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2048B1 -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 및 이와 연설되는 유공관으로시공되는 옹벽 - Google Patents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 및 이와 연설되는 유공관으로시공되는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2048B1
KR100442048B1 KR10-2001-0049196A KR20010049196A KR100442048B1 KR 100442048 B1 KR100442048 B1 KR 100442048B1 KR 20010049196 A KR20010049196 A KR 20010049196A KR 100442048 B1 KR100442048 B1 KR 100442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block
finishing block
upper finishing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5480A (ko
Inventor
한재명
Original Assignee
한재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재명 filed Critical 한재명
Priority to KR10-2001-0049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2048B1/ko
Publication of KR20030015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2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20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옹벽의 사경배면(斜傾背面)을 흐르는 지표수를 차단하고 배수할 수 있는 옹벽 상부 마감용 블록과 옹벽 배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면서 옹벽 상부용 마감용 블록과 연설되는 유공관(有孔管)으로 시공되는 옹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옹벽은 배수구멍을 구비한 ㄴ자형의 구조체로 형성되며 옹벽의 천단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용 홀과 고정용 홈을 더욱 포함하는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과, 옹벽의 배면에서 ㄴ자형으로 수직하게 매설 설치되며 상기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과 연설되는 유공관으로 구성되고, 특히 유공관은 그 배수구가 옹벽 전면부의 최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에 의해서 차단된 지표수 및 옹벽 배면에 있는 지하수 혹은 침투수를 동시에 배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옹벽은 옹벽의 사경배면을 흐르는 지표수를 차단하고 그 차단된 지표수와 옹벽의 배면에 존재하는 지하수 혹은 침투수를 유공관에 의해서 옹벽의 최하부로 배수하기 때문에 항상 미려한 옹벽의 전면부를 제공하고, 구조적으로 더욱 안정하다.

Description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 및 이와 연설되는 유공관으로 시공되는 옹벽{A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 및 이와 연설되는 유공관으로 시공되는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옹벽의 천단(天端)에 시공되어 옹벽의 사경배면(斜傾背面)을 흐르는 지표수가 옹벽의 전면부로 흐르지 않도록 차단하는 한편, 차단된 지표수를 더욱 배수하도록 하는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과 이와 연설되는 다수의 유공(有孔)이 형성된 유공관(有孔管)으로 시공되는 옹벽에 관한 것이며, 유공관은 옹벽의 배면에서 수직하게 매설되어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으로 차단된 지표수 및 지하수 혹은 지표로부터 침투되는 침투수를 배수하는 옹벽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종래, 옹벽(1)의 천단(天端)의 마무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 민자형 상부 마감용 블록(3)을 옹벽(1)의 천단에 설치하는 방법, 혹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10)의 천단에 거푸집을 가설하고 그 거푸집에 직접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민자형의 콘크리트 구조물(13)를 조성하는 방법이 있었다.
이와 같은 옹벽의 천단 마무리 방법은 옹벽의 사경배면(斜傾背面)을 흐르는지표수가 그대로 옹벽의 전면부로 흐르기 때문에 옹벽 전면부의 미관을 훼손하는 한편, 옹벽의 구조적 안정성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옹벽(1)의 사경배면의 중간부분에 별도의 수로관을 설치하여 지표수를 배수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수로관(23)의 사경배면의 배수는 가능하겠지만, 옹벽(20)과 수로관(23) 사이에 있는 사경배면을 흐르는 지표수는 여전히 옹벽(20)의 전면부로 흐른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지하수 혹은 지표로부터 침투된 침투수로부터 옹벽(1)(10)(20) 구조체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통상의 옹벽 배면의 배수방법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1)(10)(20)의 배면과 절개지(切開地)의 법면(法面) 사이에 공극을 크게 형성하는 잡석(혹은, 다양한 크기의 자갈(혹은 쇄석)과 모래의 혼합토)을 채우고, 배수구(5)(15)(25)가 옹벽(1)(10)(20)의 전면부로 향하도록 다수의 유공(有孔)(7)(17)(27)이 있는 유공관(有孔管)(9)(19)(29)을 횡으로 매설 설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옹벽(1)(10)(20)의 배면에 있는 지하수 혹은 침투수는 유공(7)(17)(27)과 유공관(9)(19)(29)를 통해 옹벽(1)(10)(20)의 전면부에 있는 배수구(5)(15)(25)로 배수된다.
