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7961B1 - 타일 패널 및 그 타일패널을 사용한 벽면의 건식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타일 패널 및 그 타일패널을 사용한 벽면의 건식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7961B1
KR100447961B1 KR10-1999-0045030A KR19990045030A KR100447961B1 KR 100447961 B1 KR100447961 B1 KR 100447961B1 KR 19990045030 A KR19990045030 A KR 19990045030A KR 100447961 B1 KR100447961 B1 KR 100447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tile panel
panel
plate
ti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5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6991A (ko
Inventor
사이다야스노리
Original Assignee
다이에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에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에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56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6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7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79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side holes preformed into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면에 플레이트가 부착된 타일패널을 이용하여 누구라도 간단하게 전문가못지 않은 시공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이면에 플레이트(2)가 접착된 타일(3)의 위가장자리와 밑가장자리에 각각 규제블록(6, 6, …)을 설치한다. 그들 규제블록(6, 6, …)은 타일패널(1, 1, …)을 상하좌우에 대하여 모두 일직선이 되도록 배치하여도, 상하에 대하여 반피치씩 어긋나게 나열하여도 서로 겹치지 않는 위치가 선택되어 있고, 상기 플레이트(2)에 튀어나오게 형성된 연결편(4, 4, …)을 거쳐 밀착상태로 부설하여 형성된다.

Description

타일패널 및 그 타일패널을 사용한 벽면의 건식시공방법{TILE PANEL AND DRY TYPE CONSTRUCTION METHOD FOR WALL SURFA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벽면의 건식시공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는 타일패널 및 그 타일패널을 사용한 벽면의 건식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타일은 이음매의 폭 및 표면이 균일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지 않으면 보기싫고, 고층빌딩에서는 높은 고착강도가 요구된다.
일반의 타일은 이음매나 표면을 균일하게 되도록 배치하기 위해서는 숙련을 요하고, 모르타르로 붙이는 소위 습식공법이기 때문에, 모르타르가 고화하기 까지의 사이에, 예를 들어 타일의 자중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어긋나기 쉬울 뿐만 아니라, 시공이 완료하기 까지 시간이 걸려 고층빌딩 등에 요구되는 고착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
또 예를 들어 판자를 댄 외벽을 타일붙이기로 다시 장치하기 위해서는, 일단 판자를 댄 외장을 떼어내어 밑바탕을 형성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작업이 번잡해진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일본국 특개평8-33386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경량기재의 표면에 얇은 타일를 붙인 타일부착 사이딩이나, 일본국 특개소57-29755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은 미리 타일의 측편에 이음매부에 상당하는 폭이 낮은 부분을 연장설치하고, 간극없이 조합시킴으로써 이음매를 형성할 수 있는 이음매부착 타일 등이 알려져 있다.
타일부착 장식판은 건식시공이 가능하며, 언뜻보아서는 벽면에 직접 타일을 붙인 것과 구별하기 어려고, 각종 건축물에 있어서 실시는 되어 있으나, 지금까지 다수의 소형타일을 조합한 것이 널리 알려져 있는 반면, 대형타일을 한 장만 채용한 타일패널은 제품화되었다는 이야기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이것은 작업성이나 고착강도를 중시하면 사이딩에 채용되는 타일의 사이즈에는 자연히 한도가 있어 아무래도 소형으로 하지 않을 수 없는 것과, 충분한 고착력을 확보하기가 어려운 것이 원인으로 추정되고, 그 결과 소형타일의 시공면은 대형타일에 비하여 못해 보인다.
