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0989B1 - 전화 통화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화 통화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0989B1
KR100440989B1 KR1020030075795A KR20030075795A KR100440989B1 KR 100440989 B1 KR100440989 B1 KR 100440989B1 KR 1020030075795 A KR1020030075795 A KR 1020030075795A KR 20030075795 A KR20030075795 A KR 20030075795A KR 100440989 B1 KR100440989 B1 KR 100440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ert
answerer
category
cal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5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미정
이화섭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030075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09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0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0989B1/ko
Priority to PCT/KR2004/002750 priority patent/WO2005041597A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93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e.g. directory enquiries ; Arrangements therefor, e.g.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systems or voice portals
    • H04M3/4938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e.g. directory enquiries ; Arrangements therefor, e.g.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systems or voice portals comprising a voice browser which renders and interprets, e.g. VoiceXM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93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e.g. directory enquiries ; Arrangements therefor, e.g.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systems or voice portals
    • H04M3/4936Speech interaction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전문가 선출 방법에 의해 선출된 전문가 중에서 답변자를 선택하여 질문자와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질문에 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는 답변자와 실시간으로 음성 통화를 통해 상기 질문자가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전문가와의 전화 통화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은 소정의 전문가 선출 시스템에 의해 카테고리 별로 선출된 전문가와 연관된 전문가 정보를 카테고리 별로 유지하기 위한 전문가 데이터베이스(상기 전문가 정보는 카테고리 별 제1 전문가 지수 또는 카테고리 별 제2 전문가 지수를 포함함), 상기 선출된 전문가 중에서 답변자를 선택하기 위한 답변자 선택 시스템, 및 질문자의 단말기와 답변자의 단말기 사이의 호를 설정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통화 연결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전문가 선출 시스템은 제1 사용자로부터 질문, 상기 질문과 관련된 카테고리 및 답변의 채택을 입력 받고,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입력 받기 위한 제1 입력 모듈, 상기 질문 및 상기 답변을 소정의 웹 페이지 상에 제공하기 위한 제1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답변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사용자와 연관되고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답변 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답변의 채택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와 연관되고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답변 채택 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상기 답변 수 및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상기 답변 채택 수를 이용하여 상기 카테고리와 연관된 제1 전문가 지수를 갱신하고, 상기 제1 전문가 지수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2 사용자를 상기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분야의 전문가로 선출하기 위한 제1 제어 모듈, 및 상기 선출된 전문가와 연관하여 상기 제1 전문가 지수를 카테고리 별로 상기 전문가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기 위한 제1 기록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질문자가 답변 능력이 객관적으로 입증된 답변자로부터 실시간으로 음성 답변을 제공 받을 수 있는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화 통화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Information Using Telephone Call}
본 발명은 소정의 전문가 선출 방법에 의해 선출된 전문가 중에서 답변자를 선택하여 질문자와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질문에 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는 답변자와 실시간으로 음성 통화를 통해 상기 질문자가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전문가와의 전화 통화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질문 답변 서비스 시스템(110)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질문 답변 서비스 시스템(110)은 지식 공유 시스템(111) 및 지식 데이터베이스(112)를 포함한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일정한 질문이 있는 사용자(질문자, 지식 요구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110a)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지식 공유 시스템(111)에 접속한다. 그리고, 자신의 질문과 관련된 키워드를 입력하여 지식 데이터베이스(112)를 검색함으로써, 자신의 질문과 유사한 질문 또는 자신의 질문과 연관된 답변이 이미 지식 데이터베이스(112)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만일 상기 질문자가 상기 검색을 통하여 자신의 질문에 대한 적절한 답변을 얻지 못하면, 자신의 질문을 지식 공유 시스템(111)에 등록한다. 또한 상기 질문자는 위와 같은 검색을 하지 않고, 바로 자신의 질문을 지식 공유 시스템(111)에 등록할 수 있다.
또 다른 사용자(답변자, 지식 제공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110b)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지식 공유 시스템(111)에 접속한다. 상기 답변자는 지식 공유 시스템(111)을 이용하여 등록되어 있는 질문을 검색하거나 브라우징(browsing)한다. 상기 답변자가 자신이 답변할 수 있는 질문을 발견한 경우, 상기 답변자는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등록한다. 뒤에 질문자가 지식 공유 시스템(111)에 다시 접속하여 자신의 질문을 검색해 보면, 자신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질문자는 자신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실시간으로 제공 받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질문자는 답변자가 자신의 질문에 대한 적절한 답변이 등록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므로, 종래기술에 따른 질문 답변 서비스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빨리 얻고자 하는 질문자는 이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질문자의 질문에 대해 '적절한 답변'을 '실시간으로'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또 다른 종래기술은 질문자의 질문에 대해 실시간으로 답변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b는 또 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실시간 상담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실시간 상담 서비스 시스템(120)은 통화 서버(121), 상담원 데이터베이스(122), 피상담원 데이터베이스(123)를 포함한다. 상담원 데이터베이스(122)에는 상담원의 전화 번호 정보, 상담원의 전문 분야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고, 피상담원 데이터베이스(123)에는 피상담원의 전화 번호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피상담원(120a)이 소정 전문 분야의 상담원과의 전화 통화를 요청하는 경우, 통화 서버(121)는 상담원 데이터베이스(122) 중에서 상기 전문 분야에 해당하는 상담원(120b)의 전화 번호 정보를 검색하고 피상담원 데이터베이스(123) 중에서 피상담원(120a)의 전화 번호 정보를 검색하여 피상담원(120a)과 상담원(120b) 사이의 호를 설정한다. 이와 같이 호가 설정된 경우 피상담원(120a)은 상담원(120b)과 전화 통화를 통해 필요한 답변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전화 통화를 통해 질문 답변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간 상담 서비스 시스템(120)을 이용하는 경우, 피상담원은 간단한 전화 통화만으로 소정 전문 분야의 상담원과 '실시간으로' 상담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실시간 상담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전문 분야의 전문가인 상담원을 선정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즉, 종래기술은 상담원의 나이, 직업, 소속 회사, 학력, 경력, 자격 등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상담원을 어떤 분야의 전문가로 선택하고 있으나, 상기 데이터는 상기 상담원의 답변 능력(소정 분야의 질문에 대해 얼마나 정확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는가를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객관적으로 알려주지 못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르면 동일한 학력이나 경력을 지닌 상담원들은 모두 같은 레벨의 전문가로 취급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학력이나 경력 등의 데이터가 동일한 상담원이라 하더라도 실제로 그 지식 수준이 상이하거나 똑 같은 지식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할 수 있는 능력에 차이가 있는 등, 그 상담의 질이 상이한 것이 다반사이다. 그런데, 종래의 실시간 상담 서비스는 서로 상이한 수준의 답변을 제공하는 답변자에 대해 학력이나 경력 등이 동일하면 동일 수준의 답변자로 보고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질문자의 입장에서는 답변 능력이 높은 답변자와 상담을 하고 싶어도 어떤 수준의 답변 능력을 가진 답변자와 통화가 연결될 지 알 수 없다는 불안감을 가질 수밖에 없고, 답변자의 입장에서는 실제로 답변 능력이 상이함에도 타 답변자와 동일한 보상을 받는 등의 불합리한 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인터넷을 통하여 질문 및 답변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질문 답변 서비스 시스템은 질문자의 질문에 대해 적절한 답변을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고, 실시간 상담 서비스 방법은 질문자에게 실시간으로 답변을 제공할 수 있는 있으나, 그 답변이 상기 질문에 대한 적절한 답변인지 여부를 보장하지는 못하고 있다.
