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193Y1 - 교통신호기용 신호전환시간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교통신호기용 신호전환시간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193Y1
KR200410193Y1 KR2020050034731U KR20050034731U KR200410193Y1 KR 200410193 Y1 KR200410193 Y1 KR 200410193Y1 KR 2020050034731 U KR2020050034731 U KR 2020050034731U KR 20050034731 U KR20050034731 U KR 20050034731U KR 200410193 Y1 KR200410193 Y1 KR 2004101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housing
emitting diodes
light emitting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47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스이십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스이십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스이십일
Priority to KR20200500347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1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1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1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provided with indicators in which a mark progresses showing the time elapsed, e.g. of green phas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등화에 의한 교통신호의 전환시점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하는 교통신호기용 신호전환시간 표시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교통신호기는 잔여시간 표시등과 제어기로 구성된다. 잔여시간 표시등은 신호등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는 기판에 숫자를 표시할 수 있도록 배열되어 있는 발광다이오들과, 기판에 장착되어 발광다이오들의 점멸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와, 하우징의 전면 가장자리에 장착되어 있으며 발광다이오드들의 빛이 수평 이하의 전방으로 향하도록 하우징의 상방과 양측방을 둘러싸는 갓으로 구성된다. 제어기는 신호등의 등화에 의한 교통신호의 전환시점까지 남아 있는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되는 잔여시간이 설정되어 있는 시간에 도달되면 발광다이오드들의 점멸에 의하여 잔여시간을 표시할 수 있도록 마이크로컴퓨터를 제어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신호등의 등화와 연계되어 잔여시간 표시등에 교통신호의 전환시점까지 남은 시간이 표시되므로, 운전자는 등화의 전환시점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대처하여 차량을 안전하고 원활하게 운전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상방과 양측방을 둘러싸는 갓에 의하여 인공적인 야간 조명이 동식물에 영향을 주는 광공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운전자가 하우징의 전방에서 발광다이오드들의 빛을 보다 선명하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교통신호기용 신호전환시간 표시장치{DEVICE FOR DISPLAYING CHANGEOVER POINT OF TRAFFIC SIGNAL}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교통신호기용 신호전환시간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신호전환시간 표시장치에서 잔여시간 표시등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신호전환시간 표시장치의 잔여시간 표시등에서 발광다이오드의 배열에 의한 7세그먼트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신호전환시간 표시장치의 잔여시간 표시등에 의하여 잔여시간의 표시상태를 일례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교통신호기 12: 지주
16: 차량등 20: 제어기
30: 잔여시간 표시등 32: 하우징
34: 발광다이오드 36a∼36g: 7세그먼트
38: 기판 40: 마이크로컴퓨터
42: 표시패널 44: 투광창
46: 갓
본 고안은 교통신호기용 신호전환시간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등화에 의한 교통신호의 전환시점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하는 교통신호기용 신호전환시간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로의 교차로, 횡단보도 등에는 운전자와 보행자 등 도로 이용자의 안전을 위하여 교통신호기와 도로표지가 설치되어 있다. 교통신호기는 도로교통에 관하여 문자, 기호, 등화로서 진행, 정지, 방향전환, 주의 등의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이다. 즉, 교통신호기는 서로 교차하는 교통류에 대하여 번갈아 교호통행권을 주고, 교통수요에 대응한 시간비율의 조절로서 질서 있는 교통소통이 되도록 하기 위한 시설이라 할 수 있다.
한편, 교통신호기는 신호등, 지주, 제어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호등은 녹색·황색·적색·녹색화살표시의 등화로 구분하고 있다. 녹색등화시 차량은 직진할 수 있으며, 다른 교통에 주의하며 우회전할 수 있다. 황색등화시 차량은 교차로에 진입 전 정지선에 정지해야 하고, 이미 교차로에 진입한 경우에는 신속히 교차로 밖으로 진행해야 한다. 적색등화시 차량은 정지선에 정지해야 하며, 녹색 화살표시의 등화시에는 녹색화살표 방향으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교통신호기의 등화에 의하여 표시되는 교통신호에 따라 운전자는 차량의 진행, 정지, 방향전환 등을 정확하게 수행해야만 안전하고 질서 있는 교통소통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운전자가 교차로 등에서 교통신호를 위반하여 차량을 운행할 경우, 이는 교통정체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차량 및 보행자와의 충돌사고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의 교통신호기에 있어서는, 정지선에 정지되어 있는 차량의 운전자는 교통신호의 전환시점까지의 잔여시간을 전혀 알 수 없었기 때문에 교통신호기를 주시하고 있다가 등화가 바뀔 때 신속하게 차량을 운전하여야만 했다. 이때, 운전자가 등화의 전환시점을 미리 예측하여 차량을 운전하거나 사소한 실수로 인하여 차량의 소통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충돌사고를 일으키는 경우도 있었다.
