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6276B1 - 연사유닛 - Google Patents

연사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6276B1
KR100476276B1 KR10-1999-0043014A KR19990043014A KR100476276B1 KR 100476276 B1 KR100476276 B1 KR 100476276B1 KR 19990043014 A KR19990043014 A KR 19990043014A KR 100476276 B1 KR100476276 B1 KR 100476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dle shaft
motor
rotor
lubricating oil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3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8868A (ko
Inventor
키무라타츠오
키노요시히로
Original Assignee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28431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110033A/ja
Priority claimed from JP342805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322226B2/ja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28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8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6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62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7/00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 D01H7/02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for imparting permanent twist
    • D01H7/04Spindl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7/00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 D01H7/02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for imparting permanent twist
    • D01H7/86Multiple-twist arrangements, e.g. two-for-one twisting devices ; Threading of yarn; Devices in hollow spindles for imparting false twi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핀들축과 일체적으로 로터를 탈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각종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스핀들축(1)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M)를 동축으로 설치하고, 이 스핀들축(1)의 회전에 의해 연사를 행하는 연사유닛에 있어서, 스핀들축(1)과는 별개로 구성되어 외주면에 구동용 모터(M)의 로터(12)를 고정부착한 슬리브(11), 구동용 모터(M)의 고정자(14)를 내주면에 고정부착한 모터하우징, 및 모터하우징에 대하여 모터(12)의 상하에서 슬리브(11)를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하는 축받이 (18, 17)를 구비하고, 슬리브(11)내에 스핀들축(1)을 삽입 또는 발취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구동용 모터(M)의 로터(12)와는 분리하여 스핀들축(1)을 삽입 또는 발취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연사유닛{YARN TWISTING UNIT}
본 발명은, 스핀들축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용 모터를 상기 스핀들축과 동축으로 설치하고, 이 스핀들축의 회전에 의해 연사를 행하는 연사유닛에 관한 것이고, 예컨대 복수의 연사유닛이 병설되어 있고, 각 스핀들축마다 구동용 모터를 설치한 단추구동형 연사가공기에서의 연사유닛에 관한 것이며, 특히 스핀들축을 장착하지 않고 각 추마다 구동용 모터를 구성가능하게 하여, 구동용 모터의 로터에 관계없이 스핀들축을 구동용 모터내로 삽입 또는 발취할 수 있는 연사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각 스핀들축마다 이것과 동축으로 구동용 모터를 설치하고, 이 스핀들축의 회전에 의해, 급사패키지 주위로 사조을 벌루닝하면서 가연하는 단추구동형 다중연사기가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다중연사기로서, 예컨대 스핀들축의 1회전에 의해 사조에 2회의 꼬임을 부여하는 단추구동형 2중연사기가 공지되어 있다. 이 이중연사기로서, 지지체인 스핀들레일에 모터하우징을 부착하고, 이 모터하우징의 내주면에 고정부착된 고정자 내에, 외주면에 로터를 직접 고정부착한 스핀들축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구동용 모터를 구성하는 것이 개발되어 있다.
삭제
스핀들축에 로터를 직접 고정부착하고, 구동용 모터의 고정자 내에 그 스핀들축을 삽입 또는 발취할 수 있도록 구성한 예로서, 예컨대 스핀들축을 지지체에 고정하지 않은 상태로 하고, 지지체 및 지지체에 고정된 고정자에 대하여 스핀들축을 탈착가능하게 구성한 연사스핀들이 공지되어 있다(일본특허공개 평3-14636호 참조). 구체적으로는, 로터를 스핀들축에 직접 고정하고, 지지체에 부착된 슬리브의 내측에 부시를 탈착가능하게 구비하고, 이 부시와 스핀들축의 사이에 축받이를 배치함으로써, 스핀들축을 슬리브로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스핀들축이 지지체에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슬리브에 대하여 부시를 탈착함으로써, 이 부시와 함께 스핀들축을 용이하게 탈착할 수가 있다.
스핀들축의 회전수는 생산된 연사의 꼬임수에 직접 영향을 미치므로, 고품질의 연사를 얻기 위해서는, 연사가공중에 있어서의 구동용 모터의 회전수를 정확하게 소망의 값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다수의 스핀들축마다 구동용 모터를 설치한 단추구동형 연사가공기에 대하여, 각 추마다 연사의 품질에 흠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의 구동용 모터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품질검사를 행할 필요가 있다. 구동용 모터의 품질검사에서는, 실제로 구동용 모터를 회전구동하여, 자계의 강도나 전압, 전류값 등이 측정된다. 예컨대, 로터에 영구자석을 사용하는 경우, 스핀들축에 로터를 접착 등으로 고정부착한 후, 그 로터에 대하여 자성을 부여하는 작업을 행하고, 그 후 스핀들축을 포함하는 삽입물(로터를 포함)을 삽입함으로써 구동용 모터를 구성할 수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스핀들축에 로터를 직접 고정부착하는 경우, 스핀들축을 삽입하지 않으면 구동용 모터를 구성할 수가 없으므로, 스핀들축을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구동용 모터의 품질검사를 행할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먼저 스핀들축을 포함하는 회전체의 밸런스 조정작업을 완료한 후, 이 스핀들축을 구동용 모터내에 장착하고, 그 후 실제로 구동용 모터를 회전구동하여 품질검사를 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밸런스 조정작업과 품질검사를 동시에 행할 수가 없고, 특히 다수의 구동용 모터를 취급하는 경우에 매우 불편하였다.
또한, 스핀들축에 로터를 직접 고정부착하는 경우, 스핀들축과 로터가 일체적으로 탈착되므로, 베어링 교환이나 조건변경시에 있어서의 스핀들축의 삽입 또는 발취시 등에 로터가 주위에 접촉하여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더욱이, 조건변경 등으로 스핀들축을 포함하는 삽입물을 교환하는 경우, 예컨대 이중연사기에 있어서 다른 급사지름으로 하기 위해 회전디스크 등의 지름을 변화시키는 경우, 스핀들축에 로터가 직접 고정부착되어 있으면, 스핀들축과 함께 로터도 교환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고가의 로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불필요함과 동시에, 교환 후에 재차 구동용 모터의 품질검사를 행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베어링 교환을 행할 때, 스핀들축에 고정부착된 로터에 방해없이 베어링을 발취하기 위하여, 로터의 외경보다 베어링의 내경을 크게 할 필요가 있고, 베어링지름에 제한을 받는다. 베어링 지름의 대경화에 의해 고속회전에 대한 내구성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스핀들축에 로터를 직접 고정부착함으로써, 스핀들축과 일체적으로 로터를 탈착하는 경우에서의 상기와 같은 각종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을 제1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단추구동형 다중연사기와 같이, 모터로 스핀들축을 직접 구동하는 구성에서는, 스핀들축이 프레임에 고정부착된 지지대에 축받이를 통하여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고, 스핀들축을 지지하는 축받이로 윤활유를 공급하는 등의 유지보수시에는, 스핀들축을 지지대로부터 상방으로 발취한 후에 공급을 행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동시구동형 다중연사기에서는, 스핀들축 발취용 지그를, 스핀들축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워브(wharve) 하단의 일부분에 걸어맞춰지고, 상기 지그에 의해 스핀들축을 밀어올려 발취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발취작업이 복잡하여 스핀들축 발취용 지그를 특별히 준비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지그를 워브 하단의 일부분에 걸어맞춰서 밀어올리기 때문에, 스핀들축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여 이 스핀들축의 축심이 비뚤어지고, 스핀들축에 고정부착된 로터와 하우징에 고정부착된 고정자가 간섭하여 모터가 파손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핀들축 발취용 지그를 특별히 준비하지 않고도, 발취작업이 간단하게 행하여진다. 또한 스핀들축을 정확하게 축심방향으로 밀어올릴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2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모터로 스핀들축을 직접 구동하도록 구성한 단추구동형 다중연사기에서는, 지지대나 스핀들축의 부분에 모터로 전력을 공급하는 동력선 등이 배선되어 있고, 이 배선이 윤활유 공급구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으면, 윤활유 공급시에 상기 배선으로 윤활유가 흘러나와 부착하여, 악영향을 미칠 염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핀들축을 구동하는 모터의 배선구를 통과하는 배선에, 흘러나온 윤활유가 부착하기 어렵다. 윤활유에 의해 배선이 악영향을 받기 어려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3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스핀들축을 구동하기 위한 제1의 구동용 모터를 스핀들축과 동축으로 설치하고, 이 스핀들축의 회전에 의해 연사를 행하는 연사유닛에 있어서, 구동용 모터의 로터와는 분리하여 스핀들축을 구동용 모터내로 삽입 또는 발취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사유닛으로는, 예컨대, 스핀들축의 회전에 의해 급사패키지의 주위로 사조을 벌루닝하면서 가연하는 다중연사기에 있어서, 각 스핀들축마다 이것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용 모터를 설치한 단추구동형 다중연사기에서의 연사유닛, 또는 스핀들축의 회전에 의해 권취보빈의 주위로 안내링을 원주상으로 선회시켜 연사를 행하는 링정방기에 있어서, 각 스핀들축마다 이것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용 모터를 설치한 단추구동형 링방정기에서의 연사유닛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구동용 모터내에 대한 스핀들축의 삽입 또는 발취를, 구동용 모터의 로터와 일체적이 아니라, 이 로터와는 분리하여 별개로 행할 수가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스핀들축을 장착하지 않고 구동용 모터를 구성할 수가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스핀들축을 구동용 모터내로부터 발취한 상태에서, 상기 로터를 구동용 모터의 고정자에 대향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스핀들축을 구동용 모터내로부터 발취한 상태에서도 로터가 구동용 모터내에 지지되므로, 즉 구동용 모터내(모터하우징내)에서 로터를 고정자에 대향한 상태로 지지한 채로 스핀들축을 발취할 수가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스핀들축과는 별개로 구성되어 외주면에 상기 로터를 고정부착한 슬리브, 상기 고정자를 내주면에 고정부착한 모터하우징과, 및 이 모터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슬리브를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하는 축받이를 구비하고, 상기 슬리브내에 상기 스핀들축을 삽입 또는 발취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모터하우징에 대하여 슬리브를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시킴으로써, 스핀들축과는 전혀 무관하게 구동용 모터를 구성할 수가 있다. 즉, 예컨대 로터로서 영구자석을 사용하는 경우, 먼저 스핀들축과는 별개로 구성된 슬리브의 외주면에 로터(자성이 부여되지 않음)를 접착 등으로 고정부착한 후, 이 로터에 대하여 자성을 부여하는 작업을 행하고, 자성을 부여한 후, 상기 슬리브를 모터하우징에 대하여 축받이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함으로써, 스핀들축과 무관하게 구동용 모터를 구성할 수가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축받이가 상기 로터의 상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로터의 상하 양측에 슬리브가 축받이지지되어 있으므로, 예컨대 스핀들축 상방의 2곳에서 스핀들축을 축받이지지하는 경우에 비하여 스핀들축을 짧게 할 수가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슬리브가, 축방향의 중앙부에 대경부를 보유한 것과 동시에, 축방향의 상하 양단부에 상기 대경부보다 외경이 작은 세경부를 보유하고, 상기 대경부의 외주면에 상기 로터를 고정부착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세경부에서 상기 축받이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로터접착부의 외경증대에 의해, 로터의 외주면적이 증대하고, 이로 인하여 로터와 고정자와의 대향면적이 증대한다. 로터 및 고정자의 대향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큰 회전토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축받이지지부의 외경을 작게하는 것으로, 고속회전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슬리브의 내주면에 형성된 테이퍼구멍과, 상기 스핀들축의 외주면에 형성된 테이퍼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핀들축의 삽입에 의해 상기 테이퍼구멍과 상기 테이퍼부가 테이퍼 끼워맞춤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테이퍼구멍으로 안내됨으로써 삽입된 스핀들축의 중심위치결정을 정확하게 행할 수가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슬리브에 대하여 스핀들축을 삽입한 상태에서는, 이 스핀들축을 포함하는 삽입물의 자중(自重)에 의해, 상기 테이퍼 끼워맞춤면에서 양자가 연사가공중에 상대회전하지 없도록 소정의 마찰력을 얻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슬리브에 대하여 스핀들축을 상방으로부터 삽입하면, 특히 슬리브와 스핀들축을 회전불가능하게 고정하는 수단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연사가공중에 양자를 동기하여 회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예컨대 하방으로부터 스핀들축 하단을 두드림으로써 용이하게 스핀들축의 발취를 행하게 된다.
