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4536B1 - 동화상 복호화 장치 및 동화상 복호화 방법 - Google Patents

동화상 복호화 장치 및 동화상 복호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4536B1
KR100444536B1 KR10-2001-0060953A KR20010060953A KR100444536B1 KR 100444536 B1 KR100444536 B1 KR 100444536B1 KR 20010060953 A KR20010060953 A KR 20010060953A KR 100444536 B1 KR100444536 B1 KR 100444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s
reproduction
decoding
video stream
stream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0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7206A (ko
Inventor
오까다시게유끼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27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7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4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45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Select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transforms or standards, e.g. selection between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and sub-band transform or selection between H.263 and H.264
    • H04N19/122Selection of transform size, e.g. 8x8 or 2x4x8 DCT; Selection of sub-band transforms of varying structure or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04N19/126Details of normalisation or weighting functions, e.g. normalisation matrices or variable uniform quant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2Sampling, masking or truncation of coding units, e.g. adaptive resampling, frame skipping, frame interpolation or high-frequency transform coefficient mas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set of transform coeffic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sub-sampling or interpolation, e.g. alteration of picture size or resol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7De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디코더의 회로 규모의 증가나 메모리의 사용량을 억제하면서 복수 채널을 고 화질로 표시가 가능한 동화상 복호화 장치를 제공한다.
헤더 정보 획득부(114)는 MPEG 비디오 스트림에 포함되는 시퀀스 헤더로부터, 화상의 세로 및 가로 방향의 도트 사이즈나 프레임레이트 등의 정보를 추출한다. 합계 처리량 추정/재생 방식 판정부(116)는 표시 모드마다 정해진 채널 우선 순위와 헤더 정보 획득부(114)의 출력을 받아 합계 처리량의 추정 및 각 채널 재생 방식의 판정을 행한다. MPEG 디코더(118)는 헤더 정보 획득부(114)를 통해 CH1 ∼ CH4의 부호 입력을 시분할로 수취하고, 합계 처리량 추정/재생 방식 판정부(116)가 출력하는 판정 신호에 따라 각 채널의 화상 부호의 디코드를 행한다.

Description

동화상 복호화 장치 및 동화상 복호화 방법{MOVING PICTURE DECODING APPARATUS AND MOVING PICTURE DECODING METHOD}
본 발명은 동화상 복호화 장치 및 동화상 복호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특정적으로는 MPEG2(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방식 등과 같이 디지털 신호로 압축 처리된 비디오 스트림 신호를 복호화하는 동화상 복호화 장치 및 동화상 복호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화질화, 다채널화, 고기능화 및 고품질화를 목적으로 하여 지금까지의 아날로그 방송을 대신하는 디지털 방송이 도입되고 있다. 이 디지털 방송에서는 디지탈화된 동화상의 압축 부호화 방식으로서 MPEG2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도 12는 MPEG2 비디오 스트림 신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MPEG2 비디오 스트림 신호는 GOP(Group Of Picture)의 집합체이고, GOP는 픽쳐의 집합체이다.
GOP에는 I 픽쳐, P 픽쳐, B 픽쳐라는 3 종류의 픽쳐가 포함되어 있다. I 픽쳐는 프레임 내의 정보만으로부터 부호화된 화면으로서, 프레임 간 예측을 행하지 않고 생성되는 화면이며, GOP에는 최저 1매 이상의 I 픽쳐가 포함되어 있다. P 픽쳐는 프레임 내 부호화와, 과거의 재생 화상으로부터 예측되는 순방향 프레임 간 예측 부호화의 양쪽에 의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B 픽쳐는 쌍방향 예측이 가능한 화면이다. 이들의 픽쳐 중, P, B 픽쳐의 복호는 프레임 간의 예측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MPEG 디코더에 의한 처리량이 많고 또한 메모리 용량도 많이 필요하다.
픽쳐는, 또한 슬라이스라는 단위로 분할된다. 슬라이스는 몇몇의 매크로 블록의 집합체이지만, MPEG2 규격의 약속으로서, 하나의 슬라이스가 2행에 걸치지 않게 된다. 즉, 가로 일렬이 40개인 매크로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 1열 40개에 대해서는 몇몇의 슬라이스로도 분할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다음의 1 열로부터는 반드시 다른 슬라이스가 되지 않으면 안된다.
개개의 매크로 블록은 절대적인 위치 정보를 갖지 않지만, 각 슬라이스의 선두에 삽입되어 있는 슬라이스 헤더 SH에는 개개의 슬라이스가 1 화면 상의 어느 수직 위치에 포함되어 있는 매크로 블록의 집합체인지를 나타내기 위한 헤더 정보가 포함되고 있다. 즉, 슬라이스 헤더 SH에 기초하여 그 후에 매크로 블록의 수직 위치를 알 수 있다.
각 GOP 앞에는 시퀀스 헤더라는 정보가 부가되어 있다. 이 시퀀스 헤더에는 화상의 가로의 화소수, 화상의 세로의 라인수 및 프레임레이트 등의 화상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도 13 ∼ 도 16은 MPEG2 방식의 수인 포맷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예를 들면, BS 디지털 방송에서는 1080i, 720p, 480p, 480i 중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프로그램을 만들도록 ARIB(Association of Radio Industries and Businesses: 사단 법인 전파 산업회)에서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방송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동화상 복호화 장치는 이들 중 어느 하나의 포맷도 재생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각 포맷의 숫자는 수직 방향의 유효 주사선 수를 나타내고, i는 인터레이스, 즉 비월 주사를 나타내고, p는 프로그래시브, 즉 순차 주사를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면, 1080i 포맷은 세로 1080 도트, 가로 1920 도트의 화면을 비월 주사로 매초 30 프레임을 표시하는 포맷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720p 포맷은 세로 720 도트, 가로 1280 도트의 화면을 순차 조작으로 매초 60 프레임을 표시하는 포맷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480p 포맷은 세로 480 도트, 가로 720 도트의 화면을 순차 조작으로 매초 60 프레임을 표시하는 포맷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480i 포맷은, 세로 480 도트, 가로 720 도트의 화면을 비월 주사로 매초 30 프레임을 표시하는 포맷이다.
MPEG2 비디오 스트림 신호를 압축된 상태로부터 원래의 화상 데이터로 복호하는 처리는, 예를 들면 하나의 MPEG 디코더 LSI로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디지털 텔레비전 수상기에 한층 더 부가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에 복수의 화상을 동시에 표시하는 멀티 채널 표시 모드가 요구되고 있다.
도 17은 멀티 채널의 재생 모드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HD(High Definition) 통상 재생」의 경우에는 CH1에 1080i 포맷의 화상이 표시된다.
「SD(Standard Definition)의 4CH 멀티 재생」 모드인 경우에는 화면은 4 분할되어, 각 화면에 각각 480i 포맷의 화상이 표시된다.
「통상 HD + 자화면 SD」 모드인 경우에는, CH1로서 1080i 포맷의 화상이 표시되고, CH2로서 480i 포맷의 자화면이 표시된다.
