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2748B1 - 자동차용 시트로크 메모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로크 메모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2748B1
KR100442748B1 KR10-2002-0013745A KR20020013745A KR100442748B1 KR 100442748 B1 KR100442748 B1 KR 100442748B1 KR 20020013745 A KR20020013745 A KR 20020013745A KR 100442748 B1 KR100442748 B1 KR 100442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seat
rail
memory devic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3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3953A (ko
Inventor
성용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02-0013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2748B1/ko
Publication of KR20030073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3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2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27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 B60N2/123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and provided with memory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56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the occupant to get in or out of the vehicle, e.g. stowing a seat forw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어시트측에서 프론트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 복귀시 프론트시트에 승,하차 하기 용이한 위치에서 로크가 로킹되도록 하는 시트로크 메모리장치를 제공하여 사용자들의 편익향상과 시트 전체의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로크 메모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로어레일(32)과 어퍼레일(33)로 구성되는 시트레일(35)에 구비되는 자동차용 로킹시트템(30)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 복귀시 프론트시트에 승,하차하기 용이한 위치에서 로킹시스템(30)의 로크(38)가 로킹홈(37)과 로킹될 수 있도록 한 시트로크 메모리장치(50)를 제공하되; 상기 시트로크메모리장치(50)는;
상기 작동축(48)의 내측단부에 시트 복귀시 로크(38)가 로크홈(37)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일정한 지점까지 로크홈(37)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작동자(51)와;
상기 로어레일(32)의 저면에는 시트레일(35)의 내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작동자(51)를 밀어올려 하강상태를 해제하여 로크(38)가 로킹되도록 구비하는 메모리브라켓(56)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로크 메모리장치{Memory device of seat lock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로크 메모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어시트 승차자가 승,하차시 전방으로 이동되는 프론트시트 복귀시 프론트시트 승차가가 승차하기 용이한 위치에서 로크가 로킹되도록 한 것이다.
자동차의 시트는 자동차 탑승자의 탑승자세를 유지하여주기 위한 것으로서 시트프레임의 상방에 시트쿠션과 시트백을 가지는 구성이며, 시트프레임의 하방에는 자동차의 차체 바닥면과 고정되는 로어레일과 시트를 고정하는 어퍼레일로 구성되는 시트레일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시트레일은 시트를 고정한 어퍼레일이 로어레일을 활주하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으로 로킹시스템을 구비하게 된다.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로킹시스템이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기술내용을 도 5를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로어레일(1)과 어퍼레일(2)로 구성되는 시트레일(3)에서 로어레일(1)과 어퍼레일(2)상간에는 시트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로킹시스템(5)이 구비된다.
상기 로킹시스템(5)은 어퍼레일(2)의 저면에 로크가이드(6)를 고정하고, 상기 로크가이드(6)와 어퍼레일(2) 상간에 개재되어 로어레일(1)에 형성되는 로크홈(7)과 치합되는 로크(8)를 구비한다.
상기 로크(8)는 로크홈(7)에 항상 치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눌러주는 로크스프링(9)을 구비하고, 상기 로크스프링(9)이 누르는 힘을 극복하여 로크(8)를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레버(10)가 구비되어 프론트레버와 연결되고, 어퍼레일(2)의 상부로 돌출된 로크(8)에는 리어레버와 연결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로크를 작동시키기 위한 레버가 프론트시트 승,차자가 직접 자신의 체형에 맞게 시트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론트레버(또는 사이드레버, 이하 프론트레버라 한다.)와, 리어시트에 승차자가가 승,하차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프론트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리어레버가 구비된다.
상기 프론트레버를 제어할 때에는 프론트시트에 승차한 탑승자가 임의로 제어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시트의 전,후방향 이동제어와 동일하나, 프론트시트의 리어레버를 리어시트 탑승자가 작동할 경우에는 승,하차의 용이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프론트시트가 전방으로 최대한 이동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프론트시트가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리어레버를 작동하고있지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시트에 구비되는 로킹시스템의 로크는 로킹된 상태에 있게된다.
그러므로, 프론트시트를 복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프론트 또는 리어레버 중 하나를 선택하여 로킹상태에 있는 로크를 해제한 상태에서 후방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동작을 승,하차시마다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로크를 해제하여 프론트시트를 후방으로 복귀시킬 때의 위치 또한 복귀시마다 다르고 승,하차하고자 하는 탑승자 마다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들로서는 상당한 불편함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리어시트측에서 프론트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 복귀시 프론트시트에 승차하기 용이한 위치에서 로크가 로킹되도록 하는 시트로크 메모리장치를 제공하여 사용자들의 편익향상과 시트 전체의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시트로크 메모리장치가 적용된 자동차용 시트레일을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자동차용 시트로크 메모리장치의 A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일부파절상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적용된 자동차용 시트로크 메모리장치의 평면상태의 구성도.
