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7061B1 - 상향신호 감쇄기, 이를 이용한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 및상향신호 감쇄 증폭기용 외부 리모컨 - Google Patents

상향신호 감쇄기, 이를 이용한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 및상향신호 감쇄 증폭기용 외부 리모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7061B1
KR100777061B1 KR1020060032008A KR20060032008A KR100777061B1 KR 100777061 B1 KR100777061 B1 KR 100777061B1 KR 1020060032008 A KR1020060032008 A KR 1020060032008A KR 20060032008 A KR20060032008 A KR 20060032008A KR 100777061 B1 KR100777061 B1 KR 100777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input
external remote
up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2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0564A (ko
Inventor
이중섭
Original Assignee
이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섭 filed Critical 이중섭
Priority to KR1020060032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7061B1/ko
Publication of KR20070100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0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1/00Details of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mplification
    • H03G1/02Remote control of amplification, tone or bandwidth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1/00Details of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mplification
    • H03G1/04Modifications of control circuit to reduce distortion caused by contro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ubclass H03G
    • H03G2201/10Gain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ed element
    • H03G2201/106Gain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ed element being attenuating element

Landscapes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향신호 감쇄기와 이를 이용한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상향신호 감쇄기는, 입력포트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포트와, 입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와, 입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고 신호처리하여 출력하는 하향신호 처리부와, 하향신호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분기시켜 상기 각 출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로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기회로 및 외부 리모컨연결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출력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향신호를 결합하고, 결합된 상향신호에 대한 증폭 및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입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로 출력하는 상향신호 처리부를 구비한 케이블 티브이 전송망 증폭기의 상향신호 감쇄기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리모컨연결단자에 접속되어, 외부 리모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접속단자, 상기 접속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외부 리모컨의 전원공급에 따라 상기 출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로부터 입력되는 상향신호를 접지시키는 릴레이, 상기 릴레이에 연결되어 상향신호를 차단하는 접지저항 및 상기 릴레이로부터 출력되는 상향신호를 일정한 레벨로 감쇄하여 상기 상향신호 처리부로 출력하는 감쇄기를 포함하되, 상기 상향신호 감쇄기는 상기 출력포트에 일대일로 대응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신호 감쇄기이다.
또한, 상기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는, 케이블 티브이 전송망의 하향신호와 상향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에 있어서, 하향신호가 입력되고, 상향신호가 출력되는 입력포트, 상향신호가 입력되고, 하향신호가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포트, 상기 입력포트에 연결되어 입력되는 하향신호 또는 상향신호를 대역별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입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 상기 각 출력포트에 각각 연결되어 입력되는 하향신호 또는 상향신호를 대역별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 상기 입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고 신호처리하여 출력하는 하향신호 처리부, 상기 하향신호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분기시켜 상기 각 출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로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기회로 및 외부 리모컨 연결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리모컨 연결단자를 통해 외부 리모컨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리모컨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각 출력포트로부터 입력되는 상향 데이터 신호 중 특정 출력포트로부터 입력되는 상향신호를 차단하며, 상기 출력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향신호를 결합하고, 결합된 상향신호에 대한 증폭 및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입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로 출력하는 상향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이즈 발생위치를 찾는데 많은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송 및 인터넷 장애를 최소화하여 가입자에게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며, 불필요한 시간과 인건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전원공급을 전송망의 전원에서 공급받지 않고 사용함으로써 낙뢰 또는, 서지 과전압에 의한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며, 전송망의 전류를 최소화하여 전송망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증폭기, 노이즈 제거, 릴레이, 케이블 전송망

Description

상향신호 감쇄기, 이를 이용한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 및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용 외부 리모컨{Diminution device for uploading signal and Amplifier thereof and Romote controller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케이블 티브이 전송망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의 구성 블록도.
도 4a,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신호 처리부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리모컨의 외부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리모컨의 내구 구성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 110 : 외부 리모컨
200 : 분기기 214 : CMTS
220 : 가입자단 250 : 분배기
302 : 입력포트 304 : 출력포트
306 : 입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 308 : 출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
310 : 하향신호 처리부 312 : 모니터링 단자
314 : 분기회로 316 : 상향신호 처리부
402 : 외부 리모컨 연결단자 406 : 상향신호 결합기
408 : 저대역통과필터 410 : 상향신호 증폭기
412 : 등화기 414 : 제2상향신호 감쇄기
416 : 제1상향신호 감쇄기 420 : 접속단자
422 : 릴레이 424 : 감쇄기
500 : 디스플레이부 502 : 인입선 연결단자
504 : 연결 케이블 506 : 키입력부
600 : 제어부 602 : 메모리부
604 : 연결 인터페이스 606 : 전원부
본 발명은 상향신호 감쇄기와 이를 이용한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 및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용 외부 리모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가입자단 으로부터 출력되는 상향신호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노이즈 발생지점을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는 상향신호 감쇄기와 이를 이용한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 및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용 외부 리모컨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케이블 티브이 전송시스템은 케이블 방송뿐만 아니라 인터넷, VOD(주문형 비디오, Video On Demand), 디지털 방송, 방범, 방재 등의 다채로운 사업매체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케이블 티브이 전송시스템은 송출실(국사)과 다수의 증폭기, 분배기 및 분기기로 구성된다.
