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2746B1 - 충격흡수용 패널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충격흡수용 패널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2746B1
KR100452746B1 KR10-2002-0041431A KR20020041431A KR100452746B1 KR 100452746 B1 KR100452746 B1 KR 100452746B1 KR 20020041431 A KR20020041431 A KR 20020041431A KR 100452746 B1 KR100452746 B1 KR 100452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portion
insert
panel
catching
shock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1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6858A (ko
Inventor
이종민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1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2746B1/ko
Publication of KR20040006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6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7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흡수용 패널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제1플랜지부(62)의 하부면에 봉 형상의 인서트부(64)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인서트부(64)의 일지점에는 제1걸림부(64a)가 형성된 인서트 부재(60); 상단에는 상기 제1플랜지부(62)와 대략 동일한 형상의 제2플랜지부(82)가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부(64)가 삽입되는 관통구(84)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84) 내주면의 일지점에는 상기 제1걸림부(64a)와 맞물려 상기 제1플랜지부(62)와 제2플랜지부(82)를 소정의 거리로 이격 고정시키는 제2걸림부(84a)가 형성된 리테이너 부재(80); 상기 인서트부(64)에 외삽되어 상기 제1플랜지부(62)와 제2플랜지부(84)사이에 탄지력을 제공하는 스프링(70); 상기 인서트 부재(60)가 내삽되는 관통부(52)가 형성되며, 상기 제1플랜지부(62)와 제2플랜지부(82)의 이격 거리 만큼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충격흡수부재(50);를 구비하여, 일측 패널에는 상기 제1플랜지부(62)가 타일측의 패널에는 상기 제2플랜지부(82)가 고정되며,
충격에너지가 여러 단계로 흡수될 수 있는 구조로 차량의 패널을 취부함으로써, 차량과 보행자의 충돌 사고시 보행자가 받는 충격을 최소화한다.

Description

충격흡수용 패널 취부구조{PANNEL MOUNTING STRUCTURE FOR SHOCK ABSORBING}
본 발명은 충격흡수용 패널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패널을 상호 취부함에 있어서 차량과 보행자의 충돌 사고 발생시 충돌에 의한 충격에너지가 여러 단계로 흡수되도록 그 구조를 형성하여, 보행자가 받는 충격을 최소화하는 충격흡수용 패널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후드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부의 단면도이다.
주행중인 차량에 보행자가 충돌하게 되면, 보행자의 머리가 차량의 후드부 또는 휀더부에 2차적으로 충돌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때, 특히 도 1에 도시된 a 지점은 엔진룸 상부의 후드 패널과 측면의 휀더 패널이 만나는 부분으로서, 보행자의 머리에 가해지는 충격이 다른 지점에 비해 크개 발생하는 지점중의 하나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지점은 휀더 패널(1)의 내측 상부로 후드 패널(2)이 적당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위치하고 있고, 에이프런 아우트 패널(3)과 에이프런 인너 패널(4)이 결합된 에이프런 아세이의 상부측에 휀더 패널(1)이 볼트(5)에 의해 취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휀더 패널(1)과 에이프런 인너 패널(4)은 면접촉을 하며 중간에 별도의 매개물이 없는 상태에서 볼트(5)로 고정된다.
