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9443B1 - 뽕잎, 계피 및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당강하용조성물 - Google Patents

뽕잎, 계피 및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당강하용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9443B1
KR100869443B1 KR1020070034721A KR20070034721A KR100869443B1 KR 100869443 B1 KR100869443 B1 KR 100869443B1 KR 1020070034721 A KR1020070034721 A KR 1020070034721A KR 20070034721 A KR20070034721 A KR 20070034721A KR 100869443 B1 KR100869443 B1 KR 100869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cinnamon
grape seed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4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1632A (ko
Inventor
조홍연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34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9443B1/ko
Publication of KR20080091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1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9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9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7Vitaceae or Ampelidaceae (Vine or Grape family), e.g. wine grapes, muscadine or pepperv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뽕잎(Mulberry leaves), 계피(Cinnamomum cassia barks) 및 포도씨(Grape seeds)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뽕잎추출물:계피추출물:포도씨추출물의 중량비가 각각 55~65:5~35:5~35 로 구성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주정:물의 비율이 5:5인 추출용매로 추출한 뽕잎 추출물과 주정:물의 비율이 7:3인 추출용 용매로 추출한 계피 추출물 및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뽕잎, 계피, 포도씨, 항당뇨,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 혈당강하

Description

뽕잎, 계피 및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Hypoglycem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s of mulberry leaves, Cinnamomum cassia barks and grape seeds}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성분의 비율을 달리한 각 조성물을 실험대상 동물(Sprague-Dawley)에 투여한 경우 혈당강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조성물 1, 2, 3 의 뽕잎추출물: 계피추출물: 포도씨추출물의 비율은 각각 30:20:50, 60:30:10 및 60:10:30 이다. 그래프 상의 서로 다른 알파벳은 유의성 있음(p<0.05)을 의미한다.
최근 식생활의 서구화와 스트레스, 운동부족 등으로 인하여 동맥경화, 고혈압 및 당뇨병 등의 만성생활습관성 성인병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국내 당뇨병의 유병률은 1970년 인구 1% 미만이었으나 1980년대 말 약 3%, 1990년대 5~8%로 보고되고 있고, 2003년도 성균관의대 강북성심병원 종합검진센터의 수진자 59,174명을 분석한 결과 20대 4.3%, 30대 15.9%, 40대 21.7%, 50대 26.0%, 60대 28.1%, 70대 31.3%가 당뇨병 전단계 판정을 받음으로써 혈당관리가 요구되는 인구수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당뇨병은 인슐린(insulin)을 비롯한 글루카곤(glucagon), 글루코콜티코이드(glucocorticoid) 등의 호르몬 불균형으로 탄수화물을 비롯한 단백질, 지질 및 전해질 대사 등 생리적 대사 조절 기능의 이상이 발생하여 고혈당, 당뇨 등의 특징적인 증세를 나타내며 심각한 만성적 합병증을 가져오는 질환으로서 췌장의 베타세포가 선택적으로 손상 또는 파괴되어 인슐린의 양이 부족함으로써 발병하는 제1형 당뇨병과 인슐린 비의존성 제2형 당뇨병으로 구분된다. 지속적으로 고혈당이 조절되지 않고 만성화될 경우 고지혈증, 고혈압 및 동맥경화 등의 심혈관성 장애를 비롯하여 망막증, 신증, 신경장애, 감염증, 골감소증 등의 합병증이 초래된다.
현재까지 많은 종류의 당뇨병 치료제가 개발되어 있고 개발이 진행 중이나 만족할 만한 치료방법이나 약물은 개발되지 못하였다. 종래의 치료방법으로 인슐린 의존성 환자에게 인슐린을 직접 투여하거나 인슐린 비의존성 환자에게는 설포닐 우레아계 유도체를 투여하여 혈액내 포도당의 농도를 조절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인슐린은 알레르기 반응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며, 혈류에 도달하기 전 소화관 내에서 파괴되어 경구로 투여할 수 없으므로 주사제로만 사용되어 장시간 동안 정기적인 주사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 있어 반복되는 주사로 인한 피부의 부종을 일으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톨부타미드(tolbuatmide), 글리퀴 돈(gliquidone) 등의 설포닐우레아(sulfonyl urea)계 약물은 클로람페니콜, β차단제, 설파제 등과 병용시 저혈당을 야기할 수 있으며, 메트폴민(metformin) 등의 비구아니드(biguanide)계 약물은 알콜과 병용시 젖산 과다증 등을 야기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혈액내 포도당 농도를 조절하는 방법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최근 포도당의 혈액내 흡수 자체를 막는 새로운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상기 새로운 방법 중 하나로 알파-글루코시다제 억제제들을 당뇨병 치료제로서 개발 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상기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제는 혈액내 포도당 흡수 자체를 억제하는 것으로 당뇨병 외에 비만증 및 고지방증 등의 치료 및 예방에도 이용될 수 있다.
