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1651A - 기모기 - Google Patents

기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1651A
KR20010091651A KR1020000013568A KR20000013568A KR20010091651A KR 20010091651 A KR20010091651 A KR 20010091651A KR 1020000013568 A KR1020000013568 A KR 1020000013568A KR 20000013568 A KR20000013568 A KR 20000013568A KR 20010091651 A KR20010091651 A KR 20010091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roller
brush
tim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3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곤
Original Assignee
권정만
정동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정만, 정동곤 filed Critical 권정만
Priority to KR20200000076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914Y1/ko
Priority to KR1020000013568A priority patent/KR20010091651A/ko
Publication of KR20010091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1651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1/00Teasing, napping or otherwise roughening or raising pile of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D06B23/02Ro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00Finishing or decoration of textile materials, except for bleaching, dyeing, printing, mercerising, washing or fulling
    • D06C2700/15Brushing or beating of fabrics for finishing but not for 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중심회전축(100)에 일정거리를 두고 회전원판(101)(102)을 부착하여 양측 회전원판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에 축공부를 만들어 양측 축공부 사이에 각각 기모로울러(200)를 나란히 장착하고 각 기모로울러의 회전축(201) 일단을 회전원판의 외측으로 서로 어긋나게 돌출시켜 돌출부에 타이밍푸울리(202)를 부착하여 타이밍벨트(300)로 연결시키고 기모로울러를 연결하는 타이밍벨트(300)는 또 중심회전축에 장치된 구동타이밍푸울리(103)의 표면과 접촉하여 피동될수 있게 구동타이밍벨트 상하측으로 장력조정용 가이드로울러(400)(500)를 장치하며 중심회전축(100)의 구동타이밍푸울리(103)를 구동모우터(600)의 구동타이밍 푸울리(601)와 타이밍벨트(602)로 연결하므로서 타이밍벨트에 의거 구동되게 구성한 구동장치와; 기모로울러뭉치 외측 하부에기모할 직물지(700)가 투입되는 투입용 가이드로울러(800)와 기모된 직물지가 배출되는 배출용 가이드로울러(803)를 설치하고 상부측에 직물이간용 가이드로우러(801)(802)를 좌우측 또는 중앙부분에 설치하여 가이드뭉치에 공급되는 직물지가 직물이간용 가이드로울러(801)(802) 부분에서 가이드로울러 외측을 통과하게 하고 직물이간용 가이드로울러(801)(802)가 설치된 양측에는 가압지점이 조정되는 각 2개씩의 가압로울러(81)(82)를 구비하여 가압정도를 조정케하므로서 기모할 직물지와 기모로울러의 접촉거리를 조정할수 있게 구성시킨 기모직물 접촉거리 조정장치와; 중심회전축(100)을 지지하는 축지지부(104) 상부에 가설대(105)를 설치하여 중심부에 연결구멍(106)을 뚫어 연결봉(107)의 하단지지부(108)를 끼워 연결구멍과 하단지지부 