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2671B1 - 음향효과의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음향효과의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2671B1
KR100452671B1 KR10-2001-0013045A KR20010013045A KR100452671B1 KR 100452671 B1 KR100452671 B1 KR 100452671B1 KR 20010013045 A KR20010013045 A KR 20010013045A KR 100452671 B1 KR100452671 B1 KR 100452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ffect
guitar
plate
support plate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3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7970A (ko
Inventor
페테르 빌퍼 한스
Original Assignee
페테르 빌퍼 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테르 빌퍼 한스 filed Critical 페테르 빌퍼 한스
Publication of KR20020007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7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6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44Structural association with individual keys
    • G10H1/348Switches actuated by parts of the body other than fing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음향효과를 발생하는 발로 조작되는 여러 개의 효과장치가 제안된다. 이 효과장치는 각각 한 개의 입구와 한 개의 출구를 가지며 서로 직렬로 연결된다. 효과장치가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공동의 받침판이 사용된다.

Description

음향효과의 발생장치{Arrangement device for generating of ton effect}
본 발명은 제1청구항의 상위 개념에 따라 각각 한 개의 입구와 한 개의 출구를 가지며 서로 직렬로 연결되고 발로 조작될 수 있는 음향효과의 발생을 위한 효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로 조작되는 효과장치는 기타 또는 베이스기타와 같은 전자 악기의 음색을 변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특히 음악분야에서 주로 사용된다. 대부분의 경우 이런 종류의 효과장치는 각각의 연주자의 취향에 따라 배치되며, 연주자 자신이 원하는 하나의 효과를 선택하거나 또는 이런 개별 효과를 조합한다. 효과장치는 직렬로 연결되며 효과장치를 작동시킬 경우에만 해당 효과가 발생되며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악기에서 발생되는 전자 시그널이 효과없이 증폭기나 다른 음향 관련장치에 전달된다. 전술한 바와같은 종류의 장치에서는 여러 개의 효과장치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작동될 수 있어 각각 효과를 적절하게 혼합할 수 있다.
종래 방식의 경우에는 음악가가 효과장치를 행사장에서 새로 구성하고 자신의 취향이나 필요에 맞게 배열해야 한다. 이것은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할뿐만 아니라 효과장치의 배열이 변경될 수 있어서 연주자가 연주 중에 효과장치의 배열상태에 따라 연주형태를 달리해야 함으로 연주에 집중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술된 효과장치 취급이 현저히 용이하도록 개선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효과장치를 위한 받침판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받침판으로서 한 개의 증폭기와 한 개의 기타 사이에 여러 개의 효과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a 내지 도3e는 본 발명에 따른 효과장치용 받침판의 다른 실시예들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효과장치 12 : 효과장치
13 : 효과장치 14 : 효과장치
15-18 : 입구(inlet) 19-22 : 출구(outlet)
23 : 받침판 24 : 고정부재, 접착면
25-28 : 고정부재, 벨크로(velcro) 29 : 중앙 전원공급포트
30 : 단자판(connecting block 또는 terminal block)
31 : 접착층 31' : 밀봉호일(sealing foil)
32 : 파워유닛(power unit) 33 : 기타
34, 35 : 증폭기 36, 47 : 증폭기 케이블
37 : 기타케이블 38, 39, 40 : 전원케이블
41, 42, 43 : 연결케이블 44, 45 : 연결케이블(효과장치)
46, 47 : 루프포트(loop port) 48 : 기타커넥터
49 : 증폭기커넥터 50, 51 : 증폭기 루프케이블
52, 53 : 외부 효과장치 54, 55 : 연결케이블, 외부 효과장치
56 : 전환케이블(converting cable)
상기 과제는 제1청구항의 특징에 따른 장치를 통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핵심적인 요소는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는 효과장치가 부착되는 공동의 받침판이다. 효과장치는 받침판 상에 부착될 수 있어 행사 종료 전이나 후에 다시 분리하거나 배열할 필요없이 받침판 상에 그대로 둘 수 있다. 연주자도 자신에 맞도록 배열된 효과장치가 연주 중에 동일한 배열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신뢰할 수 있음으로 효과장치의 배열상태 변경에 대한 불안감이 해소된다.