한편 이음매부착 타일은, 누구라도 숙련자에 필적할 만큼 이상적인 배열을 하는 것이 가능하나, 습식, 건식을 불문하고 시공면에 판이 붙어 있으면, 그 판을 떼어 모르타르 칠면으로 바꾸거나 바탕구조를 형성해야 만 하는 등, 개장(改裝)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타일패널을 분해하여 나타낸 실시예의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타일패널의 실시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3은 타일패널의 부착패턴을 나타낸 설명도,
도 4는 타일패널의 부착패턴을 나타낸 설명도,
도 5는 세운 편을 타일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6은 조정볼트의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타일패널 2 : 플레이트
3 : 타일 4 : 연결편
5 : 세운 편 6 : 규제블록
7 : 리벳 8 : 리벳삽입구멍
9 : 못구멍 10 : 나사구멍
8a, 9a, 10a : 통과구멍 11 : 조정볼트
12 : 잘라낸 창 13 : 핀구멍
14 : 핀 15 : 비스박음용 구멍
16 : 나사못
본 발명은 신축물은 물론, 기설 건축물의 외벽을 개장하는 경우에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는 벽면시공의 기술로서, 그 구성은 이면에 플레이트가 접착된 복수매를 상하좌우 인접하여 배치한 벽면에 시공되는 대형의 타일패널로서, 플레이트에는 적어도 대향하는 두개의 옆 가장자리에 서로 중복을 피하도록 위상을 비키어 놓고, 타일의 두께보다 얇고, 또한 이음매에 상당한 폭의 규제블록을 상기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타일의 부착범위 밖으로 튀어나오게 형성된 연결편을 거쳐 밀착상태로 부설하고, 상기 규제체에 못구멍을 설치한 타일패널과, 적어도 대향하는 두 옆가장자리에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위상을 비키어 놓고, 타일의 두께보다 얇고, 또한 이음매에 상당한 폭으로 못구멍을 가지는 규제블록이 상기 플레이트에 타일의 부착범위 밖으로 튀어나오게 형성된 연결편을 거쳐 부설된 대형의 타일패널을 인접하는 타일패널의 측면에 규제블록을 맞닿게 하여 인접하게 배치하고, 상기 못구멍에 삽입한 못재로 고정한 후, 타일사이에 이음매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벽면의 건식시공방법에 있다.
그리고 상기 타일패널은 플레이트의 밑가장자리에 세운 편을 설치하고, 그 세운 편을 타일의 측면에 고착하거나, 규제블록에 들뜸 높이조정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타일에는 세라믹제 타일, 금속제 타일, 리놀륨제 타일, 고무 타일 등, 타일이라 불리우는 것 이외에 얇은 판자형상으로 슬라이스된 석재를 포함하며, 대형이란 가로세로 각 20cm 이상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타일패널 및 타일부착 벽면의 시공방법을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타일패널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 타일패널(1)은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2)를 타일(3)의 이면에 붙임으로써 일체로 형성되고, 타일(3)은 세로 30cm, 가로 60cm, 두께 12mm의 석재가 채용되어 있다.
플레이트(2)는 스테인레스제로, 상기 타일(3)을 붙이는 영역의 주위에 연결편(4, 4, …)과 세운 편(5, 5 …)을 구비하고 있고, 연결편(4)은 모두 약 4cm의 길이가 있고, 폭은 시공시의 이음매폭이 되는 7mm로 설정되며, 높이는 상기 타일의 두께보다 낮은 약 5mm가 확보되어 있다.
또 상기 연결편(4)은 위 가장자리와 밑가장자리에 타일의 부착범위 밖으로 튀어나오게 형성되고, 그들의 튀어나온 위치는 타일패널(1, 1, …)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좌우에 대하여 모두 일직선이 되도록 나열되거나,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에 대하여 반피치씩 어긋나게 하여 나열되거나의 어느 경우에도 서로 겹치지 않는 위치가 선택되어 있다.
6은 규제블록으로서, 타일(3)의 측면에 밀착한 상태로 상기 연결편(4)에 리벳(7, 7)으로 고정된다.
이 규제블록(6)에는 도 1에 있어서 좌측 밑의 확대부분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리벳 고정용 리벳삽입구멍(8, 8)과 못구멍(9) 및 조정볼트용 나사구멍(10)이, 또 연결편에는 그들 리벳 고정용 리벳삽입구멍(8, 8)과 못구멍(9) 및 조정볼트용 나사구멍(10)에 대응하는 위치에 통과구멍(8a, 8a, 9a, 10a)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나사구멍(10)에는 조정볼트(11)가 나사결합되고, 그들 나사구멍(10)과 조정볼트 (11)에 의하여 들뜸 높이조정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플레이트(2)의 타일(3)이 붙여지는 영역내에는, 잘라낸 창(12, 12)이 형성되고, 그것에 의하여 경량화가 도모되고 있다.