음식물 중에 포함된 탄수화물은 알파-아밀라제, 이소말타아제(isomaltase), 글루코아밀라제(glucoamylase), 수크라제(sucrase)와 같은 여러 가지 알파-글루코시다제들의 작용에 의하여 포도당과 같은 단당류로 분해되어 혈액내로 흡수된다. 따라서 이러한 알파-글루코시다제의 작용을 저해하면 탄수화물이 단당류로 분해되지 못하므로 혈액 내로 흡수되지 못한다. 따라서 탄수화물 섭취시에 야기되는 혈액 내 포도당 농도의 급격한 상승이 억제된다. 즉, α-글루코시다제는 세포 내에서 다당류내의 당과 당, 당과 지질, 또는 당과 단백질간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절단하는 기능을 가지는 바, 글루코시다제 효소반응을 저해하는 경우 소장에서 당의 흡수가 지연되어 당뇨와 비만증 치료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혈당 강하 조절에 이용할 목적으로, 탄수화물 대사에 필수적인 알파-글루코시다제 효소의 작용 저해제에 대한 많 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 결과, 토양 방선균의 배양액에서 얻은 올리고스타틴(oligostatin) [Itoh J. et al.; J. Antibiotics, 34 , pp1424-1435, 1981], 트레스타틴(trestatin) [Yokose K. et al.; J. Antibiotics, 36, pp1157-1162, 1983] 등이 보고되었고, 1977년에는 독일 바이엘 (Bayer)사에서 아카보스 (acarbose)[Schmidt D.D. et al.; Naturwis senschaften, 64, pp535-538, 1977]를 발견하여 이를 당뇨병 및 비만증 치료제로 개발하였다. 이밖에도 현재 일본 다께다 제약에서는 발리오라민(baliolamine)을, 독일 바이엘사에서는 데옥시노지리마이신(deoxynojirimycin) 유도체인 미그리톨 (miglitol)에 대한 임상 시험을 실시하고 있다[Foelsch U.R. et al.;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small intestine; Caspyry W.F. et al.; Excerptamdica, Amsterdam, pp310-318, 1987].
한편, 뽕잎추출물은 뽕나무과(Moraceae)에 속하는 뽕나무 잎의 추출물에서 얻은 식물성생약으로, 주성분으로는 혈당강하작용이 있는 1-데옥시노지리마이신(1-deoxynojirimycin) 외에 감마아미노부틸산 및 루틴이 풍부하고, 화고민(fagomine) 및 2-아릴-벤조푸란유도체(2-aryl-benzofuran derivatives)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뽕잎의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로는 알파 글루코시다제(α-glucosidase) 활성억제에 의한 혈당강하효과(kimura M, Chen FJ, Nakashimqa N, Koya S. Anti Hyperglycemic effect of N-containing sugars delived from Mulberry leaves in streptozocin-induced diabetic mice, J Traditional medicine 12:214-219, 1995)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계피와 계피나무의 어린가지인 계지(桂枝)는 한방의 수만가지 처방에 이용되며, 팔미지황환, 우차신기환 및 지보삼편환 같은 유명한 처방에 계피가 들어간다. 계피는 혈당의 대사를 촉진시키고 제2형 당뇨병 환자들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개선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왔다. 계피는 메틸하이드록시 칼콘 폴리머(methylhydroxy chalcone polymer; MHCP)라는 활성물질을 가지고 있는데 이 물질이 포도당대사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미국 ARS 과학자들은 MHCP가 지방세포를 인슐린에 좀 더 잘 반응하도록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McBride, J. 2000). 이들은 50여 가지의 식물추출물을 시험한 결과 MHCP가 시험관에서 지방세포의 당대사를 20배나 증가시키며 또한 해로운 산소라디칼이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들은 항산화보조제가 당뇨로 인한 여러 복합증세를 감소시키거나 늦추는 결과들을 보여주었다. MHCP는 수용성으로 계피추출물이 인슐린 민감성을 증가시키기 전에 고혈압 상태인 쥐의 혈압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보이기도 하였다.