연주자가 이미 정해진 배열을 다시 변경하거나 또는 다른 효과장치를 추가하거나 또는 효과장치의 상호 위치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정부재는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효과장치를 반복해서 분리하고 접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효과장치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파워유닛(power unit) 및 중앙 전원공급포트가 받침판에 포함된다. 중앙 전원공급포트는 받침판에 배열된 분할 포트(dividing port)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분할 포트는 외부 전원, 특히 일반 전원 플러그에 의해 전기가 공급될 수 있다. 대안적인 방법으로서 자체 전원, 배터리 또는 충전형 축전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전원, 예를 들어 9 볼트나 12 볼트가 혼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효과장치, 기타와 같은 악기 또는 증폭기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음향 관련장치를 서로 연결하는 단자판이 받침판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받침판에 내장된 악기 조율을 위한 조율기와 같은 다른 음향 관련장치가 단자판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단자판은 여러 개의 효과장치를 위해 최소한 한 개, 바람직하게는 여러 개의 시그널 루프를 연결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원칙적으로 받침판에는 여러 개의 효과장치를 위한 래치(latch, 걸쇠)나 고정 부재 또는 이와 유사한 것들이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효과장치가 모든 사용자가 인체공학적으로 편리하게 배열되었다고 느낄 수 있도록, 즉 상기 효과장치가 받침판 상에서 사용자의 임의로 배열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가 형성되어야 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에는 고정부재는, 효과장치에 부착될 수 있는 첫 번째 고정부재와 받침판의 거의 모든 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두 번째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데, 예를 들면 효과장치에 부착하기 위한 여러 개의 벨크로의 접착천과 받침판 상에 배열되는 벨크로의 접착면으로 이루어진다. 대안적인 방법으로는 효과장치에 자석 밴드를 고정하고 받침판에 금속코팅을 피복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자력에 의해 효과장치가 받침판에 고정된다. 벨크로의 접착천 또는 자석 밴드는 예를 들어 접착제를 통해 효과장치에 접착될 수 있다. 사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밀봉 호일로 덮혀있는 접착층이 접착천 또는 자석 밴드에 포함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확정적인 한 실시예에서는 효과장치의 루프에 기타 또는 증폭기를 연결하기 위해 단자판과 효과장치 사이 또는 효과장치들 사이의 결선상태를 변경할 필요가 없도록, 한 개 이상의 또는 한 개의 루프포트, 한 개의 기타커넥터 또는 한 개의 증폭기커넥터가 단자판에 형성된다.
다음에서는 첨부된 도면과 하기의 실시예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장점에 대해 기술된다.
<실시예>
도 1에는 발로 조작될 수 있는 여러 개의 효과장치(11, 12, 13, 14)가 장착되는 받침판(23)에 대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발로 조작될 수 있는 상기 효과장치(11, 12, 13, 14)는 일반적으로 배터리나 9 볼트 또는 12 볼트의 전기가 공급되며 악기와 증폭기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실시예의 경우에는 효과장치(11, 12, 13, 14)는 증폭기와 기타에 직접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받침판(23)의 단자판(30)을 통해 연결된다.
사용자는 받침판(23)에서 자신의 필요에 따라 효과장치(11, 12, 13, 14)의 배열 상태를 변경할 수 있으며 고정부재(24, 25 내지 28)를 통해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경우, 고정부재(24, 25 내지 28)의 구체적인 예로서 접착면(24)과 벨크로(25 내지 28)가 사용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들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받침판 측에서의 고정부재는 관통하는 접착면(24)으로서 형성된다. 효과장치(11, 12, 13, 14) 측에서의 고정부재는 벨크로(velcro)(25 내지 28)로서 형성되는데, 이 벨크로(velcro)는 벨크로(velcro)(25 내지 28)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접착층(31)을 통해 효과장치(11, 12, 13, 14)를 고정한다. 벨크로(velcro)(25 내지 28)를 받침판(23)과 함께 판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벨크로(velcro)는 적합한 길이로 이미 절단되어 있는데,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일반 가정용 가위로 절단해야 한다. 상기 벨크로(velcro)에는 아직 사용되지 않은 경우에는 밀봉호일(31')이 부착되어 있는 접착층(31)이 포함된다.
효과장치(11, 12, 13, 14)의 하단부가 벨크로(velcro)(25 내지 28)에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접착면(24) 상의 원하는 위치에 효과장치(11, 12, 13, 14)를 배열할 수 있다.
