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8757B1 - 휴대통신기구 및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통신기구 및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8757B1
KR100438757B1 KR10-2001-0017839A KR20010017839A KR100438757B1 KR 100438757 B1 KR100438757 B1 KR 100438757B1 KR 20010017839 A KR20010017839 A KR 20010017839A KR 100438757 B1 KR100438757 B1 KR 100438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iness card
card information
information
user
recip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7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2523A (ko
Inventor
송승한
송승준
Original Assignee
송승한
송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63774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43875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1773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00037021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3049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00054371A/ko
Application filed by 송승한, 송승준 filed Critical 송승한
Priority to KR10-2001-0017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8757B1/ko
Publication of KR20010072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2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8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87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7Computer-aided management of electronic mailing [e-mai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Fina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관리시스템(10)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은 인터넷 브라우져를 내장한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는 웹서버(110)를 가진다. 또한 상기 시스템(10)은 상기 웹서버(110)와 연동하며 상기 웹서버를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개개인의 명함정보를 저장하는 명함정보데이터베이스(121)와, 사용자가 상기 웹서버를 통하여 특정 사용자를 지정하고 그에게 명함정보 발송을 명령한 경우 이들 사용자간의 발신자/수신자 관계를 저장하는 관계데이터베이스(122)와, 개개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관계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자인 사용자 각각에 대하여 명함정보 발송자를 확인하여 개개의 사용자에 대한 명함정보 발신자 정보를 기록하여 저장하는 사용자데이터베이스(123)를 가지는 명함정보관리데이터베이스서버(12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통신기구 및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y means of portable communication appliances via wire or wireless Internet and the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간편하게 활용 가능한 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별히, 본 발명은 한번의 명함정보의 입력으로 다수의 사람에게 명함정보를 배포할 수 있고 이러한 명함정보를 간편하게 보관 할 수 있으며 또한 다수의 명함제공자들에게 일괄적으로 명함정보를 포함한 정보를 보낼 수 있게 한다.
현재, 인터넷 기술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터넷 기술은 종래의 유선상의 접속을 넘어서 이제는 무선으로도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핸드폰, PDAs(Personal Data Assistant), 페이져(phaser)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들은 무선 인터넷 브라우져(browser)를 내장하여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 브라우져가 내장된 핸드폰은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하고 이를 통하여 특정 웹사이트(web site)에 접속하여 이로부터 정보를 받을 수 있다.
인터넷 기술을 포함한 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은 그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킨다. 예를 들어 개개인의 신상정보나 기타의 정보를 인터넷상의 전자우편(E-mail)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현재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가 상업화되어 이동통신 단말기간에 단문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메신저 서비스(Messenger Service)를 통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종래에 상대방에게 정보를 보내는 경우 명함이 활용되고 있다. 즉 명함을 통하여 상대방의 신상정보를 확인하며 이렇게 확인된 신상정보를 이용하여 정보를 상대방에게 보낸다. 예를 들어 받은 명함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어 음성을 통하여 정보를 보낼 수 있다. 또는 명함상의 전자우편 주소(E-mail address)를 활용하여 전자우편을 통하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명함상의 핸드폰 번호를 활용하여 전술한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단문정보를 보낼 수 있다.
이렇게 명함을 활용하여 정보를 전송할 수 있기 위해서는 먼저 개개의 명함을 인쇄하여 개개인에게 직접 대면하여 또는 우편등을 통하여 전달하여야 하며, 명함을 받은 사람은 후일의 활용을 위하여 이를 명함첩등에 보관하여야 한다. 또한 이미 다수의 명함을 받은 경우, 동일정보를 이들 다수의 자에게 보내는 경우에도, 이들 명함 제공자들 모두에게 개별적으로 정보를 전송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a, b, c 세 사람으로부터 명함을 받았고, 이들 3인에게 단문메시지 서비스(SMS)를 이용하여 동일한 단문 메시지를 보내는 경우에, a, b, c의 3인 각각의 핸드폰 번호를 입력하고 이들에게 보낼 단문을 핸드폰에 또한 입력하여 전송하여야 한다.
또한, 명함제공자의 명함정보의 변경이 있는 경우 다시 새로운 명함을 받거나 또는 명함정보 변경사항을 연락받아 이를 정리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기존의 명함을 새로 받은 명함으로 교체하여 보관하거나 또는 연락받은 명함정보의 변경사항을 기존의 명함에 기록하거나 하여야 한다.
나아가서, 명함을 받은 경우 명함제공자와 관련되어 별도로 기록하여야 할 사항이 생긴다. 예를 들어 중요한 거래를 위하여 만난 사람에게서 명함을 받은 경우, 거래와 관련된 사항을 명함과 관련하여 기록하여둘 필요가 있다.
따라서, 만일 하나의 명함만을 활용하여 자신의 신상정보를 다수인에게 배포할 수 있고 이러한 명함정보를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또한 명함제공자들에게 일괄적으로 정보를 보낼 수 있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나아가서, 이미 명함을 제공한 자의 명함정보가 변경된 경우 이를 편리하게 갱신할 수 있으며 명함정보제공자와 관련하여 필요한 기록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으면 바람직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요청을 만족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번의 명함정보의 입력으로 다수의 사람에게 명함정보를 배포할 수 있고 이러한 명함정보를 간편하게 보관 할 수 있으며 또한 다수의 명함제공자들에게 일괄적으로 명함정보를 포함한 정보를 보낼 수 있는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정보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미 명함을 제공한 자의 명함정보가 변경된 경우 이를 자동으로 갱신할 수 있으며 또는 명함정보변경 사실을 알리어 이를 수신인인 사용자가 갱신하게 하며, 명함정보제공자와 관련하여 필요한 기록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정보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한번의 명함정보 입력에 의하여 다수의 사람에게 그 명함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받은 명함정보를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명함 수신자는 명함을 제공한 다수의 발신인의 명함정보를 간편하게 전달받을 수 있으며, 이들에게 발신인에게 일괄적으로 정보를 보낼 수 있다. 이와 관련되어 본 발명은 명함 제공자들을 일정 그룹(group)으로 묶어 이들에게 일괄적으로 정보를 보낼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명함을 제공받은 자는 명함제공자에게 자신의 명함정보를 자동으로 응신 할 수 있다.
