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4500B1 -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4500B1
KR100414500B1 KR10-2002-0007008A KR20020007008A KR100414500B1 KR 100414500 B1 KR100414500 B1 KR 100414500B1 KR 20020007008 A KR20020007008 A KR 20020007008A KR 100414500 B1 KR100414500 B1 KR 100414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rx
mry
curvature
shadow mask
ra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7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7139A (ko
Inventor
정원호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Priority to KR10-2002-0007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4500B1/ko
Publication of KR20030067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7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5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27Aperture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94Geometrical arrangements, e.g. curvature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에 있어서, 새도우마스크 내측의 화상이 표시되는 유효부의 중심을 지나는 장축 곡률반경을 MRx라하고, 상기 유효부의 중심을 지나는 단축곡률반경을 MRy라하고, 상기 스크린의 유효면의 대각길이를 D라 하고, 상기 스크린의 가로 및 세로 비를 나타내는 임의의 상수를 α라 할 때, 다음 식, 1.5×D < MRx 이고 2.0×D < MRy 이고 MRx < α× MRy 이고 α≥4/3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새도우마스크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켜 내충격성 향상 및 하울링 현상 방지하고, 외부 충격에 대한 신뢰성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상하주사형 음극선관{Transposed scan CRT}
본 발명은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극선관의 드롭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의 새도우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은 내면에 형광체(3)가 도포되어 있는 패널(1)과, R(Red), G(Green), B(Blue) 3색의 전자빔들(8,9,10)을 발생하는 3개의 캐소드가 수직 인라인으로 배열된 전자총(4)과, 상기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이 형광면에 부딪혀 색을 재현하는 스크린(2)과, 단축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핀쿠션자계를 형성하는 수직코일과 장축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바렐형 편향자계를 형성하는 수평코일로 구성된 편향요크(5), 및 상기 전자빔이 통과하는 장축의 긴홀들(7)이 형성된 새도우마스크(6)등으로 구성되어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 1의 음극선관은 전자총(4)의 히터에 전원이 인가되어 음극으로부터 전자빔이 발생된 R,G,B 3색의 전자빔이 다수개의 전극을 차례로 통과하면서 가속 및 집속된 다음, 편향요크(5)의 자계에 의해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편향된 상태로 스크린(2)을 향해 주사된다.
상기와 같이 주사된 전자빔은 색선별 역할을 하는 새도우마스크(6)의 장축으로 긴 전자빔 통과홀(7)을 통과하여 패널(1)의 내면에 도포된 형광체(3)를 발광시키게 되므로 화상이 재현된다.
도 1과 같은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의 패널(1)의 경우 외면은 평면화 되고 있으며 내면은 곡률반경이 점점 증가하는 경향이다.
또한, 상기 패널내면 곡률과 일정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새도우마스크(6)의곡률반경 역시 패널의 내면 곡률를 따라가는 추세이다.
따라서, 도 2에서, 패널내면의 장축곡률반경(Rx)이 단축곡률반경(Ry)보다 큰 형태로 설계된 종래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경우, 상기 패널내면 곡률과 일정한 관계를 가지는 도 3의 새도우마스크도 단축곡률반경(MRy)보다 장축곡률반경(MRy)이 커지므로써, 새도우마스크(6)의 구조적강도가 열악해지고 그로 인해 신뢰성의 특성인 드롭(Drop)특성이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의 새도우마스크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켜 드롭특성을 향상시키고 하울링 및 내충격성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의 수직단면도.
도 2는 패널구조의 투시도.
도 3은 새도마스크의 구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스크린 3:형광체
6:새도우마스크 7:새도우마스크의 전자빔 통과홀.
