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7574B1 - 터널 내벽면의 패널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터널 내벽면의 패널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7574B1
KR100447574B1 KR10-2002-0015082A KR20020015082A KR100447574B1 KR 100447574 B1 KR100447574 B1 KR 100447574B1 KR 20020015082 A KR20020015082 A KR 20020015082A KR 100447574 B1 KR100447574 B1 KR 100447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rail plate
locking jaw
tunnel
uppe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5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5726A (ko
Inventor
윤성수
Original Assignee
솔라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솔라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솔라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5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7574B1/ko
Publication of KR20030075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5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7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75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14Lining predominantly with metal
    • E21D11/15Plate linings; Laggings, i.e. linings designed for holding back formation material or for transmitting the load to main support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40Devic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or placing units of linings or supporting units for tunnels or gall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7/00Methods or devices for use in mines or tunnels, not covered elsewhe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 내벽면의 패널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패널을 타일이 아닌 칼라강판으로 대체하되, 상기 패널을 터널의 내벽면상에 슬라이딩식으로 끼워 맞춤함에 따라 패널이 터널의 내벽면에 언제든지 분리가 가능한 상태로 부착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칼라강판으로 만들어져 표면이 매끄러운 상태로 일정크기를 갖는 복수개의 패널(2)과, 터널의 내벽면(1) 양측부중 하부에 위치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고정된 하부 레일판(11)과, 상기 하부 레일판의 전면 하부에 직각상태로 절곡 형성되어 하부 레일홈(12)을 일체로 갖는 하부 걸림턱(13)과, 터널의 내벽면(1) 양측부중 하부 레일판(11)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부에 위치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고정된 상부 레일판(14)과, 상기 상부 레일판의 전면 하부에 직각상태로 절곡 형성되어 제1상부 레일홈(15)을 일체로 갖는 제1상부 걸림턱(16)과, 상기 상부 레일판(14)의 전면 상부에 직각상태로 절곡 형성되어 제2상부 레일홈(17)을 일체로 갖는 제2상부 걸림턱(18)과, 상기 각 패널(2)의 후면 하부에 하부 수평편(19a)과 하부 수직편(19b)을 일체로 갖는 상태로 고정되어 하부 레일판(11)에 형성된 하부 레일홈(12)으로 끼워짐과 함께 끼워진 상태에서는 하부 걸림턱(16)에 걸리는 하부 