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5762B1 - 원격제어 가능한 공시청망 잡음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공시청망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제어 가능한 공시청망 잡음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공시청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5762B1
KR100445762B1 KR1020030050600A KR20030050600A KR100445762B1 KR 100445762 B1 KR100445762 B1 KR 100445762B1 KR 1020030050600 A KR1020030050600 A KR 1020030050600A KR 20030050600 A KR20030050600 A KR 20030050600A KR 100445762 B1 KR100445762 B1 KR 100445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requency
network
local oscillation
noise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0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신열
권봉철
신재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니아텍
주식회사 제타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니아텍, 주식회사 제타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니아텍
Priority to KR1020030050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57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5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57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125Driving means, e.g. electrodes, coils
    • H03H9/145Driving means, e.g. electrodes, coils for networks using surface acoustic waves
    • H03H9/14502Surface acoustic wave [SAW] transducers for a particular purpo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1Broadband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0Frequency-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frequency-shift keying
    • H04L27/12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시청망으로 유입되는 잡음을 처리하기 위하여 배치된 잡음처리장치로서 헤드엔드로부터 원격으로 제어가 가능한 구성을 갖는 원격제어 가능한 공시청망 잡음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잡음처리장치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원격제어하는 공시청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시청망 잡음처리장치 및 공시청망 시스템에 따르면 인터넷 서비스를 위해 공시청망에 설치된 다수의 잡음처리장치를 헤드엔드에서 수동 또는 자동으로 원격제어할 수 있으므로 유지관리 비용이 저렴하고 문제 발생시에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원격제어 가능한 공시청망 잡음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시청망 시스템{ Remote Controllable MATV Anti-Noise Device, and MATV System using the same }
본 발명은 공시청망으로 유입되는 잡음을 처리하기 위하여 배치된 잡음처리장치로서 헤드엔드(Head-End)로부터 원격으로 제어가 가능한 구성을 갖는 원격제어 가능한 공시청망 잡음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잡음처리장치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원격제어하는 공시청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등의 집합건물에는 일반적으로 공시청망, 즉 MATV (Master Antenna Television) 망이 설치되어 있으나, 이러한 공시청망을 이용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는 공시청망에 트리(tree) 형태로 접속된 다수의 댁내 단말로부터 유입되는 상향대역의 잡음이 문제가 된다. 이에, 본 출원인은 본 특허출원과 동일자로 제출되는 다른 특허출원 "공시청망 잡음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시청망 시스템"에서 공시청망과 댁내 단말 사이에 특정의 잡음처리장치를 배치하는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다.
다만, 이러한 잡음처리장치는 각종의 기기설정, 특히 상향대역 채널을 설정하기 위해서 장치관리자가 직접 잡음처리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곳으로 가야하기 때문에 유지관리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문제발생 시에 신속한 대응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공시청망으로 유입되는 잡음을 처리하기 위하여 배치된 잡음처리장치로서 헤드엔드로부터 원격으로 제어가 가능한 구성을 갖는 원격제어 가능한 공시청망 잡음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잡음처리장치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원격제어하는 공시청망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 가능한 공시청망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 가능한 공시청망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시청망 잡음처리장치를 원격제어하는 서브콘트롤러의 일 구성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시청망 잡음처리장치를 원격제어하는 서브콘트롤러의 다른 구성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 가능한 공시청망 잡음처리장치의 구성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시청망 잡음처리장치에서 마이콤이 제1 및 제2 발진기를 제어하는 구성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0 : 하향경로모듈 411 : 고역통과필터
