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6668B1 - 실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6668B1
KR100446668B1 KR10-2001-7003152A KR20017003152A KR100446668B1 KR 100446668 B1 KR100446668 B1 KR 100446668B1 KR 20017003152 A KR20017003152 A KR 20017003152A KR 100446668 B1 KR100446668 B1 KR 100446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sensor
feeder
yar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3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5042A (ko
Inventor
피오렌조기하르도
쏠란더라르스헬게고트프리드
Original Assignee
아이알오피에이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알오피에이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아이알오피에이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10075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5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6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20Devices for temporarily storing filamentary material during forwarding, e.g. for buffer storage
    • B65H51/22Reels or cages, e.g. cylindrical, with storing and forwarding surfaces provided by rollers or ba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22Devices for preparatory treatment of threads
    • D04B35/24Devices for preparatory treatment of threads by moistening or lubricating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45Rotating bobbi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6Measuring and cutting the weft
    • D03D47/361Drum-type weft feed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4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wef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8Thread-feeding devices
    • D04B15/482Thread-feeding devices comprising a rotatable or stationary intermediate storage drum from which the thread is axially and intermittently pulled off; Devices which can be switched between positive feed and intermittent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3/00Dynamic entities; Timing aspects
    • B65H2513/10Speed
    • B65H2513/11Speed angu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orwarding And Storing Of Filamentary Material (AREA)
  • Loom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실 처리 시스템(T)은 실 공급장치(F)와 상기 실 공급장치(F)와 결합된 보조장치(Z,Z1,Z2,Z3)를 구비하며, 상기 보조장치는 상기 실 공급장치의 상기 구성요소의 회전 속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사용하여 구동되는 장치 부분(M1, 10)을 구비한다. 상기 신호는 상기 실 공급장치(F)의 제어 시스템(C)과 구동수단(M)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전자 센서(S)에 의해서 발생된다. 상기 센서(S)는 또한 상기 실 공급장치(F)로부터 구조적으로 독립적이다. 장착 위치에서 상기 센서에 의해 회전 자계의 일부가 검출되는 장착 위치(X,X1)에서 상기 센서는 상기 실 공급장치(F)에 또는 근접하게 위치한다. 실 공급장치의 내부로부터 기원되는 상기 자계의 일부는 센서(S)의 장착위치에서 실 공급장치의 작동을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센서는 상기 회전 자계의 일부에 응답성이 있는 픽업 헤드를 구비하며 그 자계 일부는 센서의 위치에 존재하지만 그러나 상기 위치에서 실 공급장치의 기능을 위해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Description

실 처리 시스템{Yarn processing system}
유럽특허 제 06 19 262 A 호와 독일특허 제 44 14 870 A 호로부터 알려진 실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 실을 처리하는 보조 장치는 실 공급 장치의 하우징의 입구측의 단부벽에 운반 수단으로 장착된 실 급유기이다. 상기 실 급유기는 전기 구동 모터용 제어 유니트를 구비하며, 이 모터는 처리 구성요소를 구동하며, 이것에 의해 왁스 또는 오일과 같은 주입 물질이 실 상으로 적용된다. 상기 처리 구성요소의 회전속도는 실 공급장치에 있어서의 구성요소의 회전속도와 관계가 있다. 상기 구성요소는 실 공급 장치 내에서 실을 이송하며 전기 모터에 의해서 제어된 방식으로 구동된다. 상기 실 공급 장치는 그 제어 시스템과 상기 실 급유기와 기능적 그리고 구조적으로 제어된 협동 작용을 위해 하우징 디자인이 제공된다. 케이블, 바람직하게는 해제가능한 커넥터와 함께, 실 공급장치의 하우징을 통해 밖으로 실 공급장치의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실 급유기의 제어 유니트까지 연장되며 전기적 전도에 의해 신호를 전송하며, 이 신호는 실 공급 장치에서의 회전 속도를 나타낸다. 이것은 구조적으로 실 공급장치가 실 급유기와 공동 작용을 준비하게 하며 그러한 상응하는 준비가 없는 다른 실 공급 장치와 상기 실 급유기를 본질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배제한다. 