가이드편(19)과, 상기 각 패널(2)의 후면 상부에 상부 수평편(20a)과 하부 수직편(20b)을 일체로 갖는 상태로 고정되어 상부 레일판(14)에 형성된 제1상부 레일홈(15) 및 제2상부 레일홈(17)으로 끼워짐과 함께 끼워진 상태에서는제1상부 걸림턱(16) 및 제2상부 걸림턱(18)에 동시에 걸리는 상부 가이드편(20)과, 상기 상부 레일판(14)의 제2상부 걸림턱(18) 부분중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다수곳에 구비되어 상부 레일판(14)의 제1,2상부 레일홈(15)(17)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1,2상부 걸림턱(16)(18)에 걸려 있는 각 패널(2)의 상부 가이드편(20) 걸림을 선택적으로 해제시켜 줌과 함께 걸림을 해제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패널(2)이 전방쪽으로 기울어지면서 상방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패널 분리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터널 내벽면의 패널 부착장치{device for setting panel of wall in tunnel}
본 발명은 도로 구조물의 하나인 터널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빛을 반사시켜 주기 위해 사용되는 패널을 터널의 내벽면에 간편하게 부착하도록 함과 함께 부착된 상태에서는 필요에 따라 분리도 가능하도록 한 터널 내벽면의 패널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심의 도로나 국도 및 지방도 등에는 도로 구조물의 하나인 터널을 포함하고 있고, 이는 자동차를 운행하는 사람이라면 터널에 대해서는 익히 잘 알고 있는 것이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터널은, 입구 및 출구가 대략 반원 또는 반타원형상을 이루면서 연통된 구조물로서, 그 내벽면(1)중 도로의 폭방향 양측 하부에서 부터 일정 높이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그 표면이 밝은색상이면서 빛의 반사가 가능하도록 매끄러운 상태의 패널(2)이 갖추어져 있는데, 이는 자동차가 도로를 운행하는 과정에서 터널을 지날 때 상기 터널 내부가 대낮이라고 하더라도 외부와는 달리 매우 어두운 상태에 있음에 따라 안전운행을 위해 운전자가 전조등을 켤 경우 또는 내벽면(1)에 설치되어 있는 여러개의 램프(3)가 터널 내부를 비춰주기 위해 점등된 경우 상기 자동차 전조등 및 램프(3)에서 발생된 불빛이 터널의 내벽면(1)에 갖추어져 있는 패널(2)의 매끄러운 부분에서 반사되도록 하기 위함에 있고, 상기 자동차 전조등 및 램프의 불빛이 터널 내벽면(1)의 패널(2)에서 반사될 경우에는 반사되지 않을 경우보다 터널 내부가 훨씬 밝아지게 된다.
따라서 도로 구조물의 하나인 터널의 내벽면(1)에는 기 설명한 바와 같이 도로의 폭방향 양측 하부에서 부터 일정 높이에 해당되는 부분에 그 표면이 매끄러운 직사각형태의 패널(2)이 복수개 갖추어져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터널의 내벽면(1)에 패널(2)이 갖추어지기 위해서는 상기 패널을 터널의 내벽면(1)에 부착하여야 하고, 상기 패널(2)의 부착은 패널 부착장치에 의해 가능해 진다.
그럼 터널 내벽면에 판넬을 부착하는 종래 장치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표면이 매끄러운 타일을 패널(2)로 하여 상기 복수개의 타일을 터널의 내벽면(1)에 모자이크 형태로 직접 접착 고정한 구조인데, 상기 각 패널(2)을 내벽면(1)에 접착 고정할 때에는 본드 및 몰타르를 사용함이 보편적이다.
따라서 터널의 시공 과정에서는 패널(2)인 타일을 본드 및 몰타르를 이용하여 터널의 내벽면(1)에 접착 고정시키면 된다.
한편, 패널(2)인 타일이 내벽면(1)에 고정된 상태로 터널이 시공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터널의 내벽면(1)에는 터널 내부를 비춰주기 위한 램프(3)가 복수개 설치 되는데, 이는 터널의 시공 완료후 도로를 운행하는 자동차가 터널을 통과할 때 자동차의 운전자는 통상 안전운행을 위해 전조등을 켜고 있으므로 상기 자동차의 전조등 및 터널 내의 각 램프(3)에서 발생된 빛이 상기 터널 내부를 밝게 비춰 주도록 하고, 상기 빛중 각 패널(2)의 표면에 부딪히는 빛은 다시 반사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터널 내부가 매우 밝은 상태로 유지되어 안전운행이 가능하도록 함에 있다.
