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530B1 -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및, 그것을 구비한 칼러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및, 그것을 구비한 칼러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9530B1
KR100719530B1 KR1020010014045A KR20010014045A KR100719530B1 KR 100719530 B1 KR100719530 B1 KR 100719530B1 KR 1020010014045 A KR1020010014045 A KR 1020010014045A KR 20010014045 A KR20010014045 A KR 20010014045A KR 100719530 B1 KR100719530 B1 KR 100719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focus
electron beam
focus electrode
hole form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4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3992A (ko
Inventor
송용석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4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9530B1/ko
Publication of KR20020073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3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488Schematic arrangements of the electrodes for beam forming; Place and form of the elec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67Control electrodes for flat display tubes, e.g. of the type covered by group H01J31/123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4803Electrodes
    • H01J2229/481Focus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4844Electron guns characterised by beam passing apertures or combinations
    • H01J2229/4848Aperture shape as viewed along beam axis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전치 삼극부를 이루는 캐소오드, 제어전극 및 스크린 전극과, 제1,2사중극렌즈를 그 사이에 각각 형성하는 제 1 내지 제 3 포커스 전극과, 상기 제 3 포커스 전극과 인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 3 포커스 전극과 주렌즈를 이루는 최종가속전극을 포함하여 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있어서, 상기 제 3 포커스 전극에 형성된 횡장형 전자빔 통과공의 크기는, 그에 대향하는 상기 제 2 포커스 전극에 형성된 종장형 전자빔 통과공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러 음극선관용 전자총 및, 그것을 구비한 칼라 음극선관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및, 그것을 구비한 칼러 음극선관{Electron gun and CPT therewith}
도 1은 통상적인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도시한 측면도,
도 2 및 도 3도는 도 1에 도시된 사중극렌즈를 형성하는 전극과 전자빔 통과공의 형태를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도시한 측면도.
도 6 및, 도 7 은 도 5 에 구비된 전극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인라인형으로 배열 설치되며 사중극렌즈를 형성하는 스타틱 전극의 전자빔 통과공이 다이나믹 전극의 전자빔 통과공보다 크게 형성된 칼라 음극선관용 다이나믹 포커스 전자총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은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설치되어 열전자를 방출하는 것으로,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형광막에 랜딩되는 상태에 따라 음극선관의 성능이 좌우된다. 따라서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형광막의 형광점에 정확하게 랜딩될 수 있도록 포커스 특성과 전자렌즈의 수차를 줄일 수 있는 많은 전자총이 개발되어 왔다.
제1도에는 통상적인 전자총의 일예를 나타내 보였다.
이것은 전치 삼극부를 이루는 캐소오드(2), 제어전극(3) 및 스크린 전극(4)과, 이와 인접되게 순차 배열되어 보조 정전렌즈를 이루는 제1,2,3,4,5포커스전극(5)(6)(7)(8)(9)과, 상기 제5포커스 전극(9)과 인접되게 설치되어 주 전자렌즈를 이루는 최종 가속 전극(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포커스 전극중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포커스 전극(7)의 출사측면과 제4포커스 전극(8)의 입사측면에는 제 1 사중극 렌즈를 형성하기 위한 종장형의 전자빔 통과공(7b)과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8a)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포커스 전극중 제4포커스 전극(8)의 출사측면과 제5포커스 전극(9)의 입사측면에는 제 2 사중극 렌즈를 형성하기 위한 종장형의 전자빔 통과공(8b)과 다른 전자빔 통과공(9a)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5포커스 전극(9)의 입사측면에 형성된 전자빔 통과공의 상하변에는 제4포커스 전극의 출사측면에 형성된 전자빔 통과공으로 삽입되는 브레이드(9c)가 형성된다.
도 4 에 도시된 것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총의 전극들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며, 이것은 미국 특허 제 4,814,670 호에 개시된 것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사중극렌즈를 형성하는 제1포커스 전극(11)의 출사측면에 세 개의 종장형의 전자빔 통과공(12)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게 설치되어 사중극렌즈를 형성하는 제2포커스전극(13)의 입사측면에는 세 전자빔이 공히 통과하는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포커스 전극(11)에는 정전압인 포커스 전압(VF)이 인가되고, 상기 제2포커스 전극(13)에는 편향신호에 동기하는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VD)이 인가된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은 전자총에서는 사중극 렌즈를 형성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제 3 포커스 전극(7)에 형성된 전자빔 통과공(7b)과, 제 4 포커스 전극(8)에 형성된 전자빔 통과공(8a)의 면적이 실질적으로 동일하였다. 마찬가지로, 제 4 포커스 전극(8)의 다른 전자빔 통과공(8b)와 제 5 포커스 전극(9)의 전자빔 통과공(9a)이 동일하였다. 즉, 종장형으로 형성된 전자빔 통과공의 수직 및, 수평 폭과 횡장형으로 형성된 전자빔 통과공의 수평 및, 수직 폭이 각각 일치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한편, 미국 특허 제 4,814,670 호에 개시된 경우에는 제 2 포커스 전극에 형성된 전자빔 통과공(14)이 단일형으로 됨으로써 제 1 포커스 전극(11)에 형성된 전자빔 통과공(12)보다 크게 된 경우이다.