도 2는 케이블 티브이 전송망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케이블 티브이 방송국으로부터 다수의 가입자에게 음성이나 화상 및 데이터 등의 RF 신호(이하 '하향 방송신호')를 제공하고, 가입자가 케이블 모뎀 등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데이터신호(이하 '상향 데이터신호')를 케이블모뎀 전송시스템(CMTS, Cable Modem Transmition System)으로 전달하는 케이블 티브이 전송망은,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동축혼합형 트리구조로 구성된다.
이를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송출실에서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알에프(RF, Radio Frequency) 신호로 변조하여 주파수(채널)를 할당한다.
채널 변조기(212)에서 채널로 변조된 신호는 다시 결합되어 혼합기를 통하여 광송신기에 입력되고, 광케이블로 연결되어 옥외형광수신기(ONU, Optical Network Unit)에서 RF 신호로 변조된다.
RF 신호는 동축케이블로 전송되며, 동축케이블을 통한 RF 신호는 감쇄되고, 감쇄된 신호를 다시 증폭시키기 위하여 증폭기(amplifier)(100)가 사용되며, 증폭기(100)를 통해 증폭된 신호는 분배기(250)에 입력되고, 분배기(250)는 입력된 신호를 분배기(250)에 연결된 다수의 분기기(200 등)로 분배하게 되며, 분기기(200)는 분기기(200)에 연결된 가입자단(220)으로 알에프 신호를 분배하여 전송하고, 가입자단(22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위단으로 전송하게 된다.
가입자단(220)에는 티브이 또는 인터넷(케이블 모뎀)이 설치되며, 가입자단(220)과 분기기(200)는 인입선을 통해 연결된다.
가입자는 티브이 또는 케이블 모뎀을 이용하여 케이블 티브이를 시청하거나, 인터넷 통신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전송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양방향 통신이 순조롭게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양방향 통신을 순조롭게 유지하기 위하여 케이블 티브이 시스템이 유지보수에는 많은 기술과 노력이 요구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케이블 티브이 전송 시스템의 가장 큰 관리상 문제점은, 가입자단(220)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 즉 상향신호의 관리의 어려움에 있다.
즉, 가입자는 케이블 모뎀을 통하여 송출실 CMTS(케이블 모뎀 전송시스템)(214)로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케이블 시스템의 전송망 구성시스템은 주파수 분리대역을 사용하여 국사(송출실)에서 보내지는 하향 신호의 주파수는 케이블 티브이의 경우 54-870MHz 대역을 사용하며, 가입자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상향 신호의 주파수는 5-42MHz 대역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된 전송 시스템의 최대 단점은 가입자단(220)으로부터 전송되는 상향신호에 데이터 신호와 노이즈가 동반되어 전송된다는 것이다.
노이즈가 데이터 신호에 많은 악영향을 줌으로써, 노이즈를 최소화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옥외형 광송수신장치(ONU, Optical Network Unit)에서 동축망은 트리형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트리형 구조를 취하기 때문에, 노이즈가 발생한 경우, 노이즈가 발생한 지점을 찾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했었다.