사이에 드러스트베아링(109)을 장치하고 연결봉(107)의 상단 나사부(107a)를 상측고정부(10a)의 암나사부(10b)에 나사연결케하고 연결봉(107)에 스페너작동부(107b)를 형성시켜 축지지부(104)를 고정부(10)에서 분리하고 연결봉(107)을 회전시킴에 따라 축지지부(104)를 승강시킬수 있게한 축지지부 승강장치와; 기모로울러뭉치 하부 직물지가 투입되는 투입용 가이드로울러(800)와 직물지가 배출되는 배출용 가이드로울러(803) 사이에 부러쉬로울러(900)(901)를 감싸주는 집진통(902)을 설치하여 집진후드(903)를 부착하고 집진통(902) 양측에 지지간을 부착하여 전후에 축봉을 설치하므로서 집진통(902)을 부러쉬로울러(900)(901) 하측으로 이동시킬수 있게한 집진장치와; 중심회전축(100)의 축지지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축(100a)에 헤리컬기어(100b)를 부착하고 그 하측에 중계축봉(40)을 부착하여 헤리컬기어(41)를 부착하여 서로 치합되게 한다음 중계축봉(40) 외측에 단턱을 만들어 지지되는 축봉(42)을 만들어 그 외면에 클러치 회전축(43)을 끼워 키이(44)로 연결한후 베어링(45)을 끼우고 라이닝판(46)을 장치하여 라이닝판 외측에 타이밍푸울리(47)를 설치한후 라이닝판 외측으로 에어클러치(48)를 부착하여 그 마찰판(49)이 라이닝판(50)에 접촉되게 고정너트(51)를 체우고 지지축봉(42) 외면에 베어링(52)을 끼우고 물림클러치(53)(54)를 장치하여 축봉 끝에서 코일스프링(55)에 탄발되도록 작동판(56)을 설치하여 코일스프링 받침구(57)를 축봉에서 이탈되지 않게 너트(58)로 고정시켜 작동판(56) 외측에 리미트스위치(59)를 장치한 비상클러치장치와 비상클러치의 타이밍푸울리(47)와 부러시로울러의타이밍푸울리(90)(91) 및 아이들타이밍푸울리(92)(93)에 타이밍벨트(60)를 장치하여 부러시로울러에 이상저항이 발생할 경우 중심회전축의 구동을 중지할수 있게한 안전장치가 구비됨으로서 구동효과가 정확하고 타이밍조절과 텐션조정이 용이하며 고장배제는 물론이고 기모지와 기모로울러의 마찰을 적절히 하여 기모효과를 높이는 등의 장점이 있어서 종래의 기모기에 비해 생산성이 높은 제품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기모기{ Raising machine}
본 발명은 직물지의 기모기에 관한 것이다.
기모기는 회전원판 사이에 다수의 기모로울러를 나란히 장치하여 회전원판을 회전시키면서 각 기모로울러를 자전시킬수 있게 구성한 기모로울러뭉치의 기모로울러 표면으로 기모하고자 하는 직물지를 접촉시켜 기모로울러가 직물지의 표면에 마찰하여 파일부를 모우(毛羽)형태로 가공하는 것으로
기모로울러뭉치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의 구성과 각 기모로울러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를 비롯하여 기모할 직물지를 기모로울러에 접촉시키는 수단, 그리고 기모과정에서 발생하는 장력조정과 부러시의 표면에 부착하는 이물질의 처리등이 기모기의 성능을 좌우하게 되고 이것이 생산성에 큰 영향을 기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모기는 기모기를 지지하는 회전원통의 구동수단이 벨트 또는 기어방식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라 벨트의 경우 미끄럼현상이 잦아 동력전달의 신뢰성이 떨어지므로 장시간 운전시 일정한 장력으로 구동하는 것이 불가능했고 기어방식에 의한 구동은 장력유지와 저항해소에 따른 정밀성과 효율성에서 만족감을 얻을수 없는 결점이 있었기 때문에 생산성을 높일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중점적으로 개량하면서 기모기의 사용을 더욱 편리하게 개발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모로울러 뭉치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동장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모기에 원단이 공급되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모로울러에 기모천이 접촉되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모로울러에 기모천이 접촉되는 또 다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중심축 승강장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가압구 구성예시도
