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3612B1 -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3612B1
KR100443612B1 KR10-2002-0035513A KR20020035513A KR100443612B1 KR 100443612 B1 KR100443612 B1 KR 100443612B1 KR 20020035513 A KR20020035513 A KR 20020035513A KR 100443612 B1 KR100443612 B1 KR 100443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ow mask
transmittance
cathode ray
ray tube
electron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5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4722A (ko
Inventor
정훈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Priority to KR10-2002-0035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3612B1/ko
Priority to US10/295,949 priority patent/US6781301B1/en
Priority to CNB021564035A priority patent/CN1226771C/zh
Priority to JP2003016255A priority patent/JP2004031309A/ja
Priority to EP03075956A priority patent/EP1376648A1/en
Publication of KR20040004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4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3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36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6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distribution of beam-passing aper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6Vessels and containers
    • H01J2229/8613Faceplates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에 사용되는 새도우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틴트 또는 다크틴트 글라스 패널을 사용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글라스 투과율 차이로 인한 화면의 중앙부 대비 주변부의 휘도 밸런스가 나빠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최적의 투과율을 가진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는 중앙부 투과율이 40~75%이고 주변부 투과율(Td) 대비 중앙부 투과율(Tc)인 Tc/Td가 1.4~2.2이면서 외면이 실질적으로 평면인 패널과 상기 패널의 내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며 다수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된 새도우 마스크가 포함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새도우 마스크의 중앙부 투과율(Tmc)과 주변부(유효면 대각부 끝단)의 투과율(Tmd)과의 비인 Tmd/Tmc는 0.85≤Tmd/Tmc≤1.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는 중앙부와 주변부의 투과율 분포를 개선하여 중앙부 대비 주변부의 투과율의 비율을 높임으로써 주변부의 휘도를 높여 휘도 밸런스를 개선하고 스크린의 품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는 틴트나 다크 틴트와 같은 고품위 패널을 사용함으로써, 콘트라스트 특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SHADOW MASK FOR CRT}
본 발명은 평면형 칼라 음극선관에 사용되는 새도우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틴트 또는 다크틴트 글라스 패널을 사용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글라스 투과율 차이로 인한 화면의 중앙부 대비 주변부의 휘도 밸런스가 나빠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최적의 투과율을 가진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평면형 칼라 음극선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평면형 칼라 음극선관은 전면유리인 패널(1)과, 상기 패널(1)과 결합되는 후면유리인 펀넬(2)이 결합되고 밀봉되어 그 내부가 진공상태로 유지되며 하나의 진공관을 이룬다.
상기 패널(1)의 내면에는 형광체면(4)이 형성되고 상기 형광체면(4)에 대향하는 펀넬(2)의 목부분에는 전자총(13)이 설치된다.
상기 형광체면(4)과 전자총(13)사이에는 형광체면(4)과 소정의 간격으로 색선별 작용을 하는 새도우 마스크(7)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새도우 마스크(7)는 마스크 프레임(3)과 결합되고, 스프링(8)에 탄성 지지되어 스터드 핀(12)으로 상기 패널(1)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마스크 프레임(3)은 외부 자계에 의한 전자빔(6)의 이동을 줄여주기 위해 자성체로 만들어진 인너쉴드(9)와 결합되어 브라운관 후방에서의 지자계의 영향을 줄이고 있다.
한편, 상기 펀넬(2)의 목 부분에는 전자총(13)에서 방출된 전자빔(6)이 한 점에서 수렴되도록 R,G,B 전자빔을 조정하기 위한 컨버젼스 퓨리티 보정용 마그네트(CPM)(10)가 설치되어 있고, 전자빔(6)의 편향을 위한 편향요크(5)가 설치된다.
또한, 내부의 진공 상태에 따른 전면 글라스의 강화를 위하여 보강밴드(11)가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평면형 칼라 음극선관의 작동을 설명하면, 전자총(13)에서 방출된 전자빔(6)은 편향요크(5)에 의해서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편향되고, 편향된 전자빔(6)은 새도우 마스크(7)의 빔 통과공을 통과하여 전면의 형광체면(4)을 타격함으로써 소망하는 소정의 칼라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여기서, 컨버젼스 퓨리티 보정용 마그네트(10)는 R,G,B 전자빔(6)의 컨버젼스와 퓨리티를 보정해주고, 인너쉴드(9)는 음극선관 후방에서의 지자계의 영향을 차폐하여 준다.
