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2528B1 - 가스온풍난방기 - Google Patents

가스온풍난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2528B1
KR100442528B1 KR10-2001-0078203A KR20010078203A KR100442528B1 KR 100442528 B1 KR100442528 B1 KR 100442528B1 KR 20010078203 A KR20010078203 A KR 20010078203A KR 100442528 B1 KR100442528 B1 KR 100442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gas
air
case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8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1490A (ko
Inventor
야스이시게아키
고바야시하지메
니시가츠키
시키호리토모야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20061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1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2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25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88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57Guiding means
    • F24H9/0063Guiding means in ai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57Guiding means
    • F24H9/0068Guiding means in combustion gas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73Arrangement or mounting of means for forcing the circul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6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heaters, e.g. boilers, other than space heating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7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8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rect Air Heating By Heater Or Combustion Gas (AREA)

Abstract

(과제) 가스온풍난방기의 높이를 낮추면서도 연소가스와 공기를 충분히 혼합시킬 수 있는 기술을 실현한다.
(해결수단) 가스온풍난방기는 본체 케이스(22)와 연소 케이스(30)와 팬(46)과 혼합공간(52)과 공기통로(24,29,38)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 케이스(22)는 배면에 공기 흡입구(27)가 형성되고 전면에 온풍 취출구(48)가 형성됨과 아울러, 가스온풍난방기의 외틀을 형성한다. 연소 케이스(30)는 내부에 가스버너(36)를 가지며, 상부에 연소가스 배출구(30b)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본체 케이스(22) 내의 후방위치에 수용되어 있다. 팬(46)은 연소 케이스(30)보다 전방 위치에 또한 연소 케이스(30)와 중복되는 높이로 본체 케이스(22) 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온풍 취출구 (48)와 연통됨과 아울러 연소 케이스(30)보다도 높이가 낮다. 혼합공간(52)은 본체 케이스(22)의 앞판의 후방, 연소 케이스(30)의 앞판의 전방 또한 팬(46)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공기 흡입구(27)에서 흡입된 공기와 연소가스 배출구(30b)에서 배출된 연소가스를 혼합한다. 공기통로(24,29,38)는 공기 흡입구(27)에서 연소 케이스(30)의 주위를 우회하여 혼합공간(52)에 이르고 있다.

Description

가스온풍난방기{GAS HOT AIR HEATER}
본 발명은 가스온풍난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스온풍난방기의 일례가 일본국 실개평6-4076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이 가스온풍난방기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종래의 가스온풍난방기는 본체 케이스(22)와 연소 케이스(30)와 팬(46) 등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 케이스(22)는 배면에 공기 흡입구(27)가 형성되고, 전면에 온풍 취출구(48)가 형성됨과 아울러, 가스온풍난방기의 외틀을 형성한다. 연소 케이스(30)는 내부에 가스버너(36)를 가지며, 상부에 연소가스 배출구(30b)가 형성되어 있다. 팬(46)은 연소 케이스(30)보다 하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온풍 취출구(48)와 연통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22) 내에는 3계통의 공기통로(25,24,29)가 형성되어 있다. 공기통로 (25)는 본체 케이스(22)와 칸막이판(31)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 케이스(22)를 냉각한다. 공기통로(24)는 칸막이판(31)과 분류판(28)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공기통로(29)는 분류판(28)과 연소 케이스(30)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가스버너(36)를 점화하면, 도시하지 않은 연소용 1차 공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연소용 1차 공기와 연소용 2차 공기 흡입구(30a)에서 화살표 D로 나타낸 바와 같이 흡입된 연소용 2차 공기에 의해서 연료가스가 연소된다. 이 연소에 의해서 발생된 연소가스는 연소 케이스(30)의 상부에 형성된 연소가스 배출구(30b)에서 화살표 C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된다. 연소중에는 팬(46)의 회전에 의해서 연소가스가 연소가스 배출구(30b)로부터 흡인된다. 이와 동시에, 팬(46)의 회전에 의해서 실내 공기가 공기통로(29)로 화살표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흡인된다. 이 결과, 화살표 C로 나타내는 연소가스와 화살표 B로 나타내는 공기가 우선 혼합된다.
