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7348B1 - 전자밸브용 솔레노이드 - Google Patents

전자밸브용 솔레노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7348B1
KR100447348B1 KR10-2002-0047468A KR20020047468A KR100447348B1 KR 100447348 B1 KR100447348 B1 KR 100447348B1 KR 20020047468 A KR20020047468 A KR 20020047468A KR 100447348 B1 KR100447348 B1 KR 100447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noid
iron core
magnetic
case
ski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7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5138A (ko
Inventor
사토히데하루
아소요시오
요시무라신이치
마츠모토타쿠미
Original Assignee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5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7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73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전자밸브용 솔레노이드에 있어서의 자성체케이스가 보빈의 측면을 둘러싸는 통형상의 스커트부와, 상기 보빈의 축선방향의 일단면을 덮는 캡부를 가지고 있고, 이들 스커트부와 캡부가 각각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커트부의 축선방향의 일단에 캡부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자성체케이스가 조립되어 있다.

Description

전자밸브용 솔레노이드{SOLENOID FOR ELECTROMAGNETIC VALVE}
본 발명은 전자밸브에 부착해서 유로전환용 밸브부재를 구동하는 전자밸브용 솔레노이드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이 앞서 제안한 전자밸브(50)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로전환용의 도시하지 않은 밸브부재가 내부에 설치된 밸브부(51)와, 이 밸브부(51)에 연결되어 상기 밸브부재를 구동하는 솔레노이드부(52)로 이루어지며, 상기 밸브부(51)의 밸브부재는 푸시로드(60)에 밀려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부(52)는, 밸브부(51)가 연결되는 개구를 일단에 구비한 통형상의 자성체케이스(53)내에, 코일(54)이 외주에 감겨진 보빈(55)과, 상기 자성체케이스(53)의 개구단측에 부착된 자성체플레이트(59)와, 상기 자성체플레이트(59) 및 보빈(55)의 중심구멍내에 삽입된 고정철심(56) 및 가동철심(58)과, 상기 가동철심(58)을 고정철심(56)으로부터 이간해서 상기 푸시로드(59)를 압압하는 방향으로미는 복귀스프링(57)을 조립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부(52)의 코일(54)에 통전하면, 도 4의 우반부에 나타내듯이, 가동철심(58)이 고정철심(56)에 흡착되어 후퇴함으로써 상기 푸시로드(59)의 압압을 해제하고, 코일(54)을 비통전으로 하면, 도 4의 좌반부에 나타내듯이, 상기 가동철심(58)이 복귀스프링(57)의 가압력에 의해 고정철심(56)으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푸시로드(59)를 압압하고, 그것에 연동해서 상기 밸브부재가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자성체케이스(53)는 일반적으로 보빈(55)의 측면을 둘러싸는 통형상의 스커트부(53a)와, 상기 스커트부(53a)의 일단을 덮는 캡부(53b)를 가지고 있고, 이들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이들 스커트부(53a)와 캡부(53b)가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전개된 것을 기판으로부터 빼내고, 그것을 소정의 형상으로 절곡해서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상기 스커트부(53a)와 캡부(53b)가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전개된 것은 형상이 복잡하므로, 펀칭시에 재료의 낭비가 많아 진다. 또, 펀칭후에 절곡해서 조립할 때에도 복수방향으로 절곡해서 대향단끼리를 접합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작업공수가 많아져서 비용도 든다.