그런데, 이러한 단면 구조를 갖는 a 지점에 보행자의 머리가 2차적으로 충돌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상태로 충돌시의 단면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즉, 도시된 것처럼 휀더 패널(1)은 좌굴되어 에이프런 아세이까지 밀려서 함몰되며, 에이프런 아세이는 일부 변형이 발생되나 그 변형량이 크지 않아 충격을 받는 보행자의 머리에 대해 강체와 같은 작용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패널 취부구조에서는 보행자의 머리에 충격이 가해질 때에 휀더 패널의 변형만으로는 충격에너지를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여 보행자의 머리에 가해지는 상해치가 높다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보행자가 받는 충격을 최소화시키는 패널 취부구조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패널을 상호 취부함에 있어서 차량과 보행자의 충돌 사고 발생시 충돌에 의한 충격에너지가 여러 단계로 흡수되도록 그 구조를 형성하여, 보행자가 받는 충격을 최소화하는 충격흡수용 패널 취부구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후드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부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A'부에 보행자가 충돌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패널 취부구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패널 취부구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휀더 패널 2: 후드 패널
3: 에이프런 아우트 패널 4: 에이프런 인너 패널
50: 충격흡수부재 52: 관통부
60: 인서트 부재 62: 제1플랜지부
64: 인서트부 64a: 제1걸림부
70: 스프링 80: 리테이너 부재
82: 제2플랜지부 84: 관통구
84a: 제2걸림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대략 원판 형상인 제1플랜지부(62)의 하부면에 봉 형상의 인서트부(64)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인서트부(64)의 일지점에는 제1걸림부(64a)가 형성된 인서트 부재(60); 상단에는 상기 제1플랜지부(62)와 대략 동일한 형상의 제2플랜지부(82)가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부(64)가 삽입되는 관통구(84)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84) 내주면의 일지점에는 상기 제1걸림부(64a)와 맞물려 상기 제1플랜지부(62)와 제2플랜지부(82)를 소정의 거리로이격 고정시키는 제2걸림부(84a)가 형성된 리테이너 부재(80); 상기 인서트부(64)에 외삽되어 상기 제1플랜지부(62)와 제2플랜지부(84)사이에 탄지력을 제공하는 스프링(70); 상기 인서트 부재(60)가 내삽되는 관통부(52)가 형성되며, 상기 제1플랜지부(62)와 제2플랜지부(82)의 이격 거리 만큼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충격흡수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취부되는 일측 패널에는 상기 제1플랜지부(62)가 고정되고, 타일측의 패널에는 상기 제2플랜지부(82)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부(64a)와 제2걸림부(84a)는 일측이 돌기로 형성되고 타일측이 상기 돌기와 맞물리는 걸림턱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충격력 이상을 받을 때에만 맞물림 상태에서 이탈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재(50)는 취부되는 양측 패널의 면접촉부를 따라 연장 형성되며, 양측 패널이 다수의 지점에서 고정되도록 다수개의 관통부(52)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패널 취부구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패널 취부구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에이프런 아우트 패널(3)과 에이프런 인너 패널(4)이 결합된 차량의 에이프런 아세이의 상부측 휀더 패널(1)이 취부되는 위치에 본 실시예에 의한 패널 취부구조가 적용된다.
취부되는 휀더 패널(1)과 에이프런 인너 패널(4)은 상호 면접촉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면접촉부에 충격흡수부재(50)가 개재되도록 설치된다.
도시된 것처럼 휀더 패널(1)의 하부면에는 인서트 부재(60)가 고정되고, 에이프런 인너 패널(4)의 상부면에는 리테이너 부재(80)가 고정된다.
상기 인서트 부재(60)는 대략 원판 형상인 제1플랜지부(62)의 하부면에 봉 형상의 인서트부(64)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인서트부(64)의 일지점에 제1걸림부(64a)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데, 휀더 패널(1)을 에이프런 아세이에 취부할 때 가이드 역할을 하며, 외부로부터의 충격력을 받을 때 좌굴 방향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리테이너 부재(80)는 상단에는 상기 제1플랜지부(62)와 대략 동일한 형상의 제2플랜지부(82)가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부(64)가 삽입되는 관통구(84)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84) 내주면의 일지점에는 상기 제1걸림부(64a)와 맞물려 상기 제1플랜지부(62)와 제2플랜지부(82)를 소정의 거리로 이격 고정시키는 제2걸림부(84a)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리테이너 부재(80)는 에이프런 인너 패널(4)의 상부면에 형성된 취부 홀을 통하여 삽입 고정된다.