도 2는 새도우 마스크를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새도우 마스크(7)는 패널(1)의 내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돔 형상으로 설치된다.
상기 새도우 마스크(7)는 중앙부분에 도트 또는 스트라이프 형태의 전자빔 통과공인 슬롯(34)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유효면부(31)와, 상기 유효면부(31)를 둘러싸고 있으며 슬롯(34)이 형성되지 않는 비유효면부(32)와, 상기 비유효면부(32)의 최외곽 부분에서 상기 비유효면부(32)와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마스크 스커트(33)로 구성된다.
상기 마스크 스커트(33)에는 프레임(3)이 용접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새도우 마스크(7)는 그 두께가 0.1~0.3mm정도이고, 새도우 마스크(7)의 유효면부(31)에는 전자빔(6)이 통과하는 구멍으로서 다수의 슬롯(34)이 소정의 배열로 형성되는데,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도트나 스트라이프 모양의 구멍이 소정의 피치를 가지면서 복수열로 배열된다.
이러한 평면형 칼라 음극선관은 펀넬(2)의 끝단에 장착된 전자총(13)으로 부터 전자빔(6)이 방출되고, 펀넬(2)의 외부에 장착된 편향요크(5)에 의해 상,하,좌,우로 편향되어진 후, 다수의 통과공을 가지며 색선별 기능을 하는 새도우 마스크(7)를 통과하여 패널(1)의 내면에 형성된 소정의 형광체면(4)을 타격하여 발광시킴으로서 화상이 재현되도록 한다.
이때, 화상의 밝고 어두움은 상기 새도우 마스크(7)에 형성된 스트라이프 형태의 구멍인 스롯(34)을 통과하는 전자빔(6)의 양과 상기 전자빔(6)에 의한 패널(1) 내면에 형성된 형광체면(4)의 발광정도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상기 전자빔(6)은 상기 새도우 마스크(7)의 전자빔 통과공인 슬롯(34)을 통과하는데, 이 때의 투과율이 대략 14~20%이고 새도우 마스크(7)를 통과한 전자빔(6)이 패널(1)의 내면에 도포된 형광체면(4)을 통과하는 투과율은 45~60%이다.
마지막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패널(1)을 통과하여 영상이 보여지게 된다.
종래의 평면형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1)은 중앙부 투과율이 40~75%이고, 중앙부 투과율/주변부 투과율이 1.4~2.2인 틴트나 다크틴트 글라스가 사용되면서 화면의 선명도를 나타내는 콘트라스트 특성은 향상되었으나, 종래에 사용되던 클리어 글라스보다 중앙 대비 주변의 휘도 저하가 심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클리어 글라스의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중앙부 투과율이 대략 54%이고 주변부 투과율이 47%이지만, 틴트 글라스의 경우에는 중앙부 투과율이 54%에 주변부 투과율이 35%정도로 틴트 글라스가 클리어 글라스를 사용할 때보다 주변부 투과율이 급격히 떨어져 중앙 대비 주변의 휘도 밸런스가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패널(1)에 의한 투과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패널(1)의 두께를 줄이는 방법이 연구되었다.
패널(1)의 형상을 보면 외면은 거의 평면이면서 내면은 중앙부가 가장 얇고 주변부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일종의 돔 형상을 취하고 있으며, 여기서 두께를 줄이는 것은 상기 패널(1)의 내면의 돔 형상을 평평하게 펴주는 것이 된다.
그러나, 패널(1)의 내면을 평평하게 하는 것은 패널(1)의 내면과 유사한 돔 형상의 곡률을 가지는 새도우 마스크(7)의 형상도 역시 평평하게 해 주어야 한다.