상기 제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실에 꼬임을 부여하기 위한 스핀들축을 별개로 구동하는 모터를 구비한 연사유닛에 있어서, 스핀들축을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하는 하우징으로부터 스핀들축을 상방으로 발취하기 위한 발취용 부재를 구비하고, 이 발취용 부재가 스핀들축의 하단부에 부착되며, 스핀들축과 동축의 나사구멍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업통로측에 윤활유 공급구를 배치하고, 작업통로 반대측에 배선구를 배치하면, 윤활유의 공급작업이 행해지기가 쉽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배선구와, 작업통로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는 배선용 배관과의 가깝게 되어, 모터의 고정자코일에 전력을 공급하는 동력선이나, 모터회전수 검지용의 검출용 자석을 검출하기 위한 자기센서의 신호선 등의 배선을 간소화할 수가 있다.
윤활유 공급구를 하우징의 상하 복수개소에 형성하고, 이 복수의 윤활유 공급구를 거의 동일의 연직선상에 배치하였으므로, 윤활유 공급작업시에 공급작업을 행하기가 보다 쉽게 되어, 작업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다.
상기 제3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실에 꼬임을 부여하기 위한 스핀들축을 별개로 구동하는 모터를 구비한 연사유닛에 있어서, 스핀들축을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하는 하우징의 특정개소에, 스핀들축을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하는 축받이에 윤활유를 공급하기 위한 유활유 공급구를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에서의, 상기 윤활유 공급구에 대하여 대략 연직하방 및 그 부근 이외의 위치에, 스핀들축을 구동하는 모터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이 통과하는 배선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제1실시예에서는, 스핀들축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용 모터를 스핀들축과 동축으로 설치하고, 이 스핀들축의 회전에 의해 연사를 행하는 연사유닛의 일예로서, 이중연사기에 있어서의 연사유닛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그 이외의 종류의 연사기나 정방기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이중연사기는 복수의 추가 병설되어 구성되고, 특히 각 추마다의 연사유닛에 있어서의 스핀들축에 개별적으로 구동용 모터를 설치한 단추구동형으로 한다.
도 1에, 본 실시예에 관한 이중연사기에 있어서의 1추분의 연사유닛(급사부분)의 측면단면도를 나타낸다. 또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각 추에 있어서, 연사유닛으로부터 최하류의 권취위치까지의 사이에, 연사된 사조를 주행방향으로 송출하는 공급롤러 및 권취패키지의 축방향으로 사조를 트래버스하는 트래버스장치, 또한 적당개소에 있는 사도(絲道)변경용 가이드 등이 배치되어 있다.
우선, 도 1을 이용하여, 구동용 모터(M)을 포함하는 급사패키지(P)의 주변부로부터 구성되는 연사유닛의 구조를 설명한다.
각 연사유닛에는 축방향을 상하로 한 1개의 스핀들축(1)이 설치되고, 스핀들축(1)의 상단부에는 급사패키지(P)를 놓는 급사적재대(정지반)(2)가 축받이(3, 4)를 통하여 상대회전이 자유롭도록 설치되어 있다. 급사적재대(2)의 외주부에는, 연사가공중(스핀들축(1)의 회전중)에 급사패키지(P)를 정지상태로 유지시키는 정지용 흡인부재(5)가 설치되어 있다. 예컨대, 흡인부재(5)는 자석이고, 고정측에 흡인부재(5)와 대향하도록 설치된 자석(도시하지 않음) 사이에서 작용하는 자기흡인력에 의해 급사패키지(P)를 정지상태로 유지한다.
스핀들축(1)의 상단부에는, 급사적재대(2)의 바로 하방에 위치하도록, 회전디스크(6)가 회전불가능하게 고정부착되어 있다. 회전디스크(6)는, 급사지름보다 큰 지름을 보유한 원형상의 원반부(7)와, 원반부(7)의 하방에 고정부착된 원통형의 권취부(실저장부)(8)로 구성된다. 권취부(8)에는 사조(Y)이 통과하는 실통로(9)가 지름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해서장력의 변동은, 권취부(8)로의 권취량(지체각))이 자동적으로 변동함으로써 흡수된다.
스핀들축(1)은 회전디스크(6)의 하방으로 연장하여 있고, 그 연장부에는 스핀들축(1)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구동용 모터(M)이 동축상에 설치되어 있다. 즉, 스핀들축(1)을 장착한 상태에서는, 스핀들축(1)의 일부에 구동용 모터(M)를 직접 설치한 구성되어 있어, 축방향에 병렬로 배치된 동축상의 2개의 축 사이에 회전토크를 전달하는 커플링이 사용되지 않는다.
구동용 모터(M)는, 기대 길이방향(좌우방향)으로 연장하는 고정의 지지체(스핀들레일)(10)의 상측에 놓여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구동용 모터(M)는, 스핀들축 (1)의 주위로 축방향으로 소정길이로서 설치된 원통형의 슬리브(11), 슬리브(11)의 외주면의 일부에 회전불가능하게 고정부착된 로터(영구자석)(12), 로터(12)의 외방에 설치된 모터지지부(13), 모터지지부(13)의 내주면에 로터(12)의 외측에 대향하도록 설치된 고정자(14), 모터지지부(13)의 하측에 끼워진 하측 축받이 지지부재(15), 모터지지부(13)의 상측에 끼워진 상측 축받이 지지부재(16), 슬리브(11)와 하측 축받이 지지부재(15)의 사이에 설치되고, 로터(12)보다 하방에서 슬리브(11)를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하는 하측 베어링(볼베어링)(17), 슬리브(11)와 상측 축받이 지지부재(16)의 사이에 설치되고, 로터(12)에 의해 상방에서 슬리브(12)를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하는 상측 베어링(볼베어링)(18), 지지체(10)를 상하로 관통하고, 하측 베어링(17)의 하면 걸림부를 보유한 하측 캡(19), 및 상측 축받이 지지부재(16)에 상방으로부터 끼워지고, 상측 베어링(18)의 상면 걸림부를 보유한 상측 캡(20)과 로터(12)와 하측 베어링(17)의 사이에 있어서의 슬리브(11)의 외주면에 고정부착되는 검출편(영구자석(21))을 보유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지지체(10)의 상측에 구동용 모터(M)을 적재하여 설치함으로써, 지연각의 목시확인을 지지체(10)에 방해받지 않고 용이하게 행한다. 또, 상방으로부터 상측 캡(20), 상측 축받이 지지부재(16), 모터지지부(13), 하측 축받이 지지부재(15) 및 하측 캡(19)에 의해 모터하우징이 구성된다. 모터하우징, 슬리브(11) 및 상하 베어링(18, 17)에 의해, 스핀들축(1)의 삽입 또는 발취와는 무관하게, 즉 스핀들축(1)을 구동용 모터(M)의 슬리브(11)내로부터 발취한 상태에서, 로터(12)를 고정자(14)에 대향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구성된다.