상기 필요 조건은 제어된 실 브레이크, 슬립 컨베이어 또는 그로부터 실 공급장치가 실을 당겨 빼는 저장 보빈(bobbin)용 회전장치와 같은 다른 그러한 보조 장치에 유사하다. 왜냐하면 모든 상기 보조 장치는 또한 상기 실 공급 장치와 공동 작용을 위한 상기 회전 속도 신호가 필요하다. 상기 실 공급 장치가 보조 장치와 함께 사용되지 않는 경우 그 제어 시스템과 그 하우징을 준비하는 비용은 상당할 것이다. 게다가, 상기 속도 신호 전송을 위해 제공된 전기적 접속 수단은 보조 장치쪽에 또는 신호 전송 경로를 따라 고장이 생기는 경우 바람직하지 않게 상기 실 공급장치의 제어에 영향을 준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제15항의 전제부에 따른 전자 센서뿐만 아니라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인 실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 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2는 실 공급장치에서의 회전 속도 또는 실 공급 장치에 들어가는 실의 선형 속도를 검출하는 센서의 확대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센서를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위에서 개시된 종류의 실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 센서는 실 공급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또는 그 제어된 구동 보조 장치에 의존하는 어느 종류의 속도와도 상호 작동하기 위한 디자인 관점에서 상기 실 공급장치의 준비를 회피할 수 있으며, 게다가 다른 종류의 실 공급장치에서 구동 보조장치에 의존하는 어느 속도도 쉽게 사용하게 하며, 상기 실 공급장치의 제어 시스템에 보조장치의 영향을 방해하는 위험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과 독립청구항 제15항의 특징으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실 공급장치로부터 독립적이기 때문에, 사용되는 상태의 상기 실 공급장치가 구조적인 준비 또는 외부로 속도 신호의 전송을 위한 제어 시스템의 부착이 없더라도 어느 종류의 실 공급장치를 위해서도 실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실 공급장치의 제조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어떤 종류의 보조 장치도 이미 사용되는 실 공급장치와 나중에 결합될 수 있다. 놀랍고도 간단하게 적어도 회전 자계의 바깥쪽으로의 누설부가 실 공급장치 상의 외부로부터 검출될 수 있으며, 이 장치는 제어된 방식으로 전기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내부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다. 상기 회전 자계의 누설부는 상기 센서의 장착 위치에서 사용할 수 있으나, 그러나 이 위치에서 상기 실 공급장치의 기능을 위해서 사용되지는 않는다. 상기 센서가 상기 자계의 회전을 신뢰할 수 있게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의 장착 위치를 선택하는 것이 오로지 필요하다. 상기 자계의 상기 누설부의 토대 위에서 상기 센서는 실 공급장치 내의 구성요소의 회전 속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한다. 통상적으로, 실 공급장치의 하우징은 자계의 적어도 일부의 누설을 억제하도록 충분히 강한 차폐력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누설되는 자계는 충분히 검출가능하게되어 속도 신호를 발생할 수 있게된다. 센서로 인하여, 이러한 보조장치는 그 자체로 다른 보조장치와 속도에 따라 함께 작동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실 공급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누설되거나 소모된 자계의 일부를 탐지하는 센서는 실 공급장치의 회전속도에 따라 구동하는 보조장치 및 실 공급장치의 응용범위를 확장시키게 된다.
청구항 제2항에 따르면, 상기 신호는 센서의 신호 출구 포트로부터 보조장치로, 바람직하게는 보조장치의 제어 유니트로 전송된다. 그러면 그에 의해서 상기 신호는 보조장치의 제어 루틴에 의존한 보조장치에서 사용된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속도 신호는, 미리 제조되어지고 또는 외란에 민감하게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실 공급장치의 구동수단 또는 제어 시스템을 방해하지 않고 필요할 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센서가 신호 케이블 및 해제가능한 커넥터를 갖추고 있다면, 상기 센서는 상기 속도 신호를 필요로 하는 어떤 형태의 보조장치에도 장착될 수 있다. 실 공급장치의 제어 시스템 또는 구동 수단과 전기적 접속을 위한 사전 준비가 되어 있는 센서와 그러한 보조장치도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청구항 제3항에 따르면, 상기 센서는 그 고유의 전력 공급 덕택에 실 공급장치로부터 독립적이며, 임의로 상기 보조장치로 부터도 독립적이다.
청구항 제4항에 따르면, 상기 센서는 상기 보조장치로부터 또는 상기 실 공급장치의 전력 공급박스로부터 보조장치와 독립적으로 작동 전력을 공급받는다. 그러한 박스는 일반적으로 별도의 연결 포트를 갖추고 있거나 또는 그 위에 최소의 노력으로 연결 포트가 제공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센서는 완전히 독립된 전력 공급부에 연결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센서가 어느 다른 전력원으로부터 완전히 독립되도록 배터리가 내부에 공급될 수도 있다.
청구항 제5항에 따르면, 상기 센서는 적어도 실 주입장치의 제어에서 예를 들면, 실 급유기를 보조하는 데 사용되며, 이 실 급유기는 오일 또는 왁스와 같은 주입 물질을 실 상에 적용하도록 실 경로를 따라서 제공된다. 이러한 주입은 실의 적당한 처리를 위한 관점에서 일정한 실 품질을 위해 중요하다.
청구항 제6항에 따르면, 상기 보조장치는 실 공급장치에서의 회전 속도로부터 또는 실 속도로부터 독립하여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찰 롤러를 가지는 슬립 컨베이어이다. 상기 슬립 컨베이어는 상기 실 공급장치로부터 회수측에서 실을 회수하는 것 또는 실 공급장치 쪽 입구측에서 실을 이송하는 것을 보조한다.