420 : 상향경로모듈 421, 428 : 저역통과 필터
422 : 레벨조정부 423, 426 : 혼합기
424, 427 : 증폭기 425 : 대역통과필터
430 : 제어발진모듈 431 : 마이콤
432, 433 : 발진기 434, 435 : FSK 수신기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공시청망에 배치되어 댁내단말로부터 유입되는 잡음을 처리하기 위한 원격제어 가능한 공시청망 잡음처리장치로서, 상기 공시청망 잡음처리장치는, 상기 공시청망과 상기 댁내단말 간에 소정의 고주파수 대역의 하향경로를 구성하는 하향경로모듈; 상기 댁내단말과 상기 공시청망 간에 소정의 저주파수 대역의 상향경로를 구성하는 상향경로모듈; 및 상기 상향경로모듈에 대해서 변복조용의 국부발진주파수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원격제어에 대응하여 상기 공시청망 잡음처리장치를 제어하는제어발진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발진모듈은, 상기 변복조용의 국부발진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하나이상의 발진기; 외부로부터 원격제어용 신호를 수신하는 원격제어 수신기; 및 상기 원격제어 수신기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원격제어용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발진기를 제어하여 상기 국부발진주파수 신호의 주파수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상향경로모듈의 주파수 채널을 설정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시청망 잡음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공시청망을 통해 접속된 다수의 댁내 단말에 대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시청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시청망과 상기 댁내 단말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이상의 잡음처리장치를 배치하고, 상기 공시청망 시스템의 특정 위치에 배치된 서브 콘트롤러는 상기 잡음처리장치에 대한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정보를 특정 방식에 따라 변조하여 장치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장치제어신호는 방송신호 및 인터넷 데이터 신호와 결합되어 상기 하향경로 신호가 구성되고, 상기 하향경로 신호는 상기 공시청망을 통해 상기 다수의 댁내 단말 및 상기 하나이상의 잡음처리장치로 전달되며, 상기 잡음처리장치는 상기 하향경로 신호로부터 상기 제어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잡음처리장치의 상향경로 신호에 대해서 주파수 채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시청망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 가능한 공시청망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CATV 송신국(111)에서 전송하는 방송신호 및 케이블 라우터(Cable Modem Termination System ; CMTS : 112) 장비에서 전송하는 인터넷 데이터 신호는 결합기(115)에서 결합되어 하나의 하향경로 신호를 구성하고, 이들은 통상 HFC 망(도시되지 않음)과 공시청망(116)을 거쳐 댁내 단말(118)로 전달된다. 또한, 댁내 단말(118)에서 전송하는 인터넷 데이터 신호는 반대로 공시청망(116)을 통해 CMTS (112)로 전달되며, 이로써 댁내 단말(118)에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공시청망(116)을 통하여 댁내 단말(118)에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신 시스템에 있어서 댁내 단말(118)로부터 유입되는 상향대역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서 하나이상의 잡음처리장치(117)를 배치하는데, 특히 잡음처리장치(117)는 원격지에서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이에 상기 잡음처리장치(117)를 원격제어할 목적으로 서브콘트롤러(113)가 제공된다.
도 1과 같은 구성의 공시청망 시스템을 운영함에 있어서 특히 잡음처리 성능을 제고하기 위해 장치(117)의 상향채널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상황에 따라서 잡음이 많이 유입되는 주파수 대역이 상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시청망 시스템을 운영하는 헤드엔드에서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상향채널에 잡음이 많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다른 채널로 변경할 필요가 있고, 이에 따라 서브콘트롤러(113)는 잡음처리장치(117)에 있어서 상향채널의 변경을 원격제어한다. 상기 원격제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서브콘트롤러(113)가 잡음처리장치(117)에 대한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제어신호는 결합기(115)에서 방송신호 및 인터넷 데이터 신호와 결합되어 공시청망(116)을 통해 하향경로 신호의 일부로서 잡음처리장치(117)로 전달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 가능한 공시청망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의 구성에서는 서브 콘트롤러(213)가 모뎀, 예컨대 케이블 모뎀(214)을 내장하여 케이블 라우터(212)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잡음처리장치(217)에 대한 상기 제어정보를 자동생성한다는 점에서 도 1의 실시예에 비해 특징을 갖는다. 