나아가서, 본 발명은 또한 명함제공자의 명함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각각의 수신자에 대하여 명함정보가 자동으로 갱신되어 전달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명함정보제공자와 관련되어 기록하여야 할 필요한 사항을 편리하게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더욱 나아가서, 본 발명은 아직 자신의 명함정보를 입력하지 않은 자에게도 명함정보를 발송하고 추후 그 자가 자신의 명함정보를 입력한 경우 전송된 정보를 열람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은 인터넷 브라우져를 내장한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는 웹서버와 상기 웹서버와 연동하며, 상기 웹서버를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개개인의 명함정보를 저장하는 명함정보데이터베이스와, 사용자가 상기 웹서버를 통하여 특정 사용자를 지정하고 그에게 명함정보 발송을 명령한 경우 이들 사용자간의 발신자/수신자 관계를 저장하는 관계데이터베이스와, 개개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관계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자인 사용자 각각에 대하여 명함정보 발송자를 확인하여 개개의 사용자에 대한 명함정보 발신자 정보를 기록하여 저장하는 사용자데이터베이스를 가지는 명함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명함정보를 입력한 사용자는 자신의 명함정보를 수신인인 사용자를 지정하여 다수의 사용자에게 배포할 수 있고, 명함정보를 수신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에게 명함정보를 발송한 다수의 명함정보 제공자를 상기 사용자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확인하고 이들을 선별적으로 선택하여 일괄적으로 명함정보를 포함한 정보를 보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명함정보 수신인인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데이터베이스로부터 명함정보 발신자를 확인하고 그의 명함정보를 상기 명함정보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발신자의 명함정보를 상기 수신자인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컴퓨터로 브라우징하여 보여줄 수 있다. 또한 명함정보 수신인인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컴퓨터에 브라우징되는 명함발송인을 선별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상기 수신인인 사용자가 정보를 보내고 싶은 수신인을 지정 할 수 있다.
상기 명함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일 사용자가 일 수신인을 지정하여 자신의 명함정보를 보내는 경우 만일 상기 수신인이 명함정보를 저장한 사용자가 아닌 경우 상기 발송인인 사용자가 지정한 수신인에 대한 정보와 상기 발송인이 사용자가 상기 수신인에게 명함을 발송하였음을 기록하여 저장하는 사용자외 수신인데이터베이스를 더욱 가진다. 따라서, 비록 본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에 자신의 명함정보를 기록하지 않은 자도 후일 본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에 접속하여 자신에게 전달된 명함정보를 볼 수 있다.
상기 정보 관리시스템은 정보전송수단을 더욱 가져 명함정보 이외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전송수단은 전자메일전송서버 또는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보낼 수 있는 수단과 연결된 단문메시지 서비스 접속수단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방법은 인터넷 브라우져를 내장한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컴퓨터를 통하여 입력되는 개개 사용자의 명함정보를 저장하는 명함정보저장단계와, 사용자가 특정 사용자를 지정하고 그에게 명함정보 발송을 명령한 경우 이들간의 발신자/수신자 관계를 저장하는 관계설정단계와, 상기 저장된 발신자/수신자 관계로부터 수신자인 사용자 각각에 대한 명함정보 발송자를 확인하여 개개의 사용자에 대하여 명함정보 발신자 정보를 저장하는 개개사용자에 대한 명함발신자정보저장단계와, 상기 명함정보 수신인인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저장된 개개인의 사용자에 대한 명함정보 발신자 정보로부터 상기 수신인인 사용자에 대한 명함정보 발신자를 확인하고 상기 저장된 명함정보로부터 그 발신자의 명함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수신자인 사용자에게 발신자의 명함정보를 전달하는 명함정보전달단계와, 상기 수신인인 사용자는 상기 전달된 발신자의 명함정보로부터 명함정보 제공자를 확인하고 이들을 선별적으로 선택하는 역수신자선택단계와, 그리고 상기 수신인인 사용자가 상기 선별적으로 선택된 자에 대하여 일괄적으로 명함정보를 포함한 정보를 보내는역정보전달단계를 가진다.
이때, 상기 수신인인 사용자에게 발신자의 명함정보를 전달하는 명함정보전달단계는 상기 수신인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컴퓨터에 발신자의 명함정보를 브라우징하여 보여주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인인 사용자가 자신의 정보를 보낼 수신자를 선택하는 역수신자선택단계는 상기 수신인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컴퓨터에 브라우징하여 보여지는 명함정보 발신인들을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명함정보전달단계에 의하여 상기 수신인에게 발신자의 명함정보가 전달이 되면, 이들 발신자들을 선별적으로 특정 그룹별로 묶어 특정 그룹을 형성하여 저장하는 그룹형성저장단계를 더욱 가지고 상기 역수신자선택단계는 상기 특정그룹에 대하여 다시 선별적으로 역수신인을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과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방법은 상기 개개 사용자의 명함정보를 입력하는 명함정보저장단계가 만일 명함정보가 발신되어 수신된 경우 자동으로 응신하는지 여부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상기 명함정보전달단계에 의하여 명함정보가 전달이 되면 상기 역수신인선택단계에서 자동으로 그 발신자가 역수신인으로 선택되어 수신인의 명함정보가 역수신인인 발신자에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역정보전달단계에서 명함정보이외의 정보는 전자메일전송서비스 또는 단문메시지서비스 또는 메신저서비스중 어느 하나인 정보전달수단을 이용하여 보내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명함정보의 발송은 인터넷 브라우져를 필수적으로 가지지 않는이동통신단말기에서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명함정보전달명령에 해당하는 번호 또는 버튼을 누름으로써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인터넷 브라우져를 내장한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는 웹 서버와 상기 웹서버와 연동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개개인의 명함정보를 저장하는 명함정보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인터넷 브라우져를 필수적으로 가지지 않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번호 또는 부호를 입력하여 전송되는 명함정보발송을 위한 정보를 상기 웹서버가 받아 지정된 수신자에게 상기 명함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발신자의 명함정보를 발송하는 정보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정보 관리시스템은 정보전송수단을 더욱 가져 상기 정보전송수단을 통하여 명함정보 이외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웹서버는 이동통신서비스사의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에 접속하는 SMS접속수단을 가질 수 있다. 그러면, 사용인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명함정보 발송과 동시에 단문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처리과정을 보이는 도면;
도 3은 명함정보이외의 정보를 역수신인에게 보내는 과정을 보이는 도면;
도 4는 특정 그룹을 형성하여 그룹원에게 역정보전달을 하는 과정을 보이는 도면;
도 5는 명함정보 데이터베이스와 관계데이터베이스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간의 관계를 보이는 테이블;
도 6은 명함정보를 저장하지 않은 사용자에게 명함정보를 발송한 경우 처리과정을 보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응신 과정을 보이는 도면;
도 8은 인터넷을 통하지 않고 명함정보발송명령을 내리는 경우 처리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명함정보제공자와 관련된 필요한 기록사항을 본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이 처리하는 과정을 보이는 도면;
도 10은 발신자의 명함정보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명함정보를 발신하는 과정을 보이는 도면;
도 11은 더 이상 명함발신자와의 관계를 유지할 필요가 없는 경우 그 관계를 해제하는 과정을 보이는 도면;
도 12는 선별적 수신을 하는 경우 처리과정을 보이는 도면; 그리고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에 접속한 통신수단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보이는 도면.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다.
