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8447B1 -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을 갖는 포도씨 추출물을함유하는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을 갖는 포도씨 추출물을함유하는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8447B1
KR100448447B1 KR10-2002-0080590A KR20020080590A KR100448447B1 KR 100448447 B1 KR100448447 B1 KR 100448447B1 KR 20020080590 A KR20020080590 A KR 20020080590A KR 100448447 B1 KR100448447 B1 KR 100448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vitis
grape seed
alpha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0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2398A (ko
Inventor
김동우
문원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바이오테크놀러지
김동우
문원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바이오테크놀러지, 김동우, 문원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바이오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02-0080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8447B1/ko
Publication of KR20040052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2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4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7Vitaceae or Ampelidaceae (Vine or Grape family), e.g. wine grapes, muscadine or pepperv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Abstract

본 발명은 혈당강하 효과가 있는 포도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그 추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포도씨에 물을 가하여 pH를 조정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사용되는 유기용매의 양이 적고 가열공정이 필요하지 않아 경제적이며, 포도씨 물추출물 또는 에탄올 추출물은 동물의 탄수화물 소화 흡수에 있어 필수적인 효소인 알파 글루코시다제의 작용을 저해하여 체내 포도당의 흡수를 억제하여 식후 혈당을 조절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어 당뇨병, 비만억제 등의 성인병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건강기능성식품 및 의약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을 갖는 포도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grape seed having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the preparation method and the use thereof}
본 발명은 알파-글루코시다제(α-glucosidase) 저해활성을 갖는 포도씨 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탄수화물 대사에 필수적인 알파-글루코시다제(α-glucosidase) 효소들의 가수분해를 억제하여 혈당강하, 비만억제 효과가 있는 포도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포도씨는 이시진(李時珍)의 본초강목(本草綱目)에서, 포도는 힘줄과 뼈의 습비를 다스리고 기를 높여 힘을 세게 해주며, 의지를 굳게 해주고 건강하게 해준다. 또한 허기를 참을 수 있는 인내력을 주며 감기에 강하게 하는 등의 효과가 있으므로, 포도를 오래 먹으면 몸이 가벼워지고 늙지 않아 오래 살 수 있다고 하였다.
상기와 같이 생리학적 효능이 우수한 포도씨의 추출물을 기능성 식품 또는 치료제 등으로 개발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바, 한국 공개특허 제 98-51189호에서 티로시나제 저해제로서의 포도씨 추출물, 한국 등록특허 제 00-18117호에서 포도씨 추출 천연 항충치제, 한국 공개특허 제 01-12238호에서 포도씨 추출물로 코팅된 쌀 등의 상기 포도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을 개시한 바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 00-63265호에서 항산화물질이 함유된 포도씨 기름과 그 제조방법, 한국공개특허 제 01-04553호에서 항산화 효과가 향상된 포도제품의 제조방법, 한국공개특허 제 99-28877호에서 프로시아니딘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효제 등의 포도씨추출물의 주성분인 프로안토시아니딘(proanthocyanidin)의 항산화 효능에 대한 용도에 관하여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종래는 포도씨 추출물이 알파-글루코시다제의 작용을 저해하여 혈당강하 효과가 있음이 개시된 바는 없다.
음식물 중에 포함된 탄수화물은 알파-아밀라제, 이소말타아제(isomaltase), 글루코아밀라제(glucoamylase), 슈크라제(sucrase)와 같은 여러 가지 알파-글루코시다제들의 작용에 의하여 포도당과 같은 단당류로 분해되어 혈액내로 흡수된다. 따라서 이러한 알파-글루코시다제의 작용을 저해하면 탄수화물이 단당류로 분해되지 못하므로 혈액내로 흡수되지 못한다. 따라서 탄수화물 섭취시에 야기되는 혈액내 포도당 농도의 급격한 상승이 억제된다.
