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8538B1 - 휴대식 전화에 부설되는 플립의 개폐구조 - Google Patents

휴대식 전화에 부설되는 플립의 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8538B1
KR100448538B1 KR10-2000-0069439A KR20000069439A KR100448538B1 KR 100448538 B1 KR100448538 B1 KR 100448538B1 KR 20000069439 A KR20000069439 A KR 20000069439A KR 100448538 B1 KR100448538 B1 KR 100448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portion
flip
bearing member
portable telephone
rotational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9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6227A (ko
Inventor
오나마사아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트로베리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트로베리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트로베리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10076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6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5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극히 상품가치가 높은 획기적인 휴대식 전화에 부설되는 플립의 개폐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휴대식 전화본체(1) 표면의 소정위치에 이 휴대식 전화본체(1)의 표면에 배치되는 전화조작부(2)를 은폐시킨 상태에서 노출시킨 상태가 되도록 개방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는 플립(3)을 설치하고, 이 플립(3)과 휴대식 전화본체(1)와의 피봇부착부(4)에 상기 전화조작부(2)를 은폐시킨 상태의 플립(3)을 소정의 거리만큼 회전이동시켰을 때, 이 휴대식 전화본체(1)의 표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가 되었을 때의 소정위치 B로부터 폐쇄측 위치에 있어서 폐쇄방향으로 플립(3)을 가압하는 폐쇄가압력과, 상기 소정위치 B로부터 개방측 위치에 있어서 개방방향으로 플립(3)을 가압하는 개방가압력을 구비한 가압기구를 설치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식 전화에 부설되는 플립의 개폐구조{OPENING/CLOSING STRUCTURE FOR A FLIP ATTACHED TO A PORTABLE PHONE}
본 발명은 휴대식 전화에 부설되는 플립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근래, 점점 휴대식전화의 보급율이 현저한 가운데, 이 휴대식 전화에는 소비자의 요구에 응하기 위해 다종 다양한 기종이 제안되고 있다.
그 중에서 휴대식 전화본체의 표면에 배치되는 전화조작부를 은폐하거나 노출시키거나 하는 플립이 설치된 기종이 있다.
이 플립은, 휴대식 전화본체의 표면 기초끝단부에 회전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판 형상의 것으로, 열었을 때는 전화조작부가 노출하여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함과 동시에, 통화시에 있어서의 음을 모으는 효과를 발휘하며, 한편, 접었을 때에는 전화조작부를 은폐하여 예를 들어 휴대식 전화를 포켓에 넣어두었을 때에 전화조작부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출원인은, 이 플립이 설치된 타입의 휴대식 전화에 착안하여 각종 연구를 거듭하여, 매우 상품가치가 높은 획기적인 휴대식 전화에 부설되는 플립의 개폐구조를 발명하였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주요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주요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주요부의 설명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주요부의 개략동작설명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주요부의 개략동작설명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주요부의 개략동작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대식전화본체 2 : 전화조작부
3 : 플립 3a : 설치부
4 : 피봇부착부 5 : 회전이동축
5a : 플랜지부 5b,7c : 구멍
6 : 축받이부재 7 : 제 1 캠부
7a,8a : 구멍 7b : 돌기
7d : 볼록조 8 : 제 2 캠부
8a, 13a' : 구멍 8b : 함몰부
9 : 코일스프링 10 : 고정핀
11 : 금속판 11a : V자 돌출부
12 : 볼록부 13 : 케이스체
13a : 벽부 14 : 갈고리부재
14a : 만곡면 15 : 오목부
16 : 워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요지를 설명한다.
