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398B1 - 청미래덩굴잎 분획을 함유하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청미래덩굴잎 분획을 함유하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8398B1
KR101538398B1 KR1020130108455A KR20130108455A KR101538398B1 KR 101538398 B1 KR101538398 B1 KR 101538398B1 KR 1020130108455 A KR1020130108455 A KR 1020130108455A KR 20130108455 A KR20130108455 A KR 20130108455A KR 101538398 B1 KR101538398 B1 KR 101538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ction
leaf
composition
activity
fra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8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9355A (ko
Inventor
최면
강윤환
김대중
이재성
김경곤
이성미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08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398B1/ko
Publication of KR20150029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Smilacaceae (Catbrier family), e.g. greenbrier or sarsaparill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당뇨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청미래덩굴잎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독성이 없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당뇨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청미래덩굴잎 분획을 함유하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diabetes containing Smilax china L leaves fraction extract}
본 발명은 항당뇨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청미래덩굴잎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혈액 중 포도당 함량 증가 또는 탄수화물 대사 이상으로 인해 과량의 포도당이 뇨 중으로 배설되는 질환으로서, 단백질과 지질 대사 및 전해질 대사 이상을 일으키는 대사성 질환이다. 당뇨는 혈중 포도당의 수준을 정상화하는데 작용하는 인슐린의 분비 저하 및 작용 결함 등에 의해 고혈당을 초래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당뇨는 혈액 내 포도당 농도의 항상성 조절이 손상되어 고혈당을 나타내는 만성질환으로서, 췌장에서 정상적으로 인슐린 분비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발생하는 1형 당뇨와 비만, 운동부족, 흡연, 음주 등의 생활습관 등에 의해 인슐린에 대한 말초조직의 저항이 증가하여 발생하는 2형 당뇨로 분류된다. 대부분의 당뇨 환자들은 인슐린 분비장애와 인슐린 저항성이 공존하는 경향이 많으며, 이때 급격히 상승한 혈당은 비효소적 당화 과정이 진행되어 구조적으로 대사 이상을 유발한다. 따라서, 체내의 산화적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체내 항산화 효소계의 활성이 감소하여 동맥경화, 고혈압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게 된다. 이 밖에도, 당뇨는 관상동맥질환, 뇌혈관 질환, 말초혈관 질환 등의 동맥경화성 혈관질환 합병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에 따른 사망률 및 이환율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국내의 당뇨병 환자는 전체인구 4800만 명 중 약 5%인 240만명 정도로 추산되며 절반 이상은 아직 자신이 당뇨병환자임을 모르고 있으나 조만간 당뇨병으로 진전될 예비환자로 선진국의 예에서 판단하건대 소득향상과 식생활의 변화, 생활습관의 편리성 추구로 인한 당뇨병환자 수는 이보다 더욱 증가될 전망이다. 당뇨병의 90% 이상이 성인형의 제 2형 당뇨병이며, 노령화와 생활습관의 변화로 인해 2형 당뇨병 환자수의 증가가 전체 당뇨병 환자 증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추세이다.
한편, 당뇨병치료에 사용되는 혈당강하제는 식후 혈당을 조절하며 저혈당은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경구용 혈당강하제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인슐린 제제, 설포닐우레아(sulfonylurea) 제제, 비구아니드(biguanide) 제제 등이 투여될 경우 음식을 먹은 후, 혈중 당도는 빨리 증가하는 반면 투여된 약물로 인한 인슐린의 혈액 내 출현은 상대적으로 느려져, 식후 고혈당, 식사와 식사 사이에는 고인슐린혈증 및 저혈당 증세가 나타나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의약품의 경우 화학적 인공 합성물로 이루어진 화학적 의약품이기 때문에, 생체 내에서의 환원성이 결여되어 있고, 체내에서 자유 라디칼을 생성시켜 DNA를 손상시키고 내성 및 각종 부작용을 유발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유발되고 있다. 때문에, 천연식물류로부터 항당뇨 활성을 얻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치료 방법이 요구된다.