이와 같이 사중극 렌즈를 형성하는 대향 전자빔 통과공들의 면적이 서로 같거나, 또는 다이나믹 전압이 인가되는 다이나믹 전극측의 전자빔 통과공이 크게 되면, 칼러 음극선관이 대형화되고 슬림화됨에 따라서 불리해진다. 즉, 칼러 음극선관이 대형화될수록 화면의 주변부로 전자빔을 편향시킬때 수직 방향으로 강한 발산을 필요로 하는데, 통상적인 전자빔 통과공 형상으로는 이를 달성하기 어려운 것이 다. 더욱이 다이나믹 전압을 기존의 1 킬로볼트에서 3 킬로볼트로 상승시키거나 또는 그 이상으로 증가시켜도 포커스의 열화가 발생하여 화면 주변부의 해상도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면 주변부에서의 포커스 특성이 개선된 다이나믹 전자총 및, 그것을 구비한 칼러 음극선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이나믹 포커스 전극의 전자빔 통과공이 스타틱 포커스 전극의 전자빔 통과공보다 작은 다이나믹 전자총 및, 그것을 구비한 칼러 음극선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전치 삼극부를 이루는 캐소오드, 제어전극 및 스크린 전극과, 제1,2사중극렌즈를 그 사이에 각각 형성하는 제 1 내지 제 3 포커스 전극과, 상기 제 3 포커스 전극과 인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 3 포커스 전극과 주렌즈를 이루는 최종가속전극을 포함하여 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있어서, 상기 제 3 포커스 전극에 형성된 횡장형 전자빔 통과공의 크기는, 그에 대향하는 상기 제 2 포커스 전극에 형성된 종장형 전자빔 통과공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3 포커스 전극에 형성된 횡장형 전자빔 통과공의 면적이 상기 제 2 포커스 전극에 형성된 종장형 전자빔 통과공의 면 적보다 약 10 % 작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3 포커스 전극에 형성된 횡장형 전자빔 통과공의 수직 방향 최대 높이가 상기 제 2 포커스 전극에 형성된 종장형 전자빔 통과공의 수평 방향 최대 폭보다 작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3 포커스 전극에는 편향신호에 동기하는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 2 포커스 전극에에는 상기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보다 낮은 정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면에 형광막이 형성된 패널과, 상기 패널과 봉착되며 네크부를 가지는 펀넬로 이루어진 외주용기와; 캐소오드, 제어전극 및 스크린 전극과, 제1,2사중극렌즈를 그 사이에 각각 형성하는 제 1 내지 제 3 포커스 전극과, 상기 제 3 포커스 전극과 인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 3 포커스 전극과 주렌즈를 이루는 최종가속전극을 포함하고,상기 제 3 포커스 전극에 형성된 횡장형 전자빔 통과공의 크기가, 그에 대향하는 상기 제 2 포커스 전극에 형성된 종장형 전자빔 통과공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 전자총; 상기 펀넬의 콘부에 네크부에 걸쳐 설치되며 상기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빔을 형광막의 각 형광위치로 편향시키는 편향요오크;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다이나믹 포커스 전자총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자총은 전치 삼극부를 이루는 캐소오드(21), 제어전극(22) 및 스크린 전극(23)과, 보조렌즈 및 제1,2사중극렌즈를 이루는 제1,2,3,4,5포커스전극(24)(25)(26)(27)(28)과, 상기 제5포커스 전극(28)과 인접되게 설치되어 포커스 렌즈와 콘버어젼스 렌즈를 포함하는 주렌즈를 형성하기 위한 최종 가속전극(29)를 구비한다. 상기 각 전극들에는 인라인상으로 세 개의 전자빔 통과공 또는 세 전자빔이 공히 통과하는 하나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된다. 한편, 제 3 포커스 전극(26)은 컵형과 판형의 전극 부재가 차례로 배치된 두개의 전극 부재(26a,26b)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 4 포커스 전극(27)도 2 개의 컵형 전극 부재(27a,27b)로 형성되고, 제 5 포커스 전극(28)은 판형과 컵형으로 이루어진 내측에 내부 전극이 설치된 형상을 이루도록 3 개의 전극 부재(28a,28b,28c)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전극에는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는데, 상기 제어전극(22)에는 제1정전압(V1)이 인가되고, 상기 스크린전극(23)과 제2포커스 전극(25)에는 상기 제1정전압 보다 높은 제2정전압(V2)이 인가된다. 그리고 제1포커스 전극(24)와 제4포커스 전극(27)에는 상기 제2정전압보다 높은 포커스 전압(VF)이 인가되고, 상기 제3,5포커스 전극(26)(28)에는 상기 포커스 전압보다 높거나 같으며 편향신호에 동기하는 파라볼라형의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VFd)이 인가되며, 상기 최종가속전극에는 고압의 에노우드 전압(VE)이 인가 된다. (V1<V2<VF≤VFd<VE)
