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0410B1 - 다중레벨도전체워드라인스트래핑방식 - Google Patents

다중레벨도전체워드라인스트래핑방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0410B1
KR100440410B1 KR1019970028328A KR19970028328A KR100440410B1 KR 100440410 B1 KR100440410 B1 KR 100440410B1 KR 1019970028328 A KR1019970028328 A KR 1019970028328A KR 19970028328 A KR19970028328 A KR 19970028328A KR 100440410 B1 KR100440410 B1 KR 100440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w
memory cells
conductive
conductor
interconn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8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6297A (ko
Inventor
휴우 피. 맥아담스
윌리엄 알. 맥키
Original Assignee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80006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6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0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0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28Geometry or layout of the interconnection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1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 H01L27/10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including field-effect compon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48Data lines or contacts therefor
    • H10B12/488Word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omet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반도체 메모리 소자는 기억 셀 어레이를 포함하고, 각각의 셀은 게이트 전극이 있는 전송 트랜지스터를 가진다. 별개의 워드라인(32)은 기억 셀들의 각 행의 게이트 전극들을 상호 접속시킨다. 제1 도전층은 스트라이프(38)를 포함하고, 각각의 스트라이프는 기억 셀들의 별개의 행 위에 있으며 기억 셀들의 별개의 홀수 번호 행의 기억 셀들의 게이트 전극들과 워드라인에 접속된다. 절연체는 제1 도전층의 스트라이프를 둘러싼다. 절연체에 의해 제1 도전체의 스트라이프로부터 분리된 제2 도전층은 스트라이프(39)를 포함하는데, 제2 도전층의 각각의 스트라이프는 기억 셀들의 별개의 짝수 번호 행 위에 놓이며 기억 셀들의 별개의 짝수 번호의 게이트 전극들과 워드라인에 접속된다. 이러한 배치는 고 밀도 메모리에서 워드라인에 의해 유발되는 기생 지연을 감소시키며, 도전층의 임의의 한 레벨의 스트라이프들간의 최소 피치를 증가시킨다.

Description

다중 레벨 도전체 워드라인 스트래핑 방식{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소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워드라인 배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 소자는 워드라인 동작과 관련된 기생 지연을 감소시키기 위해 다결정 실리콘 워드라인과 병행하여 금속 라인을 사용한다. 주기적으로 메모리 어레이를 가로질러, 금속 라인 및 관련된 다결정 실리콘 워드라인간에는 접촉이 만들어진다. 금속 라인은 다결정 실리콘보다 훨씬 낮은 저항을 가지기 때문에, 워드라인을 하이 논리 레벨과 로우 논리 레벨 사이에서 스위칭하기 위한 시상수(time constant)는 감소된다. 따라서, 데이타 판독과 기록 동작이 더 빠른 속도로 수행될 수 있다.
메모리 소자의 밀도는 시간이 지날수록 계속해서 증가하기 때문에, 주변 회로의 크기 감소보다 더 빨리 셀에 대한 레이아웃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경향이 이루어지고 있다. 다이내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에서, 셀 구조는 실리콘 기판 표면 상부에 제조되고 있다. 이러한 상승된(raised) 셀 구조는 소자의 주변 회로들보다 더 높은 기판 표면 위에 어레이가 있게 만든다. 이와 같은 높이 차이는 포토리소그라피 장비에 의해 필요한 포커스의 깊이(DOF)를 증가시키며, 이는 어레이 모양 및 간격이 감소되어야 할 요건을 만족시킬 것이다.
제조 과정에서, 입자의 크기와 밀도는 소자 오동작의 주요 요인이다. 입자의 크기와 개수를 감소시키는 능력은 소자에 포함된 라인들간의 피치(pitch)에서의 감소 속도보다 상당히 뒤떨어져 있다.