최근, 종래의 혈중 포도당 농도를 조절하는 방법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부작용 없이 혈중 포도당 농도를 조절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α-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 억제제들을 당뇨병 치료제로서 개발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상기 α-글루코시다아제는 탄수화물을 분해하여 포도당으로 전환시키는 효소로, 식후 혈당상승에 크게 기여하는 효소이다.α-글루코시다아제의 활성을 저해시킴으로써, 식후 탄수화물의 소화와 흡수가 지연되어 혈당이 현저히 감소 되고 이에 혈중 인슐린(insulin)농도도 감소 되므로, 점차 공복 시 혈당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한편, 대한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에 의하면 청미래 덩굴은 백합과(Liliaceae)에 속하는 줄기뿌리 식물이고, 학명은 Smilax china Linne이다. 청미래 덩굴은 토복령, 망개나무, 명감나무, 참열매나무, 종가시덩굴, 매발톱가시,산귀래, 명감, 동고리낭, 맹게낭, 벨내기, 벨랑지낭, 맹감나무, 깜바귀, 청열매덤불, 반계 등의 다양한 이명으로 불리기도 한다. 청미래 덩굴은 일본, 중국, 그리고 한국에서 자생한다.
청미래 덩굴은 전통적으로 거풍습(去風濕), 이뇨, 해독 및 소종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고, 관절동통(關節疼痛), 마목(麻木), 수종, 장염, 이질, 임파선염, 적백대하, 매독, 암종(癌腫) 등의 치료제로 쓰여 왔다. 현재까지 과학적으로 증명된 청미래 덩굴의 약리작용으로는 항당뇨, 항염증, 항산화, 항암작용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우수한 항당뇨 효과와 항산화 효과가 있는 천연물에 대하여 예의연구한 결과, 청미래덩굴 잎을 항당뇨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1.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111711호 "복부비만의 개선 및 예방용 한약재를 이용한 드링크 액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드링크 액" 2.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216032호 "발계(Smilax chn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본 발명은 부작용 또는 독성이 없는 천연 추출물을 이용하여 당뇨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α-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 저해 효과가 우수한 항당뇨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청미래덩굴잎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청미래덩굴잎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청미래덩굴잎 분획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당뇨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함유되는 청미래덩굴잎 분획물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부탄올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청미래덩굴잎 분획물을 함유하는 당뇨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당뇨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에 함유되는 청미래덩굴잎 분획물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부탄올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청미래덩굴잎 분획물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항당뇨 조성물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청미래덩굴잎 추출물은 청미래덩굴잎에 추출용매로써 물 이외에도 (i) 알코올(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부탄올, 1-펜탄올, 2-부톡시에탄올 또는 에틸렌글리콜), (ii) 아세트산, (iii) DMFO(dimethyl-formamide) 및 (iv) DMSO(dimethyl sulfoxide) 등의 다양한 추출용매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청미래덩굴잎 무게 대비 10~20배의 물을 첨가한 후, 50~60℃에서 20~24시간 쉐이킹 인큐베이션한 다음, 5,000~6,000 rpm에서 50~60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시린지 필터로 여과시키고 -70~-80℃에서 동결건조하여 청미래덩굴잎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식물체에서 추출된 물질로, 액체상, 농축액, 혼합액 또는 고형상, 분말상일 수 있으며, 조추출물(crude extract)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또한, 조추출물을 더욱 정제한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의 재료가 되는 청미래덩굴잎은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분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600 메쉬의 크기로 초미세 분쇄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청미래덩굴잎 분획물은 상기와 같이 수득한 청미래덩굴잎 추출물을 증류수에 녹인 후, 헥산, 다이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순으로 분획하여 수득 될 수 있다. 