한편, 상기 자성체케이스가 원통형을 이루고 있는 경우에는, 자성기판을 디프드로잉가공함으로써 이 자성체케이스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가공을 행하는 경우에는, 펀칭가공하는 경우와 같은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그러나, 비원통형의 자성체케이스의 경우에는 디프드로잉에 의한 가공이 곤란하다. 예를 들면, 솔레노이드의 성능을 개선하는 등의 목적으로 가동철심이나 고정철심의 단면형상을 타원형으로 형성하면, 코일이 감겨진 보빈의 단면형상도 타원형으로 되므로, 자성체케이스도 그것에 맞춰 직사각형 등의 단면형상으로 하지 않으면 안되지만, 이러한 형상의 자성체케이스를 디프드로잉가공으로 형성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자밸브용 솔레노이드에 있어서의 자성체케이스를 그 단면형상이 원형인 경우이어도, 직사각형 등의 비원형인 경우이어도 재료의 낭비가 생기지 않고, 또한 적은 작업공수에 의해 저비용으로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밸브용 솔레노이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전자밸브에 부착한 상태의 종단면도이며, 그 좌반부는 솔레노이드로의 비통전상태를 나타내며, 우반부는 솔레노이드로의 통전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도 1의 솔레노이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솔레노이드를 다른 위치에서 파단해서 나타낸 종단면도로, 그 좌반부는 솔레노이드로의 비통전상태를 나타내며, 우반부는 솔레노이드로의 통전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도 3의 솔레노이드에 있어서의 단자의 위치를 변경한 상태를 나타낸 변형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밸브용 솔레노이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그 좌반부는 솔레노이드로의 비통전상태를 나타내며, 우반부는 솔레노이드로의 통전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밸브용 솔레노이드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그 좌반부는 솔레노이드로의 비통전상태를 나타내며, 우반부는 솔레노이드로의 통전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종래의 전자밸브의 부분종단면도로, 그 좌반부는 솔레노이드로의 비통전상태를 나타내며, 우반부는 솔레노이드로의 통전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밸브에 부착되어 유로전환용 밸브부재를 구동하는 솔레노이드가 제공된다. 그리고 이 솔레노이드는 축선방향으로 연장하는 철심구멍을 중앙에 가지며, 또한 외주에 코일이 감겨져 있는 보빈; 이 보빈의 측면을 둘러싸는 통형상의 스커트부와, 상기 보빈의 축선방향의 일단면을 덮는 캡부를 갖는 자성체케이스; 상기 보빈의 타단면측에서 상기 자성체케이스의 내부에 연결된 환형의 자성체플레이트; 상기 보빈과 자성체플레이트의 중심에 위치하는 철심구멍내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된 가동철심; 이 가동철심을 흡착하는 고정자극부재; 상기 가동철심을 고정자극부재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미는 복귀스프링을 가지고 있고, 상기 자성체케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스커트부와 캡부가 각각 개별로 형성되어있고, 상기 스커트부의 축선방향의 일단에 캡부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자성체케이스가 조립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자성체케이스의 스커트부와 캡부를 개별로 형성하고, 상기 스커트부의 일단에 캡부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자성체케이스를 조립하도록 했기 때문에 어떠한 단면형상의 자성체케이스이어도 그것을 전개한 형으로 펀칭해서 조립하는 종래의 방법에 비해, 재료의 낭비를 발생시키지 않고, 또한 적은 작업공수에 의해 저비용으로 간단하게 그것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성체케이스에 있어서의 캡부의 두께가 스커트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이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자성체케이스의 캡부가 상기 스커트부의 내측형상 및 내측치수와 같은 형상 및 치수의 끼워맞춤부를 가지고 있고, 이 끼워맞춤부를 상기 스커트부의 단부에 끼워맞춤으로써, 이들 스커트부와 캡부를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철심구멍 및 가동철심의 단면형상으 타원형으로 함과 아울러, 상기 자성체케이스의 외형형상을 직사각형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자성체케이스의 캡부와 상기 고정자극부재가 서로 별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이들이 용접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고, 또한 상기 고정자극부재가 철심구멍내에 끼워맞춰져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자성체케이스의 캡부와 고정자극부재가 동일소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고정자극부재가 철심구멍내에 끼워맞춰져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자성체케이스의 캡부가 상기 고정자극부재를 겸하고 있고, 상기 철심구멍을 덮는 부분에 가동철심흡착용 자극면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밸브용 솔레노이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솔레노이드를 3포트식 전자밸브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 전자밸브는 유로전환용 밸브부재(18)를 내장한 밸브부(1)와, 상기 밸브부재(18)를 구동하는 상기 솔레노이드(2A)를 가지고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2A)는 자성체케이스(3)를 구비하고 있다. 이 자성체케이스(3)는 직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통형상의 스커트부(4)와, 상기 스커트부(4)의 축선방향의 일단을 막는 직사각형의 캡부(5)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커트부(4)는 도 2에서도 알 수 있듯이, 직사각형의 자성플레이트를 각통형으로 절곡해서, 그 양단부를 일측면의 중간의 접합부(4a)의 위치에서 서로 접촉시키고, 용접 등의 수단으로 서로 고착한 것으로 축선방향의 양단부에 개방하는 제1단(4b)과 제2단(4c)을 가지고 있다.
