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0090B1 - 패스너테이프용 기모기 - Google Patents

패스너테이프용 기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0090B1
KR100440090B1 KR10-2002-0032487A KR20020032487A KR100440090B1 KR 100440090 B1 KR100440090 B1 KR 100440090B1 KR 20020032487 A KR20020032487 A KR 20020032487A KR 100440090 B1 KR100440090 B1 KR 100440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fabric
roller
fastener tape
lo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2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4993A (ko
Inventor
정한봉
Original Assignee
삼부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부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부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2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0090B1/ko
Publication of KR20030094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4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0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00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61/00Tools for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Clamping devices for these tools
    • B23D61/02Circular saw blades
    • B23D61/025Details of saw blad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스너테이프의 루프를 형성하기 위한 패스너테이프용 기모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에 고정된 회전축의 양측에 원판형의 침포휠이 장착되고, 상기 침포휠이 회전되도록 회전모터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회전부; 상기 원단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원단을 일방향으로 당겨주는 당김롤러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이송부; 및 상기 침포휠의 사이에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1개 이상의 침포롤러가 장착되고, 상기 침포롤러의 외주면에 감아 고정되어 이송되는 상기 원단에 루프를 형성하기 위한 침포가 부착되며, 상기 침포롤러의 축에 엇갈리게 걸어져 자유회전에 제동을 가하기 위한 브레이크벨트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기모형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다수의 올이 직조된 루프원단이 일방향으로 이송될때 상기 침포휠을 역회전시켜 침포롤러의 공전 및 미끌림에 의하여 상기 침포롤러에 상기 올의 걸림과 이탈이 반복되도록 하여 상기 원단에 양질의 루프를 형성하기 위한 패스너테이프용 기모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패스너테이프용 기모기{PILE RAISING MACHINE FOR FASTENER TAPE}
본 발명은 패스너테이프의 루프를 형성하기 위한 패스너테이프용 기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침포휠의 내측 둘레에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침포롤러를 장착하고, 상기 침포롤러의 자유회전에 약간의 제동을 가하기 위하여 침포롤러의 축에 브레이크벨트를 엇갈리게 걸어주며, 다수의 올이 직조된 루프원단(이하 "원단"이라 칭한다)이 일방향으로 이송될때 상기 침포휠을 역회전시켜 침포롤러의 공전 및 미끌림에 의하여 상기 침포롤러에 상기 올의 걸림과 이탈이 반복되도록 하여 상기 원단에 양질의 루프를 형성하기 위한 패스너테이프용 기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스너테이프 또는 매직테이프용 기모기는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회전축의 양단에 회전원판(침포휠)이 고정되고, 상기 회전원판의 둘레에 기모(루프)를 형성하기 위한 침포가 부착된 다수의 파일로울러가 고정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원판의 회전에 대하여 회전방향으로 원단을 공급하여 상기 침포의 침에 상기 원단의 면이 걸어 당겨져 표면에 루프가 형성되도록 제작된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기모는 일반적으로 원단에 형성된 보풀을 말하지만 본원 명세서에서는 패스너테이프에 기모기를 통하여 형성된 "기모"를 "루프"로 정의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기모기는 상기 회전원판에 고정된 파일롤러가 상기 회전원판의 회전에 종속되어 일정한 높이와 힘으로 원단에 루프를 형성하므로 패스너테이프의 종류 즉, 패스너테이프의 조직 또는 패스너테이프의 염색정도에 따라 매직테이프의 기모를 형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양측 플랜지 하방에 기모조절 받침판이 승강되도록 하고, 기모조절 받침판과 하방 로울러 외주면의 침 사이로 매직테이프가 이송되도록 고안된 매직테이프용 기모기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1991-1329호에 게재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상기 매직테이프용 기모기는, 모우터에 의해 회전되는 축(101) 양측에 플랜지(102)를 축설하고, 플랜지(102)와 플랜지(102) 사이에 침(103')(104') 고정밴드(103")(104")를 카운터 파일로울러(103)와 파일로울러(104) 외주면에 감아 고정시키는 공지의 매직테이프의 기모기에 있어서, 하방의 지지판(105) 상방 양측에 설치한 조절박스(106) 내에 끼운 조절볼트(107)의 끝단부에 높이조정미끄럼판을 나착하고, 높이조정미끄럼판의 경사부에 높이조정판의 경사부를 맞닿게 함과 동시에 상기 높이조정판의 요홈부를 조절볼트(107) 상방에 위치시킨 다음 상기 조절박스(106) 상방에 기모조절높이 조절판(110)을 위치시키되, 높이 조절판(110) 양측의 지지편(110')에 스프링(111)이 설치된 볼트(112)를 끼워 지지판(105)에 볼트(112)를 조정시킴과 동시에, 기모조절높이 조절판(110) 상방에 기모조절받침판(113)을 고착시키고, 매직테이프(M)를 기모조절받침판(113) 상방과 고정밴드(103")(104") 하방 사이를 이송시키도록 되어있다.