타일(3)의 이면에는 플레이트(2)가 에폭시수지 등의 강력한 접착제로 붙여진다.
또 세운 편(5)에는 핀구멍(13)이 형성되어 있고, 세운 편(5)은 핀(리벳)(14)에 의하여 타일(3)의 측벽에 고정된다(도 5참조).
이 핀(14)에 의하여 세운 편(5)을 타일(3)에 고정함에 있어서는 타일(3)의 측벽에 미리 비스박음용 구멍(15)을 설치하여 둘 필요가 있으나, 석재의 경우는 원반형상의 회전숫돌을 이용하여 반달형상의 슬릿을 깊게 베어내어 형성하고, 그 슬릿에 수지 등을 충전하여 충전한 수지에 구멍을 뚫으면 모체를 파손으로부터 지킬 수 있다.
또한, 일부러 깊게 베어내어 형성한 슬릿에 수지를 충전하기 까지 구멍을 뚫지 않아도,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세운 편의 끝을 안쪽으로 접어구부려, 그 접어구부린부분을 슬릿내로 찔러넣음으로써 고정시켜도 좋다.
대형타일은 특히 도자기제의 경우, 소성과정에서 왜곡이 생기기 쉽고, 그 때문에 기준이 되는 변을 특정하기 어려우나, 상기 플레이트(2)는 타일(3)의 이면에 붙일 경우, 세운 편(5, 5)이 상하의 양 가장자리에 대어지기 때문에, 특히 밑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는 세운 편(5)을 이용하여 타일(3)과의 상호간에 있어서의 위치결정의 기준을 밑 가장자리로 통일할 수 있고, 시공한 경우에 타일의 가장자리가 옆으로 일직선상에 나열하도록 붙일 수 있다.
상기 타일패널을 사용하여 벽면을 시공하려면, 벽면의 밑 가장자리에 수평의 판재를 고정하고, 그 판재의 위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하여 좌측 하단으로부터 붙이기 시작하면 작업성이 좋다.
먼저, 최초로 붙이게 되는 한 장째의 타일패널을 좌측 밑에 위치결정하였으면, 못구멍(9)을 이용하여 벽면에 나사를 박은 못재로서의 나사못(16)으로 가고정한다.
못구멍(9)은 두께가 있는 규제블록(6)에 관통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못구멍 (9)에 삽입한 나사못(16)은 못구멍(9)의 내벽에 의하여 수평으로 유지되고, 나사를 박을 때 드라이버로부터 벗어나 쓰러지는 일이 없고, 좁은 이음매내라도 나사를 박기 쉬워 실패하는 일은 없다.
상기 가고정된 한 장째의 타일패널의 오른쪽 근처에 배치하는 타일패널은, 밑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는 규제블록(6)을 판재의 위 가장자리에 맞닿게 하여 좌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서 상기 가고정되어 있는 한 장째의 타일패널에 근접시켜 이음매 폭에 상당하는 간격이 되면 그곳에서 멈춰 위치결정하고, 마찬가지로 가고정한다.
이후 우방향으로 순서대로 붙여 가, 가장 밑단이 모두 붙여지면, 그 붙이고 난 가장 아래열의 위에 이단째에 붙이는 한 장째의 타일패널을 규제블록(6)이 상기 붙이고 난 한 장째의 타일의 위 가장자리에 맞닿아 좌우방향에 대하여 어긋남이 없도록 위치결정하여 가고정한다.
그리고 그 우측에 순서대로 두장째, 세장째로(가고정상태로)붙이고, 2단째를 모두 붙이고 나면 다시 3단째에 붙이기를 진행한다.
이와 같이 타일패널이 상하방향에 대하여 서로 인접하게 밀착배치되면, 적어도 수평방향의 이음매는 규제블록에 의하여 일정폭으로 통일된다.