슬리브(11)는, 축방향 중앙에 설치된 대경부(11a)와, 축방향 양단부(상하 양단부)에 설치되고, 대경부(11a)보다 외경이 작은 세경부(11b, 11b)를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로터(12)는 슬리브(11)의 대경부(11a)의 외주면에 고정부착되는 것과 동시에, 상하 베어링(18, 17)은 각각 상하의 세경부(11b, 11b)의 외주면과 모터하우징(상하 축받이 지지부재(16, 15))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 슬리브(11)의 대경부(11a)에는, 로터(12)를 장착할 때에 이 로터(12)의 상단이 걸어맞춰지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슬리브(11)의 상단부에는, 상측 베어링(18)의 하단에 걸어맞춰지는 걸림부가, 슬리브(11)의 하단부에는 하측 베어링(17)의 상단에 걸어맞춰지는 걸림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들 양 걸림부에 의해 상하 베어링(18, 17)간의 거리가 로터(12)의 축방향 길이보다 긴 거리로 규정되어 있다.
더욱이, 슬리브(11)의 소요개소에는, 축방향의 일측을 향하여(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지름이 감소하는 테이퍼구멍(11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핀들축(1)의 소요개소에는, 슬리브(11)의 테이퍼구멍(11c)과 같은 정도의 경사각으로 이루어진 테이퍼부(1a)가 축방향의 일측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지름이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구멍(11c)과 테이퍼부(1a)는 후술하듯이 스핀들축(1)이 장착될 때, 회전토크를 전달하도록 테이퍼 끼워맞춰진다. 또, 테이퍼구멍(11c) 및 테이퍼부(1a)에 있어서의 테이퍼면의 경사각도는, 회전토크를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고, 또 스핀들축(1)의 삽입 또는 발취가 용이하게 행해지는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테이퍼구멍(11c)의 축방향의 길이는 로터(12)의 축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고, 테이퍼구멍(11c)의 상단은 로터(12)의 고정부착부분보다 상방에, 테이퍼구멍(11c)의 하단은 로터(12)의 고정부착부분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로터(12)는 고정자(14)에 의한 자기작용에 의해 직접 구동토크를 받는 것이지만, 이와 같이 슬리브(11)의 내측에는 축방향의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은 적어도 로터(12)의 고정부착부분보다 상방으로부터 하방까지 이르는 테이퍼구멍(11c)을 포함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로터(12)에 발생된 구동토크를 테이퍼 끼워맞춤면을 통하여 보다 확실하게 스핀들축(1)에 전달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구동용 모터(M)를 회전구동함으로써, 로터(12)에 동기하여 슬리브(11)에 장착된 스핀들축(1)을 회전시킬 수가 있다. 또, 검출편(21)에 의한 회전자계는 자기센서(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외부의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로 취입되고, 이 검출회전수를 이용하여 연사가공중에 구동용 모터(M)가 소망의 회전수로 유지된다.
다음에 도 1의 연사유닛에 대해서, 연사되는 사조(Y)의 사도(絲道) 및 실통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핀들축(1)의 상부에는, 그 상단에 이르기까지 실통로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 실통로구멍(22)은, 회전디스크(6)에 형성된 실통로(9)에 연통하고 있고, 또 급사패키지(P)의 중심축내에는, 스핀들축(1)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사조(Y)에 소정의 장력을 부여하는 센서(23)가 설치되어 있다. 급사패키지(P)로부터 해서된 사조(Y)는, 급사패키지(P)의 중심축내에 상방으로부터 진입한 후, 센서(23)에 의해 소정의 장력이 부여되고, 실통로구멍(22) 및 실통로(9)를 통과한 후 외방(회전디스크(6)의 지름방향)으로 뛰어나와서, 급사패키지(P) 상방의 중심축 연장선상에 있는 벌루닝가이드(도시하지 않음)에 이르게 된다. 실통로(9)로부터 나온 사조(Y)은, 벌루닝가이드와의 사이에서 벌루닝을 형성하면서, 회전디스크(6)의 회전에 의해 급사패키지(P)의 주위를 선회한다. 이와 같은 사도에 의해 급사패키지(P)로부터 벌루닝가이드에 이르기까지의 사조(Y)에 대하여, 스핀들축(1)의 1 회전에 의해 2회의 꼬임이 부여된다. 또 급사적재대(2)에는, 급사패키지(P)의 외측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도록, 벌루닝사(Y)와 급사패키지(P) 외주면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급사커버(24)가 설치되어 있다.
스핀들축(1)의 실통로구멍(22)이 형성된 이외의 부분에는, 그 하단에 이르기까지 공기공급구멍(25)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핀들축(1)은 중공으로 되어 있고, 공기공급구멍(25)도 실통로구멍(22)과 마찬가지로 상기 실통로(9)에 연통하게 되어 있다. 또한 스핀들축(1)의 하측에는 조인트부재(2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인트부재(26)에는 공기공급관(도시하지 않음)이 접속되어 있고, 공기공급구멍 (25)에 하방으로부터 분출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공기공급구멍(25)내에, 스핀들축(1) 하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공기를 공급함으로서, 실통로구멍 (22) 및 실통로(9)로 실을 보내는 방향의 공기류를 발생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은 공기류를 사용하여, 상술한 사도가 되도록 실통과를 행할 수가 있다.
다음에 도 2 및 도 3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의 주요부인 구동용 모터(M)의 조립구조 및 스핀들축(1)을 포함하는 회전체의 장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동용 모터(M)의 조립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슬리브(11)의 대경부(11a)에 소정의 크기를 보유한 로터(12)를 일체로 회전하도록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부착한다. 그리고, 슬리브(11)에 고정부착된 로터(12)에 대하여 자성을 부여하는 작업을 행하는 것으로 구동용 모터(M)의 회전부가 구성되고, 이 회전부에 대한 소정의 밸런스 조정작업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하측 축받이 지지부재(15)와 슬리브(11) 하단부의 세경부의 사이에 하측 베어링(17)은, 상측 축받이 지지부재(16)와 슬리브(11) 상단부의 세경부(11b)의 사이에 상측 베어링(18)이 위치하도록 구동용 모터(M)의 회전부를 장착한다. 이와 같이 하여 회전부를 장착한 후, 상하 캡(19, 20)을 장착함으로써, 로터(12)의 외측에 고정자(14)가 대향하여 그 로터(12)에 소정의 회전토크를 부여할 수 있는 구동용 모터(M)가 구성된다. 이 상태에서, 구동용 모터(M)를 실제로 회전구동하여 소정의 품질검사가 행하여진다.
구동용 모터(M)의 회전토크는, 로터(12)와 고정자(14)의 대향면적에 관계하므로, 로터(12)를 대경부(11a)에 고정부착함으로써, 필요한 회전토크를 얻기 위한 로터(12)의 축방향 길이를 단축할 수가 있다. 따라서, 스핀들축(1)의 축방향의 길이를 단축할 수가 있다. 또한, 로터(12)의 고정부착 개소의 외경을 크게 했음에도 불구하고, 상하 베어링(18, 17)에서의 지지개소의 외경을 작게함으로써, 베어링(18, 17)의 고속회전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한다.
구동용 모터(M)의 부착과는 별개로, 스핀들축(1)에 회전디스크(6) 등을 고정부착함으로써, 구동용 모터(M)(슬리브(11))에 대한 삽입물이 구성된다. 이 삽입물에 대해서도 소정의 밸런스 조정작업이 행해진다. 이 밸런스 조정작업의 완료 후, 상기와 같이 슬리브(11)를 회전이 자유롭도록 장착한 구동용 모터(M)에 대하여, 스핀들축(1)을 포함하는 삽입물을 상방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도 3 참조), 슬리브(11)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스핀들축(1)을 장착할 수가 있다. 삽입시, 스핀들축(1)은, 그 하단이 슬리브(11)의 하단을 초과하는 위치까지 삽입된다. 삽입되는 스핀들축(1)은, 테이퍼구멍(11c)으로 안내됨으로써, 소정의 중심축상(구동용 모터(M)의 회전축상)에서, 또한 소정의 높이로 정확하게 위치결정된다. 이로 인하여, 안정한 스핀들축(1)의 고속회전이 달성된다. 또 스핀들축(1)이 삽입되면, 스핀들축(1)을 포함하는 삽입물의 자중에 의해, 연사가공중의 슬리브(11)와 스핀들축(1)이 일체로 회전하도록 마찰력이 테이퍼끼워맞춤면에 작용한다.
다음에, 슬리브(11)에 대한 스핀들축(1)의 장착방법이 다른 제2실시예에 대하여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서는, 슬리브(11)에 대한 스핀들축(1)의 고정수단으로서, 스핀들축(1)에 대하여 슬리브(11)를 축방향으로 고정하는 걸림부(1b), 스핀들축(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홈부(1c), 및 스핀들축(1)의 나사홈부(1c)에 나사식 결합하는 너트(27)를 구비하고, 이 너트(27)에 의해 스핀들축(1)의 걸림부(1b)에 대하여 슬리브(11)를 축방향으로 밀어눌러 양자를 회전불가능하게 고정한 예를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핀들축(1)의 소요개소에는, 슬리브(11)의 상단이 하방으로부터 걸러맞춰지는 걸림부(1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핀들축(1)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너트(27)가 나사식 결합하는 나사홈부(1c)가 형성되어 있다. 스핀들축(1)의 길이는, 슬리브(11)내에 삽입되었을 때에, 그 하단이 슬리브(11)의 하단보다 돌출하도록 길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구동용 모터(M)를 구성 후, 스핀들축(1)을 상방으로부터 슬리브(11)내로 삽입하면, 걸림부(1b)가 슬리브(11) 상단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스핀들축(1)의 그 이상의 낙하가 규제된다. 스핀들축(1)의 삽입은 하방이 개방된 상태에서 행하고, 삽입 후, 하방으로부터 나사홈(1c)에 대하여 너트(27)를 체결함으로써, 슬리브(11)의 상단을 스핀들축(1)의 걸림부(1b)에 밀어붙여 양자를 회전불가능하게 고정할 수가 있다.
