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8490B1 - 글로브박스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글로브박스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8490B1
KR100448490B1 KR10-2001-0052132A KR20010052132A KR100448490B1 KR 100448490 B1 KR100448490 B1 KR 100448490B1 KR 20010052132 A KR20010052132 A KR 20010052132A KR 100448490 B1 KR100448490 B1 KR 100448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box
rotator
opening
wir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2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8412A (ko
Inventor
박형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2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8490B1/ko
Publication of KR20030018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8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4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로브박스에 오일댐퍼 및 원형플레이트 스프링의 저항력을 이용하여 서서히 열릴 수 있도록 오일댐퍼에 로테이터와 와이어를 연결하고 닫힐 때 탄성복원력으로 팽창하면서 닫혀질 수 있도록 원형플레이트스프링을 연결함으로써, 사용자가 글로브박스를 열릴 때 내부에 수납된 물건의 무게하중에 의해 급격히 열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글로브박스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글로브박스 개폐장치{open and close device glove box}
본 발명은 글로브박스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글로브박스에 오일댐퍼 및 원형플레이트 스프링의 저항력을 이용하여 서서히 열릴 수 있도록 오일댐퍼에 로테이터와 와이어를 연결하고 닫힐 때 탄성복원력으로 팽창하면서 닫혀질 수 있도록 원형플레이트스프링을 연결함으로써, 사용자가 글로브박스를 열릴 때 내부에 수납된 물건의 무게하중에 의해 급격히 열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글로브박스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 앞에는 대쉬보드라고 불리우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이 설치되는데, 여기에는 주행하고 있는 차량의 상태를 운전자가 수시로 파악하여 보다 안전하면서도 원활한 운행을 할수 있도록 자동차의 안전운행에 도움을 주는 각종 계기들 및 주의 경고등이 집합되어 있는 계기판이 설치된다.
즉, 상기처럼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는 계기판에는, 엔진의 1분당 회전수(RPM)를 나타내면서 운행중 운전자가 적정한 변속시기를 선택하는데, 도움을 주고 엔진의 과회전 상태를 식별하여 방지토록 하는 타고메타; 차량의 주행속도를 나타내어 과속을 방지토록 하는 스피드미터; 차량이 주행한 거리를 나타내는 구간거리계와 적산거리계 등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의 계기판에는, 엔진의 냉각수 온도를 나타내는 온도계와 연료탱크의 연료잔량을 나타내는 연료계를 위시하여, 방향지시등, 비상경고등과 밧데리의 충전이 안될 때 점등되는 밧데리 경고등, 엔진오일이 부족할때의 경고등과 같은 각종 주의 및 경고등이 집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계기판의 우측에는 히터와 에어컨등 냉, 난방기기의 작동에 필요한 각종 레버및 버튼과 풍향을 조절하는 벤틸레이터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중 조수석 앞에 위치하는 부위는 운전자의 시야로부터 너무 멀어서 여기에는 상기한 계기들 및 주의 경고등이 설치되지 않으므로 그 공간의 여유를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필요한 물건을 보관하는 글로브박스가 설치된다.
상기의 글로브박스는 인스트루먼트패널을 사출 성형하여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함체를 형성하고, 상기 함체 표면에 리드를부착하는 것으로서, 글로브박스의 크기는 차의 검증, 정비수첩, 취급설명서의 수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물론 카셋테입이나 지도책 수납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하며, 일반적인 구성으로서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본체에 설치된 박스와 리드로 되어있는 리드타입, 또 박스 전체가 개폐되는 버켓타입이 있다.
또 리드를 열었을 때 승차원에 대한 무릎치기를 완화하기 위하여 댐퍼기구를 사용하는 것도 많아지고 있으며, 박스 및 리드는 수지성형품(폴리프로필렌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리드는 표면을 패드재로 덮은 것도 있으며, 충돌시에 승차원이글로브박스부와 2 차 충돌하더라도 승차원이 상해를 받지 않도록 주변부가 파형 파괴되더라도 글로브박스가 열리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또한 차량이 충돌했을 때 발생하는 관성력만에 의해서 글로브박스가 열리는 일이 있어서는 안된다.
