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5760B1 - 칼라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칼라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5760B1
KR100605760B1 KR1019990004171A KR19990004171A KR100605760B1 KR 100605760 B1 KR100605760 B1 KR 100605760B1 KR 1019990004171 A KR1019990004171 A KR 1019990004171A KR 19990004171 A KR19990004171 A KR 19990004171A KR 100605760 B1 KR100605760 B1 KR 100605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creen
shadow mask
phosphor
ra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4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5518A (ko
Inventor
배효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04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5760B1/ko
Priority to US09/499,294 priority patent/US6411025B1/en
Priority to CNB001007831A priority patent/CN1154144C/zh
Publication of KR20000055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5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1/00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1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6Vessels and containers
    • H01J2229/8613Faceplates
    • H01J2229/8616Faceplates characterised by shape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패널이 높은 웨지율(wedge rate)을 갖는 칼라 음극선관에서 우수한 휘도 균일성(Bright Uniformity; B/U)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 칼라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웨지율이 170% 이상 300% 이하인 패널과, 패널의 내측 유효면에서 전자빔에 의해 타격되는 RGB 형광체가 도포된 형광체 도트와 형광체 도트를 제외한 전 영역에 걸쳐 흑색의 도료로 메운 블랙 매트릭스층이 형성된 스크린, 및 형광체 도트에 대응해서 다수의 슬롯이 배열되는 섀도우마스크를 구비한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1) 패널의 흡광계수는 0.04858 이상 0.01758 이하이고, (2) 스크린의 코너부의 형광체 도트경은 스크린의 센터부의 형광체 도트경의 1.00배 이상 1.27배 이하이고, (3) 섀도우마스크의 코너부의 슬롯폭은 섀도우마스크의 센터부의 슬롯폭의 1.05배 이상 1.33배 이하이며, (4) 웨지율의 변화량에 따라 패널의 흡광계수, 스크린의 형광체 도트경 및 섀도우마스크의 슬롯폭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값이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패널의 웨지율이 170% 이상인 경우에도 50% 이상의 휘도 균일성(B/U 특성)이 확보되며, 패널을 제조함에 있어서 클리어 유리를 사용하지 않고 틴트 유리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과 대비하여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칼라 음극선관{Color cathode-ray tube}
도 1은 일반적인 칼라 음극선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크린의 부분적인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의 섀도우마스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패널 내면과 외면이 모두 곡률을 가지는 패널의 휘도 분포도이며,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라 외면이 평면화된 패널의 휘도 분포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스크린과 섀도우마스크의 센터부와 코너부의 실험 지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에서 외면이 평면화된 패널의 투과율 및 휘도의 분포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패널 5: 스크린
5a: 형광체 도트 5b: 블랙 매트릭스(BM)
6: 섀도우마스크 5-1, 6-1: 센터부
5-2, 6-2: 코너부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패널이 높은 웨지율(wedge rate)을 갖는 칼라 음극선관에서 섀도우마스크 또는 스크린이 최적의 형태로 설계되거나 패널의 흡광계수가 최적의 값으로 설정되어 우수한 휘도 균일성(Bright Uniformity; B/U)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 칼라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음극선관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구성되는 바, 도 1은 섀도우마스크형 칼라 음극선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스크린의 부분 구성도이며, 도 3은 섀도우마스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칼라 음극선관은,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유리제 패널(1)과, 이 패널(1)에 결합된 깔때기 형상의 유리제 펀넬(2)과, 이 펀넬(2)의 직경이 작은 단부에 연이어 설치된 원통 형상의 유리제 네크(3)에 의해 형성되며, 네크(3) 내에는 인라인 방식으로 전자총(4)이 설치·봉입된다.
삭제
패널(1)의 내면에는 형광체가 도포된 스크린(5)이 설치되며, 이 스크린(5)으로부터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색 선별을 위한 섀도우마스크(6)가 설치되고, 펀넬(2)의 네크(3)측 근방의 외측에는 핀쿠션형 수평 편향자계와 배럴형 수직 편향자계를 발생하는 편향요크(7)가 장착된다.
여기서, 스크린(5)은, 패널(1)의 내측 유효면에서 적, 녹, 청(R, G, B)으로 발광하는 3색 형광체가 도포된 형광체 도트(5a)와, 형광체 도트(5a)를 제외한 전 영역에 걸쳐 흑색의 도료로 메운 블랙 매트릭스(5b; BM) 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물론, RGB 형광체는 도트형(dot type) 뿐만 아니라 스트라이프형(stripe type)으로도 형성할 수 있지만, 여기서는 도트형과 스트라이프형을 통칭하여 도트형이라고 한다.