그러나 종래 이와 같은 터널 내벽면의 패널 부착장치는, 작은 크기의 타일을 패널로 사용하여 상기 패널을 본드나 몰타르로서 터널의 내벽면에 접착 고정하므로 결국 패널의 부착에 따른 작업시간이 길어짐과 함께 숙련공이 아니면 쉽게 패널을 부착하는 작업을 실시할 수 없어 터널 시공에 따른 공사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터널의 시공 완료후 차량이 통행하는 과정에서 터널 내부의 사고 등으로 인해 일부 패널이 파손됨에 따라 상기 파손된 타일을 새로운 타일로 교체하는 보수작업을 실시할 때 상기 파손된 타일을 별도의 장비 등을 이용하여 완전히 제거한 다음 새로운 타일로 교체하여야 하고, 이 경우 본드나 몰타르를 사용하여 패널인 타일을 터널의 내벽면에 접착 고정하여야 하므로 이 역시 작업시간이 길어짐과 함께 숙련공을 필요로 함에 따라 터널의 유지 관리에 따른 비용도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터널 시공시에는 물론 터널의 보수 작업시에는 대부분 바깥 차선중 일부 구간을 폐쇄하고 있음에 따라 공사(보수공사 포함)에 걸리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교통의 흐름에 방해가 되고, 공사후 일정시간이 지나야만이 패널인 타일의 고정이 완전하게 이루어 짐에 따라 공사가 끝난 후에도 일정시간 까지는 교통의 흐름을 일부 구간 차단해 놓을 수 밖에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패널을 타일이 칼라강판으로 대체하되, 상기 패널을 터널의 내벽면상에 슬라이딩방식으로 끼워 맞춤함에 따라 패널이 터널의 내벽면에 언제든지 분리가 가능한 상태로 부착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장치에 의해 터널의 내벽면에 패널이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장치에 의해 터널의 내벽면에 패널이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Ⅰ-Ⅰ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장치의 요부 구성요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장치에 의해 터널의 내벽면에 패널이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장치에 의해 터널의 내벽면에 패널이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7은 도 6의 Ⅱ-Ⅱ선 단면도
도 8은 도 7의 Ⅲ-Ⅲ선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내벽면 2. 패널
11. 하부 레일판 12. 하부 레일홈
13. 하부 걸림턱 14. 상부 레일판
15. 제1상부 레일홈 16. 제1상부 걸림턱
17. 제2상부 레일홈 18. 제2상부 걸림턱
19. 하부 가이드편 19a. 하부 수평편
19b. 하부 수직편 20. 상부 가이드편
20a. 상부 수평편 20b. 상부 수직편
21. 록킹편 22. 록킹홈
23. 록킹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형태는, 칼라강판으로 만들어져 표면이 매끄러운 상태로 일정크기를 갖는 복수개의 패널과, 터널의 내벽면 양측부중 하부에 위치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고정된 하부 레일판과, 상기 하부 레일판의 전면 하부에 직각상태로 절곡 형성되어 하부 레일홈을 일체로 갖는 하부 걸림턱과, 터널의 내벽면 양측부중 하부 레일판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부에 위치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고정된 상부 레일판과, 상기 상부 레일판의 전면 하부에 직각상태로 절곡 형성되어 제1상부 레일홈을 일체로 갖는 제1상부 걸림턱과, 상기 상부 레일판의 전면 상부에 직각상태로 절곡 형성되어 제2상부 레일홈을 일체로 갖는 제2상부 걸림턱과, 상기 각 패널의 후면 하부에 하부 수평편과 하부 수직편을 일체로 갖는 상태로 고정되어 하부 레일판에 형성된 하부 레일홈으로 끼워짐과 함께 끼워진 상태에서는 하부 걸림턱에 걸리는 하부 가이드편과, 상기 각 패널의 후면 상부에 상부 수평편과 하부 수직편을 일체로 갖는 상태로 고정되어 상부 레일판에 형성된 제1상부 레일홈 및 제2상부 레일홈으로 끼워짐과 함께 끼워진 상태에서는 제1상부 걸림턱 및 제2상부 걸림턱에 동시에 걸리는 상부 가이드편과, 상기 상부 레일판의 제2상부 걸림턱 부분중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다수곳에 구비되어 상부 레일판의 제1,2상부 레일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1,2상부 걸림턱에 걸려 있는 각 패널의 상부 가이드편 걸림을 선택적으로 해제시켜 줌과 함께 걸림을 해제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패널이 전방쪽으로 기울어지면서 상방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패널 분리수단으로 구성된 터널 내벽면의 패널 부착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4 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 