청구항 제7항에 따르면, 상기 보조장치는 제어된 실 브레이크(brake)이며, 그 브레이킹 효과는 실 속도로부터 독립하여 가변적이다. 상기 제어된 실 브레이크는 상기 실 공급장치의 입구측 및/또는 회수측에 제공될 수도 있다.
청구항 제8항에 따르면, 상기 센서의 속도 신호를 사용하는 보조장치는 상기 실 공급장치를 위해 실을 운반하는 저장 보빈의 회전 구동부이다. 상기 회전 구동부의 목적은 실의 꼬임(twist) 또는 드릴(drill)현상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제거하는 것이며 보통 이는 정지된 저장 보빈으로부터 실을 잡아 당길 때 일어난다. 이것은 Lurex 또는 밴드 실을 짤 때 고급의 섬유 품질을 위해 중요할 수 있다.
청구항 제9항에 따르면, 상기 센서는 실 주입장치의 운반수단에 의해 장착 위치에 장착되며, 상기 실 공급장치의 하우징의 입구측의 단부벽에 또는 그 단부벽에 가깝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위치에서 특히, 상기 실 공급장치의 입구 실을 꿰는 구멍(eyelet) 의 영역에서 예를 들면, 구동 모터의 자계의 회전이 상기 센서에 의해 쉽게 검출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본질적으로 상기 운반수단으로 통합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센서는 고유의 고정 수단과 함께 설계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운반수단에 센서의 단순한 배치를 가능하게 하는 고정 수단이 제공될 수도 있다.
청구항 제10항에 따르면, 상기 센서에서 생성된 속도 신호는 실 주입장치의 처리 요소의 전기 모터의 제어 유니트에 전송된다. 만일 상기 센서의 신호 출구 포트가 상기 제어 유니트에 영구적으로 연결된다면, 소위 상기 센서는 실 주입장치, 운반수단 및 센서로 구성된 구조적 유니트의 통합된 부분이 된다. 상기 신호 출구 포트가 제어 유니트에 뺄 수 있게 연결된다면, 상기 센서 또한 다른 형태의 보조장치에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면 센서없이 일반적인 전기적 접속 방식으로 실 공급장치의 제어 시스템에 실 주입장치를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제어시스템은 실 주입장치와 전기적 상호 작동을 위해 적절하게 준비된다. 하나의 형태의 보조장치는 선택적으로 다른 실 공급장치와 결합될 수도 있다.
청구항 제11항에 따르면, 상기 센서의 수납 소케트가 실 공급장치의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으며 즉, 삽입 개공부, 나사산이 있는 보어 또는 지지 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 소케트는 상기 실 처리 시스템의 작업 위치 즉, 베짜는 공작기계(weaving mill)에서 이용가능한 도구로 즉시 형성될 수 있다. 실 공급장치의 제어 시스템 또는 구동 수단에 전기적 연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실 공급장치를 제작할 때 실 공급장치의 하우징에 삽입 개방부, 돌기(bayonet) 소케트, 나사 진입 스크류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수납 소케트를 미리 형성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청구항 제12항에 따르면, 상기 보조 장치는 상기 실 공급장치로부터 분리되고 떨어져 위치하며, 반면에 센서는 실 공급장치에 또는 근접하게 위치한다. 신호 전송은 케이블을 통해 일어난다. 이로 인하여 보조장치를 그것이 최적으로 그 목적을 수행하는 곳에 임의로 위치시킬 수 있다.
청구항 제13항에 따르면, 상기 상기 속도 검출을 위해 사용되는 자계의 일부는 구동 모터의 즉, 실 공급 장치의 전기 모터의 자계를 구동하고, 제어하고 또는 감시하는 누설부이다. 상기 자계의 회전은 상기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실 공급장치에서의 모든 구성요소의 순간 회전 속도 또는 상기 모터 자체의 회전 속도 또는 순간의 실 속도 각각을 나타낸다.
청구항 제14항에 따르면, 상기 신호를 이끌어내는 센서는 자계의 일부의 회전을 검출하며, 그 일부는 상기 센서의 장착위치에서 실 공급장치의 기능을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상기 자계는 실 공급장치로 통합되는 회전 검출기에 속하는 영구자석으로부터 기원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권취요소는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권취 튜브 및/또는 구동 샤프트 상에 권취되는 디스크에 의해 한정되며 비자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실 공급장치(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 4,715,411 호)에 통합된 상기 회전 검출기는 권취요소에 제공된 영구자석과, 홀 요소(Hall element)와 같은 정지된 위치의 검출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실 공급장치의 작동중 영구자석에 의해 생성된 자계의 회전 이동은, 센서가 제어 시스템과 실 공급장치의 구동수단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된 때 조차도 상기 센서에 의해서 검출가능하다. 상기 목적을 위해 센서는 상기 실 공급장치의 정지된 하우징에서 상기 권취요소에 가깝게 위치되어야 한다.