노이즈가 발생된 지점을 찾기 위해서는 전송망의 일부분의 상향신호를 차단함으로써, 그 위치를 점차적으로 좁혀 나가면서 그 위치를 찾아야 하므로, 고장 정비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노이즈가 발생한 경우, 노이즈 발생지점을 찾기 위해, 우선 옥외형 광송수신장치 포트를 확인하고, 다음 선로로 이어지는 증폭기(100)와 분기기(200) 및 가입자 인입선까지 많은 선로를 일일이 확인해야 노이즈 발생지점을 확인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증폭기(100)에는 노이즈가 발생한 경우, 가입자단(220) 또는 분기기(200)로부터 입력되는 상향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아무런 구성이 없었기 때문에, 확인과정에서 증폭기(100)의 밑부분을 제거하여야만 증폭기(100)에 연결된 하위단 중 어느 단에서 노이즈가 발생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노이즈 확인을 위해서 상술한 바와 같은 작업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가입자는 방송이 중단되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노이즈 확인을 위해서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수행해야 하므로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며, 작업과정에서 수분 또는 기타 이물질이 증폭기 내부에 들어가게 되어 증폭기(100)의 고장을 유발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릴레이 등의 신호차단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다수의 가입자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향신호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노이즈 발생 위치를 빠르고 손쉽게 추적할 수 있으며, 전송 시스템 정비과정에서 가입자가 케이블 티브이 방송 및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장애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상향신호 감쇄기와 이를 이용한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 및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용 외부 리모컨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포트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포트와, 입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와, 입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고 신호처리하여 출력하는 하향신호 처리부와, 하향신호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분기시켜 상기 각 출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 로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기회로 및 외부 리모컨연결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출력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향신호를 결합하고, 결합된 상향신호에 대한 증폭 및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입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로 출력하는 상향신호 처리부를 구비한 케이블 티브이 전송망 증폭기의 상향신호 감쇄기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리모컨연결단자에 접속되어, 외부 리모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접속단자; 상기 접속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외부 리모컨의 전원공급에 따라 상기 출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로부터 입력되는 상향신호를 접지시키는 릴레이; 상기 릴레이에 연결되어 상향신호를 차단하는 접지저항; 및 상기 릴레이로부터 출력되는 상향신호를 일정한 레벨로 감쇄하여 상기 상향신호 처리부로 출력하는 감쇄기를 포함하되, 상기 상향신호 감쇄기는 상기 출력포트에 일대일로 대응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신호 감쇄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 티브이 전송망의 하향신호와 상향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에 있어서, 하향신호가 입력되고, 상향신호가 출력되는 입력포트; 상향신호가 입력되고, 하향신호가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포트; 상기 입력포트에 연결되어 입력되는 하향신호 또는 상향신호를 대역별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입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 상기 각 출력포트에 각각 연결되어 입력되는 하향신호 또는 상향신호를 대역별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 상기 입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고 신호처리하여 출력하는 하향신호 처리부; 상기 하향신호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분기시켜 상기 각 출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로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기회로; 및 외부 리모컨 연결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리모컨 연결단자를 통해 외부 리모컨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리모컨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각 출력포트로부터 입력되는 상향 데이터 신호 중 특정 출력포트로부터 입력되는 상향신호를 차단하며, 상기 출력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향신호를 결합하고, 결합된 상향신호에 대한 증폭 및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입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로 출력하는 상향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에 연결되는 외부 리모컨에 있어서, 충전용 전지로 구성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른 키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부; 상기 리모컨 연결단자에 결합되어, 상기 리모컨 연결단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 케이블;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키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리모컨 연결단자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용 외부 리모컨이 제공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와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용 외부 리모컨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와 상향 신호 감쇄 증폭기용 외부 리모컨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증폭기(100)는 케이블 티브이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하향 방송신호를 증폭하여 분기기(220) 또는 분배기(250)에 전송하고, 분배기(220) 또는 분기기(250)를 통해 가입자단(220)으로부터 입력되는 상향 데이터신호를 증폭하여 케이블모뎀 전송시스템(214)으로 전송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100)는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용 외부 리모컨(이하 '리모컨')(110)에 연결되어, 리모컨(110)의 제어에 따라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100)에 연결된 특정 분기기(220) 또는 분배기(250)로부터 입력되는 상향신호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110)은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10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특정 분기기(220) 또는 분배기(250)로부터 입력되는 상향신호를 차단하도록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100)를 제어하게 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100) 및 리모컨(11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 티브이 전송망에 사용되는 증폭기(100)는 증폭기(100)의 일측면에 위치한 입력포트(302)를 통해서 하향 방송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하고, 증폭된 하향신호를 일 측면 또는 타 측면에 위치한 복수의 출력포트(304)를 통해서 분기기(200) 또는 분배기(250)로 출력하게 된다.
동일한 원리로, 가입자단(220)에서 입력되는 상향 데이터신호는 분기기(200) 또는 분배기(250)를 통해서 증폭기(100)의 일 측면 또는 타 측면에 위치한 출력포트(304)를 통해서 증폭기(100)로 입력되어 증폭되고, 증폭기(100)의 일 측면에 위치한 입력포트(312)를 통해서 케이블모뎀시스템(214) 또는 타 증폭기로 전송된다.