도 4는 도 2에 적용된 자동차용 시트로크 메모리장치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용 시트로크를 단면화 하여 도시한 시트레일의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30; 로킹시스템
35; 시트레일
38; 로크
48; 작동축
50; 시트로크 메모리장치
51; 작동자
55; 토셔널스프링
56; 메모리브라켓
57; 브라켓연접구
58; 레일연접구
60; 선단부
65; 범용작동구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이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인 시트로크 메모리장치가 적용된 자동차용 시트레일을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자동차용 시트로크 메모리장치의 A부위를발췌하여 도시한 일부파절상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적용된 자동차용 시트로크 메모리장치의 평면상태의 구성도, 도 4는 도 2에 적용된 자동차용 시트로크 메모리장치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자동차용 로킹시트템(30)은 플로어패널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브라켓(31)을 양측에 고정한 로어레일(32)과, 상기 로어레일(32)과 결합되고 상방에 승차자를 착석시키기 위한 시트를 고정하는 어퍼레일(33)로 구성되는 시트레일(35)에 구비된다.
상기 어퍼레일(33)의 저면에 로크가이드(36)를 고정하고, 상기 로크가이드(36)와 어퍼레일(33) 상간에 개재되어 로어레일(32)에 형성되는 로크홈(37)과 치합되는 로크(38)를 구비한다.
상기 로크(38)는 로크홈(37)에 항상 치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눌러주는 로크스프링(39)을 구비한다.
상기 로크스프링(39)이 누르는 힘을 극복하여 로크(38)를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레버(40)가 구비되어 프론트레버(41)와 연결되고, 어퍼레일(33)의 상부로 돌출된 로크(38)에는 리어레버(42)와 와이어(43)로 연결된다.
상기 리어레버(42)로 부터 인출되는 와이어(43)는 어퍼레일(33)의 상방에 고정되는 시트브라켓(45)의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연동바(46)의 외측에 고정되는 와이어브라켓(47)과 연결한다.
상기 연동바(46)에는 어퍼레일(33)의 상방으로 돌출된 로크(38)를 제어할 수 있도록 그 단부에 고정되는 작동축(48)을 구비하여 로크(38)와 연결한 브리지(49)를 고정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리어시트측에서 프론트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 복귀시 프론트시트에 승차하기 용이한 위치에서 로킹시스템(30)의 로크(38)가 로킹홈(37)과 치합되어 로킹될 수 있도록 한 시트로크 메모리장치(50)를 제공하여 사용자들의 승,하차 용이성을 제공하여 편익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시트로크메모리장치(5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리어레버(42)와 와이어(43)로 연결되어 양측 시트레일에 구비되는 로크(38)를 연동작동하기 위한 연동바(46)에 고정되는 브리지(49)에 구비되는 작동축(48)의 내측단부에 시트 복귀시 로크(38)가 로크홈(37)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일정한 지점(로킹시키고자 하는 지점)까지 로크홈(37)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동자(51)를 고정한다.
상기 작동자(51)는 작동축(48)에 개재되어 외측절곡부(52)는 브리지(49)에 고정하고, 내측절곡부(53)는 작동자(51)에 고정시킨 토셔널스프링(55)에 의하여 항상 작동자(51)를 하강시키도록 한다.
상기 작동자(51)는 로어레일(32)의 저면에 고정되어 시트레일(35)의 내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메모리브라켓(56)과 연접되는 브라켓연접구(57)와 메모리브라켓(56)을 벗어났을 때 어퍼레일(33)의 상면과 연접되는 레일연접구(58)로 구성하여 서로 단차를 가지도록 한다.