도 9, 도 10는 본 발명의 가압구 구성을 확대한 예시도
도 11, 도 12은 본 발명의 집진장치부분의 예시도
도 13는 본 발명의 가이드부분 확대도
도 14, 도 15는 본 발명의 클러치장치 예시도
도 16는 본 발명의 가이드부분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안전장치 계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부 11 : 암나사
13,14 : 보울트 100 : 중심회전축
101,102 : 회전원판 103,202 : 구동타이밍푸울리
104 : 축지지부 105 : 가설대
106 : 연결구멍 107 : 연결봉
108 : 하단지지부 109 : 드러스트베어링
200 : 기모로울러 201 : 회전축
30 : 헤리컬기어 300 : 타이밍벨트
40 : 중계축봉 41 : 헤리컬기어
42 : 지지축봉 43 : 클러치회전축
44 : 키이 45,52 : 베어링
46 : 라이닝판 47 : 타이밍푸울리
48 : 에어클러치 49 : 마찰판
400, 500 : 장력조정용가이드 50 : 라이닝판
51 : 고정너트 53,54 : 물림클러치
55 : 코일스프링 56 : 작동판
57 : 받침구 58 : 너트
59 : 리미트스위치 60 : 타이밍벨트
600 : 구동모우터 601 : 구동타이밍푸울리
602 : 타이밍벨트 70 : 피동클러치
81, 82 : 가압로울러 83 : 이동너트
84 : 회전나사봉 800,801,802,803 : 가이드로울러
90,91,92,93 : 타이밍푸울리 900,901 : 부러쉬로울러
902 : 집진통 903 : 집진후드
904 : 지지부 905 : 지지축부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도 2에서 보는 바와같이 중심회전축(100)에 일정거리를 두고 회전원판(101)(102)을 부착하여 양측 회전원판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에 축공부(1가)를 만들어 양측 축공부 사이에 각각 기모로울러(200)를 나란히 장착하고 각 기모로울러의 회전축(201) 일단을 회전원판의 외측으로 서로 어긋나게 돌출시켜 돌출부에 타이밍푸울리(202)를 부착하여 타이밍벨트(300)로 연결시키고 기모로울러를 연결하는 타이밍벨트(300)는 또 중심회전축에 장치된 구동타이밍푸울리(103)의 표면과 접촉하여 피동될수 있게 구동타이밍벨트 상하측으로 장력조정용 가이드로울러(400)(500)를 장치하며 중심회전축(100)의 구동타이밍푸울리(103)를 구동모우터(600)의 구동타이밍 푸울리(601)와 타이밍벨트(602)로 연결하므로서 타이밍벨트에 의거 구동되게 구성한 구동장치와,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같이 기모로울러뭉치 외측 하부에기모할 직물지(700)가 투입되는 투입용 가이드로울러(800)와 기모된 직물지가 배출되는 배출용 가이드로울러(803)를 설치하고 상부측에 직물이간용 가이드로우러(801)(802)를 좌우측 또는 중앙부분에 설치하여 가이드뭉치에 공급되는 직물지가 직물이간용 가이드로울러(801)(802) 부분에서 가이드로울러 외측을 통과하게 하고 직물이간용 가이드로울러(801)(802)가 설치된 양측에는 가압지점이 조정되는 각 2개씩의 가압로울러(81)(82)를 구비하여 가압정도를 조정케하므로서 기모할 직물지와 기모로울러의 접촉거리를 조정할수 있게 구성시킨 기모직물 접촉거리 조정장치와,
도 7과 같이 중심회전축(100)을 지지하는 축지지부(104) 상부에 가설대(105)를 설치하여 중심부에 연결구멍(106)을 뚫어 연결봉(107)의 하단지지부(108)를 끼워 연결구멍과 하단지지부 사이에 드러스트베아링(109)을 장치하고 연결봉(107)의 상단 나사부(107a)를 상측고정부(10a)의 암나사부(10b)에 나사연결케하고 연결봉(107)에 스페너작동부(107b)를 형성시켜 축지지부(104)를 고정부(10)에서 분리하고 연결봉(107)을 회전시킴에 따라 축지지부(104)를 승강시킬수 있게한 축지지부 승강장치와,