접착면(24)의 측방에는 단자판(30)과 파워유닛(power unit)(32)이 받침판(23)에 배열된다. 이외에도 상기 받침판에는 분할 포트(dividing port)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중앙 전원공급포트가 포함되는데, 이 중앙 전원공급포트(29)를 통해 효과장치(11, 12, 13, 14)에 필요한 각각의 전원이 공급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 전원공급포트(29)는 단자판에 포함될 수 있으며 받침판(23)에 포함되어 있는 파워유닛(32)을 통해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대안적인 방안으로서 상기 중앙 전원공급포트(29)는 외부 전원공급장치 또는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배터리 또는 축전기를 통해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중앙 전원공급포트(29)에는 다양한 전원, 예를 들어 9볼트나 12볼트의 전기가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단자판(30)에는 직렬로 연결된 여러 개의 효과장치(11, 12, 13, 14)를 연결하지 위한 루프포트(46, 47)가 형성된다.
도 2에는 고려될 수 있는 배열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받침판(23)은 전술된 바 있는 증폭기(34)와 기타(33)로 도시되어 있는 악기 사이에 연결된다. 현재 일반적인 배열방법에 따라 효과장치(11, 12, 13, 14)는 기타(33)와 증폭기(34) 사이에서 직렬로 배열되어 있으며 기타케이블(37)은 효과장치(11, 12, 13, 14)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단자판(30)의 기타커넥터(48)에 연결된다. 증폭기(34)에 연결되는 증폭기케이블(36)도 효과장치(11, 12, 13, 14)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단자판(30)의 증폭기커넥터(49)에 연결된다. 증폭기케이블(36)과 기타케이블(37)은 여기에는 도시되지 않은 내부 케이블을 통해 각각의 해당 루프포트(46, 47)와 결합되며 상기 루프포트에는 여러 개의 효과장치(11, 12, 13, 14)가 연결될 수 있다. 첫 번째 효과장치(11)의 입구(15)는 예를 들어 연결케이블(44)을 통해 루프포트(46)와 연결된다. 연결케이블(41)은 첫 번째 효과장치(11)의 출구(19)와 두 번째 효과장치(12)의 입구(16)를 연결한다. 다른 연결케이블(42)은 두 번째 효과장치의 출구(20)와 세 번째 효과장치(13)의 입구(17)를 연결하며, 다른 연결케이블(43)은 세 번째 효과장치(13)의 출구(21)와 네 번째 효과장치(14)의 입구(18)를 연결한다. 네 번째 효과장치(14)의 출구(22)에서 연결케이블(45)은 단자판(30)의 해당 루프포트(47)에 연결된다. 두 번째와 세 번째 그리고 네 번째 효과장치(12, 13, 14)는 전원케이블(38, 39, 40)을 통해 중앙 전원공급포트에 연결되며, 상기 실시예의 경우에서는 9 볼트 및 12 볼트용의 여러 개의 커넥터가 장착된다.
도 3a 내지 도 3e에는 한 개 이상의 증폭기(34)와 기타(33)로 표시되어 있는 악기 사이에 배열되는 효과장치가 수용되는 받침판(23)에 대한 대안적인 연결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에는 일반적인 풋 스위치(gernenal foot switch) 또는 채널 스위치(channel switch)가 포함된 단순한 연결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전환 케이블(56)은 받침판(23)의 단자판(30)과 증폭기(34) 사이를 연결한다.
도 3b에는 받침판(23)에 두 개의 효과루프(원어: effect loop)가 연결되는 형태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첫 번째 효과루프는 증폭기(34)와 기타(33)를 직접 연결하며 두 번째 효과루프는 증폭기 루프케이블(50, 51)을 통해 증폭기(34)에서 외부 효과루프를 형성한다.
도 3c에는 받침판(23)의 접착면(24) 상에서 효과루프가 외부 효과장치(52, 53)와 연결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외부 효과장치는 연결케이블(54, 55)을 통해 받침판(23)의 단자판(30)에 연결된다.
도 3d에는 두 개의 증폭기가 배열되는 실시예(원어: stereoconfiguration)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테레오 시그널이 기타(33)에서 받침판(23)의 효과장치로 전달되며 두 개의 증폭기(34, 35)를 통해 증폭된다.