상기 메모리브라켓(56)은 시트 복귀시 프론트시트에 승차자가 탑승하기 적합한 위치에서 선단부(60)가 작동자(51)의 브라켓연접구(57)를 밀어서 로크(38)를 하강시킬 수 있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메모리브라켓(56)은 선단부(60)에서 후방으로는 프론트레버(41)에 의하여 로크(38)가 치합 및 이격을 반복하여 승차자의 체형에 맞게 시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일정길이의 범용작동구간(65)을 가지도록 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살펴보면;
프론트시트가 정상적인 위치에 있는 초기상태에는 로크(38)가 메모리브라켓(56)의 범용작동구간(65)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때의 체형에 맞는 시트위치 조절은 프론트레버(41)를 이용하여 통상적으로 시트위치를 조정하듯이 하면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리어시트로의 승,하를 위하여 리어레버(42)를 작동시키면 와이어(43)가 연동바(46)를 →R방향으로 당기게 되고 연동바(46)에 고정되어 작동축(48)으로 로크(38)를 연결하고 있는 브리지(49)는 →R1방향으로 상승하게 되므로 로크(38)가 로크홈(37)을 벗어나고 동시에 로어레일(32)과 어퍼레일(33)을 연결하고 있는 스프링에 의하여 프론트시트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프론트시트가 이동할 때에는 어퍼레일(33)이 로어레일(33)을 활주하게 되는데, 이때 작동자(51)는 작동축(48)의 상승으로 직립상태를 유지하고 메모리브라켓(56)을 벗어남과 동시에 작동자(51)의 레일연접구(57)가 어퍼레일(33)의 상면에 연접되어 로크(38)의 하강을 막고있는 상태가 된다.
물론, 브라켓연접구(57)는 어퍼레일(33)의 측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메모리브라켓(56)과 만 연접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므로 메모리브라켓(56)을 벗어난 상태에서는 영향을 받지 않게된다.
그러므로, 메모리브라켓(56)의 선단부(60)부터 로어레일(32)의 최선단부까지의 구간에서는 로킹되지 않게 되므로 프론트시트가 자유롭게 전,후방향으로 자유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프론트시트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리어측 승차자가 승,하차하고 난 후 프론트시트를 복귀시키면, 프론트시트에 승차자가 승차하기 용이한 지점까지 자유롭게 이동한 후 로크(38)가 로크홈(37)에 로킹됨으로서 승차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승차 후 범용작동구간(65)에 위치하고 있는 작동자(51)는 프론트레버(41)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프론트시트 후퇴시 메모리브라켓(56)의 선단부(60)와 작동자(51)가 연접함으로서 로킹이 되는데, 작동자(51)의 브라켓연접구(57)는 레일연접구(58)보다 외측에 위치하면서도 하방으로 길이가 더 길기 때문에 메모리브라켓(56)의 선단부(60)위치에서 선단부(60)가 작동자(51)를 밀어주므로 로크(38)가 하강하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리어시트 승차자가 승하차 한 후 프론트시트 복귀시 프론트시트 승차자가 승차하기 용이한 위치까지 로킹되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한 후 프론트시트 승차자가 승차하기 용이한 위치에서 로킹되도록 함으로서 프론트시트 승차자의 승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리어시트측에서 프론트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복귀시 프론트시트에 승,하차 하기 용이한 위치에서 로크가 로킹되도록 하는 시트로크 메모리장치를 제공하여 사용자들의 편익향상과 시트 전체의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시트레일(35)의 어퍼레일(33)저면에 고정되는 로크가이드(36)와;
    상기 로크가이드(36)에 수용되어 로어레일(32)에 형성되는 로크홈(37)과 치합되는 로크(38);
    상기 로크(38)를 로크홈(37)에 항상 치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눌러주는 로크스프링(39)과;
    상기 로크스프링(39)이 누르는 힘을 극복하여 로크(38)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프론트레버(41)와 연결되는 해제레버(40);
    상기 어퍼레일(33)의 상부로 돌출된 로크(38)에 와이어(43)로 연결되는 리어레버(42);
    상기 와이어(43)는 어퍼레일(33)의 상방에 고정되는 시트브라켓(45)에 설치되는 연동바(46)의 외측에 고정되는 와이어브라켓(47)과 연결하고;
    상기 연동바(46)에는 로크(38)와 연결되는 작동축(48)을 가지는 브리지(49)를 고정하여 구성되는 자동차용 로킹시트템(30)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 복귀시 프론트시트에 승,하차하기 용이한 위치에서 로킹시스템(30)의 로크(38)가 로킹홈(37)과 로킹될 수 있도록 한 시트로크 메모리장치(50)를 제공하되;
    상기 시트로크메모리장치(50)는;
    상기 작동축(48)의 내측단부에 시트 복귀시 로크(38)가 로크홈(37)으로 부터이격된 상태를 일정한 지점까지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작동자(51)와;
    상기 로어레일(32)의 저면에는 시트레일(35)의 내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작동자(51)를 밀어올려 하강상태를 해제하여 로크(38)가 로킹되도록 구비하는 메모리브라켓(56)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자(51)는 외측절곡부(52)는 브리지(49)에 고정하고, 내측절곡부(53)는 작동자(51)에 고정시켜 작동축(48)에 개재되는 토셔널스프링(55)에 의하여 항상 하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작동자(51)는 단차를 가지고 메모리브라켓(56)과 연접되는 브라켓연접구(57)와 메모리브라켓(56)을 벗어났을 때 어퍼레일(33)의 상면과 연접되는 레일연접구(5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로크 메모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브라켓(56)은 선단부(60)에서 후방으로는 프론트레버(41)에 의하여 로크(38)가 치합과 이격을 반복하여 승차자의 체형에 맞게 시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일정길이의 범용작동구간(65)을 더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로크 메모리장치.
