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8426B1 - 칼라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칼라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8426B1
KR100468426B1 KR10-2003-0004088A KR20030004088A KR100468426B1 KR 100468426 B1 KR100468426 B1 KR 100468426B1 KR 20030004088 A KR20030004088 A KR 20030004088A KR 100468426 B1 KR100468426 B1 KR 100468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shadow mask
hole
horizontal size
cathode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4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7109A (ko
Inventor
최용훈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4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8426B1/ko
Publication of KR20040067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7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4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16L23/0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connection by tangentially arranged pin and n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598Coating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58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 B67D1/0859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being in direct heat contact with the beverage, e.g. placed inside a beverag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 주사 방식의 음극선관을 적용시 패널 내면 곡률과 마스크의 홀의 크기를 최적화 시켜 화상의 왜곡량을 최소화함으로써 고품위 화상을 구현하는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는 외면이 평면이고, 내면에 일정한 곡률을 가진 패널과, 상기 패널의 후면에 장착되는 펀넬, 및 상기 패널 내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전자빔 통과공을 갖고 있는 새도우 마스크를 포함하는 칼라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새도우 마스크는 마스크 홀의 수평크기(Sh)와 수직크기(Sv)가 0.80 ×Sv ≤Sh ≤ 1.15 ×Sv를 만족하고, 마스크의 3시부와 9시부 홀 수평크기(Sh)가 중앙부의 새도우 마스크 홀의 수평크기(Sh)보다 작게 형성되고, 6시부와 12시부 홀의 수평크기(Sh)가 중앙부의 새도우 마스크 홀의 수평크기(Sh)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칼라 음극선관 {A Colar CRT }
본 발명은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 주사 방식의 음극선관을 적용시 패널 내면 곡률을 최적의 상태로 설계하여 화상의 왜곡량을 최소화함으로써 고품위 화상을 구현하는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 주사형 음극선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에형광체(30)가 도포 되어 있는 패널(10)과, R, G, B 3색의 전자빔들을 발생하는 3개의 캐소드가 수직 인라인을 배열된 전자총(40)과, 상기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80)의 형광면에 부딪혀 색을 재현하는 스크린(20)과, 단축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핀쿠션자계를 형성하는 수직코일과 장축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바렐형 편향자계를 형성하는 수평코일로 구성된 편향요크(50), 및 상기 전자빔이 통과하는 장축의 긴홀(70)이 형성된 새도우 마스크(6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음극선관의 작동은 전자총(40)의 히터에 전원이 인가되어 음극으로부터 전자빔(80)이 발생된 R, G, B 3색의 전자빔이 다수개의 전극을 차례로 통과하면서 가속 및 집속 된 다음, 편향요크(50)의 자계에 의해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편향된 상태로 스크린(20)을 향해 주사된다.
상기와 같이 주사된 전자빔(80)은 색선별 역할을 하는 새도우 마스크(60)의 장축으로 긴 전자빔 통과홀(70)을 통과하여 패널의 내면에 도포된 형광체(30)를 발광시키게 되므로 화상이 재현된다.