제2실시예에서는, 스핀들축(1)의 외형과 슬리브(11)의 내경에 대하여, 연사가공중에 스핀들축(1) 등의 회전이 불안정하게 되지 않는 정도의 여유를 갖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너트(27)의 체결에 의해 확실하게 양자를 일체로 회전시킬 수 있는 동시에, 너트(27)의 체결을 해제함으로써 스핀들축(1)의 발취가 용이하게 행해진다.
또, 스핀들축(1)과 슬리브(11)를 일체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2가지 실시예로서, 테이퍼 끼워맞춤을 이용한 예 및 너트(27)의 체결을 행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예컨대 스핀들축(1)의 외주면 및 슬리브(11)의 내주면에 각각 복수의 요철을 형성하고, 양자가 치차결합하여 회전토크를 전달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들을 조합시킨 예를 이용하여도 좋으며, 예컨대 스핀들축(1)의 중심위치결정을 확실하게 행하기 위하여 테이퍼 끼워맞춤을 채용하고, 또한 회전토크의 전달을 보다 확실하게 행하기 위하여, 이것에 너트에 의한 체결 또는 치차결합을 부가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제2실시예에서는, 고정측에 구동용 모터(M)의 고정자(14)를 설치하고, 이 고정자(14)에 대향하도록 로터(12)를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한 상태를 유지한채로, 로터(12)(슬리브(11))에 대하여 스핀들축(1)을 회전불가능상태로 장착 또는 그 상태로부터 이탈가능하게 구성하였다. 즉, 구동용 모터(M)(슬리브(11))에 대한 스핀들축(1)의 삽입 또는 발취와는 무관하게 로터(12)를 고정자(14)에 대향한 상태로 지지함으로써, 구동용 모터(M)의 고정자(14) 및 로터(12)와는 분리하여(별개로) 스핀들축(1)을 구동용 모터(M)내로 삽입 또는 발취가능하게 구성하였으므로, 스핀들축(1) 등의 밸런스 조정작업과는 별개로 구동용 모터(M)의 품질검사가 행해진다. 또한, 스핀들축(1)의 탈착시에 로터(12)가 주위로 접촉하여 손상되는 일이 없다. 더욱이 급사지름의 변경 등의 조건변경시에는, 품질검사가 완료하여 있는 로터(12) 및 고정자(14)의 짜임새를 변경하지 않고, 지름이 다른 회전디스크(6)나 급사적재대(2)를 장착한 스핀들축(1)을 삽입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더욱이, 베어링교환을 행하기 위하여, 베어링 지름이 스핀들축에 고정부착된 로터지름에 제한되지 않고, 즉 베어링 내경을 스핀들축에 고정부착한 로터 외경보다 크게 하지 않고 베어링 교환을 할 수가 있으므로, 베어링 지름의 소경화가 달성될 수 있어 고속회전에 유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단추구동형 섬유기계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에 있어서, 단추구동형 섬유기계로서의, 단축구동형 다중연사기의 추인 연사유닛(101)이 다수 병설되어 있다. 이 단추구동형 다중연사기의 도 5에 있어서의 앞쪽에는, 단추구동형 다중연사기의 길이방향(도 5에서의 좌우방향)으로 작업통로가 설치되어 있고, 단추구동형 다중연사기의 도 5에 있어서의 안쪽(작업통로측에 대하여 반대측)에는, 각종 배선용 배관이 설치되어 있다.
각 연사유닛(101)에 일체로 설치된 스핀들축(104)과, 이 스핀들축(104)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회전디스크(115)는 일체적으로 회전이 자유롭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핀들축(104)은 각 연사유닛(101)에 각각 설치된 모터인 구동모터(110)에 의해 회전구동되고, 이로 인하여 회전디스크(115)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디스크(115)는 구동모터(110)의 상방에 배치되고, 연사유닛(101)은 구동모터(110)의 하방에 스레임(109)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디스크(115)를 스핀들축(104)을 통하여 회전구동함으로써, 회전디스크(115)의 상방에 정지상태로 설치된 급사패키지(111)로부터 해서되는 원사(原絲)(112a)에 꼬임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단추구동형 다중연사기의 구동상태는 제어부(114)에 의해 제어된다.
또, 본 실시예에 나타내는 연사유닛(101)은, 단섬유를 짜서 긴 한가닥의 실을 구성한 방적사에 꼬임을 부여하는 방적사용 연사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6, 도 7에 있어서, 연사유닛(101)의 상기 급사패키지(111)는, 회전디스크(115)의 상방에 배치된 정지반(121)상에 적재되어 있고, 이 정지반(121)은 스핀들축(104)의 상부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끼워져 지지되어 있다. 이 정지반(121)내에는 정지자석(121a)이 고정설치되고, 이 정지자석(121a)과 정지반(121)의 외주부에 비접촉상태로 배치되는 흡인자석(122)의 흡인력에 의해, 정지반(121)이 정지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급사패키지(111)는 그 외주를 치즈커버(103)에 의해 덮혀져 있으며, 이 치즈커버(103)는 정지반(121)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급사패키지(111)로부터 인출된 원사(121a)는 텐션장치(147)에 상방으로부터 들어가고, 이 텐션장치(147)에 의해 소정의 장력을 부여받은 후, 회전디스크(115)의 중심부로부터 가이드부(115a)를 통과하여 외주방향으로 안내되며, 이 회전디스크 (115) 외주부로부터 외부로 연장하여, 연사유닛(101) 상부의 벌루닝가이드 (148)에 이르게 된다.
회전디스크(115) 외주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원사는, 구동모터(110)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디스크(115)가 고속회전함으로써 벌루닝되고, 회전디스크(115)가 회전하는 동안에, 텐션장치(147)로부터 회전디스크(115)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서 1회, 회전디스크(115)로부터 벌루닝가이드(148)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서 다시 한번 1회의 꼬임이 더 들어가서, 합계 2회의 꼬임이 부여된다.
이와 같이, 본 단추구동형 다중연사기는, 예컨대 회전디스크(115)가 1회전하는 사이에 원사에 2회의 꼬임을 부여하는 이중연사기로 구성되어 있다.
연사유닛(101)의 상방에는 권취장치(102)가 설치되고, 연사유닛(101)으로 가연된 연사(112b)를 감아올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벌루닝가이드(148)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사(112b)는, 가이드롤러(149, 150) 및 공급롤러(108)를 거쳐서 트래버스가이드(107)에 이른다. 그리고, 트래버스가이드(107)에 도달한 연사(112b)는, 이 트래버스가이드(107)에 의해 트래버스되면서, 드럼(106)에 구름접촉하는 권취패키지(105)로 권취되게 된다.
다음에, 연사유닛(101)에 대하여 도 7, 도 8에 의해 설명한다. 우선, 도 7에 나타내듯이, 급사패키지(111)로부터 인출된 원사(121a)는, 텐션장치(147)의 텐션구멍(147a)에 상단부로부터 침입한 후, 이 텐션장치(147)의 하방에 위치하는 스핀들축(104)의 가이드구멍(104a)에 상단부로부터 침입한다. 상기 가이드구멍(104a)은 하단부에서 회전디스크(115)의 상기 가이드부(115a)와 연통하고 있고, 가이드구멍(104a)에 침입한 원사(112a)는 가이드부(115a)를 통과하여 외부로 연장한다.
또한, 스핀들축(104)의 하단부로부터는 가이드부(115a)와 연통하는 공기구멍(104b)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공기구멍(104b)의 하단부로부터 공기가 공급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공기가 가이드부(115a)의 중심측으로부터 외주측 방향으로 흐르므로, 텐션장치(147)의 텐션구멍(147a)으로 침입한 원사(112a)는 자동적으로 회전디스크(115)의 가이드부(115a) 외주단부까지 도달된다.
도 8에 나타내듯이, 회전디스크(115)의 하방에는 스핀들축(104)을 회전구동하는 구동모터(110)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모터(110)는, 스핀들축(104) 외주에 고정설치된 로터자석(132), 이 로터자석(132)의 외주부에 이 로터자석(132)과 대향하여 설치되는 고정자코일(131), 및 구동모터(110)의 하우징인 모터하우징(13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하우징(134)은, 내주면에 고정자코일(131)을 고정부착하고 있는 모터지지부(126), 이 모터지지부(126)의 상단부에 부착되고 축받이인 베어링(127a)을 통하여 스핀들축(104)을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하는 축받이지지부인 상부 지지부재(127), 및 이 모터지지부(126)의 하단부에 부착되고, 축받이인 베어링(128a)을 통하여 스핀들축(104)을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하는 축받이지지부인 하부 지지부재 (128)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핀들축(104)은 베어링(127a, 128a)에 압입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모터하우징(134) 하단부의 하부 지지부재(128)는 상기 프레임 (109)에 부착고정되고, 이로 인하여 연사유닛(101)이 프레임(109)에 지지되어 있다.
하부 지지부재(128)의 하단부에는 거의 원통형부재로 구성된 캡(129)가 부착되어 있고, 이 캡(129)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 거의 중앙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나사구멍(129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구멍(129a)은 스핀들축(104)과 동축으로 배치되고, 이 나사구멍(129a)에는 에어조인트(130)가 하방으로부터 나사식으로 끼워져 있다. 이 에어조인트(130)는 스핀들축(104)의 가이드구멍(104a)과 연통하고 있고, 모터하우징(134) 외부로부터 가이드구멍(104a)으로 공기를 안내하고 있다.