장치의 요부 구성요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장치에 의해 터널의 내벽면에 패널이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장치에 의해 터널의 내벽면에 패널이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Ⅱ-Ⅱ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Ⅲ-Ⅲ선 확대 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칼라강판으로 만들어져 표면이 매끄러운 상태로 일정크기를 갖는 복수개의 패널(2)이 구비되고, 터널의 내벽면(1) 양측부중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고정된 상태로 하부 레일판(11)이 위치되며, 상기 하부 레일판의 전면 하부에는 하부 레일홈(12)을 일체로 갖는 하부 걸림턱(13)이 직각상태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터널의 내벽면(1) 양측부중 하부 레일판(11)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고정된 상태로 상부 레일판(14)이 위치되며, 상기 상부 레일판의 전면 하부에는 제1상부 레일홈(15)을 일체로 갖는 제1상부 걸림턱(16)이 직각상태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상부 레일판(14)의 전면 상부에는 제2상부 레일홈(17)을 일체로 갖는 제2상부 걸림턱(18)이 직각상태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각 패널(2)의 후면 하부에는 하부 수평편(19a)과 하부 수직편(19b)을 일체로 가지며 하부 레일판(11)에 형성된 하부 레일홈(12)으로 끼워짐과 함께 끼워진 상태에서는 하부 걸림턱(13)에 걸리도록 하부 가이드편(19)이 형성되고, 상기 각 패널(2)의 후면 상부에는 상부 수평편(20a)과 상부 수직편(20b)을 일체로 가지며 상부 레일판(14)에 형성된 제1상부 레일홈(15) 및 제2상부 레일홈(17)으로 끼워짐과 함께 끼워진 상태에서는 제1상부 걸림턱(16) 및 제2상부 걸림턱(18)에 동시에 걸리도록 상부 가이드편(20)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레일판(14)의 제2상부 걸림턱(18) 부분중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다수곳에 구비되어 상부 레일판(14)의 제1,2상부 레일홈(15)(17)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1,2상부 걸림턱(16)(18)에 걸려 있는 각 패널(2)의 상부 가이드편(20) 걸림을 선택적으로 해제시켜 줌과 함께 걸림을 해제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패널(2)이 전방쪽으로 기울어지면서 상방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패널 분리수단이 구비된 구조이다.
상기에서 패널 분리수단으로, 상부 레일판(14)에 형성된 제2상부 걸림턱(18)중 특정부분이 패널(2)의 폭보다 약간 더 큰 폭으로 분할되어 그 분할된 부분이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상부 레일판(14)에 형성된 제2상부 걸림턱(18)중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지 않은 상부면에는 그 분할된 양측부분과 근접된 상태로 수평회동가능하게 록킹편(21)이 힌지결합되며, 상기 각 록킹편의 끝단부에는 록킹홈(22)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레일판(14)에 형성된 제2상부 걸림턱(18)중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상부면에는 그 분할된 양측부분과 근접된 상태로 록킹핀(23)이 고정되어 상기 각 록킹편(21)의 회동시 록킹홈(22)으로 록킹핀(23)이 끼워져 들어갈 경우에는 분할된 제2상부 걸림턱 부분이 그 힌지결합점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회동될 수 없도록 함과 함께 록킹홈(22)으로 끼워져 들어간 록킹핀(23)이 상기 록킹홈(22)에서 빠져 나올 경우에는 분할된 상기 제2상부 걸림턱 부분이 그 힌지결합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해 터널의 내벽면(1) 양측으로 패널(2)을 부착하기 위해서는, 일단 상기 터널의 시공 과정에서 내벽면(1) 양측중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 레일판(11)을 고정함과 함께 상기 하부 레일판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부에는 길이방방향을 따라 상부 레일판(14)을 고정하는데, 상기 하부 레일판(11) 및 상부 레일판(14)은 처음부터 터널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 만큼 하나로 일체화될 수는 없으므로 여러개를 그 마주보는 양단이 서로 접촉되게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사용하여야 함은 이해 가능하다.