또, 상기 캡부(5)는 상기 스커트부(4)를 형성하는 자성플레이트보다 두께가 두꺼운 자성플레이트를 소재로 해서, 상기 스커트부(4)의 단면형상과 동형 및 동치수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캡부(5)의 외주에는 상기 스커트부(4)의 두께와 동일정도의 높이를 갖는 단차부(5a)가 형성되어 있고, 이 단차부(5a)로 둘러싸여진 부분이 상기 스커트부(4)의 내측형상 및 내측치수와 같은 형상 및 치수를 갖는 끼워맞춤부(5b)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끼워맞춤부(5b)를 상기 스커트부(4)의 제1단(4b)에 끼워넣어 고정함으로써, 상기 자성체케이스(3)가 조립되어 있다. 상기 스커트부(4)와 캡부(5)의 고정은 상기 끼워맞춤부(5b)를 스커트부(4)내에 밀접하게 압입함으로써 이러한 끼워맞춤력을 이용해도 용접이나 납땜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해도 좋다.
이와 같이, 자성체케이스(3)의 스커트부(4)와 캡부(5)를 각각 개별로 형성하고, 상기 스커트부(4)의 일단에 캡부(5)를 결합함으로서 상기 자성체케이스(3)를조립함으로써, 어떠한 단면형상의 자성체케이스이어도, 이것을 전개한 형태로 펀칭해서 조립하는 종래의 방법에 비해, 재료의 낭비를 발생시키지 않고, 또한 적은 작업공수에 의해, 저비용으로 간단하게 그것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자성체케이스(3)의 내부에는 타원형의 철심구멍(9a)을 중앙에 가지며 또한 외주에 코일(8)이 감겨져 있는 비자성체로 된 보빈(9)과, 이 보빈(9)의 끝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자성체케이스(3)의 내면에 연결, 고정된 자성체플레이트(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자성체플레이트(10)도 타원형의 철심구멍(10a)을 가지고 있고, 상기 보빈(9)의 철심구멍(9a)과 자성체플레이트(10)의 철심구멍(10a)은 동축상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들 철심구멍(9a,10a)의 내부에 타원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고정철심(6)과 가동철심(7)이 수용되어 있다.