이와 동시에, 팬(46)의 회전에 의해서 실내 공기가 공기통로(24)로 화살표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흡입된다. 이 결과, 화살표 C로 나타내는 연소가스와 화살표 A로 나타내는 공기가 혼합통로(52)에서 혼합된다. 즉, 팬(46)에 의해서 공기 흡입구(27)에서 흡입된 공기는 연소 케이스(30)의 앞판의 전방 하측으로 이동한다. 팬(46)은 연소가스 배출구(30b)에서 연소가스도 흡인하며, 흡인된 연소가스는 연소 케이스(30)의 앞판의 전방 하측으로 이동한다. 연소 케이스(30)의 앞판의 전방 하측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공기와 연소가스가 혼합되어 알맞은 온도로 조정된다. 또한, 팬(46)의 회전에 의해서 실내 공기가 공기통로(25)로 화살표 F로 나타낸 바와 같이 흡입된다. 이 공기는 본체 케이스(22)의 내측으로 흘러서 본체 케이스(22)를 냉각하고, 최종적으로는 도입구(31a)에서 혼합공간(52)으로 흘러 들어가 상류측에서 오는 혼합가스와 혼합된다. 이와 같이 하여 혼합된 혼합가스는 적당한 온도의 온풍이 된다. 이 온풍은 팬(46)의 회전에 의해서 팬 케이싱(40)을 따라서 온풍 취출구(48)로 유도되고, 이 온풍 취출구(48)에서 취출된다. 이 온풍에 의해서 실내가난방된다.
상기 가스온풍난방기에 의하면, 팬(46)이 연소 케이스(30)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온풍난방기의 안길이(가스온풍난방기의 전면에서 배면까지의 길이)를 작게 할 수 있다.
그러나, 가스온풍난방기의 설치장소에 따라서는 안길이는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고 오히려 높이를 낮게 하는 것이 요망되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어, 온풍난방기를 주방 세트의 하부에 조립할 경우에는 안길이는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고 이것보다도 높이를 낮게 하는 것이 요망된다.
도 5에 나타낸 종래의 가스온풍난방기는 팬(46)이 연소 케이스(30)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온풍난방기의 안길이는 작게 할 수 있는 것이지만, 높이를 낮추는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가스온풍난방기의 높이를 낮추기 위해서 단순히 연소 케이스(30)와 팬(46)을 수평방향으로 병설할 수는 없다. 단순히 연소 케이스(30)와 팬(46)을 수평방향으로 병설하면, 혼합공간(52)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게 되고, 이 결과 연소가스와 공기가 충분히 혼합되지 않은 채 팬(46)으로 흡인됨으로써, 팬(46)이 국부적으로 과열되어 팬(46)의 열변형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스온풍난방기의 높이를 낮추면서도 연소가스와 공기를 충분히 혼합시킬 수 있는 기술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가스온풍난방기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가스온풍난방기와 본 실시예에 관한 가스온풍난방기의 운전소음의 비교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가스온풍난방기의 단면도
도 4는 가이드 벽의 절결부를 정면측에서 본 도면
도 5는 종래의 가스온풍난방기의 단면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2 - 본체 케이스 22a - 앞판의 표면
24,29,38 - 공기통로 26 - 에어필터
27 - 공기 흡입구 28 - 분류판
30 - 연소 케이스 30a - 연소용 2차 공기 흡입구
30b - 연소가스 배출구 32 - 연소실
34 - 보호통 36 - 가스버너
40 - 팬 케이싱 42 - 가이드 벽
42a - 절결부 46 - 팬
48 - 온풍 취출구 50 - 스태빌라이저
52 - 혼합공간 54 - 서모커플
본 발명의 가스온풍난방기는 본체 케이스, 연소 케이스, 팬, 혼합공간과 공기통로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 케이스는 배면에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전면에 온풍 취출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가스온풍난방기의 외틀을 형성한다. 연소 케이스는 내부에 가스버너를 가지며, 상부에 연소가스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본체 케이스 내의 후방 위치에 수용되어 있다. 팬은 연소 케이스보다 전방 위치에 또한 연소 케이스와 중복되는 높이로 본체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온풍 취출구와 연통됨과 아울러, 연소 케이스보다도 높이가 낮다. 혼합공간은 본체 케이스의 앞판의 후방, 연소 케이스의 앞판의 전방, 또한 팬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공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와 연소가스 배출구에서 배출된 연소가스를 혼합한다. 공기통로는 공기 흡입구에서 연소 케이스의 주위를 우회하여 혼합공간에 이르고 있다.