상기 상하주사형(TPS) 음극선관은 편향자계의 영향으로 패널의 내면 곡률이 장축 및 단축방향으로 차이가 커지게 되며, 이러한 차이는 장축(X축) 및 단축(Y축)이 만나는 대각축선 부근에서 곡면의 꼬임이나 뒤틀림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장축, 단축, 및 대각축 단면 곡률반경의 차이가 크면 새도우 마스크의 구조적 강도가 특히 코너부에서 낮아지므로 외부 충격에 의해 마스크가 쉽게 변형되어 드롭(Drop)특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이미지 왜곡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구조적 강도 문제를 해결하게 위해 상하주사형 방식인 TPS 방식에서는 새도우 마스크의 강도 확보를 목적으로 패널 내면 곡률 중 단축방향으로 곡률 반경을 작게 만듦으로써 단축 방향의 패널 두께가 증가하게 되고, 장축 방향의 패널 두께는 기존의 패널 두께보다 얇게 되어 단축방향의 화면 밝기는 중앙부의 화면 밝기보다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패널의 장축, 단축, 및 대각축 단면 곡률반경의 차이로 인한 마스크의 구조적 강도 저하 보상시에 발생되는 화면 밝기 저하 특성을 마스크 홀의 크기를 최적화 시켜 화면의 밝기인 BU(Brightness Uniformity)를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칼라음극선관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새도우 마스크의 홀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패널 20: 스크린
30: 형광체 40: 전자총
50: 편향요크 60: 새도우 마스크
70: 전자빔 통과홀 80: 전자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외면이 평면이고, 내면에 일정한 곡률을 가진 패널과, 상기 패널의 후면에 장착되는 펀넬, 및 상기 패널 내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전자빔 통과공을 갖고 있는 새도우 마스크를 포함하는 칼라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새도우 마스크는 마스크 홀의 수평크기(Sh)와 수직크기(Sv)가 0.80 ×Sv ≤Sh ≤ 1.15 ×Sv를 만족하고, 마스크의 3시부와 9시부 홀 수평크기(Sh)가 중앙부의 새도우 마스크 홀의 수평크기(Sh)보다작게 형성되고, 6시부와 12시부 홀의 수평크기(Sh)가 중앙부의 새도우 마스크 홀의 수평크기(Sh)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칼라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홀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마스크 구조적 강도 확보를 위해 패널 내면 단축 방향으로 패널 두께가 증가하고, 장축 방향으로 패널 두께가 얇게 되어, 결과적으로는 6시부와 12시부의 화면 휘도가 다른 부위에 비해 낮게 되어 화면 전체적으로 볼 때 6시부와 12시부가 어둡게 보이고, 3시부와 9시부의 화면 휘도는 다른 부위에 비해 너무 밝게 되어 화면의 품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도우 마스크 구조 강도를 확보하면서 화면 밝기를 향상시키기 위해 새도우 마스크 중앙부에 비해 밝은 3시부와 9시부의 마스크 홀의 수평크기(Sh)를 중앙부보다 작게 형성시키고, 6시부와 12시부 홀의 크기가 중앙부의 새도우 마스크 홀의 수평크기(Sh)보다 크게 형성 되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새도우 마스크 3시부와 9시부 홀의 수평크기는 중앙부의 새도우 마스크 홀 수평크기(Sh)의 85 ~ 100%가 되도록 하고, 6시부와 12시부 홀의 수평크기는 중앙부의 새도우 마스크 홀 수평크기의 105 ~ 120%가 되도록 형성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새도우 마스크는 화면의 중앙부와 주변부의 밝기 차이를 없앰으로써 화면 전체가 중앙부의 밝기와 동일하게 되어 화면 밝기인 BU(Brightness Uniformity)특성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상기 새도우 마스크 홀의 수평크기(Sh)와 수직크기(Sv)는 다음 식과 같은 범위를 만족하도록 한다.
식) 0.80×Sv ≤ Sh ≤1.15×Sv
또한, 상기와 같이 형성된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새도우 마스크의 전자빔 투과율(TM)은 다음과 같이 형성되도록 한다.