메모리 어레이를 설계하는 중에 발생하는 문제는, 종래에는 결함을 발생시키지 않았던 크기의 입자들이 병렬 경로를 따라 뻗은 인접한 금속 라인들간의 단락과 같은 결함을 실제로 유발하는 환경이 라인들간의 감소된 피치에 의해 생성된다는 것이다.
앞에서의 문제점들은, 게이트 전극이 있는 전송 트랜지스터(transfer transistor)를 각각 갖는 기억 셀들의 어레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에 의해 해결된다. 별개의 워드라인이 기억 셀들의 각각의 행에 대해 모든 전송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극을 상호 접속한다. 제1 도전층은 스트라이프(stripe)를 포함하는데, 이들 각각의 스트라이프는 기억 셀들의 별개의 행 위에 놓이며 기억 셀들 중 별개의 홀수 번호 행의 기억 셀들의 게이트 전극들과 워드라인에 접속된다. 절연층은 제1 도전층의 스트라이프 위에 놓인다. 절연층 위의 제2 도전층은 스트라이프를 포함하고, 제2 도전층의 각각의 스트라이프는 기억 셀들 중 별개의 짝수 행 위에 놓이며 기억 셀들 중 별개의 짝수 번호 행의 게이트 전극들과 워드라인에 접속된다.
이러한 배치는 이롭게도 고밀도 메모리에서 워드라인에 의해 유발되는 기생지연을 감소시키며 도전층의 임의의 한 레벨에서의 스트라이프간의 최소 피치를 증가시킨다.
앞에서 언급한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후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보다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집적 회로 랜덤 액세스 메모리 소자에서 사용되는 워드라인의 다중-도체-레벨 레이아웃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집적 회로 랜덤 액세스 메모리 소자의 평면도의 섹션 2-2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섹션 3-3을 따라 취해진 짝수 번호 행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의 섹션 4-4를 따라 취해진 홀수 번호 행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22 : 예시적 어레이
23 : 기억 셀
25 : 어레이의 행
30 : 어레이의 열
32 : 워드라인
35 : 제1 도전체-레벨 행 라인 사각형 패드
37 : 제2 도전층의 도전성 패드
38 : 제2 도전체-레벨 연장된 행 라인
39 : 제3 도전체-레벨 연장된 행 라인
41 : 도전체 접속부
43 : 도전체로 채워진 비아
도 1을 참조하면, 집적 회로 랜덤 액세스 메모리 소자 내의 기억 셀들의 행을 액세스하기 위한 다중-레벨 워드라인의 레이아웃에 대한 부분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메모리 소자의 기억 셀들은 어드레서블(addressable) 워드라인과 비트라인들을 갖는 반복적인 어레이로 레이아웃되어 있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는, 단지 이 레이아웃의 대표적인 작은 부분만이 정보 공개를 위해 도시되어 있다. 예로서 든 이러한 배치의 이점을 갖는 메모리 소자를 설계하기 위해 나머지 부분들은 용이하게 복제될 수 있다.
도 1에서, 기억 셀(23)의 2개의 예시적 어레이(21 및 22)가 통상의 행과 열로 레이아웃되어 있다. 각 예시적 어레이 내의 각각의 행(25)은 도면의 면적을 줄이기 위해 생략된 많은 유사한 기억 셀들을 나타내는 도트 스트링에 의해 분리된 2개의 기억 셀로 제한되어 있다. 기억 셀의 어레이는 도 1에 도시된 셀을 복제함으로써 확장될 수 있다. 기억 셀(23)들 중 단지 2개의 부분 열(30)만이 각각의 어레이에 있는 굵은 점선 내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부분 열(30)은 회로 설계자들이 바라는 바와 같이 각각의 열 내에 많은 추가 기억 셀들을 포함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기억 셀(23)은 실리콘 기판 내 또는 실리콘 기판의 상부 면 상에 형성된다. 이들 기억 셀들은, 예를 들어, 다이내믹 메모리 기억 셀로서 배치된 커패시터 및 MOS 전송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각각의 다중-레벨 행 라인은 어레이의 별개의 행에 있는 각각의 MOS 전송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접속된다.