먼저 정보관리시스템(10)은 인터넷(20)과 연결된 웹 서버(110)를 가진다. 또한 정보관리시스템(10)은 상기 웹서버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명함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 서버(120)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10)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정보전송수단(130)을 가진다.
이러한 정보전송수단(130)은 SMTP 서버(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erver)와 같은 전자메일(E-mail)전송서버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웹서버(110)에 설치되는 SMS 접속수단일 수 있다. 즉 상기 웹서버(110)는 이동통신망(50)을 활용하여 개개 단말기로 SMS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서비스사의 SMSC(SMS Center)(60)에 접속하여 단문메시지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웹서버(110)는 직접적으로 상기 SMSC(60)에 접속하여 있거나 또는 중간의 SMS 서비스 대행사를 통하여 이동통신서비스사의 SMSC(60)에 접속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정보전송수단(130)은 상기 웹서버(110)에 설치되는 메신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MSN Messenger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정보전송 수단은 상기 웹서버(110)로서, 인터넷(20)을 통하여 접속되는 무선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컴퓨터에 정보를 직접적으로 브라우징(browsing)할 수 있다.
본 정보통신 관리시스템(10)의 사용자들은 무선 이동통신단말기(41a, 41b, ···, 41n) 또는 컴퓨터(31a, ···, 31n)를 통하여 상기 정보관리시스템(10)에 접속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무선 이동통신단말기(41a, 41b, ···, 41n)를 통하여 정보관리시스템(10)에 접속하는 경우 이동통신 전화망(50)과 왑 게이트웨이(55)를 경유하여 인터넷(20)에 접속하여 웹서버(110)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10)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가 컴퓨터(31a, ···, 31n)를 통하여 접속하는 경우 인터넷(20)에 접속하고 웹서버(110)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보 관리시스템(10)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41a, 41b, ···, 41n) 및 컴퓨터(31a, ···, 31n)는 각각 정보관리시스템(10)의 웹서버(110)로 정보전송을 요청하고 전송되는 정보를 브라우징 할 수 있는 왑 브라우져(wap browser) 및 유선 인터넷용 브라우져를 내장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10)의 명함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 서버(120)는 상기 웹서버(110)를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41a, 41b, ···, 41n) 또는 컴퓨터로(31a, ···, 31n)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개개인의 명함정보를 저장하는 명함정보데이터베이스(121)와 사용자가 상기 웹서버(110)를 통하여 특정 사용자를 지정하고 그에게 명함정보 발송을 명령한 경우 이들 사용자간의 발신자/수신자 관계를 저장하는 관계데이터베이스(122)와 개개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관계데이터베이스(122)로부터 수신자인 사용자 각각에 대하여 명함정보 발송자를 확인하여 개개의 사용자에 대한 명함정보 발신자 정보를 기록하여 저장하는 사용자데이터베이스(123)를 가진다. 따라서, 명함정보를 입력한 사용자는 자신의 명함정보를 수신인인 사용자를 지정하여 다수의 사용자에게 배포할 수 있고, 명함정보를 수신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에게 명함정보를 발송한 다수의 명함정보 제공자를 상기 사용자데이터베이스(123)를 통하여 확인하고 이들을 선별적으로 선택하여 일괄적으로 명함정보를 포함한 정보를 보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처리과정을 보이는 도면이다.
먼저, 사용자는 무선 이동통신단말기(41a, 41b, ···, 41n) 또는 컴퓨터(31a, ···, 31n)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10)에 접속한 후, 개개인의 명함정보를 입력한다. (단계: 210) 이때 처음 접속하는 사용자는 정보관리시스템(10)으로부터 ID 및 패스워드를 부여받고 이후의 접속시에는 정보관리시스템(10)으로부터 인증절차를 거칠 수 있다. 개인의 명함정보는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 전화번호, 전자메일 주소, 직장 및 집 전화번호, 회사, 회사주소, 회사내의 직책, 팩스번호등이 대표적인 것이다. 이외에 상대방에게 전달하여야 하는 여러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신의 은행계좌와 같은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 거래처로 입금계좌를 본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10)을 통하여 편하게 알릴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진정보, 동영상정보 또는 음성정보와 같은 것을 명함정보로서 입력할 수 있다.
다음, 이렇게 입력된 사용자 개인 명함정보는 정보관리시스템(10)의 명함정보데이터베이스(121)에 저장된다. (단계 220) 즉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컴퓨터를 통하여 입력한 이동통신단말기 전화번호, 전자메일 주소, 직장 및 집 전화번호, 회사, 회사주소, 회사내의 직책, 팩스번호, 은행계좌, 사진, 동영상정보, 음성정보와 같은 것이 명함정보로서 상기 명함정보데이터베이스(121)에 저장된다. 또한 각각의 명함정보에 대하여 공개. 비공개를 지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러면 후술하듯이 공개로 선택된 명함정보만이 상대방에게 전달된다.