휴대식 전화본체(1) 표면의 소정위치에, 이 휴대식 전화본체(1)의 표면에 배치되는 전화조작부(2)를 은폐시킨 상태에서 노출시킨 상태가 되도록 개방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는 플립(3)을 설치하고, 이 플립(3)과 휴대식 전화본체(1)와의 피봇부착부(4)에, 상기 전화조작부(2)를 은폐시킨 상태의 플립(3)을 소정의 거리만큼 회전이동시켰을 때, 이 휴대식 전화본체(1)의 표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가 되었을 때의 소정위치 B로부터 폐쇄측위치에 있어서 폐쇄방향으로 플립(3)을 가압하는 폐쇄가압력과, 상기 소정위치 B로부터 개방측위치에 있어서 개방방향으로 플립(3)을 가압하는 개방가압력을 구비한 가압기구를 설치한 휴대식 전화에 부설되는 플립의 개폐구조로서, 회전이동축(5)과, 이 회전이동축(5)에 설치한 제 1 캠부(7)와 누름상태로 접촉하여 이 제 1 캠부(7)와 요철끼워맞춤할 수 있는 형상의 제 2 캠부(8)를 구비한 축받이부재(6)를 설치하고, 이 회전이동축(5)과 축받이부재(6)와의 사이에, 회전이동축(5)과 축받이부재(6)를 상대회전이동시켰을 때, 회전이동축(5)의 제 1 캠부(7)와 축받이부재(6)의 제 2 캠부(8)가 끼워맞춤하지 않은 상태에서 끼워맞춤하고자 함으로써 상대회전이동가압력이 생기게 되어, 이 회전이동축(5)과 축받이부재(6)로부터 생기는 상대회전이동가압력을 상기 폐쇄가압력 및 개방가압력으로서 기능하도록 하여 상기 가압기구를 구성하며, 적어도 회전이동축(5)의 제 1 캠부(7)와 축받이부재(6)의 제 2 캠부(8)와의 접촉부위를 금속제의 부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식 전화에 부설되는 플립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휴대식 전화본체(1) 표면의 소정위치에, 이 휴대식 전화본체(1)의 표면에 배치되는 전화조작부(2)를 은폐시킨 상태에서 노출시킨 상태가 되도록 개방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는 플립(3)을 설치하고, 이 플립(3)과 휴대식 전화본체(1)와의 피봇부착부(4)에, 상기 전화조작부(2)를 은폐시킨 상태의 플립(3)을 소정의 거리만큼 회전이동시켰을 때, 이 휴대식 전화본체(1)의 표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가 되었을 때의 소정위치 B로부터 폐쇄측위치에 있어서 폐쇄방향으로 플립(3)을 가압하는 폐쇄가압력과, 상기 소정위치 B로부터 개방측위치에 있어서 개방방향으로 플립(3)을 가압하는 개방가압력을 구비한 가압기구를 설치한 휴대식 전화에 부설되는 플립의 개폐구조로서, 회전이동축(5)과, 이 회전이동축(5)에 설치한 제 1 캠부(7)와 누름상태로 접촉하여 이 제 1 캠부(7)와 요철끼워맞춤할 수 있는 형상의 제 2 캠부(8)를 구비한 축받이부재(6)를 설치하고, 이 회전이동축(5)과 축받이부재(6)와의 사이에, 회전이동축(5)과 축받이부재(6)를 상대회전이동시켰을 때, 회전이동축(5)의 제 1 캠부(7)와 축받이부재(6)의 제 2 캠부(8)가 끼워맞춤하지 않은 상태로부터 끼워맞춤하고자 함으로써 상대회전이동가압력이 생기게 되어, 이 회전이동축(5)과 축받이부재(6)로부터 생기는 상대회전이동가압력을 상기 폐쇄가압력 및 개방가압력으로서 기능하도록 하여 상기 가압기구를 구성하며, 상기 회전이동축(5)의 제 1 캠부(7)와 축받이부재(6)의 제 2 캠부(8)를 합성수지제의 부재로 구성하고, 이 제 1 캠부(7)와 제 2 캠부(8)와의 접촉부위를, 제 1 캠부(7)와 제 2 캠부(8)의 상호의 요철부위에 금속부재를 배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식 전화에 부설되는 플립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휴대식 전화본체(1) 표면의 소정위치에 이 휴대식 전화본체(1)의 표면에 배치되는 전화조작부(2)를 은폐시킨 상태에서 노출시킨 상태가 되도록 개방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는 플립(3)을 설치하고, 이 플립(3)과 휴대식 전화본체(1)와의 피봇부착부(4)에, 상기 전화조작부(2)를 은폐시킨 상태의 플립(3)을 소정의 거리만큼 회전이동시켰을 때, 이 휴대식 전화본체(1)의 표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가 되었을 때의 소정위치 B로부터 폐쇄측위치에 있어서 폐쇄방향으로 플립(3)을 가압하는 폐쇄가압력과, 상기 소정위치 B로부터 개방측위치에 있어서 개방방향으로 플립(3)을 가압하는 개방가압력을 구비한 가압기구를 설치한 휴대식 전화에 부설되는 플립의 개폐구조로서, 회전이동축(5)과, 이 회전이동축(5)에 설치한 제 1 캠부(7)와 누름상태로 접촉하여 이 제 1 캠부(7)와 요철끼워맞춤할 수 있는 형상의 제 2 캠부(8)를 구비한 축받이부재(6)를 설치하고, 이 회전이동축(5)과 축받이부재(6)와의 사이에, 회전이동축(5)과 축받이부재(6)를 상대회전이동시켰을 때에, 회전이동축(5)의 제 1 캠부(7)와 축받이부재(6)의 제 2 캠부(8)가 끼워맞춤하지 않은 상태로부터 끼워맞춤하고자 함으로써 상대회전이동가압력이 생기게 되어, 이 회전이동축(5)과 축받이부재(6)로부터 생기는 상대회전이동가압력을 상기 폐쇄가압력 및 개방가압력으로서 기능하도록 하여 상기 가압기구를 구성하며, 상기 회전이동축(5)의 제 1 캠부(7)와 축받이부재(6)의 제 2 캠부(8)의 상호의 요철부위에 금속부재를 끼워 넣어 배치하여 적어도 회전이동축(5)의 제 1 캠부(7)와 축받이부재(6)의 제 2 캠부(8)와의 접촉부위를 금속제의 부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식 전화에 부설되는 플립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발명을 어떻게 실시하는지)를, 도면에 기초하여 그 작용효과를 나타내어 간단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예컨대 휴대식 전화본체(1)를 가진 손의 손가락으로 플립(3)을 소정거리만큼 들어올리도록 하여 회전이동시켜, 플립(3)이 휴대식 전화본체(1)의 표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가 되었을 때의 소정위치 B를 통과시키면, 플립(3)은 가압기구의 개방가압력에 의해 개방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전화조작부(2)가 노출하게 된다.