따라서, 질문자의 질문에 실시간으로 답변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답변의 수준을 보장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답변의 수준에 따라 상기 답변자에 대한보상을 다르게 할 수 있는 실시간 정보 제공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질문자가 답변자로부터 실시간으로 음성 답변을 제공 받을 수 있는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그 답변 능력을 객관적으로 산출할 수 있는 전문가 선출 방법에 의해 선출된 전문가 중에서 답변자를 선택함으로써 가장 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는 답변자로부터 음성 답변을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질문자로부터 답변자의 답변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입력 받고, 상기 평가 데이터에 따라 상기 답변자에게 차별적인 보상을 함으로써 답변자가 성실하게 답변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택된 답변자가 질문자의 질문에 답변을 할 수 없는 경우에도, 선행된 절차를 반복하지 않고 새로운 답변자로부터 답변을 들을 수 있는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질문 답변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1b는 또 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실시간 상담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문가 선출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문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전문가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답변자 선택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디렉토리 검색 방식으로 소정의 웹 페이지에 디스플레이 되는 카테고리의 리스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질문자에 의해 선택된 전문가와 연관된 전문가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웹 페이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답변자 선택 시스템에 포함되는 검색모듈에 의해 검색된 전문가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통화 연결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구성을 도시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정보 제공 시스템
210 : 전문가 데이터베이스 220 : 답변자 선택 시스템
230 : 통화 연결 시스템 240 : 평가 시스템
250 : 과금 시스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은 소정의 전문가 선출 시스템에 의해 카테고리 별로 선출된 전문가와 연관된 전문가 정보를 카테고리 별로 유지하기 위한 전문가 데이터베이스(상기 전문가 정보는 카테고리 별 제1 전문가 지수 또는 카테고리 별 제2 전문가 지수를 포함함), 상기 선출된 전문가 중에서 답변자를 선택하기 위한 답변자 선택 시스템, 및 질문자의 단말기와 답변자의 단말기 사이의 호를 설정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통화 연결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전문가 선출 시스템은 제1 사용자로부터 질문, 상기 질문과 관련된 카테고리 및 답변의 채택을 입력 받고,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입력 받기 위한 제1 입력 모듈, 상기 질문 및 상기 답변을 소정의 웹 페이지 상에 제공하기 위한 제1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답변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사용자와 연관되고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답변 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답변의 채택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와 연관되고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답변 채택 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상기 답변 수 및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상기 답변 채택 수를 이용하여 상기 카테고리와 연관된 제1 전문가 지수를 갱신하고, 상기 제1 전문가 지수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2 사용자를 상기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분야의 전문가로 선출하기 위한 제1 제어 모듈, 및 상기 선출된 전문가와 연관하여 상기 제1 전문가 지수를 카테고리 별로 상기 전문가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기 위한 제1 기록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제공 시스템은 SMS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질문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 콜 백 URL 또는 콜 백 넘버를 포함하는 단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전송 모듈, 상기 콜 백 URL 또는 상기 콜 백 넘버를 이용하여 상기 질문자로부터 평가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평가 데이터 수신 모듈, 및 상기 평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전문가 지수를 갱신하기 위한 제2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평가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전문가 정보는 상기 전문가의 통화 가능 여부에 대한 통화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답변자 선택 시스템은, 상기 질문자로부터 카테고리의 선택을 입력 받는 제2 입력 모듈,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와 연관된 전문가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모듈, 및 상기 검색된 전문가 정보에 포함된 통화 정보에 기초하여 통화가 가능한 전문가를 답변자로 선택하기 위한 답변자 선택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선택된 답변자로부터 상기 질문자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공할 수 없다는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답변자 선택 시스템은 상기 선출된 전문가 중에서 상기 선택된 답변자 외의 새로운 답변자를 선택하고, 상기 통화 연결 시스템은 상기 새로운 답변자와 상기 질문자와의 호를설정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질문 및 상기 질문과 관련된 카테고리를 소정의 웹 페이지 상에 표시하는 단계, 제2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상기 웹 페이지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답변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사용자와 연관되고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답변 수를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답변의 채택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와 연관되고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답변 채택 수를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상기 답변 수 및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상기 답변 채택 수를 이용하여 상기 카테고리와 연관된 제1 전문가 지수를 갱신하고, 상기 제1 전문가 지수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2 사용자를 상기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분야의 전문가로 선출하는 단계, 상기 선출된 전문가와 연관하여 상기 제1 전문가 지수를 포함하는 전문가 정보를 카테고리 별로 전문가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전문가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질문자의 질문과 연관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전문가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전문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출된 전문가 중에서 답변자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질문자의 단말기와 상기 답변자의 단말기 사이의 호를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을 더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상기 정보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질문자의 단말기(201)와 소정의 기준에 따라 선택된 답변자의 단말기(202)와의 호가 설정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호를 통해 상기 질문자와 상기 답변자가 실시간으로 질문 답변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전문가 데이터베이스(210), 답변자 선택시스템(220), 통화 연결 시스템(230), 평가 시스템(240), 및 과금 시스템(250)을 포함한다.