본 발명은 증폭기(100)에 연결된 특정 분기기(200) 또는 분배기(이하 '분기기'만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분배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250)로부터 입력되는 상향신호를 케이블 티브이 전송망 관리자가 임의로 차단할 수 있는 증폭기(100)를 제공하여, 증폭기(100)를 해체하거나, 분기기(200)와의 연결을 해체하지 않고 상향 데이터신호를 차단할 수 있는 증폭기(100)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100)는 입력포트(302), 출력포트(304), 입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306), 출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308), 하향신호 처리부(310), 분기회로(314), 상향신호 처리부(316)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포트(302)는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100)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상위단(즉, 상향송신기 또는 다른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과 동축케이블로 연결되어, 상위단으로부터 전송되는 하향신호(케이블 방송신호)가 입력되고 하위단(분배기(220) 또는 분기기(250) 또는 다른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으로부터 입력되는 상향신호가 출력되며, 출력포트(304)는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100)의 일 측면 또는 타 측면에 위치하여, 하위단과 동축케이블로 연결되어 하위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상향신호가 입력되고, 상위단으로부터 입력된 하향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이러한 출력포트(304)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3개의 출력포트(304)를 가진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100)를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306)는 입력포트(302)에 연결되어, 입력포트(302)를 통해 입력되는 하향신호 또는 상향신호를 대역별로 분리하여 출력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케이블 티브이 시스템에서 하향 신호의 주파수는 54-870MHz 대역을 사용하며, 상향 신호의 주파수는 5-42MHz 대역을 사용하게 되므로, 입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306)는 입력된 신호의 대역을 분리하여 54-870MHz 대역의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를 하향신호 처리부(310)로 출력하고, 5-42MHz 대역의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를 입력포트(302)를 통해 상위단으로 출력하게 된다.
출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308)는 각 출력포트(304)에 각각 연결되어 입력되는 하향신호 또는 상향신호를 대역별로 분리하여 출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100)는 복수의 출력포트를 구비하도록 구성되므로, 이에 대응되어 출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308)의 개수도 정해지게 된다. 즉, 출력포트(304)가 3개인 경우, 출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308)도 3개가 구비되게 된다. 출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308)는 입력된 신호의 대역을 분리하여 54-870MHz 대역의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를 연결된 출력포트(304)를 통해 하위단으로 출력하고, 5-42MHz 대역의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를 상향신호 처리부(316)로 출력하게 된다
하향신호 처리부(310)는 입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30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고 신호처리하여 출력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하향신호 처리부(310)는 증폭기(미도시), 감쇄기(미도시), 등화기(미도시) 등으로 구성되어 입력되는 하향신호를 일정한 크기로 증폭하며, 증폭된 과정에서 발생하는 주파수간의 오차를 등화기를 통해 보정한 후 감쇄기를 통해 일정한 레벨로 감쇄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하향신호 처리부(310)의 구성은 종래의 기술을 채택하고 있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신호 처리부(310)는 모니터링 단자(3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단자(312)는 외부 리모컨(110)에 연결되어,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100)로부터 하위단으로 출력되는 하향신호와 동일한 하향신호를 외부 리모컨(110)에 출력하게 된다.
분기회로(314)는 하향신호 처리부(3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분기시켜 각 출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308)로 출력하게 된다. 분기회로(314)는 통상적으로 커플러 등의 분기소자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 역시 종래의 기술을 채택하고 있다. 분기회로(314)의 개수는 본 발명에 따른 출력포트(304)의 개수에 따라 가변적으로 채택될 수 있으며, 특정 분기회로에서 분기된 하향신호가 상술한 모니터링 단자(312)에 연결되어 외부 리모컨(110)에 하향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향신호 처리부(316)는 외부 리모컨 연결단자(402)를 구비하고, 외부 리모 컨 연결단자(402)를 통해 외부 리모컨(110)에 연결되어 외부 리모컨(110)의 제어에 따라 각 출력포트(304)로부터 입력되는 상향 데이터 신호 중 특정 출력포트(304)로부터 입력되는 상향신호를 차단하며, 출력포트(304)를 통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향신호를 결합하고, 결합된 상향신호에 대한 증폭 및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입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306)로 출력하게 된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신호 처리부의 구성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향신호 처리부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신호 처리부(316)는 외부 리모컨 연결단자(402), 제1상향신호 감쇄기(416a 내지 416c), 상향신호 결합기(406), 저대역 통과 필터(408), 상향신호 증폭기(410) 및 제2상향신호 감쇄기(414)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리모컨 연결단자(402)에는 외부 리모컨(110)이 연결되어 외부 리모컨(11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연결된 복수의 제1상향신호 감쇄기(416a 내지 416c) 중 특정 제1상향신호 감쇄기(416a 내지 416c)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제1상향신호 감쇄기(416a 내지 416c)는 각 출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308)로부터 출력되는 상향신호를 입력받아 일정한 레벨로 감쇄하여 상향신호 결합기(406)로 출력하게 되며, 외부 리모컨 연결단자(402)를 통해 외부 리모컨(110)에 연결되 어 외부 리모컨(110)의 제어에 따라 각 출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308)로부터 입력되는 상향신호 중 특정 상향신호를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제1상향신호 감쇄기(416)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4b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이러한 제1상향신호 감쇄기는 각 출력포트의 수에 상응하는 수의 제1상향신호 감쇄기가 구비되어 각 출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308a 내지 308c)로부터 입력되는 상향신호를 감쇄하거나 또는 차단하게 된다.