상기 제1걸림부(64a)와 제2걸림부(84a)는 일측이 돌기로 형성되고 타일측이 상기 돌기와 맞물리는 걸림턱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충격력 이상을 받을 때에만 맞물림 상태에서 이탈되도록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제1걸림부(64a)가 걸림턱의 형태로 형성되고, 제2걸림부(84a)는 걸림 돌기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구조는 통상적인 주행상태에서는 상하측 패널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며, 외부로부터의 충격 발생시에는 소정의 충격력 이상을 받을 때에만 맞물림 상태에서 이탈되도록 형성되므로 충격에너지의 흡수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인서트부(64)에는 스프링(70)이 외삽되는데, 상기 제1플랜지부(62)와 제2플랜지부(84)사이에 탄지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하며, 외부로부터의 충격 발생시 충격을 완화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충격흡수부재(50)는 충격흡수소재로 형성되는데, 상기 인서트 부재(60)가 내삽되는 관통부(52)가 형성되며, 도시된 것처럼 대략 상기 제1플랜지부(62)와 제2플랜지부(82)의 이격 거리 만큼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부재(50)는 취부되는 양측 패널의 면접촉부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데, 양측 패널이 다수의 지점에서 고정되도록 다수개의 관통부(52)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다.
이러한 패널 취부구조는 통상적인 주행시에는 상하부측 패널을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어 있지만, 보행자의 충돌에 의한 충격 발생시에는 다단계에 걸친 충격흡수 효과를 제공하여 충돌하는 보행자의 상해치를 최소화시키게 된다.
즉, 차량에 보행자가 충돌하여 2차적으로 머리가 차량의 휀더 패널측에 충돌하는 경우, 1차적으로는 휀더 패널 및 충격흡수부재에 의하여 충격에너지가 흡수되며, 2차적으로는 여러개의 스프링이 완충작용을 하게 된다
그 후 3차적으로 인서트 부재의 제1걸림부와 리테이너 부재의 제2걸림부의 결합력에 의하여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게 되므로, 보행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에너지가 3차에 걸쳐 흡수되어 최소화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취부구조에서는 충격흡수부재가 양측 패널 사이에 개재되므로, 통상적인 차량 주행시에도 충격흡수부재에서 엔진 소음과 진동의 전달을 저감시키게 되어 N.V.H(Noise Vibration Harshness)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즉,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휀더 패널을 에이프런 아세이의 상부측에 취부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기본적인 구조가 변형되지 않는 한 충격흡수 기능이 요구되는 다른 부분의 패널에도 적용되는 것이 물론 가능한 것이며, 예를 들어 상기 충격흡수부재의 형상도 구체적인 적용 위치나 조건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충격흡수용 패널 취부구조는, 충격에너지가 여러 단계로 흡수될 수 있는 구조로 차량의 패널을 취부함으로써, 차량과 보행자의 충돌 사고시 보행자가 받는 충격을 최소화한다.
또한, 별도의 볼팅 작업 없이 휀더 패널을 인서트 방식으로 취부하므로, 패널 취부시의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통상적인 차량 주행시에도 충격흡수부재에서 엔진 소음과 진동의 전달을 저감시키므로, N.V.H 성능을 향상시킨다.

Claims (3)

  1. 대략 원판 형상인 제1플랜지부(62)의 하부면에 봉 형상의 인서트부(64)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인서트부(64)의 일지점에는 제1걸림부(64a)가 형성된 인서트 부재(60);
    상단에는 상기 제1플랜지부(62)와 대략 동일한 형상의 제2플랜지부(82)가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부(64)가 삽입되는 관통구(84)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84) 내주면의 일지점에는 상기 제1걸림부(64a)와 맞물려 상기 제1플랜지부(62)와 제2플랜지부(82)를 소정의 거리로 이격 고정시키는 제2걸림부(84a)가 형성된 리테이너 부재(80);
    상기 인서트부(64)에 외삽되어 상기 제1플랜지부(62)와 제2플랜지부(84)사이에 탄지력을 제공하는 스프링(70);
    상기 인서트 부재(60)가 내삽되는 관통부(52)가 형성되며, 상기 제1플랜지부(62)와 제2플랜지부(82)의 이격 거리 만큼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충격흡수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취부되는 일측 패널에는 상기 제1플랜지부(62)가 고정되고, 타일측의 패널에는 상기 제2플랜지부(82)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패널 취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부(64a)와 제2걸림부(84a)는 일측이 돌기로 형성되고 타일측이 상기 돌기와 맞물리는 걸림턱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충격력 이상을 받을 때에만 맞물림 상태에서 이탈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패널 취부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재(50)는 취부되는 양측 패널의 면접촉부를 따라 연장 형성되며, 양측 패널이 다수의 지점에서 고정되도록 다수개의 관통부(52)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패널 취부구조.