즉, α-글루코시다제는 세포 내에서 다당류내의 당과 당, 당과 지질, 또는 당과 단백질간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절단하는 기능을 가지는 바, 글루코시다제 효소반응을 저해하는 경우 소장에서 당의 흡수가 지연되어 당뇨와 비만증 치료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혈당 강하 조절에 이용할 목적으로, 탄수화물 대사에 필수적인 알파-글루코시다제 효소의 작용 저해제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 결과, 토양 방선균의 배양액에서 얻은 올리고스타틴(oligostatin) [Itoh J. et al.;J. Antibiotics, 34, pp1424-1435, 1981], 트레스타틴(trestatin) [Yokose K. et al.;J. Antibiotics, 36,pp1157-1162, 1983] 등이 보고되었고, 1977년에는 독일 바이엘 (Bayer)사에서 아카보스 (acarbose) [Schmidt D.D. et al.;Naturwissenschaften, 64,pp535-538, 1977]를 발견하여 이를 당뇨병 및 비만증 치료제로 개발하였다. 이밖에도 현재 일본 다께다 제약에서는 발리오라민(baliolamine)을, 독일 바이엘사에서는 데옥시노지리마이신(deoxynojirimycin) 유도체인 미그리톨 (miglitol)에 대한 임상 시험을 실시하고 있다 [Foelsch U.R. et al.;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small intestine; Caspyry W.F. et al.; Excerptamdica, Amsterdam, pp310-318, 1987].
현재까지 많은 종류의 당뇨병 치료제가 개발되어 있고 개발이 진행 중이나 만족할 만한 치료방법이나 약물은 개발되지 못하였다. 종래의 치료방법으로 인슐린 의존성 환자에게 인슐린을 직접 투여하거나 인슐린 비 의존성 환자에게는 설포닐 우레아계 유도체를 투여하여 혈액내 포도당의 농도를 조절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인슐린은 알레르기 반응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며, 혈류에 도달하기 전 소화관내에서 파괴되므로 경구로 투여할 수 없어 주사제로만 사용되기 때문에 장시간동안 정기적인 주사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 있어 반복되는 주사로 인한 피부의 부종을 일으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톨부타미드(tolbuatmide), 글리퀴돈(gliquidone)등의 설포닐우레아(sulfonyl urea)계 약물은 클로람페니콜, β차단제, 설파제 등과 병용시 저혈당을 야기할 수 있으며, 메트폴민(metformin) 등의 비구아니드(biguanide)계 약물은 알콜과 병용시 젖산 과다증 등을 야기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혈액내 포도당 농도를 조절하는 방법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최근 포도당의 혈액내 흡수 자체를 막는 새로운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상기 새로운 방법 중 하나로 알파-글루코시다제 억제제들을 당뇨병 치료제로서 개발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상기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제는 혈액내 포도당 흡수 자체를 억제하는 것이므로 당뇨병 이외에 비만증 및 고지방증 등의 치료 및 예방에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치료제들의 부작용등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천연물에서 알파-글루코시다제 억제제를 검색하던 중 포도씨 추출물이 알파-글루코시다제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을 최초로 발견하였고, 이들의 추출방법도 새롭게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포도씨 추출물을 새로운 추출방법으로 제조하여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이 있는 포도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또는 당뇨 또는 비만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포도씨 물추출물의 타액의 알파-아밀라제 저해정도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포도씨 물추출물의 췌장의 알파-아밀라제 저해정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포도씨 물추출물의 농도및 기질인 전분의 함량을 달리하여 타액의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정도를 효소 반응 속도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포도씨 물추출물의 농도 및 기질인 전분의 함량을 달리하여 췌장의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정도를 효소 반응 속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이 있는 포도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포도씨 추출물은 포도(Vitis viniferaL.), 유럽산 포도(Vitis vinifera), 미국산 포도(Vitis labrusca), 강변 포도(Vitis riparia), 사막 포도(Vitis rupestris), 겨울 포도(Vitis berladieri), 머루(Vitis coignetiaePulliat ex Planchon), 왕머루(Vitis amurensisRuprecht), 까마귀머루(Vitis ficifoliaBunge), 새머루(Vitis flexuosaThunb.) 등의 포도씨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포도씨 추출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등과 같은 극성용매 및 이들의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포도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및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포도씨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포도씨 물 추출물은,