그리고, 섀도우마스크(6)는, 스크린(5)의 형광체 도트(5a)에 대응하게 다수의 슬롯(6a)이 배열되며, 흑화 후에 스프레이 코팅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자총(4)으로부터 방사된 전자빔(8)이 편향요크(7)의 수직 및 수평 편향자계에 의해 광각으로 편향되며, 편향된 전자빔(8)은 섀도우마스크(6)의 다수의 슬롯(6a)에 컨버전스 된다.
그리고, 개개의 슬롯(6a)을 통과한 전자빔(8)이 스크린(5)에 랜딩(8a)되면 3색의 형광체(5a)가 발광하여 패널(1)에 칼라 영상이 재현된다.
한편,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칼라 음극선관에서 패널(1)의 외면은 평면(flat)화 되는 추세이다.
즉, 도 4b와 같이 종래의 패널(1)은 내면과 외면이 모두 곡률을 가지고 있었는 데, 근래에는 도 5b와 같이 내면은 곡률을 가지나 외면은 평면화되었으며 패널의 센터두께 대비 패널의 코너두께의 비를 의미하는 웨지율은 통상적으로 150∼250% 사이로 설계된다.
그런데, 도 4b와 같이 내면과 외면이 모두 곡률을 가지는 패널의 조건이 그대로 적용된 상태에서 도 5b와 같이 외면이 평면화되면, 스크린 특성에서 가장 중요한 휘도의 균일성 즉, B/U 특성이 퇴보된다. 즉 도 4a와 도 5a를 비교하면 쉽게 알 수 있듯이 패널의 외면이 평면화되면 휘도 특성은 가우스 분포를 갖게 된다.
따라서, 휘도 균일성의 퇴보를 방지하는 방안으로, 패널의 투과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패널의 제조함에 있어서 흡광계수가 작은 클리어 유리를 사용하며, 섀도우마스크 투과율과 스크린 투과율을 시뮬레이션(simulation) 설계를 통해 결정한다.
여기서, 통상적으로 패널(1)의 흡광계수는 0.01298 이상으로 결정되며, 섀도우마스크(6)의 투과율은 슬롯 면적, 즉 슬롯(slot)폭 또는 도트(dot)경에 좌우되므로 코너부의 슬롯폭은 200㎛로 결정되고 센터부의 슬롯폭은 180㎛로 결정된다.
그리고, 스크린 투과율은 스크린(5)에서 형광체 도트 또는 스트라이프의 면적, 즉 형광체 도트경(徑)에 좌우되므로, 통상적으로 코너부의 형광체 도트경은 160㎛로 결정되며 센터부의 형광체 도트경은 150㎛으로 결정된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에서, 패널 외면의 평면화에 따른 휘도 균일성의 퇴보를 방지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 설계를 통해 섀도우마스크(6)의 코너부의 슬롯폭과 센터부의 슬롯폭(또는 도트경) 및 스크린(5)의 코너부의 형광체 도트경과 센터부의 형광체 도트경(또는 스트라이프 폭)을 상기한 값들로 결정하였으며, 패널은 흡광계수가 작은 클리어 유리로 제조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하여 소정의 흡광계수와 섀도우마스크의 투과율 및 스크린의 투과율을 얻을 수 있었으나, 패널의 웨지율이 170% 이상일 경우에는 휘도 특성(B/U)이 현격히 저하되어 만족할 만한 휘도 특성(B/U)을 얻지 못하였고, 또한 클리어 유리를 사용함에 따라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패널의 웨지율이 170% 이상인 경우에도 패널의 흡광계수 또는 섀도우마스크의 슬롯폭 또는 형광면의 형광체 도트경(또는 스트라이프폭)이 최적의 상태로 설계되어 50% 이상의 B/U 특성이 확보되도록 한 칼라 음극선관을 제공하는 데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은 웨지율이 170% 이상 300% 이하인 패널과, 패널의 내측 유효면에서 전자빔에 의해 타격되는 RGB 형광체가 도포된 형광체 도트와 형광체 도트를 제외한 전 영역에 걸쳐 흑색의 도료로 메운 블랙 매트릭스층이 형성된 스크린, 및 형광체 도트에 대응해서 다수의 슬롯이 배열되는 섀도우마스크를 구비한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1) 패널의 흡광계수는 0.04858 이상 0.01758 이하이고, (2) 스크린의 코너부의 형광체 도트경은 스크린의 