이와 같이하여 하부 레일판(11)과 상부 레일판(14)이 터널의 내벽면(1) 양측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레일판(14)에 형성된 제2상부 걸림턱(18)중 분할되지 않은 양측부분에 수평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록킹편(21)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수평회동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는 도 4의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편(21)의 끝단부에 형성된 록킹홈(22)으로 상기 제2상부 걸림턱(18)중 분할된 양측부분에 고정된 록킹핀(23)이 끼워져 들어가 있어 상기 제2상부 걸림턱(18)중 분할된 부분은 분할되지 않은 부분에 록킹된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제2상부 걸림턱(18)의 분할된 부분이 그 힌지결합점을 기준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회동될 수 없는 상태에 있게 된다.
이후 하부 레일판(11) 및 상부 레일판(14)의 일측으로 부착하고자 하는 하나의 패널(2)을 위치시킨 다음 상기 패널을 타측인 레일판쪽으로 가볍게 밀어주면, 어느 순간부터 상기 패널(2)의 후면 하부에 형성된 하부 가이드편(19)의 하부 수직편(19b)이 터널 내벽면(1)에 고정된 하부 레일판(11)의 하부 레일홈(12)으로 끼워져 들어감과 함께 패널(2)의 후면 상부에 형성된 상부 가이드편(20)의 상부 수직편(20b)이 터널 내벽면(1)에 고정된 상부 레일판(14)의 제1상부 레일홈(15) 및 제2상부 레일홈(17)으로 동시에 끼워져 들어가므로 결국 패널(2)은 도면상 좌측에서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기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 결국 복수개의 패널(2)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의 내벽면(1)에 부착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각 패널(2)에 형성된 하부 가이드편(19)의 하부 수직편(19b)이 하부 레일판(11)에 형성된 하부 레일홈(12)으로 끼워져 들어감과 함께 상기 각 패널(2)에 형성된 상부 가이드편(20)의 상부 수직편(20b)이 상부 레일판(14)에 형성된 제1상부 레일홈(15) 및 제2상부 레일홈(17)으로 끼워져 들어간 상태에서는 상기패널(2)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 가이드편(19)의 하부 수직편(19b)은 하부 레일판(11)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 걸림턱(13)에 받쳐져 있고, 상기 패널(2)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 가이드편(20)의 상부 수직편(20b)은 상부 레일판(14)에 형성되어 있는 제1상부 걸림턱(16)에 받쳐져 있으므로 상기 패널(2)이 하부로 쳐지는 일은 없게됨은 물론 상기 패널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 가이드편(19)의 하부 수직편(19b)은 하부 레일판(11)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 걸림턱(13)에 걸려 있고, 상기 패널(2)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 가이드편(20)의 상부 수직편(20b)은 상부 레일판(14)에 형성되어 있는 제1상부 걸림턱(16) 및 제2상부 걸림턱(18)에 걸려 있으므로 상기 패널(2)이 전방인 도로쪽으로 이탈되는 일도 없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 장치에 의해 터널의 내벽면(1)으로 패널(2)을 부착한 후 필요에 의해 일부 패널을 새로운 패널로 교체하는 보수공사를 할 경우에는, 상기 상부 레일판(14)에 형성된 제2상부 걸림턱(18)중 분할된 부분의 록킹상태를 일단 해제한 다음 상기 분할된 제2상부 걸림턱 부분을 도면상 반시계방향인 후방쪽으로 회동시켜 상기 제2상부 걸림턱(18)이 패널(2)의 폭보다 약간 더 큰폭으로 개방되게 하고, 그 후로 상기 패널(2)을 앞쪽으로 기울이면서 상방으로 잡아당겨 빼내면 된다.