(a) 건조하여 파쇄한 포도씨 무게(㎏)의 약 1내지 20배의 부피,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배의 물을 가한 후, 2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약 1시간 내지 3일, 바람직하게는 12시간 내지 1일 교반하면서,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과 같은 강염기를 가하여 pH를 8 내지 11, 바람직하게는 pH 10으로 조정하여 약 1시간 내지 24시간 교반추출하는 제 1 단계;
(b) 상기 추출액에 염산과 같은 강산을 가하여 pH를 2 내지 4, 바람직하게는 pH 3으로 조정한 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만을 회수하는 제 2 단계;
(c) 상기 침전물에 중량비 3 내지 7배, 바람직하게는 5배량의 에탄올, 메탄올 등과 같은 저급알콜을 가하여 현탁시키고, 원심분리한 상등액을 감압농축시키는 제 3 단계;
(d) 상기 농축액에 동량의 헥산과 같은 유기용매를 가하여 진탕한 후, 상등액인 헥산을 제거하고 남은 액을 정제, 동결건조하는 제 4 단계로 이루어진 제조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씨 추출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물에 의한 포도씨 추출물 제조방법에서, 수산화나트륨 첨가 후 추출용액의 pH가 8 이하일 경우, 효소저해제의 추출효율이 현저하게 감소되므로 추출용매의 pH를 8.0 이상으로 조정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포도씨 에탄올 추출물은, 건조하여 파쇄한 포도씨 무게(㎏)의 5배 내지 20배의 저급알콜 또는 물과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에탄올을 가하여 상온에서 약 1시간 내지 24시간 교반추출하고, 감압농축시킨 뒤 상기 농축액에 동량의 헥산을 가하여 진탕한 후, 상등액인 헥산층을 제거하고 남은 액을 동결건조하여 갈색의 분말을 얻는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포도씨 추출물이 알파-글루코시다제에 대한 특이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탄수화물 대사에 관여하는 타액의 알파-아밀라제(α-amylase), 췌장의 알파-아밀라제(α-amylase) 저해활성을 확인한 결과, 상기 추출물이 각 효소들에 대해 특이적인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혈당강하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최초로 규명하였다.
상기 알파-글루코시다제는 알파-글루코시드결합을 끊어주는 작용을 하는 효소로, 이에 알파-아밀라제, 이소말타아제, 글루코아밀라제, 슈크라제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제법으로 제조된 포도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법으로 제조된 포도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당뇨성 질환 및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포도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및 당뇨병, 당뇨성 질환 및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특히 상기 당뇨성 질환은 당뇨병이 만성적으로 진행되면서 당뇨병으로부터 유발되는 퇴행성 합병증인 당뇨성 망막증, 당뇨성 신경증, 신장병, 죽상 동맥경화증, 심근 장해, 피부 장해, 당뇨성 발 증후군 및 말초혈관 질병 등의 합병증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포도씨 추출물은 기타 식품의 주, 부원료 및 식품첨가제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포도씨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혈당 강하, 당뇨병 예방 또는 비만 예방을 위한 건강기능성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성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 자체는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당뇨병 및 비만의 예방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되나, 본 발명이 이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 포도씨 추출물의 제조
포도씨에 물을 가하여 pH를 조절해서 추출하는 본 발명에 의한 추출 방법에 의하여 추출물을 얻고, 또한 종래의 에탄올 추출방법에 의해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1-1. 포도씨 물추출물 제조
건조하여 파쇄한 포도씨 1kg에 10배량의 물을 가한 후 교반시키면서 수산화나트륨(NaOH)를 가하여 pH를 10으로 조정한 후 6시간 상온에서 교반 추출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에 염산(HCl)을 가하여 pH가 3이 되도록 조정한 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 100g을 회수하였다. 얻어진 침전물 100g에 중량비 5배량의 에탄올을 가하여 현탁시키고 원심분리한 상등액을 감압 농축시킨 후 농축액 50g에 동량의 헥산을 가하여 상등액을 제거하고 하층액을 동결 건조하여 갈색의 분말 30g을 수득하였다.