또한, 플립(3)을 가압기구의 개방가압력에 대항하여 회전이동시켜 상기 소정위치 B를 통과시키면, 가압기구의 폐쇄가압력에 의해 플립(3)은 폐쇄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전화조작부(2)를 은폐시킨 상태가 된다.
따라서, 휴대식 전화본체(1)를 가진 한쪽 손으로 플립(3)을 전화조작부(2)를 은폐시킨 상태에서 노출시킨 상태로 간편하게 또한 신속하게 전환할 수 있게 되고, 더욱이 플립(3)과 휴대식 전화본체(1)와의 피봇부착부(4)에 설치한 가압기구는, 단순히 플립(3)을 개방방향으로 가압할 뿐만 아니라, 플립(3)을 폐쇄방향으로 가압하여 플립(3)이 닫혀 있을 때에는 항상 폐쇄방향으로의 폐쇄가압력이 작용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불시에 플립(3)이 개방되어 버리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양호한 전화조작부(2)의 은폐 상태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은 가압기구를 구성하는 회전이동축(5)의 제 1 캠부(7)와 축받이부재(6)의 제 2 캠부(8)와의 접촉부위를 금속제의 부재로 구성하고 있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기구는, 제 1 캠부(7)와 제 2 캠부(8)가 누름접촉하는 것 및 제 1 캠부(7)와 제 2 캠부(8)가 요철끼워맞춤함으로써 가압력을 생기게 하는 구성으로, 이 가압력을 강하게 하기 위해서는(이 가압력이 강할수록, 플립의 폐쇄방향으로의 회전이동 및 개방방향으로의 회전이동이 강약이 있는 움직임이 된다) 회전이동축(5)과 축받이부재(6)와의 접촉부위에 강한 가압력을 부여하면 좋다.
그런데, 이 강한 가압력에 의해 요철끼워맞춤하여 가압력을 생기게 하는 제 1 캠부(7)와 제 2 캠부(8)의 접촉부위가 수지인 경우, 내구성면에서 문제점이 생겨 버린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적어도 회전이동축(5)의 제 1 캠부(7)와 축받이부재의 제 2 캠부(8)와의 접촉부위를 금속접촉으로 함으로써 비약적으로 그 내구성이 향상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제 1 캠부(7) 및 제 2 캠부(8)를 모두 금속제의 부재로 구성한 경우, 내구성면에서는 뛰어나지만, 그 한편으로 이 제 1 캠부(7) 및 제 2 캠부(8)의 요철성형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비용이 상승하여 대량생산성이 나빠져 버리고, 더욱이 중량이 증가해 버리는(이 종류의 물품에는 0.1g이라도 경량으로 하길 바라는 요구가 있다) 등의 문제점이 생각되지만, 이 점,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 1 캠부(7) 및 제 2 캠부(8)를 합성수지제의 부재로 구성하고, 이 제 1 캠부(7)와 제 2 캠부(8)와의 접촉부위를, 제 1 캠부(7)와 제 2 캠부(8) 상호의 요철부위에 금속부재를 배치하여 구성하였기 때문에, 접촉하는 최소한의 부분만을 금속부재로 구성함으로써, 내구성면에서 뛰어난 것이 됨은 물론, 요철성형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이 싸지고 대량생산성에 뛰어나며, 더욱이, 제 1 캠부(7)및 제 2 캠부(8)를 모두 금속제의 부재로 구성한 경우에 비하여 비약적으로 경량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제 1 캠부(7) 및 제 2 캠부(8) 상호의 요철부위에 금속부재를 끼워 넣어 배치하였기 때문에 조립이 매우 간편해짐에 따라 보다 더 한층 비용이 싸찌고 대량생산성에 뛰어나게 된다.
[실시예]
도면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휴대식 전화본체(1) 표면의 소정위치에 이 휴대식 전화본체(1)의 표면에 배치되는 전화조작부(2)를 은폐시킨 상태에서 노출시킨 상태가 되도록개방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는 플립(3)을 설치하고, 이 플립(3)과 휴대식 전화본체(1)와의 피봇부착부(4)에, 상기 전화조작부(2)를 은폐시킨 상태의 플립(3)을 소정거리만큼 회전이동시켰을 때, 이 휴대식 전화본체(1)의 표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가 되었을 때의 소정위치 B로부터 폐쇄측위치에 있어서 폐쇄방향으로 플립(3)을 가압하는 폐쇄가압력과, 상기 소정위치 B로부터 개방측위치에 있어서 개방방향으로 플립(3)을 가압하는 개방가압력을 구비한 가압기구를 설치한 것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가압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압기구는 회전이동축(5)과 축받이부재(6)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이동축(5)은,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절한 금속제의 부재를 원기둥형상으로 성형한 것이다.