상기 각 전극에 대한 전압의 인가는 상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2개의 사중극렌즈를 형성하여 전자빔을 포커싱 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어느것 이나 가능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다이나믹 포커스 전자총에서 제 1 사중극 렌즈는 상기 제 3 포커스 전극(26)의 전극 부재(26b)와 제 4 포커스 전극(27)의 전극 부재(27a) 사이에서 형성되고, 제 2 사중극 렌즈는 상기 제 4 포커스 전극(27)의 전극 부재(27b)와 제 5 포커스 전극(28)의 전극 부재(28b) 사이에서 형성된다. 상기 제 3 및, 제 5 포커스 전극(26,28)은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이 인가되는 다이나믹 전극이고, 제 4 전극(27)은 포커스 전극이 인가되는 스타틱 전극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사중극 렌즈를 형성하는 스타틱 전극의 전자빔 통과공과 다이나믹 전극의 전자빔 통과공의 크기가 상이하게 형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2 사중극 렌즈는 제 4 전극(27)의 전극 부재(27b)와 제 5 전극(28)의 전극 부재(28a) 사이에서 형성되는데, 상기 제 5 전극(28)의 전극 부재(28a)에 형성되는 전자빔 통과공이 상기 제 4 전극(27)의 전극 부재(27b)에 형성되는 전자빔 통과공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다.
도 6 및, 도 7 은 제 1 및, 제 2 사중극 렌즈를 각각 형성하는 전극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제 3 전극(26)의 전극 부재(26b)와, 제 4 전극(27)의 전극 부재(27a)가 도시되어 있다. 전극 부재(26b)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종장형의 전자빔 통과공(7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극 부재(26b)에 대향하는 다른 전극 부재(27a)는 컵형으로 형성되며,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72)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사중극 렌즈는 상기 전극 부재(26b)와 전극 부재(27a)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종장형 및, 횡장형 전자빔 통과공(71,72)들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이홀의 형상을 가지는데, 이것은 직사각형 통과공의 중앙부에 원형의 통과공을 중첩시킨 형상으로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전자빔 통과공(71,72)들 각각의 중앙부에 형성된 원형 통과공의 크기는 실질적으로 같다. 즉, 종장형 전자빔 통과공(71)의 수평 방향 최대폭인 W1 과, 횡장형 전자빔 통과공(72)의 수직 방향 최대 길이인 H1 의 길이가 같은 것이다.
도 7 을 참조하면, 제 4 전극(27)의 전극 부재(27b)와, 제 5 전극(28)의 전극 부재(28a)가 도시되어 있다. 전극 부재(27b)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종장형의 전자빔 통과공(7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극 부재(27b)에 대향하는 다른 전극 부재(28a)는 컵형으로 형성되며,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74)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사중극 렌즈는 상기 전극 부재(27b)와 전극 부재(28a)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종장형 및, 횡장형 전자빔 통과공(73,74)들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통과공의 중앙부에 원형의 통과공을 중첩시킨 형상으로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전자빔 통과공(73,74)들 각각의 중앙부에 형성된 원형 통과공의 크기는 실질적으로 상이하며, 전자빔 통과공(74)이 다른 전자빔 통과공(73) 보다 작다. 즉, 횡장형 전자빔 통과공(74)의 수직 방향 최대 높이인 H2 는, 종장형 전자빔 통과공(73)의 수평 방향 최대 폭인 W2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다. 실제에 있어서, 전자빔 통과공(74)이 전자빔 통과공(73)보다 면적에 있어서 약 10 % 정도 작도록 그 치수가 설정되는 작은 것이 바람직스럽다.