하지만, 옹벽 배면의 지하수 혹은 침투수가 옹벽의 전면부로 배수되기 때문에 옹벽 전면부의 미관이 훼손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유공관을 매설할 경우 잡석을 다짐기(예컨대, 진공다짐기) 혹은 다짐기계로 다지기 때문에 다져지는 잡석에 의해서 유공관이 막히거나 혹은 찌그러질 수 있기 때문에 배수가 잘 되지 않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옹벽의 사경배면을 흐르는 지표수가 옹벽의 전면부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는 한편, 차단된 지표수를 동시에 배수할 수 있는 옹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옹벽의 사경배면을 흐르는 지표수에 의해서 옹벽 전면부의 미관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옹벽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옹벽의 배면을 채우는 잡석의 다짐작업시에도 유공관이 찌그러지거나 막히는 등의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옹벽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옹벽의 상부에서 차단된 지표수 및 옹벽의 배면에 있는 지하수 혹은 지표로부터 침투된 침투수를 동시에 배수할 수 있는 옹벽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공관의 배수구를 옹벽의 최하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옹벽 전면부의 미관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옹벽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옹벽은 배수구멍을 구비한 ㄴ자형의 구조체로 형성되며 옹벽의 천단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용 홀과 고정용 홈을 더욱 포함하는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과, 옹벽의 배면에서 ㄴ자형으로 수직하게 매설 설치되며 상기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과 연설되는 유공관으로 구성되고, 특히 유공관은 그 배수구가 옹벽 전면부의 최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에 의해서 차단된 지표수 및 옹벽 배면에 있는 지하수 혹은 침투수를 동시에 배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옹벽은 옹벽의 사경배면을 흐르는 지표수를 차단하고 그 차단된 지표수와 옹벽의 배면에 존재하는 지하수 혹은 침투수를 유공관에 의해서 옹벽의 최하부로 배수하기 때문에 항상 미려한 옹벽의 전면부를 제공하고, 구조적으로 더욱 안정된 옹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단순 민자형 상부 마감용 블록이 설치되어 있는 옹벽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콘크리트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는 옹벽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옹벽의 사경배면의 중간에 수로관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옹벽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 선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 20, 100 : 옹벽 3 : 단순 민자형 상부 마감용 블록
5,15, 25, 320 : 배수구 7, 17, 27, 310 : 유공(有孔)
9, 19, 29, 300 : 유공관(有孔管) 13 : 콘크리트 구조물
23 : 수로관
200 : 본 발명의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
203 : 수직구조체 205 : 수평구조체
206 : 보강용 리브 207a, 207b : 고정용 홈
209 : 고정용 홀 211a, 211b : 배수구멍
400 : 수직부재(예컨대, 철근) 500 : 기초콘크리트
600 : 단위블록 700 : 잡석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옹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 선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옹벽(100)(도 5 및 도 6 참조)의 천단(天端)에 설치되는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이하, "마감용 블록"이라고 함)(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구조체(203)와 수평구조체(205)가 일체화된 ㄴ자형의 구조체로써, 수평구조체(205)의 상부면과 직교하는 수직구조체(203)의 일측면 사이에는 구조체의 구조적 안정성 및 내구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용 리브(20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수직구조체(203) 양 측단면의 중앙에는 상단면과 하단면까지 길게 형성된 반원형의 고정용 홈(207a)(207b)이 있고, 수직구조체(203)의 상단면 중앙에는 하단면까지 관통하는 고정용 홀(209)이 있다. 여기서, 고정용 홈(207a)(207b)과 고정용홀(209)은 마감용 블록(200)을 옹벽(100)의 천단에 견고하게 고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수평구조체(205)의 상단면에는 하단면까지 관통하는 한 쌍의 배수구멍(211a)(211b)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배수구멍(211a)(211b)은 지표수를 배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마감용 블록(200)이 옹벽(100)의 천단에 시공될 경우, 마감용 블록(200)의 수직구조체(203)는 사경배면을 흐르는 지표수의 흐름을 차단하고, 그와 동시에 수평구조체(205)는 수직구조체(203)에 의해서 차단된 지표수를 담수하는데, 수평구조체(205)에 의해서 담수된 지표수는 배수구멍(211a)(211b)을 통해 즉시 배수된다.