센터부의 형광체 도트경의 1.00배 이상 1.27배 이하이고, (3) 섀도우마스크의 코너부의 슬롯폭은 섀도우마스크의 센터부의 슬롯폭의 1.05배 이상 1.33배 이하이며, (4) 웨지율의 변화량에 따라 패널의 흡광계수, 스크린의 형광체 도트경 및 섀도우마스크의 슬롯폭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값이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크린 또는 섀도우마스크의 코너부는 유효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유효면의 장변 쪽의 스크린 또는 섀도우마스크의 코너부의 폭은 유효면의 중심으로부터 유효면의 장변까지의 최단거리의 0.12배 이상 0.22배 이하이고, 유효면의 단변 쪽의 스크린 또는 섀도우마스크의 코너부의 폭은 유효면의 중심으로부터 유효면의 단변까지의 최단거리의 0.05배 이상 0.15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 및 표 1 내지 표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칼라음극선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궁극적인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이 패널의 웨지율이 170% 이상인 경우에도 50% 이상의 휘도 균일성(B/U)의 특성을 확보하는 것이므로, 이를 위해서는 먼저, 휘도를 좌우하는 인자들을 숙지하여야 한다. 이는 휘도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관계식인 다음 수학식 1을 통해 습득할 수 있다.
Figure 112000001627213-pat00032
(단, ξ: 형광체 발광효율, Tp: 패널 투과율(유리성분에 의한 흡광계수에 따라 변화), Ts: 스크린 투과율(= 형광체 도트경/전자빔경), Ta: 알루미늄 증착 후 스크린 투과율, Tm: 섀도우마스크 투과율, Ik: 캐소드 전류, V: 양극전압, π: 대략 3.14, S: 유효 발광면적, 1-Tr/T: 리트레이스 타임비 임.)
삭제
상기 수학식 1을 통해 칼라 음극선관의 휘도 균일성(B/U)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서, 아래의 세 가지의 방법을 착안할 수 있다.
첫째, 패널의 투과율을 올리기 위하여 유리의 성분 조절에 의한 흡광계수를 줄이는 방법이 있고, 둘째 스크린의 투과율을 올리기 위해 센터부의 형광체 도트경과 코너부의 형광체 도트경의 비를 조절하는 방법이 있고, 마지막으로 섀도우마스크의 투과율을 올리기 위하여 센터부 슬롯폭과 코너부 슬롯폭의 비를 조절하는 방법이 있다.
삭제
삭제
그런데, 패널의 투과율을 조정하는 첫 번째 방법은 콘트라스트 특성을 감안하여야 하며, 스크린 투과율을 조정하는 두 번째 방법은 휘도 및 퓨리티 여유도 특성을 감안하여야 하고, 섀도우마스크의 투과율을 조정하는 세 번째 방법은 해상도를 고려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한 세 가지의 방법에서 각각 조정하려고 하는, 패널 투과율(Tp)과 스크린 투과율(Ts) 및 섀도우마스크의 투과율(Tm)은 각각 다음 수학식 2와 수학식 3 및 수학식 4로 표현된다.
Figure 112000001627213-pat00033
Figure 112000001627213-pat00034
Figure 112000001627213-pat00035
여기서, R은 패널 유리의 반사율이고, t는 패널의 두께이고, K는 패널의 흡광계수이며, S는 형광체 도트 면적 또는 섀도우마스크의 슬롯의 면적이고, Ph는 섀도우마스크의 슬롯 수평피치이며, Pv는 섀도우마스크의 슬롯 수직피치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콘트라스트의 특성, 휘도/퓨리티 여유도 특성 및 해상도를 고려하여 실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로 아래의 표 1 내지 표 3에 도시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었다.