구동모터(110)의 로터자석(132)은, 예컨대 네오듐자석 등의 비상하게 높은 자력을 보유한 영구자석인 희토류 자석으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구동모터(110)를 소형으로 구성하는 것과 동시에, 높은 구동능력을 보유한 모터로 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고정자코일(131)은 철심(131a)을 보유한 유심코일로 구성되어 있다.더욱이, 로터자석(132)의 하방에 있어서의 스핀들축(104)에는, 이 스핀들축(104)의 회전수를 검지하기 위한 검출용 자석(133)이 고정부착되어 있고, 이 검출용 자석(133)은 매우 자력이 크지 않은(로터자석(132)보다 자력이 약함) 영구자석인 플라스틱 자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지지부(126)측에는 검출용 자석(133)에 대치하여 자기센서 (133a)가 부착되고, 이 자기센서(133a)에 의해 검출용 자석(133)의 자계를 검출하여, 스핀들축(104)의 회전수를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모터하우징(134)을 구성하는 상기 모터지지부(126)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핀(126a)을 형성하여, 이 핀(126a)을 상하방향으로 설치하고 있고, 회전디스크(115)의 회전에 따라서 발생하는 기류(도 7중에서 화살표)가 구동모터(110)의 모터하우징(134) 부분을 통과할 때에, 상기 구동모터(110)의 구동에 따른 발열을 상기 핀(126a)에 의해서 효율 좋게 냉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지지부재(127)의 하단부의 내주면에는, 모터지지부(126)가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부(127b)가 형성되고, 모터지지부(126)의 상단부에는, 다른 부분보다 소경으로 구성된 끼워맞춤부(126b)가 형성되어 있고, 이 끼워맞춤부 (126b)와 끼워맞춤부(127b)가 접하도록 끼워맞춰서 양자를 연결하고 있다.
또한, 모터지지부(126)와 하부 지지부재(128)의 끼워맞춤부는, 모터지지부 (126)의 내주면과 하부 지지부재(128)의 외주면이 인접하도록 끼워맞추어져 있다.
이상과 같이, 구동모터(110)는, 스핀들축(104)에 높은 자력을 보유하는 영구자석인 로터자석(132)을 고정부착하고, 이 로터자석(132)의 외주부에 철심(131a)을 포함하는 고정자코일(131)을 배치하고, 이 고정자코일(131) 및 로터자석(132)을 모터하우징(134)으로 덮은 DC브러시리스 모터(brushless motor)로 구성하여, 고속회전구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110)에 의해 구동되는 스핀들축(104)을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재(127)의 베어링(127a) 및 하부 지지부재(128)의 베어링(128a)으로의 그리스 등의 윤활유의 공급은, 모터하우징(134)의 윤활유 공급구로부터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0에 나타내듯이, 상부 지지부재(127)의 베어링(127a)으로의 윤활유의 공급에 있어서는, 모터하우징(134)의 상부 지지부재(127)를 관통하는 윤활유 통로(127d)를 형성하고, 이 윤활유 통로(127d)는, 상부 지지부재(127)의 외측면에서 개구하는 상부 윤활유 공급구(127c)로부터 윤활유 통로(127d)를 통하여 베어링 (127a)으로 윤활유를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 윤활유 공급구(127c)는, 베어링(127a)의 외주부 측방, 즉 베어링(127a)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윤활유 통로(127d)는, 상부 윤활유 공급구(127c)로부터 내측방향을 향하여 도중부까지는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고, 도중부로부터 윤활유 통로(127d) 종단의 통로출구(127e)까지는 내측방향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통로출구(127e)는 상부 지지부재(127)의 내주면으로 개구하여, 베어링(127a)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고, 이 통로출구(127e)의 상방에서는, 상부 지지부재(127)의 내주면이 통로출구(127e)보다 내측으로 돌출하여 돌출부(127f)를 형성하고 있다.
또, 상부 윤활유 공급구(127c)는 베어링(127a) 외주부의 약간 하방 근처에 배치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부 윤활유 공급구(127c)로부터 윤활유를 공급하고, 윤활유 통로(127d)를 통하여, 상기 베어링(127a)으로 윤활유를 공급하는 것이다.
이 경우, 통로출구(127e)는 베어링(127a)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통로출구 (127e)로부터 상부 지지부재(127) 내부의 공간(136)에 충전된 윤활유가, 하방의 베어링(127a)으로 확실하게 공급되게 된다.
또한, 윤활유 통로(127d)의 통로출구(127e)의 상방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27f)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통로출구(127e)로부터 상기 공간(136)으로 충전된 윤활유가, 상방으로 밀어올려지는 것이 방지되는 것과 동시에 하방으로 밀어내려가서, 더 확실하게 베어링(127a)으로 공급된다.
상기 상부 윤활유 공급구(127c)는, 상부 윤활유 공급구(127c)로부터 윤활유 통로(127d)내로 니플(135)을 끼워 넣음으로써, 윤활유의 공급시 이외에는 폐쇄되어 있어, 이 상부 윤활유 공급구(127c)로부터 외부로 윤활유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듯이, 하부 지지부재(128)의 베어링(128a)으로의 윤활유의 공급에 있어서는, 모터지지부(126)와 하부 지지부재(128)의 끼워맞춤부에서, 이 모터지지부(126)의 측벽을 관통하는 윤활유 통로(126d) 및 하부 지지부재(128)의 측벽을 관통하는 윤활유 통로(128b)를 형성하고 있다. 이 윤활유 통로(126d)와 윤활유 통로(128b)는 연통하고 있고, 윤활유 통로(126d)는 모터 지지부(126)의 외주면에서 하부 윤활유 공급구(126c)로서 개구하고 있다. 이 하부 윤활유 공급구(126c)는, 베어링(128a)의 외주부 측방, 즉 베어링(128a)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윤활유 공급구(126c)로부터, 윤활유 통로(126d, 128b)를 통하여 베어링(128a)으로 윤활유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부 지지부재(128)의 윤활유 통로(128b)가 그 하부 지지부재(128)의 내주면으로 개구한 통로출구(128c)는 베어링(128a)의 상방에 위치하고, 이 통로출구(128c)의 상방에는, 내측으로 돌출하여 하부 지지부재(128)의 내측면으로부터 스핀들축(104)까지의 사이의 간격을 막는 시일부재(137)가 배치되어 있다.
이 시일부재(137)에 의해, 통로출구(128c)로부터 하부 지지부재(128) 내부의 공간(138)으로 충전된 윤활유가, 시일부재(137)보다 상방으로 밀어올려지는 것이 방지되고, 공간(138)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베어링(128a)으로 확실하게 공급된다.
또한, 상기 하부 윤활유 공급구(126c)는, 이 하부 윤활유 공급구(126c)로부터 윤활유 통로(126d)내로 니플(135)을 끼워넣음으로써, 윤활유의 공급시 이외에는 폐쇄되어 있어, 이 하부 윤활유 공급구(126c)로부터 외부로 윤활유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상부 윤활유 공급구(127c)는 하부 윤활유 공급구(126c)보다 상방에 형성되고, 이 상부 윤활유 공급구(127c)와 하부 윤활유 공급구(126c)는 거의 동일한 연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윤활유 공급구(127c) 및 하부 윤활유 공급구(126c)는, 단추구동형 다중연사기의 작업통로측(도 5에 있어서의 앞쪽)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듯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모터지지부(126)의 하부 윤활유 공급구(126c) 및 상부 윤활유 공급구(127c)의 거의 반대측에, 이 모터 지지부(126)내와 외부를 연통하는 배선구(126e)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배선구(126e)에는, 구동모터(110)의 고정자코일(131)에 전력을 공급하는 동력선이나, 검출용 자석(133)의 자력을 검출하는 상기 자기센서(133a)의 신호선 등이, 모터지지부(126)내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통과하여 배선용 배관내에 배선되어 있다.
배선구(126e)가 상기 윤활유 공급구(126c) 또는 (127c)에 대하여 거의 연직하방에 형성되어 있으면, 윤활유 공급구(126c, 127c)에 윤활유를 공급할 때에 윤활유가 흐를 경우, 흘러 나온 윤활유가 배선에 부착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적어도 배선구(126e)가 상기 윤활유 공급구(126c, 127c)에 대해 거의 연직하방 및 그 부근 이외의 위치에 형성되지 않으면 안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선구(126e)를 상기 윤활유 공급구(126c, 127c)의 거의 하방의 위치 및 그 근방에서 벗어나게 형성하지 않아서, 윤활유 공급작업의 용이화, 및 배선구(126e)와 배선 배관의 사이에서의 배선을 간소화할 수 있고, 하부 윤활유 공급구(126c) 및 상부 윤활유 공급구(127c)는, 모터지지부(126)에 있어서의 단추구동형 다중연사기의 작업통로측에 형성되어 있고, 배선구(126e)는 작업통로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모터지지부(126)에 있어서의 작업통로측이란, 단추구동형 다중연사기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선(141)의 작업통로측 180°의 범위(142)를 말하고, 작업통로 반대측이란, 단추구동형 다중연사기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선(141)의 작업통로 반대측 180°의 범위(143)를 말한다.
이상과 같이, 모터하우징(134)의 모터지지부(126)의 일측면에 상하부 윤활유 공급구(127c, 126c)를 형성하므로, 윤활유의 공급작업시에 스핀들축(104)을 지지하는 모터하우징(134)으로부터 상기 스핀들축(104)을 끼웠다 뺐다할 필요가 없고, 스핀들축(104)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여 스핀들축(104)의 축심이 어긋나거나, 스핀들축(104)을 구동하는 구동모터(110)가 손상을 입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윤활유 공급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모터지지부(126)의 상하부 윤활유 공급구(127c, 126c) 반대측의 측면 등, 상하부 윤활유 공급구(127c, 126c)에 대해 거의 연직하방 및 그 부근 이외의 위치, 즉 상하부 윤활유 공급구(127c, 126c)의 거의 연직하방 및 그 부근을 벗어난 위치에 배선구(126e)를 형성함으로써, 예컨대 상하부 윤활유 공급구(127c, 126c)로부터 공급되는 그리스 등의 윤활유가 모터하우징(134)의 내외로 흐른 경우, 배선구(126e)가 상하부 윤활유 공급구(127c) 또는 (126c)의 하방위치 이외의 부분에 있으므로, 상기 배선구(126e)를 통과하는 배선으로 흘러나온 윤활유가 부착하기가 어려워서, 윤활유에 의해 배선이 악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상하부 윤활유 공급구(127c, 126c)가 단추구동형 다중연사기의 작업통로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윤활유의 공급작업이 용이하게 행해져서,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배선구(126e)가 단추구동형 다중연사기의 작업통로 반대측에 위치하므로, 그 작업통로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모터(110)용 드라이버기판이 수납된 배선용 배관과 거리가 가깝게 되어, 구동모터(110)의 고정자코일(131)에 전력을 공급하는 동력선이나, 검출용 자석(133)의 자력을 검출하는 상기 자기센서(133a)의 신호선 등의 배선을 간소화할 수가 있다.
