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9096B1 - 실물화상 출력장치 - Google Patents

실물화상 출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9096B1
KR100449096B1 KR10-2004-0031244A KR20040031244A KR100449096B1 KR 100449096 B1 KR100449096 B1 KR 100449096B1 KR 20040031244 A KR20040031244 A KR 20040031244A KR 100449096 B1 KR100449096 B1 KR 100449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output
camera
unit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1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2790A (ko
Inventor
문창섭
Original Assignee
중원웰픽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원웰픽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중원웰픽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1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9096B1/ko
Publication of KR20040052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2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9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90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66Digital/analogue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물화상 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물화상기와 PC를 제어포트를 통해 상호 연결시켜 실물화상기의 기능을 PC를 통해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정지영상 캡춰시 사용자가 캡춰되는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고해상도 또는 저해상도 상태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되, 고해상도 선택시 PC측으로 전송되는 데이타의 전송속도가 느려지도록 하여 영상데이타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복수개의 영상재생기기가 입력되는 입력부를 구성하여 카메라의 촬영 동영상 및 영상재생기기에서 출력된 동영상을 PC의 모니터에 멀티화면으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동영상을 PC에 저장시킬 수 있도록 하고,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직접 대형 스크린에 투사하는 레이저투사기를 실물화상기에 형성하여 별도의 프로젝터 없이 대형 스크린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도록 하며, 카메라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PC에 저장시킬때에는 움직임센서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될때에만 저장되도록 하여 저장되는 영상데이타의 용량이 작아지도록 하며, 카메라의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카메라의 렌즈 결합부에 접사렌즈를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해지도록 한 실물화상 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물화상 출력장치{Presenter}
본 발명은 실물화상 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물화상기와 PC를 제어포트를 통해 상호 연결시켜 실물화상기의 기능을 PC를 통해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정지영상 캡춰시 사용자가 캡춰되는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고해상도 또는 저해상도 상태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되, 고해상도 선택시 PC측으로 전송되는 데이타의 전송속도가 느려지도록 하여 영상데이타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복수개의 영상재생기기가 입력되는 입력부를 구성하여 카메라의 촬영 동영상 및 영상재생기기에서 출력된 동영상을 PC의 모니터에 멀티화면으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동영상을 PC에 저장시킬 수 있도록 하고,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직접 대형 스크린에 투사하는 레이저투사기를 실물화상기에 형성하여 별도의 프로젝터없이 대형 스크린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도록 하며, 카메라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PC에 저장시킬때에는 움직임센서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될때에만 저장되도록 하여 저장되는 영상데이타의 용량이 작아지도록 하며, 카메라의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카메라의 렌즈 결합부에 접사렌즈를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해지도록 한 실물화상 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물화상기라 함은 평면 또는 입체물을 촬영하여 영상기기로 전송하는 장치로서 현대에는 교육기관에서의 시청각교육 장비로 널리 사용되고 있고 나아가서 일반 개인 또는 기업체에서도 점차 사용빈도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와같은 실물화상기는 대부분 VGA(해상도 640×480)급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물을 촬영하여 모니터 또는 프로젝터를 통해 화상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실물화상기는 그 실물화상기에 구비된 별도의 키이를 통해서만 그 기능이 제어되고 있기 때문에 PC 작업을 하면서 실물화상기를 조절하는 사용자는 일일이 PC와 실물화상기를 왔다 갔다 하면서 실물화상기를 조정해야만 하여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고, 실물화상기로서 정지영상을 고해상도로 캡춰링할경우 그 캡춰된 영상을 고속으로 PC에 전송하게됨에 따라 영상데이타가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실물화상기는 카메라와 본체의 영상처리장치 측을 여러가닥의 와이어로서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와이어의 꼬임 현상으로 인해 카메라를 수평방향으로 360도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피사체의 접사기능을 위한 접사렌즈를 용이하게 카메라로부터 장착하거나 분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물화상기와 PC를 제어포트를 통해 상호 연결시켜 실물화상기의 기능을 PC를 통해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정지영상 캡춰시 사용자가 캡춰되는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고해상도 또는 저해상도 상태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되, 고해상도 선택시 PC측으로 전송되는 데이타의 전송속도가 느려지도록 하여 영상데이타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복수개의 영상재생기기가 입력되는 입력부를 구성하여 카메라의 촬영 동영상 및 영상재생기기에서 출력된 동영상을 PC의 모니터에 멀티화면으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동영상을 PC에 저장시킬 수 있도록 하고,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직접 대형 스크린에 투사하는 레이저투사기를 실물화상기에 형성하여 별도의 프로젝터 없이 대형 스크린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도록 하며, 카메라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PC에 저장시킬때에는 움직임센서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될때에만 저장되도록 하여 저장되는 영상데이타의 용량이 작아지도록 하며, 카메라의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카메라의 렌즈 결합부에 접사렌즈를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해지도록 한 실물화상 출력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물화상 출력장치와 PC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물화상 출력장치와 PC의 연결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헤드부를 보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렌즈캡의 결합상태를 보인 부분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고정단자와 회동단자의 패턴을 보인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실물화상 출력장치의 작동예를 보인 도면.