상기의 글로브박스의 리드는 주로 업/다운식으로 되어있어 열때에는 손잡이를 잡고 손앞쪽으로 잡아 당기면 열려지는 것이고, 닫을때에는 리드를 밀어서 닫으면 쉽게 열고 닫을수 있는 것이며, 글로브박스내 중요한 물건을 넣었을 때에는 도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글로브박스에는 별도의 잠금장치가 설치된 것도 있다.
그리고 리드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조로는 리드의 하부 양측에 힌지를 부착하여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부착되도록 하고, 또한 차량 충돌시 승차자가 전방으로 쏠리면서 승차자의 무릎부위가 리드를 강하게 치더라도 리드가 밀려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승차자의 부상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리드내에 별도의 보강철편을 설치하여 강도를 보강하도록 하는 것이나 이는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종래 글로브박스 리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드(1)는 인너패널(2)과 아우터패널(3)을 서로 스크류 결합하여 구성되는 것이나 리드(1)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즉, 별도의 보강철편(4)을 구비한 후 상기 보강철편(4)을 아우터패널(3)내면에 일일이 스크류(5)를 사용하여 설치한 후 인너패널(2)과 아우터패널(3)을 서로 결합하여야 만이 리드(1)의 강도가 향상되어 차량의 충돌로 인하여 승차자가 리드(1)와 부딪히더라도 상기 보강철편(4)이그 충격을 흡수하여 리드(1)가 파손되거나 밀려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승차자를 보호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별도의 보강철편(4)을 제작함에 따른 부품비가 상승되는 것이며, 또한 아우터패널(3)에 보강철편(4)을 고정시키기 위한 작업을 행하여야 하므로 그만큼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글로브박스에 오일댐퍼 및 원형플레이트 스프링의 저항력을 이용하여 서서히 열릴 수 있도록 오일댐퍼에 로테이터와 와이어를 연결하고 닫힐 때 탄성복원력으로 팽창하면서 닫혀질 수 있도록 원형플레이트스프링을 연결함으로써, 사용자가 글로브박스를 열릴 때 내부에 수납된 물건의 무게하중에 의해 급격히 열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글로브박스의 단면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박스 개폐장치의 단면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박스 개폐장치의 개폐작동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리드 2;인너패널
3;아우터패널 4;보강철편
5;스크류 10;인스트루먼트패널
20;글로브박스 30;개폐작동기
31;오일펌프 32;케이스
33;로테이터 34;와이어
35;원형플레이트스프링 36;고정덮개
41;회전체 42;인출구
43;결합구 44;회전유도구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은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박스 개폐장치의 단면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박스 개폐장치의 개폐 작동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글로브박스의 개폐가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량 실내의 보조석 전방측 인스트루먼트패널에 잡다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개폐시키는 글로브박스(20)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글러브박스(20)의 위측으로 글러브박스(20)가 서서히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하는 개폐작동기(3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개폐작동기(3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글러브박스(20)의 내부의 후단측에 일체 연결된 후방패널내측 상부에 끝단부가 고정연결되는 와이어(34)와, 상기 와이어(34)가 앞쪽 일부가 감겨져 회전하는 로테이터(33)와, 상기 로터에이터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케이스(32)와, 상기 케이스(32)의 중앙에 끼워져 고정되고 로테이터(33)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오일이 충진되어 저항력을 갖는 오일댐퍼(31)와, 상기 로테이터(33) 상부에 안착되어 탄성복원력에 인출되었던 와이어(34)가 로테이터(33)에 감겨질 수 있도록 하는 원형플레이트스프링(35)과, 상기 케이스(32)에 안착된 부품을 덮어 씌우는 고정덮개(36)가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로테이터(33)는 원형의 틀을 형성하며 와이어(34)가 감져질 수 있도록 상부의 외주면에 일체 형성된 원형의 감김턱(45)이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케이스(32)는 외주연 일부에 요부절개된 부위로 와이어(34)가 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인출부(42)와, 오일댐퍼(31)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구(43)가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오일댐퍼(31)는 일측면에, 원형의 기둥 외주면에 다수의 기어 이빨이 형성되는 회전체(41)가 일체로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로테이터(33)는 오일댐퍼(31)의 회전체(41)와 조립연결될 수 있도록 아래 저면에 회전체(41)에 대응하여 형성된 회전유도부(44)가 일체로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 원형플레이트스프링(35)은 로테이터(33)의 내측에 안착되어 감겨진 금속제질 몸체의 외측 끝단에 와이어(34)가 고정연결되어 팽창시 와이어(34)를 끌어 당길 수 있도록 와어어(34)가 로테이터(33)가 감겨질 수 있도록 다수회로 감겨진 원형을 이루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박스 