한편, 청미래덩굴잎 분획물은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부탄올 분획물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청미래덩굴잎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부탄올 분획물은 청미래덩굴잎 추출물 및 다른 분획물 보다 우수한 α-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 억제 활성을 나타냄에 따라, 항당뇨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여기서, α-글루코시다아제는 소장의 융모에 존재하는 효소이며, 우리 몸이 탄수화물을 섭취하였을 때 다당류를 단당류로 바꾸는 역할을 하여 쉽게 장에서 흡수되도록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단당류는 3탄당에서부터 6탄당에 이르기까지 탄소의 수에 따라 분류를 하는데, 우리 몸에서 장으로 흡수될 때, 포도당(glucose), 과당(fructose), 갈락토스(galactose)의 6탄당 형태로 가장 많이 흡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α-글루코시다아제의 활성이 저하되면 소장에서 다당류의 분해를 억제하여 복합탄수화물의 소화와 흡수를 지연시켜 식후 고혈당을 억제하고 고 인슐린혈증을 감소시켜 당뇨가 예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청미래덩굴잎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과 부탄올 분획물은 청미래덩굴잎 추출물 및 다른 분획물보다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아,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의 청미래덩굴잎 분획물은 액체 상태로 사용할 수 있지만, 감압 증류,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이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당뇨병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상기 청미래덩굴잎 분획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당뇨병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분획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에는 포도당, 과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폴리사카라이드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기 향미제로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당뇨병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당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사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이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가 있으며, 이들은 1종 이상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예방 및 치료제가 약제인 경우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당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제형은 사용방법에 따라 바람직한 형태일 수 있으며, 특히 사용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채택하여 제형화 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인 제형의 예로는 경고제(PLASTERS), 과립제(GRANULES), 리니멘트제(LINIMENTS), 리모나데제(LEMONADES), 산제(POWDERS), 시럽제(SYRUPS), 액제(LIQUIDS AND SOLUTIONS), 에어로솔제(AEROSOLS), 엑스제(EXTRACTS), 엘릭실제(ELIXIRS), 유동엑스제(FLUIDEXTRACTS), 유제(EMULSIONS), 현탁제(SUSPESIONS), 전제(DECOCTIONS), 침제(INFUSIONS), 정제(TABLETS), 좌제(SUPPOSITIORIES), 주사제(INJECTIONS), 주정제(SPIRITS), 카타플라스마제(CATAPLSMA), 캅셀제(CAPSULES), 트로키제(TROCHES), 틴크제(TINCTURES), 파스타제(PASTES), 환제(PILLS),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당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그 제제 형태, 투여 방법, 사용 목적 및 이것에 적용되는 환자의 연령, 체중, 증상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되고, 일정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제제 중에 함유되는 유효성분의 양은 성인 1일당 예컨대 10 mg~ 2000 mg/kg이다. 물론 복욕량은, 각종 조건에 의해서 변동하기 때문에, 상기 투여량보다 적은 양으로 충분한 경우도 있고, 또는 범위를 초과하여 필요한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효과가 매우 높아 항당뇨 효과가 매우 우수한 청미래덩굴잎 분획물을 이용하여 당뇨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효과가 매우 높아 항당뇨 효과가 매우 우수한 청미래덩굴잎 분획물을 이용하여 당뇨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매우 높아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청미래덩굴잎 분획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청미래덩굴잎의 분획물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청미래덩굴잎 추출물 및 분획물의 세포독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SCLE는 청미래덩굴잎 추출물을 의미하고, SCLE/EA fraction은 청미래덩굴잎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의미하며, SCLE/BuOH fraction은 청미래덩굴잎 부탄올 분획물을 의미하고, SCLE/Water fraction은 청미래덩굴잎 물 분획물을 의미한다).
도 3은 분획용매의 종류에 따른 청미래덩굴잎 분획물의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이다(SCLE는 청미래덩굴잎 추출물을 의미하고, SCLE/EA fraction은 청미래덩굴잎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의미하며, SCLE/BuOH fraction은 청미래덩굴잎 부탄올 분획물을 의미하고, SCLE/Water fraction은 청미래덩굴잎 물 분획물을 의미한다).