「HD의 2 화면 재생」 모드인 경우에는, CH1, CH2에 각각 1080i 포맷의 화상이 표시된다.
「480p의 4CH 멀티 재생」 모드인 경우에는, 화면은 4 분할되어 CH1 ∼ CH4에 각각 480p 포맷의 화상이 표시된다.
「HD 역순 재생」 모드인 경우에는, 화면은 2 분할되어, 제1 화면에 1080i 포맷의 화상이 표시되고, 제2 화면에 1080i 포맷과, 동시에 역순으로 재생되는 화상이 표시된다.
「HD의 2 배속 재생」인 경우에는, 1080i 포맷이며, 2배속으로 빨리 감기된 화상이 표시된다.
「HD의 3CH 재생」 모드인 경우에는, 화면은 3 분할되어, 각 화면에 1080i 포맷의 화상이 각각 표시된다.
이상 재생 모드의 대표적인 예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각종 포맷의 화상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화상용에 복호 처리를 행하는 디코드 회로를 각각 설치하면 되지만, 그렇게 되면 동화상 복호화 장치 전체의 회로 규모가 커지고 비용이 비싸져서 합리적이지 못하다. 그래서, 복수의 채널의 화상 데이터를 하나의 디코드 회로로 시분할로 복호 처리하는 것이 생각된다.
다시 도 13 ∼ 도 16을 참조하면, 각 포맷의 복호를 위한 처리량은 480i 포맷의 처리량을 대략 1로 하면, 480p 포맷의 복호를 위한 처리량은 대략 2이다. 또한, 720p 포맷의 처리량은 대개 4 ∼ 5이고, 1080i 포맷의 처리량은 대개 6이다. 또한, 복호 처리에 필요로 하는 메모리 용량은 480i 포맷의 경우를 대개 1로 하면, 480p 포맷의 경우에는 대개 1이고, 1080i 포맷의 경우에는 대개 6이다.
도 18은 각 재생 모드의 복호에 요하는 시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HD 통상 재생」의 경우에는 1 프레임 기간에 표시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의 복호가 약간 여유를 두고 행해진다. MPEG 방송 스트림의 내용에는 HD 모드나 SD 모드 등이 있어 방송 시간대에 의해 이들의 모드가 변화하기 때문에, 디코드 처리를 하는 디코드 회로의 능력은 「HD 통상 재생」 모드의 1 화면 표시를 어느 정도의 여유를 두고 처리할 수 있는 처리 능력으로 설정되는 것이 통상이다.
이러한 처리 능력의 디코드 회로를 동화상 복호화 장치에 탑재한 경우에,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SD의 4CH 멀티 재생」 모드인 경우에는 CH1 ∼ CH4의 채널의 데이터를 시분할로 복호 처리해도, 1 프레임 기간 내에 처리가 종료하기 때문에, 문제없이 재생을 행할 수 있다.
그러나, 「통상 HD + 자화면 SD」, 「HD의 2 화면 재생」, 「480p의 4CH 멀티 재생」, 「HD 역순 재생」, 「HD의 2 배속 재생」, 「HD의 3CH 재생」 등의 재생 모드인 경우에는 1 프레임에 표시해야 할 데이터를 디코드 처리하기 위해서 1 프레임 기간 이상의 처리 시간을 요하기 때문에, 처리량의 합계가 디코더의 성능을 초과하게 되어 입력된 모든 채널을 재생할 수 없다. 또한, 병렬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도 적은 버스 폭이나 적은 메모리 용량으로 염가로 실현하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코더의 회로 규모의 증가나 메모리의 사용량을 억제하면서, 복수 채널을 고화질로 표시가 가능한 동화상 복호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동화상 복호화 장치(1000)의 구성 중 주요 부분을 발출하여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MPEG 디코드부(110)의 영상계 처리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MPEG 디코더(118)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HD의 2 화면 재생」의 표시 화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HD의 2 화면 재생」 모드에 있어서 도 2에 도시한 합계 처리량 추정/재생 방식 판정부(116)가 행하는 처리 플로우를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통상의 8×8의 DCT 계수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7은 다운컨버트 시에 4×8의 DCT 계수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8은 「3 화면 재생」의 표시 화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3 화면 재생」 모드에 있어서 도 2에 도시한 합계 처리량 추정/재생 방식 판정부(116)가 행하는 처리 플로우를 나타낸 흐름도의 제1도.
도 10은 「3 화면 재생」 모드에 있어서 도 2에 도시한 합계 처리량 추정/재생 방식 판정부(116)가 행하는 처리 플로우를 나타낸 흐름도의 제2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해서, 복호 처리를 행하였을 때의 처리 시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MPEG2 비디오 스트림 신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MPEG2 방식으로 처리되는 포맷의 예인 1080i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MPEG2 방식으로 처리되는 포맷의 예인 720p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MPEG2 방식으로 처리되는 포맷의 예인 480p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MPEG2 방식으로 처리되는 포맷의 예인 480i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멀티 채널의 재생 모드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각 재생 모드의 복호에 요하는 시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1, 100.2 : 튜너
102.1, 102.2 : 8PSK복조기
104.1, 104.2 : TS 디코더
106 : 전환 스위치
110 : MPEG 디코드부
114 : 헤더 정보 획득부
116 : 합계 처리량 추정/재생 방식 판정부
118 : MPEG 디코더
120 : 부가음 생성기
122 : PCM 디코더
130 :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처리부
132 : 가변 길이 부호 디코드부
133 : 전환 스위치
134 : 역 양자화부
136, 137 : 역 이산 코사인 변환부
138, 139 : 움직임 보상부
141 : 전환 스위치
144 : 연산 처리부
146 : 고속 디지털 인터페이스
148 : 내장 축적 디바이스
150 : 모뎀
152 : 카드 인터페이스
160 : 합성기
162 : 음성 출력 단자
164 : 영상 출력 단자
180 : 외부 축적 디바이스
1000 : 동화상 복호화 장치
1002 : 음성 출력부
1004 : 표시부
BS1 : 데이터 버스