이시진(李時珍)의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포도는 힘줄과 뼈의 습비를 다스리고 기를 높여 힘을 세게 해주며, 의지를 굳게 해주고 건강하게 해준다고 기재하고 있으며, 또한 허기를 참을 수 있는 인내력을 주며 감기에 강하게 하는 등의 효과가 있어, 포도를 오래 먹으면 몸이 가벼워지고 늙지 않아 오래 살 수 있다고 하였다. 상기와 같이 생리학적 효능이 우수한 포도의 씨 추출물을 기능성 식품 또는 치료제 등으로 개발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바, 한국 공개특허 제 98-51189호에서는 티로시나제 저해제로서의 포도씨 추출물, 한국 등록특허 제00-18117호에서는 포도씨 추출 천연 항충치제, 한국 공개특허 제 01-12238호에서는 포도씨 추출물로 코팅된 쌀 등의 상기 포도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을 개시한 바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 00-63265호에서는 항산화물질이 함유된 포도씨 기름과 그 제조방법, 한국공개특허 제 01-04553호에서는 항산화 효과가 향상된 포도제품의 제조방법, 및 한국공개특허 제 99-28877호에서는 프로시아니딘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효제 등의 포도씨추출물의 주성분인 프로안토시아니딘(proanthocyanidin)의 항산화 효능에 대한 용도에 관하여 개시한 바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0-0448447호에는 포도씨 추출물이 알파-글루코시다제의 작용을 저해하여 혈당강하 효과가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뽕잎, 계피 및 포도씨 추출물 각각의 혈당강하효과가 알려져 있지만, 뽕잎, 계피 및 포도씨 추출물을 특정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이들 추출물 각각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현저히 상승된 혈당강하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알려지지 않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뽕잎, 계피 및 포도씨를 각각 특정 농도의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후 이들을 특정 비율로 혼합한 조성물이 기존에 알려진 각 성분의 혈당강하활성에 비하여 현저히 상승된 혈당강하효과를 나타냄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알파-글루코시다제 활성을 억제하여 혈당강하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특정비율의 뽕잎, 계피 및 포도씨 추출물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혈당강하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은 뽕잎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포도씨 추출물 각각이 가장 우수한 혈당개선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특정 추출 조건을 찾아낸 후, 이러한 조건으로 추출된 각 추출물을 특정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혈당강하 효과가 현저하게 개선된 뽕잎추출물, 계피추출물 및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뽕잎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포도씨 추출물을 55~65:5~35:5~35 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건조 중량기준으로 뽕잎 추출물: 계피 추출물: 포도씨 추출물을 60:30:10 또는 60:10:3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또한 뽕잎, 계피 및 포도씨 각각을 추출할 때 각 추출용매의 주정농도를 달리함으로써, 각 추출물이 최대의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도록 최적 추출조건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은 주정:물의 중량비가 5:5 인 추출용매로 추출한 뽕잎 추출물, 주정:물의 중량비가 7:3 인 추출용매로 추출한 계피 추출물 및 주정:물의 중량비가 7:3 인 추출용매로 추출한 포도씨 추출물을 상기한 비율로 포함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은 주성분인 뽕잎, 계피 및 포도씨 각각의 건조품을 믹서로 파쇄한 후 원료무게의 10배에 해당하는 추출용매로 24시간 환류추출한 후, 추출액을 회전감압농축기(rotary evaporator)로 농축한 다음 냉동건조기로 동결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추출용매로는, 뽕잎의 경우 주정:물의 비율이 5:5, 계피의 경우 주정:물의 비율이 7:3이고, 포도씨의 경우 주정:물의 비율이 7:3으로 하여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각 추출물의 알파글루코시다제의 저해활성을 측정함에 있어서는, 상기 동결건조한 각 시료 1 mg을 증류수 1 ml에 용해시켜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상기한 바와 같이, 각각의 추출물의 최적 추출조건 및 현저한 혈당 강하 효과를 나타내는 혼합비율을 결정할 수 있었으며, 알파글루코시다제 활성이 높을 수록, 동물시험에서 혈당강하 효과도 높게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혈당강하 효능이 우수한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뽕잎, 계피 및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약학적 조성물 로서 제공되는 경우,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또한, 당해 분야에 알려진 통상의 제제화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약학적 