개폐장치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글로브박스의 개폐가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운전자나 승원이 차량의 잡다한 물건을 보관하기 위해 인스트루먼트패널에 설치된 글로브박스(20)를 열어 내부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글러브박스(20)를 열게 되면 글러브박스(20)의 전방측 외측 상부에 위치한 개폐작동기(30)가 와이어(34)를 인출시키되, 와이어(34)가 개폐작동기(30)로부터 서서히 인출되도록 하여 글러브박스(20)의 조작이후에 급격히 열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개폐작동기(30)는 와이어(34)의 인출이 서서히 감겨지거나 풀릴 수 있도록 내부에 오일이 충진된 오일댐퍼(31)가 외부에서 유도하는 회전력에 의해 내부에 저항력이 발생하여 회전이 급격히 이루어지지 않고 서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오일댐퍼(31)는 내부에 오일이 충진되어 있으며 충진된 오일로부터 저항이 발생하도록 회전날개(미도시)가 내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회전날개와 일체 연결되는 회전체(41)가 상부표면에 기어 이빨이 형성되도록 하여 로테이터(33)의 회전유도부(44)와 맞물려 결합되도록 하여 로테이터(33)의 회전에 강제 회전되는 것이다.
또한 로테이터(33)는 와이어(34)의 한쪽 끝단이 끼워져 고정되고 내측에 안착되는 원형플레이트스프링(35)의 외주연 끝부분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와이어(34)가 당겨질 때 로테이터(33)가 회전하면서 감져진 와이어(34)는 풀려지고 와이어(34) 끝단은 로테이터(33)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원형플레이트스프링(35)을 끌어당기게 되므로 원형플레이트스프링(35)은 압축되는 것이다.
이렇게 압축된 원형플레이트스프링(35)이 외부로 돌출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스(32)의 내측에 오일댐퍼(31)와 와이어(34)가 감겨진 로테이터(33)를 안착시키고 이 로테이터(33)에 원형플레이트스프링(35)을 안착시킨 후 고정덮개(36)로 덮어 씌워 고정 연결시킴으로써 내부의 부품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열려진 글로브박스(20)는 사용자가 다시 닫기 전까지 열려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글로브박스(20)의 아래 끝단이 인스트루먼트패널에 결합된 스토퍼(미도시)에 끼워져 있다가 사용자가 글로브박스(20)를 닫을 때 스토퍼로부터 이탈하여 글로브박스(20)가 회전하면서 닫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글러브박스(20)가 닫혀질 때, 압축되어 있던 원형플레이트스프링(35)이 탄성복원력으로 팽창하여 와이어(34)를 잡아 당기게 되면 와이어(34)는 원형플레이트스프링(35)이 잡아 당기는 힘에 의해 끌려 유입되면서 로테이터(33)를 역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로테이터(33)는 역회전하면서 오일댐퍼(31)의 회전체(41)가 역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데 오일댐퍼(31)가 내부의 오일의 저항력에 의해 서서히 역회전하게 되므로 와이어(34)가 급격히 로테이터(33)가 감져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작용하는 본 발명은 글로브박스에 오일댐퍼의 저항력을 이용하여 서서히 열릴 수 있도록 오일댐퍼에 로테이터와 와이어를 연결하고 닫힐 때 탄성복원력으로 팽창하면서 닫혀질 수 있도록 원형플레이트스프링을 연결함으로써, 사용자가 글로브박스를 열 때 내부에 수납된 물건의 무게하중에 의해 급격히 열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편안하게 글러브박스를 열고 닫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삭제)
  2. (정정) 차량 실내의 보조석 전방측 인스트루먼트패널(10)에 잡다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개폐시키는 글로브박스(20)가 연결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글러브박스(20)의 전방측으로 연결되어 글러브박스(20)가 일정속도를 유지하면서 서서히 열릴 수 있도록 하는 개폐작동기(30)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작동기(30)는 상기 글러브박스(20)의 내부의 후단측에 일체 연결된 후방패널내측 상부에 끝단부가 고정연결되는 와이어(34)와, 상기 와이어(34)가 앞쪽 일부가 감겨져 회전하는 로테이터(33)와, 상기 로터에이터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케이스(32)와, 상기 케이스(32)의 중앙에 끼워져 고정되고 로테이터(33)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오일이 충진되어 저항력을 갖는 오일댐퍼(31)와, 상기 로테이터(33) 상부에 안착되어 탄성복원력에 인출되었던 와이어(34)가 로테이터(33)에 감겨질 수 있도록 하는 원형플레이트스프링(35)과, 상기 케이스(32)에 안착된 부품을 덮어 씌우는 고정덮개(36)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글로브박스 개폐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터(33)는 원형의 틀을 형성하며 와이어(34)가 감져질 수 있도록 상부의 외주면에 일체 형성된 원형의 감김턱(45)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 글로브박스 개폐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32)는 외주연 일부에 요부절개된 부위로 와이어(34)가 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인출부(42)와, 오일댐퍼(31)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구(43)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 글로브박스 개폐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터(33)는 오일댐퍼(31)의 회전체(41)와 조립연결될 수 있도록 아래 저면에 회전체(41)에 대응하여 형성된 회전유도부(44)가 일체 연결되어 이루어진 글로브박스 개폐장치.