또한, 팬의 전부가 연소 케이스와 중복되는 높이로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팬의 일부가 연소 케이스와 중복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스온풍난방기에서는 연소가스와 공기를 충분히 혼합하여 적당한 온도의 혼합가스가 되게 한 후에 팬으로 보낼 필요가 있다. 도 5에 나타낸 종래 기술에서는, 연소 케이스(30)와 팬(46)을 상하로 배치하여 혼합공간(52)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연소가스와 공기를 충분히 혼합시키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연소가스와 공기를 충분히 혼합시키기 위해서 팬을 연소 케이스보다도 높이가 낮은 것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본체 케이스의 앞판의 후방, 연소 케이스의 앞판의 전방 또한 팬의 상측 위치에 공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와 연소가스 배출구에서 배출된 연소가스를 혼합하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혼합공간이 확보됨으로써, 연소 케이스와 팬을 수평방향으로 병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이와 같은 혼합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연소 케이스와 팬을 수평방향으로 병설하더라도 연소가스와 공기가 충분히 혼합되지 않은 채로 팬으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가스온풍난방기에 의하면, 연소 케이스와 팬을 수평방향으로 병설할 수 있기 때문에, 팬이 연소 케이스보다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종래의 가스온풍난방기에 비해 가스온풍난방기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또, 팬을 연소 케이스보다도 높이가 낮은 것으로 함으로써 팬의 상측 공간에 큰 혼합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혼합공간(이 공간은 연소가스와 공기의 통로라고도 말할 수 있다)의 단면적을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연소가스와 공기를 충분히 혼합시키는 공간을 확보하면서도 혼합공간(연소가스와 공기의 통로)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즉, 혼합공간(연소가스와 공기의 통로)을 넓고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가스온풍난방기에 의한 경우에 비해, 같은 풍량의 온풍을 송출하는데 필요한 팬의 회전수를 낮출 수 있다. 이 결과, 가스온풍난방기의 운전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고, 또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가스온풍난방기에서는 혼합공간을 획정하는 본체 케이스의 앞판을 하측으로 갈수록 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 케이스의 체적을 작게 하면서 효과적인 혼합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통로저항을 보다 작게 할 수 있어 팬의 회전수를 더욱 낮출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가스온풍난방기에서는 본체 케이스의 앞판의 하측 연장부에 스태빌라이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온풍난방기의 높이를 낮추고, 안길이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가스온풍난방기에서는 연소 케이스의 상측을 우회하는 공기통로와 연소 케이스의 하측을 우회하는 공기통로의 2계통의 공기통로를 확보하는 것이 효과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2계통의 공기통로가 확보되기 때문에, 연소가스와 공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혼합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가스온풍난방기에서는 연소 케이스의 앞판의 전방 상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벽에 서모커플 교환용 절결부를 형성하여 두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 벽이 혼합공간에서 혼합된 온풍을 취출구로 안내한다. 또, 팬과 연소 케이스를 수평방향으로 병설할 경우, 가이드 벽은 연소 케이스의 앞판의 전방 상측으로 연장되게 된다. 연소 케이스에는 서모커플이 필요하고, 이 서모커플을 교환할 경우가 있기 때문에, 가이드 벽에 서모커플 교환용 절결부를 형성하여 두면, 교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우선, 후술하는 실시예의 특징을 정리한다.