상기 매직테이프용 기모기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플랜지(102)에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다수의 카운터 파일로울러(103) 및 파일로울러(104)를 각각 구동시켜주기 위한 동력원이 있어야 하고, 각각의 상기 동력원을 구동시켜주기 위해서는 많은 전력이 소모된다. 또한, 기모를 형성하기 위하여 매직테이프를침(103')(104') 고정밴드(103")(104")가 감겨진 상기 카운터 파일로울러(103) 또는 파일로울러(104)로 공급할 경우 실제로 상기 매직테이프와는 한개의 로울러(카운터 파일로울러(103) 또는 파일로울러(104)) 만이 접촉되고, 계속적으로 이송되어 인접한 로울러 즉, 회전방향이 반대인 로울러에 접촉된 경우에는 기모가 형성되지 않아 전체적으로 균일한 기모를 형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기모기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고,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181841호에 게재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의한 상기 기모기는, 원단을 진입로울러로 당겨 진입시키는 진입부(260); 그 양단 플렌지(205)에 기모침포(210)가 감싸진 복수개의 파일로울러(206)와 카운트 파일로울러(207)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회전하면서 상기 진입부(260)에서 들어오는 원단을 상기 파일로울러(206)와 카운트 파일로울러(207)의 외주면을 통과하게 한 중앙회전축부(209); 외주면에 외치기어(213)와 내주면에 내치기어(214)를 갖고 상기 중앙회전축부(209)의 일단에 위치하여 복수개의 상기 파일로울러(206)와 상기 내치기어(214)로 치합되어 회전시키고 외치기어(213)는 구동부와 치합되는 파일회전기어부(215); 외주면에 외치기어(213)와 내주면에 내치기어(214)를 갖고 상기 중앙회전축부(209)의 타단에 위치하여 복수개의 상기 카운트 파일로울러(207)와 상기 내치기어(214)로 치합되어 회전시키고 외치기어(213)는 구동부와 치합되는 카운트 회전기어부(217); 상기 중앙회전축부(209)를 통과한 상기 원단을 배출로울러로 당겨서 배출시키는 배출부(270); 하나의 메인 모터로 복수개의 상기 단위 구동부에 동력을 전달하여 이들을 구동시키는 동력전달부(220); 및 상기 메인 모터와 복수개의 상기 단위 구동부를 각각 조절하는 제어부(2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모기는 파일로울러(206)와 카운터 파일로울러(207)가 각각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파일로울러(206)가 외주면의 외치기어(213)와 결합되고, 카운터 파일로울러(207)가 내주면의 내치기어(214)와 결합되는 것과 같이 복잡한 동력전달 체계를 통하여 회전시킴으로써 구성이 매우 복잡하며, 다수의 파일로울러(206)와 카운터 파일로울러(207)를 구동시켜주기 위해서는 많은 동력이 소모된다. 또한, 상기 파일로울러(206)와 상기 카운터 파일로울러(207)가 기어에 물린상태로 미끌림 없이 고속으로 회전되므로 원단에 루프가 형성되지 못하고 루프가 절단되어 패스너테이프의 후크와 결합되기에 부적합하며, 상기 파일로울러(206)와 상기 카운터 파일로울러(207)가 외치기어(213) 또는 내치기어(214)에 종속되어 회전됨으로 인하여 침포가 쉽게 손상되어 자주 교환해줘야 하는 것과 같이 유지 및 보수에 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단의 이송방향과 반대로 회전되는 침포휠의 둘레에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장착된 침포롤러에 의하여 다수의 올이 형성된 원단에 루프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침포휠의 회전시 상기 침포롤러가 정지된 상태로 공전되면서 루프를 형성하도록 브레이크벨트를 침포롤러의 축에 엇갈리게 걸어서 상기 침포롤러의 자유회전에 약간의 제동을 가하여 원단에 형성된 올의 걸림과 이탈이 반복되도록 하여 루프가 끊어지지 않으면서도 동일 수준(높이)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루프를 형성할때 보다 넓은 면적에 대하여 원단이 접촉되면서 루프를 형성하기 위하여 기모량조절롤러를 구비하여 원단 전체에 대하여 균일한 루프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패스너테이프용 기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침포롤러가 형성된 침포휠의 회전으로 패스너테이프의 원단에 루프를 형성하는 패스너테이프 기모기에 있어서, 본체에 고정된 회전축의 양측에 원판형의 침포휠이 장착되고, 상기 침포휠이 동력전달수단에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회전모터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회전부; 상기 원단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원단이 일방향으로 이송되면서 루프가 형성되도록 상기 원단을 당겨주는 당김롤러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이송부; 및 상기 침포휠의 사이에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1개 이상의 침포롤러가 장착되고, 상기 침포롤러의 외주면에 감아 고정되어 이송되는 상기 원단에 루프를 형성하기 위한 침포가 부착되며, 상기 침포롤러의 축에 엇갈리게 걸어져 자유회전에 제동을 가하기 위한 