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462B1 - Hf 통신기 연동 안정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Hf 통신기 연동 안정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462B1
KR102286462B1 KR1020200129250A KR20200129250A KR102286462B1 KR 102286462 B1 KR102286462 B1 KR 102286462B1 KR 1020200129250 A KR1020200129250 A KR 1020200129250A KR 20200129250 A KR20200129250 A KR 20200129250A KR 102286462 B1 KR102286462 B1 KR 102286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rrection unit
ptt
photocoupler
stabiliz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호
이재화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엔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엔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엔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9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4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32Reducing cross-talk, e.g. by compens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04Methods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s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2203/5425Methods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s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improving S/N by matching impedance, noise reduction, gai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29Applications for power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37Wired tele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HF 통신기 연동 안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성 선로 상에 노후화, 수밀 등에 의한 잡음 및 과도한 음성 증폭이 이루어져 이를 보정하기 위한 전압강하회로를 포함하는 음성 신호 보정부와 PTT 신호가 수신되면 스위칭 되는 포토커플러를 포함하는 PTT 신호 보정부를 포함하는 HF 통신기 연동 안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HF 통신기 연동 안정화 시스템은, 음성신호가 입력되는 단말기 측에 구비되고 과증폭된 신호를 1차 감쇄시키는 제1보정부 및, 음성신호를 전송하는 통신기 측에 구비되고 과증폭된 신호를 2차 감쇄시키는 제2보정부를 포함하는 음성 신호 보정부, 그리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PTT신호가 수신되면 스위칭되는 포토커플러 및, 상기 단말기와 상기 포토커플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포토커플러의 과다 전류 유입을 방지하는 과전류방지저항을 포함하는 PTT 신호 보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HF 통신기 연동 안정화 시스템{STABILIZATION SYSTEM IN NOISE LINE}
본 발명은 HF 통신기 연동 안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성 선로 상에 노후화, 수밀 등에 의한 잡음 및 과도한 음성 증폭이 이루어져 이를 보정하기 위한 전압강하회로를 포함하는 음성 신호 보정부와 PTT 신호가 수신되면 스위칭 되는 포토커플러를 포함하는 PTT 신호 보정부를 포함하는 HF 통신기 연동 안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디지털 통신장비의 급속한 발전 추세에 따라 특수 목적으로 사용되는 데이터 통신장비의 데이터 연동 중요도가 가중되는 양상으로 특수 목적의 무선 통신망이 변모하고 있다. 이와 같은 특수 목적의 무선 통신망은 그 운용상 통신의 신뢰성은 물론 보안성이 요구되는 데이터 통신의 특수한 인터페이스 사양으로 인하여 연동장비를 개발할 때마다 운용 데이터 통신 단말장치가 반복적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수많은 기종의 데이터 통신 단말장치가 존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05910호 등이 있다.
그리고 중/장거리 음성 선로를 이용한 특수 목적(특히 군)의 HF 통신기와의 데이터 및 Keying 신호 연동 시, 선로 중간의 광 장비와 같은 전송 장비의 노후화 및 수밀 등에 의한 잡음을 해소하기 위해 증폭도를 크게 높여 전송하게 된다.
중/장거리 음성 선로의 잡음 및 과도한 증폭도는 낮은 S/N비를 유발하여 데이터 오류를 발생시키고, 실선인 Keying 신호 구간의 잡음과 감쇄는 PTT의 Off 신호 상태를 불안정한 레벨로 변화시켜 On 상태로 인식하여 레벨 유지의 어려움을 발생시킨다.