본 발명에 따르면, 동화상 복호화 장치에서, 디지털 신호로 압축 처리된 복수 채널의 비디오 스트림 신호를 받아, 각 복수 채널의 복호 처리량에 관련된 헤더 정보를 추출하는 헤더 정보 획득 수단과, 헤더 정보에 따라 각 복수 채널의 복호 처리량을 추정하여, 재생 방식을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복수 채널의 비디오 스트림 신호를 받아서 판정 수단의 출력에 따라 각 채널마다 통상 재생과 통상 재생보다도 처리량이 적은 간이 재생 중 어느 한쪽을 행하는 복호 수단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비디오 스트림 신호는 MPEG 또는 JPEG 방식으로 압축된 신호이고, 헤더 정보는 비디오 스트림 신호에 포함되는 픽쳐군 앞에 부가되는 시퀀스 헤더 중의 화면 도트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비디오 스트림 신호는 MPEG 또는 JPEG 방식으로 압축된 신호로, 헤더 정보는 비디오 스트림 신호에 포함되는 픽쳐군 앞에 부가되는 시퀀스 헤더 중 프레임레이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복호 수단은 입력되는 비디오 스트림 신호를 판정 수단의 출력에 따라 전환하여 제공하는 제1 전환 수단과, 제1 전환 수단으로부터 비디오 스트림 신호를 받아 통상 재생을 행하기 위한 통상 복호 수단과, 제1 전환 수단으로부터 비디오 스트림 신호를 받아 간이 재생을 행하기 위한 간이 복호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복호 수단의 출력을 받아 1 화면 내에 복수 채널에 대응하는 복수의 분할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비디오 스트림 신호는 MPEG 또는 JPEG 방식으로 압축된 신호로, 간이 재생은 8×8의 직교 변환 계수 중 수평 주파수의 고역 부분을 제거한 4×8의 직교 변환 계수를 이용하여 역 이산 코사인 변환을 실시하는 4×8 IDCT 처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비디오 스트림 신호는 MPEG 또는 JPEG 방식으로 압축된 신호이고, 간이 재생은 비디오 스트림 신호에 포함되는 픽쳐군 중 프레임 내 부호화 처리된 픽쳐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복호하는 처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판정 수단은 복수 채널에 각각 대응하여 정해지는 우선 순위에 따라 재생 방식을 결정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판정 수단은 추정된 복호 처리량이 소정의 값을 넘을 때는 복수 채널 중 추정 시에 통상 재생을 행하도록 설정한 채널 중에서부터 우선 순위가 최하위인 채널을 간이 재생을 행하도록 설정 변경하여, 재차 복호 처리량의추정을 행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우선 순위는 복수 채널의 화면 표시 모드에 대응하여 정해지고, 표시 면적이 큰 채널일수록 우선 순위가 높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르면, 동화상 복호화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신호로 압축 처리된 복수 채널의 비디오 스트림 신호를 받아, 각 복수 채널의 복호 처리량에 관련된 헤더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헤더 정보에 따라 각 복수 채널의 복호 처리량을 추정하여, 재생 방식을 판정하는 단계와, 복수 채널의 비디오 스트림 신호를 받아서, 재생 방식에 따라 각 채널마다 통상 재생과 통상 재생보다도 처리량이 적은 간이 재생 중 어느 한쪽을 행하는 복호 처리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복호 처리를 행하는 단계는 입력되는 비디오 스트림 신호를 재생 방식에 따라서 재생 방법을 선택하는 단계와, 비디오 스트림 신호를 받아 통상 재생을 행하는 단계와, 비디오 스트림 신호를 받아 간이 재생을 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판정하는 단계는 복수 채널에 각각 대응하여 정해지는 우선 순위에 따라서 재생 방식을 결정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판정하는 단계는 추정된 복호 처리량이 소정의 값을 넘을 때는 복수 채널 중 추정 시에 통상 재생을 행하도록 설정한 채널 중에서 우선 순위가 최하위의 채널을 간이 재생을 행하도록 설정 변경하여, 재차 복호 처리량의 추정을 행한다.
<발명의 실시 형태>
이하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또, 도면 중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낸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동화상 복호화 장치(1000)의 구성 중 주요 부분을 발출하여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동화상 복호화 장치(1000)에 있어서, 안테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는 튜너(100.1, 100.2)에 의해 선국되고, 8PSK 복조기(102.1, 102.2)에 각각 주어진다.
8PSK 복조기(102.1, 102.2)로부터의 복조 신호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디코더(이하, TS 디코더라고 부른다: 104.1, 104.2)에 각각 주어지고, 전환 스위치(106)를 통해 MPEG 디코드부(110)에 주어진다. 즉, TS 디코더(104.1, 104.2)로부터는 선국된 채널로부터의 베이스 대역 신호의 추출이 행해진다.
MPEG 디코드부(110)는 전환 스위치(106)로부터 주어진 데이터 스트림을 받아서 랜덤 액세스 메모리(이하, RAM이라고 부른다: 112)를 데이터를 일시 축적하는 버퍼로서 이용하여,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튜너(100.1)로부터 TS 디코더(104.1)의 계통과, 튜너(100.2)로부터 TS 디코더(104.2)의 계통과의 2계통이 설치되고 있지만, 4 채널 멀티 화면을 표시하는 모드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4계통이 설치된다.
동화상 복호화 장치(1000)는 또한 데이터 버스 BS1을 통해, TS 디코더(104.1, 104.2)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저장하기 위한 내장 축적디바이스(148)와, 데이터 버스 BS1을 통해, 내장 축적 디바이스(148)에 축적된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여 출력하기 위한 연산 처리부(144)와, 연산 처리부(144)의 연산 처리에서의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ROM(140)과, 연산 처리부(144)의 동작을 위한 메모리 영역을 제공하는 RAM(142)과, 데이터 버스 BS1과 외부 간에서 데이터 입출력을 행하기 위한 고속 디지털 인터페이스(146)를 구비한다. 특별히 한정되지 않았지만, 내장 축적 디바이스(148) 및 ROM(140)으로서는, 예를 들면 전기적으로 데이터의 기입·판독이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산 처리부(144)가 외부로부터 주어진 지시에 따라 내장 축적 디바이스(148) 중에 축적된 데이터에 대하여 처리를 행한 후의 데이터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처리부(130)로부터 합성기(160.2)에 주어진다.
합성기(160.2)는 MPEG 디코드부(110)로부터의 출력과,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처리부(130)로부터의 출력을 합성한 후, 영상 출력 단자(164)에 제공한다. 영상 출력 단자(164)로부터의 출력은 표시부(1004)에 주어진다.
동화상 복호화 장치(1000)는 또한 내장 축적 디바이스(148)에 축적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연산 처리부(144)가 처리한 결과의 데이터 등을 받아, 표시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대한 효과음 등을 생성하여, 합성기(160.1)에 제공하기 위한 부가음 생성기(120)와, 내장 축적 디바이스(148)에 축적된 데이터 등에 기초하여 연산 처리부(144)가 처리한 데이터를 받아, 음성 신호를 생성하고, 합성기(160.1)에 제공하는 PCM 디코더(122)를 구비한다.
합성기(160.1)는 MPEG 디코드부(110)로부터의 출력과, 부가음 생성기(120) 및 PCM 디코더(122)로부터의 출력을 받아, 합성 결과를 음성 출력 단자(162)에 제공한다. 음성 출력 단자(162)에 주어진 음성 신호는 음성 출력부(1002)로부터 음성 신호로서 출력된다.