청구항 제16항에 따르면, 상기 센서는 픽업 헤드(pick-up head)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도 회전 자계 및/또는 회전 자계의 자계 변동을 쉽게 검출하도록 프로브형 하우징이 제공된다. 상기 센서의 하우징은 적어도 자계의 일부가 바깥쪽 픽업 헤드로 누설하는 곳에 위치하며, 상기 일부는 상기 센서의 장착위치에서 실 공급장치의 기능을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상기 센서에 고정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강력한 그리고 깨끗한 신호를 얻고 센서의 완전히 독립적인 작동을 얻기 위해서 증폭 및 평기 회로가 상기 센서 하우징에 유용하게 수납될 수 있다.
청구항 제17항에 따르면, 상기 센서는 상기 장착 위치에서의 하우징에 쉽게 부착될 수도 있다.
청구항 제18항에 따르면, 상기 센서는 실 공급장치의 하우징에 고정 밴드로 장착될 수 있다.
청구항 제19항에 따르면, 기존의 돌출부들 또는 실 공급장치의 냉각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돌출부 또는 냉각핀에서 맞물리는 클램프에 의해서 그것의 장착위치에 상기 센서를 장착하는 데 사용된다.
실 공급장치의 제어 시스템 또는 구동 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센서에 의해서 생성된 속도 신호는 보조장치에서 실 공급장치에서의 회전 속도로부터 독립하여 장치 부분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사용된다. 상기 장치 부분을 영구적으로 또는 단지 상기 회전 속도에 따라 미리 정한 작동 단계에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면 회전 속도의 직접적인 또는 간접적인 부분에 따라 제어될 수도 있다. 회전 처리 요소를 가진 실 주입장치에서 속도 신호는 처리 요소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는 데 사용된다. 제어된 실 브레이크에서 상기 속도 신호는 이동가능한 하나 이상의 브레이킹 요소 수단에 의해 실에 제동 또는 인장 효과를 변경시키는 데 사용된다. 저장 보빈용 구동부에서 상기 속도 신호는 실 공급장치에서의 회전속도에 따라서 상기 보빈을 회전시키는 데 사용되어, 보빈을 떠나는 실의 드릴현상이 감소되거나 또는 드릴현상이나 꼬임현상이 방지된다. 슬립 컨베이어에 있어서, 슬립 요소는 순간적인 실 속도에 대응하여 실 이송 방향에서 슬립을 조절하도록 적절히 구동된다.
도 1의 실 처리 시스템(T)은 주요 구성 요소로서 실 공급장치(F) 즉,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베짜기 기계용 씨실(weft)을 저장하고 공급하는 장치를 구비한다. 씨실 저장 및 공급장치 대신에 상기 실 처리 시스템(T)은 뜨개질 기계용 실 저장 및 공급장치 예를 들면, 회전하는 저장 드럼(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하류측의 공정으로 소비되기 위해 실 공급 장치(F)에 의해 처리된 실(y)의 경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보조 장치(Z,Z1,Z2,Z3)가 제공되어, 실 공급 장치(F)와 공동 작동하여 상기 보조 장치가 실의 직선속도 또는 실 공급 장치(F) 내부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의 회전속도로부터 독립되어 실(y) 상에 기계적으로 작동하게 한다.
보조 장치(Z)는 예를 들면 실 주입 장치(9) 즉, 소위 실 급유기가 될 수도 있으며, 이는 물질(오일 또는 왁스)을 실(y) 상에 적용하여 실 공급 장치 및/또는 상기 실을 소비하는 직물 기계(짜거나 뜨개질 하는 기계)에 있어서 실의 추가 처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 도 1의 보조 장치(Z)는 실 공급 장치(F)의 하우징(1)에 장착된다. 그러나 각각의 보조 장치 즉, 실 주입 장치(Z) 조차도 실 경로를 따라서 다른 장소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실 공급 장치(F)와 실 저장 보빈(15) 사이의 점선으로 보여준 보조 장치(Z2)처럼 실 공급 장치(F)로부터 분리되거나 또는 떨어질 수 있다. 택일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실 주입 장치(9)까지도 상기 보조 장치(Z2)는 저장 보빈(15)과 실 공급 장치 사이에 위치한 제어된 실 브레이크 또는 제어된 실 텐셔너(tensioner)가 될 수 있다. 상기 실 주입 장치(9) 대신에 하우징(1)에 장착된 보조 장치(Z)가 제어된 실 입력 브레이크일 수도 있다. 점으로 나타낸 보조 장치(Z3)는 출구 또는 실 공급장치의 출력 측에서 제어된 실 브레이크가 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보조 장치(예를 들면 Z,Z2 또는 Z3)는 실 공급장치(F)의 출력 측에서 실을 회수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마찰 롤러 수단에 의해 실을 입력 측으로 슬립(slip)으로 이송하는 제어된 슬립 컨베이어일 수 있다. 저장 보빈(15)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보조 장치(Z1)는 저장 보빈(15)으로부터 실(y)을 회수하는 동안 꼬임현상이 일어나지 않거나 감소되도록 저장 보빈(15)을 가변 회전속도로 구동하게 하는 회전 구동부일 수도 있다. 간단히 말하면, 도 1의 실 처리 시스템(T)에 있어서 단지 하나의 보조 장치 또는 여러개의 보조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각 보조 장치의 특징은 제어된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며, 그 동작 제어는 실 공급 장치(F)에서의 회전속도 또는 실(Y)의 직선속도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외부에 위치한 전자 센서(S)에 의해 생성되는 속도 신호는 제어를 위해 상기 보조 장치로 전송된다. 실 처리 시스템(T)에 있어서, 공통 센서(S)가 모든 각 보조 장치에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보조 장치들의 수에 상응하는 수의 센서(S)가 제공될 수도 있다.