도 7 은
도 8 은 본 발명에서 PC의 화면상에 복수개의 동영상이 멀티화면으로 출력된 예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카메라, 11: A/D변환부,
12: 필드메모리, 13: 스위칭부,
14: 영상변환부, 15: 신호증폭부,
17: 출력부, 18: 입력부,
20: 레이저 투사기, 21: 움직임센서,
23: 제어부, 24; 제어포트,
25: 출력제어부, 32: CPU,
34: 영상저장부, 41: 좌대,
42: 브라켓, 49: 헤드부,
60: 상부회동캡, 61,71: 기판,
62: 회동단자, 70: 하부고정캡,
72: 고정단자, 100: 실물화상기,
101: 렌즈결합부, 103; 체크볼,
200: PC,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8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조명판(50)이 있는 좌대(41)와, 좌대(41)의 후방측에 회전절첩이 가능하게 부착되는 지지대(43)와;, 상기 지지대(43)에 신축가능하게 조립되는 보조지지대(48)의 헤드부(49)와, 상기 헤드부(49)에 수직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토록 부착되는 카메라(10)와, 상기 카메라(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영상표시기기로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실물화상 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물화상기(100)에 제어포트(24)를 구성하고, 그 제어포트(24)에 PC
(20)를 접속시켜 실물화상기(100)의 기능이 PC(200)로서 원격제어되도록 하되,
상기 실물화상기(100)는,
카메라(10)에서 촬영된 복합영상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11)와;
상기 A/D변환부(11)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탈 영상신호의 수평주파수를 증가시켜 순차주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필드메모리(12)와;
상기 필드메모리(12)에서 수평주파수가 증가된 영상신호를 R,G,B 신호로 변환시키는 영상변환부(14)와;
상기 영상변환부(14)에서 변환된 R,G,B 신호를 압축 증폭하여 해상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신호증폭부(15)와;
제어부(23)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영상변환부(14)의 출력신호 또는 신호증폭부(15)의 출력신호를 선택하는 스위칭부(13)와;
상기 스위칭부(13)에서 출력된 R,G,B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변환부(16)와;
상기 D/A변환부(16)에서 출력된 R,G,B영상신호를 그 해상도에 따라 전송속도를 달리하여 PC(200) 측으로 전송하는 출력부(17)와;
정지영상캡춰, 동영상캡춰 및 해상도 선택을 위한 다수의 기능키이들로 이루어진 키이부(22)와;
상기 키이부(22)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명령 또는 제어포트(24)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PC(200)의 CPU(32)로부터 출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23); 를 포함하고,
상기 PC(200)는,
제어포트(24)를 통해 연결된 실물화상기(100)의 기능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으며, 키이보드(30) 또는 마우스(31)를 통한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제어포트(24)를 통해 제어부(23)로 공급하는 CPU(32)와;
상기 출력부(17)에서 전송된 영상데이타를 수신하는 입력포트(35)와;
상기 출력부(17)로부터 전송된 캡춰영상을 저장하는 영상저장부(34)와;
상기 입력포트(35)로 입력된 영상데이타를 신호처리하여 모니터(36)로 출력하는 비디오카드(33);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물화상기(100)는 출력부(17)의 영상신호 전송속도를 제어하는 출력제어부(25)를 더 구성하고, 제어부(23)는 사용자가 고해상도 캡춰기능을 선택하였을경우 출력제어부(25)를 통해 출력부(17)의 영상전송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려지도록 하여 PC(200)로 전송되는 캡춰링 영상데이타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을특징으로 한다.