KR10-2001-0052132A 2001-08-28 2001-08-28 글로브박스 개폐장치 KR100448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132A KR100448490B1 (ko) 2001-08-28 2001-08-28 글로브박스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132A KR100448490B1 (ko) 2001-08-28 2001-08-28 글로브박스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412A KR20030018412A (ko) 2003-03-06
KR100448490B1 true KR100448490B1 (ko) 2004-09-13

Family

ID=27721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2132A KR100448490B1 (ko) 2001-08-28 2001-08-28 글로브박스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84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6490A (ja) * 2004-08-04 2006-02-16 Nifco Inc ダンパ装置
KR100613237B1 (ko) * 2005-05-16 2006-08-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글러브박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7285A (ja) * 1989-05-25 1990-03-16 Nintendo Co Ltd 携帯用液晶ゲーム装置
KR970026486A (ko) * 1995-11-21 1997-06-24 전성원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
KR970034257U (ko) * 1995-12-26 1997-07-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글로브박스 개폐속도 조절장치
KR20010065453A (ko) * 1999-12-29 2001-07-11 이계안 차량의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7285A (ja) * 1989-05-25 1990-03-16 Nintendo Co Ltd 携帯用液晶ゲーム装置
KR970026486A (ko) * 1995-11-21 1997-06-24 전성원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
KR970034257U (ko) * 1995-12-26 1997-07-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글로브박스 개폐속도 조절장치
KR20010065453A (ko) * 1999-12-29 2001-07-11 이계안 차량의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412A (ko) 200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0312A (en) Charging cord storing structure for an electric vehicle
JP4097132B2 (ja) 自動二輪車における盗難防止装置
KR20120030054A (ko) 자동차 문짝용 핸들
US7416212B2 (en) Absorption structure of a container device for an instrument panel for absorbing energy applied from knees of an occupant
KR100448490B1 (ko) 글로브박스 개폐장치
KR20200014191A (ko) 자동차 도어 핸들 관성 잠금 구조
JPH0739771B2 (ja) ドアハンドル装置
US2190951A (en) Automobile door handle
KR101144044B1 (ko)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KR100909906B1 (ko)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의 개폐장치
US6786307B2 (en) Parking brake device
KR100260113B1 (ko)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리드
KR0130116Y1 (ko)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KR20060062052A (ko)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래치 해제 방지 구조
EP1082509B1 (en) Anti-theft arrangement in a vehicle door
KR100328774B1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
JP4092954B2 (ja) 自動車用筆記具収納装置
KR100598517B1 (ko) 차량의 트레이장치
KR100911564B1 (ko)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의 개폐장치
KR20040065501A (ko) 차량 충돌시 도어개방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핸들 조립체
JP3619091B2 (ja) 車両用グローブボックスの衝撃吸収構造
KR20170034072A (ko) 차량의 아웃사이드 핸들
KR200245209Y1 (ko) 자동차용내측도어핸들안전노브구조
KR20230070853A (ko) 글로브 박스
CN206071297U (zh) 用于发动机的二级锁装置和具有它的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