먼저, 새도우 마스크 6시부와 12시부의 투과율(TM)은 3시부와 9시부의 투과율(TM)보다 높게 형성하여 이에 따른 스크린 투과율을 6시부와 12시부가 3시부와 9시부의 스크린 투과율보다 높게 되어 전체 화면의 밝기인 BU (Brightness Uniformity)는 동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새도우 마스크 6시부와 12시부 투과율과 중앙부 투과율과의 관계는 0.90 ×중앙부 투과율 ≤6시부/12시부의 투과율 ≤1.20 ×중앙부 투과율을 만족하도록 하고,
상기 새도우 마스크 3시부와 9시부 투과율과 중앙부 투과율과의 관계는 0.80 ×중앙부 투과율 ≤3시부/9시부의 투과율 ≤1.10 ×중앙부 투과율을 만족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패널의 장축, 단축 및 대각축 단면 곡률반경 차이로 발생되는 마스크의 구조적 강도 저하를 보상하기 위해 발생되는 화면 밝기 저하 특성을 마스크 홀의 크기를 최적화 시켜 화면의 밝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외면이 평면이고, 내면에 일정한 곡률을 가진 패널과, 상기 패널의 후면에 장착되는 펀넬, 및 상기 패널 내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전자빔 통과공을 갖고 있는 새도우 마스크를 포함하는 칼라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새도우 마스크는 마스크 홀의 수평크기(Sh)와 수직크기(Sv)가 0.80 ×Sv ≤Sh ≤ 1.15 ×Sv를 만족하고, 마스크의 3시부와 9시부 홀 수평크기(Sh)가 중앙부의 새도우 마스크 홀의 수평크기(Sh)보다 작게 형성되고, 6시부와 12시부 홀의 수평크기(Sh)가 중앙부의 새도우 마스크 홀의 수평크기(Sh)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새도우 마스크 3시부와 9시부 홀의 수평크기(Sh)는 중앙부의 새도우 마스크 홀의 수평크기(Sh)의 85 ~ 100%가 되도록 하고, 6시부와 12시부 홀의 수평크기(Sh)는 중앙부의 새도우 마스크 홀 수평크기(Sh)의 105 ~ 120%가 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새도우 마스크의 6시부와 12시부의 투과율은 3시부와 9시부의 투과율 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새도우 마스크의 6시부와 12시부의 투과율과 중앙부의 투과율의 관계는
    0.90 ×중앙부 투과율 ≤6시부와 12시부 투과율 ≤1.20 ×중앙부 투과율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5.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새도우 마스크의 3시부와 9시부의 투과율과 중앙부의 투과율의 관계는
    0.80 ×중앙부 투과율 ≤3시부와 9시부 투과율 ≤1.10 ×중앙부 투과율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KR10-2003-0004088A 2003-01-21 2003-01-21 칼라 음극선관 KR100468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088A KR100468426B1 (ko) 2003-01-21 2003-01-21 칼라 음극선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088A KR100468426B1 (ko) 2003-01-21 2003-01-21 칼라 음극선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109A KR20040067109A (ko) 2004-07-30
KR100468426B1 true KR100468426B1 (ko) 2005-01-27

Family

ID=37356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4088A KR100468426B1 (ko) 2003-01-21 2003-01-21 칼라 음극선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842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109A (ko) 200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275206A (ja) 可変孔ピッチのシャドウマスクを備えたカラー陰極線管
CN1153248C (zh) 彩色阴极射线管
CN1047688C (zh) 荫罩式彩色阴极射线管
KR100468426B1 (ko) 칼라 음극선관
US6621206B2 (en) Color cathode ray tube
US7362044B2 (en) 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 and cathode ray tube with the same
JP2001196003A (ja) カラー陰極線管
US7268478B2 (en) Electron gun assembly and cathode ray tube with the same
JPH07254374A (ja) カラー陰極線管
KR100414495B1 (ko)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KR100443612B1 (ko)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JP2001189138A (ja) 平面ブラウン管用シャドーマスク
KR100396626B1 (ko) 상하 주사형 음극선관
KR100712903B1 (ko)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KR100390462B1 (ko)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KR100414500B1 (ko)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KR100313898B1 (ko) 평면 음극선관의 빔 그루핑율 유지장치
KR100748975B1 (ko) 칼라음극선관
US7521853B2 (en) Shadow mask for cathode ray tube
US7355331B2 (en) Cathode-ray tube apparatus
KR100414494B1 (ko) 평면형 음극선관
KR20030069568A (ko)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KR20030005917A (ko) 평면 브라운관
JP2002083556A (ja) カラー陰極線管
JP2003045355A (ja) カラー陰極線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