KR10-2002-0041431A 2002-07-16 2002-07-16 충격흡수용 패널 취부구조 KR100452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431A KR100452746B1 (ko) 2002-07-16 2002-07-16 충격흡수용 패널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431A KR100452746B1 (ko) 2002-07-16 2002-07-16 충격흡수용 패널 취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6858A KR20040006858A (ko) 2004-01-24
KR100452746B1 true KR100452746B1 (ko) 2004-10-14

Family

ID=37316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1431A KR100452746B1 (ko) 2002-07-16 2002-07-16 충격흡수용 패널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274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0864A (ko) * 1995-10-06 1997-05-28 전성원 자동차의 오버슬램 범퍼
KR970037835U (ko) * 1995-12-13 1997-07-29 자동차 오버슬램 범퍼의 충격흡수구조
KR20020039160A (ko) * 2000-11-20 2002-05-25 이계안 보행자 보호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펜더패널 고정구조
KR20020049401A (ko) * 2000-12-19 2002-06-26 이계안 보행자 보호기능을 갖는 펜더패널 및 후드패널의충격흡수구조
KR100412846B1 (ko) * 2001-08-21 2003-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후드의 충격흡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0864A (ko) * 1995-10-06 1997-05-28 전성원 자동차의 오버슬램 범퍼
KR970037835U (ko) * 1995-12-13 1997-07-29 자동차 오버슬램 범퍼의 충격흡수구조
KR20020039160A (ko) * 2000-11-20 2002-05-25 이계안 보행자 보호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펜더패널 고정구조
KR20020049401A (ko) * 2000-12-19 2002-06-26 이계안 보행자 보호기능을 갖는 펜더패널 및 후드패널의충격흡수구조
KR100412846B1 (ko) * 2001-08-21 2003-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후드의 충격흡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6858A (ko) 2004-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1278B1 (ko) 보행자 보호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펜더패널 충격 흡수구조
KR100387886B1 (ko) 보행자 보호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펜더패널 충격 흡수구조
US6179355B1 (en) Automotive vehicle bumper assembly
SE502966C2 (sv) Stötfångare för fordon
KR100775180B1 (ko) 차량의 액티브 후드 시스템 성능 강화를 위한 후드구조
KR100452746B1 (ko) 충격흡수용 패널 취부구조
US6962380B2 (en) Rear bumper assembly structure for vehicle
KR100380378B1 (ko) 보행자 보호기능을 갖는 펜더패널 및 후드패널의충격흡수구조
KR100398430B1 (ko) 자동차의 펜더패널 고정구
KR100387887B1 (ko) 보행자 보호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펜더패널 고정구조
KR100394795B1 (ko) 차량의 측면 충격 흡수용 완충 장치
KR100387888B1 (ko) 보행자 보호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펜더패널 고정구조
KR100424978B1 (ko) 보행자 보호용 차체 펜더 장착 구조
KR950007331Y1 (ko) 자동차 에너지 업서버의 취부용 브라켓트
KR100407270B1 (ko) 차량의 리어 범퍼
KR100410514B1 (ko) 차량 전방측면의 충격흡수구조
KR100623307B1 (ko) 자동차의 펜더 마운팅 구조
KR200149005Y1 (ko) 차량의 범퍼 조립구조
KR950007332Y1 (ko) 자동차 에너지 업서버의 취부용 브라켓트
KR960005104Y1 (ko) 자동차 임팩트비임의 충격완화용 탄성부재
KR100353599B1 (ko) 보행자 보호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카울패널 충격 흡수구조
KR0112680Y1 (ko) 승용차용 리어범퍼의 설치구조
KR200233146Y1 (ko) 다단계 스프링 상수를 갖는 차량용 인슐레이터
KR20000002859U (ko) 차량의 범퍼 백 빔 구조
KR19980066821U (ko) 자동차용 충격 완충 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