상기 보빈(9)은 상기 코일(8)이 감겨진 통부(9b)와, 상기 통부(9b)의 축방향의 양단에 일체로 설치된 플랜지부(9c,9d)를 가지며, 이들 플랜지부(9c,9d)에는 상기 철심구멍(9a)을 둘러싸도록 시일부재(12,1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밸브부(1)측에 위치하는 플랜지부(9d)에는 도 2 및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코일(8)에 도통하기 위한 급전용 단자(11)가 자성체플레이트(10)의 노치부(10c)를 관통해서 밸브부(1)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빈(9)은 상기 자성체케이스(3)내에 삽입되고, 상기 플랜지부(9c)가 캡부(5)의 내면에 상기 시일부재(12)를 통해 접촉하고, 그 철심구멍(9a)내의 중간위치까지 상기 고정철심(6)이 끼워맞춰져 있다. 또, 상기 보빈(9)의 다른 쪽 플랜지부(9d)에는 철심구멍(9a)의 주위에 설치된 시일부재(13)를 통해상기 자성체플레이트(10)가 배치되며, 이 자성체플레이트(10)의 외주단이 상기 스커트부(4)의 내주면에 용접 등의 수단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철심(6)은 타원형 단면을 갖는 기둥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기단부가 상기 캡부(5)의 내면에 용접 등의 수단에 의해 고정되며, 그 선단면은 상기 가동철심(7)을 흡착하는 자극면(6a)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가동철심(7)은 상기 고정철심(6)과 동일한 타원형단면을 갖는 기둥형상의 것으로, 상기 철심구멍(9a,10a)내에 기단면이 상기 고정철심(6)의 자극면(6a)과 대향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철심구멍으로터 연장하는 선단부에는 스토퍼와 스프링시트를 겸하는 합성수지제의 링(7a)이 끼워져 부착되고, 이 링(7a)의 플랜지형상의 스프링지지부(7b)와 상기 자성체플레이트(10)사이에 복귀스프링(14)이 축소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상기 자성체케이스(3)에 있어서의 스커트부(4) 및 캡부(5)와, 상기 스커트부(4)에 고착된 자성체플레이트(10)와, 상기 가동철심(7) 및 고정철심(6)에 의해 코일(8)의 주위를 둘러싸는 자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솔레노이드(2A)는 상기 코일(8)이 비통전상태에 있을 때에는, 상기 가동철심(7)에 고정철심(6)에 의한 흡인력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상기 가동철심(7)은 상기 복귀스프링(14)의 가압력에 의해 도 1 및 도 3의 좌반부에 나타내는 고정철심(6)과 이간한 위치를 차지하고, 밸브부(1)의 푸시로드(19)에 접촉해서 그것을 압압한다. 또, 상기 단자(11)로부터 코일(8)에 통전되면, 도 1 및 도 3의 우반부에 나타내듯이, 상기 복귀스프링(14)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고정철심(6)이 가동철심(7)을 흡착하고, 상기 가동철심(7)이 상기 푸시로드(19)의 압압을 해제한다. 이렇게 해서 상기 가동철심(7)에 의해 상기 푸시로드(19)를 통해 밸브부재(18)가 구동된다.
다음에, 도 1에 의해 상기 밸브부(1)에 대해서 상술한다. 이 밸브부(1)는 밸브보디(16)를 가지고 있고, 이 밸브보디(16)가 입력포트(P), 출력포트(A), 배출포트(R)를 가짐과 아울러, 이들 각 포트가 연통하는 밸브실(16a)을 갖고 있다. 이 밸브실(16a)의 일단은 엔드블록(21)으로 막혀져 있고, 이 밸브실(16a)내에 일부가 상기 엔드블록(21)에 변이가능하게 지지된 가동오리피스부재(17)와, 포핏식 상기 밸브부재(18)가 배치되고, 이 밸브부재(18)에 상기 푸시로드(19)의 선단이 접촉하고 있다.