케이블 라우터(212)로부터 전달받는 정보로서는 특히 상향채널 기술자(Upstream Channel Descriptor : UCD) 데이터가 바람직한데, 서브 콘트롤러(213)는 UCD 데이터에 기초하여 바람직한 상향채널, 즉 유입 잡음이 적은 상향채널을 판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서 서브콘트롤러(113, 213)이 생성하는 제어신호로는, 제어하고자 하는 잡음처리장치(117, 217)의 식별자; 및 변경하고자 하는 상향채널 식별자(채널 주파수 또는 채널넘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써 서브콘트롤러(113, 213)는 특정의 잡음처리장치(117, 217)가 소망하는 상향채널을 사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시청망 잡음처리장치(117)를 원격제어하는 서브콘트롤러(113)의 일 구성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키 입력부(312)를 통해 제어를 위한 정보를 입력하고, 마이콤(311)에서는 이에 기초하여 제어정보를 생성한다. 이어서, 제어정보는 FSK 변조부(313)에서 주파수-쉬프트 키잉(Frequency-Shift Keying : FSK) 변조된 후 외부로 전송되고,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기(115)에서 상기 하향경로 신호를 구성하여 공시청망(116)으로 전송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FSK 변조 방식을 사용하도록 되어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만, FSK 변복조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FSK 변조부(313)와 후술하는 FSK 수신기(434, 435)를 대단히 저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시청망 잡음처리장치(217)를 원격제어하는 서브콘트롤러(213)의 다른 구성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케이블 모뎀(314)을 통해 케이블 라우터(315)로부터 각종의 정보가 전달되고,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마이콤(411)은 잡음처리장치(217)에 대한 제어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이어서, 상기 제어정보는 FSK 변조부(413)에서 FSK 변조된 후 외부로 전송되고,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기(215)에서 상기 하향경로 신호를 구성하여 공시청망(216)으로 전송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블 라우터(315)가 제공하는 제어정보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UCD 데이터가 바람직하며, 마이콤(411)은 UCD 데이터에 기초하여 바람직한 상향채널, 즉 유입 잡음이 적은 상향채널을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 가능한 공시청망 잡음처리장치(117, 217)의 구성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잡음처리장치(117, 217)는 공시청망(516)과 댁내 단말(514) 사이에 배치되어 댁내 단말(514)로부터 공시청망(516)으로 유입되는 상향대역의 잡음을 처리하고 전술한 바 하향경로 신호에 결합되어 있는 장치제어신호를 추출하여 이에 따라 장치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며, 이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케이블 방송을 통한 인터넷 서비스는 DOCSIS라는 국제 케이블모뎀 규격에 따르는데, DOCSIS 규격은 상향신호(upstream signal)는 5~42 ㎒의 대역(이하 "상향대역")을 사용하고 하향신호(downstream signal)은 55~860 ㎒의 대역(이하 "하향대역")을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공시청망(516)과 댁내 단말(514)이 교환하는 상하향 신호는 상향대역의 신호와 하향대역의 신호가 혼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의 잡음신호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각 경로별로 주파수 대역에 따른 신호성분을 분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하향경로에 대해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55~860 ㎒의 대역에 대응하도록 고역통과필터(511)가 제공되어 공시청망(516)으로부터 전달되는 상하향 신호에 대해서 소정의 제1 차단주파수의 고역통과(high-pass) 특성으로 필터링을 수행한 후 그 결과신호를 댁내 단말(514)로 전달한다. 여기서, 제1 차단주파수는 상기 DOCSIS 규격에 따라서 55 ㎒ 정도로 설정되는데, 이로써 하향대역에 해당되지 않는 불필요한 잡음성분 및 상향경로를 통해 진입하는 상향경로 신호성분은 고역통과필터(511)에 의해 제거된다.
또한, 상향경로에 대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복잡한 형태의 신호처리가 수행되는데, 우선 상향경로는 제1 저역통과필터(521), 레벨조정부(522), 제1 혼합기(523), 제1 증폭기(524), 대역통과필터(525), 제2 혼합기(526), 제2 증폭기(527), 제2 저역통과필터(528)로서 이루어진다. 다만, 이러한 구성요소가 모두 필수적인 사항은 아니며, 이들 중 일부는 포함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상향경로에 대해 상세히 기술한다.
댁내 단말(514)으로부터 전달되는 상향신호에 대해서는 먼저 5~42 ㎒의 대역에 대응하도록 제1 저역통과필터(521)가 제공되어 소정의 제2 차단주파수의 저역통과(low-pass) 특성으로 필터링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2 차단주파수는 상기 제1 차단주파수보다는 낮은 값으로서 상기 DOCSIS 규격에 따라서 42 ㎒ 정도로 설정되며, 이로써 상향대역에 해당되지 않는 불필요한 잡음은 제1 저역통과필터(521)에 의해 일차적으로 제거된다. 한편, 제1 저역통과필터(521)는 후술하는 대역통과필터(525)와 관련하여도 그 필요성이 인정되는데, 이는 설계시에 소망하는 대로의 대역통과(band-pass) 특성을 갖는 필터를 얻는 것이 대단히 어렵기 때문에 먼저 저역통과필터(521)를 거침으로써 대역통과필터(525)의 고주파수 특성에 대해 설계상의 자유를 부여한다.