또한 카메라(10)에서 촬영되는 동영상을 PC(200)에 저장시킬때 제어부(23)는 카메라(10)에서 촬영되는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될때에만 그 영상신호가 PC(200)로 전송되어 저장되도록 하고,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수단인 움직임센서(21)를 상기 카메라(10)의 전면 일측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물화상기(100)는,
복수개의 영상재생기기로부터 재생되어 출력된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18)와;
상기 입력부(18)를 통해 입력된 영상신호를 화면 출력가능하게 신호처리하여 출력부(17)로 공급하는 영상처리부(19); 를 더 구성하고,
상기 출력부(17)는 카메라(10)의 촬영동영상 및 영상처리부(19)에서 공급된 동영상신호를 PC(200) 측으로 전송하며, 상기 PC(200)의 CPU(32)는 출력부(17)로부터 입력되는 복수개의 영상신호를 모니터(36) 상에 멀티화면으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어느 하나의 동영상 데이타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실물화상기(100)는 출력부(17)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정보를 대형 스크린에 투사하는 레이저투사기(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실물화상기(100)는 조명판(50) 및 하부조명등(51)이 구비된 좌대(41)의 일측에 브라켓(41)이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41)에는 일정길이의 지지대(43)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대(43)의 선단부로는보조지지대(48)가 출몰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보조지지대(48)의 끝단부에는 카메라(10)가 수직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헤드부(49)가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41)의 내부에는 지지대(43)의 축수부가 끼워져 삽입되는데, 이때 상기 축수부의 끝단부에는 그 외주연에 스프링(46a)에 탄지된 상태의 걸림돌기(46)가 출몰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회전각도 조절판(45)이 힌지축(44)에 의해 축지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41)의 내부 상단에는 상기 회전각도 조절판(45)을 감싸도록 하우징(42a)을 형성하되, 이 하우징(42a)의 내주면상에는 상기 걸림돌기(46)가 걸리기 위한 복수개의 각도조절홈(42b,42c,42d)이 요입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각도조절홈의 위치는 제 1 홈(42b)은 도 6 의 실선도시부분과 같이 지지대(43)가 약 45도 이상으로 세워지도록 하는 것이고, 제 2 홈(42c)은 도 6 의 점선도시부분과 같이 지지대(43)가 수평을 이루어 카메라(10)가 좌대(41)의 평면에 근접되도록 하는 것이며, 제 3 홈(42d)은 지지대(43)가 수평면으로부터 일정각도 시계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카메라(10)가 좌대(41)위에 놓여진 피사체에 완전히 밀착되도록(접사기능)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지지대(43)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킴에 따라 걸림돌기(46)가 각각의 각도조절홈(42b,42c,42d)에 선택적으로 끼워짐으로 카메라(1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높은위치에 존재하는 카메라(10)를 낮은 위치로 각도 변환시킬때 상기 제 1 홈(42b)과 제 2 홈(42c)의 사이에 다른 홈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부드럽게 카메라(10)를 회동시킬 수 있게되는 장점을 갖게된다.