새도우 마스크(7)가 평평해지면서 새도우 마스크(7)의 구조적인 강도 특성이 취약해져서 이에 따른 제반 문제들이 발생되는데, 하울링현상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구조적 강도 약화로 인하여 작은 충격이나 충돌에 의한 곡률변형이 더 쉽게 일어나 화면 왜곡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는 틴트 또는 다크틴트 글라스 패널을 사용함에 따라 글라스 투과율 차이로 인한 화면의 중앙부와 주변부의 휘도 밸런스가 나빠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평면형 칼라 음극선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새도우 마스크를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슬롯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슬롯을 통과한 전자빔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패널 2 ; 펀넬
3 ; 마스크 프레임 4 ; 형광체면
5 ; 편향요크 6 ; 전자빔
7 ; 새도우 마스크 8 ; 스프링
9 ; 인너쉴드 10 ; 컨버젼스 퓨리티 보정용 마그네트
11 ; 보강밴드 12 ; 스터드 핀
13 ; 전자총 31 ; 유효면부
32 ; 비유효면부 33 ; 마스크 스커트
34 ; 슬롯
이하, 첨부된 도면과 도표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은 새도우 마스크에 형성된 슬롯을 통과하여 패널 내면에 형성된 형광체면을 타격하게 되고, 이때 발생되는 빛이 틴트 글라스인 패널을 통과하여 영상이 표현된다.
상기 전자총으로 부터 방출된 전자빔은 대략 14~20%정도 만이 새도우 마스크의 슬롯을 통과하게 되는데, 새도우 마스크의 위치에 따라 슬롯의 크기가 다르고 그에 따라 새도우 마스크의 슬롯을 통과하는 전자빔의 투과율(Tm)도 달라지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슬롯의 확대도이다.
새도우 마스크의 슬롯(34)은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이 입사되는 입사측과 새도우 마스크를 통과하여 스크린에 향하는 출사측으로 구분되는데 슬롯(34)의 크기는 입사측이 출사측보다 작은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새도우 마스크의 슬롯(34)은 전자빔의 입사측 방향을 의미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슬롯(34)은 수평방향의 폭(Sw)과 수직방향의 높이(Sl)로 이루어진 장방형이다.
또한, 수직방향의 슬롯(34)과 슬롯(34)사이에 형성된 브리지(Br)와, 수직방향으로 슬롯(34)과 슬롯(34)사이의 거리를 수직피치(Pv)라고 하고, 수평방향으로의 슬롯(34)과 슬롯(34) 사이의 거리를 수평피치(Ph)라고 한다.
새도우 마스크의 투과율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수평피치(Ph)와 슬롯폭(Sw), 수직피치(Pv), 브리지(Br)이다.
즉, 새도우 마스크의 투과율(Tm)은 하기 수학식1과 같다.
새도우 마스크의 투과율(Tm)=Sw×(Pv-Br)/(Pv×Ph)
수학식 1에서 보면, 투과율은 대략적으로 슬롯의 넓이/새도우 마스크의 유효면적으로 계산될 수 있다.
표 1은 새도우 마스크의 중앙부 투과율(Tmc)와 주변부 투과율(Tmd)를 설명하는 도표이다.
여기서 주변부라 함은 도 2와 같이 새도우 마스크의 유효면 대각 끝단부의 영역을 말한다.
Tmc Tmd Tmd/Tmc
종래기술1 0.201 0.165 0.82
종래기술2 0.192 0.159 0.83
실시예1 0.190 0.184 0.97
실시예2 0.189 0.188 1.00
표 1에서 보는 바와같이 종래의 평면형 음극선관에서 채용된 새도우 마스크의 투과율을 보면 중앙부의 투과율(Tmc)과 주변부의 투과율(Tmd)의 비인 Tmd/Tmc가 0.82~0.83 수준이다.
그러나, 틴트 글라스 패널을 사용한 평면형 음극선관의 새도우 마스크의 투과율 Tmd/Tmc 는 0.97~1.00 의 수준으로 종래보다 주변부 투과율을 높게 사용함으로써 주변부의 휘도를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즉, 0.85≤Tmd/Tmc≤1.00 의 조건이 만족되도록 함으로써 새도우 마스크의 주변부의 휘도가 개선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새도우 마스크 주변부에서의 수평피치(Phd)를 1.057mm, 수직피치(Pvd)를 0.720mm, 슬롯폭(Swd)을 0.245mm, 브리지(Brd)를 0.149mm로 할 경우에 Tmd=0.245×(0.720-0.149)/(0.720×1.057)=0.184가 된다.