이 회전이동축(5)은, 그 기초끝단부에 플랜지부(5a)가 형성되며, 이 플랜지부(5a)는 후술하는 축받이부재(6)에 관계되는 케이스체(13)에 빠짐방지상태로 걸어멈춤하기 위한 것이고, 그리고 회전이동축(5)의 앞끝단부에는 구멍(5b)이 형성되며, 이 구멍(5b)은 제 1 캠부(7)를 고정핀(10)을 통하여 고정부착하기 위한 고정부착구멍이다.
또한, 회전이동축(5)의 앞끝단부에는 제 1 캠부(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 캠부(7)는, 적당한 합성수지제의 부재를 일체로 성형한 것이다.
또한, 제 1 캠부(7)는, 그 중앙부에 구멍(7a)이 형성되며, 이 구멍(7a)은 회전이동축(5)에 끼워 넣어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멍이다. 부호(7c)는 제 1 캠부(7)를 회전이동축(5)의 선단부에 끼워 넣고, 이 상태에서 고정핀(10)을 삽입하여 고정부착하기 위한 고정부착구멍, (7d)는 제 1 캠부(7)를 플립(3)의 설치부(3a)에 회전 방지 상태로 끼워 부착하기 위한 볼록조이다.
또한, 제 1 캠부(7)는 그 내면소정위치에 구멍(7a)의 둘레가장자리에 대향하는 2개소에 산모양으로 튀어나온 돌기(7b)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튀어나온 돌기(7b)의 표면에는 금속판(11)이 배치되어 있다.
이 금속판(11)은 적절한 금속제의 판재를 프레스가공에 의해 성형한 것으로, 그 표면의 좌우위치에는 V자 돌출부(11a)가 절곡형성되고, 이 V자 돌출부(11a)를 제 1 캠부(7)의 튀어나온 돌기(7b) 각각에 씌움으로써, 제 1 캠부(7)의 내면에 금속판(11)을 끼워 넣어 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캠부(7)에는 금속판(11)에 만들어진 좌우의 V자 돌출부(11a)에 의해 볼록부(12)가 형성되고, 이 볼록부(12)는 후술하는 제 2 캠부(8)의 오목부 (15)와 요철끼워맞춤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축받이부재(6)는 케이스체(13)와, 이 케이스체(13)내에 배치되는 제 2 캠부 (8)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체(13)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절한 금속제의 부재를 통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후술하는 제 2 캠부(8)와 동일단면형상이며, 해당 제 2 캠부(8)를 슬라이드이동 자유롭게 끼워맞춤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체(13)는, 그 한 끝단부에 형성된 벽부(13a)의 중앙에는 회전이동축(5)을 회전이동 자유롭게 삽입할 수 있는 정도의 직경의 구멍(13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스체(13)의 바깥쪽에서 회전이동축(5)의 선단부를 삽입시키고, 이 회전이동축(5)의 기초끝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5a)를 케이스체(13)의 구멍(13a')의 둘레가장자리에 걸어멈춤시킴으로써 회전이동축(5)을 빠짐방지상태로 회전이동이 자유롭도록 연결할 수 있다.
제 2 캠부(8)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절한 합성수지제의 부재를 일체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제 2 캠부(8)는, 그 중앙부에 구멍(8a)이 형성되며, 이 구멍(8a)은 회전이동축(5)에 끼워 넣어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멍이다.
또한, 이 제 2 캠부(8)는 그 내면소정위치에 구멍(8a)의 둘레가장자리에 대향하는 2개소에 함몰부(8b)가 형성되고, 이 각 함몰부(8b)에는 갈고리부재(14)가 배치되어 있다.
이 갈고리부재(14)는 적절한 금속제의 부재를 프레스가공에 의해 성형한 것으로, 각각 선단이 예리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그 내면에 만곡면(14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갈고리부재(14)는 그 기초끝단부를 제 2 캠부(8) 좌우의 함몰 부(8b) 각각에 끼워 넣어 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캠부(8)는 그 한 끝단측에 좌우의 갈고리부재(14)끼리의 사이에 오목부(15)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15)는 상술한 제 1 캠부(7)의 볼록부(12)와 요철끼워맞춤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이동축(5)과 축받이부재(6)와의 조립부착에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회전이동축(5)을 축받이부재(6)의 케이스체(13)내에 바깥쪽에서 삽입시키고, 계속해서 이 회전이동축(5)의 케이스체(13)내에 위치하는 부위에 코일스프링(9)을 끼워 넣음과 동시에 해당 회전이동축(5)에 제 2 캠부(8)를 끼워 넣고, 계속해서 회전이동축(5)의 선단부에 제 1 캠부(7)를 끼워 넣어 고정핀(10)으로 고정부착하게 된다.