상향신호 결합기(406)는 제1상향신호 감쇄기(416a 내지 416c)로부터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향신호를 결합하여 출력하게 된다.
저대역 통과 필터(408) 상향신호 결합기(406)로부터 출력되는 상향신호를 필터링하여 출력하게 되며, 상향신호 증폭기(410)는 저대역 통과 필터(408)로부터 출력되는 상향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42MHz 이상의 신호를 필터링하는 로우 패스 필터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스템에서 상향신호로 한정하고 있는 대역이상의 신호를 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향신호 처리부는 등화기(Equalizer)(412) 및 제2상향신호 감쇄기(4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등화기(412)는 상향신호 증폭기(410)와 제2상향신호 감쇄기(414) 사이에 위치하여, 상향신호 증폭기(410)로부터 출력되는 상향신호를 보정하여 제2상향신호 감쇄기(414)로 출력하게 된다. 등화기(Equalizer)(412)란, 신호의 증폭이나 전송 과정에서 생기는 변형을 보정하기 위하여 증폭이나 전송로에 삽입하고, 그 특성을 종합해서 균일화하는 기능을 갖게 한 장치를 말한다.
제2상향신호 감쇄기(414)는 상향신호 증폭기(410)로부터 출력되는 상향신호를 일정한 레벨의 신호로 감쇄하여 입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306)로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제2상향신호 감쇄기(414)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원발명에서는 통상적으로 케이블 티브이 전송망의 증폭기에 이용되는 통상적인 감쇄기가 이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신호 차단기(400)는 외부 리모컨 연결단자(402), 릴레이(404) 및 접지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신호 감쇄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향신호 감쇄기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신호 감쇄기(제1상향신호 감쇄기)(416)는 접속단자(420), 릴레이(422), 접지저항(426) 및 감쇄기(424)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단자(420)는 외부 리모컨 연결단자(402)에 접속되어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외부 리모컨(110)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릴레이(422)에 공급하게 된다.
릴레이(422)는 접속단자(420)를 통해 외부 리모컨(110)으로부터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게 되고,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릴레이(422)에 연결된 특 정 출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308a 내지 308c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상향신호를 접지저항으로 패스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외부 리모컨을 조작하여, 릴레이(422)에 전원을 공급하면 릴레이(422)로 입력되는 상향신호가 접지저항으로 패스되어 상향신호가 차단되게 된다.
접지저항(426)은 릴레이(422)에 연결되어 릴레이(422)에 의해 패스된 상향신호를 차단하게 된다.
감쇄기(424)는 연결된 특정 출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308a 내지 308c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상향신호를 일정한 레벨로 감쇄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감쇄기(424)로는 저항이 이용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감쇄레벨을 설정할 수 있도록 가변저항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신호 감쇄기(제1상향신호 감쇄기)(416)는 접속단자(420), 스위치 다이오드(미도시) 및 감쇄기(424)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상술한 릴레이(422)와 접지저항(426)의 기능을 스위치 다이오드가 수행하게 된다. 즉, 전류가 일방향으로 흐르는 스위치 다이오드의 특성을 이용하여, 외부 리모컨 연결단자(402)에 연결된 외부 리모컨(110)의 제어에 따라 스위치 다이오드에 연결된 특정 출력포트로부터 입력되는 상향신호를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리모컨의 외부 정면도이 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리모컨의 내구 구성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리모컨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리모컨(110)은 전원부(606), 키입력부(506), 연결케이블(504), 제어부(600) 및 메모리부(602)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602)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리모컨을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신호분석과정에의 임시 데이터 저장된다.