아울러 과도한 증폭에 의해 시간 축 신호는 상/하로 컷 오프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주파수 축 신호의 경우에는 노이즈가 상승되고, 신호가 과도하게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위와 같은 선로는 음성도 사용하는 선로이기 때문에 선로 자체 및 전송장비의 변경은 불가한바 자체적인 보상회로를 설비하여 신호를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수 목적의 HF 통신기와의 데이터 및 Keying 연동 시, 낮은 S/N비 유발에 따른 데이터의 오류를 제거할 수 있는 특수 목적 HF 통신기 연동 안정화 회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0V PTT로 제어되는 특수 목적 HF 통신기와 연동 시, 잡음이 발생되어 PTT Off 신호에 해당하는 특정 전압(6V)이 강압되어 PTT On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PTT OFF가 회로의 OPEN 상태가 되도록 하는 특수 목적 HF 통신기 연동 안정화 회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HF 통신기 연동 안정화 시스템은, 음성신호가 입력되는 단말기 측에 구비되고 과증폭된 신호를 1차 감쇄시키는 제1보정부 및, 음성신호를 전송하는 통신기 측에 구비되고 과증폭된 신호를 2차 감쇄시키는 제2보정부를 포함하는 음성 신호 보정부, 그리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PTT신호가 수신되면 스위칭되는 포토커플러 및, 상기 단말기와 상기 포토커플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포토커플러의 과다 전류 유입을 방지하는 과전류방지저항을 포함하는 PTT 신호 보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보정부는 파이형 구조로 연결된 복수의 저항으로 구성된 전압강하회로 및 이에 직렬로 연결된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되, 상기 제1보정부의 전압강하회로와 상기 제2보정부의 전압강하회로는 상기 트랜스포머를 기준으로 대칭을 이룬다.
또한 상기 트랜스포머는 Single Ended 신호를 Differential 신호로 변경하거나 Differential 신호를 Single Ended 신호로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압강하회로는 다음의 조건,
Figure 112020105892517-pat00001
Figure 112020105892517-pat00002
-
Figure 112020105892517-pat00003
: 병렬 연결된 두 저항 중 어느 하나
-
Figure 112020105892517-pat00004
: 병렬 연결된 두 저항 중 다른 하나
-
Figure 112020105892517-pat00005
:
Figure 112020105892517-pat00006
Figure 112020105892517-pat00007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저항
-
Figure 112020105892517-pat00008
는 목표 임피던스 값,
- L은 목표 감쇄 값(dB)
을 만족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과증폭된 신호를 강제로 감쇄시키고, 임피던스 연동 정합시키며, Single Ended 신호를 Differential 신호로 변형하여 전송시킴으로써 중/장거리 음성 선로의 잡음 및 과도한 증폭도로 인해 낮은 S/N비에 따라 유발되는 데이터 오류를 제거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기 단말기로부터 PTT신호가 수신되면 스위칭되는 포토커플러 및 상기 단말기와 상기 포토커플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포토커플러의 과다 전류 유입을 방지하는 과전류방지저항을 포함하는 PTT 신호 보정부를 통해 실선인 Keying 신호 구간의 잡음과 감쇄에 의해 PTT Off 신호 상태를 불안정한 레벨로 변화시켜 PTT On으로 인식시키는 현상을 제거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포토커플러를 사용함으로써 낮은 전류 값에도 스위칭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빛을 이용하기 때문에 잡음에 강하며,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 간의 전류를 절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개요도.