한편, 상기 헤드부(49)는 보조지지대(48)의 상측 끝단부에 형성되는 하부고정캡(70)과, 상기 하부고정캡(70)의 상측에 360도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회동캡(60)과, 상기 상하부회동캡(60,70)의 내부에 설로 대향되게 설치되되, 그 대향면에는 카메라(10)의 촬영정보를 영상처리장치 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다수의 고정단자(72)와 회동단자(62)가 서로 접촉되게 형성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기판(61,71), 으로 구성하여 카메라(10)를 수평방향으로 360도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고정단자(72)와 회동단자(62)는 원형으로 형성하여 상부회동캡(60)이 어느방향으로 회동하여도 고정단자(72)와 회동단자(62)가 항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카메라(10)를 원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카메라(10)의 전면에 렌즈 결합부(101)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렌즈결합부(101)에 접사렌즈(108)가 수용된 렌즈캡(106)을 착탈식으로 결합하되,
상기 렌즈캡(106)의 외주면상에 장착홈(107)을 요입 형성하고, 상기 렌즈결합부(101)의 내주면에는 장착홈(107)에 걸리기 위한 체크볼(103)을 그 일부분이 돌출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체크볼(103)이 형성되는 홀(102) 내부에는 체크볼(103)을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스프링(104)을 내장하고, 그 홀(102)의 타측으로는 조립나사(105)를 결합하여 스프링(104)이 빠지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렌즈캡(106)의 끝부분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그 상측을 렌즈 결합부(101) 내측으로 밀어넣을때 상기 체크볼(103)이 렌즈캡(106)의 외주면에 눌려 홀(102) 내부로 몰입되었다가 장착홈(107)이 홀(102)에 위치하였을때 체크볼(103)이 스프링(104)의 탄성에 의해 밀리면서 장착홈(107)에 끼워져 렌즈캡(106)이 렌즈결합부(101)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렌즈캡(106)을 렌즈결합부(101)로 부터 분리하고자 할때에는 사용자가 렌즈캡(107)의 하단부를 손으로 잡고 약간의 힘을 주어 당기게되면, 그 외력에 의해 체크볼(103)이 홀(102) 내부로 밀리면서 렌즈캡(107)이 용이하게 탈거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실물화상기(100)와 PC(200)를 제어포트(24)로서 상호 연결하여 실물화상기(100)의 정지영상 캡춰, 동영상캡춰, 해상도 선택 등을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사용자가 PC(200)의 키이보드(30) 또는 마우스(31)를 이용하여 실물화상기(100)의 특정 기능제어를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하게되면, CPU(32)는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명령을 제어포트(24)를 통해 제어부(23)로 전송하고, 제어부(23)는 CPU(32)로부터 전송된 제어명령이 수행되도록 스위칭부(13), 출력제어부(25) 등을 제어하게된다.
정지영상 캡춰를 위해 사용자가 좌대(41)의 조명판(50) 위에 피사체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카메라(10)로서 그 피사체를 촬영하면, 카메라(10)에서 촬영된 복합영상신호는 A/D변환부(11)에서 디지탈신호로 변환된 후 필드메모리(12)에 수평주파수가 증가되어 저장되고, 영상변환부(14)는 상기 필드메모리(12)에 의해 수평주파수가 증가한 영상신호를 R,G,B 신호로 변환시키고, 신호증폭부(15)는 R,G,B 신호를 압축 증폭하여 해상도가 향상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가 고해상도 캡춰기능을 선택하였다면, 제어부(23)는 스위칭부(13)를 신호증폭부(15) 측으로 절환시켜 신호증폭부(15)에서 출력된 고해상도 영상신호를 출력부(17)로 공급하게되며, 상기 출력부(17)는 출력제어부(25)의 제어에 따라 신호증폭부(15)에서 출력되는 고해상도 영상신호를 느린속도로 PC(200)에 전송하게되고, 상기 PC(200)의 영상저장부(34)는 상대적으로 느린 속도로 전송되어지는 고해상도 캡춰영상을 손실없이 저장하게된다.