전원부(606)는 충전용 전지로 구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과 리모컨에 연결된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키입력부(506)는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른 키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연결케이블(504)은 외부 리모컨 연결단자(402)에 결합되어, 외부 리모컨 연결단자(402)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키입력부(506)는 상향신호 처리부(316)의 각 제1상향신호 감쇄기(416a 내지 416c)에 일 대 일로 대응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다수의 스위치(608a, 608b, 608c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키입력부(506)를 통해 출력되는 키제어신호에 따라 연결케이블(504)을 통해 연결된 외부 리모컨 연결단자(402)에 전원을 공급하여, 사용자의 의사에 상응되는 릴레이 또는 스위치 다이오드에 전원을 공급하여 특정 출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상향 데이터신호를 차단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용 리모컨(110)은 인입선 연결단자(502), 연결 인터페이스(604) 및 디스플레이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입선 연결단자(50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의 모니터링 단자(312)에 인입선으로 연결되어,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100)로부터 출력되는 하향신호를 입력받게 된다.
연결 인터페이스(604)는 인입선 연결단자(502)를 통한 데이터입출력을 인터페이스 하게 된다.
디스플레이부(500)는 인입선 연결단자(502)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화면에 표시하게 되는데, 이때, 주제어부(600)는 인입선 연결단자(502)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부(500)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500)를 제어하게 된다.
종래에는 증폭기(100)에 연결된 특정 하위단을 제거하고, 휴대폰 등의 개인용 통신기기를 이용하여 송출실과 통화하여 노이즈의 제거 여부를 전달받아야만 했었다.
종래의 경우, 상향으로 올라오는 유합 잡음은 스펙트럼 애널라이저(210)로 확인되며, 스펙트럼 애널라이저(210)의 비디오 출력을 통하여 변조기로 입력되고, 알에프로 변조된 신호는 다시 하향으로 전송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을 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리모컨(110)을 이용하는 경우,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1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외부 리모컨(110)의 디스플레이부(500)를 통해 표시하여, 특정 출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상향신호를 차단 한 경우 노이즈 제거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와 첨부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용 리모컨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케이블 티브이 전송망 관리자가 외부 리모컨(110)을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100)의 외부 리모컨 연결단자(402)에 연결 케이블(504)을 통해 연결하고, 외부 리모컨(110)의 특정 키를 누르게 되면, 외부 리모컨(110)은 키입력부(506)의 제어에 따라 특정 키에 상응되는 릴레이 또는 스위치 다이오드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리모컨 키입력부(506)의 스위치 S1(508a)은 제1상향신호 감쇄기(416a )에 전원을 공급하며, 스위치 S2(508b)는 제1상향신호 감쇄기(416b)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각 스위치(508a 내지 508c)가 제1상향신호 감쇄기(416a 내지 416c)에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리모컨 스위치 S1(508a)을 누른 상태로 있으면 제1상향신호 감쇄기(416a)에 전원이 공급되어 제1상향신호 감쇄기(416a)의 릴레이(422a)가 입력되는 상향신호를 접지저항으로 패스하여 상향신호(즉, 출력포트(304a)를 통해 입력되는 상향신호)가 차단되게 된다.
상향 데이터신호가 차단된 후, 외부 리모컨(110)의 디스플레이부(500)에 노이즈가 제거된 화면이 출력되면, 사용자는 해당 출력포트(304a)에 연결된 하위단에 서 노이즈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리모컨 스위치 S1(508a)을 오프시키게 되면, 전원공급이 중단되어 제1상향신호 감쇄기(416a)는 원상태로 돌아가 상향 데이터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사용자는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100)에 연결된 하위단 중에서 어느 하위단에 노이즈가 발생었는지를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100)를 해체하지 않고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에 따르면 노이즈 발생위치를 찾는데 많은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송 및 인터넷 장애를 최소화하여 가입자에게 대한 피해를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시간과 인건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공급을 전송망의 전원에서 공급받지 않고 사용함으로써 낙뢰 또는, 서지 과전압에 의한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며, 전송망의 전류를 최소화하여 전송망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증폭기를 분해해서 정비해야 하는 필요성이 대폭적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증폭기 내부에 수분, 먼지 등의 이물질의 유입이 대폭 감소되어 증폭기의 고장을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2)

  1. 입력포트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포트와, 입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와, 입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고 신호처리하여 출력하는 하향신호 처리부와, 하향신호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분기시켜 상기 각 출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로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기회로 및 외부 리모컨연결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출력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향신호를 결합하고, 결합된 상향신호에 대한 증폭 및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입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로 출력하는 상향신호 처리부를 구비한 케이블 티브이 전송망 증폭기의 상향신호 감쇄기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리모컨연결단자에 접속되어, 외부 리모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접속단자;
    상기 접속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외부 리모컨의 전원공급에 따라 상기 출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로부터 입력되는 상향신호를 접지시키는 릴레이;
    상기 릴레이에 연결되어 상향신호를 차단하는 접지저항; 및
    상기 릴레이로부터 출력되는 상향신호를 일정한 레벨로 감쇄하여 상기 상향신호 처리부로 출력하는 감쇄기를 포함하되, 상기 상향신호 감쇄기는 상기 출력포트에 일대일로 대응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신호 감쇄기.