특히,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마감용 블록(200)은 ㄴ자형의 구조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수평구조체(205)의 상부면의 중간에 수직구조체(203)가 수직하게 세워져서 ㅗ자형의 구조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고정용 홈(207a)(207b), 고정용 홀(209) 및 배수구멍(211a)(211b)의 갯수 또한 한정한 것이 아니며, 사용자, 혹은 생산자, 혹은 옹벽쌓기의 공법, 혹은 시공현장의 여건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옹벽(100)은 전술한 마감용 블럭(200)을 사용하여 시공되며, 특히 마감용 블록(200)에 의해서 차다된 지표수와 옹벽(100) 배면의 배수를 위해서 유공관(300)을 수직하게 설치하는데, 유공관(300)은 상술한 마감용 블록(200)의 배수구멍(211a)(211b)에 끼워지며 연설된다. 이에 대해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이하에서 기술되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옹벽쌓기공법은 단지 하나의 예를 든 옹벽쌓기공법임을 이해하기 바란다.
우선, 일정간격으로 수직되게 세워지는 수직부재(예컨대, 철근)(400)를 포함하는 기초콘크리트(500)를 지반에 조성하고, 그 상부에 수직부재(400)를 통과하는 옹벽쌓기용 단위블록(이하, "단위블록"이라고 약칭함)(600)을 조적하여 옹벽(100)의 최하단을 형성한다.
옹벽(100)의 최하단이 조적되면, 옹벽(100)의 최하단의 배면과 절개지의 법면 사이에 잡석(雜石)(700)을 채워 다지고, 유공(310)이 있는 유공관(300)을 배수구(320)가 옹벽(100)의 전면부로 향하도록 다져진 잡석(700) 및 단위블록(600)의 위에 ㄴ자 모양으로 설치한다(도 6 참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져진 잡석(700) 위에 배수구(320)가 옹벽(100)의 전면부를 향하도록 가로방향 유공관(300a)을 우선 설치하고, 그 후에 적당한 이음부재(도시하지 않았음)를 이용하여 세로방향 유공관(300b)을 가로방향 유공관(300a)에 대해서 수직하게 세운다. 그 설치방법에 있어서도, 비교적 긴 길이의 가로방향 유공관(300a) 및 세로방향 유공관(300b)을 사용하여 시공할 수도 있고, 혹은 ㄴ자 모양의 완제품을 사용하여 시공할 수도 있는데, 운반 및 시공의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짧은 단위의 단위 유공관(300)을 필요에 따라 적당한 이음부재를 사용하여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로방향 유공관(300a)이 옹벽의 최하단을 형성하는 단위블록(600) 위에 안치되도록 기술하였지만, 기초콘크리트(500) 위에 가로방향 유공관(300a)을 우선 안치하고, 그 위에 단위블록(600)을 적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옹벽(100)의 최하단과 유공관(300)이 설치되면, 전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단위블록(600)을 사용하여 옹벽(100)을 시공하고, 그와 동시에 유공관(300)을 수직하게 연결해 나간다. 이처럼, 유공관(300)이 옹벽(100)의 배면에서 수직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다짐작업이 행해지는 잡석(700)에 의해서 유공관(300)이 찌그러지거나 막히는 등의 문제가 최소화된다.
최종적으로 옹벽(100)이 완성되면, 마감용 블록(200)을 옹벽(100)의 천단에 설치하는데, 마감용 블록(200)은 수직부재(400)가 고정용 홀(207a)(207b) 및 고정용 홈(209)을 통과하도록, 그리고 유공관(300)이 배수구멍(211a)(211b)에 끼워지도록 하면서 설치된다.
이와 같이 완성된 본 발명의 옹벽(100)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하는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옹벽의 사경배면을 흐르는 지표수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배수한다. 즉, 옹벽(100)의 사경배면을 흐르는 지표수는 마감용 블록(200)의 수직구조체(203)에 의해서 차단되고, 그 차단된 지표수는 수평구조체(205)에 있는 배수구멍(211a)(211b)을 통해서 배수된다. 특히, 배수구멍(211a)(211b)을 통해서 배수되는 지표수는 유공관(300)을 통해 옹벽(100)의 전면부로 배수된다.