또, 동화상 복호화 장치(1000)는 필요에 따라, 외부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수수를 행하기 위한 모뎀(150)이나 IC 카드로부터의 정보를 수취하기 위한 IC 카드 인터페이스(152)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고속 디지털 인터페이스(146)를 통해, 예를 들면, 홈 서버용 HDD 장치 등의 외부 축적 디바이스(180)나 외부 입력 기기인 리모콘(혹은 키보드 등: 182)이 데이터 버스 BS1과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동화상 복호화 장치(1000)는 영상 출력을 받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표시부(1004)나 음성 출력 신호를 받아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의 음성 출력부(1002)와 일체화된 구성이어도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MPEG 디코드부(110)의 영상계 처리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MPEG 디코드부(110)는 CH1 ∼ CH4의 부호 입력을 받아서, 이들의 부호에 포함되는 시퀀스 헤더로부터, 화상의 세로 및 가로 방향의 도트 사이즈나 프레임레이트 등의 정보를 추출하는 헤더 정보 획득부(114)와, 리모콘 등에 따라 지정되는 표시 모드마다 정해진 채널 우선 순위와 헤더 정보 획득부(114)의 출력을 받아 합계 처리량의 추정 및 각 채널 재생 방식의 판정을 행하는 합계 처리량 추정/재생 방식 판정부(116)와, 헤더 정보 획득부(114)를 통해 CH1 ∼ CH4의 부호 입력을 시분할로 수취하고, 합계 처리량 추정/재생 방식 판정부(116)가 출력하는 판정 신호에 따라, 각 채널의 화상 부호의 디코드를 행하여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MPEG 디코더(118)를 포함한다. 또, MPEG 디코더(118)는, 소위 MP@ HL 대응 디코더로, 도 13 ∼ 도 16에서 설명한 화면 포맷의 재생이 가능하다.
MPEG 디코드부(110)에서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헤더 정보 획득부(114)는 MPEG의 GOP 앞에 부착된 시퀀스 헤더를 검출한다. 그리고, 헤더 정보 획득부(114)는 시퀀스 헤더로부터 화상의 세로 및 가로 방향의 도트 사이즈나 프레임레이트 등의 정보를 추출하여 합계 처리량 추정/재생 방식 판정부(116)에 전달한다. MPEG 디코더(118)는 복수 채널의 ES(Element Stream)를 수취하여 픽쳐 단위로 시분할로 처리를 행한다. ES란 음성, 영상 및 데이터 방송의 데이터가 포함되는 TS 디코더(104.1, 104.2)의 출력 중 영상의 데이터만이 분리된 신호이다.
이 때, 합계 처리량 추정/재생 방식 판정부(116)로부터 채널마다 지정되는 통상 재생/다운컨버트 재생/파기의 지시를 포함하는 판정 신호에 따라서 복호 처리를 행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MPEG 디코더(118)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MPEG 디코더(118)는 MPEG2 비디오 스트림 신호를 받아서, 가변 길이 부호 복호 처리를 행하기 위한 가변 길이 부호 디코드부(132)와, 가변 길이 부호 디코드부(132)로부터의 출력을 받아서 역 양자화 처리를 행하기 위한 역양자화부(134)와, 합계 처리량 추정/재생 방식 판정부(116)로부터의 판정 신호에 따라 역 양자화부(134)의 출력을 제1 처리 루트와 제2 처리 루트 중 어느 한쪽에 제공하는 전환 스위치(133)를 포함한다.
제1 처리 루트는 통상의 처리를 행하는 루트이고, 제2 루트는 통상의 처리보다도 처리가 간단하고 메모리 용량도 소용량인 다운컨버트 처리를 행하는 루트이다.
MPEG 디코더(118)는 또한 제1 처리 루트에서 역 양자화부(134)로부터의 출력을 받아 통상의 역 이산 코사인 변환을 행하기 위한 역 이산 코사인 변환부(136)와, 역 이산 코사인 변환부(136)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와 이전에 작성하여 RAM(112)에 보유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움직임 보상 처리를 행하여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움직임 보상부(138)를 포함한다.
MPEG 디코더(118)는, 또한 제2 처리 루트에 있어서, 역 양자화부(134)로부터의 출력을 받은 후에 설명하는 4×8 IDCT 재생의 역 이산 코사인 변환을 행하기 위한 역 이산 코사인 변환부(137)와, 역 이산 코사인 변환부(137)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와 이전에 작성하여 RAM(112)에 보유되고 있는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움직임 보상 처리를 행하여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움직임 보상부(139)를 포함한다.
MPEG 디코더(118)는, 또한 합계 처리량 추정/재생 방식 판정부(116)로부터의 판정 신호에 따라 움직임 보상부(138, 139) 중 어느 한쪽의 출력하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RAM(112)이나 도 1의 합성기(160.2)에 제공하는 전환스위치(141)를 포함한다.
또, MPEG 디코더(118)에서의 디코드 처리는, 예를 들면 처리 내용을 소프트웨어로 변경할 수 있는 화상 처리 프로세서를 이용해도 된다. 화상 처리 프로세서로서는, 예를 들면 1 명령으로 많은 멀티미디어를 위한 연산이 가능한 VLIW(Very Long Instruction Word)형 프로세서가 적합하다.
도 4는 「HD의 2 화면 재생」의 표시 화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HD의 2 화면 재생」 모드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는 좌우로 2 분할되고, 좌측에는 CH1의 화상이 표시되고, 우측에는 CH2의 화상이 표시된다.
2 화면 재생 모드는 텔레비전의 리모콘 조작으로 선택된다. 이 2 화면 재생 모드에서는 두개의 채널 간에서의 우선 순위는 특히 지정되지 않는다.
도 5는 「HD의 2 화면 재생」 모드에 있어서 도 2에 도시한 합계 처리량 추정/재생 방식 판정부(116)가 행하는 처리 플로우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다음의 수학식 1이 성립하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단계 S1).
단, DP는 사용하는 디코더의 처리 성능, 즉 1 프레임 기간 내에 처리 가능한 처리량을 나타내고, RP(CH1)은 CH1의 통상 재생의 1 프레임분의 화상의 복호에 필요한 처리량을 나타낸다. 또한, RP(CH2)는 CH2의 통상 재생의 1 프레임분의 화상의 복호에 필요한 처리량을 나타낸다.
수학식 1이 성립하는 경우, 즉 CH1의 통상 재생에 요하는 처리량과 CH2의 통상 재생에 요하는 처리량의 합계가 디코더의 처리 성능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합계 처리량 추정/재생 방식 판정부(116)는 MPEG 디코더(118)에 대하여, CH1, CH2 모두 통상 재생을 행하도록 지시한다(단계 S2).
한편, 수학식 1이 성립하지 않는 경우, 즉 CH1의 통상 재생에 요하는 처리량과 CH2의 통상 재생에 요하는 처리량의 합계가 디코더의 처리 성능을 초과한 경우에는 단계 S3으로 진행한다. 단계 S3에서는 다음의 수학식 2가 성립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수학식 2가 성립하지 않는 경우, 즉 CH1쪽이 CH2보다도 처리량이 많은 경우에는 단계 S4로 진행한다. 단계 S4에서는 다음의 수학식 3이 성립하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여기서, RP(half(CH1))는 CH1을 4×8 IDCT를 사용하여 재생할 때에 필요한 처리량을 나타내고 있다. 4×8 IDCT란, 예를 들면 특개평 11-191887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통상은 8×8의 매트릭스로 주어지는 DCT 계수 중 고주파 성분을무시하고, 4×8의 DCT 계수를 이용하여 간이적으로 재생하는 다운컨버트의 1 수법이다.