실 공급장치(F)는 하우징(1) 내에 전기 모터(M)를 수용하며, 이는 권취요소(4)의 구동 샤프트(2)를 구동한다. 실 공급 장치(F)는 권취할 때 실(Y)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드럼(3)을 가지며, 그로부터 실을 소비하는 직물 기계(짜는 또는 뜨개질하는 기계)가 실을 축방향으로 또는 접선방향으로 인출한다. 실 공급장치(F)의 전기 모터(M)는 제어 시스템(C)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시스템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실 센서 장치(6)의 신호가 제어 목적으로 입력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에는 실공급장치(F)에 일체로 장착된 제어시스템(C)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접속된 회전검출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검출기는 권취요소(4)에 고정된 영구자석(8)과, 상기 영구자석(8)의 통행 경로와 정렬되고 결합된 정지한 검출요소(7)를 구비한다. 권취요소(4)는 비자성 재료로 만들어진 디스크이며 구동 샤프트(2)와 함께 회전한다. 영구자석(8)은 적당한 위치에서 상기 권취 디스크에 고정된다. 실 공급장치(F)는 전력공급박스(B)에 연결된 케이블(5)을 통해 작동 및 제어 전력이 공급되며, 또한 이 전력공급박스에 추가의 직물기계의 실 처리 시스템이 연결될 수 있다(미도시).
예를 들면, 상기 보조 장치(Z)를 구성하는 실 주입장치(9)는 전기 모터(M1)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처리 구성요소(예를 들면 응용 롤러)를 구비한다. 처리 구성요소(10)는 예를 들면, 미도시된 양초심지로부터 주입하는 물질을 받으며, 실 주입 장치(9)를 통해 실이 안내되는 동안 상기 물질을 실(Y) 상으로 이송한다. 전자 제어 장치(C1)는 전기 모터(M1)를 위해 실 주입장치(9)에 제공된다. 실 주입장치(9)용 작동 및 제어 전력은 고유의 전원 또는 도시된 전력 공급박스(B)의 하나로부터 케이블(11)을 통해 공급된다.
보조장치(C) 또는 실 주입장치(9) 각각은 운반 수단(12)에 의해서 예를 들면, 하우징(1)의 하부 또는 하우징(1)의 입구측의 단부벽 중 어느 하나에서 하나 이상의 지지 브라켓에 의해 하우징(1)에 고정된다. 상기 하우징(1)의 입구측의 단부벽에는 일반적으로 다른 종류의 보조 장치용 고정 보어가 미리 형성되어 있다. 센서(S)는 운반 수단(12)으로 통합되어 센서가 하우징의 단부벽에 닿게 되거나 또는 단부벽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특히 장착 위치(X)에서 적어도 실 공급 장치(F)의 구성요소(K)(예를 들면 전기 모터(M))가 회전하는 동안 적어도 회전 자계(magnetic field)의 누설부는 유효하다. 센서(S)는 고유의 고정부(13) 또는 고정 수단(G)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운반 수단(12)에 통합된다. 상기 회전 자계는 각각 전기 모터(M)를 구동, 제어 또는 감시하는 자계일 수도 있다.
상기 센서(S)는 상기 자계의 회전 또는 상기 제어 시스템(C)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도 상기 자계의 검출부 또는 상기 실 공급장치(F)의 전기적 구동 모터(M)로부터의 신호를 유도하는 전자 센서이다. 상기 신호는 실 공급장치(F)에서의 회전 속도 그리고 간접적으로 실의 직선 속도를 나타내며, 이는 실(Y)이 권취요소(4)의 회전에 의해 저장 드럼(3) 상으로 권취되기 때문이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센서(S)는 전송신호와 임의로 전력 공급 케이블(14)을 통해 보조장치(Z)의 연결 포트(20)에 연결된다. 연결 포트(20)는 연결을 풀 수 있도록 플러그를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센서(S)는 고유의 전력 공급 예를 들면, 전력 공급박스(B) 또는 완전히 분리된 전원에도 연결될 수 있다. 예로서 일점쇄선은 센서(S)와 전력공급 박스(B) 사이의 연결을 가리킨다. 대신에, 센서(S)는 센서(S)를 완전히 독립적으로 작동시키도록 고유의 영구 전원 예를 들면 배터리를 갖출 수 있다. 여기서 보조장치(Z)는 이미 케이블(11)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기 때문에 센서(S)에는 직접적으로 보조장치(C)로부터 예를 들면, 케이블(14)을 통해 작동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적절하다. 각 보조장치(Z,Z1,Z2 및 Z3)는 신호 케이블(14) 상의 속도 신호를 받는다.