도 11에서 예시한 바와같이 기모로울러뭉치 하부 직물지가 투입되는 투입용 가이드로울러(800)와 직물지가 배출되는 배출용 가이드로울러(803) 사이에 부러쉬로울러(900)(901)를 감싸주는 집진통(902)을 설치하여 집진후드(903)를 부착하고 집진통(902) 양측에 지지간을 부착하여 전후에 축봉을 설치하므로서 집진통(902)을부러쉬로울러(900)(901) 하측으로 이동시킬수 있게한 집진장치와,
도 14에서 표현된 바와같이 중심회전축(100)의 축지지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축(100a)에 헤리컬기어(100b)를 부착하고 그 하측에 중계축봉(40)을 부착하여 헤리컬기어(41)를 부착하여 서로 치합되게 한다음 중계축봉(40) 외측에 단턱을 만들어 돌출되는 축봉(42)을 만들어 그 외면에 클러치 회전축(43)을 끼워 키이(44)로 연결한후 베어링(45)을 끼우고 라이닝판(46)을 장치하여 라이닝판 외측에 타이밍푸울리(47)를 설치한후 라이닝판 외측으로 에어클러치(48)를 부착하여 그 마찰판(49)이 라이닝판(50)에 접촉되게 고정너트(51)를 체우고 축봉(42) 외면에 베어링(52)을 끼우고 물림클러치(53)(54)를 장치하여 축봉 끝에서 코일스프링(55)에 탄발되도록 작동판(56)을 설치하여 코일스프링 받침구(57)를 축봉에서 이탈되지 않게 너트(58)로 고정시켜 작동판(56) 외측에 리미트스위치(59)를 장치한 클러치장치와 저항감지장치의 타이밍푸울리(47)와 타이밍벨트(60)로 연결되게 부러시로울러 회전축 끝에 타이밍푸울리(90)(91)와 아이들타이밍푸울리(92)(93)를 장치하여 부러시로울러에 이물질이 부착될경우 중심회전축의 구동을 중지할수 있게한 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구성이고, 본 발명의 구동장치에 사용된 가이드로울러(400)(500)는 그 회전축(401)(501)이 편심으로 되어 고정축(402)(502)에 보울트(403)(503)로 결합되는 구성을 통해 가이드로울러(400)(500)의 가압지점을 고정축(402)(502)에서 이동시킬수 있게 되는 구성이며 직물지의 접촉거리를 이동시키는 가압로울러는 도 8 내지 도 10과 같이 가압로울러(81)(82)의 축지부를 이동너트(83)에 장치하고 이동너트(83)를 회전나사봉(84)에 장치하여 회전나사봉을강제 회전시키는 장치를 통해 가압부를 변경시킬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같이된 본 발명은 기모로울러뭉치에 장치된 기모로울러(200)가 중심회전축(100)에 고정된 회전원판(101)(102)의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그 회전축 끝에 타이밍푸울리(202)가 부착되어 그 외주면으로 타이밍벨트(300)가 피복되어 중심회전축(100)에 부착된 구동타이밍푸울리(103)에 치합하는 구성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중심회전축(100)을 회전시키면 기모로울러뭉치가 회전하면서 각 기모로울러도 회전이 되는 구성이고 타이밍벨트로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는 구동이므로 일정한 속도로 회전을 시킬수 있도록 되어서 구동작용이 정밀하고 정확하게 되는 장점이 있어 장시간의 작업에도 회전력의 변동이 없고 마찰력의 변화가 없이 기모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장력조정이나 타이밍조정이 원활하게 되는 장점이 있으며 기모로울러 표면에 접촉되는 직물지는 투입부에서 배출부에 이르기까지 기모로울러 뭉치를 감아 돌면서 기모로울러와 접촉하여 기모작업을 하게되는데 본 발명의 경우는 직물지가 투입부에서 배출부에 이르기까지 한곳 또는 두곳에 이간장치가 있어서 기모시에 맞는 마찰저항을 일단 분리시켰다가 다시 접촉시킬수 있기 때문에 기모터치조절이 가능하여 기모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장점이 있고
기모작업의 장기화로 부러시로울러(900)(901)의 표면에 이물질이 묻어 이를 청소해야할 경우 집진통의 일측을 열고 아래로 낙하시켜 처리작업이 용이하게 되는장점이 있으며