도 2는 회선 환경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파이(π)형 구조로 연결된 복수의 저항으로 구성된 전압강하회로 및 이에 직렬로 연결된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보정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포토커플러 및 과전류방지저항을 포함하는 PTT 신호 보정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PTT 신호 보정부의 운용 절차에 대한 시계열적인 블록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HF 통신기 연동 안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성 선로 상에 노후화, 수밀 등에 의한 잡음 및 과도한 음성 증폭이 이루어져 이를 보정하기 위한 전압강하회로를 포함하는 음성 신호 보정부와 PTT(Push To Talk) 신호가 수신되면 스위칭 되는 포토커플러를 포함하는 PTT 신호 보정부를 포함하는 HF 통신기 연동 안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먼저 선로의 환경에 대해 살펴보면, 중/장거리 음성 선로를 이용하여 군 HF 통신기와 데이터 및 Keying 신호 연동 시, 광 장비와 같은 전송 장비의 노후화 및 수밀 등에 의한 잡음을 해소하기 위해 증폭도를 크게 높여 전송하게 되고, 실선으로 이루어진 Keying 신호 구간에서는 잡음의 노출 및 감쇄가 심하여 PTT의 On, Off를 수행하는 DC 신호의 절대적인 레벨 유지의 어려움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러한 선로는 음성도 사용하는 선로이기 때문에 선로 그 자체 또는 전송 장비 등의 변경은 불가하므로, 중/장거리 음성 선로의 잡음 및 과도한 증폭도로 인해 낮은 S/N비에 따라 유발되는 데이터 오류와 실선인 Keying 신호 구간의 잡음과 감쇄에 의해 PTT Off 신호 상태를 불안정한 레벨로 변화시켜 PTT On으로 인식시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신호회선 보정 방안이 필요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첫 째로, 중/장거리 음성 선로의 잡음 및 과도한 증폭도로 인해 낮은 S/N비에 따라 유발되는 데이터 오류는 음성신호가 입력되는 단말기 측에 구비되고 과증폭된 신호를 1차 감쇄시키는 제1보정부 및, 음성신호를 전송하는 통신기 측에 구비되고 과증폭된 신호를 2차 감쇄시키는 제2보정부를 포함하는 음성 신호 보정부를 통해 극복하고, 실선인 Keying 신호 구간의 잡음과 감쇄에 의해 PTT Off 신호 상태를 불안정한 레벨로 변화시켜 PTT On으로 인식시키는 현상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PTT신호가 수신되면 스위칭되는 포토커플러 및, 상기 단말기와 상기 포토커플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포토커플러의 과다 전류 유입을 방지하는 과전류방지저항을 포함하는 PTT 신호 보정부를 통해 극복하게 된다.
먼저 음성 신호 보정부에 대해 살펴보기 전에, 도 2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적인 시간 축 신호와 정상적인 주파수 축 신호를 확인할 수 있고, 반면에 도 2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도한 증폭에 의해 시간 축 신호가 상/하로 컷오프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과도한 증폭에 의해 주파수 축 신호에 노이즈가 상승되고, 신호 왜곡 현상이 발생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장거리 음성선로의 경우에 광 장비와 같은 전송 장비의 노후화 내지는 수밀 등에 의한 잡음을 해소하기 위해 증폭도를 크게 높여 전송하기 때문에 낮은 S/N비가 발생하게 되어 도 2의 우측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신호가 입력되는 단말기 측에 구비되고 과증폭된 신호를 1차 감쇄시키는 제1보정부 및, 음성신호를 전송하는 통신기 측에 구비되고 과증폭된 신호를 2차 감쇄시키는 제2보정부는 파이(π)형 구조로 연결된 복수의 저항으로 구성된 전압강하회로 및 이에 직렬로 연결된 트랜스포머를 포함한다.
여기서 파이형 구조로 연결된 복수의 저항으로 구성된 전압강하회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Figure 112020105892517-pat00009
Figure 112020105892517-pat00010
는 병렬 연결시키고,
Figure 112020105892517-pat00011
Figure 112020105892517-pat00012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저항
Figure 112020105892517-pat00013
를 포함하는 구조를 의미한다.
그리고 각각의 저항은 1/4W Dip type의 탄소저항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잡음으로 인한 왜곡현상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Single Ended 신호를 Differential 신호로 변형하여 전송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전압강화회로에 직렬로 연결된 상기 트랜스포머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트랜스포머는 TY-145P의 부품 규격을 갖고 200Hz ~ 15kHz의 범위의 전송 신호 주파수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보정부는 파이형 구조로 연결된 복수의 저항으로 구성된 전압강하회로 및 이에 직렬로 연결된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되, 상기 제1보정부의 전압강하회로와 상기 제2보정부의 전압강하회로는 상기 트랜스포머를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게 됨으로써 전압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임피던스의 연동 정합(Matching) 역할을 수행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임피던스
Figure 112020105892517-pat00014
가 600Ω에 해당하는 연동 정합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Figure 112020105892517-pat00015
이 병렬 연결된 두 저항 중 어느 하나,
Figure 112020105892517-pat00016
가 병렬 연결된 두 저항 중 다른 하나,
Figure 112020105892517-pat00017
Figure 112020105892517-pat00018
Figure 112020105892517-pat00019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저항,
Figure 112020105892517-pat00020
는 목표 임피던스 값, L은 목표 감쇄 값(dB)이라고 할 때,
Figure 112020105892517-pat00021
,
Figure 112020105892517-pat00022
에 해당하게 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로는 모뎀, 각 종 데이터 처리기를 들 수 있는데, 특히 모뎀의 경우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복조(또는 RS-232C의 경우에는 그 반대로)하는 변복조부를 포함하는 신호변환부, PTT 신호를 발생시키는 PTT 신호 발생부 및 호스트와 연결하기 위한 외부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변조는 ASK, FSK, PSK, QAM과 같은 디지털 변조가 수행될 수 있으며, 신호변환부는 데이터 패턴을 랜덤하게 하여 수신하는 측에서 동기를 잃지 않도록 하는 스크램블링을 수행하는 스크램블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PTT 신호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PTT 신호는 후술하겠지만, PTT 보정부에 의해 차동 신호로 전송이 된다.