전문가 데이터베이스(210)는 소정의 전문가 선출 시스템에 의해 카테고리 별로 선출된 전문가와 연관된 전문가 정보를 카테고리 별로 유지한다. 상기 전문가 정보는 전문가 식별자, 카테고리별 제1 전문가 지수 및 제2 전문가 지수, 전체 전문가 지수, 카테고리별 전문가 지수 순위, 상기 전문가의 질문 답변 내용과 연관된 링크 정보, 전화 번호 또는 통장 번호를 포함하는 개인 정보, 통화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인 통화 정보, 상기 전문가에게 지급된 보상 내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전문가 정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답변자 선택 시스템(220)은 상기 전문가 선출 시스템에 의해 선출된 전문가 중에서 답변자를 선택한다.
통화 연결 시스템(230)은 소정의 답변을 원하는 질문자의 단말기와 상기 답변자의 단말기 사이의 호를 설정하여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질문자와 상기 답변자는 상기 설정된 호를 통하여 질문 또는 답변을 실시간으로 음성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넷 상에서 이루어지는 질문 답변 서비스와 달리 질문자는 자신의 질문에 대해 실시간 답변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3을 참고하여 상기 전문가 선출 시스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문가 선출 시스템(300)은 제1 입력 모듈(301), 제1 디스플레이 모듈(302), 제어 모듈(303) 및 제1 기록 모듈(304)을 포함한다.
제1 입력 모듈(301)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1 사용자로부터 질문 및 상기질문과 관련된 카테고리를 입력 받는다. 상기 카테고리는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소정의 카테고리 리스트를 제공하여 직접 선택하게 함으로써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제1 입력 모듈(301)은 소정의 카테고리 및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유지하고, 형태소 분석 방법 등 소정의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질문으로부터 소정의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와 대응하는 카테고리를 검색함으로써, 카테고리의 선택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제1 디스플레이 모듈(302)은 상기 질문을 소정의 웹 페이지 상에 제공하여 전문가 선출 시스템(300)에 접근한 사용자들이 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웹 페이지 상에서 상기 질문을 제공 받은 제2 사용자는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입력하고, 제1 입력 모듈(301)은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답변을 입력 받는다. 제1 디스플레이 모듈(302)는 상기 입력된 답변 또한 상기 웹 페이지 상에 제공한다.
제어 모듈(303)은 상기 답변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에 대응하고 상기 카테고리와 연관된 답변 수를 증가시킨다. 또한, 제어 모듈(303)은 제1 입력 모듈(301)이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답변을 채택하는 신호를 입력 받은 경우, 상기 제2 사용자에 대응하고 상기 카테고리와 연관된 답변 채택 수를 증가시킨다.
카테고리와 연관된 답변 수 및 답변 채택 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사용자에 대응하고 상기 카테고리와 연관된 제1 전문가 지수를 산출(또는 갱신)하기 위한 자료가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입력 모듈(301)은 상기 제1 사용자및 상기 제2 사용자 외의 제3 사용자로부터 상기 답변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더 입력 받는다. 제어 모듈(303)은 상기 평가 데이터를 상기 제1 전문가 지수를 산출(또는 갱신)하기 위한 또 다른 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전문가 선출 시스템(300)과 관련하여 전문가 데이터베이스(201)에 저장되는 전문가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문가 데이터베이스(210)에는 제2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자, 상기 제2 사용자에 대응하는 카테고리 및 상기 카테고리와 연관된 답변 수, 답변 채택수, 상기 답변 수 및 답변 채택 수로부터 산출한 답변 채택율, 평가 데이터, 제1 전문가 지수, 제2 전문가 지수 및 전체 전문가 지수 등이 저장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1 전문가 지수 순위, 제2 전문가 지수 순위 또는 전체 전문가 지수 순위가 더 저장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사용자 'abc123'은 '자연 과학'이라는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질문에 10번 답변을 했고, 그 중에서 7개의 답변이 질문자인 제1 사용자로부터 채택되었다. 답변 채택 수는 상기 제2 사용자가 입력한 답변이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채택된 회수로서, 질문자인 제1 사용자가 채택할 정도의 수준을 갖는 답변의 수라는 점에서 제1 전문가 지수를 산출하기 위한 자료로서 사용 가능하다. 또한, 답변 수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의 참여도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성실한 답변자를 전문가로 선출할 수 있도록 답변 수 역시 제1 전문가 지수를 산출하기 위한 자료로서 사용 가능하다.
또한, 답변 채택율은 (답변 수)/(답변 채택 수)로부터 간단하게 산출된다.상기 제2 사용자가 답변을 다수 입력하여 답변 수가 많은 경우에도 그 답변의 질이 낮은 경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분야의 전문가를 객관적으로 산출하기 위해 답변 채택율을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모듈(302)이 상기 웹 페이지 상에 제공한 질문 및 답변을 본 제3 사용자는 평가 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 평가 데이터 역시 제1 전문가 지수를 산출(또는 갱신)하기 위한 자료로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제3 사용자가 좋은 평가를 내리는 답변을 제공한 제2 사용자가 전문가로 선출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상기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분야의 전문가를 객관적으로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입력 모듈(301)은 상기 웹 페이지 상에 상기 제3 사용자에게 상기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되는 경우 +1을, 상기 답변이 부정확, 부적절하여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1을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가 데이터는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 이외의 제3 사용자만이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 모듈(303)은 상기 각 자료로부터 제1 전문가 지수를 산출한다(이때 각 자료의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제1 전문가 지수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답변 수(10) x 1 + 답변 채택 수(7) x 1 + 답변 채택율(0.7) x 20 + 평가 데이터(5) x 2 = 41과 같은 방식으로 '자연 과학' 카테고리와 연관된 제1 전문가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 모듈(303)은 답변 수 또는 답변 채택 수 등의 자료에 변동이 생길 때마다 상기 제1 전문가 지수를 갱신하고, 제1 기록 모듈(304)는 제1 전문가 지수를 카테고리 별로 전문가 데이터베이스(210)에 기록한다.