KR10-2002-0013745A 2002-03-14 2002-03-14 자동차용 시트로크 메모리장치 KR100442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745A KR100442748B1 (ko) 2002-03-14 2002-03-14 자동차용 시트로크 메모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745A KR100442748B1 (ko) 2002-03-14 2002-03-14 자동차용 시트로크 메모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3953A KR20030073953A (ko) 2003-09-19
KR100442748B1 true KR100442748B1 (ko) 2004-08-02

Family

ID=32224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3745A KR100442748B1 (ko) 2002-03-14 2002-03-14 자동차용 시트로크 메모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27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980Y1 (ko) 2010-04-06 2012-07-03 (주)티에프에스 차량시트고정용 매카니칼 록킹장치
KR20130049402A (ko) * 2011-11-04 2013-05-14 주식회사다스 시트트랙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4735A (ja) * 1988-08-18 1990-02-23 Showa Alum Corp アルミニウムブレージングシート
JPH0469328U (ko) * 1990-10-29 1992-06-19
KR19990078163A (ko) * 1998-03-24 1999-10-25 르끌레르 쟝 루이 자동차 시트용 슬라이드 레일과 그 슬라이드 레일로 구성된 자동차용 시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4735A (ja) * 1988-08-18 1990-02-23 Showa Alum Corp アルミニウムブレージングシート
JPH0469328U (ko) * 1990-10-29 1992-06-19
KR19990078163A (ko) * 1998-03-24 1999-10-25 르끌레르 쟝 루이 자동차 시트용 슬라이드 레일과 그 슬라이드 레일로 구성된 자동차용 시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980Y1 (ko) 2010-04-06 2012-07-03 (주)티에프에스 차량시트고정용 매카니칼 록킹장치
KR20130049402A (ko) * 2011-11-04 2013-05-14 주식회사다스 시트트랙장치
KR101915612B1 (ko) 2011-11-04 2018-11-07 주식회사다스 시트트랙장치의 트랙레버 높이 조절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3953A (ko) 200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68814B1 (en) Fold flat seat assembly
EP1945478B1 (en) Front row seat assembly having fold flat mechanism with forward cushion movement
US6631952B1 (en) Automobile seat
KR100442746B1 (ko) 자동차용 시트레일의 로킹시스템
JP5694547B2 (ja) 前後調整可能車両座席
JPH06305347A (ja) 内部メモリスライド
EP1344677A2 (en) Seat arrangement for a vehicle and vehicle provided therewith
CN108528293B (zh) 用于仰卧式机动车辆座椅总成的机构
US20070108817A1 (en) Thigh extension system for a vehicle seat
EP3369611A1 (en) Seatback lift mechanism for a supine motor vehicle seating assembly
US8746795B2 (en) Manually longitudinally adjustable motor vehicle seat
TWM270068U (en) An infant seat with armrests for motorcars
KR20140111311A (ko) 진입 간편화 기능을 갖는 차량 시트용 잠금 해제 장치 및 잠금 해제 장치의 작동 방법
US20110298265A1 (en) Lower Tip-Slide Mechanism
CN108725272B (zh) 用于h点举升的可折叠举升机构
KR100442748B1 (ko) 자동차용 시트로크 메모리장치
JP4031826B2 (ja) シート・トラックに用いるレバー・ストッパ
JPS6310344Y2 (ko)
JPS604819Y2 (ja) 自動車の運転室
KR200145175Y1 (ko) 회전이 가능한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KR100456557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장치
KR970004130Y1 (ko) 시트
JP4107291B2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操作装置
KR100472655B1 (ko) 자동차의 승객 탑승장치
EP2353930A1 (en) An integrated child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