이어서, 제1 저역통과필터(521)의 출력신호가 소정의 입력범위를 넘지않도록 레벨조정부(522)를 통과시키고, 이 레벨조정부(522)의 출력신호에 제1 발진기(532)가 제공하는 제1 국부발진주파수 신호(local oscillator frequency)를 혼합함으로써 그 주파수를 중간주파수 대역으로 변조한다. 이러한 변조과정에서는 신호레벨이 감쇄되므로 제1 증폭기(524)에서 제1 혼합기(523)의 출력신호를 증폭하여 상기감쇄분을 보상하고, 이어서 대역통과필터(525)에서 상기 중간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특정의 대역통과 특성으로 필터링하여 상향경로의 신호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잡음을 제거한다.
이어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특정의 매칭필터(matching filter)가 제공되어 상기 대역통과 필터링된 결과신호에 대해 임피던스 매칭을 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매칭필터는 대역통과필터(525)에 대응되는 상기 중간주파수 대역에서 양단 회로, 즉 제2 혼합기(526) 쪽의 회로와 대역통과필터(525) 쪽의 회로 간의 임피던스를 매칭시켜 주기 위한 것이다. 매칭필터를 사용하면 상향경로에 있어서 신호의 반사를 최소화시켜 삽입손실을 줄이고 신호전달을 최대화할 수 있는데,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기(526) 전단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혼합기(526)에서 누설되는 국부발진주파수 신호를 차단하는 아이솔레이션(isolation)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상향경로에 있어서 스퓨리어스(spurious) 신호 및 혼변조 신호가 불필요하게 생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매칭필터는 대역통과필터(525)와 제2 혼합기(526) 사이를 비롯하여 여러 위치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공시청망 잡음처리장치(117, 217)를 설계할 때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이어서, 대역통과가 이루어진 상향신호에 대해서 제2 혼합기(526)에서는 제2 발진기(533)가 제공하는 제2 국부발진주파수 신호를 혼합함으로써 원래 주파수 대역으로 복조한다. 제1 국부발진주파수 신호와 제2 국부발진주파수 신호는 동일 주파수 및 동일 위상을 갖는 신호인 것이 가장 바람직한데, 마이콤(531)은 제1 발진기(532)와 제2 발진기(533)가 이러한 조건의 제1 및 제2 국부발진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복조과정에서도 상기 변조과정에서와 마찬가지로 역시 신호레벨이 감쇄되므로 제2 증폭기(527)에서는 제2 혼합기(526)의 출력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감쇄분을 보상한다. 이어서, 제2 저역통과필터(528)가 제공되어 상기 제2 증폭기(527)의 출력신호에 대해서 상기 제1 차단주파수보다 낮은 특정의 제3 차단주파수의 저역통과 특성으로 필터링을 수행하는데, 이는 변복조 과정에서 파생된 고조파 신호 및 제2 혼합기(526)에서 누설된 제2 국부발진주파수 신호 등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제3 차단주파수도 전술한 바 5~42 ㎒의 상향대역에 대응하도록 선택되며, 상기 제2 차단주파수와 동일하게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향경로를 통해 댁내 단말(514)이 제공하는 상향신호는 불필요한 잡음이 제거되어 공시청망(516)으로 전달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를 위해 공시청망(516)으로부터 전달되는 하향경로 신호가 도시된 바 FSK 수신기(534)로 전달되고, FSK 수신기(534)는 이로부터 서브콘트롤러(113, 213)이 생성하여 전송한 제어정보를 추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제어정보는 바람직하게는 특정의 상향채널 식별자(채널 주파수 또는 채널넘버)를 포함한다. 제어발진모듈(530)의 마이콤(531)은 상기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발진기(532, 533)를 제어하여 제1 및 제2 국부발진주파수 신호의 주파수를 변경하며, 이에 따라 상향채널이 변경된다. 