  2. 입력포트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포트와, 입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와, 입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고 신호처리하여 출력하는 하향신호 처리부와, 하향신호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분기시켜 상기 각 출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로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기회로 및 외부 리모컨연결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출력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향신호를 결합하고, 결합된 상향신호에 대한 증폭 및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입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로 출력하는 상향신호 처리부를 구비한 케이블 티브이 전송망 증폭기의 상향신호 감쇄기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리모컨연결단자에 접속되어, 외부 리모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접속단자;
    상기 접속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외부 리모컨의 전원공급에 따라 상기 출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로부터 입력되는 상향신호를 차단하는 스위치 다이오드; 및
    상기 스위치 다이오드로부터 출력되는 상향신호를 일정한 레벨로 감쇄하여 상기 상향신호 처리부로 출력하는 감쇄기를 포함하되, 상기 상향신호 감쇄기는 상기 출력포트에 일대일로 대응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신호 감쇄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쇄기는 가변저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신호 감쇄기.
  4. 케이블 티브이 전송망의 하향신호와 상향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에 있어서,
    하향신호가 입력되고, 상향신호가 출력되는 입력포트;
    상향신호가 입력되고, 하향신호가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포트;
    상기 입력포트에 연결되어 입력되는 하향신호 또는 상향신호를 대역별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입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
    상기 각 출력포트에 각각 연결되어 입력되는 하향신호 또는 상향신호를 대역별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
    상기 입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고 신호처리하여 출력하는 하향신호 처리부;
    상기 하향신호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분기시켜 상기 각 출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로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기회로; 및
    외부 리모컨 연결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리모컨 연결단자를 통해 외부 리모컨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리모컨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각 출력포트로부터 입력되는 상향 데이터 신호 중 특정 출력포트로부터 입력되는 상향신호를 차단하며, 상기 출력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향신호를 결합하고, 결합된 상 향신호에 대한 증폭 및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입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로 출력하는 상향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신호 처리부는,
    상기 외부 리모컨이 연결되어 상기 외부 리모컨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외부 리모컨 연결단자;
    상기 각 출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출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로부터 입력되는 상향신호를 일정한 레벨로 감쇄하여 출력하며, 상기 외부 리모컨 연결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리모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출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로부터 입력되는 상향신호를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상향신호 감쇄기;
    상기 각 제1상향신호 감쇄기로부터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향신호를 결합하여 출력하는 상향신호 결합기;
    상기 상향신호 결합기로부터 출력되는 상향신호를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저대역 통과 필터; 및
    상기 저대역 통과 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상향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상향신호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신호 처리부는,
    상기 상향신호 증폭기로부터 출력되는 상향신호를 일정한 레벨로 감쇄하여 상기 입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로 출력하는 제2상향신호 감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신호 처리부는,
    상기 상향신호 증폭기와 상기 제2상향신호 감쇄기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상향신호 증폭기로부터 출력되는 상향신호를 보정하여 상기 제2상향신호 감쇄기로 출력하는 등화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향신호 감쇄기는,
    상기 외부 리모컨연결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외부 리모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접속단자;
    상기 접속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리모컨의 전원공급에 따라 상기 출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로부터 입력되는 상향신호를 접지시키는 릴레이;
    상기 릴레이에 연결되어 상향신호를 차단하는 접지저항; 및
    상기 릴레이로부터 출력되는 상향신호를 일정한 레벨로 감쇄하여 상기 상향 신호 결합기로 출력하는 감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향신호 감쇄기는,
    상기 외부 리모컨연결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외부 리모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접속단자;
    상기 접속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리모컨의 전원공급에 따라 상기 출력포트측 대역분리필터로부터 입력되는 상향신호를 차단하는 스위치 다이오드; 및
    상기 스위치 다이오드로부터 출력되는 상향신호를 일정한 레벨로 감쇄하여 상기 상향신호 결합기로 출력하는 감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신호 처리부는 상기 외부 리모컨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리모컨으로 하향신호를 출력하는 모니터링 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
  11. 제4항에 따르는 상기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에 연결되는 외부 리모컨에 있어서,
    충전용 전지로 구성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른 키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부;
    상기 외부 리모컨 연결단자에 결합되어, 상기 외부 리모컨 연결단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 케이블; 및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키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외부 리모컨 연결단자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용 외부 리모컨.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용 외부 리모컨은,
    상기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의 모니터링 단자와 인입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는 모니터링 단자;
    상기 모니터링 단자를 통한 데이터입출력을 인터페이스 하는 연결 인터페이스; 및
    상기 모니터링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용 외부 리모컨.