또한, 도 1에는 점선으로 센서(S)와 같은 것을 위한 다른 장착 위치(X1)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위치(X1)는 권취요소(4)에 근접하게 위치하여, 하우징(1)에서 X1 에 위치하는 센서(S)가 실 공급장치(F)의 제어 시스템(C) 또는 구동 모터(M)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도 필요한 속도 신호를 생성하도록 자계의 회전을 검출하게 된다. 상기 자계의 위치(X1)에서의 누설부는, 그렇지 않다면, 실 공급장치(F)의 작동을 위해 사용되지 않을 것이다.
센서(S)는 설명하였듯이 선택된 장착 위치(X 또는 X1)에서 고정수단(G)과 함께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실 공급장치(F)의 하우징(1) 내 센서(S)용 수납 소켓 예를 들면 삽입 보어 소켓, 나사산이 있는 보어 또는 지지(hang-in)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미리 센서(S) 또는 센서(S)의 고정수단(G)을 위한 삽입 소켓, 나사산이 있는 보어, 돌기(bayonet) 소켓 또는 지지 개구부를 가진 실 공급 장치(F)의 하우징(1)을 제조할 수 있다.
도 2의 전자 센서(S)는 프로브형(probe-shaped) 하우징(16)을 가지며, 이는 픽업 헤드(pick-up head)(A), 예를 들면, 하우징 단부(17)의 영역에 수납한다. 임의로 하우징 단부(17)에 하우징(16)과 하우징(도 1의 참조번호 1) 사이의 직접적인 딱딱한 접촉을 회피하게 탄성층(18)이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 도 2에서 센서(S)의 고정수단(G)은 이음고리(collar-like)와 같으며, 하우징(16)에 고정되고, 축방향으로 치환할 수 있는 형태가 바람직하며, 고정부(19)를 구비하며 이는 소정의 장착 위치(X 또는 X1) 또는 다른 도시되지 않은 장착위치에 센서(S)를 위치시키도록 다른 고정 포인트 또는 고정수단을 갖출 수도 있다. 증폭 회로(D) 와 평가 회로(E)는 하우징(16)에 통합될 수 있다. 속도신호는 센서(S)의 신호 출구 포트(H)에서 케이블(14)을 통해 전송되는 출력이다.
센서(S)용 고정재(G)로서 하우징(16) 상의 플라스틱, 고무 또는 발포(foam) 재료 본체가 영구 접착 코팅을 가지고 사용되어 센서(S)가 단순히 하우징(1)에 접착되게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센서(S)는 인장 밴드 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하우징(1) 주위 또는 실 공급 장치(F)의 하우징(1) 일부의 주위로 연장된다. 또다른 예로서, 스프링의 부하를 받는 클램프가 상기 고정 수단(G)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는 기존의 돌출부 또는 하우징(1)의 냉각 핀(cooling fin)에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1)에 직접적으로 장착되는 보조 장치(Z)가 없는 경우, 운반 수단(12) 또는 유사한 운반 수단이 단독으로 센서(S)를 소정의 장착 위치(X 또는 X1)에 배치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9)

  1. 실 공급장치(F)와 상기 실 공급장치(F)와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장치(Z,Z1,Z2,Z3)를 구비하고, 상기 실 공급장치(F)는 전기 모터(M)에 의해 제어된 방식으로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K,M,4)를 구비하며, 상기 보조장치는 상기 실 공급장치의 상기 구성요소의 회전속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사용함으로써 구동되어 움직이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可動部 : M1, 10)를 구비하는 실 처리시스템(T)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회전자계의 적어도 일부에 응답성이 있으며 상기 실 공급장치(F)의 제어 시스템(C) 또는 전기 구동모터(M)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고 또한 상기 실 공급장치(F)로부터 구조적으로 독립되어 있는 전자 센서(S)에서 발생되며,
    상기 센서(S)는 상기 실 공급장치(F)의 하우징(1)에 또는 그 부근의 장착위치(X, X1)에 설치되며, 상기 장착위치에서는 상기 실 공급장치(F)내에서 상기 구성요소(K, M, 4)와 같이 회전하는 회전자계의 누출되는 적어도 일부가 검출가능하여, 상기 센서는 상기 회전자계의 일부에 의해 상기 회전속도를 검출하며, 상기 회전자계의 일부는 상기 센서(S)의 장착위치(X, X1)에서 상기 실 공급장치(F)에는 사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처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S)는 케이블(14) 및 해제가능한 커넥터(20)에 의해 상기 보조장치(Z,Z1,Z2,Z3)에 연결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출구 포트(H)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처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S)는 그 전력 공급을 위해서 상기 실 공급장치(F)의 상기 보조장치(Z,Z1,Z2,Z3) 또는 전력 공급 박스(B) 또는 고유의 전력 공급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처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장치(Z,Z2)는 실(Y)의 실 경로를 따라서 결합되는 제어된 실 주입장치(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처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장치(Z2,Z3)는 실 경로를 따라서 실(Y)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된 슬립 컨베이어이며, 상기 실 공급 장치(F)의 입구 및/또는 출구측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처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장치(Z2,Z3)는 실 경로를 따라서 실(Y)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된 실 브레이크이며, 상기 실 공급장치(F)의 입구 및/또는 출구측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처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장치(Z1)는 상기 실 공급 장치(F)에 공급되는 상기 실(Y)을 운반하는 회전 구동식 저장 보빈(15)의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처리 시스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실 주입장치(9)는 운반 수단(12)에 의해서 상기 실 공급장치(F)에 