도 3e에는, 기타에서는 예를 들어 모노 시그널이 발생되지만 받침판의 효과장치를 통해 스테레오 시그널이 발생되는 형태의 연결구성을 갖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음향 시그널(ton signal)은 증폭기(34, 35)를 통해 증폭된다.
전술된 실시예의 경우 효과장치는 받침판(23)의 접착면(24) 상에서 케이블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음악가는 결선 작업을 매번 반복할 필요가 없으며 단지 단자판(30)에서 기타(33)와 증폭기(34, 35)를 받침판(23)에 연결하는 것으로 결선작업을 완료 할 수 있다. 효과장치가 부착된 받침판(23)을 운반할 경우에는 운반용 케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향효과의 발생장치에 의하면 그 취급이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9)

  1. 각각 한 개의 입구(15 내지 18)와 한 개의 출구(19 내지 22)를 가지며 서로 직렬로 연결되고 발로 조작되는 여러 개의 효과장치(11, 12, 13, 14)의 음향효과의 발생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효과장치(11 내지 14)가 고정부재(24 내지 28)에 의하여 공동의 받침판(23)에 부착되며, 상기 고정부재(24 내지 28)는 상기 효과장치(11 내지 14)를 반복적으로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효과장치(11 내지 14)에 부착될 수 있는 첫 번째 고정부재(25 내지 28)와 상기 받침판(23)의 모든 면에 걸쳐 형성된 두 번째 고정부재(2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효과의 발생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23)에는, 상기 효과장치(11 내지 14) 각각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파워유닛(32)과 연결된 중앙 전원공급포트(29)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효과의 발생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23)에는, 상기 효과장치(11 내지 14), 기타(33), 증폭기(34,35) 또는 다른 음향 관련장치들이 다양한 형태로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해주는 단자판(3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효과의 발생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4 내지 28)는 사용자가 상기 효과장치(11 내지 14)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효과의 발생장치.
  6. 삭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고정부재(25 내지 28)에는 효과장치(11 내지 14)에 부착되는 접착층(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효과의 발생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두 번째 고정부재(24)는 받침판(23) 상에 형성된 접착면(24)이고, 상기 첫 번째 고정부재(25 내지 28)는 효과장치(11 내지 14)에 부착될 수 있는 벨크로의 접착천(25 내지 2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효과의 발생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30)에는, 효과장치(11 내지 14)의 루프에 기타(33) 또는 증폭기(34, 35)를 연결하는 경우 단자판(30)과 효과장치(11 내지 14) 사이 또는 상기 효과장치(11 내지 14)들 사이의 결선상태를 변경할 필요가 없도록, 루프포트(46, 47), 기타커넥터(48) 또는 증폭기커넥터(49)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효과의 발생장치.
KR10-2001-0013045A 2000-07-13 2001-03-14 음향효과의 발생장치 KR1004526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0115186.9 2000-07-13
EP00115186A EP1172799B1 (de) 2000-07-13 2000-07-13 Anordnung zum Erzeugen von Toneffek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7970A KR20020007970A (ko) 2002-01-29
KR100452671B1 true KR100452671B1 (ko) 2004-10-14

Family

ID=8169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3045A KR100452671B1 (ko) 2000-07-13 2001-03-14 음향효과의 발생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172799B1 (ko)
JP (1) JP2002041044A (ko)
KR (1) KR100452671B1 (ko)
CN (1) CN1175396C (ko)
AT (1) ATE229216T1 (ko)
BR (1) BR0101103A (ko)
DE (1) DE50000877D1 (ko)
ES (1) ES2188462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963B1 (ko) * 2008-10-17 2011-01-21 주식회사 럭키산업 평선 자동 감지기
WO2014182936A2 (en) * 2013-05-08 2014-11-13 Maytech Music Systems Pty Ltd Pedal board connection system for musical instruments
DE102017126184B4 (de) * 2017-11-09 2019-12-24 Hans-Peter Wilfer Schutzkäfig für Effektgerät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5415A (en) * 1982-08-18 1984-05-01 Izquierdo George J Portable case and stand for pedal controls operationally fixed therein for use with a keyboard temporarily mountable thereon