그리고 여기서 차동 신호로 전송한다는 것은 Single Ended 신호를 Differential 신호로 변형하여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PTT신호가 수신되면 스위칭 되는 포토커플러 및, 상기 단말기와 상기 포토커플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포토커플러의 과다 전류 유입을 방지하는 과전류방지저항을 포함하는 PTT 신호 보정부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RLMS는 모뎀, 데이터처리기 등을 포함하는 PTT 신호를 제어하는 장치를 의미하고, 통신기는 OV(GND)의 PTT 신호를 받아서 신호를 발생하는 장치로 HF/UHF 무전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과전류방지저항은 포토커플러로 전류가 과다하게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바람직하게는 470 ~ 500Ω의 저항값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기는 상기 신호변환부로부터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다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신호연동부, PTT 신호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PTT 신호를 검출하는 PTT 신호 검출부 및 신호를 변복조 시키는 신호변복조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포토커플러는 낮은 전류 값에도 스위칭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빛을 이용하기 때문에 잡음에 강하며,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 간의 전류를 절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아울러, 장치 간의 결합용량이 작기 때문에 출력 쪽의 신호가 입력 쪽으로 되돌아가는 일이 없는 장점도 갖는다.
이러한 포토커플러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로, 아래와 같은 절대정격을(Absolute Maximum Ratings) 갖는 포토커플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단(IRED)의 Anode에 연속적으로 인가할 수 있는 최대전류
Figure 112020105892517-pat00023
(Forward Current)는 입력단의 신뢰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이러한
Figure 112020105892517-pat00024
는 70mA로 구성된다.
그 다음으로 입력단(IRED)의 Anode 및 Cathode간의 Breakdown 방지를 위하여 허용할 수 있는 최대 역전압
Figure 112020105892517-pat00025
(Reverse Voltage)은 5V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으로 베이스 단자 개방 시의 Collector와 Emitter간 Breakdown을 방지하기 위한 최대 허용 전압치
Figure 112020105892517-pat00026
(Collector-Emitter Breakdown Voltage)는 55V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으로 베이스 단자 개방 시의 Emitter 및 Collector간에 인가 가능한 최대 허용 전압치
Figure 112020105892517-pat00027
(Emitter-Collector Voltage)는 7V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으로 출력단(Photo-TR)의 Collector 단자에 흘릴 수 있는 최대 허용 전류치
Figure 112020105892517-pat00028
(Collector Current)는 50mA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 입/출력단에서 허용 가능한 최대전력 손실치
Figure 112020105892517-pat00029
(Power Dissipation)는 150mW인 것이 바람직한데, SET에 적용 시에는 주위 온도 및 조건 변화에 대한 허용가능 손실치를 고려하여야 한다. 그리고 각 온도조건에서의 허용가능 손실치는 Derating Factor에 의하여 계산되어 진다.
포토커플러의 특성 변화 없이 보관 가능한 온도범위
Figure 112020105892517-pat00030
(Storage Temperature)는 ??55 ~ 125℃인 것이 바람직하다.