예시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컴퓨터에는 상기 명함정보 항목들이 입력창으로 브라우징 될 수 있고 여기에 사용자가 해당되는 정보를 입력한 후 이를 정보관리시스템(10)에 전송하여 이를 명함정보데이터베이스(121)에 저장하여 상기 단계 210과 220은 달성될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 개개인의 명함정보가 본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10)에 저장된 후, 사용자가 특정 사용자를 지정하고 그에게 명함정보 발송을 명령한 경우 이들간에 발신자/수신자 관계가 설정되어 관계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된다. (단계 230) 예를 들어, 발신자가 되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컴퓨터에는 수신자를 지정할 수 있는 유일한 정보(예를 들어 핸드폰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이 브라우징 되어, 상기 입력창에 수신자의 핸드폰 번호를 입력하여 수신자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우징되는 화면상에는 명함정보 발송 버튼이 설치되어, 상기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명함정보 발송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이렇게 특정 수신인이 지정되고 또한 명함정보 발송명령이 있으면, 본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10)은 정보관리시스템(10)에 ID등을 입력하여 접속한 사용자를 발신자로 하고 상기 발신자가 지정한자를 수신자로 하여, 이들간의 발신자/수신자 관계를 파악하여 이를 관계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한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10)은 상기 관계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된 발신자/수신자 관계로부터 수신자에 각각에 대한 명함정보발송자를 확인하여 개개의 수신자인 사용자에 대한 명함정보 발신자 정보를 사용자데이터베이스(123)에 저장한다. (단계 240)
다음, 상기 명함정보 수신인인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23)에 저장된 상기 수신인인 사용자에 대한 명함발송자 정보로부터 상기 수신인인 사용자에 대한 명함발송자를 확인하고 상기 명함정보 데이터베이스(121)에 저장된 발신자의 명함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수신인인 사용자에게 명함정보를 전달한다. (단계 250) 이 경우 이러한 명함정보 전달은, 예를 들어, 사용자 개개인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컴퓨터에 브라우징하여 보여줄 수 있다. 이 경우 명함정보 입력시 공개/비공개여부를 선택한 경우 공개로 선택된 명함정보만이 상대방에게 전달된다.
다음, 상기 발신자 명함정보를 전달받은 수신인인 사용자는 역으로 자신의 명함정보 또는 다른 정보를 보낼 자들(역수신인)을 명함정보 제공자들로부터 선별적으로 선택하고(단계260), 이들에게 역으로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 270). 이 경우 전달되는 정보는 본래 수신자였던 사용자가 명함정보데이터베이스(121)에 저장하였던 명함정보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본래 발신자였던 역수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컴퓨터에 본래 수신자의 명함정보를 브라우징하여 보여줄 수 있다. 명함정보 이외의 정보를 본래 발신자였던 역수신인에게 보내는 경우, 정보전송수단(130)인 SMTP 서버 또는 메신저 서버 또는 SMS 접속수단을 활용하여 역수신인의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컴퓨터에 정보를 보낼 수 있다. 도 3은 이렇게 정보전송수단(130)인 SMTP 서버 또는 메신저 서버 또는 SMS 접속수단을 활용하여 명함정보 이외의 정보를 본래 발신자였던 역수신인의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컴퓨터에 정보를 보내는 과정을 도시한다.
먼저, 발신자로부터 명함정보가 전달된 후, 이들로부터 역수신인을 선택한다.(단계 310)
다음, 정보전송수단(130)에 대하여 전달하고 싶은 정보를 입력한다. (단계 320) 예를 들어, SMTP 서버를 이용하는 경우 이에 대하여 전자메일정보를 입력한다.
다음, 정보전송수단을 선택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10)은 SMTP 서버 또는 메신저 서버 또는 SMS 접속수단과 같은 정보전송수단을 모두 활용하여 정보를 보내도록 한다. 따라서 선별적으로 이들 중 어느 것을 통하여 역수신인인 본래 발신자에게 정보를 보낼 것인지를 선택한다. (단계 330)
다음, 선택된 정보전송수단에 의하여 입력된 정보가 전송된다. (단계 340)
본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10)은 명함정보 발송자로부터 역수신인을 선택하는 경우(도 2의 단계 260 또는 도 3의 단계 310), 이들 명함정보 발송자들을 특정 그룹으로 묶어 이들 그룹에 대하여 선별적으로 역정보전달을 할 수 있다. 도 4는 그러한 과정을 보인다.
먼저, 수신자인 사용자에게 명함정보가 전달된다. (단계 410)
그러면 특정그룹을 형성하고 선별적으로 명함정보발신자들을 특정그룹에 속하도록 하여, 이를 그룹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한다. (단계 420) 즉 그룹데이터베이스에는 각각의 그룹에 대하여 명함정보발신자의 정보가 저장된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는 각 그룹에 대하여 선별적으로 명함정보 또는 다른 정보를 수신할 역수신자를 선택한다. (단계 430)
다음 이들에 대하여 역정보를 전달한다. (단계 440)
상술한 설명에서, 명함정보의 입력이나 또는 명함정보를 전송받을 수신자의 지정은 여러 존재하는 수단들을 활용하여 가능하다. 이외에 수신자를 지정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코드(bar code) 또는 칼라 코드(color code)를 활용할 수 있다. 즉 명함정보나 또는 수신자의 정보가 바코드 또는 칼라코드화 되어 존재하는 경우는 이들을 입력받아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41a, 41b, ···, 41n) 또는 컴퓨터(31a, ···, 31n)는 이들 코드 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는 바코드 판독기 또는 촬상 카메라와 이들 코드정보를 디코팅(decoding)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10)으로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을 가진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명함정보데이터베이스(121)와 관계데이터베이스(122)와 사용자데이터베이스(123)의 관계를 보이는 테이블이다.
먼저 명함정보 데이터베이스 테이블(510)이 보인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관리시스템(10)에 접속한 개개의 사용자가 입력한 자신의 명함정보이다.