도 4는 분획용매의 종류에 따른 청미래덩굴잎 분획물의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A는 DPPH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비교한 그래프이고, B는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Ascorbic acid는 아스코르브산을 의미하고, SCLE는 청미래덩굴잎 추출물을 의미하고, SCLE/EA fraction은 청미래덩굴잎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의미하며, SCLE/BuOH fraction은 청미래덩굴잎 부탄올 분획물을 의미하고, SCLE/Water fraction은 청미래덩굴잎 물 분획물을 의미한다).
도 5의 A는 청미래덩굴잎 분획물의 α-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 저해능을 분획용매의 종류와 농도에 따라 비교한 그래프이고, B는 청미래덩굴잎 분획물의 α-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 저해능을 분획 시간에 따라 비교한 그래프이다. (Acarbose는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인 아카보즈를 의미하고, SCLE는 청미래덩굴잎 추출물을 의미하고, SCLE/EA fraction은 청미래덩굴잎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의미하며, SCLE/BuOH fraction은 청미래덩굴잎 부탄올 분획물을 의미하고, SCLE/Water fraction은 청미래덩굴잎 물 분획물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 실시예 : 청미래덩굴잎 추출물 및 분획물의 제조]
청미래덩굴잎을 깨끗하게 세척한 후, 동결건조하여 미세하게 분쇄하였다. 분쇄된 청미래덩굴잎 무게 대비 10~20배의 물을 첨가한 후, 60℃에서 24시간 쉐이킹 인큐베이션한 다음, 5,000~6,000 rpm에서 1시간 동안 원심분리 하였다. 원심분리 하여 수득된 추출물을 0.45 ㎛의 시린지 필터로 여과한 후 -80℃에서 동결건조 하여 청미래덩굴잎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증류수에 상기 청미래덩굴잎 추출물 40 g을 녹인 후, 헥산, 다이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순으로 분획하여, 헥산 분획물 0.22 g, 다이클로로메탄 분획물 0.64 g,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8.72 g, 부탄올 분획물 11.83 g 및 물 분획물 16.91 g을 수득하였다(도 1).
[ 실험예 1 : 청미래덩굴잎 분획물의 세포독성 실험]
본 실험에서는 청미래덩굴잎 분획물의 세포독성을 실험하고자 하였다.
3T3-L1 세포를 96-well조직 배양 플레이트(96-well tissue culture plate)에 1×104cells/well 100 ㎕씩 분주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FBS가 첨가되지 않은 배지에 청미래덩굴잎 추출물과 분획물을 농도별로 제조하여 세포에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이 지난 후에는 상기의 배지를 제거하고 10 ㎕ MTT시약(5 ㎎/㎖)을 주입하여 4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한 후 상등액을 제거하였다. 각 well에 형성된 포르마잔(formazan)에 DMSO(Dimethyl sulfoxide) 100 ㎕를 첨가한 후 셰이커를 이용해 용해시켰다. 상기 녹인 용액을 30분 뒤에 ELISA microplate reader(EL808, BioTek, Winooski, USA)를 사용하여 540 nm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대조군(control)의 흡광도 값을 기준으로 세포독성을 비교하였다. 여기서 대조군은 청미래덩굴잎 미처리군이다.
실험결과, 모든 분획물에서 1000 ppm 까지 3T3-L1세포에 대한 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도 2).
[ 실험예 2: 청미래덩굴잎 분획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본 실험에서는 청미래덩굴잎 분획물의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총 함량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폴린-시오칼토페놀(Folin-Ciocalteau's phenol)시약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시료 0.2 ㎖와 증류수 4.8 ㎖, 50% 폴린-시오칼토페놀(Sigma, st Louis, Missouri, USA) 0.5 ㎖를 잘 혼합하여 3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1 ㎖의 10% 탄산나트륨(Na2CO3)을 첨가하여 암조건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 UV/vis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7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갈릭산(Sigma, St Louis, Missouri, USA) 검량선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Moreno 등의 방법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10% 질산알루미늄(aluminium nitrate) 0.1 ㎖, 1M 초산칼륨(potassium acetate) 0.1 ㎖, 80% 에탄올(ethanol) 4.3 ㎖가 든 시험관에 각 시료 0.5 ㎖를 혼합하여 실온에서 40분간 반응시킨 다음, UV/vis 분광광도계 (Optizen 2120UV, mecasys, Daejeon)를 사용하여 4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함량은 쿼세틴(Wak, Osaka, Japan) 검량선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실험결과, 청미래덩굴잎 추출물에 비하여 청미래덩굴잎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과 부탄올 분획물의 폴리페놀 및 플라보이드 함량이 월등히 높았으며, 특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도 3).