장착되며, 상기 센서(S)는 상기 운반 수단(12)에 고정되며, 상기 운반수단(12)이 상기 실 공급장치(F)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S)는 상기 실 공급장치(F)의 하우징의 입구측의 단부벽 또는 그 단부벽에 근접한 위치인 소정의 장착위치(X)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처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실 주입장치(9)는 적어도 하나의 처리 요소(10)와 상기 처리 요소(10)를 구동하는 전기 모터(M1)용 제어 유니트(C1)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 유니트(C1)는 영구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상기 센서(S)의 신호 출구 포트(H)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처리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 공급 장치(F)의 하우징(1)에서의 상기 장착위치(X,X1)에서 삽입 소켓, 나사산이 있는 보어 또는 지지 개공부와 같은 상기 센서(S)용 수납 소켓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처리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의 검출가능한 일부는 상기 실 공급장치(F)의 상기 구동 전기 모터(M)를 구동, 제어 또는 감시하는 자계로부터 기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처리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의 일부는 상기 실 공급장치(F)의 회전가능한 권취요소(4) 상에 위치하는 영구자석(8)으로부터 기원하며,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실 공급장치(F)에 통합되는 회전 검출기의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처리 시스템.
  13. 실 공급장치(F)의 회전가능한 구성요소(K,M,4)의 회전 속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구성요소는 전기 모터(M)에 의해 제어된 방식으로 구동되고, 상기 공급장치의 하우징(1) 내에 수납되는 전자 센서(S)에 있어서,
    상기 센서(S)는 상기 실 공급장치(F)의 제어 시스템(C) 또는 상기 전기 구동 모터(M)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장착 위치(X,X1)에서 상기 실 공급장치(F)의 상기 하우징(1)에 또는 하우징에 근접한 위치에서 외부로부터 장착되며, 상기 센서(S)는 상기 실 공급장치(F) 내에서 상기 구성요소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하우징(1)을 통해 누설되는 자계의 적어도 일부에 응답성이 있는 픽업 헤드(A)를 구비하며, 상기 일부는 상기 센서(S)의 상기 장착 위치(X,X1)에서 상기 실 공급장치(F)의 기능을 위해서는 사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센서(S).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S)는 상기 픽업 헤드(A)와 상기 장착 위치(X,X1)에 상기 센서(S)를 위치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G)을 수납하는 프로브형 하우징(16)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16)이 증폭 및 평가 회로(D,E)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센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6)의 상기 고정수단(G)은 접착 코팅을 가지는 플라스틱, 고무 또는 발포성 재료로 만들어진 적어도 하나의 본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센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G)은 인장 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센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G)은 돌출부 또는 상기 실 공급 장치 하우징(1)의 냉각 핀에 상기 센서(S)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의 부하를 받는 클램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센서.
  18. 삭제
  19. 삭제
KR10-2001-7003152A 1998-09-11 1999-09-13 실 처리 시스템 KR1004466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41699A DE19841699A1 (de) 1998-09-11 1998-09-11 Fadenverarbeitungssystem
DE19841699.7 1998-09-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5042A KR20010075042A (ko) 2001-08-09
KR100446668B1 true KR100446668B1 (ko) 2004-09-01

Family

ID=7880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3152A KR100446668B1 (ko) 1998-09-11 1999-09-13 실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470918B1 (ko)
EP (1) EP1119511B1 (ko)
JP (1) JP2003523304A (ko)
KR (1) KR100446668B1 (ko)
CN (1) CN1133574C (ko)
AT (1) ATE238959T1 (ko)
DE (2) DE19841699A1 (ko)
WO (1) WO20000155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06142A1 (de) * 2000-02-11 2001-08-16 Iro Patent Ag Baar Verfahren zur twistfreien Lieferung eines Fadens und Fadenliefergerät
DE10153856A1 (de) * 2001-11-02 2003-05-15 Iropa Ag Fadenliefer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Fadenlieferung
DE10253238A1 (de) * 2002-11-15 2004-06-09 Lindauer Dornier Gmbh Verfahren zum Erhöhen des Fadenschlusses eines Schussfadens vor dessen Eintrag in ein Webfach und Düsenwebmaschin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BE1019702A3 (nl) * 2010-12-14 2012-10-02 Picanol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voeden van inslagdraad.