즉, 상부 레일판(14)의 제2상부 걸림턱(18)중 분할되지 않은 양측부분에 수평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는 록킹편(21)을 도 4의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록킹편(21)의 끝단부에 형성된 록킹홈(22)에서 상기 제2상부 걸림턱(18)중 분할된 양측부분에 고정된 록킹핀(23)이 빠져나오게 되므로 상기 상부 레일판(14)의 제2상부 걸림턱(18)중 분할된 부분의 록킹은 해제된 상태가 되어 상기 분할된 부분의 제2상부 걸림턱이 힌지결합점을 기준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이후 작업자가 상기 제2상부 걸림턱(18)의 분할된 부분을 도 8의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주면 결국 제2상부 걸림턱(18)중 분할된 부분은 패널(2)에 형성된 상부 가이드편(20)의 상부 수직편(20b) 걸림을 더이상 수행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이후 빼내고자 하는 패널(2)의 폭이 상부 레일판(14)의 제2상부 걸림턱(18)중 분할된 부분의 폭 범위내에 들도록 상기 패널(2)을 수평방향으로 위치 이동시킨 다음 계속해서 앞쪽으로 기울이면서 상방으로 잡아당기면 결국 패널은 하부 레일판(11) 및 상부 레일판(14)에서 분리된 상태로 빠져나가게 된다.
한편 교체하고자 하는 패널(2)이 하부 레일판(11) 및 상부 레일판(14)에서 동시에 분리된 상태로 빠져나가게 되면, 새로운 패널을 하부 레일판(11) 및 상부 레일판(14)에 동시에 결합시킨 다음 상기 상부 레일판(14)의 제2상부 걸림턱(18)중 분할된 부분을 다시 도면상 시계방향인 전방으로 회동시켜 분할되지 않은 부분과 록킹되도록 하면 찌그러 졌거나 파손된 패널이 새로운 패널로 깨끗하게 교체되면서 보수공사가 완료 되는데, 상기 과정에서 새로운 패널을 결합하는 과정과 제2상부 걸림턱(18)중 분할된 부분을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분할되지 않은 부분과 록킹하는 과정은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아도 이해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어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서는 각 패널(2)이 횡방향으로 1열을 이루도록 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상기 각 패널(2)이 횡방향으로 다수열을 이루도록 하여도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 터널 내벽면의 패널 부착장치는 넓은 칼라강판을 패널로 사용하여 터널의 내벽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하면 되므로 결국 패널의 부착에 따른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게됨과 함께 숙련공이 아니더라도 누구든지 쉽게 패널을 부착하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되어 터널 시공에 따른 공사비용을 줄일 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터널의 시공 완료후 차량이 통행하는 과정에서 터널 내부의 사고 등으로 인해 패널이 일부 파손됨에 따라 상기 파손된 패널을 새로운 패널로 교체하는 보수작업을 실시할 때 상기 파손된 패널만을 새로운 패널로 신속히 교체하면 되므로 패널의 교체에 따른 터널의 보수시간도 줄일 수 있게됨은 물론 숙련공아닌 일반인이라도 패널의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터널의 유지 관리에 따른 비용도 줄일 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터널의 보수 작업시간 단축으로 인해 차로의 구간 폐쇄시간을 짧게가져갈 수 있음은 물론 보수작업이 끝난 후에는 곧바로 차량의 전구간 안전통행이 가능하게되므로 교통의 흐름에 크게 방해가 되지 않게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칼라강판으로 만들어져 표면이 매끄러운 상태로 일정크기를 갖는 복수개의 패널과,
    터널의 내벽면 양측부중 하부에 위치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고정된 하부 레일판과,
    상기 하부 레일판의 전면 하부에 직각상태로 절곡 형성되어 하부 레일홈을 일체로 갖는 하부 걸림턱과,
    터널의 내벽면 양측부중 하부 레일판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부에 위치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고정된 상부 레일판과,
    상기 상부 레일판의 전면 하부에 직각상태로 절곡 형성되어 제1상부 레일홈을 일체로 갖는 제1상부 걸림턱과,
    상기 상부 레일판의 전면 상부에 직각상태로 절곡 형성되어 제2상부 레일홈을 일체로 갖는 제2상부 걸림턱과,
    상기 각 패널의 후면 하부에 하부 수평편과 하부 수직편을 일체로 갖는 상태로 고정되어 하부 레일판에 형성된 하부 레일홈으로 끼워짐과 함께 끼워진 상태에서는 하부 걸림턱에 걸리는 하부 가이드편과,