제어 모듈(303)은 상기 제1 전문가 지수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 'abc123'이 '자연 과학' 분야의 전문가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제어 모듈(303)은 '자연 과학' 카테고리와 연관된 제1 전문가 지수가 100점 이상인 경우 제2 사용자 'abc123'을 '자연 과학' 분야의 전문가로 선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현재 제2 사용자 'abc123'은 '자연 과학' 분야에서는 비전문가이며, '컴퓨터' 분야에서는 전문가이다.
한편, 전문가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되는 제2 전문가 지수 및 전체 전문가 지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답변자 선택 시스템(22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답변자 선택 시스템(220)에 대응하는 답변자 선택 시스템(520)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답변자 선택 시스템(520)은 제2 입력 모듈(521), 검색 모듈(522), 제2 디스플레이 모듈(523) 및 답변자 선택 모듈(52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입력 모듈(521)은 상기 질문자로부터 카테고리의 선택을 입력 받는다. 예를 들면, 상기 질문자는 소정의 자동 응답 시스템(Automatic Response System)(529)을 이용하여 상기 카테고리의 선택을 입력할 수 있다. 질문자는 소정의 웹 페이지, 신문이나 TV 광고 등을 통해 알려진 대표 전화 번호로 전화를 걸면, 자동 응답 시스템(529)에 연결된다. 예를 들면, 자동 응답 시스템(529)은 상기 질문자에게, "'컴퓨터' 분야는 1번, '자연 과학' 분야는2번을 누르세요"와 같은 음성 안내 메시지를 상기 질문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질문자가 자신의 전화기 등 단말기를 통해 1번 버튼을 누르는 경우, 자동 응답 시스템(529)은 1번 버튼에 대응하는 신호('컴퓨터' 카테고리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제2 입력 모듈(521)로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입력 모듈(521)은 소정의 웹 페이지를 통하여 상기 질문자로부터 카테고리의 선택을 입력 받는다. 예를 들면, 답변자 선택 시스템(220)은 소정의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에 카테고리 및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유지하고, 상기 질문자가 소정의 키워드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입력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의 리스트를 상기 웹 페이지 상에 제공하고, 상기 질문자가 상기 제공된 카테고리의 리스트 중에서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질문자가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답변자 선택 시스템(220)의 소정의 웹 페이지에서 디렉토리 검색 방식으로 카테고리의 리스트를 제공하여 상기 질문자가 카테고리의 선택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a는 디렉토리 검색 방식으로 상기 웹 페이지에 디스플레이 되는 카테고리의 리스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도면 부호(601)로 표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통신>>하드웨어' 카테고리를 디렉토리 검색 방식으로 선택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만약, 질문자가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카테고리 선택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따라 '컴퓨터' 카테고리의 선택을 입력한 경우, 검색 모듈(522)은 전문가 데이터베이스(210) 중에서 상기와 같이 선택된 '컴퓨터' 카테고리와 연관된 제1 전문가 정보를 검색한다. 따라서, 제2 사용자 'abc123'을 포함하여 '컴퓨터' 분야의 전문가와 연관된 전문가 정보가 검색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답변자 선택 모듈(524)은 상기 검색된 전문가 정보에 포함된 제1 전문가 지수에 기초하여 답변자를 선택한다. 예를 들면, 답변자 선택 모듈(524)은 상기 제1 전문가 지수의 값이 가장 큰 전문가를 답변자로 선택한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 분야와 연관된 전문가 정보가 3개 검색된 경우, 답변자 선택 모듈(524)은 통화 가능한 전문가 중에서 제1 전문가 지수가 가장 높은 전문가 'kome'를 답변자로 선택한다.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문가 정보에 통화 정보가 더 포함되고 답변자를 선택하기 위해 통화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통화 정보에 기초하여 통화 가능한 상태의 전문가 중에서 답변자를 선택한다. 즉, 답변자 선택 모듈(524)는 '통화 불가능' 상태에 있는 전문가 'kome' 대신 '통화 가능'한 전문가 'naoe'와 'yukie' 중에서 제1 전문가 지수가 가장 높은 전문가 'yukie'를 답변자로 선택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답변자 선택 모듈(524)은 상기 질문자로부터 직접 전문가의 선택을 입력 받고, 상기 질문자로부터 선택된 전문가를 답변자로 선택할 수 있다. 도 6a의 도면 부호(602)로 표시한 바와 답변자 선택 시스템(220)은 각 카테고리와 연관된 전문가 식별자를 상기 웹 페이지에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상기 전문가 식별자는 상기 제1 전문가 지수의 순서에 따라 디스플레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문가 식별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제2 전문가 지수를 더 고려하여 답변자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전체 전문가 지수의 순서에 따라 디스플레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질문자가 상기 전문가 식별자의 리스트 중에서 하나의 전문가 식별자를 선택하여 소정의 전문가를 선택하는 경우, 답변자 선택 시스템(220)은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전문가와 연관된 전문가 정보를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해 상기 질문자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면, 답변자 선택 시스템(220)은 도면 부호(603)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전문가로 선출된 카테고리와 연관하여 전문가 지수(상기 전문가 지수는 제1 전문가 지수, 후술하는 제2 전문가 지수 또는 후술하는 전체 전문가 지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음) 및 전문가 지수 순위 등을 상기 웹 페이지 상에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질문자는 상기 웹 페이지에 디스플레이 된 상기 전문가 정보를 보고 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는 전문가를 답변자로 선택하고, 답변자 선택 모듈(524)은 상기 질문자의 선택이 입력되면 상기 전문가를 답변자로 선택한다.
통화 연결 시스템(2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선택된 답변자의 단말기와 상기 질문자의 단말기 사이의 호가 설정되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설정된 호를 통해 상기 질문자와 상기 답변자는 음성으로 실시간 질문 답변을 할 수 있다.