또, 부러시로울러(900)(901)의 표면에 이물질이 묻어 마찰저항을 급격이 증대시킬 경우 그 회전저항이 증대되면 타이밍벨트(60)를 통해 클러치회전축(43)에 그 힘이 전달되어 물림클러치(53)(54)를 작동시키므로 외측물림클러치를 외향시켜 작동판(56)이 외향이동되어 리미트스위치(59)를 눌러 주축모터 작동전원을 off시키게 되고 회전저항이 정상저항인 경우에는 클러치장치가 축봉(42)과 클러치회전축(43)을 접속시켜 중심회전축의 회전이 헤리컬기어(100b)(41)와 타이밍벨트(60)를 통해 부러시로울러를 구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부러시로울러의 회전에 이상이 발생할시는 클러치장치가 작동되어 중심회전축의 회전을 중지시키기 때문에 억지회전에 의한 기계부품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어 안전을 도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타이밍벨트를 교한하고자 할 경우 중심회전축의 축지부(104)를 고정대에서 분리하고 연결봉(107)을 회전시켜 축지부(104)를 상승시켜 축지부(104)와 고정대 사이에 간격을 확보할수 있기 때문에 벨트교환도 편리하고 교환이 이루어진후에는 상승시와 역순으로 축지지부를 내려서 고정시킬수 있기 때문에 작업의 편의성을 얻을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동효과가 정확하고 타이밍조절과 텐션조정이 용이하며 고장배제는 물론이고 기모지와 기모로울러의 마찰을 적절히 하여 기모효과를 높이는 등의 장점이 있어서 종래의 기모기에 비해 생산성이 높은 제품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8)

  1. 중심회전축(100)에 일정거리를 두고 회전원판(101)(102)을 부착하여 양측 회전원판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에 축공부를 만들어 양측 축공부 사이에 각각 기모로울러(200)를 나란히 장착하고 각 기모로울러의 회전축(201) 일단을 회전원판의 외측으로 서로 어긋나게 돌출시켜 돌출부에 타이밍푸울리(202)를 부착하여 타이밍벨트(300)로 연결시키고 기모로울러를 연결하는 타이밍벨트(300)는 또 중심회전축에 장치된 구동타이밍푸울리(103)의 표면과 접촉하여 피동될수 있게 구동타이밍벨트 상하측으로 장력조정용 가이드로울러(400)(500)를 장치하며 중심회전축(100)의 구동타이밍푸울리(103)를 구동모우터(600)의 구동타이밍 푸울리(601)와 타이밍벨트(602)로 연결하므로서 타이밍벨트에 의거 구동되게 구성한 구동장치와;
    기모로울러뭉치 외측 하부에기모할 직물지(700)가 투입되는 투입용 가이드로울러(800)와 기모된 직물지가 배출되는 배출용 가이드로울러(803)를 설치하고 상부측에 직물이간용 가이드로우러(801)(802)를 좌우측 또는 중앙부분에 설치하여 가이드뭉치에 공급되는 직물지가 직물이간용 가이드로울러(801)(802) 부분에서 가이드로울러 외측을 통과하게 하고 직물이간용 가이드로울러(801)(802)가 설치된 양측에는 가압지점이 조정되는 각 2개씩의 가압로울러(81)(82)를 구비하여 가압정도를 조정케하므로서 기모할 직물지와 기모로울러의 접촉거리를 조정할수 있게 구성시킨 기모직물 접촉거리 조정장치와;
    중심회전축(100)을 지지하는 축지지부(104) 상부에 가설대(105)를 설치하여중심부에 연결구멍(106)을 뚫어 연결봉(107)의 하단지지부(108)를 끼워 연결구멍과 하단지지부 사이에 드러스트베아링(109)을 장치하고 연결봉(107)의 상단 나사부(107a)를 상측고정부(10a)의 암나사부(10b)에 나사연결케하고 연결봉(107)에 스페너작동부(107b)를 형성시켜 축지지부(104)를 고정부(10)에서 분리하고 연결봉(107)을 회전시킴에 따라 축지지부(104)를 승강시킬수 있게한 축지지부 승강장치와;
    기모로울러뭉치 하부 직물지가 투입되는 투입용 가이드로울러(800)와 직물지가 배출되는 배출용 가이드로울러(803) 사이에 부러쉬로울러(900)(901)를 감싸주는 집진통(902)을 설치하여 집진후드(903)를 부착하고 집진통(902) 양측에 지지간을 부착하여 전후에 축봉을 설치하므로서 집진통(902)을 부러쉬로울러(900)(901) 하측으로 이동시킬수 있게한 집진장치와;