    상기 각 패널의 후면 상부에 상부 수평편과 하부 수직편을 일체로 갖는 상태로 고정되어 상부 레일판에 형성된 제1상부 레일홈 및 제2상부 레일홈으로 끼워짐과 함께 끼워진 상태에서는 제1상부 걸림턱 및 제2상부 걸림턱에 동시에 걸리는 상부 가이드편과,
    상기 상부 레일판의 제2상부 걸림턱 부분중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다수곳에 구비되어 상부 레일판의 제1,2상부 레일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1,2상부 걸림턱에 걸려 있는 각 패널의 상부 가이드편 걸림을 선택적으로 해제시켜 줌과 함께 걸림을 해제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패널이 전방쪽으로 기울어지면서 상방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패널 분리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벽면의 패널 부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패널 분리수단으로, 상부 레일판에 형성된 제2상부 걸림턱중 특정부분이 패널의 폭보다 약간 더 큰 폭으로 분할되어 그 분할된 부분이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상부 레일판에 형성된 제2상부 걸림턱중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지 않은 부분의 상부면에는 그 분할된 부분의 양측과 근접된 상태로 수평회동가능하게 록킹편이 힌지결합되며, 상기 각 록킹편의 끝단부에는 록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레일판에 형성된 제2상부 걸림턱중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상부면에는 그 분할된 양측부분과 근접된 상태로 록킹핀이 고정되어 상기 각 록킹편의 회동시 록킹홈으로 록킹핀이 끼워져 들어갈 경우에는 분할된 제2상부 걸림턱 부분이 그 힌지결합점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회동될 수 없도록 함과 함께 록킹홈으로 끼워져 들어간 록킹핀이 상기 록킹홈에서 빠져 나올 경우에는 분할된 상기 제2상부 걸림턱 부분이 그 힌지결합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벽면의 패널 부착장치.
KR10-2002-0015082A 2002-03-20 2002-03-20 터널 내벽면의 패널 부착장치 KR100447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5082A KR100447574B1 (ko) 2002-03-20 2002-03-20 터널 내벽면의 패널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5082A KR100447574B1 (ko) 2002-03-20 2002-03-20 터널 내벽면의 패널 부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5726A KR20030075726A (ko) 2003-09-26
KR100447574B1 true KR100447574B1 (ko) 2004-09-08

Family

ID=32225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5082A KR100447574B1 (ko) 2002-03-20 2002-03-20 터널 내벽면의 패널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75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958B1 (ko) 2021-12-17 2022-03-23 신성컨트롤(주) 미세 타공을 이용하여 흡음 성능이 구비된 터널 및 지하차도용 볼트리스 타입 불연 내장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575B1 (ko) * 2002-03-20 2004-09-08 솔라텍 주식회사 터널 내벽면의 패널 부착장치
NO338154B1 (no) * 2014-11-19 2016-08-01 Vik Oersta As Infrastruktursystem for kantdrager til veitrafikktunnel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78326A1 (de) * 1987-02-04 1988-08-17 Bitra AG Befestigungseinrichtung für Verkleidungsplatten
JPH0356355A (ja) * 1989-07-20 1991-03-11 Ricoh Co Ltd 記録装置の用紙カール矯正機構
US5046893A (en) * 1988-12-29 1991-09-10 Arsenio Borgnini Panel with a fretted transversal section, to be mounted longitudinally as a covering for the inside walls of road tunnels
JPH07158391A (ja) * 1993-12-10 1995-06-20 Nippon Kokan Raito Steel Kk トンネル用内装パネル