여기서, 통상의 8×8의 DCT 계수를 사용하는 경우와, 4×8의 DCT 계수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도 6은 통상의 8×8의 DCT 계수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 도 6을 참조하면, 역 이산 코사인 변환부(136)는 역 양자화부(134)에서 생성된 DCT 계수열을 8×8의 서브 블록 단위의 DCT 계수로 되돌림과 함께, 소정의 역 변환식에 기초하여 8×8의 역 DCT을 행한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8×8의 DCT 계수 F(u, v)에 기초하여, 8×8의 서브 블록 단위의 데이터 f(i, j)가 얻어진다.
도 7은 다운컨버트 시에 4×8의 DCT 계수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 도 7을 참조하면, 우선, 역 이산 코사인 변환부(137)는,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 양자화부(134)에 생성된 DCT 계수 열을 8(수평 방향 화소수)×8(수직 방향 화소수)의 서브 블록 단위에 대응하는 8×8의 DCT 계수 F(u, v)(단, u=0, 1, … 7, v=0, 1, … 7)로 되돌림과 함께, 각 서브 블록의 수평 주파수의 고역 부분의 DCT 계수를 제거하고,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4(수평 주파수 방향 u)×8(수직 주파수 방향 v)의 수의 DCT 계수 F(u, v)(단, u=0, 1, … 3, v=0, 1, … 7)로 변환한다.
이어서, 역 이산 코사인 변환부(137)는 생성된 4×8의 수의 DCT 계수에 소정의 연산식에 기초하는 4×8의 역 DCT를 실시하고,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은 원래의 서브 블록 단위의 데이터가 수평 방향에서 1/2로 압축된 4(수평 방향 화소수)×8(수직 방향 화소수)의 데이터 수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f(i, j)(단, i=0, 1, … 3, j=0, 1, … 7)를 생성한다.
따라서, 통상의 처리보다도 처리하는 데이터량이 적기 때문에, RAM(112)의 용량이나 1 픽쳐당 처리량이 적게 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4에 있어서, 수학식 3이 성립하는 경우에는 단계 S5로 진행한다. 단계 S5에서는 합계 처리량 추정/재생 방식 판정부(116)는 MPEG 디코더(118)에 대하여, CH1은 4×8 IDCT 재생에 의한 다운컨버트를 행하도록 지시한다. 한편, 합계 처리량 추정/재생 방식 판정부(116)는 MPEG 디코더(118)에 대하여 CH2에 대해서는 통상 재생을 행하도록 지시한다.
단계 S3에 있어서는, 수학식 2가 성립하는 경우에는 단계 S6으로 진행한다. 단계 S6에서는, 다음의 수학식 4가 성립하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단계 S6에 있어서, 수학식 4가 성립하는 경우, 즉 CH1은 통상 재생, CH2는 4×8 IDCT 재생을 행한 경우의 처리량의 합계가 디코더 성능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10으로 진행한다. 단계 10에서는 합계 처리량 추정/재생 방식 판정부(116)는 MPEG 디코더(118)에 대하여 CH1은 통상 재생, CH2는 4×8 IDCT 재생을 행하도록 지시를 행한다.
단계 S4에 있어서, 수학식 3이 성립하지 않는 경우나, 단계 S6에 있어서, 수학식 4가 성립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7로 진행한다. 단계 S7에서는 다음의 수학식 5가 성립하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그리고, 수학식 5가 성립하는 경우, 즉 CH1, CH2 모두 4×8 IDCT 재생을 행한 경우의 처리량의 합계가 디코더 성능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9로 진행한다. 단계 S9에서는 합계 처리량 추정/재생 방식 판정부(116)는 CH1, CH2 모두 4×8 IDCT 재생을 행하도록 MPEG 디코더(118)에 대하여 지시한다.
한편, 단계 S7에 있어서, 수학식 5가 성립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8로 진행한다. 단계 S8에서는 CH1만 통상 재생이 지정되고, CH2는 재생하지 않는, 즉 화면을 갱신하지 않도록 지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 1에 나타낸 흐름도에 따라, 처리를 하면, 적절하게 처리량에 따라서 입력되는 MPEG 비디오 스트림이 다운컨버트되어 표시되기 때문에, 디코더 처리가 혼란스럽지 않고, 적은 메모리 용량으로 또한 디코드 회로의 규모를 그다지 증가시키지 않고도 멀티 윈도우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8은 「3 화면 재생」의 표시 화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 화면 재생」 모드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는 좌우에 2분할되고, 좌측에는 CH1의 화상이 표시되고, 우측에는 CH2와 CH3의 화상이 상하로 표시된다.
3 화면 재생 모드는 텔레비전의 리모콘 조작으로 선택된다. 그 외에도 텔레비전의 리모콘 조작에 의해, 또한 표시 화면수가 많은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헤도 된다. 각 화면에는 리모콘 조작으로 선택되는 모드마다 사전에 정해진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이 3 화면 재생 모드에서는 CH1이 다른 채널보다도 크게 표시된다. 예를 들면,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여 우선 순위를 정하도록 하면, CH2, CH3에 비하여 CH1쪽이 우선 순위가 높게 설정된다.
도 9, 도 10은 「3 화면 재생」 모드에 있어서 도 2에 도시한 처리 합계량 추정/재생 방식 판정부(116)가 행하는 처리 플로우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우선 다음의 수학식 6이 성립하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단계 S11).
단, DP는 사용하는 디코더의 성능을 나타내고, RP(CH1), RP(CH2), RP(CH3)는 각각, CH1, CH2, CH3의 통상 재생에 필요한 처리량을 나타낸다.
수학식 6이 성립하는 경우, 즉 CH1, CH2, CH3의 통상 재생에 요하는 처리량의 합계가 디코더의 처리 성능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합계 처리량 추정/재생 방식 판정부(116)는 MPEG 디코더(118)에 대하여, CH1, CH2, CH3 모두 통상 재생을행하도록 지시한다(단계 S12).
한편, 수학식 6이 성립하지 않는 경우, 즉 CH1, CH2, CH3의 통상 재생에 요하는 처리량의 합계가 디코더의 처리 성능을 초과한 경우에는 단계 S13으로 진행한다. 단계 S13에서는, 다음의 수학식 7이 성립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수학식 7이 성립하지 않는 경우, 즉 CH2쪽이 CH3보다도 처리량이 많은 경우에는 단계 S14로 진행한다. 단계 S14에서는 다음의 수학식 8이 성립하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여기서, RP(half(CH2))는 CH2를 4×8 IDCT를 사용하여 재생할 때에 필요한 처리량을 나타내고 있다. 또, 4×8 IDCT 재생은 도 7에서 설명하였기 때문에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수학식 8이 성립하는 경우에는, 단계 S15로 진행한다. 단계 S15에서는, 합계 처리량 추정/재생 방식 판정부(116)는 MPEG 디코더(118)에 대하여, CH2는 4×8 IDCT 재생에 의한 다운컨버트를 행하도록 지시한다. 한편, 합계 처리량 추정/재생 방식 판정부(116)는 MPEG 디코더(118)에 대하여, CH1, CH3에 대해서는 통상 재생을 행하도록 지시한다.