그리고, 새도우 마스크 중앙부에서의 수평피치(Phc)를 0.770mm, 수직피치(Pvc)를 0.720mm, 슬롯폭(Swc)을 0.176mm, 브리지(Brc)를 0.120mm로 할 경우에 중앙부의 투과율(Tmc)=0.176×(0.720-0.120)/(0.720×0.770)=0.190이 된다.
따라서, 중앙부 투과율 대비 주변부 투과율의 비 Tmd/Tmc는 0.965가 된다.
이때, 틴트용 새도우 마스크의 주변부 투과율(Tmd)은 종래의 평면형 음극선관 새도우 마스크의 주변부 투과율보다 같거나 큰 것이 바람직하다.
즉, 틴트용 음극선관의 주변부 투과율은 Tmd≥17%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새도우 마스크의 투과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직피치(Pv) 대비 브리지(Br)의 비율(Br/Pv)이 작을수록 새도우 마스크의 투과율이 높아지게 된다.
표 2는 주변부의 브리지와 수직피치를 설명하는 도표이다.
Brd Pvd Brd/Pvd
종래기술1 0.149 0.595 0.25
종래기술2 0.142 0.595 0.24
실시예1 0.149 0.720 0.21
실시예2 0.120 0.595 0.20
표 2에서 보는 바와같이 종래의 주변부에서의 수직피치(Pvd) 대비 브리지(Brd)의 비율(Brd/Pvd)은 0.24~0.25이고, 바람직하게는 0.24보다 작아야 새도우 마스크의 투과율이 높아지게 된다.
그러나, 주변부에서의 수직피치(Pvd) 대비 브리지(Brd)의 비율(Brd/Pvd)이 0.15보다 작은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수직피치(Pvd)인 0.600mm에서 브리지(Brd)의 크기가 0.090mm가 된다.
상기와 같이 브리지(Brd)의 크기가 0.090mm가 되는 경우에는 새도우 마스크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브리지(Brd)가 너무 작아 터지게 되는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주변부에서의 수직피치(Pvd) 대비 브리지(Brd)의 비율(Brd/Pvd)은 0.16≤Brd/Pvd≤0.23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새도우 마스크의 브리지(Brd)는 상기 0.090mm보다 커야 하고, 종래의 0.142mm보다 작아야 주변부의 새도우 마스크 투과율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브리지(Brd)의 크기는 0.10mm≤Brd≤0.14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수직피치(Pvd)와 브리지(Brd)외에 새도우 마스크의 투과율을 결정짓는 것은 수평피치(Phd)와 슬롯폭(Swd)이다.
틴트 글라스 패널을 사용하는 평면형 음극선관의 새도우 마스크의 슬롯폭(Swd)은 하기 수학식 2로 결정된다.
(Ph/3)×(A/B)×0.9≤Swd≤(Ph/3)×(A/B)
상기 수학식 2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A는 특정 상수로써 도 4의 패널의 내면에 도포되어 있는 형광체의 R,G,B와 각각의 인접하고 있는 흑연띠 3개로 구성된 스크린의 수평피치(P)와 새도우 마스크 슬롯의 피치(Ph)와의 비율로서 주변부의 경우에는 대략 1.175 정도의 값을 갖는다.
B도 특정 상수로써 도 4의 새도우 마스크의 전자빔 통과공인 슬롯을 통과한 전자빔의 크기(Bs)와 새도우 마스크의 슬롯폭(Sw)과의 비율(Bs/Sw)로서 주변부의 경우에는 대략 1.593 정도의 값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새도우 마스크의 주변부의 슬롯폭(Swd)은 상기 새도우 마스크 주변부의 수평피치(Phd)와 다음의 수학식 3의 관계를 가진다.