이 때,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이동축(5)과 축받이부재(6)는 상대회전운동이 자유롭고, 그리고, 제 1 캠부(7)는 제 2 캠부(8)를 코일스프링(9)의 압축탄성에 대항하여 밀어 누르도록 되어 회전이동축(5)에 고정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캠부(7)[V자 돌출부(11a)]의 볼록부(12)와 제 2 캠부(8)[갈고리부재(14)]의 오목부 (15)는 누름상태로 접촉하여 요철끼워맞춤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제 1 캠부(7)와 제 2 캠부(8)와의 접촉은, 금속판(11)과 갈고리부재(14)와의 접촉, 즉 금속부위끼리의 접촉이 된다.
부호(16)은 워셔이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가압기구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예를 들면 회전이동축(5)을 축받이부재(6)에 대하여 회전이동시키면, 제 1 캠부(7)가 제 2 캠부(8)를 밀어 누르도록 하여 회전하게 된다[제 2 캠부(8)는 코일스프링(9)에 압축탄성에 대항하여 슬라이드이동한다]. 이 때, 회전이동축(5)을 약 90°회전이동시키는 곳까지는 제 1 캠부(7)와 제 2 캠부(8)와의 사이에는 요철끼워맞춤하고자 하는 힘이 작용하여 회전이동축(5)을 되돌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하는 되돌리는 가압력이 생기게 되고, 그리고 또한, 이 회전이동축(5)을 약 90°회전이동시킨 곳부터는, 제 1 캠부(7)와 제 2 캠부(8)와의 사이에는 요철끼워맞춤하지 않은 상태에서 요철끼워맞춤하고자 하는 힘이 작용하여 회전이동축(5)을 진행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고자 하는 진행가압력이 생기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회전이동축(5)을 도 5중 a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면, 서로 요철끼워맞춤하고 있던 제 1 캠부(7)와 제 2 캠부(8)가 어긋남으로써 제 2 캠부(8)는 도 6중 b 방향으로 코일스프링(9)의 압축탄성(도 6중의 c방향)에 대항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제 2 캠부(8)에는 코일스프링(9)의 압축탄성이 작용하여, 제 2 캠부(8)에 형성된 갈고리부재(14)의 만곡면(14a)과 제 1 캠부(7)에 형성된 V자 돌출부(11a)의 둘레면이 미끄러져 동작함으로써, 제 1 캠부(7) 및 제 2 캠부(8)의 오목부끼리가 끼워맞춤하고자 하는 힘이 생기게 되고, 회전이동축(5)을 도 6중 d방향으로 되돌리고자 하는 되돌리는 가압력이 발생한다.
그리고, 그대로 회전이동축(5)을 도 7중 a방향(진행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면, 제 2 캠부(8)에는 코일스프링(9)의 압축탄성(도 7중 c방향)이 작용하여, 제 2 캠부(8)에 형성된 갈고리부재(14)의 만곡면(14a)과 제 1 캠부(7)에 형성된 V자 돌출부(11a)의 둘레면이 미끄러져 동작함으로써, 제 1 캠부(7) 및 제 2 캠부(8)가 요철끼워맞춤하고자 하는 힘이 생기게 되어[이 때, 제 2 캠부(8)는 코일스프링(9)의 항축탄성에 의해 도 7중 e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회전이동축(5)을 도 7중 a방향으로 진행시키고자 하는 진행가압력이 발생한다.
즉, 회전이동축(5)을 축받이부재(6)에 대하여 180°회전이동시키면, 약 90°까지 회전이동시킬 때까지는 항상 되돌아가려는 방향으로의 가압력이 생기고, 이 90°의 지점(소위 데드 포인트)을 지나면 이번에는 진행방향으로의 가압력이 생기게 되어, 이 90°의 지점을 경계로 역방향으로의 가압력(되돌아가려는 가압력 및 진행가압력)이 작용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는, 약 90°를 회전이동시킬 때마다 되돌아가려는 가압력과 진행가압력의 경계(데드포인트)가 되도록 설정하고 있지만, 이것은 제 1 캠부(7) 및 제 2 캠부(8)의 형상 등의 변경에 의해 적절히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이동축(5)을 축받이부재(6)에 대하여 회전이동시킨 경우를 예로 들어 그 가압력을 설명하고 있지만, 반대로 축받이부재(6)를 회전이동축(5)에 대하여 회전이동시켰을 때에도, 제 1 캠부(7)와 제 2 캠부(8)의 관계로부터 되돌아가려는 가압력 및 진행가압력이 발휘되고, 즉, 회전이동축(5)과 축받이부재(6)를 상대회전이동시켰을 때에는, 제 1 캠부(7)와 제 2 캠부(8)는, 끼워맞춤하지 않은 상태에서 끼워맞춤하고자 함으로써 상대회전이동가압력이 생기는 구성이며, 이 회전이동축(5) 혹은 축받이부재(6)의 어느 쪽을 가동시켜 가압력을 발휘하게 하여도 좋다.