    중심회전축(100)의 축지지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축(100a)에 헤리컬기어(100b)를 부착하고 그 하측에 중계축봉(40)을 부착하여 헤리컬기어(41)를 부착하여 서로 치합되게 한다음 중계축봉(40) 외측에 단턱을 만들어 지지되는 축봉(42)을 만들어 그 외면에 클러치 회전축(43)을 끼워 키이(44)로 연결한후 베어링(45)을 끼우고 라이닝판(46)을 장치하여 라이닝판 외측에 타이밍푸울리(47)를 설치한후 라이닝판 외측으로 에어클러치(48)를 부착하여 그 마찰판(49)이 라이닝판(50)에 접촉되게 고정너트(51)를 체우고 지지축봉(42) 외면에 베어링(52)을 끼우고 물림클러치(53)(54)를 장치하여 축봉 끝에서 코일스프링(55)에 탄발되도록 작동판(56)을 설치하여 코일스프링 받침구(57)를 축봉에서 이탈되지 않게 너트(58)로 고정시켜 작동판(56) 외측에 리미트스위치(59)를 장치한 비상클러치장치와 비상클러치의 타이밍푸울리(47)와 부러시로울러의 타이밍푸울리(90)(91) 및 아이들타이밍푸울리(92)(93)에 타이밍벨트(60)를 장치하여 부러시로울러에 이상저항이 발생할 경우 중심회전축의 구동을 중지할수 있게한 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기모기
  2. 상기 1항에서 기모로울러의 구동장치는 중심회전축(100)에 일정거리를 두고 부착된 회전원판(101)(102)의 축공부(1가) 사이에 장치된 기모로울러(200)의 회전축(201) 일단을 회전원판의 외측으로 서로 어긋나게 돌출시켜 돌출부에 타이밍푸울리(202)를 부착하여 타이밍벨트(300)로 연결시키고 기모로울러를 연결하는 타이밍벨트(300)가 중심회전축에 장치된 구동타이밍푸울리(103)의 표면과 접촉하여 피동될수 있게 구성하여 구동타이밍벨트 상하측으로 장력조정용 가이드로울러(400)(500)를 장치하고 중심회전축(100)의 구동타이밍푸울리(103)를 구동모우터(600)의 구동타이밍 푸울리(601)와 타이밍벨트(602)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기
  3. 상기 1항에서 기모직물 접촉거리는 기모로울러뭉치 상부측에 직물이간용 가이드로우러(801)(802)를 좌우측 또는 중앙부분에 설치하여 가이드뭉치에 공급되는 직물지가 직물이간용 가이드로울러(801)(802) 부분에서 가이드로울러 외측을 통과하게 하고 직물이간용 가이드로울러(801)(802)가 설치된 양측에 가압지점이 조정되는 각 2개씩의 가압로울러(81)(82)를 구비하여 가압정도를 조정케하므로서 기모할 직물지와 기모로울러의 접촉거리를 조정할수 있게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기
  4. 상기 1항에서 중심회전축(100)의 양단을 지지하는 축지지부(104)는 상부에 가설대(105)를 설치하여 중심부에 연결구멍(106)을 뚫어 연결봉(107)의 하단지지부(108)를 끼워 연결구멍과 하단지지부 사이에 드러스트베아링(109)을 장치하고 연결봉(107)의 상단 나사부(107a)를 상측고정부(10a)의 암나사부(10b)에 나사연결케하고 연결봉(107)에 스페너작동부(107b)를 형성시켜 축지지부(104)를 고정부(10)에서 분리하고 연결봉(107)을 회전시킴에 따라 축지지부(104)를 승강시킬수 있게한 구성으로된 기모기.
  5. 상기 1항에서 집진장치는 투입용 가이드로울러(800)와 배출용 가이드로울러(803) 사이에 부러쉬로울러(900)(901)를 감싸주는 집진통(902)을 설치하여 집진후드(903)를 부착하고 집진통(902) 양측에 지지간을 부착하여 전후에 축봉을 설치하므로서 집진통(902)을 부러쉬로울러(900)(901) 하측으로 이동시킬수 있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기.
  6. 상기 1항에서 구동부의 이상해소를 위해 중심회전축(100)의 축지지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축(100a)에 헤리컬기어(100b)를 부착하고 그 하측에 중계축봉(40)을 부착하여 헤리컬기어(41)를 부착하여 서로 치합되게 한다음 중계축봉(40) 외측에 단턱을 만들어 지지되는 축봉(42)을 만들어 그 외면에 클러치 회전축(43)을 끼워 키이(44)로 연결한후 베어링(45)을 끼우고 라이닝판(46)을 장치하여 라이닝판 외측에 타이밍푸울리(47)를 설치한후 라이닝판 외측으로 에어클러치(48)를 부착하여 그 마찰판(49)이 라이닝판(50)에 접촉되게 고정너트(51)를 체우고 지지축봉(42) 외면에 베어링(52)을 끼우고 물림클러치(53)(54)를 장치하여 축봉 끝에서 코일스프링(55)에 탄발되도록 작동판(56)을 설치하여 코일스프링 받침구(57)를 축봉에서 이탈되지 않게 너트(58)로 고정시켜 작동판(56) 외측에 리미트스위치(59)를 장치한 클러치장치와 타이밍푸울리(47)와 부러시로울러의 타이밍푸울리(90)(91) 사이에 타이밍벨트(60)를 연결하여 부러시로울러에 이물질이 부착될 경우 중심회전축의 구동을 중지할수 있게한 기모기.