단계 S13에서는, 수학식 7이 성립하는 경우에는 단계 S16으로 진행한다. 단계 S16에서는, 다음의 수학식 9가 성립하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단계 S16에 있어서 수학식 9가 성립하는 경우, 즉, CH1, CH2는 통상 재생, CH3은 4×8 IDCT 재생을 행한 경우의 처리량의 합계가 디코더 성능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17로 진행한다. 단계 S17에서는, 합계 처리량 추정/재생 방식 판정부(116)는 MPEG 디코더(118)에 대하여, CH1, CH2는 통상 재생, CH3은 4×8 IDCT 재생을 행하도록 지시를 행한다.
단계 S14에 있어서 수학식 8이 성립하지 않는 경우나, 단계 S16에 있어서 수학식 9가 성립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18로 진행한다. 단계 S18에서는, 다음의 수학식 10이 성립하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그리고, 수학식 10이 성립하는 경우, 즉 CH1은 통상 재생을 행하여 CH2, CH3은 4×8 IDCT 재생을 행한 경우의 처리량의 합계가 디코더 성능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19로 진행한다. 단계 S19에서는, 합계 처리량 추정/재생 방식 판정부(116)는 MPEG 디코더(118)에 대하여 CH1은 통상 재생을 행하고, CH2, CH3은 4×8 IDCT 재생을 행하도록 지시한다.
한편, 단계 S18에 있어서, 수학식 10이 성립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단계 S20으로 진행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 S20에서는 다음의 수학식 11이 성립하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그리고, 수학식 11이 성립하는 경우, 즉 CH1, CH2, CH3 모두 4×8 IDCT 재생을 행한 경우의 처리량의 합계가 디코더 성능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21로 진행한다. 단계 S21에서는, 합계 처리량 추정/재생 방식 판정부(116)는 CH1, CH2, CH3 모두 4×8 IDCT 재생을 행하도록 MPEG 디코더(118)에 대하여 지시한다.
한편, 수학식 11이 성립하지 않는 경우, 즉 CH1, CH2, CH3 모두 4×8 IDCT 재생을 행하였다고 해도 처리량의 합계가 디코더의 처리 성능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단계 S22로 진행한다. 단계 S22에서는, 다음의 수학식 12가 성립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수학식 12가 성립하지 않는 경우, 즉 CH2쪽이 CH3보다도 처리량이 많은 경우에는 단계 S23으로 진행한다. 단계 S23에서는, 다음의 수학식 13이 성립하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여기서, RP(onlyI(CH2))는 CH2의 GOP에 포함되는 I, P, B 픽쳐 중, I(Intra) 픽쳐만을 재생할 때에 필요한 처리량을 나타내고 있다. I 픽쳐만을 재생하는 경우에는, 화상의 갱신 간격이 넓어지기 때문에 다소 움직임이 원활해지지만, 재생하기 위한 디코더 처리량은 4×8 IDCT 재생의 경우보다도 더욱 적다.
수학식 13이 성립하는 경우에는, 단계 S24로 진행한다. 단계 S24에서는, 합계 처리량 추정/재생 방식 판정부(116)는 MPEG 디코더(118)에 대하여, CH2는 다운컨버트를 행하여 I 픽쳐만의 재생을 행하도록 지시한다. 한편, 합계 처리량 추정/재생 방식 판정부(116)는 MPEG 디코더(118)에 대하여, CH1, CH3에 대해서는 4×8 IDCT 재생을 행하도록 지시한다.
단계 S22에 있어서는, 수학식 12가 성립하는 경우에는 단계 S25로 진행한다. 단계 S25에서는 다음의 수학식 14가 성립하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단계 S25에 있어서 수학식 14가 성립하는 경우, 즉 CH1, CH2는 4×8 IDCT 재생, CH3은 I 픽쳐만의 재생을 행한 경우의 처리량의 합계가 디코더 성능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29로 진행한다. 단계 S29에서는, 합계 처리량 추정/재생 방식 판정부(116)는 MPEG 디코더(118)에 대하여, CH3은 다운컨버트를 행하여 I 픽쳐만의 재생을 행하도록 지시한다. 한편, 합계 처리량 추정/재생 방식 판정부(116)는 MPEG 디코더(118)에 대하여, CH1, CH2에 대해서는 4×8 IDCT 재생을 행하도록 지시한다.
한편, 단계 S25에 있어서 수학식 14가 성립하지 않는 경우, 즉 CH1, CH2는 4×8 IDCT 재생, CH3은 I 픽쳐만의 재생을 행한 경우라도 처리량의 합계가 디코더 성능을 초과한 경우에는 단계 S26으로 진행한다. 마찬가지로, 단계 S23에 있어서, 수학식 13이 성립하지 않는 경우에도, 단계 S26으로 진행한다. 단계 S26에서는, 다음의 수학식 15가 성립하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그리고, 수학식 15가 성립하는 경우, 즉 CH1은 4×8 IDCT 재생을 행하고 CH2, CH3은 I 픽쳐만의 재생을 행한 경우의 처리량의 합계가 디코더 성능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28로 진행한다. 단계 S28에서는, 합계 처리량 추정/재생 방식 판정부(116)는 CH1은 4×8 IDCT 재생을 행하고, CH2, CH3은 I 픽쳐만의 재생을 행하도록 MPEG 디코더(118)에 대하여 지시한다.
한편, 단계 S26에 있어서, 수학식 15가 성립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27로 진행한다. 단계 S27에서는, 합계 처리량 추정/재생 방식 판정부(116)는 CH1은 통상 재생을 행하고, CH2, CH3의 재생은 행하지 않도록 MPEG 디코더(118)에 대하여 지시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 3에 나타낸 흐름도에 따라서, 처리를 하면, CH1의 화질을 다른 채널보다도 우선하면서, 적절하게 처리량에 따라서 입력되는 MPEG 비디오 스트림이 다운컨버트되어 표시되기 때문에, 디코더 성능을 최대한으로 살려서 멀티 윈도우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다른 적용예]
실시 형태 1, 2에서는 다운컨버트의 방식으로서, 4×8 IDCT 재생이나 I 픽쳐만의 재생을 예로서 나타내었지만, 다른 다운컨버트의 방식을 이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4×4 IDCT 재생이나 아다마르 변환, 디코드 화상의 추출 등을 이용하여 MPEG 디코더의 처리량을 경감하거나 버스나 메모리의 제한( 용량 대역 폭)을 클리어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 2에서는 화면 모드의 예로서, 2 화면 표시, 3 화면 표시 모드에 대하여 나타내었지만, 다른 멀티 윈도우 화면 모드인 경우나, 단화면이어도 역순 재생이나 2배속 재생과 같이 처리량이 통상보다 많은 모드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사전에 처리량을 추정하여, 다운컨버트할지의 여부를 MPEG 디코더에 지시함으로써 적절하게 화면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해서, 복호 처리를 행하였을 때의 처리 시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HD 통상 재생」의 경우에는 1 프레임 기간에 표시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의 복호가 약간 여유를 두고 행해진다. 또한, 「SD의 4CH 멀티 재생」 모드인 경우에는, CH1 ∼ CH4의 채널의 데이터를 시분할로 복호 처리해도, 1 프레임 기간 내에 처리가 종료하기 때문에, 문제없이 재생을 행할 수 있다. 이상은 도 18에 도시한 종래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통상 HD + 자화면 SD」인 경우에는, 우선 순위가 낮은 CH2가 다운컨버트되기 때문에 동화상 복호화 장치는 디코드 처리에 혼란을 초래하지 않고 재생을 할 수 있다.