다음에, 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압기구가 구비된 플립(3)과 휴대식 전화본체 (1)와의 피봇부착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립(3)의 기초끝단측 이면의 좌우위치에 형성한 설치부(3a) 각각에 회전이동축(5)의 제 1 캠부(7)를 회전 방지 상태로 끼워 장착시키고, 이 상태에서 축받이부재(6)를 휴대식 전화본체(1)의 기초끝단부에 끼워 장착시킴으로써 휴대식 전화본체(1)에 대하여 플립(3)을 피봇부착하게 된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가압기구에 의한 되돌아가려는 가압력을 플립(3)을 폐쇄방향으로 가압하는 폐쇄가압력으로서 기능시키고, 한편, 진행가압력을 플립(3)을 개방방향으로 가압하는 개방가압력으로서 기능시키고 있다.
즉, 플립(3)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식 전화본체(1)의 표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가 되었을 때의 소정위치 B로부터 폐쇄측 위치 C로 갈 때에는, 가압기구에 의한 폐쇄가압력(되돌아가려는 가압력)에 의해 폐쇄방향으로 가압되고, 상기 소정위치 B로부터 개방측 위치 A로 갈 때에는, 가압기구에 관한 개방가압력(진행가압력)에 의해 개방방향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식 전화본체(1)의 표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가 되었을 때의 소정위치 B는 가압기구에 의한 데드포인트가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였기 때문에, 예를 들면 휴대식 전화본체(1)를 가진 손의 손가락으로 플립(3)을 소정 거리만큼 들어올리도록 하여 회전이동시켜, 플립(3)이 휴대식 전화본체(1)의 표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가 되었을 때의 소정위치 B를 통과시키면, 플립(3)은 가압기구의 개방가압력에 의해 개방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전화조작부(2)가 노출하게 된다.
또한, 플립(3)을 가압기구의 개방가압력에 대항하여 회전이동시켜 상기 소정위치 B를 통과시키면, 가압기구의 폐쇄가압력에 의해 플립(3)은 폐쇄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전화조작부(2)를 은폐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식 전화본체(1)를 가진 한쪽 손으로 플립 (3)을 전화조작부(2)를 은폐시킨 상태에서 노출시킨 상태로 간편하고 또한 신속하게 전환할 수 있게 되며, 더욱이, 플립(3)과 휴대식 전화본체(1)와의 피봇부착부 (4)에 설치한 가압기구는, 단순히 플립(3)을 개방방향으로 가압할 뿐만 아니라, 플립(3)을 폐쇄방향으로 가압하여 플립(3)이 닫혀 있을 때에는 항상 폐쇄방향으로의 폐쇄가압력이 작용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불시에 플립(3)이 개방되어 버리는 것이 방지되어 양호한 전화조작부(2)의 은폐상태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적어도(최소한) 회전이동축(5)의 제 1 캠부(7)와 축받이부재의 제 2 캠부(8)와의 접촉부위를 금속접촉으로 함으로써 비약적으로 그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예를 들면 제 1 캠부(7) 및 제 2 캠부(8)를 모두 금속제의 부재로 구성한 경우, 내구성면에서는 뛰어나게 되지만, 그 한편으로 이 제 1 캠부(7) 및 제 2 캠부(8)의 요철성형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비용이 상승되어 대량생산성이 나빠져 버리고, 더욱이 중량이 증가해 버리는(이 종류의 물품에는 0.1g이라도 경량으로 하길 바라는 요구가 있다) 등의 문제점이 생각되지만, 이 점,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캠부(7) 및 제 2 캠부(8)를 합성수지제의 부재로 구성하고, 이 제 1 캠부(7)와 제 2 캠부(8)와의 접촉부위를, 제 1 캠부(7)와 제 2 캠부(8)의 상호의 요철부위에 금속부재를 배치하여 구성하였기 때문에, 접촉하는 최소한의 부분만을 금속부재로 구성함으로써, 내구성면에서 뛰어나게 됨은 물론, 요철성형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이 싸지고 대량생산성에 뛰어나며, 더욱이 제 1캠부(7) 및 제 2 캠부(8)를 모두 금속제의 부재로 구성한 경우에 비하여 비약적으로 경량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 1 캠부(7) 및 제 2 캠부(8)의 상호의 요철부위에 금속부재를 끼워 넣어 배치하였기 때문에 조립이 매우 간편해짐에 따라 한층 비용이 싸지고 대량생산성에 뛰어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였기 때문에, 적어도 회전이동축의 제 1 캠부와 축받이부재의 제 2 캠부의 접촉부위를 금속접촉으로 함으로써 비약적으로 그 내구성이 향상되는 등 극히 상품가치가 높은 획기적인 휴대식 전화에 부설되는 플립의 개폐구조가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캠부와 제 2 캠부가 접촉하는 최소한의 부분만을 금속부재로 구성함으로써, 내구성면에서 우수해짐은 물론, 요철성형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이 싸지고 대량생산성에도 뛰어나며, 더욱이 제 1 캠부 및 제 2 캠부를 모두 금속제의 부재로 구성한 경우에 비하여 비약적으로 경량으로 할 수 있는 등 극히 상품가치가 높은 획기적인 휴대식 전화에 부설되는 플립의 개폐구조가 된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효과에 더하여, 제 1 캠부 및 제 2 캠부의 상호의 요철부위에 금속부재를 끼워 넣어 배치하였기 때문에 조립이 매우 간편해짐으로써 한층 비용이 싸지고 대량생산성에 뛰어나는 등 극히 상품가치가 높은 획기적인 휴대식 전화에 부설되는 플립의 개폐구조가 된다.