상기 질문자는 상기 답변을 제공 받은 후 상기 답변자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평가 시스템(240)으로 입력하고, 평가 시스템(240)은 상기 평가 데이터를 상기 전문가 정보에 반영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평가 시스템(240)은 상기 질문자의 단말기와 상기 질문자의 단말기 사이의 호가 종료된 경우에도 상기 질문자의 단말기와 호를 유지하고, 상기 질문자에게 소정의 자동 응답 시스템을 이용하여 "답변에 만족하시는 경우 1번 버튼을, 답변이 불만족스러운 경우 2번 버튼을 눌려주십시오"와 같은 음성 안내 메시지를 전송한다. 평가 시스템(240)은 상기 음성 안내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질문자의 버튼 입력의 종류를 판별하여 상기 전문가 정보에 반영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평가 시스템(240)은 소정의 평가 웹 페이지를 통하여 상기 질문자로부터 상기 답변자의 답변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답변자와의 전화 통화를 통해 답변을 들은 질문자는 소정의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평가 시스템(240)으로 상기 답변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평가 시스템(240)은 메시지 전송 모듈, 평가 데이터 수신 모듈 및 제2 기록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메시지 전송 모듈은 상기 질문자의 단말기로 콜 백 URL(Call Back URL) 또는 콜 백 넘버(Call Back Number)를 포함하는 단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소정의 SMS 서버를 제어한다.
상기 단문자 메시지에는 예를 들면 "답변에 만족하시는 경우 1번 버튼을, 답변이 불만족스러운 경우 2번 버튼을 누르고 통화 버튼을 눌러 주십시오"와 같은 문자 안내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질문자는 상기 문자 안내 정보를 보고, 1번 버튼(또는 2번 버튼) 및 통화 버튼을 눌러 평가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콜 백 URL 또는 콜 백 넘버를 이용하여 상기 평가 데이터를 상기 평가 데이터 수신 모듈로 전송한다.
상기 제2 제어 모듈은 상기 평가 데이터 수신 모듈을 통해 상기 평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전문가 정보를 갱신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문가 정보는 제2 전문가 지수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전문가 지수는 평가 시스템(240)이 상기 평가 데이터를 반영하여 생성한 데이터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제어 모듈은 1번 버튼(만족)에 대응하는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상기 제2 전문가 지수를 1만큼 증가시키고, 2번 버튼(불만족)에 대응하는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상기 제2 전문가 지수를 1만큼 감소시킨다.
이와 같이 산출된 제2 전문가 지수는 답변자 선택 시스템(220)이 소정의 카테고리와 연관된 전문가 중에서 답변자를 선택하는 경우에 그 자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전문가 지수는 전문가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되고, 답변자 선택 시스템(220)은 상기 제1 전문가 지수는 물론 상기 제2 전문가 지수를 고려하여 카테고리와 연관하여 검색된 전문가 중에서 답변자를 선택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답변자 선택 시스템(220)은 상기 제1 전문가 지수 및 상기 제2 전문가 지수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전체 전문가 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전체 전문가 지수 값이 높은 전문가를 답변자로 선택한다.
도 4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제1 전문가 지수) x 1 + (제2 전문가지수) x 2}로부터 전체 전문가 지수 118을 산출하였다. 한편, 제2 사용자 'abc123'은 '자연 과학'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분야에서는 전문가로 선출되지 못했기 때문에, "전문가 중에서 선택된" 답변자의 답변에 대한 평가 데이터로부터 산출되는 제2 전문가 지수는 0일 수 밖에 없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문가 데이터베이스(21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문가의 통화 가능 여부에 대한 통화 정보가 더 포함된다. 상기 통화 정보는 '통화 가능' 및 '통화 불가능'과 같은 통화 가능 여부 자체에 대한 정보일 수도 있고, 또는 '통화 가능한 기간'에 대한 시간 정보일 수도 있다. 답변자 선택 모듈(524)은 검색 모듈(522)에 의해 검색된 전문가 정보에 포함된 통화 정보에 기초하여 통화가 가능한 전문가만을 답변자로 선택한다. 따라서, 상기 질문자는 상기 답변자와 곧바로 전화 통화를 통해 원하는 답변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답변자 선택 시스템(220)은 전문가로 선출된 제2 사용자로부터 통화 가능 시간을 입력 받고, 상기 통화 가능 시간에 따라 상기 통화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또한, 상기 질문자가 웹 페이지 등을 통해 제공된 전문가 정보를 통해 소정의 카테고리와 연관된 전문가 중에서 직접 답변자의 선택을 입력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답변자 선택 시스템(220)은 상기 웹 페이지 등에 상기 통화 정보를 더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답변자 선택 시스템(220)이 상기 통화 정보에 기초하여 통화 가능 상태로 판단되는 답변자를 선택하고, 이에 따라 통화 연결 시스템(230)이 상기 답변자의 단말기와의 호 설정을 시도하였으나 상기답변자가 응답하지 않아 호 설정이 실패된 경우에는, 평가 시스템(240)은 상기 답변자와 연관된 제2 전문가 지수를 갱신한다. 예를 들면, 상기 통화 정보에 기초하여 통화 가능 상태로 판단되는 답변자가 응답하지 않은 경우 상기 답변자와 연관된 제2 전문가 지수를 5만큼 감소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은 답변자로 선택된 전문가들이 성실하게 답변 활동에 참여하는 한편, 상기 통화 정보도 성실하게 업데이트하도록 유도한다.
또한, 반대로 평가 시스템(240)은 상기 선택된 답변자가 통화 가능 시간에 실제로 통화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호 설정이 이루어는 경우에는 상기 답변자와 연관된 제2 전문가 지수를 1만큼 증가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2 전문가 지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과금 시스템(250)에서 상기 답변자에 대한 보상 내용을 결정하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답변자의 답변에 대한 상기 질문자의 평가 내용을 반영하여 상기 답변자에 대한 보상 내용을 결정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답변자들은 보상액을 증가시키는 등 보상 내용을 향상시키기 위해 성실히 답변 활동에 참여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화 연결 시스템(230)은 이미 상기 질문자의 단말기와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답변자의 단말기와의 호 설정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전문가 정보에는 상기 전문가의 전화 번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통화 연결 시스템(230)은 상기 전화 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질문자의 단말기와 상기 답변자의 단말기 사이의 호 설정을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화 연결 시스템(230)은 콜백(Call Back) 방식으로 상기 질문자의 단말기와 상기 답변자의 단말기 사이의 호를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통화 연결 시스템(230)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각 단계가 수행된다.