아울러, 도 6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스크린(5)과 섀도우마스크(6)의 센터부(5-1)(6-1)와 코너 부(5-2)(6-2)의 실험 지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스크린(5) 또는 섀도우마스크(6)의 중심축(0,0) 즉, 유효면의 중심(0,0)으로부터 유효면의 장변까지의 최단거리를 H라 하고, 유효면의 중심(0,0)으로부터 유효면의 단변까지의 최단거리를 L이라 할 때, 스크린 또는 섀도우마스크의 코너부(5-2)(6-2)는 유효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유효면의 장변 쪽의 스크린 또는 섀도우마스크의 코너부의 폭(h)은 유효면의 중심(0,0)으로부터 유효면의 장변까지의 최단거리(H)의 0.12배 이상 0.22배 이하이고, 유효면의 단변 쪽의 스크린 또는 섀도우마스크의 코너부의 폭(l)은 유효면의 중심(0,0)으로부터 유효면의 단변까지의 최단거리(L)의 0.05배 이상 0.15배 이하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기준으로 스크린(5)과 섀도우마스크(6)의 센터부(5-1)(6-1)와 코너부(5-2)(6-2)를 나눌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실험한 센터부(5-1)(6-1)의 위치는 중심축(0,0) 지점이고, 코너부(5-2)(6-2)의 위치는 H거리 대비 17%에 해당하는 지점과 L거리 대비 10%에 해당하는 지점이다.
아래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패널 유리의 흡광계수에 따른 휘도 균일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것이고, 표 2는 스크린의 형광체 도트경에 따라 휘도 균일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탄낸 것이며, 표 3은 섀도우마스크의 슬롯폭에 따른 휘도 균일성을 설명하기 위해 각각 나타낸 것이다.
패널두께 [mm] 패널센터부 투과율 유리 반사율 흡광계수 패널코너부 투과율 B/U[%]
비 교 예 센터: 14.0 이고, 코너: 32.8 일 때 (웨지율 = 234%) 35 0.045 0.06378 14 41
실시예 1 44 0.045 0.04858 22 50
실시예 2 47 0.045 0.04418 25 54
실시예 3 50 0.045 0.03998 29 57
실시예 4 53 0.045 0.03618 32 60
실시예 5 55 0.045 0.03368 34 62
실시예 6 60 0.045 0.02788 41 68
실시예 7 65 0.045 0.02248 47 73
실시예 8 70 0.045 0.01758 55 78
실시예 9 75 0.045 0.01298 62 83
실시예 10 77 0.045 0.01128 65 85

표 1에서 보듯이 일정한 웨지율을 갖는 패널에서 실시예 1, 즉 흡광계수(K)가 0.04858 내지 실시예 10의 0.01128에서 휘도 균일성이 50%에서 85%의 값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삭제
코너부 형광체도트경 코너부 스크린투과율 센터부 형광체도트경 센터부 스크린투과율 B/U[%] 코너부 빔 경
실시예 1 158㎛ 49.1 150㎛ 60.7 50 322㎛
실시예 2 170㎛ 52.8 56
실시예 3 180㎛ 55.9 59
실시예 4 185㎛ 57.5 61
실시예 5 190㎛ 59.0 62
실시예 6 200㎛ 62.0 66

상기 표 2a에서 보듯이 스크린의 센터부의 형광체 도트경 또는 스트라이프 폭이 일정할 때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과 같이 코너부의 형광체 도트경 또는 스트라이프 폭이 158 내지 200㎛에서 휘도 균일성(B/U)이 50% 이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센터부 형광체도트경 센터부 스크린투과율 코너부 형광체도트경 코너부 스크린투과율 B/U[%] 센터부 빔 경
실시예 1 160㎛ 64.7 160㎛ 49.7 50 247㎛
실시예 2 150㎛ 60.7 52
실시예 3 140㎛ 56.7 56
실시예 4 130㎛ 52.6 61
실시예 5 120㎛ 48.6 66
실시예 6 110㎛ 44.5 72

상기 표 2b에서 보듯이 스크린의 코너부의 형광체 도트경 또는 스트라이프 폭이 일정할 때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과 같이 센터부의 형광체 도트경 또는 스트라이프 폭이 160 내지 110㎛에서 휘도 균일성(B/U)이 50% 이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코너부 슬롯폭 코너부 마스크투과율 센터부 슬롯폭 센터부 마스크투과율 B/U[%] 코너부 마스크 피치
실시예 1 190㎛ 15.3 180㎛ 20.6 50 Ph=840 Pv=590
실시예 2 220㎛ 17.4 57
실시예 3 230㎛ 18.1 59
실시예 4 235㎛ 18.5 60
실시예 5 240㎛ 18.8 62
실시예 6 250㎛ 19.5 64

상기 표 3a에서 보듯이 섀도우마스크의 센터부의 슬롯폭 또는 도트경이 일정할 때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과 같이 코너부의 슬롯폭 또는 도트경이 190 내지 250㎛에서 휘도 균일성(B/U)이 50% 이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센터부 슬롯폭 센터부 마스크투과율 코너부 슬롯폭 코너부 마스크투과율 B/U[%] 센터부 마스크피치
실시예 1 189㎛ 21.9 200㎛ 16.0 50 Ph=640 Pv=590
실시예 2 170㎛ 19.0 55
실시예 3 160㎛ 18.5 58
실시예 4 155㎛ 17.9 60
실시예 5 150㎛ 17.4 62
실시예 6 140㎛ 16.3 66

상기 표 3b에서 보듯이 섀도우마스크의코너부의 슬롯폭 또는 도트경이 일정할 때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과 같이 센터부의 슬롯폭 또는 도트경이 189 내지 140㎛에서 휘도 균일성(B/U)을 50% 이상으로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실험 결과를 도 1에 도시된 섀도우마스크형 칼라 음극선관에 적용하면, 패널의 웨지율이 170% 이상인 경우에도 50% 이상의 휘도 균일성(B/U)이 확보된다.