[ 실험예 3: 청미래덩굴잎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측정]
본 실험에서는 청미래덩굴잎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정도를 비교 측정해보기로 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radical scavenging activity)은 Kim(19)등이 사용한 Blois법을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분획물은 농도별(100, 250, 500, 1000 ppm)로 증류수를 이용하여 희석한 시료와 0.2 mM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를 1:1로 혼합한 다음, 실온의 암조건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음성 대조군(negative control)은 증류수를 넣어 측정하고,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은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을 사용하여 하기 수학식 1의 라디칼 소거능 계산식에 의거하여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이때 IC50은 음성대조군 값에 대비하여 50% 감소시키는 추출물의 농도를 나타낸다.
또한, ABTS(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phonic acid)) 라디칼 소거능은 Re 등의 방법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7 mM의 ABTS와 140 mM의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을 첨가하여 암조건에서 24시간 반응한 후, 734 nm에서 흡광도가 0.7±0.02가 되도록 에탄올로 희석하였다. 희석된 ABTS 980 ㎕와 100, 250, 500, 1000 ppm으로 희석한 각각의 시료 20 ㎕를 혼합하고, 상온에서 3분간 반응시킨 후, 7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증류수를 넣어 측정하였고, 양성 대조군은 아스코르브산을 사용하였다. 또한, 라디칼 소거활성은 하기 수학식 1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IC50은 상기 DPPH와 동일한 방법으로 계산하였다.
[수학식 1]
라디칼 소거능 (%) = 100-[(대조군의 흡광도/실험군의 흡광도)]
실험 결과, DPPH 라디칼 소거활성에 있어 청미래덩굴잎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과 부탄올 분획물은 100 ppm, 250 ppm과 같은 저농도에서도 항산화 활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100, 250, 500, 1000 ppm 모든 농도에서, 청미래덩굴잎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과 부탄올 분획물이 청미래덩굴잎 추출물보다 항산화 활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특히, 청미래덩굴잎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도 4).
[ 실험예 4: 청미래덩굴잎 분획물의 α- 글루코시다아제 (α- glucosidase ) 활성억제능 측정]
본 실험에서는 생체 외(in vitro)에서 기질과의 반응역학분석(kinetic analysis) 방법을 이용하여 청미래덩굴잎 분획물의 혈당조절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청미래덩굴잎 추출물과 그 분획물의 농도에 따른 α-글루코시다아제 활성억제능은 Ryu 등이 사용한 방법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농도별(100, 250, 500, 1000 ppm)로 준비된 각각의 추출물 50 ㎕에 1 mM p-니트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p-nitrophenyl-α-D-glucopyranoside, pNPG) 50 ㎕를 첨가하여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키고 2M Na0H 10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후, 기질(substrate)인 pNPG로부터 유리되어 나오는 반응 생성물인 p-니트로페놀(p-nitrophenol)을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405 nm에서 측정하여 α-글루코시다아제 활성억제력을 측정하였다. 실험의 대조군으로는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로 알려진 아카보즈(Sigma, St Louis, Missouri, USA)를 사용하였다. 하기 수학식 2에 의거하여 α-글루코시다아제 활성억제능을 산출하였다.
또한, 청미래덩굴잎 분획물의 처리 시간에 따른 α-글루코시다아제 활성억제능을 측정하였다. 실험방법은 상기와 같이 수행하되, 청미래덩굴잎 추출물 및 분획물의 처리 농도를 500ppm으로 일정하게 하고 반응시간을 달리하여 실험하였다. 하기 수학식 2에 의거하여 α-글루코시다아제 활성억제능을 산출하였다.