통화 연결 시스템(230)은 단계(801)에서 상기 질문자로부터 질문 및 상기 질문자의 전화 번호 정보를 입력 받는다. 실시예에 따라 통화 연결 시스템(230)은 상기 질문을 상기 질문자의 전화기나 핸드폰 등의 단말기로부터 음성으로 입력 받을 수도 있고, 소정의 사용자 웹 페이지를 통하여 문자로 입력 받을 수도 있다. 또한, 전화기나 핸드폰 등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질문을 입력 받는 경우에도 SMS를 이용하여 문자로 입력 받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질문을 음성으로 입력 받는 경우에도 상기 전화 번호 정보는 문자로 입력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화 연결 시스템은 단계(802)에서 상기 선택된 답변자에게 상기 질문을 제공한다. 문자로 입력된 질문은 문자로, 음성으로 입력된 질문은 음성으로 상기 답변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질문을 제공 받는 답변자의 선택에 따라(또는 상기 답변자가 상기 질문을 제공 받는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상기 질문을 음성 또는 문자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음성으로 입력된 질문을 인식하여 문자로 변환하기 위한 음성 인식 시스템 및 문자를 인식하여 음성을 생성하기 위한 문자 인식 시스템이 더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질문을 제공 받은 답변자는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통화 연결 시스템(230)으로 상기 질문자와의 통화 연결을 요청한다. 통화 연결 시스템(230)은 단계(803)에서 상기 답변자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이 입력되면, 단계(804)에서 상기 질문자의 전화 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질문자의 단말기와 상기 답변자의 단말기 사이의 호를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통화 연결 시스템(230)은 상기 질문자가 상기 질문에 대해 답변을 할 수 있다고 판단한 답변자와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통화가 연결된 후에야 상기 답변자가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할 수 없음이 밝혀져, 상기 질문자가 새로운 답변자와의 통화 연결을 위해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는 것을 방지한다. 만약, 일정 기간 내에 상기 답변자로부터의 통화 연결 요청이 없거나, 또는 통화 연결 요청이 아니라 답변을 할 수 없다는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통화 연결 시스템(230)은 이 사실을 답변자 선택 시스템(220)으로 통지하여 상기 답변자 외의 새로운 답변자가 선택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화 연결 시스템(230)은 상기 질문자와 상기 답변자 사이의 호가 설정된 이후에도 상기 답변자가 상기 질문자의 질문에 답변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새로운 답변자를 선택하여 상기 질문자와 통화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통화 연결 시스템(230)에 의해 설정된 호를 통하여 상기 답변자로부터 상기 질문자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공할 수 없다는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예를 들면, 상기 호가 설정된 후에 상기 답변자의 단말기로부터 '*'버튼과 같이 특정 버튼에 해당하는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답변자 선택 시스템(220)은 상기 카테고리와 연관하여 검색된 전문가 중에서 상기 답변자 외의 새로운 답변자를 선택하고, 통화 연결 시스템(230)은 상기 새로운 답변자의 단말기와 상기 질문자의 단말기 사이의 호 설정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질문자는 카테고리의 선택 등 앞서 수행한 절차를 반복하지 않고도 새로운 답변자와의 통화 연결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이때, 과금 시스템(250)은 상기 질문자에게, 상기 답변자와 연관된 비용(즉, 상기 답변자와의 호 설정 이후 상기 새로운 답변자와의 호 설정 이전까지의 비용)에 대해서는 과금하지 않고 새로운 답변자와 연관된 비용에 대해서만 과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화 연결 시스템(230)은 상기 '*' 버튼에 해당하는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질문자의 단말기로 '새로운 답변자의 호 설정을 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음성 안내 정보(또는 문자 안내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질문자로부터 새로운 답변자와의 호 설정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에만 새로운 답변자와의 호 설정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금 시스템(250)은 소정의 요금 산정 방법에 따라 상기 질문자와 연관된 비용을 결정하고, 소정의 보상 산정 방법에 따라 상기 답변자와 연관된 보상 내용을 결정한다. 상기 비용은 상기 질문자와 상기 답변자 사이의 호 설정 회수, 상기 답변자와 호 설정된 이후부터 상기 호가 종료될 때까지의 유지 시간, 상기 답변자의 전문가 지수 등에 기초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상 내용은 상기 호 설정 회수, 상기 유지 시간, 상기 전문가 지수 외에도 상기 질문자가 입력한 평가 데이터에 의해서 산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화 통화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901)에서 소정의 전문가 선출 방법에 따라 카테고리 별로 전문가가 선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문가 선출 방법은 인터넷 상에서의 질문 답변 서비스와 연동하여 선출된다. 즉, 상기 질문 답변 서비스에서의 사용자의 실적(답변 수, 답변 채택 수, 타 사용자의 답변에 대한 평가 내용 등)을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를 전문가로 선출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실적을 카테고리 별로 산출함으로써 전문 분야 별로 세분화 된 전문가를 선출할 수 있다.
단계(902)에서 소정의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상기 전문가와 연관된 전문가 정보를 카테고리 별로 저장한다.
단계(903)에서 질문자의 질문과 연관된 카테고리를 결정한다. 이때, 상기 질문자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선택한 카테고리를 상기 질문과 연관된 카테고리로 결정하는 방법, 상기 질문을 형태소 분석을 통해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키워드와 연관된 카테고리를 매칭함으로써 결정하는 방법, 디렉토리 검색 방법으로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단계(904)에서 상기와 같이 결정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전문가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전문가 정보와 연관된 전문가 중에서 상기 전문가 정보에 기초하여 답변자를 선택한다.
단계(905)에서 상기 질문자의 단말기와 상기 선택된 답변자 사이의 호를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질문자와 상기 답변자는 음성으로 실시간 질문답변을 할 수 있게 된다.
단계(906)에서 상기 답변을 들은 질문자로부터 상기 답변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입력 받는다. 상기 평가 데이터는 상기 호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호를 통해 음성 또는 문자로 입력 받을 수 있으며, 또는 소정의 웹 페이지 등 별도의 매체를 통해 입력 받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질문자의 단말기로 SMS 서버를 이용하여 콜 백 URL 또는 콜 백 넘버를 포함하는 단문자 메시지를 보낸 후, 상기 콜 백 URL 또는 콜 백 넘버를 이용하여 상기 단문자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평가 데이터를 입력 받는다.