레이아웃 도는 가는 점선 내에 다결정 실리콘 워드라인(32)의 그룹을 포함한다. 제1 도전체-레벨 행 라인 사각형 패드(35) 그룹이 일점 쇄선 내에 도시되어 있다. 제2 도전체-레벨 행 라인 사각형 패드(37) 그룹이 점선 내에 도시되어 있다. 제2 도전체-레벨 연장된 행 라인(38) 그룹이 2점 쇄선 내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3 도전체-레벨 연장된 행 라인(39)은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전체 접속부(41)를 통해 다결정 실리콘 워드라인과 제1 도전체-레벨 행 라인 사각형 패드(35) 그룹간에 접속이 이루어져 있다. 도전체로 채워진 비아(43)는 제1 및 제2 도전체-레벨과 제2 및 제3 도전체-레벨간의 접속을 이룬다.
도 1에 도시된 예시적 어레이에 있어서, 각각의 셀에 대해, 전송 트랜지스터 채널 영역이 실리콘 기판의 상부 표면에 형성된다. 각각의 전송 트랜지스터에 대해, 얇은 게이트 절연체가 실리콘 기판의 상부 표면과 전송 트랜지스터의 채널 영역위에 형성된다. 또한, 전송 트랜지스터들의 소오스 및 드레인 전극들은 실리콘 기판의 표면과 전송 트랜지스터의 채널 영역의 인접한 반대편에도 형성된다. 각각의 셀에 대한 전송 트랜지스터와 관련하여 별개의 기억 커패시터(도시되지 않음)는 통상적으로 개개의 셀 영역 내의 실리콘 기판 표면 위에 대부분 형성된다.
기억 셀 행의 게이트 절연체 위에, 다결정 실리콘의 스트라이프가 기억셀(23) 어레이에서의 행의 게이트 절연체와 접촉하여 게이트 절연체로서 형성된다. 이 다결정 실리콘의 스트라이프는 몇몇 전송 트랜지스터에 대한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며, 행을 식별하는 행 어드레스 신호에 응답하여 행의 기억 셀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되는 워드라인(32)이라고 일반적으로 불린다. 행 어드레스 신호는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외부 어드레스와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선택된 행 디코더(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바람직하게 생성된다.
절연층은 워드라인의 스트라이프 위에 놓인다. 그 후, 금속이나 다른 높은 도전성을 갖는 재료일 수 있는 도전성 행 라인 사각형 패드(35)의 제1 층이 절연층 위에 형성되고, 일반적으로 다결정 실리콘 워드라인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절연층에 형성되는 개구를 통해 도전성 접촉(contact)은 제1 도전층의 각각의 도전성 행 라인 사각형 패드(35)와 다결정 실리콘 워드라인(32)을 상호 접속한다.
제2 절연층이 제1 도전층의 도전성 행 라인 사각형 패드(35) 사이 및 위에 형성된다. 금속이나 다른 높은 도전성을 갖는 재료일 수 있는 도전성 사각형 패드(37)의 제2 층은 짝수 번호 행에서 제2 절연층 위에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이들 패드는 다결정 실리콘 워드라인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도전체-레벨의 연장된 행 라인(38)은 제2 도전체-레벨의 패드와 동시에 홀수 번호 행에 형성된다. 도전성 비아(43)는 제2 도전층의 연장된 행 라인(38) 및 각각의 도전성 패드(37)를 제1 도전층의 각각의 패드와 상호 접속시킨다. 또한, 도전성 비아는 도전성 패드(37)를 제3 도전체-레벨의 연장된 행 라인(39)에 접속한다.
도 1에서 하나의 수평 섹션 라인 2-2가 도시되어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에 도시된 부분적인 랜덤 액세스 메모리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1에서 추가적으로, 2개의 수직 섹션 라인 3-3과 4-4가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함으로써 메모리 소자 내의 여러 가지 재료로 된 층들의 공간적인 관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다.