브레이크벨트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기모형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테이프용 기모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되어지는 원단이 팽팽한 상태로 이송되도록 공급측에 장력조절장치가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되어지는 원단이 더욱 많은 침포롤러에 접촉되어 지나도록 상기 원단의 높이를 수직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침포휠 직전에 기모량조절롤러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테이프용 기모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침포는 두꺼운 베이스의 일면으로 돌출되도록 다수의 침이 심어지고, 상기 침은 원단에 형성된 올이 걸어지도록 날카로운 침이 일측으로 기울어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침포롤러가 자유회전되는 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브레이크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벨트장력조절장치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패스너테이프용 기모기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패스너테이프용 기모기에 사용되는 침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패스너테이프용 기모기의 요부 작동상태도,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패스너테이프용 기모기의 침포롤러에 올이 걸어진 상태의 상태도,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패스너테이프용 기모기의 침포롤러에 올이 걸어져 완전히 뽑힌 상태의 상태도,
도 4c는 본 발명에 의한 패스너테이프용 기모기의 침포롤러에 올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의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패스너테이프용 기모기의 일실시예에 의한 벨트장력조절장치의 개략도,
도 6a는 본 발명에 의한 패스너테이프용 기모기의 다른실시예에 의한 벨트장력조절장치의 개략도,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패스너테이프용 기모기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벨트장력조절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7는 종래의 매직테이프용 기모기의 정단면도,
도 8은 종래의 기모기의 사시도,
도 9은 종래의 기모기의 기모로울러부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기모형성부 2: 회전부
3: 이송부 4: 장력조절장치
5: 기모량조절롤러 6: 당김롤러
7: 침포 9,9': 벨트장력조절장치
10: 본체 11: 침포롤러
12: 브레이크벨트 13: 축
20: 원단 21: 침포휠
22: 회전축 23,63: 풀리
24,64: 벨트 25: 회전모터
31: 이송롤러 51: 가이드홀
61: 밀착롤러 62: 조절레바
65: 당김모터 71: 침
72: 베이스 73: 직물포
81: 올 82: 루프
91: 숫나사부재 92: 암나사부재
93: 걸이 94: 손잡이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패스너테이프용 기모기의 개략도이며, 원단(20)에 루프(82)를 형성하기 위한 기모형성부(1)를 중심으로 침포(7)를 상기 원단(20)에 접촉시켜주기 위한 회전부(2) 및 상기 원단(20)을 일방향으로 이송시켜주기 위한 이송부(3)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공급되는 원단(2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장치(4) 및 상기 기모형성부(1)에 보다 넓은 면적의 원단(20)이 접촉되도록 상기 원단(20)의 공급 위치를 조절해주는 기모량조절롤러(5)가 부가적으로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공지의 구성요소인 원단의 공급부, 후처리부 및 수집부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서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패스너테이프용 기모기의 구성은 회전부(2), 이송부(3), 기모형성부(1), 장력조절장치(4) 및 기모량조절롤러(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회전부(2)는 본체(10)의 중앙에 고정된 회전축(22)의 양측에 원판형의 침포휠(21)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침포휠(21)의 가장자리 둘레에는 침포롤러(11)의 축(13)이 끼워져 자유회전 될수 있도록 형성된 구멍에 상기 축(13)이 베어링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22)의 일단에는 회전모터(25)에 의하여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침포휠(21)에 전달하기 위하여 동력전달수단으로 풀리(23)가 결합되어 벨트(24)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이송부(3)는 공급부(미도시됨)로부터 공급된 원단(20)을 상기 기모형성부(1)로 이송하기 위한 다수의 이송롤러(31)를 포함하는 이송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원단(20)이 일방향으로 당겨져 이송되면서 루프(82)가 