단계(907)에서 상기 입력된 평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답변자와 연관된 전문가 정보를 갱신한다. 상기 전문가 정보는 단계(908)에서 상기 답변자에 대한 보상 내용을 결정하는 자료로 사용되므로 답변자가 좋은 평가를 얻기 위해 성실하게 답변에 참여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단계(908)에서 상기 질문자에 대한 과금 내용을 결정하고, 상기 답변자에 대한 보상 내용을 결정한다. 상기 과금 내용 및 상기 보상 내용은, 상기 호 설정 회수에 따라 정액제로 결정될 수도 있으며, 상기 호 설정 회수, 호 설정 유지 기간, 상기 답변자와 연관된 전문가 정보 등의 자료에 기초하여 차등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질문자가 답변 능력이 객관적으로 입증된 답변자로부터 실시간으로 음성 답변을 제공 받을 수 있는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경력 또는 학력 등 간접적인 자료를 이용하여 답변자를 선출되는 것이 아니라, 답변 수, 답변 채택 수 및 음성 답변에 대한 평가 데이터 등과 같이 사용자의 이제까지의 답변 내역에 기초하여 답변자를 선출되기 때문에 상기 답변자의 답변 능력을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으므로, 질문자도 답변자의 답변 능력을 믿고 질문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질문자로부터 답변자의 답변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입력 받고, 상기 평가 데이터를 다시 답변자를 선택하기 위한 자료로 사용함으로써, 질문자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답변자에게 답변 기회를 더 많이 부여할 수 있는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평가 데이터를 상기 답변자에 대한 보상 내용을 결정하기 위한 자료로도 사용함으로써, 답변자가 성실하게 답변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선택된 답변자가 질문자의 질문에 답변을 할 수 없는 경우에도, 카테고리의 결정 등 선행 절차를 반복하지 않고 새로이 선택된 답변자로부터 답변을 들을 수 있는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21)

  1. 전문가와의 전화 통화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전문가 선출 시스템에 의해 카테고리 별로 선출된 전문가와 연관된 전문가 정보를 카테고리 별로 유지하기 위한 전문가 데이터베이스 - 상기 전문가 정보는 카테고리 별 제1 전문가 지수 또는 카테고리 별 제2 전문가 지수를 포함함 -
    상기 선출된 전문가 중에서 답변자를 선택하기 위한 답변자 선택 시스템; 및
    질문자의 단말기와 답변자의 단말기 사이의 호를 설정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통화 연결 시스템
    을 포함하고,
    상기 전문가 선출 시스템은,
    제1 사용자로부터 질문, 상기 질문과 관련된 카테고리 및 답변의 채택을 입력 받고,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입력 받기 위한 제1 입력 모듈;
    상기 질문 및 상기 답변을 소정의 웹 페이지 상에 제공하기 위한 제1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답변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사용자와 연관되고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답변 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답변의 채택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와 연관되고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답변 채택 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상기 답변 수 및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상기 답변 채택 수를 이용하여 상기 카테고리와 연관된 제1 전문가 지수를 갱신하고, 상기 제1 전문가 지수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2 사용자를 상기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분야의 전문가로 선출하기 위한 제1 제어 모듈; 및
    상기 선출된 전문가와 연관하여 상기 제1 전문가 지수를 카테고리 별로 상기 전문가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기 위한 제1 기록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모듈은 제3 사용자로부터 상기 답변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더 입력 받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평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사용자에 대응하고 상기 카테고리와 연관된 제1 전문가 지수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답변자 선택 시스템은,
    상기 질문자로부터 카테고리의 선택을 입력 받는 제1 단계;
    상기 전문가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와 연관된 전문가 정보를 검색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전문가 정보에 포함된 카테고리 별 제1 전문가 지수 또는 카테고리 별 제2 전문가 지수에 기초하여 답변자를 선택하는 제3 단계
    를 수행하여 상기 답변자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SMS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질문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 콜 백 URL 또는 콜 백 넘버를 포함하는 단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전송 모듈;
    상기 콜 백 URL 또는 상기 콜 백 넘버를 이용하여 상기 질문자로부터 평가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평가 데이터 수신 모듈; 및
    상기 평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전문가 지수를 갱신하기 위한 제2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평가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답변자 선택 모듈은 상기 검색된 전문가 정보에 포함된 카테고리 별 제1 전문가 지수 및 카테고리 별 제2 전문가 지수에 기초하여 답변자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답변자 선택 모듈은 상기 카테고리 별 제1 전문가 지수 및 상기 카테고리 별 제2 전문가 지수에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전문가 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전문가 지수에 기초하여 답변자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문가 정보는 상기 전문가의 통화 가능 여부에 대한 통화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답변자 선택 시스템은,
    상기 질문자로부터 카테고리의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제2 입력 모듈;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와 연관된 전문가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모듈; 및
    상기 검색된 전문가 정보에 포함된 통화 정보에 기초하여 통화가 가능한 전문가를 답변자로 선택하기 위한 답변자 선택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답변자 선택 시스템은,
    상기 전문가로부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통화 가능 시간을 입력 받기 위한 제2 입력 모듈; 및
    상기 통화 가능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통화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기 위한 제3 기록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호를 통하여 상기 답변자로부터 음성으로 답변을 들은 상기 질문자로부터 평가 데이터를 입력 받고 상기 평가 데이터를 상기 전문가 정보에 반영하는 평가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화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답변자가 응답하지 않아 호 설정이 실패한 경우, 상기 평가 시스템은 상기 제2 전문가 지수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답변자 선택 시스템은,
    소정의 웹 페이지를 통하여 상기 질문자로부터 카테고리의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제2 입력 모듈;
    상기 전문가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와 연관된 전문가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모듈;
    상기 검색된 전문가 정보를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해 상기 질문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제2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제공된 전문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질문자로부터 전문가의 선택이 입력되는 경우 선택된 전문가를 답변자로 결정하기 위한 답변자 선택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문가 정보는 상기 전문가와 연관된 전화 번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통화 연결 시스템은 상기 전화 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질문자의 단말기와 상기 선택된 답변자의 단말기 사이의 호를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연결 시스템은,
    상기 질문자로부터 질문 및 상기 질문자의 전화 번호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선택된 답변자에게 상기 질문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답변자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질문자의 전화 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답변자의 단말기와 상기 질문자의 단말기 사이의 호를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답변자로부터 상기 질문자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공할 수 없다는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답변자 선택 시스템은 상기 제1 단계 내지 상기 제3 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선출된 전문가 중에서 상기 선택된 답변자 외의 새로운 답변자를 선택하고,