도 2를 지금 참조하면, 평면도인 도 1의 섹션 2-2에서의 메모리 소자에 대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 예시적인 실리콘 반도체 기판(70)은 몇몇 확산 영역(71-77)을 포함한다. 이들 확산 영역의 각각은 복수의 전송 MOS 트랜지스터들 중 하나의 소오스/드레인 전극이다. 비트라인 접속(81, 82, 및 83)은 소오스/드레인 전극이나 확산 영역(71, 74, 및 77)과 접속된다. 셀 기억 커패시터(도시되지 않음)의 단자(86, 87, 88, 및 89)는 소오스/드레인 전극 또는 확산 영역(72, 73, 75 및 76)에 각각 접속된다.
얇은 절연 재료 층이나 실리콘 이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등과 같은 재료들로부터 선택된 절연 재료층은 실리콘 기판 표면 상부 및 확산된 영역(71-72, 73-74, 74-75, 및 76-77)들 사이에 놓인다. 이러한 얇은 절연 재료 층은 MOS 전송 트랜지스터에 대해 게이트 절연체(91, 92, 93, 및 94)를 형성한다.
워드라인(96, 97, 98, 및 99)은, 예를 들어, 도 2의 단면의 표면에 수직한 길이 방향을 갖는 다결정 실리콘 스트라이프일 수 있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워드 라인(96, 97, 98, 및 99)은 MOS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절연체(91, 92, 93, 및 94)들 위에 각각 놓인다. MOS 전송 트랜지스터들에서, 워드라인들은 기억 셀 행의 트랜지스터들에 대한 게이트 전극을 형성한다.
두꺼운 절연 재료 층이나 절연 재료 층들은 실리콘 기판의 표면 상부 및 확산된 영역(72-73 및 75-76) 사이에 놓인다. MOS 전송 트랜지스터가 위치한 단면에서, 이 절연 재료 층은 보다 얇으며 이들 트랜지스터들에 대한 게이트 절연체가 된다. 워드라인(106, 107, 108, 및 109)은 도 2의 단면 표면에 수직한 길이 방향을 갖는 도전성 재료 스트라이프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들 워드라인(106, 107, 108, 및 109)은 기억 셀 행의 MOS 전송 트랜지스터에 대한 게이트 전극을 형성한다.
절연 재료 층 또는 절연체(100)는 워드라인을 피복하고 접속부(81, 82, 83, 86, 87, 88 및 89)를 둘러싼다. 두꺼운 절연 재료 층은 워드라인 상부 및 접속부 주변에 놓인다.
도 2의 단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소자에는 도전성 재료의 제1 층이 있다. 이 도전성 재료의 제1층은 이후에 더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이 층은 절연체(100)에 의해 워드라인 및 도전성 재료의 제2 및 제3 층으로부터 분리된다.
도전성 재료의 제2 층은 홀수 행과 관련되고, 도 2의 단면의 표면에 수직한 길이 방향을 갖는 스트라이프(101, 102, 103, 및 104) 내에 놓인다. 이들 도전성 스트라이프(101, 102, 103, 및 104)는 도 1의 평면도에 레이아웃된 제2 도전층을 형성한다. 절연 재료는 제2 도전층의 스트라이프들간의 공간을 메운다. 제2 도전성 재료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료 층일 수 있다. 절연 재료는 도전성 재료의 제2 층을 피복한다.
도전성 재료의 제3 층은 짝수 행과 관련되고, 도 2의 단면 표면에 수직한 길이 방향을 갖는 스트라이프(111, 112, 113, 및 114) 내에 놓인다. 이 제3 도전층은제2 도전층을 피복하는 절연체 위에 놓인다.