삭제
패널의 웨지율이 170% 이상인 칼라 음극선관에서 웨지율이 변경 설계될 때 변경 조건에 수반하여 본 발명의 칼라 음극선관은, 패널의 흡광계수(K), 스크린 코너부의 형광체 도트경과 센터부의 형광체 도트경의 비, 섀도우마스크의 코너부의 슬롯폭과 센터부 슬롯폭의 비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 값이 표 1 내지 표 3에 나타난 실험 결과에 따라 변화되어 패널 또는 스크린 또는 섀도우마스크가 설계·구성된다.
이때, 패널의 흡광계수(K)는 표 1의 실시예 1과 같이 0.04858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흡광계수가 작을수록 패널 유리의 가격이 상승되고 중량이 무거워지며, 또한 콘트라스트 특성이 나빠지므로 패널의 흡광계수(K)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8 사이, 즉 0.04858 내지 0.01758 사이로 설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스크린 투과율을 올리기 위해서 형광체 도트 면적의 경우에 표 2와 같이 코너부의 형광체 도트경을 센터부의 형광체 도트경 보다 크게 가져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코너부의 형광체 도트경을 너무 크게 가져갈 경우에는 퓨리티 여유도가 작아질 뿐만 아니라 음극선관 제조공정의 하나인 도포공정에서의 수율 감소로 인하여 생산성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스크린의 코너부의 형광체 도트경은 스크린의 센터부의 형광체 도트경의 1.00배 이상 1.27배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섀도우마스크의 투과율을 올리기 위해서 섀도우마스크의 슬롯면적의 경우에는 표 3과 같이 코너부의 슬롯폭을 센터부의 슬롯폭 보다 크게 가져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코너부 슬롯폭을 너무 크게 가져갈 경우에는 해상도 및 퓨리티 여유도가 너무 작아지므로 이를 감안해서 섀도우마스크의 코너부의 슬롯폭은 섀도우마스크의 센터부의 슬롯폭의 1.05배 이상 1.33배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하면 도 5b와 같이 패널의 외면이 평면화 됨에 따라 도 5a와 같이 휘도 특성이 가우스 분포를 갖게 되나, 본 발명에 의한 칼라 음극선관은, 도 7c와 같이 패널의 내면은 곡률을 가지고 외면이 평면화 되더라도 패널 투과율(Tp)과 스크린 투과율(Ts) 및 섀도우마스크의 투과율(Tm)이 도 7a와 같은 분포를 가지므로 휘도는 도 7b와 같은 분포를 갖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섀도우마스크의 홀 형상에 관계없이 즉 슬롯폭 뿐만 아니라 도트경에도 적용할 수도 있고, 또한 스크린의 형광체의 형상에 관계없이 즉 도트경 뿐만 아니라 스트라이프 폭에도 적용할 수 있는 등의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패널의 웨지율이 170% 이상인 경우에도 50% 이상의 휘도 균일성(B/U 특성)이 확보되며, 패널을 제조함에 있어서 클리어 유리를 사용하지 않고 틴트 유리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과 대비하여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웨지율이 170% 이상 300% 이하인 패널과, 상기 패널의 내측 유효면에서 전자빔에 의해 타격되는 RGB 형광체가 도포된 형광체 도트와 상기 형광체 도트를 제외한 전 영역에 걸쳐 흑색의 도료로 메운 블랙 매트릭스층이 형성된 스크린, 및 상기 형광체 도트에 대응해서 다수의 슬롯이 배열되는 섀도우마스크를 구비한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1) 상기 패널의 흡광계수는 0.04858 이상 0.01758 이하이고;
    (2) 상기 스크린의 코너부의 형광체 도트경은 상기 스크린의 센터부의 형광체 도트경의 1.00배 이상 1.27배 이하이고;
    (3) 상기 섀도우마스크의 코너부의 슬롯폭은 상기 섀도우마스크의 센터부의 슬롯폭의 1.05배 이상 1.33배 이하이며;
    (4) 상기 웨지율의 변화량에 따라 상기 패널의 흡광계수, 상기 스크린의 형광체 도트경 및 상기 섀도우마스크의 슬롯폭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값이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또는 상기 섀도우마스크의 코너부는 상기 유효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유효면의 장변 쪽의 스크린 또는 섀도우마스크의 코너부의 폭은 상기 유효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유효면의 장변까지의 최단거리의 0.12배 이상 0.22배 이하이고,