이와 같이 제 2 사중극 렌즈를 형성하는 제 4 포커스 전극의 전자빔 통과공의 크기를 작게 설정함으로써 수직 방향으로 강한 발산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비점 보정을 강하게 할 수 있다.
도 8 에 도시된 것은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은 전자총이 구비된 칼라 음극선관에 대한 개략적인 일부 절단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칼라 음극선관(50)은 적,청 녹색의 형광체가 도트 또는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형광막(51a)이 내면에 형성된 패널(51)과, 상기 패널(51)과 봉착되는 것으로, 네크부(52a)와 콘부(52b)를 가지는 펀넬(52)과, 상기 네크부(52a)에 장착되어 상기 형광막(51a)를 여기시키기 위한 전자총(60)과, 상기 펀넬(52)의 네크부(52a)와 콘부(52b)에 걸쳐 장착되는 편향요오크(53)를 포함한다.
이하 본원 발명에 따른 전자총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이루는 전극에 소정의 전위가 인가됨에 따라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3포커스 전극(24)(25)(26) 사이에 유니포텐설형 보조 전자렌즈(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제3,4포커스전극(26)(27) 사이에는 형광막에 주사되는 전자빔의 주사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1사중극렌즈(Q1)가 형성되고, 상기 제4,5포커스 전극(27)(28) 사이에는 제2사중극렌즈(Q2)가 형성되며 상기 제5포커스 전극(28)과 최종 가속전극(29) 사이에는 포커스 렌즈와 콘버어젼스 렌즈를 가지는 주렌즈(ML)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각 전극사이에 형성되는 전자렌즈는 형광막(51a)에 주사되는 위 치에 따라 전자렌즈의 강도와 렌즈 형성상태 및 전자빔의 포커싱 상태가 달라지게 되는데, 이상태를 전자빔이 형광막(51a)의 중앙부에 주사될 때와 주변부에 주사될 때로 나누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전자총으로 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형광막(51a)의 중앙부로 주사될 때에는 상기 제4포커스 전극(27)에 상기 포커스 전압(VF)과 대략 동일한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VFd)이 인가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2,3포커스 전극(24)(25)(26)에는 유니 포텐셜형 정전렌즈가 형성되고 상기 제3,4포커스 전극(26)(27)과 제4포커스전극(27)과 제5포커스 전극(28)의 사이에는 제1,2사중극렌즈(Q1)(Q2)가 형성되지 않게 되며, 제5포커스전극(29)와 최총 가속전극(29)사이에는 바이 포텐셜형 주렌즈(ML)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캐소오드(21)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은 상기 유니 포텐셜형 보조전자렌즈에 의해 예비 집속 및 가속된후 주렌즈(ML)의 포커스렌즈와 콘버어젼스 렌즈에 의해 집속 및 콘버어젼스 되어 형광막의 중앙부에 최상의 상태로 랜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총으로 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편향 요크(53)의 편향 작용에 의해서 형광막(51a)의 주변부에 주사될 때에는 상기 제3,5포커스 전극(26)(27)에 포커스 전압(VF)을 기저전압으로 하며 편향신호에 동기하는 다이나믹 포커스전압(VFd)이 인가되므로 상기 제1,2,3포커스 전극(24)(25)(26) 사이에 보조 전자렌즈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4포커스 전극(26)(27)에는 제1사중극 렌즈(Q1)가 형성되며 상기 제4포커스 전극(27)과 제5포커스 전극(28) 사이에는 제2 사중극렌즈(Q2)가 형성되며, 제5포커스 전극(28)과 최종 가속 전극(29)사이에는 포커스 렌즈와 콘버어젼스 렌즈를 가지는 주렌즈(ML)가 형성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2사중극렌즈(Q1)(Q2)는 각각 종장형 및,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71,72,73,74) 사이에서 형성된다. 이때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VFd)이 인가되는 다이나믹 전극인 제 5 포커스 전극(28)의 전자빔 통과공(74)은 포커스 전압(VF)이 인가되는 제 4 포커스 전극(27)의 전자빔 통과공(73)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수직 방향으로 강한 발산 렌즈가 형성된다. 따라서 화면의 주변부로 전자빔이 입사되더라도 효과적으로 비점 보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은 사중극렌즈를 형성하는 전자빔 통과공의 크기를 상이하게 형성함으로서 화면의 주변부에서 비점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전자총은 특히 대형 화면을 가진 얇은 두께의 칼러 음극선관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전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원 발명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어야 한다.