제2 층의 스트라이프들 사이 및 도전성 재료의 제3 층의 스트라이프들 사이의 공간은 도전성 재료의 각각의 스트라이프들의 폭과 같거나 이를 초과한다. 재료(subject) 메모리 소자의 전체 폭에는 제한이 주어지므로, 도전성 스트라이프들간의 이들 공간은 모든 도전성 스트라이프들이 하나의 도전층에 위치할 때 필요한 공간보다 더 클 것이다. 따라서, 도전층 스트라이프들의 공간에 더해지는 여분의 피치나 폭은 불완전한 제조에 의해 유발되는 동일한 층 내의 결함이 소자에서 더 적게 발생하게 만든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의 짝수 행의 단면 3-3이 도시되어 있다. 다결정 실리콘의 워드라인 스트라이프(106)는 절연체(100)에 의해 실리콘 기판(70)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 도전성 패드(121)는 커넥터(124)에 의해 워드라인 스트라이프(106)에 접속된다. 도전성 패드(121 및 122)는 비아(123)를 통해 상호 접속된다. 도전성 스트라이프(101)는 비아(125)를 통해 도전성 패드(122)와 접속된다. 따라서, 워드라인 스트라이프(106)는 도전성 재료에 의해 도전층들 중 제3 층의 도전성 스트라이프(101)에 접속된다. 도전성 스트라이프(101)는 워드라인 스트라이프(106)의 방향에 평행하며 워드라인 자체보다 더 낮은 저항을 제공한다는 이점이 있다. 또 다른 이점은 도전층들 중 제3 층의 도전성 스트라이프들은 서로간에 실질적으로 분리되어, 크리플링(crippling) 제조 결함 문제들을 피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1의 단면 4-4가 도시되어 있다. 다결정 실리콘의 워드라인 스트라이프(96)는 절연체(100)에 의해 실리콘 기판(70)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전성 패드(127)는 커넥터(126)에 의해 워드라인 스트라이프(96)에 접속된다. 도전성 스트라이프(111)는 비아(130)를 통해 도전성 패드(127)에 접속된다. 따라서, 워드라인 스트라이프(96)는 도전성 재료에 의해 도전층들 중 제2층의 도전성 스트라이프(111)에 접속된다. 유익하게도, 도전성 스트라이프(111)는 워드라인 스트라이프(96)의 방향에 평행하고, 감소된 저항을 제공한다. 도전층들 중 제2 층의 도전성 스트라이프들은 서로간에 실질적으로 분리되어 제조 과정 중에 크리플링 결함을 포함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앞의 설명들은 단지 예를 위한 것이지 제한적 의미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중 레벨 스트래핑 방식은 마스터 워드라인과 어드레스 신호가 메모리 셀 행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해 개별적인 선택 회로들을 인에이블링하는 세그먼트화된 워드라인 설계에도 역시 잘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중 레벨 스트래핑 방식은 개선된 신뢰성과 레이아웃 효율이 필요한 비트라인이나 다른 상호 접속에도 잘 적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메모리 소자의 실시예에 대해 기술하였다. 이와 같은 실시예와 이러한 견지로부터 명백하게 이루어지는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15)

  1. 반도체 메모리 소자에 있어서,
    행들과 열들로 배열된 기억 셀들의 어레이 - 상기 기억 셀 각각은 게이트 전극을 갖는 전송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각 행의 기억 셀들은 상기 행의 상기 게이트 전극들을 상호 접속시키는 워드라인을 가짐 - ;
    상기 워드라인 도전체 및 상기 게이트 전극들 위에 놓여지는 제1 절연층;
    복수의 제1 도전성 스트라이프들을 포함하는 제1 도전층 - 상기 제1 도전층의 각 도전성 스트라이프는, 상기 기억 셀들의 별개의 관련 홀수 번호 행과 상기 제 1 절연층 위에 놓여지고 상기 관련 홀수 번호 행의 상기 게이트 전극들을 상호 접속시키는 상기 워드라인에 접속됨 - ;
    상기 제1 도전층의 상기 스트라이프들을 피복하는 제2 절연체; 및
    상기 제2 절연체에 의해 상기 제1 도전층의 상기 스트라이프로부터 분리된 제2 도전층 - 상기 제2 도전층은 복수의 제2 도전성 스트라이프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복수의 제2 도전성 스트라이프는 상기 기억 셀들의 별개의 관련 짝수 번호 행 위에 놓여지고 상기 관련 짝수 번호 행의 게이트 전극들을 상호 접속시키는 상기 워드라인에 접속됨 -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워드라인은 다결정 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층의 상기 도전성 스트라이프를 상기 관련 홀수 번호 행의 상기 워드라인에 상호 접속시키는 제1 도전성 경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층의 상기 도전성 스트라이프를 상기 관련 짝수 번호 행의 상기 워드라인에 상호 접속시키는 제2 도전성 경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층의 상기 도전성 스트라이프들의 피치는 상기 워드라인들의 피치의 거의 2배이며, 상기 제2 도전층의 상기 도전성 스트라이프들의 피치는 상기 워드라인들의 피치의 거의 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6. 반도체 메모리 소자에 있어서,
    각각이 전극을 갖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제1 행의 메모리 셀들;
    상기 제1 행의 메모리 셀들의 상기 전극들을 상호 접속시키는 제1 도전체;