(제 1 실시형태)
가이드 벽은 연소 케이스의 앞판과 거리를 두고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가이드 벽에 의해서 연소 케이스의 하측을 우회하는 공기통로가 확보된다.
(제 2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의 가이드 벽이 상측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연소 케이스와 크게 이반(離反)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가이드 벽이 상측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연소 케이스와 크게 이반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 벽과 연소 케이스 사이로 하측에서 상측으로 손을 집어넣었을 때에, 상측에서 손을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 벽의 상측에 있어서 연소 케이스의 근방에 부착되어 있는 서모커플의 교환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제 3 실시형태)
가이드 벽은 연소 케이스의 앞판에 접촉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가스온풍난방기의 안길이를 작게 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본체 케이스의 앞판은, 간격을 둔 2중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의 가스온풍난방기에서는 혼합공간에서 효과적으로 혼합되어 적당한 온도로 되기 때문에, 앞판을 냉각시킬 필요가 없다. 간격을 둔 2중판으로 형성하여 두는 것만으로도 본체 케이스의 앞판의 온도가 안전한 범위 내에서 유지된다.
(실시예)
본 발명을 구현화한 매우 적절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가스온풍난방기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가스온풍난방기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가스온풍난방기는 본체 케이스(후드라고도 한다)(22)에 의해서 외틀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22)의 배면에는 배면 상부에서 배면 하부에 걸쳐서 에어필터(26)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에어필터(26)에는 공기 흡입구(27)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22)의 전면 하부에는 온풍 취출구(48)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22) 내의 후방 위치에는 연소 케이스(30)가 수용되어 있다. 이 연소 케이스(30)의 배면측에는 연소용 2차 공기 흡입구(30a)가 형성되어 있다. 연소 케이스(30)의 상부에는 연소가스 배출구(30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소 케이스(30)의 내부에는 연소실(3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연소실(32)에는 가스버너 (36)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스버너(36)에는 도시하지 않은 메인밸브, 안전밸브, 유량제어밸브를 통해서 가스관이 접속되어 있다. 가스버너(36)의 상측에는 가스버너(36)의 연소불꽃을 에워싸는 보호통(3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스버너(36)에는 도시하지 않은 연소용 1차 공기통로가 접속되어 있다.
연소 케이스(30)의 상측에는 그 단면이 산(山)형상으로 된 분류판(28)이 설치되어 있다. 이 분류판(28)의 상측에는 본체 케이스(22)의 상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분류판(28)과 본체 케이스(22)의 상판과의 사이에는 제 1 공기통로(24)가 형성되어 있다. 분류판(28)과 연소 케이스(30)와의 사이에는 제 2 공기통로(29)가 형성되어 있다. 연소 케이스(30)의 하부와 본체 케이스(22)의 하판과의 사이에는 제 3 공기통로(38)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공기통로(24,29,38)는 모두 연소 케이스(30)의 주위를 우회하여 본체 케이스(22) 배면의 공기 흡입구(27)와 연통되어 있다. 3계통의 공기통로(24,29,38)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소가스와 공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혼합시킬 수 있다.
본체 케이스(22) 내의 전방 하측에는 팬(46)이 수용되어 있다. 이 팬(46)은 연소 케이스(30)보다 전방에 설치되며, 또한 수평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연소 케이스(30)와 중복되는 높이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팬(46)이 연소 케이스(30)보다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종래의 가스온풍난방기에 비해 가스온풍난방기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팬(46)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원심식의 팬으로서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서 회전구동된다. 팬(46)의 주위에는 팬(46)을 에워싸는 팬 케이싱(40)이 설치되어 있다. 이 팬 케이싱(40)에 의해서 팬(46)과 온풍 취출구(48)가 연통된다.