Claims (5)

  1. 전치 삼극부를 이루는 캐소오드, 제어전극 및 스크린 전극과, 제1,2사중극렌 즈를 그 사이에 각각 형성하는 제 1 내지 제 3 포커스 전극과, 상기 제 3 포커스 전극과 인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 3 포커스 전극과 주렌즈를 이루는 최종가속전극을 포함하여 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있어서,
    상기 제 3 포커스 전극에 형성된 횡장형 전자빔 통과공의 크기는, 그에 대향하는 상기 제 2 포커스 전극에 형성된 종장형 전자빔 통과공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러 음극선관용 전자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포커스 전극에 형성된 횡장형 전자빔 통과공의 면적이 상기 제 2 포커스 전극에 형성된 종장형 전자빔 통과공의 면적보다 약 10 %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포커스 전극에 형성된 횡장형 전자빔 통과공의 수직 방향 최대 높이가 상기 제 2 포커스 전극에 형성된 종장형 전자빔 통과공의 수평 방향 최대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러 음극선관용 전자총.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3 포커스 전극에는 편향신호에 동기하는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 2 포커스 전극에에는 상기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보다 낮 은 정전압이 인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5. 내면에 형광막이 형성된 패널과, 상기 패널과 봉착되며 네크부를 가지는 펀넬로 이루어진 외주용기와;
    캐소오드, 제어전극 및 스크린 전극과, 제1,2사중극렌즈를 그 사이에 각각 형성하는 제 1 내지 제 3 포커스 전극과, 상기 제 3 포커스 전극과 인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 3 포커스 전극과 주렌즈를 이루는 최종가속전극을 포함하고,상기 제 3 포커스 전극에 형성된 횡장형 전자빔 통과공의 크기가, 그에 대향하는 상기 제 2 포커스 전극에 형성된 종장형 전자빔 통과공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 전자총;
    상기 펀넬의 콘부에 네크부에 걸쳐 설치되며 상기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빔을 형광막의 각 형광위치로 편향시키는 편향요오크;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KR1020010014045A 2001-03-19 2001-03-19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및, 그것을 구비한 칼러 음극선관 KR100719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045A KR100719530B1 (ko) 2001-03-19 2001-03-19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및, 그것을 구비한 칼러 음극선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045A KR100719530B1 (ko) 2001-03-19 2001-03-19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및, 그것을 구비한 칼러 음극선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3992A KR20020073992A (ko) 2002-09-28
KR100719530B1 true KR100719530B1 (ko) 2007-05-17

Family

ID=27697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045A KR100719530B1 (ko) 2001-03-19 2001-03-19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및, 그것을 구비한 칼러 음극선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953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9732A (en) 1978-07-27 1980-02-12 Matsushita Electronics Corp Electron gun
JP2000188069A (ja) 1998-12-22 2000-07-04 Mitsubishi Electric Corp インライン型電子銃
KR20000066582A (ko) * 1999-04-19 2000-11-15 김순택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9732A (en) 1978-07-27 1980-02-12 Matsushita Electronics Corp Electron gun
JP2000188069A (ja) 1998-12-22 2000-07-04 Mitsubishi Electric Corp インライン型電子銃
KR20000066582A (ko) * 1999-04-19 2000-11-15 김순택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3992A (ko) 2002-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3282B1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 low dynamic focus
US4764704A (en) Color cathode-ray tube having a three-lens electron gun
US3949262A (en) Cathode ray tube with compensation for beam landing spot distortion due to wide-angle beam deflection
JP2673111B2 (ja) ビームスポット歪み防止用電子銃
JP2603415B2 (ja) カラー陰極線管用電子銃
JP2000182534A (ja) カラ―陰極線管用ダイナミックフォ―カス電子銃
KR100708638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US2806163A (en) Triple gun for color television
KR100719530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및, 그것을 구비한 칼러 음극선관
JPH08148095A (ja) 電子銃およびこの電子銃を備えたカラー陰極線管
KR100719532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768174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647572B1 (ko) 칼라 음극선관과 이의 구동방법
US6744190B2 (en) Cathode ray tube with modified in-line electron gun
KR100751306B1 (ko)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
US6515438B2 (en) Electron gun in color CRT
KR100869098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JPH07282740A (ja) カラ−陰極線管用電子銃
KR100268719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34053B1 (ko) 칼라수상관용 전자총
KR0166906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719087B1 (ko) 음극선관의 인-라인형 전자총
US6489737B2 (en) Cathode ray tube apparatus
KR100504527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596234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