또, 상하부 윤활유 공급구(127c, 126c)가, 윤활유 공급구로서 상하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과 동시에 거의 동일한 연직직선상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윤활유 공급작업시에 보다 공급작업이 용이하게 행해져셔, 작업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가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한 단추구동형 다중연사기의 연사유닛(101)에 있어서의, 모터하우징(134)으로부터 스핀들축(104)을 발취하기 위한 발취용 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상기 캡(129)은, 스핀들축(104)을 지지하는 모터하우징 (134)의 하부 지지부재(128)의 하단부에 볼트 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고, 이 캡(129)의 나사구멍(129a)에는, 통상은 에어조인트(130)가 하방으로부터 나사식으로 끼워져 있다.
그리고, 연사유닛(101)의 유지보수시 등에, 모터하우징(134)으로부터 스핀들축(104)을 발취하는 경우에는, 캡(129)으로부터 에어조인트(130)을 발취하고, 도 9에 나타내듯이, 캡(129)의 나사구멍(129a)에 하방으로부터 볼트(143)를 나사식 삽입한다.
나사구멍(129a)으로 나사식 삽입된 볼트(143)는 스핀들축(104)의 하단에 맞닿고, 그 후 볼트(143)를 더 나사식 삽입하면, 볼트(143)에 의해 스핀들축 (104)이 상방으로 밀어올려지게 되어, 이 스핀들축(104)을 간단하게 발취할 수가 있다.
즉, 캡(129)을 스핀들축(104)를 발취하기 위한 발취용 부재로서 이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스핀들축(104)을 발취하기 위한 발취용 부재인 캡(129)을 상기 스핀들축(104)의 주변에 부착함으로써, 스핀들축(104)을 발취하기 위한 지그를 특별히 준비할 필요가 없어, 발취작업이 간편하게 된다.
또한, 상기 캡(129)이 스핀들축(104)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 캡(129) 부분으로부터 스핀들축(104)의 저면을 상방으로 밀어올리도록 구성하는 것만으로, 베어링(127a, 128a)에 압입되어 있는 스핀들축(104)을 발취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캡(129)을 간단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작업을 간단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캡(129)이, 스핀들축(104)과 동축의 나사구멍(129a)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스핀들축(104)를 발취하는 경우에는, 이 나사구멍(129a)으로 볼트를 나사식 삽입하는 것만으로, 스핀들축(104)을 상방으로 밀어올릴 수가 있어, 발취작업을 더욱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캡(129)의 구조를 더욱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예의 경우, 캡(129)이, 스핀들축(104)을 발취하기 위한 발취용 부재인 것과 동시에, 에어조인트(130)의 발취용 부재로서 미리 연사유닛(101)에 부설되어 있으므로, 연사유닛(101)의 부품수를 증가시키지도 않는다.
다음에, 연사유닛(101)의 다른 실시예로서, 견이나 화학섬유 등의 긴 섬유를 당겨서 나란하게 된 필라멘트사에 꼬임을 부여하는 필라멘트사용 연사유닛에 대하여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연사유닛(10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13에 나타내는 연사유닛 (151)의 급사패키지(161)는, 회전디스크(165)의 상방에 정지상태로 배치된 정지반 (171) 상에 놓여져 있고, 이 정지반(171)은 스핀들축(154)의 상부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끼워져 지지되어 있다.
상기 연사유닛(151)의 급사패키지(161)로부터 인출된 원사(162a)는, 텐션장치(197)의 텐션구멍(197a)에 상단부로부터 침입한 후, 이 텐션장치(197)의 하방에 위치하는 스핀들축(154)의 가이드구멍(154a)에 상단부로부터 침입한다. 이 가이드구멍(154a)은 하단부에서 회전디스크(165)의 가이드부(165a)와 연통하고 있고, 가이드구멍(154a)으로 침입한 원사(162a)는 가이드부(165a)를 통하여 외부로 연장한다.
도 14에 나타내듯이, 회전디스크(165)의 하방에는, 스핀들축(154)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모터(160)가 배치되어 있다. 구동모터(160)는, 스핀들축(154) 외주에 고정설치된 로터자석(182), 이 로터자석(182)의 외주부에 상기 로터자석(182)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고정자코일(181), 및 상기 구동모터(160)의 하우징인 모터하우징 (18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하우징(184)은, 내주면에 고정자코일(181)을 고정부착하고 있는 모터지지부(176), 이 모터지지부(176)의 상단부에 부착되고, 베어링(177a)을 통하여 스핀들축(154)을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재(177), 및 이 모터지지부 (176)의 하단부에 부착되고, 베어링(178a)을 통하여 스핀들축(154)을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재(178)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핀들축(154)은 베어링(177a, 178a)에 압입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모터하우징(184) 하단부의 하부 지지부재(178)는 상기 프레임 (159)에 부착고정되고, 이로 인하여 연사유닛(151)이 프레임(159)에 지지되어 있다.
하부 지지부재(178)의 하단부에는, 거의 원통형 부재로 구성된 캡(179)가 부착되어 있고, 이 캡(179)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거의 중앙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나사구멍(179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구멍(179a)은 스핀들축(154)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동모터(160)의 로터자석(182)은, 예컨대 네오듐자석 같이 비상하게 높은 자력을 보유한 영구자석인 희토류 자석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 구동모터(160)를 소형으로 구성하는 것과 동시에, 높은 구동능력을 보유한 모터로 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로터자석(182)의 하방에 있어서의 스핀들축(154)에는, 이 스핀들축 (154)의 회전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용 자석(183)이 고정부착되어 있고, 이 검출용 자석(183)은, 지나치게 자력이 크지 않은(로터자석(182)보다 자력이 약함) 영구자석인 플라스틱 자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지지부(176)측에는 검출용 자석(183)에 대치하여 자기센서 (183a)가 부착되고, 이 자기센서(183a)에 의해 검출용 자석(183)의 자계를 검출하여, 스핀들축(154)의 회전수를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모터하우징(184)을 구성하는 상기 모터지지부(176)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핀(176a)을 형성하여, 이 핀(176a)을 상하방향으로 설치하고 있고, 회전디스크(165)의 회전에 따라서 발생하는 기류(도 13에 도시하는 화살표)가 구동모터(160)의 모터하우징(184)부분을 통과할 때에, 이 구동모터(160)의 구동에 따른 발열을 상기 핀(176a)에 의해 효율좋게 냉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지지부재(177)의 하단부의 내주면에는, 모터지지부(176)가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부(177b)가 형성되어 있고, 모터지지부(176)의 상단부에는 다른 부분보다 소경으로 구성된 끼워맞춤부(176b)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끼워맞춤부 (176b)와 상기 끼워맞춤부(177b)가 인접하도록 끼워맞춰 양자를 연결하고 있다.
또한, 모터지지부(176)와 하부 지지부재(178)의 끼워맞춤부는, 모터지지부 (176)의 내주면과 하부 지지부재(178)의 외주면이 접하도록 끼워맞추어져 있다.
이상과 같이, 구동모터(160)는, 스핀들축(154)에 높은 자력을 보유한 영구자석인 로터자석(182)을 고정부착하고, 이 로터자석(182)의 외주면에 철심(181a)을 포함하는 고정자코일(181)을 배치하고, 이 고정자코일(181) 및 로터자석(182)을 모터하우징(184)으로 덮은 DC브러시렌스 모터로 구성되어, 고속회전구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이 구동모터(160)에 의해 구동되는 스핀들축(154)을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재(177)의 베어링(177a) 및 하부 지지부재(178)의 베어링 (178a)으로의 그리스 등의 윤활유의 공급은, 모터하우징(184)의 윤활유 공급구로부터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6에 나타내듯이, 상부 지지부재(177)의 베어링(177a)으로의 윤활유의 공급에 있어서는, 모터하우징(184)의 상부 지지부재(177)를 관통하는 윤활유 통로(177d)를 형성하고, 이 윤활유 통로(177d)는 상부 지지부재(177)의 외측면에서 개구하는 상부 윤활유 공급구(177)로부터, 이 윤활유 통로(177d)를 통하여, 베어링 (177a)으로 윤활유를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 윤활유 공급구(177c)는, 베어링(177a)의 외주부 측방, 즉 베어링(177a)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윤활유 통로(177d)는, 상부 윤활유 공급구(177c)로부터 내측방향을 향하여 도중부까지는 거의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고, 도중부로부터 윤활유 통로(177d) 종단의 통로출구(177e)까지는 내측방향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통로출구(177e)는 상부 지지부재(177)의 내주면에 개구하여, 베어링 (177a)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고, 이 통로출구(177e)의 상방에는, 상부 지지부재 (177)의 내주면이 통로출구(177e)보다 내측으로 돌출하여 돌출부(177f)를 형성하고 있다.
또, 상부 윤활유 공급구(127c)는 베어링(127a) 외주부의 약간 하방 근처에 배치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부 윤활유 공급구(177c)로부터 윤활유를 공급하고, 윤활유 통로(177d)를 통하여, 베어링(177a)의 상방으로부터 이 베어링(177a)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 경우, 통로출구(177e)가 베어링(177a)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통로출구 (177e)로부터 상부 지지부재(177) 내부의 공간(186)으로 충전된 윤활유가, 하방의 베어링(177a)으로 확실하게 공급되게 된다.