이름이 춘향이, 송승한, 홍길동, 전우치인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그 전화번호와 그 입력일(갱신일)이 각각의 주키(primary key)로서 ID를 나타내는 001. 002. 003. 004에 대응하여 저장된다. 본 도면에서는 단지 전화번호만을 명함정보로 보이고 있으나, 이외 회사, 회사직책, e-mail 주소등이 기록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각각의 명함정보항목인 필드(field)에 대하여 공개/비공개여부가 기록되어, 공개로 선택된 필드값만을 수신인에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부호 520은 관계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보인다. 즉 일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를 지정하여 명함정보 발송을 한 경우 생성되어 저장되는 발신자/수신자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관계테이블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2000년 3월 3일 003의 ID를 가지는자(즉 홍길동)가 001의 ID를 가지는 자(즉 춘향이)에게 명함정보를 발송하였음을 저장하고 있다. 또한 2000년 3월 4일 004의 ID를 가지는자(즉 전우치)가 001의 ID를 가지는 자(즉 춘향이)에게 명함정보를 발송하였음을 저장하고 있다. 또한 2000년 3월 5일 002의 ID를 가지는자(즉 송승한)가 003의 ID를 가지는 자(즉 홍길동)에게 명함정보를 발송하였음을 저장하고 있다. 또한 2000년 3월 6일 005의 ID를 가지는 자가 003의 ID를 가지는 자(즉 홍길동)에게 명함정보를 발송하였음을 저장하고 있다.
상술한 두 개의 명함정보데이터베이스 테이블(510)과 관계데이터베이스 테이블(520)에서 갱신일 필드는 각각 명함정보가 입력된 날과 명함정보 발송에 따른 관계설정일을 나타내는 것으로, 명함정보가 변경된 경우 이를 갱신하여 수신자에게 재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관계테이블(520)을 참조하여 사용자데이터베이스(123)에 개개의 수신자인 사용자에 대하여 발신자 정보를 기록하여 저장한다. 이러한 테이블이 도시부호 530에서 보인다.
즉 예를 들어, ID 001인 사용자(즉 춘향이)에 대하여 003 및 004의 ID를 가지는 자로부터 명함정보가 발송되었음이 저장되어있다. 또한 ID 003(즉 홍길동)인 사용자에 대하여 ID 002 및 005를 가지는 자로부터 명함정보가 발송되었음이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ID 001의 춘향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10)은 상기 사용자테이블로부터 명함정보 발송자(즉 ID)를 확인하고 명함정보데이터베이스테이블(510)로부터 명함정보발송자의 명함정보(ID에 대응되는 레코드의 필드 값)를 추출하여 이를 ID 001의 춘향이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명함정보제공자와 관련되어 기록하여야 할 필요한 사항을 편리하게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즉 명함제공자와 관련되어 기록하여야 할 필요한 사항을 수신자인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컴퓨터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으로 입력하여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도 1의 123)에 저장한다. 따라서, 수신자인 사용자는 각각의 명함정보발신인에 대하여 관련된 기록사항을 입력하여 저장한 후 필요한 경우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사용자데이터베이스 테이블(530)은 발신자와 관련되어 수신자인 사용자가 입력하는 기록사항을 저장하는 필드들을 각각의 발신자 정보와 관련된 레코드들에 대하여 가진다. 예를 들어, 이러한 필드값으로는 발신자와 수신자간의 특정 기념일이나 메모 사항등이 될 수 있다. 도 5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테이블(530)은 이러한 항목들을 필드값으로 가지는 경우를 보인다. 이러한 발신자와 관련된 기록사항을 처리하는 과정을 도 9가 보인다.
먼저 수신자인 사용자에게 명함정보가 전달이 되어있다. 이러한 명함정보의 전달은 도 2의 단계 210에서 250을 참고로 설명한 바와 같다. (단계 910)
이러한 상태에서 수신자인 사용자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필드값으로 형성되어 있는 발신자관련 기록사항을 입력한다. (단계 920) 예를 들어, 발신자의 명함정보가 수신자인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컴퓨터로 브라우징되어 보여 명함정보가 전달되면, 입력되어야 할 발신자관련 기록사항들이 입력창으로서 보여질 수 있다. 그러면 수신자인 사용자는 필요한 정보를 상기 입력창에 입력한 후 이를 본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10)으로 전송한다.
이렇게 입력되는 발신자관련 기록사항은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23)에 저장된다. (단계 930) 예를 들어, 도 5를 참고로 설명한 사용자데이터베이스 테이블(530)에서 이들 정보가 각각의 레코드에 대하여 필드값으로서 저장된다.
다음, 수신자인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때, 이들 기록되어 저장된 발신자관련 기록사항은 수신자에게 전달된다. (단계 940) 예를 들어, 수신자가 발신자의 명함정보를 확인할 때, 같이 브라우징되어 보여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10)은 명함제공자의 명함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각각의 수신자에 대하여 명함정보가 자동으로 갱신되어 전달되도록 하거나 또는 명함정보변경 사실을 알리어 이를 수신인인 사용자가 갱신하게 한다. 또한 더 이상 명함발신자와의 관계를 유지할 필요가 없는 경우 그 관계를 해제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도 10 및 도 11을 참고로 설명한다.
먼저 도 10을 참고로 명함정보 변경이 있는 경우 변경된 명함정보를 전달하는 처리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10)은 명함정보 데이터베이스(121)에 기록된 명함정보 저장일(도 5의 명함정보데이터베이스 테이블 510의 갱신일)과 관계데이터베이스(122)의 관계설정일(도 5의 관계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갱신일)을 비교하여 어느 쪽이 갱신일이 늦은지를 판단한다. (단계 1010) 만일 명함정보데이터베이스(121)에 기록된 갱신일이 늦은 경우, 이는 발신인이 사용자가 명함정보를 변경한 경우이다.