1-2. 포도씨 에탄올 추출물 제조
건조하여 파쇄한 포도씨 1kg에 10배량의 50% 내지 100% 에탄올을 가하고 상온에서 교반시키면서 12시간 추출하여 여과한 후 1/10 부피로 감압농축시켰다. 농축액 50g에 동량의 헥산을 가하여 상등액을 제거하고 하층액을 동결 건조하여 갈색의 분말 30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 포도씨 추출물의 알파-아밀라아제의 저해 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포도씨 물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알파-글루코시다제에 대한 특이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효소로 타액의 알파-아밀라제(α-amylase, Sigma, A-1031, 미국), 췌장의 알파-아밀라제(α-amylase, Sigma, P-1625, 미국)를 사용하여 각각 추출물의 각 효소에 대한 저해활성을 조사하였다. 이때 아카보스(상품명: 글루코바이, 한국바이엘)을 대조구로 사용하였다. 아카보스는당뇨병환자의 식후 혈당의 급격한 상승을 저해하는 경구용약물로, α-글루코시다제를 억제하여 탄수화물의 소화와 흡수를 지연시키기 때문에 식후 혈당을 낮추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포도씨의 물 또는 에탄올 추출물에 타액의 알파-아밀라제(Salivary α-Amylase) 또는 췌장의 알파-아밀라제(Pancreatin α-Amylase)에 대한 저해활성은 녹말(starch, 구입처)을 기질로 하여 측정하였다. 효소액(타액 알파-아밀라제 0.3 단위) 500㎕와 포도씨 추출물 1㎍ 내지 5㎍을 pH 6.8, 37℃에서 10분간 예비배양(preincubation) 한 후 0.5% 전분을 가하여 37℃에서 7분간 반응시킨 후 DNS(3,5-Dinitrosalicilic) 발색시약(Sigma, D-0550, 미국) 500㎕을 넣어 반응을 정지 시켰다. 이를 100℃에서 15분간 끓여 발색을 시키고 충분히 냉각시킨 후 반응액에 3배의 물을 가하였으며, 잘 교반한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렇게 얻은 결과를 반응액에 추출물 대신 동량의 물 또는 에탄올을 넣은 값과의 차이로부터 저해율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도 1, 2에 나타내었다.
도 1 은 포도씨 물 추출물 2.5㎍ 및 아카보스 2.5㎍의 타액 알파-아밀라제 활성 저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 는 포도씨 물 추출물 2.5㎍ 및 및 아카보스 2.5㎍의 췌장의 알파-아밀라제 활성 저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하기 표 1은 알파-아밀라제 활성을 50% 감소시키는 포도씨 추출물의 농도(IC50)를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 의 결과를 보면 본 발명의 포도씨 추출물이 타액의 알파-아밀라제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아카보스보다 뛰어난 것을 알 수 있고, 도 2의 결과를 보면 포도씨 추출물이 췌장의 알파-아밀라제 활성 저해율이 약 60% 정도 되어 혈당상승을 억제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표 1의 알파-아밀라제 활성을 50% 억제시키는 농도(IC50) 결과의 경우, 본 발명에 의한 포도씨 추출물은 아카보스와 비슷하게 타액 및 췌장의 알파-아밀라제를 낮은 농도에서 효율적으로 저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 료 알파-아밀라제 활성감소(50%)에 필요한 시료농도(㎍)
타액의 알파-아밀라제(α-amylase) 췌장의 알파-아밀라제(α-amylase)
포도씨 추출물 1.62 3.72
아카보스 2.5 2.5
실시예 3 : 타액 및 췌장의 알파-아밀라제(α-amylase) 저해 활성
포도씨 물 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에 타액의 알파-아밀라제(Salivary α-Amylase) 또는 췌장의 알파-아밀라제(Pancreatin α-Amylase)에 대한 저해활성 측정법으로 포도씨 추출물의 농도를 0, 0.5, 0.67, 1 및 1.25 ㎍ 처리하여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이렇게 측정한 효소 반응 속도를 라인위버-버크 플롯 (Lineweaver-Burk plot)으로 나타내어 저해 활성에 대해 나타낸 결과를 도 3, 4에 나타내었다.