KR1020060032008A 2006-04-07 2006-04-07 상향신호 감쇄기, 이를 이용한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 및상향신호 감쇄 증폭기용 외부 리모컨 KR100777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2008A KR100777061B1 (ko) 2006-04-07 2006-04-07 상향신호 감쇄기, 이를 이용한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 및상향신호 감쇄 증폭기용 외부 리모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2008A KR100777061B1 (ko) 2006-04-07 2006-04-07 상향신호 감쇄기, 이를 이용한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 및상향신호 감쇄 증폭기용 외부 리모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0564A KR20070100564A (ko) 2007-10-11
KR100777061B1 true KR100777061B1 (ko) 2007-11-16

Family

ID=38805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2008A KR100777061B1 (ko) 2006-04-07 2006-04-07 상향신호 감쇄기, 이를 이용한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 및상향신호 감쇄 증폭기용 외부 리모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70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111B1 (ko) * 2013-08-06 2015-04-10 (주)청화테크 상향 노이즈 차단기를 구비한 구내 전송 증폭기
KR102286462B1 (ko) * 2020-10-07 2021-08-06 에스티엑스엔진 주식회사 Hf 통신기 연동 안정화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339B1 (en) 2002-05-13 2003-12-24 Dexter Comm Co Ltd Internet service filtering apparatus using matv
KR100445762B1 (ko) 2003-07-23 2004-08-25 주식회사 티니아텍 원격제어 가능한 공시청망 잡음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공시청망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339B1 (en) 2002-05-13 2003-12-24 Dexter Comm Co Ltd Internet service filtering apparatus using matv
KR100445762B1 (ko) 2003-07-23 2004-08-25 주식회사 티니아텍 원격제어 가능한 공시청망 잡음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공시청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0564A (ko) 200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4325B2 (en) System, method and device having teaching and commerce subsystems
US5937330A (en) Settop terminal controlled return path filter for minimizing noise ingress on bidirectional cable systems
US9819369B2 (en) Signal amplifiers that switch to an attenuated or alternate communications path in response to a power interruption
US20150201239A1 (en) Upstream bandwidth conditioning device
US20120044361A1 (en) Tap Units Having Reverse Path Burst Mode Detection Circuits and Related Methods of Identifying Reverse Path Noise Sources and Reducing Reverse Path Noise Funneling
KR100671052B1 (ko) 광동축혼합망에서 다중화 기능을 가지는 광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US8850505B2 (en) System for reducing noise in a CATV home amplifier upstream path and a method thereof
JP2005218089A (ja) ケーブルモデム及びそのケーブルモデムの周波数帯域別フィルタリング方法
KR100777061B1 (ko) 상향신호 감쇄기, 이를 이용한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 및상향신호 감쇄 증폭기용 외부 리모컨
US6637033B1 (en) Signal splitter and gain adjustment system for a cable data system
KR100838316B1 (ko) 반자동 노이즈 제거용 분기기 및 분배기 및 반자동 노이즈제거용 분기기 및 분배기용 리모컨
US9813106B2 (en) Signal conditioner for bi-directional radio frequency signals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9654062B2 (en) Return path noise reducing amplifier with bypass signal
KR100299131B1 (ko) 케이블텔레비젼방송을위한망을이용한서비스시스템의잡음이유입된상향신호차단장치와상향신호결합장치
KR101358746B1 (ko) 잡음차단기능을 갖는 catv시스템
JP2001251601A (ja) 中継増幅器、上り信号増幅器、及び、双方向catvシステム
KR100188480B1 (ko) 종합 유선방송용 상향 데이타 중계장치
US20060248566A1 (en) Amplifier for use with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signal
KR101511111B1 (ko) 상향 노이즈 차단기를 구비한 구내 전송 증폭기
JPH11252528A (ja) Catvシステムにおける雑音検出制御装置
JPH07288794A (ja) 双方向catv伝送方式
KR100866594B1 (ko) Hfc 망 멀티 상향 셀 모니터링 장치
KR20080013557A (ko) 신호 감쇠를 보상하기 위한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CN117014244A (zh) 基于docsis协议的通信系统
JP2010263516A (ja) 双方向増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