또 좌우방향에 대해서는, 위치결정시, 타일의 무게를 이용하여 아래쪽의 타일 열의 위 가장자리를 따라 가볍게 어긋날 수 있으므로, 소정의 이음매 폭간격으로 정렬시키기 쉬워 착오는 거의 생기지 않는다.
더구나 타일이 대형이기 때문에 이러한 효과를 누릴 수 있는 것이다.
타일붙이기의 대상이 되는 벽면은 휘어짐 뿐만아니라 기복도 있기 때문에, 벽면에 강하게 밀착하도록 붙이면 이웃끼리에 배치된 타일 상호간에 약간의 단차가 생기는 일이 있다.
따라서 가고정을 끝낸 시점에서 배열이 고루게 되어 있어도 타일패널을 즉시 본 고정하지않고, 타일면을 균일화하기 위하여 높이조정을 행한다.
규제블록(6)에는 조정볼트(11)가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를 바라봐 가장 가까이 튀어나온 부분을 찾아 내어, 그 높이를 기준면으로 하고, 기준면보다 낮은 부분이 있으면,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조정볼트(11)의 선단을 규제블록(5)의 바닥으로부터 나오게 하고 타일패널(1)을 벽면으로부터 뜨게 하여, 기준면에 맞춘다(도 6참조).
타일면을 균일하게 조정하면 모든 나사못(16)을 강하게 밀어 넣어 확실하게 고정한다.
그 후는 일반의 타일붙이기와 같은 순서 즉, 이음매의 부분을 포함하는 표면에, 이음매재로서의 모르타르를 칠하도록 하여 간극내에 충전하고, 타일의 표면에 남은 모르타르를 닦어내어 마무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타일패널은, 타일의 자중을 이용하여 규제블록을 밑의 타일에 맞닿게 하여 위치결정하고, 타일면을 가볍게 눌러 지탱하면서 나사못으로고정할 뿐의 건식시공이기 때문에 대형타일의 무게가 반대로 도움이 되어 지금까지 실현되어 있지 않은 대형타일의 건식시공이 실현가능해진다.
더구나, 시공면은 초보자와 숙련자가 거의 차이가 없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세로 각각 일열이 되도록 배열(직선 이음매)하였으나, 규제블록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는 반피치씩 어긋나게 배열(분할 이음매)하여도 서로 간섭하지 않는 위치가 선택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패턴에도 적합하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동일크기의 타일을 조합시킬 뿐만 아니라, 대소 2종류의 타일을 조합시킨 병렬쌓기나 직렬쌓기의 패턴에 있어서도 실시가능하다.
또 접착력이 약하여도, 타일의 밑 가장자리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운 편(5)에 확실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성이 뛰어나다.
또한 세운 편(5)은 반드시 상하 양 가장자리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밑 가장자리에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기능한다.
또 규제블록은 서로 겹치지 않으면, 수, 위치, 길이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고, 옆 가장자리에 추가도 가능하나, 적어도 폭은 못재의 머리부 지름이상을 필요로 한다.
타일패널의 붙이기는 못재만으로도 벗겨질 염려는 없으나, 접착제를 병용하거나, 못고정이나 그 밖의 고정수단과 병용하거나, 또는 변경할 수도 있다.
실시예의 타일패널은 조정볼트에 의하여 단차의 부분을 완전하게 없앤 시공을 할 수 있다.
타일패널의 고정에는 나사못 이외에 박음용 못을 이용할 수도 있다.
타일패널은 밑으로부터 위로 붙이면 작업성은 좋으나, 반드시 아래쪽 왼쪽 끝에서부터 시공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아래쪽 오른쪽 끝에서 또는 위에서 밑으로 세로방향의 열을 시공하고, 그것을 가로방향으로 시공하여 가도록 하여도 지장없으며, 판재를 기준으로 붙일 뿐만 아니라, 기둥이나 플로어면을 기준으로 하여 붙일 수도 있다.