[S]는 기질의 농도이고, [V]는 반응속도를 나타낸다.
도 3 및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추출물은 타액 및 췌장의 알파-아밀라제를 낮은 농도에서 효율적으로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아래와 같은 제형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아래의 제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주사제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추출물 100 ㎎
소디움 메타비설파이트 3.0 ㎎
메틸파라벤 0.8 ㎎
프로필파라벤 0.1 ㎎
주사용 멸균증류수 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최종 부피가 2㎖이 되도록 제조한 후, 2㎖용량의 앰플에 충전하고 멸균하여 주사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추출물 200 ㎎
유당 100 ㎎
전분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추출물 100 ㎎
유당 50 ㎎
전분 50 ㎎
탈크 2 ㎎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적량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액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추출물 1000 ㎎
올리고당 20 g
이성화당 20g
레몬향 적량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0㎖로 맞추었다.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갈색병에 충전하고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5. 환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추출물 100 g
밀가루 100 g
정제수 500㎖
100g 밀가루를 500㎖의 물에 넣어 끓이면서 완전히 혼합한 다음, 반 고형이 되면 식히고, 복합생약 100g과 섞어 완전히 혼합반죽한 후 제형틀에 넣어 제환하여 건조시켜서 제조한다.
제제예 6. 혼합 액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추출물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레몬향 적량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갈색병에 충전하고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7. 건강 기능성 식품의 제조
실시예 1의 추출물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기능성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8. 건강 기능성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의 추출물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기능성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ℓ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포도씨의 물추출방법은 종래의 에탄올 추출방법에 비하여 사용되는 유기용매의 양을 감소시키고, 별도의 가열공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pH의 조절만으로 추출이 되므로 경제적이고 간편한 추출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포도씨 추출물은 알파-글루코시다제를 저해하여 혈액내 포도당의 흡수를 저해하여 식후 혈당상승을 억제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혈당 강하제, 당뇨병/비만 치료제로서 생물의약 산업상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9)

  1. (a) 건조하여 파쇄한 포도씨 무게(㎏)의 8 내지 12배의 물을 가한 후, 상온에서 12시간 내지 1일 교반하면서, 강염기를 가하여 pH를 8 내지 11으로 조정하여 약 1시간 내지 24시간 교반추출하는 제 1 단계;
    (b) 상기 추출액에 강산을 가하여 pH를 2 내지 4로 조정한 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만을 회수하는 제 2 단계;
    (c) 상기 침전물에 중량비 3 내지 7배의 에탄올을 가하여 현탁시키고, 원심분리한 상등액을 감압농축시키는 제 3 단계; 그리고
    (d) 상기 농축액에 동량의 헥산을 가하여 진탕한 후, 상등액인 헥산을 제거하고 남은액을 정제, 동결건조하는 제 4 단계로 이루어진 제조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을 갖는 포도씨 추출물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도씨는 포도(Vitis viniferaL.), 유럽산 포도(Vitis vinifera), 미국산 포도(Vitis labrusca), 강변 포도(Vitis riparia), 사막 포도(Vitis rupestris), 겨울 포도(Vitis berladieri), 머루(Vitis coignetiaePulliat ex Planchon), 왕머루(Vitis amurensisRuprecht), 까마귀머루(Vitis ficifoliaBunge) 및 새머루(Vitis flexuosaThunb.)에서 하나이상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2-0080590A 2002-12-17 2002-12-17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을 갖는 포도씨 추출물을함유하는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0448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590A KR100448447B1 (ko) 2002-12-17 2002-12-17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을 갖는 포도씨 추출물을함유하는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590A KR100448447B1 (ko) 2002-12-17 2002-12-17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을 갖는 포도씨 추출물을함유하는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2398A KR20040052398A (ko) 2004-06-23
KR100448447B1 true KR100448447B1 (ko) 2004-09-13

Family

ID=37346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0590A KR100448447B1 (ko) 2002-12-17 2002-12-17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을 갖는 포도씨 추출물을함유하는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84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492B1 (ko) 2016-12-28 2018-06-14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페놀산화효소를 이용한 갈산 반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 또는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 조성물