    각각이 전극을 갖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행의 메모리 셀들에 인접한 제2 행의 메모리 셀들; 및
    상기 제1 도전체 위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2 행의 메모리 셀들의 상기 전극들을 상호 접속시키는 제2도전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체는 상기 제1 도전체와는 다른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들은 게이트 전극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9. 제8항에 있어서,
    절연층 내의 개구를 통해 상기 제1 도전체에 접속되고, 상기 제1 행의 메모리 셀들의 상기 게이트 전극들을 상호 접속시키는 제1 워드라인; 및
    상기 절연층 내의 또 다른 개구를 통해 상기 제2 도전체에 접속되고, 상기 제2 행의 메모리 셀들의 상기 게이트 전극들을 상호 접속시키는 제2 워드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워드라인들 각각은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워드라인들 각각은 다결정 실리콘의 세그먼트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세그먼트가 상기 각각의 도전체에 각기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들은 상기 트랜지스터의 소오스 또는 드레인 전극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13. 제12항에 있어서,
    절연층 내의 개구를 통해 상기 제1 도전체에 접속되고, 상기 제1 행의 메모리 셀들의 상기 전극들을 상호 접속시키는 제1 비트라인; 및
    상기 절연층 내의 또 다른 개구를 통해 상기 제2 도전체에 접속되고, 상기 제2 행의 메모리 셀들의 상기 전극들을 상호 접속시키는 제2 비트라인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14.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이, 별개의 선택 회로에 의해 상기 제1 도전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행의 메모리 셀들의 복수의 트랜지스터 전극들을 상호 접속시키는 복수의 제1 워드라인 세그먼트들; 및
    각각이, 별개의 선택 회로에 의해 상기 제2 도전체에 결합되고 상기 제2 행의 메모리 셀들의 복수의 트랜지스터 전극들을 상호 접속시키는 복수의 제2 워드라인 세그먼트들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회로 각각은 어드레스 신호 및 상기 각각의 도전체에 인가되는 또다른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각각의 워드라인 세그먼트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KR1019970028328A 1996-06-28 1997-06-27 다중레벨도전체워드라인스트래핑방식 KR1004404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96196P 1996-06-28 1996-06-28
US60/020,961 1996-06-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297A KR980006297A (ko) 1998-03-30
KR100440410B1 true KR100440410B1 (ko) 2004-10-14

Family

ID=21801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8328A KR100440410B1 (ko) 1996-06-28 1997-06-27 다중레벨도전체워드라인스트래핑방식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00588A (ko)
EP (1) EP0817269B1 (ko)
JP (1) JPH1065125A (ko)
KR (1) KR100440410B1 (ko)
DE (1) DE69738971D1 (ko)
TW (1) TW3409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40985A1 (en) * 2001-03-14 2002-09-14 Atmos Corporation Interleaved wordline architecture
JP4886434B2 (ja) * 2006-09-04 2012-02-29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US10109674B2 (en) * 2015-08-10 2018-10-23 Qualcomm Incorporated Semiconductor metallization structure
US10304518B2 (en) * 2017-06-26 2019-05-28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with compensator lines laid out along wordlines and spaced apart from wordlines by dielectric, compensator lines being independently controlled relative to the wordlines providing increased on-current in wordlines, reduced leakage in coupled transistors and longer retention time in coupled memory cells
US11018157B2 (en) 2017-09-28 2021-05-2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Local interconnect structure