EP0257311A2 (en) * 1986-07-26 1988-03-02 Liu Zhongdu Dance-activated musical instrument
JPH01250998A (ja) * 1987-12-31 1989-10-05 Casio Comput Co Ltd 電子楽器
JPH08194481A (ja) * 1995-01-13 1996-07-30 Roland Corp フットコントローラによるエディット操作方法
JPH08286688A (ja) * 1995-04-14 1996-11-01 Yasuki Sonobe カラオケ用ボイスコンバーター装置
JPH09297578A (ja) * 1996-05-08 1997-11-18 Casio Comput Co Ltd パラメータコントロー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0518Y2 (ko) * 1971-10-11 1976-12-04
US4462294A (en) * 1980-11-28 1984-07-31 Ted Kazimer Control unit for an electrical musical instrument
JPH0452793Y2 (ko) * 1987-12-18 1992-12-11
JP2597401B2 (ja) * 1989-02-06 1997-04-09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手術用顕微鏡のフットスイッチ
JPH0349596U (ko) * 1989-09-21 1991-05-15
US5079536A (en) * 1990-03-05 1992-01-07 Chapman Emmett H Pressure transducer for musical instrument control
JP2970494B2 (ja) * 1995-08-31 1999-11-02 ヤマハ株式会社 楽音制御方法および楽音制御装置
FR2748147B1 (fr) * 1996-04-24 1998-11-06 Reibel Guy Instrument de musique a percussion
JPH09319294A (ja) * 1996-05-29 1997-12-12 Sony Corp 足踏み式楽譜学習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5415A (en) * 1982-08-18 1984-05-01 Izquierdo George J Portable case and stand for pedal controls operationally fixed therein for use with a keyboard temporarily mountable thereon
EP0257311A2 (en) * 1986-07-26 1988-03-02 Liu Zhongdu Dance-activated musical instrument
JPH01250998A (ja) * 1987-12-31 1989-10-05 Casio Comput Co Ltd 電子楽器
JPH08194481A (ja) * 1995-01-13 1996-07-30 Roland Corp フットコントローラによるエディット操作方法
JPH08286688A (ja) * 1995-04-14 1996-11-01 Yasuki Sonobe カラオケ用ボイスコンバーター装置
JPH09297578A (ja) * 1996-05-08 1997-11-18 Casio Comput Co Ltd パラメータコントロー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7970A (ko) 2002-01-29
EP1172799B1 (de) 2002-12-04
CN1334558A (zh) 2002-02-06
DE50000877D1 (de) 2003-01-16
CN1175396C (zh) 2004-11-10
BR0101103A (pt) 2002-03-05
EP1172799A1 (de) 2002-01-16
ES2188462T3 (es) 2003-07-01
ATE229216T1 (de) 2002-12-15
JP2002041044A (ja) 200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5711A (en) Removably mountable effects device for an electric guitar
US201402240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ound augmentation of acoustic musical instruments
US20180151162A1 (en) Effects pedal board with integrated multi effects switcher
US20060000347A1 (en) Acoustical device and method
US9424824B2 (en) System and method for sound augmentation of acoustic musical instruments
US20090188378A1 (en) Modular keyboard system
US6781050B2 (en) Electric guitar circuit control and switching module
WO2014077537A1 (ko) 기타 이펙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
US93055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generating sound from a musical instrument
TR199800359T1 (xx) Hoparl�rleri olan m�zik aletleri.
KR100452671B1 (ko) 음향효과의 발생장치
KR100440825B1 (ko) 현악기용 압전 브리지형 픽업
US97044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ound augmentation of acoustic musical instruments
US101925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low frequency vibrations via a tactile feedback device
KR100740164B1 (ko) 기타 앰프
JP2008034998A (ja) 自動ヴァイオリン
CN2267505Y (zh) 一种多功能电吉它
EP4013064A1 (en) Transportable apparatus for the high efficiency sound reinforcement of audio frequency signals
CN212752525U (zh) 音箱
KR100303812B1 (ko) 멜로디 악기
CN211181613U (zh) 一种多媒体共振器及智能吉他
CN201117241Y (zh) 多功能琴盒
JP2000167240A (ja) 携帯ゲーム機用の照明及び音響装置
JPH11212758A (ja)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用マイクアンプアダプタ
JPS596076Y2 (ja) 電気メガホ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