KR101867516B1 (ko) 2016-12-05 2018-07-17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선약 유래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억제 활성을 갖는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443B1 (ko) * 2007-04-09 2008-11-1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뽕잎, 계피 및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당강하용조성물
KR101503583B1 (ko) * 2012-02-13 2015-03-1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머루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BR112014026926B1 (pt) * 2012-04-30 2021-03-09 Sonomaceuticals, Llc uso de uma quantidade eficaz de farinha de semente de uva chardonnay e composição compreendendo a mesma
KR101458544B1 (ko) * 2012-08-27 2014-11-12 유희선 백합구근의 유기성분 추출방법
EP2712628B1 (en) * 2012-09-28 2016-08-10 Shanta Banerjee Composition for use as a medicine or dietetic food, in particular in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Diabetes and diabetes associated diseases
KR101965591B1 (ko) * 2012-11-21 2019-04-04 (주)아모레퍼시픽 키토올리고당을 함유하는 아밀레이즈 활성 저해용 조성물
US10195243B2 (en) * 2014-12-24 2019-02-05 Kieu Hoang Process of making wine from a whole grape bunch, process of making pomace juice and powder, and method of producing beverages on the basis of juice and powder from a grape bunch
KR20230112802A (ko) 2022-01-21 2023-07-28 (주)코엔바이오 유산균을 이용한 알파-글루코사이드 활성 저해능을 가지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및 약학적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516B1 (ko) 2016-12-05 2018-07-17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선약 유래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억제 활성을 갖는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1867492B1 (ko) 2016-12-28 2018-06-14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페놀산화효소를 이용한 갈산 반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 또는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2398A (ko) 2004-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2655B1 (ko) 구절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0448447B1 (ko)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을 갖는 포도씨 추출물을함유하는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WO2017159679A1 (ja) 多糖消化阻害剤
KR20180061062A (ko) 여주 추출물, 구절초 추출물 및 작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0869443B1 (ko) 뽕잎, 계피 및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당강하용조성물
WO2016190566A2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101565964B1 (ko) 아위버섯의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468429B1 (ko)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이 있는 소나무 추출물 및 그추출방법
KR101731152B1 (ko) 다래순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
KR20120021389A (ko) 수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680013B1 (ko) 자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80718B1 (ko) 도라지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050003665A (ko) 식방풍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조성물
KR20130082249A (ko) 담쟁이 덩쿨 추출물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90110204A (ko) 관능성 및 항당뇨 활성이 증대된 옥미수·호박 가미 경옥고
KR20190066460A (ko) 람부탄 씨앗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222779B1 (ko) 식용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2444884B1 (ko) 비타민 b1 및 b2를 고함량으로 함유하는 맥주효모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0087593A (ko) 차가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당 강하 및 당뇨병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JP2007099635A (ja) α−グルコシダーゼ阻害剤
KR20230161337A (ko) 좀가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39527A (ko) 토목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83656B1 (ko) 산약 및 낙석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50048698A (ko) 아위버섯의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66478A (ko) 원감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 보호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