Phd×0.2213≤Swd≤Phd×0.2459
상기 수학식 3에서 보는 바와같이 주변부의 슬롯폭(Swd)은 주변부의 수평피치(Phd)에 0.2213을 곱한 값보다는 크거나 같아야 하고, 0.2459를 곱한 값보다는 작거나 같아야 한다.
만약, 수평피치(Phd)=1.040mm 이고, 슬롯폭(Swd)=0.220mm 와 같이 주변부의 슬롯폭(Swd)이 수평피치(Phd)에 0.2213을 곱한 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슬롯폭(Swd=0.220mm)을 통과한 전자빔의 크기는 대략 0.350mm(=0.220×1.593)이 된다.
이때, 스크린의 수평피치(P)는 대략 1.220mm(=1.040×1.175)가 되어 스크린의 수평피치(P)에서 전자빔이 차지하는 크기가 작아서 전자빔이 R,G,B의 형광체의 정확한 위치를 타격하지 않으면 밝기가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반면에, 슬롯폭(Swd)이 수평피치(Phd)에 0.2459를 곱한 값보다 큰 경우에 상기 슬롯폭(Swd=0.275mm)을 통과한 전자빔의 크기는 대략 0.438mm(=0.275×1.593)이 되어 상기 스크린의 수평피치(P)인 1.220mm의 1/3되는 값(0.407mm)보다 크게된다.
이때, 전자빔이 R,G,B 형광체의 정확한 위치를 타격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다른 형광체를 타격해서 색순도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슬롯폭은 상기 수학식 3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3은 새도우 마스크의 중앙부의 슬롯폭(Swc)과 주변부의 슬롯폭(Swd)의 비를 설명하는 도표이다.
Swc Swd Swd/Swc
종래기술1 0.189 0.213 1.13
종래기술1 0.182 0.226 1.24
실시예1 0.176 0.245 1.39
실시예2 0.175 0.245 1.40
새도우 마스크의 주변부에서 높은 투과율을 내기 위해서는 Swd/Swc가 종래의 1.13~1.24 보다 높은 1.3이상이어야 하고, Swd/Swc가 1.6보다 큰 경우에 새도우 마스크의 슬롯 형성에 필요한 최소 크기의 슬롯폭(Swc)은 0.175mm이므로 Swd가 0.280mm이상이 되어야 하므로 새도우 마스크의 슬롯을 통과한 전자빔의 크기가 너무 커서 색순도 품질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Swd/Swc는 1.3≤Swd/Swc≤1.5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새도우 마스크의 두께(T)는 0.22~0.25mm이고, 새도우 마스크의 슬롯 형성에 필요한 최소 크기의 슬롯폭(Swc)은 0.175mm이므로, 새도우 마스크의 두께가 0.22mm인 경우에 Swc/T=0.175/0.22=0.79이고, 새도우 마스크의 두께가 0.25mm인 경우에 Swc/T=0.175/0.25=0.7 이 된다. 즉, Swc/T는 0.7~0.79가 된다.
새도우 마스크의 두께(T)에 비하여 Swc가 작아 Swc/T가 0.7보다 작은 경우에는 에칭에 의한 슬롯 형성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새도우 마스크의 슬롯 형성에 필요한 최소 크기의 슬롯폭(Swc)은 0.175mm이므로, Swc/T는 0.7보다 크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표 4는 틴트용 새도우 마스크의 일실시예이다.
중앙부 투과율 주변부 투과율
Ph 0.770 1.057
Pv 0.720 0.720
Sw 0.176 0.245
Br 0.120 0.149
표 4를 참조하면, 새도우 마스크 투과율은 수학식 1에 의하여 중앙부의 투과율(Tmc)은 0.190이고, 주변부의 투과율(Tmd)은 0.184이므로, 주변부의 투과율은 18.4%로써 Tmd≥17%를 만족한다.
또한, Tmd/Tmc는 0.965로써 0.80≤Tmd/Tmc를 만족한다.
또한, 주변부의 수직피치(Pvd)가 0.720mm이고, 브리지(Brd)가 0.149mm로써 Brd/Pvd 의 값이 0.21이 되어 0.16≤Brd/Pvd≤0.23을 만족하게 된다.