  7. 상기 1항에서 장력조정용 가이드로울러(400)(500)는 그 회전축(401)(501)이 편심으로 되어 고정축(402)(502)에 보울트(403)(503)로 결합되어 고정축(402)(502)에서 편심이동이 가능케한 구성을 포함하는 기모기.
  8. 상기 1항에서 가압로울러(81)(82)는 축지부(81a)(82a)가 이동너트(83) 사이에 장치되어 이동너트(83)를 회전나사봉(84)에 끼워 회전나사봉을 강제 회전시키는 수단으로 축지부 위치를 변경할수 있게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기모기.
KR1020000013568A 2000-03-17 2000-03-17 기모기 KR2001009165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616U KR200197914Y1 (ko) 2000-03-17 2000-03-17 기모기
KR1020000013568A KR20010091651A (ko) 2000-03-17 2000-03-17 기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3568A KR20010091651A (ko) 2000-03-17 2000-03-17 기모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7616U Division KR200197914Y1 (ko) 2000-03-17 2000-03-17 기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651A true KR20010091651A (ko) 2001-10-23

Family

ID=1965610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7616U KR200197914Y1 (ko) 2000-03-17 2000-03-17 기모기
KR1020000013568A KR20010091651A (ko) 2000-03-17 2000-03-17 기모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7616U KR200197914Y1 (ko) 2000-03-17 2000-03-17 기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9791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5267A (ko) * 2000-07-07 2002-01-17 권정만 3대의 기모기를 연동시키는 직열 기모방법
KR100440090B1 (ko) * 2002-06-11 2004-07-14 삼부산업주식회사 패스너테이프용 기모기
KR101358640B1 (ko) * 2012-03-07 2014-02-05 케이피레더 주식회사 가죽용 기모형성장치
CN114016239A (zh) * 2021-12-16 2022-02-08 广东德博仕工业有限公司 碳素六辊刷毛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865B1 (ko) 2012-03-02 2013-09-09 박용철 원형직물의 비틀림이 보정되는 기모기
CN110438712A (zh) * 2019-09-06 2019-11-12 海盐县于城漂染股份有限公司 一种经编布拉毛机
CN110644174A (zh) * 2019-10-10 2020-01-03 广东溢达纺织有限公司 布料起毛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5267A (ko) * 2000-07-07 2002-01-17 권정만 3대의 기모기를 연동시키는 직열 기모방법
KR100440090B1 (ko) * 2002-06-11 2004-07-14 삼부산업주식회사 패스너테이프용 기모기
KR101358640B1 (ko) * 2012-03-07 2014-02-05 케이피레더 주식회사 가죽용 기모형성장치
CN114016239A (zh) * 2021-12-16 2022-02-08 广东德博仕工业有限公司 碳素六辊刷毛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7914Y1 (ko) 2000-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1400A (en) Brushing apparatus
KR200197914Y1 (ko) 기모기
CN101699950B (zh) 园林工具刹车装置
CN1086758A (zh) 偏心圆盘磨光机
CN211145167U (zh) 一种减速机输出轴联轴装置
CN108890241B (zh) 用于上台面装配的转台装置
CN112440191B (zh) 一种粗精磨一体化的打磨设备
US3331482A (en) Friction clutch operable on rotating shaft
CN109305584B (zh) 一种安全性高的卷布机
GB2254342A (en) Friction false-twisting unit with a drive motor
CN213054309U (zh) 一种压缩机壳体加工工作平台
FI83030C (fi) Golvrengoerings- eller behandlingsmaskin.
CN220224486U (zh) 一种具有卸筒机构的加弹机
CN220519678U (zh) 一种涂布机上卷结构
CN221090204U (zh) 一种快换辊装置及应用该快换辊装置的印刷设备
CN219342180U (zh) 一种剖层机带驱动的环辊装置
KR102637652B1 (ko) 압연롤의 자동 연삭유 제거장치
KR950010570Y1 (ko) 볼트 너트 자동 조립기
JPH06503863A (ja) 紡糸素子駆動の際のエネルギー消費量を低減させる方法および装置
CN214584030U (zh) 一种测试轴承寿命的试验工装
JP4126120B2 (ja) スクリュー式機械
CN219293580U (zh) 一种碳刷弧面研磨工具
CN214305118U (zh) 一种凸轮间歇式分割器
JPH06199453A (ja) ビーム自動装着方法とその装置
CN201557393U (zh) 园林工具刹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