형성되도록 당김롤러(6)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당김롤러(6)의 일단에는 당김모터(65)에 의하여 전달된 회전력을 당김롤러(6)에 전달하기 위하여 동력전달수단으로 풀리(63)가 결합되어 벨트(64)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당김롤러(6)의 일측 외주면에는 공급된 원단(20)을 확실하게 밀착시켜 당겨주기 위하여 밀착롤러(61)가 접하고 있고, 상기 밀착롤러(61)는 공급된 상기 원단(20)의 두께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적용되도록 리드기어에 결합된 조절레바(62)를 사용하여 상기 당김롤러(6)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기모형성부(1)는 공급부(미도시됨)로부터 이송부(3)를 통하여 이송된 원단(20)이 회전부(2)의 하부를 지날때 상기 원단(20)의 일면에 루프(82)를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침포롤러(11)와 상기 침포롤러(11)의 축(13)을 서로 엇갈리게 걸어주기 위한 브레이크벨트(12)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회전부(2) 양측의 침포휠(21) 사이에 둘레를 따라 형성된 구멍에 베어링과 함께 끼워져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1개 이상의 침포롤러(11)가 장착되며, 상기 침포롤러(11)의 자유회전에 약간의 제동을 가하여 루프(82)가 형성될때 상기 루프(82)가 끊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침포롤러(11)의 축(13)에 상기 브레이크벨트(12)를 엇갈리게 걸어서 평상시(루프를 형성하지 않을때) 침포롤러(11)가 정지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다수의 상기 침포롤러(11)가 상기 브레이크벨트(12)에 엇갈리게 걸어지기 위해서는 적어도 4개 이상 짝수 개의 침포롤러(11)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침포롤러(11)의 외주면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침(71)이 심어진 침포(7)가 감아져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침포롤러(11)에 엇갈리게 걸어진 상기 브레이크벨트(12)는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고 있지만 상기 침포롤러(11)에 보다 큰 제동을 가하거나 작은 제동을 가하기 위하여 벨트장력조절장치(9,9')가 부가적으로 구비되어 사용된다.
상기 이송부(3)의 공급측에는 이송되는 원단(20)이 팽팽한 상태로 이송되도록 롤러의 위상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장치(4)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장력조절장치(4)와 회전부(2)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이송부(3)에 의하여 이송되는 원단(20)이 더욱 많은 침포롤러(11)에 접촉되어 지나도록 상기 원단(20)의 공급측의 높이를 수직으로 조절하기 위한 기모량조절롤러(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기모량조절롤러(5)는 상기 장력조절장치(4) 직후 본체(10)에 소정의 높이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된 가이드홀(51)에 기모량조절롤러(5)의 축이 끼워져 수동 또는 자동조작에 의하여 수직으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위치조절수단(미도시됨)을 구비하여 승강되도록 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패스너테이프용 기모기에 사용되는 침포(7)의 사시도이며, 날카로운 첨부를 갖는 다수의 침(71)이 직물포(73)와 합포된 다소 두꺼운 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베이스(72)의 일면으로 돌출되어 정렬된 상태로 심어져 있고, 상기 직물포(73)의 배면에는 상기 침(71)의 뿌리부가 흔들리지 않고 고정되도록 두꺼운 직물포(73)가 접합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침포(7)는 섬유 재질의 베이스(72)와 직물포(73)가 접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침포롤러(11)에 감아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상기 침포(7)에 심어져 돌출된 침(71)은 원단(20)에 형성된 올(81)이 걸어지도록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패스너테이프용 기모기의 요부 작동상태도 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의한 패스너테이프용 기모기의 침포롤러(11)에 올(81)이 걸어지기 시작한 상태부터 걸림이 해제되어 루프(82)가 형성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회전부(2) 및 기모형성부(1)와 일부에 대하여 확대한 작동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송부(3)에 의하여 원단(20)이 진행되는 방향을 일방향(좌측에서 우측으로)으로 정의하고, 상기 원단(20)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정회전, 그와 반대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역회전이라 정의한다.