    상기 유효면의 단변 쪽의 스크린 또는 섀도우마스크의 코너부의 폭은 상기 유효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유효면의 단변까지의 최단거리의 0.05배 이상 0.15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KR1019990004171A 1999-02-08 1999-02-08 칼라 음극선관 KR100605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171A KR100605760B1 (ko) 1999-02-08 1999-02-08 칼라 음극선관
US09/499,294 US6411025B1 (en) 1999-02-08 2000-02-07 Color cathode ray tube
CNB001007831A CN1154144C (zh) 1999-02-08 2000-02-12 彩色阴极射线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171A KR100605760B1 (ko) 1999-02-08 1999-02-08 칼라 음극선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518A KR20000055518A (ko) 2000-09-05
KR100605760B1 true KR100605760B1 (ko) 2006-07-31

Family

ID=19573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4171A KR100605760B1 (ko) 1999-02-08 1999-02-08 칼라 음극선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411025B1 (ko)
KR (1) KR100605760B1 (ko)
CN (1) CN115414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1819B1 (ko) * 2000-04-12 2002-04-09 구자홍 평면 음극선관
JP2002352745A (ja) * 2001-05-30 2002-12-06 Hitachi Ltd カラー陰極線管
KR100400777B1 (ko) * 2001-11-10 2003-10-08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칼라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KR100481318B1 (ko) * 2001-12-19 2005-04-07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KR100443612B1 (ko) * 2002-06-25 2004-08-09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7574B2 (ko) * 1974-03-13 1982-06-1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518A (ko) 2000-09-05
US6411025B1 (en) 2002-06-25
CN1263352A (zh) 2000-08-16
CN1154144C (zh) 2004-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5760B1 (ko) 칼라 음극선관
US6124668A (en) Color cathode ray tube
KR100241605B1 (ko) 음극선관용 패널과 패널의 제조방법
KR20010109492A (ko) 칼라 음극선관
US5703432A (en) Screen structure of a cathode-ray tube
JPH06260095A (ja) カラー陰極線管
US7329981B2 (en) Optical filter and display apparatus with the same
US6972515B2 (en) Flat type color cathode ray tube
US4109177A (en) Cathode-ray tube having apertured mask
KR100532068B1 (ko) 칼라 음극선관
KR100426576B1 (ko) 칼라 음극선관
KR970010035B1 (ko) 칼라 음극선관용 패널
KR100447656B1 (ko) 평면 브라운관용 패널
KR920010724B1 (ko) 칼라음극선관
KR100712902B1 (ko) 음극선관용 스크린
KR100426568B1 (ko) 평면 브라운관
KR100468428B1 (ko) 음극선관용 형광면
KR100474355B1 (ko) 평면형 칼라 음극선관
KR20050001568A (ko) 개선된 패널구조를 갖는 음극선관
JP2004014433A (ja) カラー陰極線管
KR19980040915A (ko) 컬러음극선관의 형광막 형성방법
KR20030025456A (ko)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KR19980067486A (ko) 칼라음극선관의 형광체 발광 엠보싱 구조
KR20030005917A (ko) 평면 브라운관
JPH06260096A (ja) カラー受像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