따라서, 이 경우 관계데이터베이스(122)에 기록된 수신자정보를 참조하여 그 수신자에게 변경된 명함정보를 전달한다. 또한 이때 새롭게 관계설정일이 기록된다. (단계 1020)
만일 명함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갱신일이 관계 데이터베이스의 관계설정일보다 빠른 경우는 명함정보의 변경이 없는 경우로서 변경된 명함정보의 전달은 없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명함정보의 변경이 있는 경우 수신인인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더 이상 명함정보를 전달받지 않도록 관계를 해제할 수 있다. 이를 도 11을 참고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10)은 명함정보 데이터베이스(121)에 기록된 명함정보 저장일(도 5의 명함정보데이터베이스 테이블 510의 갱신일)과 관계데이터베이스(122)의 관계설정일(도 5의 관계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갱신일)을 비교하여 어느 쪽이 갱신일이 늦은지를 판단한다. (단계 1110) 만일 명함정보 데이터베이스(121)에 기록된 갱신일이 늦은 경우, 이는 발신인이 사용자가 명함정보를 변경한 경우이다.
그러면 본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10)은 변경된 명함정보를 전달받을지 여부를 수신자인 사용자에게 묻는다. (단계 1120)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10)에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한 경우 변경된 명함정보를 전달받을지 여부(즉 갱신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브라우징하여 보여줄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갱신을 선택한 경우, 변경된 명함정보는 수신자인 사용자에게 전달되고 관계 데이터베이스의 관계설정일은 갱신된다. (단계 1140)
그러나, 갱신을 원하지 않는 경우는 관계해제여부를 묻는다. (단계 1150)
만일 관계해제를 선택한 경우 명함정보를 변경한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관계는 해제된다. (단계 1160) 즉, 관계데이터베이스(122)에서 이들의 관계의 해제를 기록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데이터베이스 테이블(520)에는 관계해제에 대한 정보가 필드값으로서 존재하여 여기에 이들간의 관계의 해제를 속성으로서 기록한다. 그러면 관계데이터베이스(122)에서 이들간의 관계는 해제되어 발신자가 명함정보를 변경하여도 더 이상의 명함정보 갱신여부등을 묻지 않게 된다.
만일 관계해제를 원하지 않는 경우는 관계데이터베이스를 그대로 유지하여 관계를 유지한다. (단계 1170)
본 발명은 또한 아직 자신의 명함정보를 입력하지 않은 자에게도 명함정보를 발송하고 추후 그 자가 자신의 명함정보를 입력한 경우 전송된 정보를 열람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의 처리절차를 보이는 도면이다.
먼저 이미 명함정보를 저장한 사용자는 수신자를 지정하여 명함정보 발송을 명령한다. (단계 610) 예를 들어, 수신자의 핸드폰 번호를 입력하여 수신자를 지정 할 수 있다.
그러면 지정된 수신자가 이미 명함정보를 저장한 사용자인가를 판단한다. (단계 620) 예를 들어, 수신자 지정을 위하여 입력된 핸드폰 번호에 해당하는 자가명함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없는 경우 명함정보 저장자가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그 결과 만일 지정된 수신자가 이미 명함정보를 저장한 사용자가 아닌 경우는 새로이 저장소를 생성하여 여기에 수신인 지정정보와 발신자정보를 저장한다. (단계 630) 따라서, 후일 본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에 자신의 명함정보를 저장하는 상기 지정된 수신인은 자신에게 보내진 명함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만일 지정된 수신자가 이미 명함정보를 저장한 사용자인 경우는 이들 발송자/수신자사이에 관계를 설정하여 관계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하고(단계 640) 다음, 명함발신자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23)에 저장한다. 이후 수신자가 명함발송자를 확인하고 이들을 선별적으로 선택하여 정보를 전송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명함을 제공받은 자는 명함제공자에게 자신의 명함정보를 자동으로 응신 할 수 있다. 이를 도 7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10)에 접속하여 명함정보를 입력할 때 자동응신을 선택하여 입력한다. 그러면 명함정보 데이터베이스(121)에는 그 사용자에 대하여 자동응신 선택 사실이 기록된다. (단계 710)
다음, 자동응신을 선택한 사용자가가 명함정보 수신인으로 지정되어 명함정보가 수신인에게 전달된다. (단계 720)
그러면, 본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10)은 수신인인 사용자의 명함정보데이터베이스(121)에 저장된 수신인의 명함정보를 추출하여 자동으로 명함정보 발신인에게 전달한다. (단계 730)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수신인은 자신의 비밀번호를 아는 자로부터만 전달되는명함정보를 포함한 정보를 받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선별적인 명함정보를 포함한 정보의 수취가 가능하다. 이를 도 12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명함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비밀번호를 명함정보로서 입력할 수 있다. (단계 1210) 이렇게 입력되는 비밀번호는 명함정보 데이터베이스(121)에서 필드 값으로 저장된다.
다음 발신인인 사용자가 만일 상기 비밀번호를 입력한 사용자를 상대로 명함정보를 보내는 경우 비밀번호를 입력하여야 한다. (단계 1220) 바람직하기로는 정보관리시스템은 비밀번호 입력을 발신자에게 요청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10)은 발신자가 입력한 비밀번호와 수신자가 지정한 비밀번호를 비교한다. (단계 1230)
그 결과 이들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발신자/수신자의 관계를 설정하여 관계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하고, (단계 1250) 명함정보를 전달한다. (단계 1260)
만일 발신자가 입력한 비밀번호와 수신자가 지정한 비밀번호가 불일치하는 경우는 명함정보 발송불가 메시지가 보여진다. (단계 1240)
본 발명의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인터페이스가 도 13에서 보인다. 먼저 71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23)에 저장된 각각의 발신자의 명함정보가 보여지는 경우를 보인다. 여기서 변경됨과 갱신/삭제 버튼이 보이는데 이는 도 11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 경우로서, 발신인의 명함정보 변경이 있는 경우 이러한 사실이 수신인인 사용자에게 알려지고(변경됨), 갱신을 누르면 명함정보가 갱신되어 전달되고(갱신), 삭제를 누르는 경우는 그 관계가 해제되는 것이다. 또한 타인정보가 보이는데, 이는도 9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 발신자관련 기록사항에 관한 것이다. 편집버튼을 누르면 발신자 관련기록사항이 73으로서 보여지며, 여기서 132나 152와 같은 발신자 관련기록사항이 메뉴로서 보여지고 여기에 관련정보를 입력하여 (단계 920),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된 정보가 저정되는 것이다. (단계 940)
또한 72는 각각의 사용자가 자신의 명함정보를 발송하는 경우 명함정보 입력창으로서 보여지는 인터페이스를 보인다.