마이콤(531)이 제1 및 제2 발진기(532, 533)를 제어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FSK 수신기(534)는 FSK 변복조 방식이 아닌 다른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하향경로 신호를 바로 사용하거나 혹은 FSK 수신기(535)와 같이 고역통과필터(511)를 통과한 신호를 사용하도록 구현될 수 있는데, 이는 FSK 수신기(534, 535)를 구현하는 방식, 예컨대 내부에 고역통과필터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사항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시청망 잡음처리장치에서 마이콤(531)이 제1 및 제2 발진기(532, 533)를 제어하는 구성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1 및 제2 발진기(532, 533)는 바람직하게는 PLL (Phase-Locked Loop) 방식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국부발진주파수(fLO1, fLO2) 신호를 생성하는데, 이하 잡음처리장치(117, 217)에 있어서 상향경로와 발진모듈 간의 관계 및 마이콤(531)의 제어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1 발진기(532)에서는 PLL 방식에 따라 제1 전압제어발진자(VCO : 614)에서 생성된 제1 국부발진주파수 신호(fLO1)를 제1 분주기(611)에서 주파수 분주하고 다시 제1 위상비교기(613)에서 기준신호(fref)와 위상비교하여 위상차에 따른 전압을 상기 제1 VCO (614)로 공급함으로써, 제1 국부발진주파수 신호(fLO1)를 소망하는 주파수 및 위상을 안정적으로 갖도록 생성한다. 한편, 제2 발진기(533)는 제1 발진기(532)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2 국부발진주파수 신호(fLO2)를 소망하는 주파수 및 위상을 안정적으로 갖도록 생성하며, 제1 및 제2 발진기(532, 533)는 공통의 기준신호(fref)를 사용함으로써 상호간에 주파수 편차 및 위상편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엄격히 관리한다. 이 때, 제1 및 제2 분주기(611, 621)는 프로그램으로 설정가능하며, 마이콤(531)은 분주기(611, 621)에 분주 데이터 값(N)을 설정함으로써 발진주파수를 소망하는 대로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제1 및 제2 혼합기(313, 317)에 대해서 설명한다. 신호처리 이론에 따라 두 신호를 혼합하면 합과 차에 해당하는 주파수 신호가 생성되므로, 입력주파수 fIN= 30 ㎒, 제1 국부발진주파수 신호 fLO1= 100 ㎒ 를 제1 혼합기(523)에서 혼합하면 그 출력(fIF)으로 70 ㎒ 신호와 130 ㎒ 신호가 생성된다. 이어서, 대역통과필터(525)는 이중에서 어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차에 해당하는 신호, 즉 70 ㎒ 신호를 통과시키도록 중심주파수 70 ㎒ 와 대역폭 3.5 ㎒ ("중간주파수 대역")를 갖도록 설계된다. 상기 대역통과필터(525)로는 SAW (Surface Acoustic Wave) 필터가 양호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대역통과필터(525)의 통과대역폭(BW)은 DOCSIS 규격에서 상향 1개 채널에 대해 최대 대역폭으로 규정하는 3.2 ㎒ 에 소정의 여유분(margin)을 반영한 3.5 ㎒ 가 양호하다.
이어서, 대역통과필터(525)에서 필터링된 신호, 즉 70 ㎒ 대역의 신호가 제2 혼합기(526)에서 제2 국부발진주파수 신호 fLO2= 100 ㎒ 와 혼합되는데, 이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원래의 입력주파수 fIN= 30 ㎒ 에 해당하는 출력신호(fOUT)를 얻을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국부발진주파수 신호(fLO1, fLO2)에 대해서 별도의 제1 및 제2 발진기(532, 533)를 마련하여 마이콤(531)을 사용하여 서로 동일 주파수 및 동일 위상을 갖도록 제어함으로써, 위상 천이 등과 같은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FSK 수신기(534)는 하향경로 신호에 결합되어 있는 서브콘트롤러(113, 213)의 제어정보를 추출하여 마이콤(531)로 제공하는데, 마이콤(531)은 상기 제어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채널 식별자에 기초하여 최적의 분주 데이터(N)을 선택하여 제1 및 제2 분주기(611, 621)을 설정하고, 이로써 제1 및 제2 국부발진주파수(fLO1, fLO2) 신호의 주파수가 변경되어 상향경로의 채널이 제어정보에 지정된 채널로 변경된다.