포토커플러를 정상동작 시킬 수 있는 주위의 온도범위
Figure 112020105892517-pat00031
(Operating Temperature)는 ??55 ~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포토커플러를 PCB에 실장 시 Solder 온도의 규정범위로 신뢰성 보증측면에서 260(10s)℃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단(IRED)과 출력단(Photo-TR)과의 절연 정도를, RH=40 ~ 60%에서 1분간 규정 전압 인가 시 절연이 파괴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전압을 나타낸 특성
Figure 112020105892517-pat00032
(Isolation Voltage)는 2500Vrms (AC, 1min., R.H.≤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PTT 신호 보정부는 입력 신호 대기 상태에서 6V(목표 전압)가 입력된 경우 발광 다이오드가 작동되고, 이에 발광 다이오드의 빛을 받아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작동되고, 결국 PTT 라인 접점 변경이이루어 진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모뎀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를 구비함에 따라 앞서 언급한 모뎀을 밀폐시키게 되어 외부 노출에 따른 모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원터치 방식으로 손쉽게 개방시킬 수 있어 모뎀의 유지/보수 시에도 보호커버 구비에 따른 불편이 수반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 측(또는 일단)은 좌측(또는 좌측 단부)으로, 타 측(또는 타단)은 우측(또는 우측 단부)으로 정의하여 서술하기로 하고, 도 6a 및 b의 각각의 좌측 확대도는 위에서 바라본 시점의 개략적인 설명도에 해당하며, 우측 확대도는 측단면 시점의 개략적인 설명도에 해당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커버는 상부 덮개(L10b)와, 상기 상부 덮개(L10b)의 타단에서 하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에 로킹부를 포함하는 측부 덮개(L10a)를 포함하는 덮개부(L1)와, 하부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일단에서 상측으로 연결되되, 중앙에 결착공을 구비하는 측벽(L20a)을 포함하는 개폐수단(L2)을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개폐수단(L2)부터 설명하면, 개폐수단(L2)은 덮개부(L1)와의 결합/해제를 위해 잠금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개폐수단(L2)에 내장되고, 상기 측벽(L20a)의 상단 일 측으로 노출된 버튼부에 연동되어 상기 결착공에 삽입되는 버튼블록(L21)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버튼블록(L21)은 버튼블록(L21)의 하단에 구비되고, 일 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를 갖는 액추에이터(L21b)가 후술할 해제블록(L22)과 접촉되어 있어, 버튼블록(L21)의 버튼부(L21a)를 사용자가 누르면 버튼블록(L21)이 해제블록(L22)의 경사면을 따라 내려가면서 해제블록(L22)이 일 측으로 밀릴 수 있게 되고, 버튼부(L21a)를 떼면 해제블록(L22)이 타 측으로 밀리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동작 과정을 실현하기 위해서 해제블록(L22)은 액추에이터(L21b)의 형상에 상응하는 경사를 갖고 상단이 상기 액추에이터(L21b)의 하단에 접하는 슬로프를 구비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버튼블록(L21)의 하강에 의해 로킹부와 잠금부의 결합이 해제되는 해제부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해제부는 전술한 액추에이터(L21b)와 해제블록(L22)을 포함하며, 후술하겠지만 버튼블록(L21)의 하강에 의해 해제블록(L22)이 일 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결합 상태가 해제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잠금수단의 해제부는 상기 해제블록(L22)이 이동하는 가동면의 상부로 일부 노출되게 구비된 푸시블록(L25)을 포함하는데, 여기서의 가동면은 베이스 상단(L20c)과 베이스 하단(L20b)의 경계면을 의미한다. 그리고 푸시블록(L25)은 버튼블록(L21)의 하강에 의해 해제블록(L22)이 일 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가동면의 상부로 노출되며, 상기 버튼블록(L21)의 상승에 의해 해제블록(L22)이 다시 타 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가동면의 내부에 내장된다. 그리고 이러한 해제블록(L22)이 가동면 상에서 푸시블록(L25)에 의해 이동되기 위해서는 일단의 외측에 결합되는 스프링 등을 포함하는 복귀수단이 구비되어야 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블록(L22)의 일단 외면에 구비되는 복귀수단으로써 제1스프링(L24)이 구비된다.