또 타일패널은 상기 실시예와 같이 모두를 가고정하고 나서 조정볼트를 이용하여 들뜸 높이를 조정하고자 하면, 가고정하고 있는 나사못을 일단 느슨하게 하지 않으면 안되나, 일일이 타일패널에 대하여 높이조정을 끝내고 나서 붙여 고정하도록 하면 가고정을 생략할 수 있다.
창문의 영역과 겹치거나, 붙이다가 남은 부분이 타일의 크기에 차지 않은 경우는 본 발명의 타일패널을 그대로 사용할 수는 없으나, 절단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타일의 크기, 재질, 사용되는 접착제 등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튀어나온 편이나 규제블록의 형태, 수도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고, 직사각형의 타일에 있어서는, 세로길이로 배치하는 세로붙이기, 가로길이로 배치하는 가로붙이기중 어느 것에도 적용된다.
또 플레이트도 부분적으로 붙이거나, 분할식으로 하거나, 경량화하기 위한 잘라낸 창을 생략하는 등,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적절하게 설계변경하여도 지장없고, 이음매재에는 모르타르 이외에 고무, 수지 등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주목적은, 규제블록에 의하여 이음매의 간격을 규제하여, 그 규제블록에 설치된 못구멍을 이용하여 벽면에 고정시킴으로써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으로, 세운 편을 없애거나, 들뜸 높이조정수단을 생략하고, 가고정없이 한번에 붙이기위치에 고정하여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타일패널에 의하면, 플레이트에 타일을 붙일 경우, 타일을 플레이트에 대하여 정확하게 위치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격차가 없어져 정밀도가 높은 시공을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타일패널을 사용함으로써 규제블록을 인접하는 타일에 맞닿게 한 상태로 배치하면, 상하방향에 대하여 균일한 이음매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의 밑 가장자리에 설치된 세운 편을 타일의 측면에 고정하면, 접착제의 접착력이 약하여도 벗겨져 떨어지는 일은 없다.
또 규제블록에 들뜸 높이조정수단을 설치하면, 균일한 타일면의 형성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벽면의 건식시공방법에 따르면, 지금까지 실현되기에 이르지 못하고 있던 대형타일의 건식시공을 솜씨좋게 작업할 수 있고, 실패는 없다.

Claims (4)

  1. 이면에 플레이트가 접착된 복수매를 상하좌우 서로 인접하게 배치하여 벽면에 시공되는 대형의 타일패널로서, 플레이트에는 적어도 대향하는 두개의 열 가장자리에 서로 중복을 피하도록 위상을 어긋나게 하고, 타일의 두께보다 얇고, 또한 이음매에 상당한 폭의 규제블록을 상기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타일의 붙임 범위 밖으로 튀어나오게 형성된 연결편을 거쳐 밀착상태로 부설하고, 상기 규제체에 못구멍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플레이트의 밑 가장자리에 세운 편을 설치하고, 그 세운 편을 타일의 측면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패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규제블록에 들뜸 높이조정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패널.
  4. 적어도 대향하는 두개의 옆가장자리에,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위상을 어긋나게 하고, 타일의 두께보다 얇고, 또한 이음매에 상당한 폭으로 못구멍을 가지는 규제블록이 상기 플레이트에 타일의 부착 범위 밖으로 튀어나오게 형성된 연결편을 거쳐 부설된 대형의 타일패널을, 인접하는 타일패널의 측면에 규제블록을 접촉시켜 인접하게 배치하고, 상기 못구멍에 삽입한 못재로 고정한 후, 타일사이에 이음매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의 건식시공방법.