Claims (3)

  1. 휴대식 전화본체의 표면의 소정위치에 이 휴대식 전화본체의 표면에 배치되는 전화조작부를 은폐시킨 상태에서 노출시킨 상태가 되도록 개방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는 플립을 설치하고, 이 플립과 휴대식 전화본체와의 피봇부착부에, 상기 전화조작부를 은폐시킨 상태의 플립을 소정거리만큼 회전이동시켰을 때, 이 휴대식 전화본체의 표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가 되었을 때의 소정위치로부터 폐쇄측위치에 있어서 폐쇄방향으로 플립을 가압하는 폐쇄가압력과, 상기 소정위치로부터 개방측위치에 있어서 개방방향으로 플립을 가압하는 개방가압력을 구비한 가압기구를 설치한 휴대식전화에 부설되는 플립의 개폐구조로서, 회전이동축과, 이 회전이동축에 설치한 제 1 캠부와 누름상태로 접촉하여 이 제 1 캠부와 요철끼워맞춤할 수 있는 형상의 제 2 캠부를 구비한 축받이부재를 설치하여, 이 회전이동축과 축받이부재와의 사이에, 회전이동축과 축받이부재를 상대회전이동시켰을 때, 회전이동축의 제 1 캠부와 축받이부재의 제 2 캠부가 끼워맞춤하지 않은 상태로부터 끼워맞춤하고자 함으로써 상대회전이동가압력이 생기게 되고, 이 회전이동축과 축받이부재로부터 생기는 상대회전이동가압력을 상기 폐쇄가압력 및 개방가압력으로서 기능하도록 하여 상기 가압기구를 구성하고, 상기 회전이동축의 제 1 캠부와 축받이부재의 제 2 캠부를 합성수지제의 부재로 구성하며, 이 제 1 캠부와 제 2 캠부와의 접촉부위를, 제 1 캠부와 제 2 캠부의 상호의 요철부위에 금속부재를 배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식 전화에 부설되는 플립의 개폐구조.
  2. 휴대식 전화본체의 표면의 소정위치에 이 휴대식 전화본체의 표면에 배치되는 전화조작부를 은폐시킨 상태에서 노출시킨 상태가 되도록 개방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는 플립을 설치하고, 이 플립과 휴대식 전화본체와의 피봇부착부에, 상기 전화조작부를 은폐시킨 상태의 플립을 소정의 거리만큼 회전이동시켰을 때, 이 휴대식 전화본체의 표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가 되었을 때의 소정위치로부터 폐쇄측위치에 있어서 폐쇄방향으로 플립을 가압하는 폐쇄가압력과, 상기 소정위치로부터 개방측위치에 있어서 개방방향으로 플립을 가압하는 개방가압력을 구비한 가압기구를 설치한 휴대식 전화에 부설되는 플립의 개폐구조로서, 회전이동축과, 이 회전이동축에 설치한 제 1 캠부와 누름상태로 접촉하여 이 제 1 캠부와 요철끼워맞춤할 수 있는 형상의 제 2 캠부를 구비한 축받이부재를 설치하고, 이 회전이동축과 축받이부재와의 사이에, 회전이동축과 축받이부재를 상대회전이동시켰을 때, 회전이동축의 제 1 캠부와 축받이부재의 제 2 캠부가 끼워맞춤하지 않은 상태로부터 끼워맞춤하고자 함으로써 상대회전이동가압력이 생기게 되어, 이 회전이동축과 축받이부재로부터 생기는 상대회전이동가압력을 상기 폐쇄가압력 및 개방가압력으로서 기능하도록 하여 상기 가압기구를 구성하고, 상기 회전이동축의 제 1 캠부와 축받이부재의 제 2 캠부의 상호의 요철부위에 금속부재를 끼워 넣어 배치하여 적어도 회전이동축의 제 1 캠부와 축받이부재의 제 2 캠부와의 접촉부위를 금속제의 부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식 전화에 부설되는 플립의 개폐구조.