즉, 운전자가 자기에게 주어지는 교통신호가 바뀌기 전에 차량을 교차로에 진입시키거나 교통신호가 바뀐 뒤에 출발을 늦게 할 경우 차량의 원활한 소통을 저해하여 교통정체를 발생시키고, 차량의 충돌사고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운전자가 정확하게 차량을 운행할 수 있도록 등화에 의한 교통신호의 전환시점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하는 교통신호기용 신호전환시간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운전자가 등화의 전환시점을 정확하게 인지하여 차량 을 안전하고 원활하게 운전할 수 있게 표시하는 교통신호기용 신호전환시간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하우징의 상방과 양측방을 둘러싸는 갓에 의하여 발광다이오드들의 빛을 수평 이하의 전방으로 향하도록 차단함으로써, 인공적인 야간 조명이 동식물에 영향을 주는 광공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운전자가 하우징의 전방에서 발광다이오드들의 빛을 보다 선명하게 식별할 수 있는 교통신호기용 신호전환시간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적어도 적색 및 녹색 신호등의 등화에 의하여 교통신호를 전환하는 교통신호기에 있어서, 신호등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는 기판에 숫자를 표시할 수 있도록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들과, 기판에 장착되어 발광다이오들의 점멸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와, 하우징의 전면 가장자리에 장착되어 있으며 발광다이오드들의 빛이 수평 이하의 전방으로 향하도록 하우징의 상방과 양측방을 둘러싸는 갓을 갖는 잔여시간 표시등과; 신호등의 등화에 의한 교통신호의 전환시점까지 남아 있는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되는 잔여시간이 설정되어 있는 시간에 도달되면 발광다이오드들의 점멸에 의하여 잔여시간을 표시할 수 있도록 마이크로컴퓨터를 제어하는 제어기로 이루어지는 교통신호기용 신호전환시간 표시장치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교통신호기용 신호전환시간 표시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에는 본 고안의 교통신호기용 신호전환시간 표시장치가 적용된 교통신호기의 일례로 교차로에 설치되어 있는 측주식 횡형 교통신호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측주식 횡형 교통신호기(10)는 도로에 세워지는 지주(12)와, 지주(12)의 상부에 횡으로 장착되어 있는 고정대(14)와, 고정대(14)에 횡으로 장착되어 있는 차량등(16)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차량등(16)은 하우징(18)의 전면에 좌로부터 횡으로 적색, 황색, 녹색화살표 및 녹색 신호등(16a, 16b, 16c, 16d)이 배열되어 있는 4등화색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차량등(16)의 등화는 제어기(20)에 의하여 제어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교통신호기(10)는 측주식 횡형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신호전환시간 표시장치는 현수식, 측주식 종형, 중앙주식, 문형식 등 다양한 교통신호기에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2등화색과 3등화색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신호전환시간 표시장치는 차량등(16)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는 잔여시간 표시등(30)을 구비하며, 잔여시간 표시등(30)은 운전자에게 등화의 전환시점까지 남아 있는 시간을 숫자로 표시한다. 잔여시간 표시등(30)의 하우징(32)은 차량등(16)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고정대(14)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잔여시간 표시등(30)의 하우징(32)은 차량등(16)의 하우징(18)과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에 잔여시간 표시등(30)은 고정대(14)의 자유단에 차량등(16)과 근접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잔여시간 표시등(30)은 지주(12)에 근접하도록 지주(12)와 차량등(16) 사이의 고정대(14)에 장착하거나 운전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위치이면 구 애받지 않고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신호전환시간 표시장치는 차량등(16)에 적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횡단보도 등의 보행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32)의 전면에 다수의 발광다이오드(34)들이 0에서 9까지의 숫자를 표시할 수 있는 7세그먼트(Segment: 36a∼36g)들을 구성하도록 직렬과 병렬로 배열되어 있다. 발광다이오드(34)들은 하우징(32)에 내장되어 있는 기판(38)에 장착되어 있고, 기판(38)에는 발광다이오드(34)들의 점멸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40)가 장착되어 있다.