「HD의 2 화면 재생」인 경우에는, CH1, CH2 모두 다운컨버트된다. 「480p의 4CH 멀티 재생」인 경우에는, CH1은 그대로 재생되고, CH2 ∼ CH4는 다운컨버트된다. 「HD 역순 재생」의 경우에는, CH1, CH2 모두 다운컨버트된다. 「HD의 2 배속 재생」인 경우에는, CH1, CH2 모두 다운컨버트된다. 「HD의 3CH 재생」인 경우에는, CH1, CH2 모두 다운컨버트되어 CH3은 표시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적절하게 처리량의 합계 추정에 따라서, 입력되는 MPEG 비디오 스트림이 다운컨버트되어 표시되기 때문에, 디코더 성능을 최대한으로 살려서 멀티 윈도우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MPEG2 방식에 따른 부호화 데이터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이 외에 MPEG1 방식, MPEG4 방식 및 모션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방식 등의 다른 부호화 규격에 의한 디지털 방송의 수신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번에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고려되어야 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만은 아니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나고,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절하게 처리량에 따라 입력되는 MPEG 비디오 스트림이 다운컨버트되어 표시되기 때문에, 디코더 처리가 혼란스럽지 않고, 적은 메모리 용량으로, 또한 디코드 회로의 규모를 그다지 증가시키지 않고 멀티 윈도우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4)

  1. 디지털 신호로 압축 처리된 복수 채널의 비디오 스트림 신호를 받아, 각 복수 채널의 복호 처리량에 관련된 헤더 정보를 추출하는 헤더 정보 획득 수단과,
    상기 헤더 정보에 따라 각 복수 채널의 복호 처리량을 추정하여, 재생 방식을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복수 채널의 비디오 스트림 신호를 받아서, 상기 판정 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각 상기 채널마다 통상 재생과 상기 통상 재생보다도 처리량이 적은 간이(簡易) 재생 중 어느 한쪽을 행하는 복호 수단을 포함하는 동화상 복호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스트림 신호는 MPEG 또는 JPEG 방식으로 압축된 신호이고,
    상기 헤더 정보는,
    상기 비디오 스트림 신호에 포함되는 픽쳐군 앞에 부가되는 시퀀스 헤더 중의 화면 도트수를 포함하는 동화상 복호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스트림 신호는 MPEG 또는 JPEG 방식으로 압축된 신호이고,
    상기 헤더 정보는,
    상기 비디오 스트림 신호에 포함되는 픽쳐군 앞에 부가되는 시퀀스 헤더 중프레임레이트를 포함하는 동화상 복호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 수단은,
    입력되는 상기 비디오 스트림 신호를 상기 판정 수단의 출력에 따라 전환하여 제공하는 제1 전환 수단과,
    상기 제1 전환 수단으로부터 상기 비디오 스트림 신호를 받아 통상 재생을 행하기 위한 통상 복호 수단과,
    상기 제1 전환 수단으로부터 상기 비디오 스트림 신호를 받아 간이 재생을 행하기 위한 간이 복호 수단을 포함하는 동화상 복호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 수단의 출력을 받아 1화면 내에 상기 복수 채널에 대응하는 복수의 분할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동화상 복호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스트림 신호는 MPEG 또는 JPEG 방식으로 압축된 신호이고,
    상기 간이 재생은 8×8의 직교 변환 계수 중 수평 주파수의 고역 부분을 제거한 4×8의 직교 변환 계수를 이용하여 역 이산 코사인 변환을 실시하는 4×8 IDCT 처리를 포함하는 동화상 복호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스트림 신호는 MPEG 또는 JPEG 방식으로 압축된 신호이고,
    상기 간이 재생은 상기 비디오 스트림 신호에 포함되는 픽쳐군 중 프레임 내 부호화 처리된 픽쳐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복호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동화상 복호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복수 채널에 각각 대응하여 정해지는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재생 방식을 결정하는 동화상 복호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수단은 추정된 상기 복호 처리량이 소정의 값을 초과할 때는 상기 복수 채널 중 추정 시에 상기 통상 재생을 행하도록 설정한 채널 중에서, 우선 순위가 최하위인 채널을 간이 재생을 행하도록 설정 변경하여, 다시 상기 복호 처리량의 추정을 행하는 동화상 복호화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는 상기 복수 채널의 화면 표시 모드에 대응하여 정해지고, 표시 면적이 큰 채널일수록 우선 순위가 높은 동화상 복호화 장치.
  11. 디지털 신호로 압축 처리된 복수 채널의 비디오 스트림 신호를 받아서, 각 복수 채널의 복호 처리량에 관련된 헤더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헤더 정보에 따라 각 복수 채널의 복호 처리량을 추정하여, 재생 방식을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 채널의 비디오 스트림 신호를 받아서, 상기 재생 방식에 따라 각 상기 채널마다 통상 재생과 상기 통상 재생보다도 처리량이 적은 간이 재생 중 어느 한쪽을 행하는 복호 처리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화상 복호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 처리를 행하는 단계는,
    입력되는 상기 비디오 스트림 신호를 상기 재생 방식에 따라 재생 방법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비디오 스트림 신호를 받아 통상 재생을 행하는 단계와,
    상기 비디오 스트림 신호를 받아 간이 재생을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화상 복호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채널에 각각 대응하여 정해지는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재생 방식을 결정하는 동화상 복호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하는 단계는 추정된 상기 복호 처리량이 소정의 값을 초과할 때는 상기 복수 채널 중 추정 시에 상기 통상 재생을 행하도록 설정한 채널 중에서 우선 순위가 최하위인 채널을 간이 재생을 행하도록 설정 변경하여, 다시 상기 복호 처리량의 추정을 행하는 동화상 복호화 방법.