Rx:패널내면의 장축곡률반경
Ry:패널내면의 단축곡률반경
MRx:새도우마스크의 장축곡률반경
MRy:새도우마스크의 단축곡률반경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면이 평면이고 내면에 일정한 곡률을 가진 패널, R(Red), G(Green), B(Blue) 3색의 전자빔들을 발생하는 3개의 캐소드가 수직 인라인으로 배열된 전자총, 상기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이 형광면에 부딪혀 색을 재현하는 스크린, 단축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핀쿠션자계를 형성하는 수직코일과 장축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바렐형 편향자계를 형성하는 수평코일로 구성된 편향요크, 및 장축방향으로 긴 전자빔 통과홀이 형성된 새도우마스크를 포함하는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새도우마스크 내측의 화상이 표시되는 유효부의 중심을 지나는 장축곡률반경을 MRx라하고, 상기 유효부의 중심을 지나는 단축곡률반경을 MRy라하고, 상기 스크린의 유효면의 대각길이를 D라 하고, 상기 스크린의 가로 및 세로 비를 나타내는 임의의 상수를 α라 할 때, 다음 식, 1.5×D < MRx 이고 2.0×D < MRy 이고 MRx < α× MRy 이고 α≥4/3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에서와 같이 R(Red), G(Green), B(Blue) 3색의 전자빔들(8,9,10)을 발생하는 3개의 캐소드가 수직 인라인으로 배열된 전자총(4)과, 상기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이 형광면에 부딪혀 색을 재현하는 스크린(2)과, 단축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핀쿠션자계를 형성하는 수직코일과 장축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바렐형 편향자계를 형성하는 수평코일로 구성된 편향요크(5), 및 상기 전자빔이 통과하는 장축의 긴홀들(7)이 형성된 새도우마스크(6)등으로 구성된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이다.
종래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은 수직방향의 주사를 하기 때문에 도 2에서, 패널내면의 곡률이 단축곡률반경(Ry) 보다 장축곡률반경(Rx)이 큰 형태로 설계되어 있으며, 또한 음극선관이 대형화, 평면화 되면서 패널내면의 장축곡률반경(Rx)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패널의 위치에 따른 두께 차이도 커져 상하주사방식의 음극선관에서 전자빔이 주사될 때 상대적으로 두께 변화가 큰 단축에 수직인 수평라인을 표시할때 선이 일그러지는 이미지 왜곡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장축곡률반경(Rx)이 크게 설계된 패널내면의 곡률과 일정한 관계를 가지는 새도우마스크의 곡률 또한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먼 장축방향의 곡률반경(MRx)값이 커져서 새도우마스크의 내충격성이 약해진다.
본 발명은 패널 외면의 곡률이 5000mm이상의 평면일 때, 상기와 같이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에서의 수평라인 왜곡현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패널 내면의 단축곡률반경(Ry)을 장축곡률반경(Rx) 보다 크게 설계할 경우, 새도우마스크의 곡률반경을 단축곡률반경(MRy)이 장축반경곡률(MRx) 보다 크도록 설계하여 새도우마스크의 중심에서 거리가 먼 장축??향의 곡률반경(MRx)을 작게 하는 것이다.
도 3에서, 새도우마스크의 장축곡률반경(MRx)과 단축곡률반경(MRy)은 하기 식들을 만족하도록 한다.
1.5×D < MRx 이고 2.0×D < MRy 이고 MRx < α×MRy 이고 α≥ 4/3
상기 식에서 α는 스크린의 가로 및 세로 비를 나타내는 임의의 상수이고, D는 스크린의 유효면의 대각길이를 나타낸다.
상기 범위에서 새도우마스크의 장축곡률반경(MRx)과 단축곡률반경(MRy)은 1.5×D < MRx < 4.0×D 와 2.0×D < MRy < 6.0×D 의 범위에 속할 때 가장 바람직하다.
만약, 새도우마스크의 장축곡률반경(MRx)이 MRx < 1.5×D 이고 단축곡률반경(MRy)이 MRy < 2.0×D 일 경우, 새도우마스크의 곡률반경이 아주 작아져 드롭(Drop)특성은 유리하지만, 패널의 ??지율이 커져 브라이트니스유니포미티(Brightness Uniformity)특성과 화이트 유니포미티(White Uniformity)특성 및 시각적인 불편함 등으로 불리해지는 요소가 발생한다.