본 발명의 공시청망 잡음처리장치 및 공시청망 시스템에 따르면 인터넷 서비스를 위해 공시청망에 설치된 다수의 잡음처리장치를 헤드엔드에서 수동 또는 자동으로 원격제어할 수 있으므로 유지관리 비용이 저렴하고 문제 발생시에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공시청망에 배치되어 댁내단말로부터 유입되는 잡음을 처리하기 위한 원격제어 가능한 공시청망 잡음처리장치로서,
    상기 공시청망 잡음처리장치는, 상기 공시청망과 상기 댁내단말 간에 소정의 고주파수 대역의 하향경로를 구성하는 하향경로모듈; 상기 댁내단말과 상기 공시청망 간에 소정의 저주파수 대역의 상향경로를 구성하는 상향경로모듈; 및 상기 상향경로모듈에 대해서 변복조용의 국부발진주파수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원격제어에 대응하여 상기 공시청망 잡음처리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발진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발진모듈은, 상기 변복조용의 국부발진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하나이상의 발진기; 상기 공시청망으로부터의 하향경로 신호로부터 원격제어 정보를 추출하는 원격제어 수신기; 및 상기 원격제어 수신기에서 추출된 상기 원격제어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발진기를 제어하여 상기 국부발진주파수 신호의 주파수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상향경로모듈의 주파수 채널을 설정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시청망 잡음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경로모듈은 상기 공시청망으로부터의 하향경로 신호를 특정 제1 차단주파수의 고역통과 특성으로 필터링하는 고역통과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발진기는, 변조용의 제1 국부발진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제1 발진기; 및 복조용의 제2 국부발진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제2 발진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발진기는 상기 제1 및 제2 국부발진주파수 신호가 동일 주파수 및 동일 위상으로 생성되도록 상기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상향경로모듈은, 상기 댁내단말로부터의 상향경로 신호를 상기 제1 차단주파수보다 낮은 특정 제2 차단주파수의 저역통과 특성으로 필터링하는 제1 저역통과필터; 상기 제1 저역통과필터의 출력신호에 대해서 소정의 입력범위를 넘지않도록 조정하는 레벨조정부; 상기 레벨조정부의 출력신호에 상기 제1 국부발진주파수 신호를 혼합하여 변조하는 제1 혼합기; 상기 제1 혼합기의 출련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변조에 따른 감쇄를 보상하는 제1 증폭기; 상기 제1 국부발진주파수 신호와 상기 상향경로 신호에 따른 중간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특정 대역통과 특성으로 상기 제1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필터링하는 대역통과필터; 상기 대역통과필터의 출력신호에 상기 제2 국부발진주파수 신호를 혼합하여 복조하는 제2 혼합기; 상기 제2 혼합기의 출력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복조에 따른 감쇄를 보상하는 제2 증폭기; 및 상기 제2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제1 차단주파수보다 낮은 특정 제3 차단주파수의 저역통과 특성으로 필터링하는 제2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시청망 잡음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통과필터는 SAW 필터를 사용하여 구성되고, 상기 SAW 주파수의 중심주파수는 상기 제1 국부발진주파수 신호와 상기 상향경로 신호의 주파수 차성분에 대응하는 주파수로 설정되고, 상기 SAW 주파수의 대역폭은 상기 상향경로 신호에서 1개 채널의 최대 대역폭에 소정의 여유분을 가산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시청망의 잡음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발진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상기 발진기는, 특정 주파수의 기준신호를 출력하는 기준신호발생기; 설정된 분주 데이터 값에 따라서 입력신호를 주파수 분주하여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분주기; 상기 기준신호와 상기 분주기의 출력신호를 위상비교하여 위상차에 따른 전압을 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위상비교기; 및 그 주파수가 상기 위상비교기의 출력전압에 의해 제어되어 국부발진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국부발진신호를 상기 분주기의 입력신호로 제공하는 전압제어발진자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나이상의 발진기는 공통의 기준신호발생기를 사용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하나이상의 발진기에 대해서 상기 분주기의 분주 데이터 값을 공통으로 설정하되 상기 원격제어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분주 데이터 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시청망의 잡음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경로모듈은 상기 대역통과필터의 출력신호에 대해 상기 중간주파수 대역 상에서 임피던스 매칭을 설정하는 매칭필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매칭필터의 출력신호는 상기 제2 혼합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시청망 잡음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 정보는 FSK 변조된 후 상기 하향경로 신호에 결합되어 전송된 신호이고, 상기 원격제어 수신기는 FSK 수신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하향경로 신호로부터 상기 FSK 변조된 신호를 추출한 후 이를 복조하여 상기 원격제어 정보를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시청망 잡음처리장치.