KR10-2001-0060953A 2000-10-04 2001-09-29 동화상 복호화 장치 및 동화상 복호화 방법 KR1004445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04851 2000-10-04
JP2000304851A JP3639517B2 (ja) 2000-10-04 2000-10-04 動画像復号化装置および動画像復号化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206A KR20020027206A (ko) 2002-04-13
KR100444536B1 true KR100444536B1 (ko) 2004-08-16

Family

ID=18785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0953A KR100444536B1 (ko) 2000-10-04 2001-09-29 동화상 복호화 장치 및 동화상 복호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52451B2 (ko)
EP (1) EP1202575A3 (ko)
JP (1) JP3639517B2 (ko)
KR (1) KR100444536B1 (ko)
CN (1) CN1203676C (ko)
TW (1) TW52666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3002U (ko) 2021-06-17 2022-12-26 지이 일렉트리컬 엔지니어링 컴퍼니., 리미티드. 캔드 모터 펌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03404B2 (ja) * 2002-06-20 2010-01-27 ソニー株式会社 復号装置及び復号方法
KR100504471B1 (ko) * 2002-08-08 2005-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디코딩 시스템
TWI289992B (en) * 2003-12-03 2007-11-11 Via Tech Inc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MPEG frame buffers
US7996863B2 (en) * 2004-05-13 2011-08-09 Ati Technologies Ul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 of a digital video signal
WO2006030409A2 (en) * 2004-09-16 2006-03-23 Siano Mobile Silicon Ltd. A system circuit and method for utilizing digital memory associated with a host device for received data
KR100652689B1 (ko) 2004-10-26 2006-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의 컨텐츠의 사이즈 분석 방법
US7986846B2 (en) 2004-10-26 2011-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image signal i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CN101204089B (zh) * 2005-06-20 2010-05-19 夏普株式会社 视频数据再生装置、视频数据生成装置
JPWO2007032123A1 (ja) * 2005-09-14 2009-03-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マルチストリーム復号装置
EP1773004A1 (en) * 2005-10-10 2007-04-11 Nec Technologies (UK) Limited Header compression optimisation method during and after handovers in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JP2007158499A (ja) * 2005-12-01 2007-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多画面表示装置
JP2007318455A (ja) * 2006-05-25 2007-1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ランスコーデック装置
JP4676929B2 (ja) * 2006-07-19 2011-04-2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符号化装置、それらの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4727557B2 (ja) * 2006-11-30 2011-07-20 シャープ株式会社 復号装置および復号方法
KR100898401B1 (ko) * 2007-01-25 2009-05-21 주식회사 씬멀티미디어 비디오 복호화기의 역양자화/역 이산 코사인 변환 장치
JP2009009228A (ja) * 2007-06-26 2009-01-15 Mitsubishi Electric Corp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及びコンテンツ再生装置の運用方法
JP2009044537A (ja) * 2007-08-09 2009-02-26 Osaka Univ 映像ストリーム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WO2009025189A1 (ja) * 2007-08-23 2009-02-26 Sharp Kabushiki Kaisha 再生装置、再生方法
JP2010206486A (ja) * 2009-03-03 2010-09-16 Sharp Corp 動画像ストリーム復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11250358A (ja) * 2010-05-31 2011-12-08 Sharp Corp 映像処理装置
WO2012100410A1 (zh) * 2011-01-26 2012-08-02 青岛海信信芯科技有限公司 实现多方视频通话的方法、视频终端及系统
JP2012033204A (ja) * 2011-11-16 2012-02-16 Toshiba Corp 電子機器、映像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映像表示方法
BR112014016291A8 (pt) * 2012-01-19 2017-07-04 Mitsubishi Electric Corp dispositivos e métodos de decodificação e codificação de vídeo
JP5958291B2 (ja) * 2012-11-08 2016-07-27 オンキヨ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中継装置
EP2928440B2 (en) * 2012-12-05 2019-12-18 Colgate-Palmolive Company Fluoride-stable zinc containing oral care compositions
KR102268597B1 (ko) * 2013-11-18 2021-06-23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16163134A (ja) * 2015-02-27 2016-09-0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動画再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210108726A (ko) * 2020-02-26 2021-09-03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스프라이트 jpeg를 이용하여 애니메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2216B2 (ja) 1990-07-17 2000-08-28 ソニー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0128245B1 (ko) * 1992-10-07 1998-04-02 배순훈 화면 분할 기능을 갖는 디지탈 방식 고선명 텔레비젼
US5614952A (en) 1994-10-11 1997-03-25 Hitachi America, Ltd. Digital video decoder for decoding digital high definition and/or digital standard definition television signals
JP3393907B2 (ja) 1993-12-21 2003-04-07 株式会社東芝 動画像復号装置
US6075906A (en) * 1995-12-13 2000-06-13 Silicon Graph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the scaling of image streams that use motion vectors
US6014694A (en) * 1997-06-26 2000-01-11 Citrix Systems, Inc. System for adaptive video/audio transport over a network
KR100248404B1 (ko) 1997-09-04 2000-03-15 정선종 다중 객체 환경에서 우선 순위 정보를 이용한 순화적 계산량 감소 방법
JPH11122624A (ja) 1997-10-16 1999-04-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ビデオデコーダ処理量を低減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H11146398A (ja) 1997-11-04 1999-05-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メディア情報処理装置
JP3481112B2 (ja) 1997-12-25 2003-12-22 三洋電機株式会社 動画像復号化装置
US6665344B1 (en) * 1998-06-29 2003-12-16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Downconverting decoder for interlaced pictures
US6384846B1 (en) 1998-12-11 2002-05-07 Hitachi America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ndering multiple images using a limited rendering resource
JP2000259143A (ja) 1999-03-08 2000-09-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ウィンドウ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3002U (ko) 2021-06-17 2022-12-26 지이 일렉트리컬 엔지니어링 컴퍼니., 리미티드. 캔드 모터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206A (ko) 2002-04-13
EP1202575A3 (en) 2004-03-31
US20020039385A1 (en) 2002-04-04
CN1346217A (zh) 2002-04-24
TW526663B (en) 2003-04-01
JP3639517B2 (ja) 2005-04-20
EP1202575A2 (en) 2002-05-02
US6952451B2 (en) 2005-10-04
CN1203676C (zh) 2005-05-25
JP2002112195A (ja) 200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4536B1 (ko) 동화상 복호화 장치 및 동화상 복호화 방법
JP4764816B2 (ja) 移動体受信機に向けた、低減解像度ビデオのロバスト・モードでのスタガキャスト
US656387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coding and displaying high definition and standard definition digital video images at standard definition resolution
US8249155B2 (en) Transcoder, recorder, and transcoding method
US7515207B2 (en) Televisio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3789048B2 (ja) 動画像再符号化装置
JP3037822B2 (ja) デジタル多チャンネル伝送システムの受信機
US744681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video signals
JP2005347871A5 (ko)
US7489852B2 (en) Video reproducing apparatus
WO2004112378A1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05184788A (ja) 信号処理装置
JP4383844B2 (ja)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3962053B2 (ja) 動画像再符号化装置
KR980013375A (ko) 아날로그와 디지털 비디오 모드를 갖는 수신기와 그 수신방법(Receiver having analog and digital video moed and receiving method thereof)
JP4382679B2 (ja) 映像記録装置および映像再生装置
JP2005123990A (ja) 携帯通信端末装置
JP2004215082A (ja) 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
JP200801099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半導体集積回路
JPH11313249A (ja) 画像符号化データ加工装置及び画像符号化データ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