둘째, 옹벽의 사경배면을 흐르는 지표수로부터 옹벽 전면부의 미관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옹벽(100)의 사경배면을 흐르는 지표수가 마감용 블록(200)에 의해서 차단되기 때문에 옹벽(100) 전면부의 미관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미려한 옹벽(100)의 전면부가 제공된다.
셋째, 마감용 블록(200)에 의해서 차단된 지표수 뿐만 아니라 옹벽의 배면에 있는 지하수 혹은 지표로부터 침투된 침투수도 또한 유공관으로 배수된다. 즉, 옹벽(100)의 배면에 존재하는 지하수 혹은 침투수도 유공(310)을 통해 지표수와 동일하게 유공관(300)에 의해서 옹벽(100)의 전면부로 배수된다.
특히, 종래의 옹벽(1)(10)(20) 배면의 배수방법, 즉 각각의 유공관(9)(19)(29)이 소정 높이를 갖으며 횡방향으로 시공되는 방법과는 달리 옹벽(100)의 높이와 동일하게 유공관(300)이 수직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옹벽(100)의 전반에 걸쳐 지하수 혹은 침투수를 더욱 효과적으로 배수할 수 있다. 따라서, 옹벽(100) 배면에 전달되는 측압을 더욱 효과적으로 상쇄시킬 수 있다.
넷째, 유공관의 배수구를 옹벽의 최하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옹벽 전면부의 미관의 훼손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옹벽(1)(10)(20)의 높이에 따라 소정 높이 간격으로 유공관(9)(19)(29)이 횡으로 설치되었기 때문에 배수되는 지하수 혹은 침투수에 의해서 미관이 훼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옹벽(100)에서는 지표수 및 지하수 혹은 침투수를 배수하는 배수구(320)가 옹벽(100)의 최하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옹벽(100) 전면부의 미관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짐작업이 행해지는 잡석에 의해서 유공관이 찌그러지거나 막히는 등의 문제점이 최소화된다. 즉, 유공관(300)의 대부분이 옹벽(100)의 배면에서 수직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다짐작업이 행해지는 잡석(700) 의해서 유공관(300)이 찌그러지거나 막히는 등의 현상을 최소화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옹벽의 사경배면을 흐르는 지표수를 차단하고 배수하는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과 그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과 연설되면서 수직하게 설치되는 유공관으로 시공되는 본 발명의 옹벽은 종래의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뛰어난 장점을 동시에 제공한다.
즉, 옹벽의 전면부로 흐르는 지표수를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옹벽 전면부의 미관의 훼손을 방지하며, 이와 같이 차단된 지표수와 옹벽의 배면에 있는 지하수 혹은 지표로부터 침투된 침투수를 옹벽 전면부의 최하부에서 동시에 배수할 수 있기 때문에 옹벽 전면부의 미관의 훼손을 더욱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지하수 및 침투수를 효과적으로 배수할 수 있기 때문에 옹벽 배면에 전달되는 측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유공관의 대부분이 옹벽의 배면에서 수직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다짐작업이 행해지는 잡석에 의해서 유공관이 찌그러지거나 막히는 등의 문제점을 최소화한다.