도 3은 상기 침포휠(21)이 정회전되면서 하부로 공급된 원단(20)에 루프(82)를 형성하기 위하여 침포롤러(11)에 접촉된 원단(20)에 루프(82)가 형성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원단(20)에 형성된 다수의 올(81)에 걸어진 침포롤러(11)의 공전이 저지되면서 침포롤러(11)의 축(13)과 브레이크벨트(12)에서 발생되는 미끌림에 의하여 상기 원단(20)에 접촉하고 있는 침포롤러(11)가 정회전되는 침포롤러(11)들을 제외하면 다른 침포롤러(11)들은 회전이 없는 상태에서 침포휠(21)의 회전에 따라 공전만이 이루어진다.
상기 원단(20)에 루프(82)를 형성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이송부(3) 및 상기 기모량조절롤러(5)를 통하여 공급된 원단(20)은 회전부(2)에 장착된 기모형성부(1)의 하부로 유인되어 일방향으로 계속적으로 공급되고, 그와 동시에 도 4a와 같이 상기 침포휠(21)을 원단(20)의 진행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역회전시켜서 침포롤러(11)에 감겨진 침포(7)의 침(71)에 상기 원단(20)의 올(81)이 걸어진다. 이때 상기 침포롤러(11)의 축(13)은 도 4b와 같이 브레이크벨트(12)에 의하여 엇갈리게 걸어져 있으므로 정지된(회전이 없는) 상태로 침포휠(2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침포롤러(11)가 공전되므로 침포롤러(11)의 침(71)에 걸어진 원단(20)의 올(81)이 당겨져 뽑히게 되며, 상기 올(81)이 뽑히면서 양측에 형성된 올(81)이 원단(20)의 표면에 뭍히게되어 루프(82)가 형성된다. 이후 상기 침포롤러(11)의 침(71)에 걸어져 완전히 뽑힌 상기 올(81)은 도 4c와 같이 더이상 뽑히지 않게 되어 상기 브레이크벨트(12)에 걸어져 정지된 상기 침포롤러(11)의 공전이 저지되며 상기 침포롤러(11)의 침(71)이 뒤로 당겨짐에 따라서 상기 축(13)과 상기 브레이크벨트(12)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되면서 상기 침포롤러(11)가 약간 정회전되어 올(81)의 걸림이 해제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원단(20)이 상기 기모형성부(1)를 지나면서 올(81)의 걸림과 해제가 반복되면서 패스너테이프용 루프(82)가 형성된다.