JPH1025711A (ja) * 1996-07-12 1998-01-27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トンネル内壁用吸音パネルの取付け構造及びセラミック吸音パネル
KR200279267Y1 (ko) * 2002-03-15 2002-06-24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도로 터널 내부에서의 차량소음 흡수구조
KR20030075727A (ko) * 2002-03-20 2003-09-26 솔라텍 주식회사 터널 내벽면의 패널 부착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78326A1 (de) * 1987-02-04 1988-08-17 Bitra AG Befestigungseinrichtung für Verkleidungsplatten
US5046893A (en) * 1988-12-29 1991-09-10 Arsenio Borgnini Panel with a fretted transversal section, to be mounted longitudinally as a covering for the inside walls of road tunnels
JPH0356355A (ja) * 1989-07-20 1991-03-11 Ricoh Co Ltd 記録装置の用紙カール矯正機構
JPH07158391A (ja) * 1993-12-10 1995-06-20 Nippon Kokan Raito Steel Kk トンネル用内装パネル
JPH1025711A (ja) * 1996-07-12 1998-01-27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トンネル内壁用吸音パネルの取付け構造及びセラミック吸音パネル
KR200279267Y1 (ko) * 2002-03-15 2002-06-24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도로 터널 내부에서의 차량소음 흡수구조
KR20030075727A (ko) * 2002-03-20 2003-09-26 솔라텍 주식회사 터널 내벽면의 패널 부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958B1 (ko) 2021-12-17 2022-03-23 신성컨트롤(주) 미세 타공을 이용하여 흡음 성능이 구비된 터널 및 지하차도용 볼트리스 타입 불연 내장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5726A (ko) 200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65974B1 (de) Fahrzeug mit beleuchtungsvorrichtung mit einer längsförmigen beleuchtungseinrichtung
DE102017007847A1 (de)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KR100447574B1 (ko) 터널 내벽면의 패널 부착장치
KR100447575B1 (ko) 터널 내벽면의 패널 부착장치
KR20070113824A (ko) 차량용 싸인보드
DE102005008634A1 (de) Fahrzeugleuchte mit seitlicher Lichtabstrahlung
DE19606540A1 (de) Sicherheits- und Komfortbeleuchtung für Kraftfahrzeuge
KR102487281B1 (ko) 속도연동형 터널 시선유도등
EP2597198A1 (de) Fahrzeugschranke
KR200278721Y1 (ko) 터널 내벽의 반사부 구조
DE19826288B4 (de) Simulationsanordnung für Kraftfahrzeugunfälle und Verfahren zur Simulation von Kraftfahrzeugunfällen
KR102376958B1 (ko) 미세 타공을 이용하여 흡음 성능이 구비된 터널 및 지하차도용 볼트리스 타입 불연 내장 패널
DE102006007884B4 (de) Leuchtenanordnung an einem Kraftfahrzeug-Außenspiegel
US1871629A (en) Headlight
DE10144344A1 (de) Kraftfahrzeugtür
KR102260837B1 (ko) 횡단보도용 안전장치
KR100583383B1 (ko) 안개등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에이치아이디램프
KR200410193Y1 (ko) 교통신호기용 신호전환시간 표시장치
DE102007030532A1 (de) Innenspiegel für einen Kraftwagen
DE10306397A1 (de) Beleuchtungseinrichtung für den Motorraum eines Fahrzeugs
US1709437A (en) Antiglare shield
KR200230989Y1 (ko) 패널결합장치
KR0122533Y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하우징 설치구조
US2432977A (en) Highway light
DE102009041560A1 (de) LED-Flachleuchte für ein Kraftfahrzeug, Ausleuchtungsanordnung und Parkassistenz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