CN110349960B (zh) * 2019-07-08 2021-06-18 上海华虹宏力半导体制造有限公司 嵌入式闪存的版图结构、嵌入式闪存及其形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5981A (en) * 1984-12-04 1987-09-22 Hewlett-Packard Company Integrated circuit memory cell array using a segmented word line
JP2511415B2 (ja) * 1986-06-27 1996-06-2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
US5177027A (en) * 1990-08-17 1993-01-05 Micron Technology, Inc. Process for fabricating, on the edge of a silicon mesa, a MOSFET which has a spacer-shaped gate and a right-angled channel path
US5055898A (en) * 1991-04-30 1991-10-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RAM memory cell having a horizontal SOI transfer device disposed over a buried storage node and fabrication methods therefor
EP0573728B1 (en) * 1992-06-01 1996-01-03 STMicroelectronics S.r.l. Process for fabricating high density contactless EPROMs
JP3068378B2 (ja) * 1993-08-03 2000-07-24 日本電気アイシーマイコンシステム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US5671175A (en) * 1996-06-26 1997-09-2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apacitor over bitline DRAM ce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17269B1 (en) 2008-09-10
DE69738971D1 (de) 2008-10-23
TW340971B (en) 1998-09-21
EP0817269A3 (en) 2002-01-23
US6100588A (en) 2000-08-08
KR980006297A (ko) 1998-03-30
EP0817269A2 (en) 1998-01-07
JPH1065125A (ja) 199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69332B1 (en) High density one device memory
KR950010393B1 (ko) 반도체 기억장치
US5590068A (en) Ultra-high density alternate metal virtual ground ROM
US5012309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omprising capacitor portions having stacked structures
KR950007122A (ko) 반도체집적회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930000761B1 (ko) 배선지연이 적은 배선 및 데코우더를 가진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KR100683295B1 (ko) 수직형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메모리 셀의 레이아웃 및 배선 설계
KR100567477B1 (ko) 효율적으로 내부 배선이 레이아웃된 반도체 기억 장치
KR100316060B1 (ko) 플래시메모리의레이아웃및그형성방법
KR100570108B1 (ko) 개선된다이내믹랜덤액세스메모리어레이및그개선방법
KR100869555B1 (ko) 반도체기억장치
US5621697A (en) High density integrated circuit with bank select structure
US5838615A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reduced source line resistance
KR100440410B1 (ko) 다중레벨도전체워드라인스트래핑방식
KR100258345B1 (ko) 파워라인의 배치구조를 개선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6151243A (en) Ferroelectric memory device having folded bit line architecture
US6911687B1 (en) Buried bit line-field isolation defined active semiconductor areas
US6256227B1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having column sub-selector layout pattern adaptable to miniaturization of memory cell
US71994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capacitive coupling between lines in an integrated circuit
US20220020762A1 (en) Three-dimens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1037501B1 (ko) 고집적 반도체 기억 장치
KR100291009B1 (ko) 반도체메모리장치용주변회로
JP2604128B2 (ja) 半導体装置
US11610902B1 (en) Antifuse array structure and memory
US6590237B2 (en) Layout structure for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