상기 오리피스부재(17)는 상기 밸브실(16a)내에 개구하는 공급밸브시트(17a)와, 상기 공급밸브시트(17a)와 상기 입력포트(P)를 연통시키는 유로(17d)와, 입력포트(P)로부터의 유체압이 상기 밸브부재(18)의 방향 및 그 역방향으로 작용하는 제1수압면(17b) 및 제2수압면(17c)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오리피스부재(17)는 상기 밸브실(16a)내에 그 축선방향, 즉 상기 공급밸브시트(17a)가 밸브부재(18)에 접촉이간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또, 상기 제1수압면(17b)은 그것과는 유체압이 역방향으로 작용하는 상기 제2수압면(17c)보다 수압면적이 커져 있고, 이 제1수압면(17b)에 작용하는 유체압에 의해 상기 오리피스부재(17)가 밸브부재(18)에 접근하는 위치와 이간하는 위치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밸브부재(18)는 상기 배출포트(R)와 상기 밸브실(16a)을 연통하는배출밸브시트(16b)와, 상기 공그밸브시트(17a)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솔레노이드(2A)의 동작에 의해 상기 양 밸브시트(17a,16b)를 개폐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밸브부(1)와 상기 솔레노이드(2A)는 상기 스커트부(4)의 제2단(4c)의 둘레변에 설치된 코킹부(15)를 상기 밸브체(1)의 밸브보디(16)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15c)에 대해서 코킹함으로써, 시일부재(20)를 통해 서로 밀착해서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전자밸브에 있어서, 솔레노이드(2A)가 비통전상태인 경우에는 도 1의 좌반부에 나타내듯이, 가동철심(7)이 푸시로드(19)를 통해 밸브부재(18)를 오리피스부재(17)의 공급밸브시트(17a)에 밀착하고, 이 공급밸브시트(17a)를 폐쇄함과 아울러 배출밸브시트(16b)를 최대한 개방한다. 이 때문에, 출력포트(A)가 밸브실(16a) 및 배출밸브시트(16b)를 통해 배출포트(R)에 연통하고, 상기 출력포트 및 밸브실(16a)이 대기압으로 된다. 한편, 상기 오리피스부재(17)는 입력포트(A)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압이 유로(17d)의 상기 양 수압면(17b, 17c)에 작용하므로, 이들 수압면적차에 기초한 유체압작용력차에 의해, 밸브부재(18)와 함께 배출밸브시트(16b)측을 향해 도 1의 좌반부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 때, 상기 밸브부재(18)를 통해 푸시로드(19)와 가동철심(7)이 도면의 위치까지 조금 되밀려진다. 이 동작에 의해, 상기 가동철심(7)이 고정철심(6)에 흡착될 때의 스트로크가 작아지며, 통전시의 전환동작이 빨라진다.
이 상태로부터 상기 솔레노이드(2A)에 통전하면, 도 1의 우반부에 나타내듯이, 가동철심(7)에 의한 밸브부재(18)의 압압이 해제되며, 상기 밸브부재(18)가 공급밸브시트(17a)를 개방함과 아울러, 배출밸브시트(16b)를 폐쇄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배출포트(R)와 밸브실(16a)의 연통이 차단됨과 아울러, 상기 출력포트(A)가 밸브실(16a)을 통해 입력포트(P)와 연통하고, 동시에 밸브실(16a)의 압력이 상승하기 때문에 오리피스부재(17a)가 밸브부재(1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되밀리고, 공급밸브시트(17a)가 보다 넓게 개방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제2실시예의 솔레노이드(2B)가 제1실시예의 솔레노이드(2A)와 상위한 점은 제1실시예에서는 고정철심(6)이 캡부(5)와는 별체로 형성되고, 이들이 용접 등의 수단에 의해 고착되어 있는 것에 비해, 이 제2실시예에서는 캡부(5)와 고정철심(6)이 동일소재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점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부품점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해지고, 솔레노이드(2A)의 조립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상기 제2실시예의 그 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주요한 동일구성부분에 제1실시예와 동일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제3실시예의 솔레노이드(2C)가 상기 제1 및 제2실시예의 솔레노이드(2A,2B)와 상위한 점은 이들 제1 및 제2실시예에서는 보빈(9)의 철심구멍(9a)내에 끼워맞추는 기둥형상의 고정철심(6)을 가지고 있는 것에 반해, 이 제3실시예에서는 캡부(5)가 고정철심을 겸하고 있고, 철심구멍(9a)내에 끼워맞추는 기둥형상의 고정철심은 가지고 있지 않는다라는 점이다. 즉, 상기 캡부(5)는 전체적으로 평판형을 이루고 있고, 평탄한내면을 가지고, 이 내면의 상기 철심구멍(9a)을 덮는 부분에 가동철심흡착용 자극면(6a)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가동철심(7)이 철심구멍(9a,10a)의 내부전체에 끼워맞춰지고, 코일(8)로의 통전조작에 의해 상기 캡부(5)의 자극면(6a)에 접촉이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부품점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제2실시예와 같이, 기둥형상의 고정철심(6)을 보빈(9)의 철심구멍(9a)안에 중심축선을 정확하게 일치시켜서 삽입할 필요성이 없게 되므로, 솔레노이드(2A)의 조립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상기 제3실시예의 기타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주요한 동일구성부분에 제1실시예와 동일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코일(8)에 통전하기 위한 단자(11)가 보빈(9)에 있어서의 밸브부(1)측의 플랜지부(9d)로부터 상기 자성체플레이트(10)를 관통해서 스커트부(4)의 제2단(4c)측으로 연장하고, 밸브보디(16)의 도시하지 않은 삽입구멍에 