KR10-1999-0045030A 1999-02-22 1999-10-18 타일 패널 및 그 타일패널을 사용한 벽면의 건식 시공방법 KR1004479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4332299A JP3194011B2 (ja) 1999-02-22 1999-02-22 タイルパネル及びそのタイルパネルを使用した壁面の乾式施工方法
JP11-43322 1999-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6991A KR20000056991A (ko) 2000-09-15
KR100447961B1 true KR100447961B1 (ko) 2004-09-08

Family

ID=12660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5030A KR100447961B1 (ko) 1999-02-22 1999-10-18 타일 패널 및 그 타일패널을 사용한 벽면의 건식 시공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253513B1 (ko)
JP (1) JP3194011B2 (ko)
KR (1) KR1004479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877B1 (ko) 2011-05-13 2011-12-12 상림건업(주)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시각장애인용 유도블록
KR101091878B1 (ko) 2011-05-13 2011-12-12 상림건업(주)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시각장애인용 유도블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101A (ko) * 2000-10-07 2002-04-16 박헌철 건축용 티엠 판넬의 타일 부착 시공방법과 그 접착제
US6684592B2 (en) * 2001-08-13 2004-02-03 Ron Martin Interlocking floor panels
CZ299432B6 (cs) 2007-05-16 2008-07-23 Smalt Spol. S R. O. Spojení tabulového obkladu s konstrukcí
JP2009256944A (ja) * 2008-04-16 2009-11-05 Vector:Kk タイル、レンガ類壁面取り付け構造
WO2011100135A1 (en) 2010-02-11 2011-08-18 Herman Miller, Inc. Wall mounted assembly
AU2012250738B2 (en) 2011-05-04 2015-08-27 Tandus Flooring, Inc. Modular carpet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380A (en) * 1932-09-26 1935-06-18 Porcelain Tile Corp Tile
US2223721A (en) * 1939-11-01 1940-12-03 Ernstoff Harry Wall construction and wall construction material
GB645479A (en) * 1947-06-06 1950-11-01 Arthur Owen Carter Improvements in wall or floor tiles, slabs or the like
US2997142A (en) * 1958-08-20 1961-08-22 Macotta Company Of Canada Ltd Wall panel
FR2102421A5 (ko) * 1970-08-03 1972-04-07 Ochs Jean
JPS5729755A (en) 1980-07-25 1982-02-17 Marunishi Yuugen Tile with joint and application thereof
US5014488A (en) * 1989-12-06 1991-05-14 Grigoropoulos Evangelos Method for installation of building tiles without adhesive materials and standardized tiles for implementing the same
JPH08333862A (ja) 1995-06-06 1996-12-17 Inax Corp タイル張りサイディング及びリフォー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877B1 (ko) 2011-05-13 2011-12-12 상림건업(주)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시각장애인용 유도블록
KR101091878B1 (ko) 2011-05-13 2011-12-12 상림건업(주)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시각장애인용 유도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240257A (ja) 2000-09-05
KR20000056991A (ko) 2000-09-15
JP3194011B2 (ja) 2001-07-30
US6253513B1 (en) 2001-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7961B1 (ko) 타일 패널 및 그 타일패널을 사용한 벽면의 건식 시공방법
KR102165178B1 (ko) 복합구조재료와 스틸앵글을 이용한 건축용 방수패널
JPH06346568A (ja) プレート部材の取付片
KR100806188B1 (ko) 석재패널 고정장치 및 시공방법
JP3807695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建物の制震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H089306Y2 (ja) タイル張り壁構造
JP4294157B2 (ja) 化粧板の取付構造
US11585100B2 (en) Tiled floor assembly and components
AU2021106901A4 (en) Fixing of battens to a substructure
JP2001173203A (ja) 外壁材の取付構造および外壁材付壁パネル
JPH047304Y2 (ko)
NZ787311A (en) Tiled floor assembly and components
JPH051540Y2 (ko)
JP2705865B2 (ja) 屋根パネル接合部の防水処理方法
JP2004176282A (ja) バルコニー用のデッキ
JPH04286398A (ja) 電波吸収パネルおよびその取付方法
JP3940507B2 (ja) 床梁と床パネルの接合方法
JP3106130U (ja) レンガ貼付用コンクリートパネル
JPH0327147Y2 (ko)
JPH054506Y2 (ko)
JP2603278Y2 (ja) 建物用構造ユニット
JPH061583U (ja) 置床用パネル
JPH0583162U (ja) 床板支持装置
JP2005146593A (ja) 建物の外壁構造および建物の外壁の取り付け方法
JPH04222753A (ja) 壁パネル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