팬 케이싱(40)에는 팬(46)과 연소 케이스(30)를 구획하는 가이드 벽(42)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벽(42)은 연소 케이스(30)의 앞판과 거리를 두고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가이드 벽(42)은 후술하는 혼합공간(52)에서 혼합된 온풍을 온풍 취출구(48)로 안내함과 아울러, 연소 케이스(30)의 하측을 우회하는 제 3 공기통로(38)를 통과하는 공기를 혼합공간(52)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 벽(42)은 상측으로 연장되어 갈수록 연소 케이스(30)의 앞판과 크게 이반되도록팬(46)을 따라서 만곡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 벽(42)과 연소 케이스(30) 사이로 하측에서 상측으로 손을 집어넣었을 때에, 상측에서 손을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가이드 벽(42)의 상측에 있어서 연소 케이스(30)의 근방에 부착되어 있는 서모커플(열전대)(54)의 교환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 팬 케이싱(40)의 전방부에는 스태빌라이저(5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스태빌라이저(50)는 본체 케이스(22)의 앞판의 하측 연장부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스온풍난방기의 높이를 낮추고, 안길이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가이드 벽(42)과 스태빌라이저(50)의 형상이나 가이드 벽(42) 혹은 스태빌라이저(50)와 팬(46)과의 사이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팬(46)의 흡입력을 조정할 수 있다.
팬(46)은 연소 케이스(30)보다도 높이가 낮게 억제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 케이스(22)의 앞판의 후방이면서 연소 케이스(30)의 앞판의 전방인 팬(46)의 상측에 충분한 크기의 혼합공간(52)을 확보할 수 있다. 이 혼합공간(52)은 3계통의 공기통로(24,29,38)와 연소 케이스(30)의 연소가스 배출구(30b)와 연통되어 있다. 이와 같이 팬(46)을 연소 케이스(30)보다도 높이를 낮게 함으로써 팬(46)의 상측 공간에 큰 혼합공간(52)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혼합공간(이 공간은 연소가스와 공기의 통로라고도 말할 수 있다)(52)의 단면적(N)을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연소가스와 공기를 충분히 혼합시키는 공간을 확보하면서도 혼합공간(연소가스와 공기의 통로)(52)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즉, 혼합공간(52)을 넓고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가스온풍난방기에 비해 같은 풍량의 온풍을 송출하는데 필요한 팬(46)의 회전수를 낮출 수 있다. 이 결과, 가스온풍난방기의 운전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고, 또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다.
또, 종래의 가스온풍난방기에 비해 부압면(負壓面)(M)을 넓힐 수 있기 때문에, 팬(46)에 의한 온풍의 흡입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체 케이스(22)의 앞판과 연소 케이스(30)와의 사이의 공간이 넓어지기 때문에, 연소 케이스(3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의 열이 본체 케이스(22)의 앞판의 표면(22a)에까지 전달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도 5에 나타낸 종래의 가스온풍난방기와 같이 본체 케이스(22)의 앞판을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통로(25)를 별도로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본 실시예에 관한 가스온풍난방기에 의한 운전소음의 저감효과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가스온풍난방기와 본 실시예에 관한 가스온풍난방기의 운전소음을 비교한 도면이다. 양쪽 모두 연소발열량을 2000㎉/h로 하였다.
우선, 팬(46)이 연소 케이스(30)보다 하측에 설치된 종래의 가스온풍난방기(도 5에 나타낸 가스온풍난방기와 거의 동일한 가스온풍난방기)에 대해서 팬 회전수를 1030rpm으로 하였을 때, 온풍 취출구(48)에서의 온풍 온도의 평균치는 60.8K이었고, 운전소음은 36.4㏈이었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낸 본 실시예에 관한 가스온풍난방기에 대해서 팬 회전수를 900rpm으로 하였을 때, 온풍 취출구(48)에서의 온풍 온도의 평균치는 59.7K이었고, 운전소음은 34.2㏈이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의 가스온풍난방기보다도 낮은 팬 회전수로 대량의 공기를 흡인할 수 있어 온풍 온도를 낮출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팬 회전수를 저속화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소음을 2.2㏈이나 저감할 수 있었다.