상기와같이 고해상도 캡춰영상을 느린속도로 전송하게되면 많은 용량의 영상정보가 손실없이 전송되어 PC(200)에 저장되게되므로, 후에 PC(200)에 저장된 영상을 재생시킬때 고화질의 고해상도 영상이 모니터(36) 상에 화면출력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기능설정에서 사용자가 고해상도 캡춰기능을 선택하지 않았다면 제어부(23)는 스위칭부(13)를 영상변환부(14) 측으로 절환시켜 영상변환부(14)의 출력영상(저해상도영상)이 출력부(17)를 통해 PC(200) 측으로 전송되도록 하며, 이때에는 출력제어부(25)의 제어에 의해 출력부(17)는 빠른 속도로 영상데이타를 전송하게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영상캡춰 및 고해상도 선택기능을 사용자가 PC(200)를 통해 원격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일일이 실물화상기(100)로 이동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카메라(10)에서 촬영되는 동영상을 캡춰링하여 PC(200)에 저장시킬 수 있다.
즉, 카메라(10)를 통해 동영상이 촬영될때, 움직임센서(21)는 카메라(10)에 의해 촬영되는 피사체의 움직임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23)에 공급하고, 제어부(23)는 움직임센서(21)에 의해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될때에만 카메라(10)에서 촬영된 영상이 출력부(17)로 공급되도록 하므로써, 출력부(17)에서 전송된 영상이 PC(200)의 영상저장부(34)에 저장되는 것이다.
상기와같이 움직임센서(21)에 의해 피사체가 움직일때에만 동영상이 PC(200)에 저장되므로 저장되는 영상데이타의 용량을 현저히 줄여줄 수 있게된다.
그리고, 상기한 출력부(17)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는 레이저투사기(20)를 통해 대형 스크리상에 투사되어 대형화상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별도의 프로젝터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영상재생기(예를들면, VTR, DVD 등)가 접속되는 입력부(18)를 구비하고 있어서 상기 입력부(18)를 통해 복수개의 영상재생기로부터 재생되어 출력된 영상신호를 PC(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영상재생기에서 재생된 영상신호는 입력부(18)를 통해 영상처리부(19)로 공급되고, 상기 영상처리부(19)는 입력된 영상신호를 화면출력가능하게 신호처리되어 출력부(17)로 공급되므로서, 복수개의 영상재생기에서 재생된 영상신호가 PC(200)로 전송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PC(200)는 복수개의 영상재생기에서 재생된 영상정보 및카메라(10)에서 촬영되어 전송된 영상정보를 도 8 에 도시된 바와같이 모니터(36)상에 멀티화면으로 출력하게되고, 사용자는 모니터(36)에 화면출력된 멀티화면을 통해 카메라(10)의 촬영영상 또는 영상재생기에서 재생된 영상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영상저장부(34)에 저장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 설명과같이 동작하게되는 본 발명의 실물화상기(100)는 헤드부(49)에 구비되는 상부회동캡(60)과 하부고정캡(70) 및 그 내부에 설치되어있는 회동단자(62)와 고정단자(72)를 구비한 제 1 및 제 2 기판(61,71)의 구성에 의해 카메라(10)를 360도 자유롭게 회동시킬 수 있게되므로 편리하게 카메라(10)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게되며, 카메라(10)의 렌즈결합부(101)에 접사렌즈(108)를 수용하고있는 렌즈캡(106)을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실물화상기와 PC를 제어포트를 통해 상호 연결시켜 실물화상기의 기능을 PC를 통해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정지영상 캡춰시 사용자가 캡춰되는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고해상도 또는 저해상도 상태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되, 고해상도 선택시 PC측으로 전송되는 데이타의 전송속도가 느려지도록 하여 영상데이타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복수개의 영상재생기기가 입력되는 입력부를 구성하여 카메라의 촬영 동영상 및 영상재생기기에서 출력된 동영상을 PC의 모니터에 멀티화면으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동영상을 PC에 저장시킬 수 있도록 하고, 카메라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PC에 저장시킬때에는 움직임센서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될때에만 저장되도록 하여 저장되는 영상데이타의 용량이 작아지도록 하며, 카메라의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카메라의 렌즈 결합부에 접사렌즈를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해지도록 한 원격제어 및 동영상 캡춰기능을 갖는 실물화상 출력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9)