또, 윤활유 통로(177d)의 통로출구(177e)의 상방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77f)가 형성되므로, 통로출구(177e)로부터 상기 공간(186)으로 충전된 윤활유가, 상방으로 밀어올려지는 것이 방지되는 것과 동시에 하방으로 밀어내려져서, 더욱 확실하게 베어링(177a)으로 공급된다.
상기 상부 윤활유 공급구(177c)는, 이 상부 윤활유 공급구(177c)로부터 윤활유 통로(177d)내로 니플(135)을 끼워넣음으로써, 윤활유의 공급시 이외에는 폐쇄되어 있어, 이 상부 윤활유 공급구(177c)로부터 외부로 윤활유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도 17에 나타내듯이, 하부 지지부재(178)의 베어링(178a)으로의 윤활유 공급에 있어서는, 모터지지부(176)와 하부 지지부재(178)의 끼워맞춤부에서, 이 모터지지부(176)의 측벽을 관통하는 윤활유 통로(176d) 및 하부 지지부재(178)의 측벽을 관통하는 윤활유 통로(178b)를 형성하고 있다. 이 윤활유 통로(176d)와 윤활유 통로(178b)는 연통하고 있고, 윤활유 통로(176d)는 모터지지부(176)의 외주면에서 하부 윤활유 공급구(176c)로서 개구하고 있다. 이 하부 윤활유 공급구(176c)는, 베어링(178a)의 외주부 측방, 즉 베어링(178a)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하부 윤활유 공급구(176c)로부터, 윤활유 통로(176d, 178b)를 통하여, 베어링(178a)으로 윤활유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부 지지부재(178)의 윤활유 통로(178b)가 이 하부 지지부재(178)의 내주면에서 개구하는 통로출구(178c)는, 베어링(178a)의 상방에 위치하고, 이 통로출구 (178c)의 상방에는, 내측으로 돌출하여 하부 지지부재(178)의 내측면으로부터 스핀들축(154)까지의 사이의 간격을 막는 시일부재(18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시일부재(187)에 의해, 통로출구(178c)로부터 하부 지지부재(178) 내부의 공간(188)에 충전된 윤활유가, 이 시일부재(187)보다 상방으로 밀어올려지는 것이 방지되어, 공간(188)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베어링(178a)으로 확실하게 공급된다.
또한, 상기 하부 윤활유 공급구(176c)는, 이 하부 윤활유 공급구(176c)로부터 윤활유 통로(176d) 내로 니플(135)을 끼워 넣음으로써, 윤활유의 공급시 이외에는 폐쇄되어 있어, 이 하부 윤활유 공급구(176c)로부터 윤활유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상부 윤활유 공급구(177c)는 하부 윤활유 공급구(176c)보다 상방에 형성되고, 이 상부 윤활유 공급구(177c)와 하부 윤활유 공급구(176c)는 거의 동일한 연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윤활유 공급구(177c) 및 하부 윤활유 공급구(176c)는, 단추구동형 다중연사기의 작업통로측(도 5에 있어서의 앞쪽)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8에 나타내듯이, 모터지지부(176)의 하부 윤활유 공급구(176c) 및 상부 윤활유 공급구(177c)의 거의 반대측의 측면에, 이 모터지지부(176)내와 외부를 연통하는 배선구(176e)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선구(176e)에는, 구동모터(160)의 고정자코일(181)에 전력을 공급하는 동력선이나, 검출용 자석(183)의 자력을 검출하는 상기 자기센서(183a)의 신호선 등이, 모터지지부(176)내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통과하여, 배선용 배관으로 침입하고 있다.
즉, 하부 윤활유 공급구(176c) 및 상부 윤활유 공급구(177c)는, 모터지지부(176)에 있어서의 단추구동형 다중연사기의 작업통로측에 형성되고, 배선구(176e)는 작업통로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모터지지부(176)에 있어서의 작업통로측이란, 단추구동형 다중연사기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선(201)의 작업통로측 180°의 범위(202)를 말하고, 작업통로 반대측이란, 단추구동형 다중연사기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선(201)의 작업통로측 반대측 180°의 범위(203)를 말한다.
이상과 같이, 모터하우징(184)의 모터지지부(176)의 일측면에 상하부 윤활유 공급구(177c, 176c)를 형성하므로, 윤활유의 공급작업시에, 스핀들축(154)을 지지하는 모터하우징(184)으로부터 상기 스핀들축(154)을 끼웠다 뺏다 할 필요가 없고, 스핀들축(154)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여 스핀들축(154)의 축심이 어긋나거나, 스핀들축(154)을 구동하는 구동모터(160)가 손상을 입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윤활유 공급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모터지지부(176)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상하부 윤활유 공급구(177c, 176c) 반대측에 배선구(176e)를 형성함으로써, 이 배선구(176e)가, 상하부 윤활유 공급구(177c, 176c)의 거의 하방 및 그 근방 이외에 위치하므로, 상하부 윤활유 공급구(177c, 176c)로부터 공급되는 그리스 등의 윤활유가, 모터하우징(184)의 내외로 흐르는 경우, 이 배선구(176e)를 통과하는 배선으로 흘러나온 윤활유가 부착하기 어렵게 되어, 윤활유에 의해 배선이 악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상하부 윤활유 공급구(177c, 176c)가 단추구동형 다중연사기의 작업통로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윤활유의 공급작업이 용이하게 행해져서,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배선구(176e)가 단추구동형 다중연사기의 작업통로 반대측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이 작업통로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모터(160)용 드라이버기판이 수납된 배선용 배관과 거리가 가깝게 되어, 구동모터(160)의 고정자코일(181)에 전력을 공급하는 동력선이나, 검출용 자석(183)의 자력을 검출하는 상기 자기센서(183a)의 신호선 등의 배선을 간소화할 수가 있다.
또, 상하부 윤활유 공급구(177c, 176c)가, 윤활유 공급구로서 상하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과 동시에 거의 동일한 연직직선상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윤활유 공급작업시에 보다 공급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작업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가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단추구동형 다중연사기의 연사유닛(151)에 있어서의, 모터하우징(184)으로부터 스핀들축(154)을 발취하기 위한 발취용 부재로서, 모터하우징(184)의 하단부에 부착된 캡(179)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에 나타내는 상기 캡(179)은, 스핀들축(154)을 지지하는 모터하우징 (184)의 하부 지지부재(178)의 하단부에 볼트 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나사구멍(179a)으로 나사식 삽입된 볼트(143)는 스핀들축(154)의 하단에 맞닿고, 그 후 볼트(143)를 더 나사식 삽입하면, 이 볼트(143)에 의해 스핀들축 (154)이 상방으로 밀어올려지게 되어, 이 스핀들축(154)을 간단하게 발취할 수가 있다.
삭제
삭제
이와 같이, 스핀들축(154)을 발취하기 위한 발취용 부재인 캡(179)을 상기 스핀들축(154)의 주변에 부착함으로써, 스핀들축(154)을 발취하기 위한 지그를 특별히 준비할 필요가 없어, 발취작업이 간편하게 된다.
또한, 상기 캡(179)이 스핀들축(154)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 캡(179) 부분으로부터 스핀들축(154)의 저면을 상방으로 밀어올리도록 구성하는 것만으로, 상기 캡(179)을 간단한 구조로 구성할 수가 있다.
또한, 캡(179)이, 스핀들축(154)과 동축의 나사구멍(179a)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스핀들축(154)을 발취하는 경우에는, 이 나사구멍(179a)으로 볼트를 나사식 삽입하는 것만으로, 스핀들축(154)을 상방으로 밀어올릴 수가 있어, 발취작업을 더욱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캡(179)의 구조를 더욱 간편하게 할 수가 있다.
또, 본 예의 경우, 단추구동형 다중연사기에는, 다수의 연사유닛(151)이 병설되어 있고, 각 연사유닛(151)에 각각 캡(179)을 미리 부착하고 있지만, 통상적으로는, 모터하우징(184)의 하부 지지부재(178)의 하단부에, 이 하단부를 폐쇄하는 저렴한 수지성 등의 캡을 부착할 수 있고, 스핀들축(154)을 모터하우징(184)으로부터 발취하는 경우에만, 나사구멍(179a)이 형성된 캡(179)을 하부 지지부재(178)의 하단부에 부착하여, 발취작업을 행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 캡(179)을 몇 개만 준비하여 두고, 스핀들축(154)을 발취할 때에는, 이 스핀들축(154)을 발취하는 연사유닛(151)에 순차적으로 부착하여 발취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단추구동형 다중연사기의 부품점수를 감소하여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므로, 이하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1항 내지 3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스핀들축을 삽입장착하지 않고 구동용 모터를 구성할 수가 있으므로, 스핀들축 등의 회전밸런스 조정작업과 병행하여 구동용 모터(M)의 품질검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스핀들축의 탈착을 로터와 함께 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스핀들축의 탈착시에 로터가 손상을 입는 일이 없다. 더욱이, 급사교환 등의 조건변경시에 있어서, 로터 및 고정자가 그대로 스핀들축을 교환할 수가 있다. 더욱이, 구동용 모터의 모터축과 스핀들축을 별개로 하여 구동용 모터의 모터축과 스핀들축을 결합하여 연결하는 경우, 양 축심을 정확하게 합치는 것이 매우 곤란하여, 아무래도 회전시의 진동이 크게 되어 효율이 저하하지만, 스핀들축 자체를 구동용 모터 내로 삽입하도록 하였으므로, 즉 스핀들축과 모터축을 일체화함으로써, 양 축심을 합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되어, 효율좋게 안정된 회전이 행해진다. 또한, 스핀들축과 모터축을 별개로 구성하면, 양 축을 각각 지지하는 축받이가 필요하게 되지만, 양 축을 일체화함으로써 축받이의 수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2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스핀들축을 발취한 상태에서도 지지수단에 의해 확실하게 로터를 고정자에 대향한 상태로 지지할 수가 있다.