[수학식 2]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능(%) = [1-(CAbs-SAbs)/(CAbs-BAbs)]
CAbs: 대조구 흡광도
SAbs: 시료 흡광도
BAbs: 시료 무첨가구 흡광도
실험결과, 청미래덩굴잎 분획물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모든 실험군에서 α-글루코시다아제 활성 억제능이 증가하였다. 특히, 청미래덩굴잎 부탄올 분획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아카보즈에 비해 월등한 α-글루코시다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도 5A).
또한, 청미래덩굴잎 분획물의 처리 시간이 지날수록 모든 실험군에서 α-글루코시다아제 활성억제능이 증가하였고, 특히, 부탄올 분획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청미래덩굴잎 추출물보다 월등한 α-글루코시다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도 5B).

Claims (4)

  1. 삭제
  2. 청미래덩굴잎 분획물을 함유하며,
    상기 청미래덩굴잎 분획물은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 분획물 또는 부탄올(Butanol)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 개선용 식품 조성물.
  3. 삭제
  4. 청미래덩굴잎 분획물을 함유하며,
    상기 청미래덩굴잎 분획물은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 분획물 또는 부탄올(Butanol)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KR1020130108455A 2013-09-10 2013-09-10 청미래덩굴잎 분획을 함유하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38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455A KR101538398B1 (ko) 2013-09-10 2013-09-10 청미래덩굴잎 분획을 함유하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455A KR101538398B1 (ko) 2013-09-10 2013-09-10 청미래덩굴잎 분획을 함유하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355A KR20150029355A (ko) 2015-03-18
KR101538398B1 true KR101538398B1 (ko) 2015-07-22

Family

ID=53023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8455A KR101538398B1 (ko) 2013-09-10 2013-09-10 청미래덩굴잎 분획을 함유하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83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156B1 (ko) * 2015-04-01 2017-02-13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청미래덩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451B1 (ko) * 2009-10-26 2012-03-09 심재학 토복령, 여주 및 동충하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당 강하용 조성물
KR101225486B1 (ko) * 2012-03-30 2013-01-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토복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고지혈증 또는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451B1 (ko) * 2009-10-26 2012-03-09 심재학 토복령, 여주 및 동충하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당 강하용 조성물
KR101225486B1 (ko) * 2012-03-30 2013-01-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토복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고지혈증 또는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355A (ko) 2015-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mesh et al. Antioxidant and medicinal properties of mulberry (Morus sp.): A review
KR102132655B1 (ko) 구절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427784B1 (ko) 인삼 및 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
KR100898758B1 (ko) 항당뇨 활성을 나타내는 패과식물의 추출물
KR101261029B1 (ko) 칠면초를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616811B1 (ko) 짚신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및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Indira et al. Potential of bamboo in the prevention of diabetes-related disorders: possible mechanisms for prevention
KR101538398B1 (ko) 청미래덩굴잎 분획을 함유하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87310B1 (ko)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2형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50003B1 (ko) 얼레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Emiru et al. Evaluation of in vitro α-amylase inhibitory activity and antidiabetic effect of Myrica salicifolia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KR101808808B1 (ko) 벌나무 및 후박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47640B1 (ko) 연수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들을 함유하는당뇨병성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36608B1 (ko)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793378B1 (ko) 계혈등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당뇨 조성물
KR100706134B1 (ko) 녹나무 잎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30082249A (ko) 담쟁이 덩쿨 추출물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584840B1 (ko) 톳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최종당화산물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07869B1 (ko) 증포 발효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64067A (ko) 초피 및 흑호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50102017A (ko) 식초 가공 인삼제제를 이용한 제2형 당뇨병과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22845B1 (ko) 홍삼 추출물의 감식초 반응 혼합물을 함유한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61369B1 (ko) 홍잠이 강화된 숙취 예방 및 해소용 기능성식품 조성물
KR20100083598A (ko) 인삼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2형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20050377A (ko) 넓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최종당화산물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