본 발명에 따라 명함정보를 발송할 경우 그 사용자는 반드시 인터넷을 통하여 명령을 내릴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핸드폰을 통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 왑 인터페이스 (wap interface)와 같은 인터넷 인터페이스를 거지지 않고도 핸드폰 번호를 입력하여 명함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과정을 도 8이 보인다.
먼저, 사용자는 이미 명함정보를 명함정보 데이터베이스(121)에 저장하고 있다. (단계 810)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수신자의 번호를 입력하여 수신인을 지정하고 명함정보발송을 명령한다. (단계 820) 예를 들어, 수신인의 핸드폰 번호가 017-xxx-xxxx인 경우 이를 입력하여 수신인을 지정하고 자신의 명함정보 전송명령을 가리키는 번호 또는 부호 (예를 들어, #버튼)를 누른다.
그러면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가 사용하는 통신망을 통하여 이동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서비스사는 이러한 정보를 받아 본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10)에 전달한다. (단계 830) 이동통신 회사는 발신자와, 수신자의 전화번호와 명함정보전송명령이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으므로 이들 정보를 본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1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고 이를 본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10)에 전용선등을 통하여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이렇게 발신자 정보와 수신인 정보와 그리고 명함정보전송명령을 받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10)은 발신자의 명함정보를 명함정보데이터베이스(121)에서 추출하여 지정된 수신인에게 전달한다. (단계 840)
이렇게 핸드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 또는 부호를 입력하여 명함정보 발송을 명령하는 경우 그 이동통신단말기는 반드시 무선인터넷 접속을 위한 브라우져(browser)를 내장하고 있을 필요가 없음은 자명하다.
특별히, 본 발명에서 명함정보만을 전달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 시스템(10)에서 관계 데이터베이스(122)와 사용자데이터베이스(123)는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다. 이러한 경우에도, 도 8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 한 것과 같은 인터넷 인터페이스를 거지지 않고도 핸드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번호 또는 부호를 입력하여 명함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을 선택하여 간편하게 명함정보를 보낼 수 있다. 즉, 인터넷 브라우져를 내장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41a, 41b, ···, 41n) 또는 컴퓨터(31a, ···, 31n)를 통하여 자신의 명함정보를 명함정보 데이터베이스(121)에 입력하고 도 8을 참고로 설명한 상기 과정을 거쳐 명함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명함정보를 세분화하여 각각 세분화된 명함정보를 선택하여 발송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명함정보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세분화하여 명함정보 데이터베이스(121)에 저장하고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명함정보 발송을명령할 때 각각의 세분화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명함정보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017-xxx-xxxx(수신자번호)3(보내고싶은 명함정보번호)#(명함정보 전송명령)와 같이 핸드폰에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이동통신서비스사로 전달되고 이동통신서비스사는 이들 정보를 본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의 웹서버로 전달하여 명함정보 발송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명함정보 발송을 명령하는 발신자는 수신자가 지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신자가 지정한 비밀번호를 인지하는 자로부터만 명함정보를 수신자는 받을 수 있어 선별적 수신이 가능해진다.
이때, 상기 정보 관리시스템은 정보전송수단을 더욱 가져 상기 정보전송수단을 통하여 명함정보 이외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웹서버는 SMS접속수단을 더욱 가질 수 있고, 그 경우 사용자는 명함정보이외에 단문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이동통신단말기(41a, 41b, ···, 41n)가 본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10)에 접속하는 루트(route)로서 이동통신전화망(50)과 왑 게이트웨이(55)를 예시적으로 보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단말기에서 인터넷(20)으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모든수단이 활용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한번의 명함정보입력으로 다수의 사람에게 그 명함정보를 전달 할 수 있으며, 명함정보를 제공받은 수신자의 입장에서는 다수의 명함정보 제공자를 역수신인으로 하여 일괄적으로 명함정보를 포함한 정보를 보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명함의 자동관리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즉, 명함정보가 변경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정보관리시스템에 접속하여 명함정보를 재입력하여 갱신할 수 있으며, 이렇게 갱신된 명함정보를 다수의 전수신인(前受信人)에게 보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개개의 사용자인 수신자 입장에서는 자신에게 보내지는 명함정보가 자동으로 갱신되는 것으로서 명함발송자에 의한 자동명함관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로서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일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그 권리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한다.

Claims (25)

  1. (a) 인터넷 브라우져를 내장한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는 웹서버와;
    (b) 상기 웹서버와 연동하며,
    (b1) 상기 웹서버를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개개인의 명함정보를 저장하는 명함정보데이터베이스와;
    (b2) 사용자가 상기 웹서버를 통하여 특정 사용자를 지정하고 그에게 명함정보 발송을 명령한 경우 이들 사용자간의 발신자/수신자 관계를 저장하는 관계데이터베이스와;
    (b3) 개개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관계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자인 사용자 각각에 대하여 명함정보 발송자를 확인하여 개개의 사용자에 대한 명함정보 발신자 정보를 기록하여 저장하는 사용자데이터베이스를 가지는 명함정보관리데이터베이스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c) 명함정보를 입력한 사용자는 자신의 명함정보를 수신인인 사용자를 지정하여 다수의 사용자에게 배포할 수 있고, 명함정보를 수신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에게 명함정보를 발송한 다수의 명함정보 제공자를 상기 사용자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확인하고 이들을 선별적으로 선택하여 일괄적으로 명함정보를 포함한 정보를 보낼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관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명함정보 수신인인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데이터베이스로부터 명함정보 발신자를 확인하고 그의 명함정보를 상기 명함정보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발신자의 명함정보를 상기 수신자인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컴퓨터로 브라우징하여 보여줌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관리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명함정보 수신인인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컴퓨터에 브라우징되는 명함발송인을 선별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상기 수신인인 사용자가 정보를 보내고 싶은 수신인이 지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관리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명함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일 사용자가 일 수신인을 지정하여 자신의 명함정보를 보내는 경우 만일 상기 수신인이 명함정보를 저장한 사용자가 아닌 경우 상기 발송인인 사용자가 지정한 수신인에 대한 정보와 상기 발송인이 사용자가 상기 수신인에게 명함을 발송하였음을 기록하여 저장하는 사용자외 수신인 데이터베이스를 더욱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관리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관리시스템은 정보전송수단을 더욱 가져 상기 정보전송수단을 통하여 명함정보 이외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관리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관리시스템은 정보전송수단을 더욱 가져 상기 정보전송수단을 통하여 명함정보 이외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관리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전송수단은 전자메일전송서버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전송수단은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보낼 수 있는 수단과 연결된 단문메시지 서비스 접속수단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시스템.