Claims (28)

  1. 삭제
  2. 삭제
  3. 옹벽쌍기용 단위블록으로 시공되는 통상의 옹벽에 있어서,
    상기 옹벽(100)의 천단(天端)에는 상기 옹벽(100)의 사경배면(斜傾背面)을 흐르는 지표수를 차단하고 그 차단된 지표수를 동시에 배수하는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200)이 설치되고,
    상기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200)은 고정용 홈(207a)(207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200)은 고정용 홀(209)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5. 옹벽쌍기용 단위블록으로 시공되는 통상의 옹벽에 있어서,
    상기 옹벽(100)의 천단(天端)에는 상기 옹벽(100)의 사경배면(斜傾背面)을 흐르는 지표수를 차단하고 그 차단된 지표수를 동시에 배수하는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200)이 설치되고,
    상기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200)은 고정용 홀(209)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200)은 고정용 홈(207a)(207b)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7. 옹벽쌍기용 단위블록으로 시공되는 통상의 옹벽에 있어서,
    상기 옹벽(100)의 천단(天端)에는 상기 옹벽(100)의 사경배면(斜傾背面)을 흐르는 지표수를 차단하고 그 차단된 지표수를 동시에 배수하는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200)이 설치되고,
    상기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200)은 배수구멍(211a)(211b)을 구비하는 ㅗ자형의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200)은 고정용 홈(207a)(207b)을 더욱 포함하는 특징을 하는, 옹벽.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200)은 고정용 홀(209)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200)은 고정용 홀(209)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200)은 고정용 홈(207a)(207b)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12. 옹벽쌍기용 단위블록으로 시공되는 통상의 옹벽에 있어서,
    상기 옹벽(100)의 천단(天端)에는 상기 옹벽(100)의 사경배면(斜傾背面)을 흐르는 지표수를 차단하고 그 차단된 지표수를 동시에 배수하는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200)이 설치되고,
    상기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200)에는 상기 옹벽(100)의 배면에서 수직하게 설치 매설되는 유공관(300)이 더욱 연설되어 상기 지표수 및 상기 옹벽(100)의 배면에 존재하는 지하수 혹은 지표로부터 침투된 침투수를 동시에 배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200)은 배수구멍(211a)(211b)을 구비한 ㄴ자형의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200)은 고정용 홈(207a)(207b)을 더욱 포함하는 특징을 하는, 옹벽.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200)은 고정용 홀(209)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16.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200)은 고정용 홀(209)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200)은 고정용 홈(207a)(207b)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200)은 배수구멍(211a)(211b)를 구비한 ㅗ자형의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19. 제 12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200)은 고정용 홈(207a)(207b)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200)은 고정용 홀(209)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21. 제 12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200)은 고정용 홀(209)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200)은 고정용 홈(207a)(207b)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2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관(200)은 ㄴ자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24. 제 12 항 또는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관(300)은 그 배수구(320)가 상기 옹벽(100)의 전면부 최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2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200)은 배수구멍(211a)(211b)을 구비한 ㄴ자형의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200)은 고정용 홀(209)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2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200)은 배수구멍(211a)(211b)을 구비한 ㄴ자형의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200)은 고정용 홈(207a)(207b)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KR10-2001-0049196A 2001-08-16 2001-08-16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 및 이와 연설되는 유공관으로시공되는 옹벽 KR100442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196A KR100442048B1 (ko) 2001-08-16 2001-08-16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 및 이와 연설되는 유공관으로시공되는 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196A KR100442048B1 (ko) 2001-08-16 2001-08-16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 및 이와 연설되는 유공관으로시공되는 옹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480A KR20030015480A (ko) 2003-02-25