CN102134785B (zh) * 2011-04-01 2013-01-02 厉力永 横机纱线自动上蜡装置
CN103603126B (zh) * 2013-12-03 2015-07-08 辽东学院 箭杆织机储纬器的前端张力器
KR101456146B1 (ko) * 2014-08-14 2014-11-04 국방과학연구소 브레이드기용 자동 장력 조절형 실 공급 장치
JP2016055985A (ja) * 2014-09-10 2016-04-21 村田機械株式会社 糸巻取装置
JP6374369B2 (ja) * 2015-11-06 2018-08-1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織機における緯糸測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16468A (de) 1970-05-28 1971-12-15 Loepfe Ag Geb Vorrichtung zum Auswerten der Spulgeschwindigkeit an Kreuzspulmaschinen
US4143289A (en) * 1976-12-14 1979-03-06 Progressive Electronics, Inc. Rotational field sensor
US4226379A (en) 1979-12-06 1980-10-07 Leesona Corporation Loom storage feeder improvement
BE900492A (nl) 1984-09-04 1985-03-04 Picanol Nv Snelheidsregeling van inslagvoorafwikkelaar bij weefgetouwen.
SE8900006D0 (sv) 1988-12-31 1988-12-31 Iro Ab Anordning vid en garnlager- och matningsenhet foer textilmaskiner foeretraedesvis vaevmaskiner
DE3915491A1 (de) 1989-05-12 1990-11-15 Dornier Gmbh Lindauer Abspuleinrichtung fuer garne
EP0396902B1 (de) 1989-05-12 1994-06-15 Lindauer Dornier Gesellschaft M.B.H Fadenlieferverfahren und Abspuleinrichtung für Garn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59308414D1 (de) * 1992-12-03 1998-05-20 Iro Ab Verfahren zum steuern eines fadenliefersystems und fadenliefersystem
DE4240711A1 (de) 1992-12-03 1994-06-09 Iro Ab Fadenliefervorrichtung
DE4311619A1 (de) 1993-04-08 1994-10-13 Sobrevin Vorrichtung zum Auftragen einer Flüssigkeit auf einen laufenden Faden
IT1267157B1 (it) * 1994-11-22 1997-01-28 Lgl Electronics Spa Dispositivo e metodo perfezionati per la sorveglianza della riserva di filato negli apparecchi alimentatori di trama.
IT235948Y1 (it) 1995-10-05 2000-07-18 Skf Ind Spa Dispositivo di rilevamento della velocita' di rotazione relativa tragli anelli di un cuscinetto con sistema di aggancio e sgancio rapid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238959T1 (de) 2003-05-15
WO2000015533A1 (en) 2000-03-23
DE69907492D1 (de) 2003-06-05
CN1133574C (zh) 2004-01-07
KR20010075042A (ko) 2001-08-09
CN1316971A (zh) 2001-10-10
EP1119511B1 (en) 2003-05-02
JP2003523304A (ja) 2003-08-05
DE69907492T2 (de) 2003-11-20
EP1119511A1 (en) 2001-08-01
DE19841699A1 (de) 2000-03-16
US6470918B1 (en) 2002-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6668B1 (ko) 실 처리 시스템
JP4526750B2 (ja) 糸処理システムおよび糸処理システムを制御する方法
CS272762B2 (en) Device for thread feed for textile machines e. g. for circular knitters 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CN201224793Y (zh) 上蜡装置
JPS62231052A (ja) 糸供給装置
CS694390A3 (en) Weft carrier for needle and gripper shuttle looms
US5662148A (en) Thread feed system having an auxilliary conveyor device
EP1174379B1 (en) Brake structure of a band reel
US3713307A (en) Thread supply device for textile machinery
US6279619B1 (en) Method for preliminarily storing yarn and feeding device
EP1006222A2 (en) Twisting unit
KR100526396B1 (ko) 방적사 공급 장치
US4627230A (en) Open-end friction spinning machine
US5509450A (en) Weft yarn feeding device having a rotating retainer
KR20010102008A (ko) 편물, 메리야스류 용으로 사용되는 직기로 진입할 때의 둘이상의 실을 짝형성하거나 케이블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9990008344A (ko) 실 감는 드럼의 구동 유닛 회전 속도 제어 장치
EP0744483A3 (en) Device for feeding a thread, particularly an elastic thread, for knitting machines, hosiery knitting machines, or the like
KR100476276B1 (ko) 연사유닛
JPH0423019B2 (ko)
EP0580267A1 (en) A device for feeding a periodically operating yarn-consuming device
CN110817573B (zh) 用于纺纱机或络纱机的储纱器
KR950009533Y1 (ko) 원형직기의 피킹 불량 방지 장치
JPH0657585A (ja) 織機の運動特性量を探知する方法および織機
CN211620722U (zh) 一种纱线上蜡装置
JPS6377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