청구항 3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에 의해, 스핀들축을 발취한 상태에서 로터를 고정자에 대향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고, 스핀들축의 삽입 또는 발취를 로터와는 분리하여 행할 수가 있다.
청구항 4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로터의 상하 양측에서 슬리브가 축받이지지되고, 이 슬리브 내에 스핀들축이 삽입됨으로써, 스핀들축의 단척(短尺)화가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스핀들축의 회전을 안정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5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에 의해, 관성이 큰 회전체의 고속회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6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삽입된 스핀들축의 중심위치결정을 정확하게 행하므로써, 연사가공중에 있어서의 스핀들축의 회전을 안정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7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에 의해, 스핀들축의 삽입 또는 발취가 용이하게 행해진다.
청구항 8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스핀들축을 상방으로 발취하기 위한 지그를 특별히 준비할 필요가 없어, 발취작업이 간단하게 된다. 또한 발취용 부재의 나사구멍에 볼트를 나사식 삽입하는 것만으로, 스핀들축을 축심방향으로 정확하게 밀어올릴 수가 있고, 스핀들축을 발취할 때의 로터와 고정자의 간섭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청구항 9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스핀들축을 구동하는 모터의 하우징에 윤활유 공급구를 형성하였으므로, 스핀들축을 발취하지 않고 축받이에 대한 윤활유의 공급이 행해지고, 윤활유 공급작업을 간단하게 행하는 것과 동시에, 스핀들축을 발취할 때에 모터를 손상시키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윤활유 공급구로부터 윤활유가, 하우징의 내외로 흐를 경우에도, 상기 배선구를 통과하는 배선으로 흘러 나온 윤활유가 부착하기 어렵게 되어, 윤활유에 의해 배선이 악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관한 연사유닛을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연사유닛의 주요부에 대하여, 스핀들축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연사유닛의 주요부에 대하여, 스핀들축을 삽입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4는 제2실시예에 관한 연사유닛의 주요부에 대하여, 스핀들축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5는 제3실시예에 관한 다수병설된 상태에 있는 단추구동형 다중연사기의 연사유닛을 나타내는 전체도이다.
도 6은 방적사용 단추구동형 다중연사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동일하게 단추구동형 다중연사기의 연사유닛을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8은 연사유닛의 구동모터부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9는 모터하우징의 하부 지지부재에 캡에 볼트를 나사식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10은 상부 지지부재의 베어링으로의 윤활유의 공급부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11은 하부 지지부재의 베어링으로의 윤활유 공급부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12는 윤활유 공급구와 배선구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필라멘트사용 단추구동형 다중연사기의 연사유닛을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있어서의 연사유닛의 구동모터부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있어서의 모터하우징의 하부 지지부재에 캡 볼트를 나사식 으로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에 있어서의 상부 지지부재의 베어링으로의 윤활유 공급부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17은 동일하게 하부 지지부재의 베어링으로의 윤활유 공급부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18은 동일하게 윤활유 공급구와 배선구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M ‥‥ 구동용 모터 1 ‥‥ 스핀들축
1a ‥‥ 테이퍼부 1b ‥‥ 걸림부
1c ‥‥ 나사홈부 2 ‥‥ 급사적재대
6 ‥‥ 회전디스크 10 ‥‥ 지지체
11 ‥‥ 슬리브 11a ‥‥ 대경부
11b ‥‥ 세경부 11c ‥‥ 테이퍼구멍
12 ‥‥ 로터 13 ‥‥ 모터지지부
14 ‥‥ 고정자 15 ‥‥ 하측 축받이 지지부재
16 ‥‥ 상측 축받이 지지부재 17 ‥‥ 하측 베어링
18 ‥‥ 상측 베어링 19 ‥‥ 하측 캡
20 ‥‥ 상측 캡 101 ‥‥ 연사유닛
104 ‥‥ 스핀들축 110 ‥‥ 구동모터
126 ‥‥ 모터지지부 126c ‥‥ 하부 윤활유 공급구
126e ‥‥ 배선구 127 ‥‥ 상부 지지부재
127a ‥‥ 베어링 128 ‥‥ 하부 지지부재
128b ‥‥ 베어링 129 ‥‥ 캡
129a ‥‥ 나사구멍 130 ‥‥ 에어조인트
134 ‥‥ 모터하우징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스핀들축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용 모터를 스핀들축과 동축으로 설치하고, 이 스핀들축의 회전에 의해 연사를 행하는 연사유닛이며, 상기 스핀들축과는 별개로 구성되어 외주면에 로터를 고정부착한 슬리브, 상기 구동용 모터의 고정자를 내주면에 부착한 모터하우징 및 상기 모터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슬리브를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하는 로터 상하 양측에 설치된 축받이로 구성되어 상기 스핀들축을 구동용 모터 안에서 발취한 상태에서 상기 로터를 구동용 모터의 상기 고정자에 대향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구동용 모터의 로터와는 분리하여 스핀들축을 구동용 모터 내로 삽입 또는 발취가능하도록 한 연사유닛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가, 축방향의 중앙부에 대경부를 보유하는 것과 동시에, 축방향의 상하 양단부에 상기 대경부보다 외경이 작은 세경부를 보유하고, 상기 대경부의 외주면에 상기 로터를 고정부착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세경부에서 상기 축받이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사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내주면에 형성된 테이퍼구멍과, 상기 스핀들축의 외주면에 형성된 테이퍼부를 보유하고, 상기 스핀들축의 삽입에 의해 상기 테이퍼구멍과 상기 테이퍼부가 테이퍼 끼워맞춤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사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에 대하여 스핀들축을 삽입한 상태에서는, 이 스핀들축을 포함하는 삽입물의 자중에 의해, 상기 테이퍼 끼워맞춤면에서 양자가 연사가공중에 상대회전되지 않도록 소정의 마찰력을 얻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사유닛.
  8. 실에 꼬임을 부여하기 위한 스핀들축을 별개로 구동하는 모터를 구비한 연사유닛에 있어서, 스핀들축을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하는 하우징으로부터 스핀들축을 상방으로 발취하기 위한 발취용 부재를 구비하고, 이 발취용 부재가 스핀들축의 하단부에 부착되고, 스핀들축과 동축의 나사구멍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사유닛.
  9. 실에 꼬임을 부여하기 위한 스핀들축을 별개로 구동하는 모터를 구비한 연사유닛에 있어서, 스핀들축을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하는 하우징의 특정개소에, 스핀들축을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하는 축받이에 윤활유를 공급하기 위한 유활유 공급구를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윤활유 공급구에 대하여 거의 연직하방 및 그 부근 이외의 위치에 스핀들축을 구동하는 모터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이 통과하는 배선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사유닛.
KR10-1999-0043014A 1998-10-06 1999-10-06 연사유닛 KR1004762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284314A JP2000110033A (ja) 1998-10-06 1998-10-06 単錘駆動型繊維機械
JP98-284314 1998-10-06
JP34280598A JP3322226B2 (ja) 1998-12-02 1998-12-02 撚糸ユニット
JP98-342805 1998-1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8868A KR20000028868A (ko) 2000-05-25
KR100476276B1 true KR100476276B1 (ko) 2005-03-16

Family

ID=26555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3014A KR100476276B1 (ko) 1998-10-06 1999-10-06 연사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76276B1 (ko)
CN (1) CN125732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40512A1 (de) * 2006-08-30 2008-03-06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Zwirnkopfrotor
CN101633450B (zh) * 2008-07-25 2012-03-07 天津宏大纺织机械有限公司 络筒机的卷绕机构
CN101956261B (zh) * 2010-08-13 2014-06-04 李奕权 绿色节能锭子及其包线机
CN102383226B (zh) * 2011-09-16 2014-01-01 江苏华宇机械有限公司 倍捻机
CN110846750B (zh) * 2019-11-19 2020-11-03 安徽双盈纺织有限公司 一种纺纱机械导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50118A (zh) 2000-04-12
KR20000028868A (ko) 2000-05-25
CN1257320C (zh) 200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6276B1 (ko) 연사유닛
EP1734160A2 (en) Power wiring for a twisting unit
KR100456713B1 (ko) 단추 구동형 다중 연사기
WO199200530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elastic corespun yarn
KR102297263B1 (ko) 실 헤드 로터
EP1149941A1 (en) Motor-driven three-axis friction false twisting device
EP0837164B1 (en) Yarn false twisting device
CN100436671C (zh) 捻线装置
CN110777454B (zh) 自由端转杯纺纱装置
JP3246546B2 (ja) 単錘駆動型多重撚糸機
JP2000110038A (ja) 単錘駆動型繊維機械
CN219410034U (zh) 一种锭子卷绕装置
CN216335910U (zh) 一种自动络筒机倒筒装置
CN219059226U (zh) 一种纺丝卷绕头的旋转导丝器
CN218756263U (zh) 一种用于加弹机一罗拉防僵丝旋转陶瓷导纱结合件
US20220316100A1 (en) Yarn texturing apparatus
RU2023070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рученой пряж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950000495Y1 (ko) 피복사 제조장치
JP2001303373A (ja) モータ駆動式三軸フリクション仮撚装置
JP3295874B2 (ja) 単錘駆動型多重撚糸機
CN106592025A (zh) 包括纺纱转子的自由端转子纺纱装置
JPS6128025A (ja) 二重撚糸機構を備えた繊維機械におけるパツケ−ジ駆動装置
JP2000170045A (ja) モータ駆動式三軸フリクション仮撚装置
JP2000234227A (ja) モータ駆動式三軸フリクション仮撚装置
JPH1161577A (ja) 多重撚糸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