  7. 공시청망을 통해 접속된 다수의 댁내 단말에 대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시청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시청망과 상기 댁내 단말 사이에 제1항에 따른 하나이상의 잡음처리장치를 배치하고, 상기 공시청망 시스템의 특정 위치에 배치된 서브 콘트롤러는 상기 잡음처리장치에 대한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정보를 특정 방식에 따라 변조하여 장치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장치제어신호는 방송신호 및 인터넷 데이터 신호와 결합되어 상기 하향경로 신호가 구성되고, 상기 하향경로 신호는 상기 공시청망을 통해 상기 다수의댁내 단말 및 상기 하나이상의 잡음처리장치로 전달되며,
    상기 잡음처리장치는 상기 하향경로 신호로부터 상기 제어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잡음처리장치의 상향경로 신호에 대해서 주파수 채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시청망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콘트롤러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에 따라서 상기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시청망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콘트롤러는 상기 공시청망 시스템의 케이블 라우터(CMTS) 장비로부터 전달받은 상향채널 기술자(UCD)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입잡음이 적은 상향채널을 판단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제어정보를 자동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시청망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제어신호를 구성하기 위한 상기 특정의 변조방식은 FSK 변조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시청망 시스템.
KR1020030050600A 2003-07-23 2003-07-23 원격제어 가능한 공시청망 잡음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공시청망 시스템 KR100445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0600A KR100445762B1 (ko) 2003-07-23 2003-07-23 원격제어 가능한 공시청망 잡음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공시청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0600A KR100445762B1 (ko) 2003-07-23 2003-07-23 원격제어 가능한 공시청망 잡음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공시청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5762B1 true KR100445762B1 (ko) 2004-08-25

Family

ID=37362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0600A KR100445762B1 (ko) 2003-07-23 2003-07-23 원격제어 가능한 공시청망 잡음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공시청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57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061B1 (ko) 2006-04-07 2007-11-16 이중섭 상향신호 감쇄기, 이를 이용한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 및상향신호 감쇄 증폭기용 외부 리모컨
US20220239869A1 (en) * 2019-05-31 2022-07-28 Neuro Device Group S.A. System for communicating with a subject and/or for supervision of the subject dur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amera module, control unit, receiving and sending unit and optical transmiss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061B1 (ko) 2006-04-07 2007-11-16 이중섭 상향신호 감쇄기, 이를 이용한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 및상향신호 감쇄 증폭기용 외부 리모컨
US20220239869A1 (en) * 2019-05-31 2022-07-28 Neuro Device Group S.A. System for communicating with a subject and/or for supervision of the subject dur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amera module, control unit, receiving and sending unit and optical transmiss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8893B1 (en) Bidirectional trunk amplifier and cable modem for cable hybrid fiber and coax network which utilizes an upstream pilot signal
US6377314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alog and digital information signals
US8584192B2 (en) Upstream bandwidth conditioning device
MXPA01008369A (es) Sistema de ajuste de parametros de comunicacion en un sistema de comunicacion bidireccional compatible con internet.
WO1996024207A1 (en) Method and system for clearing a frequency band
KR100445762B1 (ko) 원격제어 가능한 공시청망 잡음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공시청망 시스템
JP3719926B2 (ja) デジタル信号受信用チューナ
US1017844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ower management in a frequency division multiplexed network
KR100435221B1 (ko) 공시청망 잡음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시청망 시스템
KR100366234B1 (ko) 공시청망(matv)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용 필터링 장치
JP3850225B2 (ja) ケーブルモデム用チューナ
KR100559782B1 (ko) 케이블 티브이망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노이즈 필터링 및 신호 증폭 장치
JP3649614B2 (ja) 双方向catvシステムに接続された集合住宅内の棟内伝送システム
KR100611408B1 (ko) 공시청망(matv)을 이용한 근거리 통신 시스템
JP2009512336A (ja) 周波数選択ケーブル反射器
JP4658310B2 (ja) 双方向catvシステム
JP3668024B2 (ja) ネットワークインターフェイスモジュール
JP4598979B2 (ja) アップコンバータ、ケーブルモデム、及び、棟内catvシステム
JP2000059746A (ja) Catvシステム及びその端末装置
Rostami et al. Robust cable remote control for set-top boxes
KR100402378B1 (ko) 에이치에프씨망 무선 가입자 서비스 시스템
JP4029894B2 (ja) 送信方法
JP3745610B2 (ja) ミリ波帯無線通信方法
WO2003096692A1 (en) Noise filtering apparatus for internet service using master antenna television network
KR20030073892A (ko) 공시청망(matv)을 이용한 근거리 통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