삽입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상기 단자(11)에 대해서 전기적인 접속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 구성대신에, 도 4에 나타내듯이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단자(11)를 보빈(9)에 있어서의 캡부(5)측의 플랜지부(9c)로부터 스커트부(4)와 캡부(5)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구멍(4d)을 통해, 상기 보빈(9)의 중심축선과 직교하는 측면방향을 향해 돌출시킬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스커트부(4)에 대한 캡부(5)의 부착은 상기 실시예와 같이캡부(5)의 끼워맞춤부(5b)를 스커트부(4)의 제1단(4b)에 끼워맞추는 방식은 아니고, 캡부(5)의 내측끝면에 스커트부(4)의 제1단(4b)을 직접 맞대어서 양자를 고착하도록 할 수도 있고, 이것에 의해, 단자구멍(4d)의 가공은 개구부(4b)의 단부에 노치를 형성하는 것만으로 좋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자성체케이스(3)의 스커트부(4)는 펀칭이나 절단 등에 의해 얻어지는 직사각형의 자성플레이트를 각통형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하고 있지만, 미리 각통형으로 형성된 긴 소재를 필요한 길이로 절단해서 형성해도 좋다.
또, 상기 자성체케이스(3)의 단면형상은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보빈(9)의 형상에 맞춰 원형이나 타원형 등의 여러가지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빈(9)의 철심구멍과 가동철심 및 고정철심의 단면형상에 대해서도 타원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형이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성체케이스의 스커트부와 캡부를 개별로 형성하고, 상기 스커트부의 일단에 캡부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자성체케이스를 조립하도록 했기 때문에 어떠한 단면형상의 자성체케이스이어도 그것을 전개한 형으로 펀칭해서 조립하는 종래의 방법에 비해, 재료의 낭비를 발생시키지 않고, 또한 적은 작업공수에 의해 저비용으로 간단하게 그것을 형성할 수 있다.

Claims (8)

  1. 전자밸브에 부착되어 유로전환용 밸브부재를 구동하는 솔레노이드로서,
    축선방향으로 연장하는 철심구멍을 중앙에 가지며, 또한 외주에 코일이 감겨져 있는 보빈; 이 보빈의 측면을 둘러싸는 통형상의 스커트부와, 상기 보빈의 축선방향의 일단면을 덮는 캡부를 갖는 자성체케이스; 상기 보빈의 타단면측에서 상기 자성체케이스의 내부에 연결된 환형의 자성체플레이트; 상기 보빈과 자성체플레이트의 중심에 위치하는 철심구멍내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된 가동철심; 이 가동철심을 흡착하는 고정자극부재; 상기 가동철심을 고정자극부재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미는 복귀스프링을 가지며,
    상기 자성체케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스커트부와 캡부가 각각 개별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커트부의 축선방향의 일단에 캡부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자성체케이스가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밸브용 솔레노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케이스에 있어서의 캡부의 두께가 스커트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밸브용 솔레노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케이스의 캡부가 상기 스커트부의 내측형상 및 내측치수와 같은 형상 및 치수의 끼워맞춤부를 가지고 있고, 이 끼워맞춤부를 상기 스커트부의 단부에 끼워맞춤으로써, 이들 스커트부와 캡부가 서로 결합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밸브용 솔레노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심구멍 및 가동철심의 단면형상이 타원형임과 아울러, 상기 자성체케이스의 단면형상이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밸브용 솔레노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심구멍 및 가동철심의 단면형상이 타원형임과 아울러, 상기 자성체케이스의 단면형상이 직사각형이고, 또, 상기 자성체케이스의 캡부가 상기 스커트부의 내형형상 및 내경치수와 같은 형상 및 치수의 끼워맞춤부를 가지고 있고, 이 끼워맞춤부를 상기 스커트부의 단부에 끼워맞춤으로써, 이들 스커트부와 캡부가 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밸브용 솔레노이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케이스의 캡부와 상기 고정자극부재가 서로 별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이들이 용접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고, 또한 상기 고정자극부재가 철심구멍내에 끼워맞춰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밸브용 솔레노이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케이스의 캡부와 고정자극부재가 동일소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고정자극부재가 철심구멍내에 끼워맞춰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밸브용 솔레노이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케이스의 캡부가 상기 고정자극부재를 겸하고 있고, 상기 철심구멍을 덮는 부분에 가동철심흡착용 자극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밸브용 솔레노이드.