    상기 통화 연결 시스템은 상기 새로운 답변자와 상기 질문자와의 호를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연결 시스템은 상기 질문자에게 새로운 답변자와의 호 설정 여부를 문의하고,
    상기 질문자로부터 상기 새로운 답변자와의 호 설정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새로운 답변자와 상기 질문자 사이의 호를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호 설정이 종료되는 경우 소정의 과금 방법에 따라 상기 질문자에게 요금을 부과하고 상기 답변자에게 보상을 하기 위한 과금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답변자로부터 상기 질문자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공할 수 없다는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과금 시스템은 상기 선택된 답변자와 연관된 비용은 상기 질문자에게 과금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 설정이 종료되는 경우 소정의 과금 방법에 따라 상기 질문자에게 요금을 부과하고 상기 답변자에게 보상을 하기 위한 과금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과금 시스템은 상기 호가 설정된 기간 또는 상기 평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답변자와 연관된 보상 내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19. 전화 통화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질문 및 상기 질문과 관련된 카테고리를 소정의 웹 페이지 상에 표시하는 단계;
    제2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상기 웹 페이지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답변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사용자와 연관되고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답변 수를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답변의 채택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와 연관되고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답변 채택 수를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상기 답변 수 및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상기 답변 채택 수를 이용하여 상기 카테고리와 연관된 제1 전문가 지수를 갱신하고, 상기 제1 전문가 지수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2 사용자를 상기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분야의 전문가로 선출하는 단계;
    상기 선출된 전문가와 연관하여 상기 제1 전문가 지수를 포함하는 전문가 정보를 카테고리 별로 전문가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전문가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질문자의 질문과 연관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전문가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전문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출된 전문가 중에서 답변자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질문자의 단말기와 상기 답변자의 단말기 사이의 호를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자에 대한 과금 내용을 결정하고, 상기 답변자에 대한 보상 내용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통화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21. 제19항 또는 제20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30075795A 2003-10-29 2003-10-29 전화 통화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440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795A KR100440989B1 (ko) 2003-10-29 2003-10-29 전화 통화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CT/KR2004/002750 WO2005041597A1 (en) 2003-10-29 2004-10-29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information using telephone c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795A KR100440989B1 (ko) 2003-10-29 2003-10-29 전화 통화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128A Division KR101001781B1 (ko) 2004-01-15 2004-01-15 전화 통화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0989B1 true KR100440989B1 (ko) 2004-07-22

Family

ID=34511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5795A KR100440989B1 (ko) 2003-10-29 2003-10-29 전화 통화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40989B1 (ko)
WO (1) WO200504159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322B1 (ko) 2006-02-14 2007-11-15 엔에이치엔(주) 통신망에서 일대일 질문 및 답변을 중개하는 방법 및 상기방법을 실행하는 시스템
KR101200383B1 (ko) * 2012-04-10 2012-11-16 (주) 리얼커뮤니케이션즈 지식정보 공유서비스 제공서버 및 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91500A (zh) * 2011-07-19 2011-12-21 四川建设网有限责任公司 专家库语音通信的方法及装置
US8971843B2 (en) 2011-09-30 2015-03-03 Amana Future, Llc Communication tracking and billing system
CN112637434A (zh) * 2020-12-10 2021-04-09 南方电网数字电网研究院有限公司 业务客户管理热线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808B1 (ko) * 1999-11-23 2004-01-24 주식회사 아이리스이십일 인터넷상의 지식관리시스템 및 지식관리방법
KR20010088128A (ko) * 2000-03-10 2001-09-26 김선민 인터넷 공간에서 전문정보 사이트의 운영방법
KR20000063712A (ko) * 2000-07-31 2000-11-06 강원식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질문, 응답 방법 및 질문, 응답시스템
JP2002230341A (ja) * 2001-02-06 2002-08-16 Ntt Docomo Inc 仲介装置及び仲介方法
KR20020096586A (ko) * 2001-06-21 2002-12-31 유기열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 전문가 검색 시스템 및 운영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322B1 (ko) 2006-02-14 2007-11-15 엔에이치엔(주) 통신망에서 일대일 질문 및 답변을 중개하는 방법 및 상기방법을 실행하는 시스템
KR101200383B1 (ko) * 2012-04-10 2012-11-16 (주) 리얼커뮤니케이션즈 지식정보 공유서비스 제공서버 및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41597A1 (en) 2005-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0694B2 (en) Method of using a virtual assistant
KR20090046862A (ko) 정보 검색 시스템에서 팟캐스팅 및 비디오 훈련에 대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부
US2005026101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diating between callers and receivers using mobile phones
RU2272324C2 (ru) Система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обучения
KR20080075748A (ko) 네트워크상의 대화로봇을 이용한 지혜획득 및 제공방법과그 시스템
JP2007220117A (ja) 通信網を介して1対1の質疑応答を仲介する方法及び該方法を行うシステム
KR20010105653A (ko) 결혼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440989B1 (ko) 전화 통화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09386A (ko) 질문-답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신저와 그 서비스 제공방법
JP2007011541A (ja) 情報サーバ、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Reddipalli Howard Sheth model of consumer behaviour on buying a smartphone
KR100527840B1 (ko) 네트워크상에서 질문과 답변에 의한 지식 교환 시스템 및그 방법
KR101001781B1 (ko) 전화 통화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8097380A (ja) アンケート処理装置、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904691B1 (ko) 질문―답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N101517512A (zh) 用于信息搜索系统中的网络广播和视频培训的方法、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器
KR20090000279A (ko)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지혜 획득 및 제공 방법과 그시스템
JP2008046852A (ja) ヘルプデスクシステムおよび分析サーバ
KR20000054595A (ko)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문답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24451A (ko) 인터넷을 통한 상담 서비스 방법
KR20010095848A (ko) 채팅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18633A (ko) 인터넷 및 씨티아이를 통한 설문 조사 방법
KR100840699B1 (ko) 모바일 퀴즈 제공방법 및 제공시스템
KR101950493B1 (ko) 고객의 감정 정보를 사업자에게 제공하는 전화번호 안내 장치, 전화번호 안내 시스템 그리고 전화번호 안내 방법
JP2012033076A (ja) Q&aサイトの会員募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G171 Publication of correction by opposition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