  1. 조명판(50)이 있는 좌대(41)와, 좌대(41)의 후방측에 회전절첩이 가능하게 부착되는 지지대(43)와;, 상기 지지대(43)에 신축가능하게 조립되는 보조지지대(48)의 헤드부(49)와, 상기 헤드부(49)에 수직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토록 부착되는 카메라(10)와, 상기 카메라(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영상표시기기로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실물화상 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물화상기(100)에 제어포트(24)를 구성하고, 그 제어포트(24)에 PC
    (20)를 접속시켜 실물화상기(100)의 기능이 PC(200)로서 원격제어되도록 하되,
    상기 실물화상기(100)는,
    카메라(10)에서 촬영된 복합영상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11)와;
    상기 A/D변환부(11)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탈 영상신호의 수평주파수를 증가시켜 순차주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필드메모리(12)와;
    상기 필드메모리(12)에서 수평주파수가 증가된 영상신호를 R,G,B 신호로 변환시키는 영상변환부(14)와;
    상기 영상변환부(14)에서 변환된 R,G,B 신호를 압축 증폭하여 해상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신호증폭부(15)와;
    제어부(23)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영상변환부(14)의 출력신호 또는신호증폭부(15)의 출력신호를 선택하는 스위칭부(13)와;
    상기 스위칭부(13)에서 출력된 R,G,B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변환부(16)와;
    상기 D/A변환부(16)에서 출력된 R,G,B영상신호를 그 해상도에 따라 전송속도를 달리하여 PC(200) 측으로 전송하는 출력부(17)와;
    정지영상캡춰, 동영상캡춰 및 해상도 선택을 위한 다수의 기능키이들로 이루어진 키이부(22)와;
    상기 키이부(22)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명령 또는 제어포트(24)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PC(200)의 CPU(32)로부터 출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23); 를 포함하고,
    상기 PC(200)는,
    제어포트(24)를 통해 연결된 실물화상기(100)의 기능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으며, 키이보드(30) 또는 마우스(31)를 통한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제어포트(24)를 통해 제어부(23)로 공급하는 CPU(32)와;
    상기 출력부(17)로부터 전송된 캡춰영상을 저장하는 영상저장부(34);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화상 출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물화상기(100)는 출력부(17)의 영상신호 전송속도를 제어하는 출력제어부(25)를 더 구성하고, 제어부(23)는 사용자가 고해상도 캡춰기능을 선택하였을경우 출력제어부(25)를 통해 출력부(17)의 영상전송속도가상대적으로 느려지도록 하여 PC(200)로 전송되는 캡춰링 영상데이타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화상 출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카메라(10)에서 촬영되는 동영상을 PC(200)에 저장시킬때 제어부(23)는 카메라(10)에서 촬영되는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될때에만 그 영상신호가 PC(200)로 전송되어 저장되도록 하고,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수단인 움직임센서(21)를 상기 카메라(10)의 전면 일측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화상 출력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물화상기(100)는,
    복수개의 영상재생기기로부터 재생되어 출력된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18)와;
    상기 입력부(18)를 통해 입력된 영상신호를 화면 출력가능하게 신호처리하여 출력부(17)로 공급하는 영상처리부(19); 를 더 구성하고,
    상기 출력부(17)는 카메라(10)의 촬영동영상 및 영상처리부(19)에서 공급된 동영상신호를 PC(200) 측으로 전송하며, 상기 PC(200)의 CPU(32)는 출력부(17)로부터 입력되는 복수개의 영상신호를 모니터(36) 상에 멀티화면으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어느 하나의 동영상 데이타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화상 출력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물화상기(100)는 출력부(17)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정보를 대형 스크린에 투사하는 레이저투사기(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화상 출력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물화상기(100)의 헤드부(49)는,