KR10-2002-0047468A 2001-08-13 2002-08-12 전자밸브용 솔레노이드 KR1004473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45727A JP2003059715A (ja) 2001-08-13 2001-08-13 電磁弁用ソレノイド
JPJP-P-2001-00245727 2001-08-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138A KR20030015138A (ko) 2003-02-20
KR100447348B1 true KR100447348B1 (ko) 2004-09-07

Family

ID=19075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7468A KR100447348B1 (ko) 2001-08-13 2002-08-12 전자밸브용 솔레노이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64877B2 (ko)
EP (1) EP1284382A3 (ko)
JP (1) JP2003059715A (ko)
KR (1) KR100447348B1 (ko)
CN (1) CN1293333C (ko)
TW (1) TW5543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9715A (ja) * 2001-08-13 2003-02-28 Smc Corp 電磁弁用ソレノイド
JP3938563B2 (ja) * 2002-11-08 2007-06-27 三菱電機株式会社 電磁弁
JP2005325940A (ja) * 2004-05-14 2005-11-24 Smc Corp 電磁弁
DE602005025890D1 (de) * 2004-07-16 2011-02-24 Eagle Ind Co Ltd Ventil mit solenoidsteuerung
JP4019286B2 (ja) * 2005-02-10 2007-12-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アナログフロントエンド回路及び電子機器
JP4561550B2 (ja) * 2005-09-15 2010-10-13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駆動装置
DE202005016473U1 (de) * 2005-10-19 2006-02-09 Dbt Gmbh Gehäusedeckel für Schaltmagnetgehäuse
US20070176720A1 (en) * 2006-02-02 2007-08-02 Mac Valves, Inc. Flux bushing for solenoid actuator
JP4640211B2 (ja) * 2006-02-27 2011-03-02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駆動装置
JP2008157352A (ja) * 2006-12-22 2008-07-10 Smc Corp 電磁弁
US20090032471A1 (en) * 2007-07-30 2009-02-05 Applied Process Technology, Inc. Innovative treatment technologies for reclaimed water
DE102008028439B3 (de) * 2008-06-17 2009-10-15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Drucksteuerventilanordnung zur Steuerung eines Fluiddrucks in einer ABS-Bremsanlage eines Fahrzeugs
JP5560425B2 (ja) 2010-02-17 2014-07-30 Smc株式会社 電磁弁用ソレノイド
JP5344410B2 (ja) * 2010-07-01 2013-11-20 Smc株式会社 ソレノイドバルブ
JP6105536B2 (ja) * 2014-09-22 2017-03-29 リンナイ株式会社 2連電磁弁
JP6732202B2 (ja) 2016-05-19 2020-07-29 Smc株式会社 電磁弁
JP6850750B2 (ja) * 2018-02-26 2021-03-31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電磁弁
JP7088131B2 (ja) * 2019-07-01 2022-06-21 株式会社デンソー ソレノイド
JP2021173354A (ja) * 2020-04-27 2021-11-0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弁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12907A (en) * 1950-12-19 1952-10-07 Skinner Chuck Company Valve construction
US4896861A (en) * 1987-03-02 1990-01-3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Fluid control solenoid valve
JPH06163241A (ja) * 1992-11-17 1994-06-10 Mitsubishi Heavy Ind Ltd 磁場発生装置用電磁石