제제로 제제화되는 경우, 뽕잎, 계피 및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제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뽕잎, 계피 및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은 기타 식품의 주, 부원료 및 식품첨가제로서 사용이 가능하며, 이때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와 함께 혈당 강하, 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건강 기능성 식품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과자, 빵, 차, 면, 전통식품,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 조성물을 이용하는 형태로서 바람직한 건강 기능성 식품 중 건강 음료 조성물의 경우,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조성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 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추출물 자체는 자연식품으로서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조성물의 치료의 목적이 되는 질환에는 당뇨병이 만성적으로 진행되면서 당뇨병으로부터 유발되는 퇴행성 합병증인 당뇨성 망막증, 당뇨성 신경증, 신장병, 죽상 동맥경화증, 심근 장해, 피부 장해, 당뇨성 발 증후군 및 말초혈관 질병 등의 합병증도 포함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실시예 1> 뽕잎, 계피 및 포도씨 추출시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이 높은 주정농도의 확인
뽕잎(함양), 계피(경동시장) 및 포도씨(경동시장)의 추출물 시료는 각각의 건조품을 Waring blender(믹서)로 파쇄하고 Soxhlet 장치를 사용하여 원료무게의 10배에 해당하는 추출용매로 24시간 환류추출한 후 추출액을 회전감압농축기(rotary evaporator)로 농축한 다음 냉동건조기로 동결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알파글루코시다제의 저해활성 측정을 위하여, 상기 동결건조한 시료 각 1 mg을 증류수 1 ml에 용해시켜 조제하였다.
뽕잎, 계피 및 포도씨 추출물 각각이 최대의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혈당강화효과가 우수한 추출조건을 결정하기 위하여, 표 1과 같은 주정 농도에 따라 각각을 환류 추출한 후 알파글루코시다제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알파글루코시다제의 저해효과 측정은 알파글루코시다제 50 ul (최종농도:0.1 unit), 측정용 시료 20 ul, 1 M 인산염완충액(pH 6.8) 50 ul, 증류수 830 ul를 분광광도계의 1 ml 용 큐벳에 넣고 405 nm에서 1 분간 정치한 후 기질(p-nitrophenyl-α-D-glucopyranoside) 50ul(최종농도:20mM) 를 가하여 흡광도의 변화(△S)를 연속적으로 5분간 추적하였다. 저해활성은 측정용 시료를 증류수로 대체한 대조구의 흡광도 변화(△B)를 측정한 후 저해활성(% )= (△B-△S)/△B x 100의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뽕잎은 주정과 물의 비율을 5:5로 추출하였을 때, 계피와 포도씨는 주정과 물을 7:3으로 추출하였을 때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효과가 각각 65%, 51% 및 56%로 가장 높았다.
[표 1]
추출용매에 따른 뽕잎, 계피 및 포도씨 추출물의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효과
Figure 112007027173225-pat00001
<실시예 2>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 효과가 높은 추출물의 조성비 확인
실시예 2-1
실시예 1에 따라 각 추출물의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이 가장 높은 추출조건으로 추출한 뽕잎 추출물과 계피 추출물 및 포도씨 추출물이 어떤 비율로 혼합될 때 가장 높은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 활성을 가지는지 보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실험을 하였다. 뽕잎 추출물을 30%로 고정하고 계피 추출물과 포도씨 추출물을 0~70%로 조정하면서 배합한 조성물의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표 2에서 그 결과를 보이고 있는 바, 뽕잎 추출물 30%, 계피 추출물 20%, 포도씨 추출물 50%로 배합했을 때 74%의 가장 높은 저해효과를 보였다.
이는 뽕잎 단독 추출물(주정:물=5:5의 추출조건) 100%의 경우 65.26%, 계피 단독 추출물(주정:물=7:3의 추출조건) 100%의 경우 50.57% 및 포도씨 단독 추출물(주정:물=7:3의 추출조건) 100%의 경우 56.34% 저해효과를 보이는 경우에 비하여 10~20%의 저해효과가 상승된 것이다.
[표 2] 뽕잎, 계피 및 포도씨 추출물의 조성비에 따른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효과
Figure 112007027173225-pat00002
실시예 2-2
동일한 방법으로 계피 추출물을 30%로 고정하고 뽕잎 추출물과 포도씨 추출물을 0~70%로 배합한 조성물의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표 3에서 그 결과를 보이고 있는 바, 계피 추출물 30%, 뽕잎 추출물 60%, 포도씨 추출물 10%로 배합했을 때 80% 내외의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뽕잎 단독 추출물(주정:물=5:5의 추출조건) 100%의 경우 65.26%, 계피 단독 추출물(주정:물=7:3의 추출조건) 100%의 경우 50.57%, 및 포도씨 단독 추출물(주정:물=7:3의 추출조건) 100%의 경우 56.34% 저해효과를 보이는 경우에 비하여 15~30% 저해효과가 상승된 것이다.