종래와 같은 온도, 같은 풍량의 온풍을 송출할 경우에는 팬 회전수를 더 저하시켜서 운전소음을 더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의 실험은 낮은 팬 회전수로 종래와 같은 열량의 온풍을 보다 저온으로 보다 큰 풍량의 온풍으로서 송출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22)의 앞판에 있어서 혼합공간(52)을 획정하는 부위는, 하측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돌출되게 경사져 있다. 따라서, 본체 케이스(22)의 체적을 작게 하면서 효과적인 혼합공간(52)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통로저항을 보다 작게 할 수 있어 팬(46)의 회전수를 더욱 낮출 수 있다.
또, 본체 케이스(22)의 앞판에 있어서 혼합공간(52)을 획정하는 부위는, 간격(L)을 둔 2중판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혼합공간(52)에서 효과적으로 혼합되어 적당한 온도로 되기 때문에, 본체 케이스(22)의 앞판을 냉각시킬 필요가 없다. 간격(L)을 둔 2중판으로 형성하여 두는 것만으로도 본체 케이스(22)의 앞판의 표면(22a)의 온도가 안전한 범위 내에서 유지된다.
계속해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온풍난방기의 동작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가스버너(36)를 점화하면, 도시하지 않은 가스관에서 공급된 연료가 도시하지 않은 연소용 1차 공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연소용 1차 공기와 연소용 2차 공기 흡입구(30a)에서 화살표 D로 나타낸 바와 같이 흡입된 연소용 2차 공기와 함께 연소된다. 이 연소에 의해서 발생된 연소가스는 연소 케이스(30)의 상부에 형성된 연소가스 배출구(30b)에서 화살표 C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된다. 연소중에는 팬(46)의 회전에 의해서 연소가스가 연소가스 배출구(30b)로부터 흡인된다. 이와 동시에,팬(46)의 회전에 의해서 실내 공기가 제 2 공기통로(29)에서 화살표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흡입된다. 이 결과, 화살표 C로 나타낸 연소가스와 화살표 B로 나타낸 공기가 우선 혼합된다.
이와 동시에, 팬(46)의 회전에 의해서 실내 공기가 제 1 공기통로(24)에서 화살표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흡입된다. 또, 제 3 공기통로(38)에서 화살표 E로 나타낸 바와 같이 흡입된다. 이 결과, 화살표 C로 나타낸 연소가스와 화살표 A 및 화살표 E로 나타낸 공기가 혼합공간(52)에서 혼합된다.
즉, 팬(46)에 의해서 공기 흡입구(27)에서 제 1 공기통로(24)를 통해서 흡입된 공기는 연소 케이스(30)의 앞판의 상측에서 혼합공간(52)을 향하여 하측으로 이동한다. 또, 제 3 공기통로(38)를 통해서 흡입된 공기는 연소 케이스(30)의 하판의 하측에서 혼합공간(52)을 향하여 상측으로 이동한다. 팬(46)은 연소가스 배출구(30b)로부터 연소가스도 흡인하며, 흡인된 연소가스는 연소 케이스(30)의 앞판을 따라서 하측으로 이동한다. 연소 케이스(30)의 앞판을 따라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공기와 연소가스가 혼합되어 알맞은 온도로 조정된다. 이 온풍은 팬(46)의 회전에 의해서 팬 케이싱(40)을 따라서 온풍 취출구(48)로 유도되고, 이 온풍 취출구(48)에서 취출된다. 이 온풍에 의해서 실내가 난방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혼합공간(52)이 충분히 넓고, 연소가스와 공기가 충분히 혼합되기 때문에, 팬(46)이 과열되는 일이 없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가스온풍난방기에 대해서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가스온풍난방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가이드 벽의 절결부를 정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가스온풍난방기는, 연소 케이스(30)의 앞판의 하부와 가이드 벽(42)이 밀착되어 있다. 이 결과, 연소 케이스(30)의 하측을 우회하는 제 3 공기통로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도 제 1과 제 2 공기통로(24,29)로부터의 공기에 의해서 충분히 연소가스의 고온을 적정한 온도로 낮출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연소 케이스(30)의 앞판의 하부와 가이드 벽(42)이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온풍난방기의 안길이를 작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연소 케이스(30)의 앞판의 전방 상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벽(42)에는, 정면측에서 본 도면인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모커플(54)의 부착부에 절결부(42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서모커플(54)의 교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가스온풍난방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적용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당업자의 지식에 의거하여 여러 형태로 변경, 개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온풍난방기의 높이를 낮추면서도 연소가스와 공기를 충분히 혼합시킬 수 있는 기술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5)