  3. 삭제
KR10-2000-0069439A 2000-01-18 2000-11-22 휴대식 전화에 부설되는 플립의 개폐구조 KR1004485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08845A JP2001203791A (ja) 2000-01-18 2000-01-18 携帯式電話に付設されるフリップの開閉構造
JP8845 2000-0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6227A KR20010076227A (ko) 2001-08-11
KR100448538B1 true KR100448538B1 (ko) 2004-09-21

Family

ID=18537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9439A KR100448538B1 (ko) 2000-01-18 2000-11-22 휴대식 전화에 부설되는 플립의 개폐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85759B2 (ko)
EP (1) EP1119154B1 (ko)
JP (1) JP2001203791A (ko)
KR (1) KR100448538B1 (ko)
DE (1) DE60019886D1 (ko)
HK (1) HK10384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9945A (ja) * 2002-02-21 2003-08-27 Sugatsune Ind Co Ltd ヒンジ装置及び携帯機器
DE10313563A1 (de) * 2002-07-02 2004-01-2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Suwon Automatisch klappbares Mobiltelefon
JP4125653B2 (ja) 2002-10-30 2008-07-30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型情報端末装置
TWM254061U (en) * 2004-02-06 2004-12-21 Hon Hai Prec Ind Co Ltd Hinge structure
CN2737127Y (zh) * 2004-07-16 2005-10-2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结构
CN2745324Y (zh) * 2004-10-05 2005-12-0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结构
FR2879693B1 (fr) * 2004-12-16 2007-04-06 Snecma Moteurs Sa Dispositif mecanique comprenant plusieurs pieces assemblees avec un positionnement relatif precis
KR20100055400A (ko) * 2007-08-24 2010-05-26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힌지 장치
CN106763128B (zh) * 2015-11-20 2020-03-24 联想(北京)有限公司 铰链和电子设备
CN106793607B (zh) * 2015-11-20 2019-08-27 联想(北京)有限公司 铰链和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8993A (en) * 1991-02-01 1994-01-11 Motorola, Inc. Integral spring loaded hinge and switch for portable radio device
CA2109204C (en) * 1992-03-11 1996-04-09 Paul John Kudrna Hinge assembly
GB2290191B (en) * 1993-11-08 1997-08-06 Motorola Inc Electronic device coupling apparatus
US5649309A (en) * 1995-05-18 1997-07-15 Motorola, In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axially aligned cover release mechanism
US5628089A (en) * 1995-05-18 1997-05-13 Motorola, Inc. Radiotelephone having a self contained hinge
KR200141099Y1 (ko) * 1995-09-19 1999-05-15 김광호 휴대용 전화기의 버튼커버 개페장치
US5832079A (en) * 1996-05-03 1998-11-03 Ericsson Inc. Acoustic horn for use in cellular flip phones
GB2322906B (en) * 1996-12-23 2001-04-04 Nokia Mobile Phones Ltd Spring biased hinge for a foldable radiotelephone
KR100228315B1 (ko) * 1997-03-04 1999-11-01 윤종용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접점식 마이크로폰 장치
US6119019A (en) * 1997-03-07 2000-09-12 Ericsson Inc. Flip cover assembly incorporating a cam member
JP3423003B2 (ja) * 1997-04-26 2003-07-07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フリップ型携帯電話のマイクロフォン接続装置
US6256481B1 (en) * 1997-04-26 2001-07-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icrophone connecting device for flip type portable telephone
SE511799C2 (sv) * 1998-03-24 1999-11-29 Ericsson Telefon Ab L M Gångledsanordning vid en mobiltelefonapparat med lucka
US6065187A (en) * 1998-05-14 2000-05-23 Motorola, Inc. Hing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19154A2 (en) 2001-07-25
US6985759B2 (en) 2006-01-10
EP1119154A3 (en) 2003-10-01
KR20010076227A (ko) 2001-08-11
DE60019886D1 (de) 2005-06-09
HK1038456A1 (en) 2002-03-15
JP2001203791A (ja) 2001-07-27
EP1119154B1 (en) 2005-05-04
US20010014591A1 (en) 2001-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8538B1 (ko) 휴대식 전화에 부설되는 플립의 개폐구조
US7463913B2 (en) Slide mechanism of portable device and portable telephone
KR100912611B1 (ko) 휴대폰 자동 힌지모듈
JP3727502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US6148079A (en) Hinge apparatus for flip style portable phone
JP3828643B2 (ja) ヒンジ装置
KR100848858B1 (ko) 좁은 궤적을 갖는 탄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
JP2006081107A (ja) 携帯機器のスライド機構及び携帯電話機
JP2000022790A (ja) ヒンジユニット
JP2010510444A (ja) バネ力が加えられたヒンジ機構
JP2013231284A (ja) ヒンジ構造
KR100829995B1 (ko) 휴대기기의 슬라이드 기구 및 휴대전화기
JP3544949B2 (ja)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携帯式電子機器
US693787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ning a cover of a mobile phone
JPWO2005124168A1 (ja) ヒンジ装置及びその取付け構造
US20080092336A1 (en) Hinge mechanism and portable terminal
JP3656041B2 (ja)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4455573B2 (ja)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4104967B2 (ja)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3999682B2 (ja)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S5814209Y2 (ja) 蓋体ロック部材
KR100835935B1 (ko) 휴대단말기용 원터치 힌지모듈과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
KR100986775B1 (ko) 휴대 단말기용 힌지 장치
JP5124060B2 (ja) スライド回転ヒンジ
JP2004327115A (ja) 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