    보조지지대(48)의 상측 끝단부에 형성되는 하부고정캡(70)과, 상기 하부고정캡(70)의 상측에 360도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회동캡(60)과, 상기 상하부회동캡(60,70)의 내부에 설로 대향되게 설치되되, 그 대향면에는 카메라(10)의 촬영정보를 영상처리장치 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다수의 고정단자(72)와 회동단자(62)가 서로 접촉되게 형성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기판(61,71), 으로 구성하여 카메라(10)를 수평방향으로 360도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화상 출력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72)와 회동단자(62)는 원형으로 형성하여 상부회동캡(60)이 어느방향으로 회동하여도 고정단자(72)와 회동단자(62)가 항시 접촉된 상태를 유지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실물화상 출력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10)의 전면에 렌즈 결합부(101)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렌즈결합부(101)에 접사렌즈(108)가 수용된 렌즈캡(106)을 착탈식으로 결합하되,
    상기 렌즈캡(106)의 외주면상에 장착홈(107)을 요입 형성하고, 상기 렌즈결합부(101)의 내주면에는 장착홈(107)에 걸리기 위한 체크볼(103)을 그 일부분이 돌출되도록 홀(102)에 삽입하면서 상기 홀(102) 내부에 체크볼(103)을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스프링(104)을 내장하고, 그 홀(102)의 타측으로는 조립나사(105)를 결합하여 스프링(104)이 빠지지 않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화상 출력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41)의 내부에는 그 외주연에 스프링(46a)에 탄지된 상태의 걸림돌기(46)가 출몰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회전각도 조절판(45)이 지지대(43)의 축수부 끝단부에 힌지축(44)에 의해 축지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41)의 내부 상단에는 상기 회전각도 조절판(45)을 감싸도록 하우징(42a)을 형성하되, 이 하우징(42a)의 내주면상에는 상기 걸림돌기(46)가 걸리기 위한 복수개의 각도조절홈(42b,42c,42d)이 요입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화상 출력장치.
KR10-2004-0031244A 2004-05-04 2004-05-04 실물화상 출력장치 KR100449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244A KR100449096B1 (ko) 2004-05-04 2004-05-04 실물화상 출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244A KR100449096B1 (ko) 2004-05-04 2004-05-04 실물화상 출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2790A KR20040052790A (ko) 2004-06-23
KR100449096B1 true KR100449096B1 (ko) 2004-09-18

Family

ID=37346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1244A KR100449096B1 (ko) 2004-05-04 2004-05-04 실물화상 출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90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3707A (ja) * 2003-10-14 2005-05-12 Casio Comput Co Ltd 撮像投影装置及び撮像投影システムと、表示画像生成装置、表示画像生成方法
KR101241815B1 (ko) * 2012-03-15 2013-03-15 중원웰픽스주식회사 실물화상 및 음성인식 출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2790A (ko) 2004-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31836B2 (ja) 資料提示装置
CN103945117A (zh) 拍摄设备、协作拍摄方法以及记录了程序的记录介质
KR20040032724A (ko)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캠코더
KR20050059578A (ko) 영상신호 촬상장치의 받침대
KR100449096B1 (ko) 실물화상 출력장치
CN101448140A (zh) 无线监控的数字相框
JP2016063244A (ja) 撮像装置及び画像表示制御方法
JPH11136584A (ja) パノラマ撮像システム
JPH09247506A (ja) 映像撮影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装置
KR101241815B1 (ko) 실물화상 및 음성인식 출력장치
JPH1188758A (ja) モニター付きカメラ一体型記録装置
JPH0818838A (ja) 画像入力装置および画像入力方法
JPH0898076A (ja) 画像入力装置
JPH1146316A (ja) 映像撮影記録装置
US20240004270A1 (en) Actuator locking mechanism for image capture device
JP2007074417A (ja) カメラ制御システム
KR100324446B1 (ko) 컴퓨터와 인터페이스된 실물 화상기의 출력 데이터 처리 장치
KR102515185B1 (ko) 인공지능 카메라 거치대
JP3218675B2 (ja) ビデオカメラ
JPH10136241A (ja) カメラ固定装置
US20230224584A1 (en) Wide angle adapter lens for enhanced video stabilization
JP4368174B2 (ja) 撮像装置
JPH10126654A (ja)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KR200163279Y1 (ko) 컴퓨터와인터페이스된실물화상기의출력데이터처리장치
JP2003046817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