  1. 배면에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전면에 온풍 취출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가스온풍난방기의 외틀을 형성하는 본체 케이스,
    내부에 가스버너를 가지며, 상부에 연소가스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본체 케이스 내의 후방위치에 수용되어 있는 연소 케이스,
    연소 케이스보다 전방 위치에 또한 연소 케이스와 중복되는 높이로 본체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온풍 취출구와 연통됨과 아울러 연소 케이스보다도 높이가 낮은 팬,
    본체 케이스의 앞판의 후방, 연소 케이스의 앞판의 전방 또한 팬의 상측에 위치하며, 공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와 연소가스 배출구에서 배출된 연소가스를 혼합하는 공간,
    공기 흡입구에서 연소 케이스의 주위를 우회하여 혼합공간에 이르는, 본체 케이스 내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통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온풍난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혼합공간을 획정하는 본체 케이스의 앞판이 하측으로 갈수록 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온풍난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본체 케이스의 앞판의 하측 연장부에 스태빌라이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온풍난방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소 케이스의 상측을 우회하는 공기통로와, 연소 케이스의 하측을 우회하는 공기통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온풍난방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소 케이스의 앞판의 전방 상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벽에 서모커플 교환용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온풍난방기.
KR10-2001-0078203A 2001-01-15 2001-12-11 가스온풍난방기 KR1004425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07008A JP2002213822A (ja) 2001-01-15 2001-01-15 ガス温風暖房機
JPJP-P-2001-00007008 2001-0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490A KR20020061490A (ko) 2002-07-24
KR100442528B1 true KR100442528B1 (ko) 2004-07-30

Family

ID=18874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8203A KR100442528B1 (ko) 2001-01-15 2001-12-11 가스온풍난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2213822A (ko)
KR (1) KR1004425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1056B2 (ja) * 2014-03-17 2016-11-24 岩谷産業株式会社 燃焼機器
JP6002350B1 (ja) * 2016-07-27 2016-10-05 岩谷産業株式会社 燃焼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490A (ko) 2002-07-24
JP2002213822A (ja) 2002-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019428A (ja) 強制給排気式暖房器
JP4571207B2 (ja) 強制給排気式暖房器
EP1467153B1 (en) Gas stove
KR100442528B1 (ko) 가스온풍난방기
JP3759906B2 (ja) ガス温風暖房機
JPH11294861A (ja) 強制燃焼給湯器
MXPA00010972A (es) Horno calentado con combustible liquido con ventilador inductor de corriente de aire de auto-enfriamiento.
JP3527920B2 (ja) 温風暖房機の吹出構造
JP4725065B2 (ja) 温風暖房機の遮熱構造
US6769425B1 (en) Fuel-fired furnace with combustion air-cooled draft inducer fan motor
JP4373311B2 (ja) 温風暖房機
JP4259690B2 (ja) 温風暖房機
JP3507868B2 (ja) 温風暖房機のルーバー構造
JP3527921B2 (ja) 温風暖房機
JP6628626B2 (ja) 開放燃焼式温風暖房機
JP2004162947A (ja) 温風暖房器
KR20050097716A (ko) 가스 복사 조리기기
JP2003014306A (ja) ファンヒーター
JP2005282868A (ja) 温風暖房機
KR200249590Y1 (ko) 보일러
KR0169233B1 (ko) 오일 연소기의 공기 공급장치
KR0122725Y1 (ko) 냉난방 공기조화기의 연소로 차열장치
KR0134719Y1 (ko) 소각로
JP3533410B2 (ja) 液体燃料燃焼装置
JP2003161531A (ja) 反射形温風暖房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