또한, 새도우 마스크의 주변부에서의 수평피치(Phd)가 1.057mm로서 이때의 주변부에서의 슬롯폭(Swd)은 0.245mm이고, 따라서 0.2213×Ph≤Swd≤0.2459×Ph 의 범위에 속하게 된다.
즉, 0.234mm≤Swd≤0.260mm를 만족하게 된다.
또한, 중앙부의 슬롯폭(Swc)는 0.176mm이고, 주변부의 슬롯폭(Swd)은 0.245mm로서 Swd/Swc는 1.4가되어 1.3≤Swd/Swc≤1.5의 조건이 만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는 중앙부와 주변부의 투과율 분포를 개선하여 중앙부 대비 주변부의 투과율의 비율을 높임으로써 주변부의 휘도를 높여 휘도 밸런스를 개선하고 스크린의 품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는 틴트나 다크 틴트와 같은 고품위 패널을 사용함으로써, 콘트라스트 특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중앙부 투과율이 40~75%이고 주변부 투과율(Td) 대비 중앙부 투과율(Tc)인 Tc/Td가 1.4~2.2이면서 외면이 실질적으로 평면인 패널과 상기 패널의 내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며 다수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된 새도우 마스크가 포함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새도우 마스크의 중앙부 투과율(Tmc)과 주변부의 투과율(Tmd)과의 비인 Tmd/Tmc는 0.85≤Tmd/Tmc≤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새도우 마스크의 주변부의 투과율(Tmd)은 Tmd≥17%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새도우 마스크의 주변부의 전자빔 통과공의 단축 방향으로의 사이 간격은 Brd이고, 단축방향의 수직피치를 Pvd라고 할때 주변부 단축방향의 수직피치(Pvd)와 주변부의 전자빔 통과공의 단축 방향으로의 사이 간격(Brd)의 비 Brd/Pvd는 0.16≤Brd/Pvd≤0.2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부의 전자빔 통과공의 단축 방향으로의 사이 간격(Brd)은 0.10mm≤Brd≤0.14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새도우 마스크의 주변부의 수평피치를 Phd라고 하고, 전자빔 통과공의 슬롯폭을 Swd라 할때 0.2213×Phd≤Swd≤0.2459×Phd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새도우 마스크의 중앙부의 전자빔 통과공의 슬롯폭을 Swc라 하고 주변부의 전자빔 통과공의 슬롯폭을 Swd라 할때, 중앙부의 전자빔 통과공의 슬롯폭(Swc)과 주변부의 전자빔 통과공의 슬롯폭(Swd)의 비 Swd/Swc는 1.3≤Swd/Swc≤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새도우 마스크의 두께를 T라 하고 중앙부의 전자빔 통과공의 슬롯폭을 Swc라고 할때, 새도우 마스크의 두께(T)와 중앙부의 전자빔 통과공의 슬롯폭(Swc)의 비 Swc/T는 0.7≤Swc/T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KR10-2002-0035513A 2002-06-25 2002-06-25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KR100443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513A KR100443612B1 (ko) 2002-06-25 2002-06-25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US10/295,949 US6781301B1 (en) 2002-06-25 2002-11-18 Cathode-ray tube
CNB021564035A CN1226771C (zh) 2002-06-25 2002-12-10 阴极射线管
JP2003016255A JP2004031309A (ja) 2002-06-25 2003-01-24 陰極線管
EP03075956A EP1376648A1 (en) 2002-06-25 2003-04-02 Cathode-ray tu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513A KR100443612B1 (ko) 2002-06-25 2002-06-25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4722A KR20040004722A (ko) 2004-01-14
KR100443612B1 true KR100443612B1 (ko) 2004-08-09

Family

ID=29717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5513A KR100443612B1 (ko) 2002-06-25 2002-06-25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81301B1 (ko)
EP (1) EP1376648A1 (ko)
JP (1) JP2004031309A (ko)
KR (1) KR100443612B1 (ko)
CN (1) CN122677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85994A (zh) * 2015-08-31 2015-12-23 中原工学院 一种掺杂石墨烯的多孔碳/四氧化三铁纳米纤维锂电池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7841A (ja) * 1995-02-13 1996-11-01 Nec Kansai Ltd シャドウマスク型カラー陰極線管
WO1998020514A1 (fr) * 1996-11-05 1998-05-14 Kabushiki Kaisha Toshiba Tube cathodique couleur