반대로, 새도우마스크의 장축곡률반경(MRx)이 MRx > 4.0×D 이고 단축곡률반경(MRy)이 MRy > 6.0×D 일 경우, 새도우마스크의 곡률의 반경이 커져 드롭(Drop)특성이 불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가 적용되어 설계된 새도우마스크는 단축곡률반경(MRy)이 장축곡률반경(MRx)보다 크게 형성되므로써, 상기 새도우마스크 중심에서 멀고 강성에 취약한 장축(x축) 및 코너부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에 있어서 새도우마스크의 단축곡률반경을 장축곡률반경보다 크게 설계함으로써, 새도우마스크의 구조강도를 충분히 확보하여 외부 충격에 대한 신뢰성 특성인 드롭특성을 향상시키고, 내충격성 특성 및 하울링현상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외면이 평면이고 내면에 일정한 곡률을 가진 패널, R(Red), G(Green), B(Blue) 3색의 전자빔들을 발생하는 3개의 캐소드가 수직 인라인으로 배열된 전자총, 상기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이 형광면에 부딪혀 색을 재현하는 스크린, 단축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핀쿠션자계를 형성하는 수직코일과 장축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바렐형 편향자계를 형성하는 수평코일로 구성된 편향요크, 및 장축방향으로 긴 전자빔 통과홀이 형성된 새도우마스크를 포함하는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새도우마스크 내측의 화상이 표시되는 유효부의 중심을 지나는 장축 곡률반경을 MRx라하고, 상기 유효부의 중심을 지나는 단축곡률반경을 MRy라하고, 상기 스크린의 유효면의 대각길이를 D라 하고, 상기 스크린의 가로 및 세로 비를 나타내는 임의의 상수를 α라 할 때, 다음 식, 1.5×D < MRx 이고 2.0×D < MRy 이고 MRx < α× MRy 이고 α≥4/3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Rx가 바람직하게는 1.5×D < MRx < 4.0×D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Ry가 바람직하게는 2.0×D < MRy < 6.0×D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KR10-2002-0007008A 2002-02-07 2002-02-07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KR100414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7008A KR100414500B1 (ko) 2002-02-07 2002-02-07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7008A KR100414500B1 (ko) 2002-02-07 2002-02-07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139A KR20030067139A (ko) 2003-08-14
KR100414500B1 true KR100414500B1 (ko) 2004-01-07

Family

ID=32220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7008A KR100414500B1 (ko) 2002-02-07 2002-02-07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450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8320A (ja) * 1986-12-23 1987-07-24 Toshiba Corp カラ−受像管
US5170102A (en) * 1989-04-14 1992-12-08 U.S. Philips Corporation Picture display device
KR19990027075A (ko) * 1997-09-27 1999-04-15 김영남 칼라수상관의 새도우마스크
KR19990063533A (ko) * 1997-12-26 1999-07-26 니시무로 타이죠 칼라수상관
KR20010095692A (ko) * 2000-04-11 2001-11-07 구자홍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KR100326690B1 (ko) * 1994-01-17 2002-08-13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니켈-철형의새도우마스크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8320A (ja) * 1986-12-23 1987-07-24 Toshiba Corp カラ−受像管
US5170102A (en) * 1989-04-14 1992-12-08 U.S. Philips Corporation Picture display device
KR100326690B1 (ko) * 1994-01-17 2002-08-13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니켈-철형의새도우마스크제조방법
KR19990027075A (ko) * 1997-09-27 1999-04-15 김영남 칼라수상관의 새도우마스크
KR19990063533A (ko) * 1997-12-26 1999-07-26 니시무로 타이죠 칼라수상관
KR20010095692A (ko) * 2000-04-11 2001-11-07 구자홍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139A (ko) 2003-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2203A (en) Cathode ray tube having an envelope shaped to reduce beam deflection power requirements
JPH1116517A (ja) 陰極線管装置
KR100414500B1 (ko)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KR100447660B1 (ko)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KR100396626B1 (ko) 상하 주사형 음극선관
KR100414496B1 (ko)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KR100463718B1 (ko) 컬러음극선관 장치
KR100414487B1 (ko)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US6768252B2 (en) Magnetic shield structure for color cathode ray tube
US6288481B1 (en) In-line 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 having burrs and slits in the shield cup
KR100414486B1 (ko)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패널 구조
US7466070B2 (en) 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
KR100414501B1 (ko)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패널 구조
KR100468426B1 (ko) 칼라 음극선관
KR100414495B1 (ko)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KR100414485B1 (ko)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KR100525902B1 (ko)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KR100396625B1 (ko) 칼라음극선관
KR100603273B1 (ko) 전자총과 이 전자총을 이용한 음극선관
US7521853B2 (en) Shadow mask for cathode ray tube
KR100719530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및, 그것을 구비한 칼러 음극선관
KR20050090506A (ko) 칼라 음극선관
KR19990049943A (ko) 편향요크의 랜딩 조절장치
KR20010011893A (ko) 음극선관의 새도우 마스크
KR20050000610A (ko) 음극선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