상기 원단(20)은 본 발명에 의한 기모량조절롤러(5)의 위상을 조절함에 따라 상기 원단(20)이 상기 침포롤러(11)에 접촉되는 개수 또는 면적을 조절하여 패스너테이프에 형성되는 루프(82)의 밀도와 품질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침포롤러(11)에 원단(20)을 접촉시켜 루프(82)를 형성하는 경우 15m/min 이상의 속도로 상기 원단(20)을 이송시키면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장시간 운전으로 인하여 상기 침포롤러(11)의 침포(7)가 마모됐을때는 상기 원단(20)을 제거한 후 침포휠(21)을 역회전 시켜주는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침포휠(21)을 역회전시키고 이때 롤형상의 샌드페이퍼(미도시됨)를 접근시켜 침(71)의 첨부를 갈아주면 작업이 가능한 상태로 재생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패스너테이프용 기모기의 일실시예에 의한 벨트장력조절장치(9)의 개략도이며, 상기 침포휠(21)에 고정된 다수의 침포롤러(11)가 자유회전되는 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브레이크벨트(12)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벨트장력조절장치(9)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벨트장력조절장치(9)는 절단된 브레이크벨트(12)의 양단에 소켓형상의 암나사부재(92)와 숫나사부재(91)가 회전가능 하도록 형성되어 각각의 나사부재가 상호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부재를 조이거나 풀어주는 조작을 통하여 상기 브레이크벨트(12)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도 6a는 본 발명에 의한 패스너테이프용 기모기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벨트장력조절장치(9')의 개략도이며, 도 5에 도시된 벨트장력조절장치(9)와는 다르게 상기 브레이크벨트(12)를 절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굽쇠형상의 걸이(93)에 상기 브레이크벨트(12)가 끼워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걸이(93)의 상부에는 나사부재가 연장되어 상기 침포휠(21)의 일측면에 지지되고, 상단부에는 손잡이(94)가형성되어 상기 걸이(93)를 돌려서 브레이크벨트(12)를 비틀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패스너테이프용 기모기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벨트장력조절장치(9')의 사용 상태도이며, 도 6a에 도시된 벨트장력조절장치(9')의 손잡이(94)를 돌려서 브레이크벨트(12)를 비틀어주면 상기 브레이크벨트(12)에 보다 큰 장력이 작용되어 다수의 침포롤러(11)가 더욱 팽팽하게 걸어져 큰 힘으로 상기 침포롤러(11)의 자유회전을 제동할 수 있도록 장력이 조절된다.
상기 벨트장력조절장치(9,9')는 상술한 방법 및 수단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롤러의 위상을 조절하여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장치를 침포휠(21)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침포휠에 고정된 다수의 침포롤러가 자전되지 않으면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동력전달수단이 사용되지 않게 되어 침포롤러의 회전에 소요되는 동력을 절약할 수 있었고, 상기 침포롤러의 축에 브레이크벨트를 엇갈리게 걸어줌으로써 상기 침포롤러가 상기 침포휠의 회전에 대하여 자전이 없는 상태로 공전되면서 원단의 올을 침포에 걸어 뽑아내며, 상기 올이 완전히 뽑혀 더이상 뽑히지 않을 경우 상기 침포롤러의 공전에 제동이 가해져 상기 침포롤러의 축과 상기 브레이크벨트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되어 원단의 진행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약간 회전되면서 올의 걸림과 이탈이 반복되어 올이 끊어지지 않은 상태로 원단에 양질의 루프가 형성되었고, 기모량조절롤러에 의하여 공급되는 원단이 보다많은 침포롤러에 넓은 면적이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원단 전체에 대하여 균일한 밀도의 루프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며, 상기 원단의 넓은 면적에 대하여 루프 형성작업이 이루어지므로 고속으로 이송시키면서 루프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여 생산성이 증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장시간 운전으로 침포가 손상되어 교체가 필요한 경우 침포휠을 역회전시킨 후 롤형상의 샌드페이퍼를 접근시켜 작업가능한 상태로 침의 첨부를 재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Claims (5)

  1. 다수의 침포롤러(11)가 형성된 침포휠(21)의 회전으로 패스너테이프의 원단(20)에 루프(82)를 형성하는 패스너테이프 기모기에 있어서,
    본체(10)에 고정된 회전축(22)의 양측에 원판형의 침포휠(21)이 장착되고, 상기 침포휠(21)이 동력전달수단에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회전모터(25)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회전부(2);
    상기 원단(20)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원단(20)이 일방향으로 이송되면서 루프(82)가 형성되도록 상기 원단(20)을 당겨주는 당김롤러(6)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이송부(3); 및
    상기 침포휠(21)의 사이에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1개 이상의 침포롤러(11)가 장착되고, 상기 침포롤러(11)의 외주면에 감아 고정되어 이송되는 상기 원단(20)에 루프(82)를 형성하기 위한 침포(7)가 부착되며, 상기 침포롤러(11)의 축(13)에 엇갈리게 걸어져 자유회전에 제동을 가하기 위한 브레이크벨트(12)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기모형성부(1);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테이프용 기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3)에 의하여 이송되어지는 원단(20)이 팽팽한 상태로 이송되도록 공급측에 장력조절장치(4)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테이프용 기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3)에 의하여 이송되어지는 원단(20)이 더욱 많은 침포롤러(11)에 접촉되어 지나도록 상기 원단(20)의 높이를 수직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침포휠(21) 직전에 기모량조절롤러(5)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테이프용 기모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포(7)는 두꺼운 베이스(72)의 일면으로 돌출되도록 다수의 침(71)이 심어지고, 상기 침(71)은 원단(20)에 형성된 올(81)이 걸어지도록 날카로운 침(71)이 일측으로 기울어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테이프용 기모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포롤러(11)가 자유회전되는 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브레이크벨트(12)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벨트장력조절장치(9,9')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테이프용 기모기.