그 다음으로 잠금수단은, 상기 베이스의 타단에 구비되고, 후술할 로킹부와, 결합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잠금부는 일단 측의 상단이 상기 푸시블록(L25)의 하단에 접촉하고, 상기 푸시블록(L25)의 하강에 의해 타단 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잠금핀(L26)을 포함한다. 이러한 잠금핀(L26)의 일단은 일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가지고 있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푸시블록(L25)의 하강에 의해 타 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데, 이렇게 타 측으로 이동하여 후술할 진입홈(L11)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물론 이 경우에는 버튼블록(L21)은 상부로 상승하고, 이에 해제블록(L22)이 타 측으로 이동하는 결합과정의 상황이다.) 그리고 이러한 잠금핀(L26)의 타 측에 내장되어 상기 잠금핀(L26)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로킹핀(L261)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로킹핀(L261)은 후술할 로킹홈(L111)에 삽입됨으로써 로킹부와 잠금부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여기서의 측면이란 도 6을 뚫고 나오는 방향을 의미하며, 후술할 타 측면은 도 6을 뚫고 들어가는 방향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잠금핀(L26)의 일단 외면에는 스프링 등을 포함하는 복귀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푸시블록(L25)이 다시 상승하게 되었을 때, 원위치로 복귀됨으로써 결합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해제 과정에서 제일 먼저 상기한 로킹핀(L261)이 로킹홈(L111)으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어야 하는데, 이는 잠금핀(L26)의 일 측 외면에 결합된 스프링의 탄성력이 상기 로킹핀(L261)의 타 측면의 외면에 결합된 스프링의 탄성력보다 강하게 구비됨으로써 실현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핀(L26)의 일단 외면에 구비되는 복귀수단으로써 제2스프링(L262)이 구비되고, 상기 로킹핀(L261)의 타 측면 내면에 구비되는 복귀수단으로써 제3스프링(L263)이 구비된다.
따라서 결합 상태를 해제하고 싶은 경우에 사용자가 버튼부(L21a)를 누르고 있으면 버튼블록(L21)이 하강하면서 해제블록(L22)이 일 측으로 이동하고, 해제블록(L22)이 일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베이스 하단(L20b)에 내장되어 있던 푸시블록(L25)이 상승하면서 로킹핀(L26)이 로킹홈(L111)을 빠져나옴과 동시에 잠금핀(L26)이 진입홉(L11)을 빠져나오게 되면서 결합이 해제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결합 상태를 만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버튼부(L21a)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측부 덮개(L10a)를 베이스에 접촉시킨 후 누르고 있던 버튼부(L21a)를 떼면 되는데, 물론 이 경우에는 해제되는 경우와 각 구성들이 반대로 이동되면서 실현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L1)는 상기 상부 덮개(L10b)의 타단에서 하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측부 덮개(L10a)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측부 덮개(L10a)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해서는 자명하게도, 상부 덮개(L10b)의 타단에 구비되는 회동수단과 회동 결합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회동수단에 대해서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회동 결합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그 다음으로 상기 측부 덮개(L10a)는 하단에 로킹부를 포함하는데, 전술하였듯이 상기 로킹부는 잠금부의 잠금핀(L26)이 삽입될 수 있도록 타 측으로 개구된 진입홈(L11) 및 상기한 로킹핀(L26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진입홈(L11)의 내부 측면에 형성된 로킹홈(L111)을 포함한다. 그리고 자명하게도 이러한 진입홈(L11)과 로킹홈(L111)은 각각 상기 잠금핀(L26)과 로킹핀(L261)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져 전술한 바와 같이, 로킹부와 잠금부가 결합/해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

  1. PTT를 이용한 HF 통신기와 연동되는 안정화 시스템에 있어서,
    음성신호가 입력되는 단말기 측에 구비되고 과증폭된 신호를 1차 감쇄시키는 제1보정부 및, 음성신호를 전송하는 통신기 측에 구비되고 과증폭된 신호를 2차 감쇄시키는 제2보정부를 포함하는 음성 신호 보정부;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PTT신호가 수신되면 스위칭되는 포토커플러 및, 상기 단말기와 상기 포토커플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포토커플러의 과다 전류 유입을 방지하는 과전류방지저항을 포함하는 PTT 신호 보정부;
    를 포함하는 HF 통신기 연동 안정화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보정부는 파이형 구조로 연결된 복수의 저항으로 구성된 전압강하회로 및 이에 직렬로 연결된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되,