JPH10275568A (ja) * 1997-03-31 1998-10-13 Nec Kansai Ltd シャドウマスク型カラー陰極線管
KR20000066378A (ko) * 1999-04-16 2000-11-15 구자홍 칼라음극선관의 섀도우마스크
KR20020012867A (ko) * 2000-08-09 2002-02-20 김영남 샤도우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4746A (en) * 1995-06-06 1996-07-09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Color picture tube having shadow mask with improved aperture spacing
US6160344A (en) * 1997-04-12 2000-12-12 Samsung Display Devices Co., Ltd. Cathode-ray tube
JPH11288676A (ja) * 1997-12-10 1999-10-19 Toshiba Corp カラー受像管
US6639346B2 (en) * 1997-12-17 2003-10-28 Samsung Display Devices Co., Ltd. CRT pane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E69918874T2 (de) * 1998-01-30 2005-07-21 Hitachi, Ltd. Kathodenstrahlröhre
US6072270A (en) * 1998-06-22 2000-06-06 Chunghwa Picture Tubes, Inc. Shadow mask for color CRT
KR100605760B1 (ko) * 1999-02-08 2006-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칼라 음극선관
US6465945B1 (en) * 1999-06-16 2002-10-15 Kabushiki Kaisha Toshiba Color cathode-ray tube
JP2001256897A (ja) * 2000-03-13 2001-09-21 Hitachi Ltd カラー陰極線管
JP2001351541A (ja) * 2000-06-01 2001-12-21 Hitachi Ltd カラー陰極線管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7841A (ja) * 1995-02-13 1996-11-01 Nec Kansai Ltd シャドウマスク型カラー陰極線管
WO1998020514A1 (fr) * 1996-11-05 1998-05-14 Kabushiki Kaisha Toshiba Tube cathodique couleur
JPH10275568A (ja) * 1997-03-31 1998-10-13 Nec Kansai Ltd シャドウマスク型カラー陰極線管
KR20000066378A (ko) * 1999-04-16 2000-11-15 구자홍 칼라음극선관의 섀도우마스크
KR20020012867A (ko) * 2000-08-09 2002-02-20 김영남 샤도우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031309A (ja) 2004-01-29
KR20040004722A (ko) 2004-01-14
US6781301B1 (en) 2004-08-24
CN1466168A (zh) 2004-01-07
CN1226771C (zh) 2005-11-09
EP1376648A1 (en) 2004-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0607A (en) Shadow mask for color CRT and method for forming same
KR100443612B1 (ko)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EP0882306B1 (en) Color cathode-ray tub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20180331A1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improved color purity
EP1170772B1 (en) Color cathode ray tube
US6972515B2 (en) Flat type color cathode ray tube
EP0978862A1 (en) Color cathode ray tube
US6294863B1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 shadow mask with a plurality of strip shaped reinforcing beads
KR100518845B1 (ko) 음극선관
EP1306875A2 (en) Tension mask for a cathode-ray-tube
KR100390462B1 (ko)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KR100334718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KR100205407B1 (ko)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US6879092B2 (en) Structure of slot feature for shadow mask
KR100418040B1 (ko) 개선된 브릿지형상의 새도우마스크를 가지는 칼라 음극선관
KR100468426B1 (ko) 칼라 음극선관
US20020101150A1 (en) Color CRT(Cathode Ray Tube)
US20070018556A1 (en) Color picture tube
JPH0963497A (ja) カラーブラウン管
US20020175611A1 (en) Color cathode-ray tube
JP2002083556A (ja) カラー陰極線管
KR20000019963A (ko) 칼라 브라운관용 섀도우마스크
JP2002313254A (ja) カラー陰極線管
JP2004071441A (ja) カラー陰極線管
JP2003100231A (ja) カラー陰極線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