발광다이오드(34)들의 전방에는 7세그먼트(36a∼36g)들의 표시를 위한 7개의 투광창(44)들을 갖는 표시패널(42)이 장착되어 있다. 표시패널(42)의 투광창(44)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발광다이오드(34)의 빛을 차단할 수 있도록 불투광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표시패널(42)은 불투광 소재로 제작하고, 투광창(44)들은 구멍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발광다이오드(34)들은 적색 또는 청색 발광다이오드로 구성한다. 또한, 표시패널(42)은 투광 소재로 제작하고, 투광창(44)들을 제외한 나머지 불투광 영역은 불투광성 물질을 코팅하거나 필름을 부착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42)은 투광 소재로 제작하고, 발광다이오드(34)들은 적색 또는 청색 발광다이오드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는 잔여시간 표시등(30)의 발광다이오드(34)들이 단일의 모듈(Module)로 구성되어 한 자리의 숫자를 표시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모듈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증가시켜 예를 들어 두 자리의 숫자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잔여시간 표시등(30)의 마이크로컴퓨터(40)는 교통신호기(10)의 제어기(20)에 의하여 차량등(16)의 등화와 연계하여 발광다이오드(34)들의 점멸을 제어한다.
도 1 내지 도 5를 모두 참조하면, 하우징(32)의 전면 가장자리에는 발광다이오드(34)들의 빛이 수평 이하의 전방으로 향하도록 하우징(32)의 상방과 양측방을 둘러싸는 갓(46)이 장착되어 있으며, 갓(46)의 하부는 개방되어 있다. 갓(46)은 발광다이오드(34)들의 빛을 수평 이하의 전방으로 향하도록 차단함으로써, 인공적인 야간 조명이 동식물에 영향을 주는 광공해(光公害, Light pollution) 또는 광해(光害)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운전자는 하우징(32)의 전방에서 발광다이오드(34)들의 빛을 보다 선명하게 식별할 수 있다. 도 3에는 갓(46)의 양측면은 그 면적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교통신호기용 신호전환시간 표시장치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제어기(20)는 차량등(16)의 적색, 황색, 녹색화살표 및 녹색 신호등(16a, 16b, 16c, 16d) 중, 예를 들어 적색 신호등(16a)의 점등되어 있는 경우, 제어기(20)는 적색 신호등(16a)이 소등될 때까지의 잔여시간, 즉 교통신호의 전환시점까지 남은 시간을 산출한다.
다음으로, 제어기(20)는 교통신호의 전환시점까지 남은 시간이 설정되어 있 는 시간, 예들 들어 잔여시간이 5초로 판단되면 마이크로컴퓨터(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입력한다. 마이크로컴퓨터(40)는 제어기(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5에서 0까지의 숫자가 1초마다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발광다이오드(34)들의 점멸을 제어한다. 도 5에는 잔여시간 표시등(30)의 발광다이오드(34)들 중 일부가 점등되어 5초의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상태가 일례로 도시되어 있으며, 7세그먼트(36a∼36g)들 중 발광다이오드(34)들이 점등되어 있는 것은 흑색으로 나타냈다.