KR10-2002-0032487A 2002-06-11 2002-06-11 패스너테이프용 기모기 KR100440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2487A KR100440090B1 (ko) 2002-06-11 2002-06-11 패스너테이프용 기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2487A KR100440090B1 (ko) 2002-06-11 2002-06-11 패스너테이프용 기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4993A KR20030094993A (ko) 2003-12-18
KR100440090B1 true KR100440090B1 (ko) 2004-07-14

Family

ID=32386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2487A KR100440090B1 (ko) 2002-06-11 2002-06-11 패스너테이프용 기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00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161B1 (ko) 2011-04-20 2013-05-06 주식회사부민양행 기모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75319B (zh) * 2016-08-11 2017-12-29 王颖洲 一种改良的保健颈枕及其制备方法
CN110644174A (zh) * 2019-10-10 2020-01-03 广东溢达纺织有限公司 布料起毛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1592U (ja) * 1983-03-12 1984-09-21 金井 宏之 ル−プ起毛用起毛機
KR910001329U (ko) * 1989-06-12 1991-01-24 한국통신 주식회사 외부감시용 비디오 폰
US5920971A (en) * 1998-08-18 1999-07-13 Woonsocket Napping Machine Corp. Planetary napping machine
KR200181841Y1 (ko) * 1999-11-04 2000-05-15 서정모 기모기
KR20010091651A (ko) * 2000-03-17 2001-10-23 권정만 기모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1592U (ja) * 1983-03-12 1984-09-21 金井 宏之 ル−プ起毛用起毛機
KR910001329U (ko) * 1989-06-12 1991-01-24 한국통신 주식회사 외부감시용 비디오 폰
US5920971A (en) * 1998-08-18 1999-07-13 Woonsocket Napping Machine Corp. Planetary napping machine
KR200181841Y1 (ko) * 1999-11-04 2000-05-15 서정모 기모기
KR20010091651A (ko) * 2000-03-17 2001-10-23 권정만 기모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161B1 (ko) 2011-04-20 2013-05-06 주식회사부민양행 기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4993A (ko) 200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0090B1 (ko) 패스너테이프용 기모기
JPS5927405B2 (ja) 繊維切断装置
JPS5913422B2 (ja) オリモノキカイヨウヤ−ンソウシユツソウチ
CN206203587U (zh) 一种络筒机的上蜡装置
US4056239A (en) Yarn supply apparatus for positive thread supply
CN216471302U (zh) 一种拉布机
JPH10273858A (ja) 糸消費を断続化する糸供給デバイス
KR20220132118A (ko) 해초류 종묘사 회권장치
CN102350808A (zh) 一种物料成型装置
KR20220041269A (ko) 이물질 제거 장치가 구비된 호스 권취장치
CN2289816Y (zh) 纺织起毛机
CN106480587A (zh) 一种布料自打卷装置
KR200319661Y1 (ko) 끈의 표면 가공장치
US1506437A (en) Winding device
CN208776059U (zh) 一种纱线进料装置
CN219585418U (zh) 一种带式松布机构
CN202242039U (zh) 一种物料成型装置
CN220641854U (zh) 一种魔术贴分带收卷机的贴带机构
JPS6217516Y2 (ko)
KR950009534Y1 (ko) 직기용 프렉션 롤러의 회전장치
JPS61287646A (ja) 長尺物のスプ−ル巻取り方法
EP0863236B1 (en) Weft thread preparation device particularly for feeding threads made of metal, nylon and the like to weaving looms
JPH01308345A (ja) 連続運転式ウエブロール製造装置
KR980008189U (ko) 염색기의 상압 및 고압지거 장력조절장치
JPS6014774Y2 (ja) 扁平素材緯糸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