판소자의 일반적인 접속구조를 보이는 사시도,
도2는 본 발명 접속구조를 보이는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 접속구조의 접속과정을 보이는 순차적인 횡단면도 및 정단면도,
도4는 본 발명 접속구조에 의한 접속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5 (a) 내지 (d)는 본 발명 접속구의 제조과정을 보이는 순차적 단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P1, P2: 기판 E: 전극
D: 전극패드(pad) 1: (본 발명) 접속구
2: 도전층 3: 점착(粘着)시이트(sheet)
4: 절연층 5: 지지시이트

Claims (6)

  1. 평판소자의 측벽 외측으로 인출되는 복수의 전극에 접속되어 상기 평판소자를 외부회로에 접속시키는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중 하나의 폭에 비해 충분히 작은 폭으로 세절(細切)된 도전층이 점착시이트에 부착되여 구성되는 접속구의 도전층을 전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전극에 도전성 접착제로 접합시킨 후, 상기 점착시이트를 벗겨냄으로써 상기 각 전극에 부착되지 않은 도전층의 부분이 분리되어 제거되고, 상기 각 전극에 부착되어 잔류되는 부분으로 구성되는 접속전극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소자의 접속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과 상기 점착시이트 사이에 상기 도전층과 함께 세절되는 절연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소자의 접속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의 하부에 절연재질로 된 지지시이트가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소자의 접속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접착제에 의한 상기 도전층과 전극간의 접합력이 상기 도전층과 점착시이트간의 접합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소자의 접속구조.
  5.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가 상기 지지시이트 상에 상기 도전층과 절연층을 순차적으로 접합한 뒤,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커터를 통과시켜 상기 도전층 및 절연층을 세절하고, 그 상부에 상기 점착시이트를 접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소자의 접속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간의 간격이 n을 양의 정수로 할 때, 상기 세절의 폭의 n배이고, 상기 커터가 서로 상기 세절의 폭만큼 편위된 n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소자의 접속구조.
KR1019960042804A 1996-09-30 1996-09-30 평판소자의접속구조 KR100453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2804A KR100453333B1 (ko) 1996-09-30 1996-09-30 평판소자의접속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2804A KR100453333B1 (ko) 1996-09-30 1996-09-30 평판소자의접속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340A KR19980023340A (ko) 1998-07-06
KR100453333B1 true KR100453333B1 (ko) 2004-12-29

Family

ID=37372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2804A KR100453333B1 (ko) 1996-09-30 1996-09-30 평판소자의접속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33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09272B2 (en) 2019-10-28 2022-04-19 Samsung Display Co., Ltd. Adhesive attaching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manufactured by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6952A (ja) * 1991-10-02 1993-08-06 Canon Inc 電気的接続構造及び電気的接続方法
JPH05241175A (ja) * 1992-02-28 1993-09-21 G T C:Kk 微細パターンの形成方法
JPH0618909A (ja) * 1991-08-22 1994-01-28 Ricoh Co Ltd 異方性導電膜を有する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
JPH06194680A (ja) * 1992-12-24 1994-07-15 Casio Comput Co Ltd 液晶フィルム基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909A (ja) * 1991-08-22 1994-01-28 Ricoh Co Ltd 異方性導電膜を有する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
JPH05196952A (ja) * 1991-10-02 1993-08-06 Canon Inc 電気的接続構造及び電気的接続方法
JPH05241175A (ja) * 1992-02-28 1993-09-21 G T C:Kk 微細パターンの形成方法
JPH06194680A (ja) * 1992-12-24 1994-07-15 Casio Comput Co Ltd 液晶フィルム基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09272B2 (en) 2019-10-28 2022-04-19 Samsung Display Co., Ltd. Adhesive attaching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manufactured by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340A (ko) 199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57880B (zh) 阵列基板、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US7710406B2 (en) Touch panel
KR950012109A (ko) 리워킹이 용이한 소형경량 표시장치 및 그 실장방법
WO1986006551A1 (en) Flexible electrical jumper cable and assembly
CN102262480B (zh) 触摸面板及其制造方法
US4680432A (en) Compact electronic device
TW353150B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1059740B (zh) 触摸面板及其制造方法
CN102844701B (zh) 液晶显示装置
KR100453333B1 (ko) 평판소자의접속구조
JP4174798B2 (ja) 表示装置
US6475314B1 (en) Adhesive lamination useful in making circuit board structures
US6542213B1 (en) Compression-bond-connection substrate,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5555116A (en)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adjacent electrode terminals set equal in length
CN110867143B (zh) 电子设备
JPH06232523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WO2022153684A1 (ja) 調光装置
JPH03250535A (ja) フラット形表示装置
JP3488218B2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0244135B1 (ko) 평판표시소자의 접속구조
JP3787043B2 (ja) 電極を有するフィルムと回路基板との電気的接続方法
JPH04280036A (ja) フラット形表示装置
JP3336531B2 (ja) 異方性導電部材
JP2000221533A (ja) 液晶表示装置の構造
KR100278614B1 (ko) 타일드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