이와 같이 발광다이오드(34)들의 점멸에 의하여 차량등(16)의 등화와 연계하여 잔여시간 표시등(30)에 교통신호의 전환시점까지 남은 시간이 표시되므로, 운전자는 등화의 전환시점을 정확하게 인지하여 차량을 안전하고 원활하게 운전할 수 있다. 이 결과, 운전자가 자기에게 주어지는 교통신호가 바뀌기 전에 차량을 교차로에 진입시키거나 교통신호가 바뀐 뒤에 출발을 늦게 하는 경우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원활한 소통과 충돌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32)의 전면 가장자리에 장착되어 있는 갓(46)은 발광다이오드(34)들의 빛이 수평 이하의 전방으로 향하도록 하우징(32)의 상방과 양측방을 차단하여 인공적인 야간 조명이 동식물에 영향을 주는 광공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운전자는 발광다이오드(34)들의 빛과 차량의 전조등에서 비치는 빛, 가로등의 빛 등과 간섭이 최소화되어 하우징(32)의 전방에서 발광다이오드(34)들의 빛을 보다 선명하게 식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등록청구범위내 에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교통신호기용 신호전환시간 표시장치에 의하면, 신호등의 등화와 연계되어 잔여시간 표시등에 교통신호의 전환시점까지 남은 시간이 표시되므로, 운전자는 등화의 전환시점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대처하여 차량을 안전하고 원활하게 운전할 수 있다. 이 결과, 교차로 등에서 운전자의 편의를 제고할 수 있으며, 차량의 원활한 소통과 교통사고의 예방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의 상방과 양측방을 둘러싸는 갓에 의하여 발광다이오드들의 빛을 수평 이하의 전방으로 향하도록 차단함으로써, 인공적인 야간 조명이 동식물에 영향을 주는 광공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운전자가 하우징의 전방에서 발광다이오드들의 빛을 보다 선명하게 식별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적어도 적색 및 녹색 신호등의 등화에 의하여 교통신호를 전환하는 교통신호기에 있어서,
    상기 신호등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는 기판에 숫자를 표시할 수 있도록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들과, 상기 기판에 장착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들의 점멸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와, 상기 하우징의 전면 가장자리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발광다이오드들의 빛이 수평 이하의 전방으로 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방과 양측방을 둘러싸는 갓을 갖는 잔여시간 표시등과;
    상기 신호등의 등화에 의한 교통신호의 전환시점까지 남아 있는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되는 잔여시간이 설정되어 있는 시간에 도달되면 상기 발광다이오드들의 점멸에 의하여 잔여시간을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를 제어하는 제어기로 이루어지는 교통신호기용 신호전환시간 표시장치.
KR2020050034731U 2005-12-09 2005-12-09 교통신호기용 신호전환시간 표시장치 KR2004101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731U KR200410193Y1 (ko) 2005-12-09 2005-12-09 교통신호기용 신호전환시간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731U KR200410193Y1 (ko) 2005-12-09 2005-12-09 교통신호기용 신호전환시간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193Y1 true KR200410193Y1 (ko) 2006-03-07

Family

ID=41760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4731U KR200410193Y1 (ko) 2005-12-09 2005-12-09 교통신호기용 신호전환시간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19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0662B1 (ko) 신호등과 연동하는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
KR200446856Y1 (ko) 교통신호 시스템
KR20130066794A (ko) 횡단보도용 지능형 안전사고 방지장치
KR20090028878A (ko) 어린이보호구역 다기능 통합표지판
KR101919981B1 (ko) 주간 식별이 용이한 면발광 횡단보도
KR20200089829A (ko) 가변구간 설치용 차선 변환시스템
KR101939632B1 (ko) 도로표지병 및 그것을 이용한 도로 방향유도시스템
KR100977609B1 (ko) 중앙분리대의 엘이디 제어방법
KR20190110760A (ko) 횡단보도 교통안전시스템
KR200410193Y1 (ko) 교통신호기용 신호전환시간 표시장치
KR101713157B1 (ko) 횡단보도 표시장치
JP6257505B2 (ja) 車両誘導装置
KR200397884Y1 (ko) 교통신호기용 신호전환시간 표시장치
KR20080005409U (ko) 원통형의 전방향 식별 횡단보도 신호등
KR20160093154A (ko) Led등을 이용한 교차로 주행안내 시스템
KR200299276Y1 (ko) 볼라드
KR200425808Y1 (ko) 다기능복합신호등
KR200340119Y1 (ko) 자동차용 교통 신호등
KR101412035B1 (ko) 조명 장치
KR200413338Y1 (ko) 멀티칼라 잔여시간 표시 신호등
KR101489438B1 (ko) 표지판을 이용한 교차로의 스마트 제어 시스템
KR200393989Y1 (ko) 엘이디를 이용한 시선안내 유도램프용 통신 제어장치
KR100530956B1 (ko) 횡단보도 경고 및 조명장치
KR19990084157A (ko) 도로교통 신호등의 교체시간 확인용 표식장치
JP4182478B2 (ja) 交差点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