[표 3] 뽕잎, 계피 및 포도씨 추출물의 조성비에 따른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효과
Figure 112007027173225-pat00003
실시예 2-3
위와 같은 방법으로 포도씨 추출물을 30%로 고정하고 뽕잎 추출물과 계피 추출물을 0~70%로 배합한 조성물의 알파글루다제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표 4에서 그 결과를 보이고 있는 바, 포도씨 추출물 30%, 뽕잎 추출물 60%, 계피 추출물 10%로 배합했을 때 82% 의 가장 높은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조성물에 의한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 효과는 뽕잎 단독 추출물(주정:물=5:5의 추출조건) 100%의 경우 65.26% 저해효과, 계피 단독 추출물(주정:물=7:3의 추출조건) 100%의 경우 50.57% 저해효과 및 포도씨 단독 추출물(주정:물=7:3의 추출조건) 100%의 경우 56.34% 저해효과 등 각각의 저해효과들보다 최대 32%, 최소 17% 저해효과가 상승된 것이다.
[표 4] 뽕잎, 계피 및 포도씨 추출물의 조성비에 따른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효과
Figure 112007027173225-pat00004
<실시예 3> 당뇨병 유발쥐에서 혈당강하 효과의 확인
실험동물에 투여할 조성물을 실시예 2에서 가장 높은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을 보인 배합비에 따라 표 5와 같이 구성하였다.
[표 5] 각 조성물의 배합비
Figure 112007027173225-pat00005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으로 유발시킨 제1형 당뇨 실험동물로 체중 100± 10g 내외의 Sprague-Dawley 종 수컷을 구입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환경에 적응시키기 위하여 일반 배합사료로 일주일간 예비 사육하여 난괴법(randomized complet block design)에 의해 당뇨를 유발하지 않은 정상군과 당뇨를 유발시킨 실험군으로 나눈 후 실험군을 조성물을 급여하지 않은 당대조구와 표 5의 조성물을 0.3%씩 투여한 조성물-1, 조성물-2, 조성물-3군으로 나누어 표 6과 같은 조건으로 8마리씩 4주간 사육하였다. 사육실의 온도는 22± 1℃, 습도는 50± 10%이었다.
[표 6] 실험군의 식이조성(g/kg diet)
Figure 112007027173225-pat00006
상기와 같이 사육한 실험동물을 에테르 마취하에서 주사기를 사용해 복부대동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고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1,500× g에서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한 다음 아산제약의 enzymatic kit AM201K를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혈당강하 효과가 최대인 조성물을 알아내기 위하여 혈청 중 포도당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도 1과 같다. 대조구, 즉 조성물을 투여하지 않은 군에 비하여 조성물 1은 25.3%, 조성물 2는 31.5%, 조성물 3은 35.7%의 혈당강하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이들 조성물의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 활성 결과와 동일한 양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결국 본 발명에 따라 추출된 각각의 추출물은 뽕잎 추출물: 계피 추출물: 포도씨 추출물의 건조 중량비가 55~65: 5~35: 5~35 로 혼합한 조성물인 경우, 이들 각 추출물이 단독으로 나타내는 혈당강하 효과에 비해 현저하게 개선된 혈당강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혈당강하용 조성물은 동물실험에서 평균 약 30% 이상의 혈당강하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은 각 원료 추출물 단독의 저해활성 보다 평균 약 20% 이상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이를 기능성 식품, 의약품 및 식의약품 등의 혈당강하용 중간원료로서 다양하게 개발 가능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0)

  1. 건조 중량기준으로 뽕잎 추출물: 계피 추출물: 포도씨 추출물을 60:30:10 또는 60:10:3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뽕잎 추출물은 주정: 물의 중량비가 5:5 인 추출용매로 추출한 것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피 추출물은 주정: 물의 중량비가 7:3 인 추출용매로 추출한 것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도씨 추출물은 주정:물의 중량비가 7:3 인 추출용매로 추출한 것인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i)뽕잎, 계피 및 포도씨를 건조하여 파쇄하는 단계, (ii) 상기 파쇄된 원료를 주정과 물의 혼합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iii) 상기 각 추출액을 농축하여 동결건조하는 단계, 및 (iv) 상기 동결건조된 시료를 뽕잎 추출물: 계피 추출물: 포도씨 추출물의 건조중량비가 60:30:10 또는 60:10:30 이 되도록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제조방법.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9. 제8항에서 있어서, 상기 식품이 음료, 과자, 빵, 차 및 면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혈당강하용 건강기능식품.