KR100442048B1 true KR100442048B1 (ko) 2004-07-30

Family

ID=27719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196A KR100442048B1 (ko) 2001-08-16 2001-08-16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 및 이와 연설되는 유공관으로시공되는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20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841B1 (ko) * 2001-12-07 2004-11-08 (주)에이텍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토목 및 도로공사에서 비탈면 안전 보강되는 암거배수용 수로관
KR100542823B1 (ko) * 2004-10-15 2006-01-20 최경문 투수 블록의 제조방법
KR100972388B1 (ko) 2009-07-31 2010-07-27 주식회사 베스트화성 침투력과 쇄소성이 향상된 침상모가 식모된 칫솔 및 그 제조방법
KR100974203B1 (ko) * 2010-03-04 2010-08-05 세기하이테크건설 주식회사 모세관 기능을 가지는 유도배수 다공질 배수판을 이용한 신축이음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395769B1 (ko) * 2012-08-06 2014-05-16 주식회사 이앤앤이 친환경 블록 패널형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08191195A (zh) * 2017-12-22 2018-06-22 重庆景湖绿洲环保工程有限公司 污泥干化池
KR102342234B1 (ko) * 2020-03-20 2021-12-21 신진희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9581A (ja) * 1989-07-27 1991-03-14 Minolta Camera Co Ltd 現像装置
JPH0598655A (ja) * 1991-10-08 1993-04-20 Sekisui House Ltd 擁壁排水口
JPH05263429A (ja) * 1992-03-18 1993-10-12 Chubu Bika Kigyo Kk 水抜きパイプ及びそのパイプを用いた擁壁の法面施工法
JPH07158092A (ja) * 1993-12-07 1995-06-20 Nissan Kensetsu Kk 擁壁の水抜き工法及びこの工法に使用する水抜き装置
US5444950A (en) * 1992-12-28 1995-08-29 Kelly; Chad M. Drainage sysatem for building foundations
JPH11210006A (ja) * 1998-01-22 1999-08-03 Kyushu Precast Kyokai:Kk 擁壁ブロックおよびそれを用いた擁壁
KR200183206Y1 (ko) * 1999-02-06 2000-05-15 신긍우 옹벽용 블럭
KR200216362Y1 (ko) * 2000-10-06 2001-03-15 주식회사만영엔지니어링 보강토 옹벽
KR20010045134A (ko) * 1999-11-03 2001-06-05 박정식 표면처리한 경량기포블록과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9581A (ja) * 1989-07-27 1991-03-14 Minolta Camera Co Ltd 現像装置
JPH0598655A (ja) * 1991-10-08 1993-04-20 Sekisui House Ltd 擁壁排水口
JPH05263429A (ja) * 1992-03-18 1993-10-12 Chubu Bika Kigyo Kk 水抜きパイプ及びそのパイプを用いた擁壁の法面施工法
US5444950A (en) * 1992-12-28 1995-08-29 Kelly; Chad M. Drainage sysatem for building foundations
JPH07158092A (ja) * 1993-12-07 1995-06-20 Nissan Kensetsu Kk 擁壁の水抜き工法及びこの工法に使用する水抜き装置
JPH11210006A (ja) * 1998-01-22 1999-08-03 Kyushu Precast Kyokai:Kk 擁壁ブロックおよびそれを用いた擁壁
KR200183206Y1 (ko) * 1999-02-06 2000-05-15 신긍우 옹벽용 블럭
KR20010045134A (ko) * 1999-11-03 2001-06-05 박정식 표면처리한 경량기포블록과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 방법
KR200216362Y1 (ko) * 2000-10-06 2001-03-15 주식회사만영엔지니어링 보강토 옹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480A (ko) 2003-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9050A (en) Plastic concrete form for footers
US4538386A (en) Drainage system and method
KR102131653B1 (ko) 친환경 옹벽패널과 이용한 옹벽구조 및 구축방법
KR100442048B1 (ko)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 및 이와 연설되는 유공관으로시공되는 옹벽
KR101126666B1 (ko) 수직배수 유도형 네일옹벽
US6669404B2 (en) Foundation drain system
KR101495997B1 (ko)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및 이를 갖는 우수저류시설과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
US20180363283A1 (en) Integrated retaining wall and fluid collection system
KR100440091B1 (ko) 블록식 옹벽의 축조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JPH0941399A (ja) 砂質地盤の液状化防止を可能とする基礎杭と砂質地盤の の液状化防止を可能とする基礎杭による砂質地盤の液状 化防止方法と砂質地盤の液状化防止を可能とする基礎杭 の製造方法
KR100665986B1 (ko) 적정수압 유지를 위한 배수로 시공방법
KR200183206Y1 (ko) 옹벽용 블럭
KR20100100294A (ko) 블록식 옹벽의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258888Y1 (ko) 지하수 노출지역의 옹벽구조물 뒷채움 배수시설구조
KR100665985B1 (ko) 건축물의 상향수압 감소를 위한 자연 배수로 시공방법
JP2004092049A (ja) 構造物の基礎構造
KR100561716B1 (ko) 측구
KR100383124B1 (ko) 호안스톤옹벽의 축조방법
CN213087233U (zh) 种植楼面引流式防水结构
JP2957995B1 (ja) 擁壁裏込め枠体
JP7472385B1 (ja) 擁壁及び擁壁の施工方法
JPS61261528A (ja) 土留板付擁壁
JPH0885956A (ja) 法面小段における排水施工方法と排水構造及びそのブロック
JP2001220759A (ja) 擁壁用ブロック、こ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擁壁及びコンクリート擁壁の構築方法
KR200332264Y1 (ko) 녹화용 옹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