    상기 제1보정부의 전압강하회로와 상기 제2보정부의 전압강하회로는 상기 트랜스포머를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F 통신기 연동 안정화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는 Single Ended 신호를 Differential 신호로 변경하거나 Differential 신호를 Single Ended 신호로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F 통신기 연동 안정화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압강하회로는 다음의 조건,
    Figure 112021068423112-pat00033

    Figure 112021068423112-pat00034

    -
    Figure 112021068423112-pat00035
    : 병렬 연결된 두 저항 중 어느 하나
    -
    Figure 112021068423112-pat00036
    : 병렬 연결된 두 저항 중 다른 하나
    -
    Figure 112021068423112-pat00037
    :
    Figure 112021068423112-pat00038
    Figure 112021068423112-pat00039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저항
    -
    Figure 112021068423112-pat00040
    는 목표 임피던스 값,
    - L은 목표 감쇄 값(dB)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F 통신기 연동 안정화 시스템.
KR1020200129250A 2020-10-07 2020-10-07 Hf 통신기 연동 안정화 시스템 KR102286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250A KR102286462B1 (ko) 2020-10-07 2020-10-07 Hf 통신기 연동 안정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250A KR102286462B1 (ko) 2020-10-07 2020-10-07 Hf 통신기 연동 안정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6462B1 true KR102286462B1 (ko) 2021-08-06

Family

ID=77315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250A KR102286462B1 (ko) 2020-10-07 2020-10-07 Hf 통신기 연동 안정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46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0564A (ko) * 2006-04-07 2007-10-11 이중섭 상향신호 감쇄기, 이를 이용한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 및상향신호 감쇄 증폭기용 외부 리모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0564A (ko) * 2006-04-07 2007-10-11 이중섭 상향신호 감쇄기, 이를 이용한 상향신호 감쇄 증폭기 및상향신호 감쇄 증폭기용 외부 리모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77152A (en) Television remote control system for selective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external apparatus
MXPA02006909A (es) Enlace de comunicaciones hibrido, inalambrico, optico y de radio frecuencia.
JPH06140959A (ja) 無線送受信機
US20070133994A1 (en) Automatic frequency hopping remote controller
US8009076B2 (en) Intermediate frequency receiving circuit and intermediate frequency receiving method
GB0127859D0 (en) Establishing radio communication channels
DE60334888D1 (de) Schaltnetzwerk und zusammengesetzter hochfrequenzteil
WO2001089097A3 (en) Transmission rate changes in communications networks
KR102286462B1 (ko) Hf 통신기 연동 안정화 시스템
KR20000035286A (ko) Cdma 기지국에 있어서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시스템및 방법
JP4708984B2 (ja) 光端末ユニット
US4468538A (en) Wireless telephone system with high level dial pulse signalling
CN101626252B (zh) Aisg塔顶放大器ook modem电路
US4469918A (en) Wireless telephone system with high level dial pulse signalling
JPS5642440A (en) Car telephone set as data terminal
US4471167A (en) Wireless extension telephone
KR960030574A (ko) 이동통신 고출력 중계장치
US4471166A (en) Wireless telephone extension unit with high level dial pulse signalling
CN206490675U (zh) 具有光损自动增益补偿的gsm‑r直放站以太网单纤光端机
KR20020067629A (ko) 가변 전력 송수신 디바이스
SU46617A1 (ru) Способ переговоров с трансл ционной станции высокой частоты
US7050721B1 (en) System having an impulse noise filter means
JPH10154950A (ja) 配電線搬送波信号の伝送方法およびその送受信 装置
Dewire et al. Precision carrier frequency control and modulation phase equalization of base transmitters in a mobile radio system
KR100626843B1 (ko) 파워 리미티드 엘앤에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