KR1020070034721A 2007-04-09 2007-04-09 뽕잎, 계피 및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당강하용조성물 KR100869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721A KR100869443B1 (ko) 2007-04-09 2007-04-09 뽕잎, 계피 및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당강하용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721A KR100869443B1 (ko) 2007-04-09 2007-04-09 뽕잎, 계피 및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당강하용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1632A KR20080091632A (ko) 2008-10-14
KR100869443B1 true KR100869443B1 (ko) 2008-11-18

Family

ID=40152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4721A KR100869443B1 (ko) 2007-04-09 2007-04-09 뽕잎, 계피 및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당강하용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94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094B1 (ko) 2020-09-04 2021-01-14 (주)자연미약선연구원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당 강하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18766B (zh) 2009-09-16 2013-03-06 博仲盛景医药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植物提取物、其提取方法和用途及含有这种提取物的组合物
CN104435970B (zh) * 2014-10-30 2018-03-02 西安阿房宫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补肾健脾的组合物及制备方法
CN104623380B (zh) * 2015-02-26 2019-01-01 田江南 一种治疗糖尿病的药及其制备方法
CN104758755A (zh) * 2015-04-30 2015-07-08 楼基祥 一种治疗女性不孕症的促排卵中药药剂
CN115153024A (zh) * 2022-07-19 2022-10-11 中山市嘉信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调节血糖的健康食品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2398A (ko) * 2002-12-17 2004-06-23 주식회사 엔바이오테크놀러지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을 갖는 포도씨 추출물을함유하는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20070028177A (ko) * 2005-09-07 2007-03-12 씨제이 주식회사 혈당 조절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2398A (ko) * 2002-12-17 2004-06-23 주식회사 엔바이오테크놀러지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을 갖는 포도씨 추출물을함유하는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20070028177A (ko) * 2005-09-07 2007-03-12 씨제이 주식회사 혈당 조절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7(4), pages 811-821(2006.12.)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094B1 (ko) 2020-09-04 2021-01-14 (주)자연미약선연구원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당 강하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1632A (ko) 2008-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jebli et al. The promising role of plant tannins as bioactive antidiabetic agents
Okyar et al. Effect of Aloe vera leaves on blood glucose level in type I and type II diabetic rat models
Huseini et al. The clinical investigation of Citrullus colocynthis (L.) schrad fruit in treatment of Type II diabetic patients: a randomized, double blin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KR100869443B1 (ko) 뽕잎, 계피 및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당강하용조성물
WO2017159679A1 (ja) 多糖消化阻害剤
KR20180061062A (ko) 여주 추출물, 구절초 추출물 및 작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0448447B1 (ko)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을 갖는 포도씨 추출물을함유하는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Hussain et al. Comparative in vitro analysis of anti-diabetic activity of Indo-Pak black cardamom (Amomum subulatum Roxb.) and Chinese black cardamom (Amomum tsao-ko Crevost et Lemaire)
WO2018008973A1 (ko) 연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말초신경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473530B1 (ko) 소풍순기원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090091615A (ko) 근육세포에서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키는 데이츄 추출물과이로부터 분리한 4h-크로멘-4-온 유도체
KR101793378B1 (ko) 계혈등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당뇨 조성물
KR100473531B1 (ko) 변방 소풍순기원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CN102048132B (zh) 一种用于降血糖的保健食品
Sharmila et al. Anti-diabetic potential of Indian medicinal plants with Garcinia kola and Syzygium cumini
KR101222779B1 (ko) 식용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200071492A (ko) 도토리 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0473529B1 (ko) 순기산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38398B1 (ko) 청미래덩굴잎 분획을 함유하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56086B1 (ko) 인진쑥 추출물과 그를 함유한 식후과혈당 억제용 조성물
KR102277058B1 (ko) 황촉규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0478150B1 (ko)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용 건강보조식품
KR102095371B1 (ko) 짚신나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894302B1 (ko) 당뇨병 또는 고지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효한 매엽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포함된 조성물
KR20110020469A (ko) 진세노사이드 Rg3 및 Rg2를 포함하는 당뇨 또는 고혈당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