US5758864A (en) * 1995-04-05 1998-06-02 Takasago Electric, Inc. Valve structure
JP2003059715A (ja) * 2001-08-13 2003-02-28 Smc Corp 電磁弁用ソレノイド
KR102103426B1 (ko) * 2012-09-28 2020-04-22 모치다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당뇨병 신규 발병 저감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03426A1 (de) * 1971-01-26 1972-08-17 Stahl Karl Fa Magnetventil
US4783049A (en) * 1986-03-24 1988-11-08 Lectron Products, Inc. Electrically operated automatic transmission controller assembly
KR930006510B1 (ko) * 1988-07-29 1993-07-16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전자밸브
JPH03199788A (ja) * 1989-12-28 1991-08-30 Aisin Aw Co Ltd 二方電磁弁
JPH0893947A (ja) * 1994-09-28 1996-04-12 Aisin Seiki Co Ltd 電磁弁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29714681U1 (de) * 1997-08-16 1997-10-16 Festo Ag & Co Fluidbetätigter Arbeitszylind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12907A (en) * 1950-12-19 1952-10-07 Skinner Chuck Company Valve construction
US4896861A (en) * 1987-03-02 1990-01-3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Fluid control solenoid valve
JPH06163241A (ja) * 1992-11-17 1994-06-10 Mitsubishi Heavy Ind Ltd 磁場発生装置用電磁石
US5758864A (en) * 1995-04-05 1998-06-02 Takasago Electric, Inc. Valve structure
JP2003059715A (ja) * 2001-08-13 2003-02-28 Smc Corp 電磁弁用ソレノイド
KR102103426B1 (ko) * 2012-09-28 2020-04-22 모치다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당뇨병 신규 발병 저감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84382A3 (en) 2003-10-01
US6664877B2 (en) 2003-12-16
EP1284382A2 (en) 2003-02-19
CN1293333C (zh) 2007-01-03
US20030030525A1 (en) 2003-02-13
CN1405476A (zh) 2003-03-26
JP2003059715A (ja) 2003-02-28
TW554366B (en) 2003-09-21
KR20030015138A (ko) 200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7348B1 (ko) 전자밸브용 솔레노이드
EP1284381B1 (en) Solenoid for electromagnetic valve
US7004450B2 (en) Solenoid valve
EP0795706B1 (en) Universal on/off solenoid valve assembly
US5174336A (en) General purpose fluid control valve
KR100447349B1 (ko) 전자밸브용 솔레노이드
KR0185824B1 (ko) 2 포지션 3 웨이 솔레노이드 밸브
KR20190007432A (ko) 전자 밸브
KR100449145B1 (ko) 전자밸브
JP4130773B2 (ja) アクチュエータ
JP4042963B2 (ja) 電磁装置
JP2003188014A (ja) 電磁石
JP2003133132A (ja) 電磁弁用ソレノイド
JP2533657Y2 (ja) ソレノイド
JPS6224668B2 (ko)
GB2165923A (en) Solenoid valve
JPH0637667U (ja) 電磁作動装置用可動コア
JPH0749156Y2 (ja) ソレノイドバルブ
JPH094735A (ja) ソレノイドバルブ
JP3153430B2 (ja) ソレノイドバルブ
JP4109954B2 (ja) 三方電磁弁
JP2021163796A (ja) 電磁石
JPH0642665A (ja) 電磁弁
JPH07260031A (ja) 電磁弁
JPH04134973U (ja) ソレノイド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