  9. (a) 인터넷 브라우져를 내장한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컴퓨터를 통하여 입력되는 개개 사용자의 명함정보를 저장하는 명함정보저장단계와;
    (b) 사용자가 특정 사용자를 지정하고 그에게 명함정보 발송을 명령한 경우 이들간의 발신자/수신자 관계를 저장하는 관계설정단계와;
    (c) 상기 저장된 발신자/수신자 관계로부터 수신자인 사용자 각각에 대하여 명함정보 발송자를 확인하여, 개개의 사용자에 대한 명함정보 발신자 정보를 저장하는 명함발신자정보저장단계와;
    (d) 상기 명함정보 수신인인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저장된 개개인의 사용자에 대한 명함정보 발신자 정보로부터 상기 수신인인 사용자에 대한 명함정보 발신자를 확인하고 상기 저장된 명함정보로부터 그 발신자의 명함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수신자인 사용자에게 발신자의 명함정보를 전달하는 명함정보전달단계와;
    (e) 상기 수신인인 사용자는 상기 전달된 발신자의 명함정보로부터 명함정보 제공자를 확인하고 이들을 선별적으로 선택하는 역수신자선택단계와; 그리고
    (f) 상기 수신인인 사용자가 상기 선별적으로 선택된 자에 대하여 일괄적으로 명함정보를 포함한 정보를 보내는 역정보전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관리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인인 사용자에게 발신자의 명함정보를 전달하는 명함정보전달단계는 상기 수신인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컴퓨터에 발신자의 명함정보를 브라우징하여 보여주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관리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인인 사용자가 자신의 정보를 보낼 수신자를 선택하는 역수신자선택단계는 상기 수신인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컴퓨터에 브라우징하여 보여지는 명함정보 발신인들을 선택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관리방법.
  12. 제 9 항, 10 항 또는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명함정보전달단계에 의하여 상기 수신인에게 발신자의 명함정보가 전달이 되면, 이들 발신자들을 선별적으로 특정 그룹별로 묶어 특정 그룹을 형성하여 저장하는 그룹형성저장단계를 더욱 가지고 상기 역수신자선택단계는 상기 특정그룹에 대하여 다시 선별적으로 역수신인을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과정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관리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개개 사용자의 명함정보를 입력하는 명함정보저장단계는 만일 명함정보가 발신되어 수신된 경우 자동으로 응신하는지 여부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상기 명함정보전달단계에 의하여 명함정보가 전달이 되면 상기 역수신인선택단계에서 자동으로 그 발신자가 역수신인으로 선택되어 수신인의 명함정보가 역수신인인 발신자에게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방법.
  14. 제 9 항, 10 항, 11 항 또는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역정보전달단계에서 명함정보이외의 정보는 전자메일전송서비스 또는 단문메시지서비스 또는 메신저서비스중 어느 하나인 정보전달수단을 이용하여 보내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역정보전달단계에서 명함정보이외의 정보는 전자메일전송서비스 또는 단문메시지서비스 또는 메신저서비스중 어느 하나인 정보전달수단을 이용하여 보내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명함정보의 발송은 인터넷 브라우져를 필수적으로 가지지 않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명함정보전달명령에 해당하는 번호 또는 버튼을 누름으로써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제 9 항에 있어서,
    (a) 수신자인 사용자에게 명함정보가 전달된 후 그 발신자에 관한 기록사항을 입력하는 단계와;
    (b) 상기 발신자에 관한 기록사항은 상기 저장된 개개의 사용자에 대한 발신자정보에서 각각의 발신자에 대하여 저장되는 단계를 더욱 가져, 상기 수신자인 사용자는 각각의 발신자에 대하여 자신이 직접 입력한 기록사항을 열람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방법.
  21. 제 9 항에 있어서,
    (a) 상기 명함정보의 저장일과 상기 관계 설정일을 비교하여 만일 상기 명함정보저장일이 늦은 경우 그 발신자에 대한 명함정보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는 명함정보 갱신여부판단단계와;
    (b) 명함정보가 갱신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관계설정단계에서 파악된 수신자에게 갱신된 명함정보를 전달하고 관계 설정일을 갱신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방법.
  22. 제 9 항에 있어서,
    (a) 상기 명함정보의 저장일과 상기 관계 설정일을 비교하여 만일 상기 명함정보저장일이 늦은 경우 그 발신자에 대한 명함정보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는 명함정보 갱신여부판단단계와;
    (b) 명함정보가 갱신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관계설정단계에서 파악된 수신인에게 갱신된 명함정보를 전달받을지 여부를 묻는 단계와;
    (c) 만일 상기 수신인이 갱신된 명함정보의 수신을 선택한 경우 그 수신인에게 갱신된 명함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관계설정일을 갱신하는 단계와;
    (d) 만일 상기 수신인이 상기 수신인이 갱신된 명함정보의 수신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관계설정단계에서 설정된 관계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방법.
  23. 제 9 항에 있어서,
    발신자인 사용자가 수신자를 지정함에 있어서 바코 또는 칼라코드로 존재하는 수신인의 정보를 바코드 판독기 또는 촬상 카메라와 같은 입력장치를 통하여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방법,
  2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전송수단은 전자메일전송서버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시스템.
  25.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전송수단은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보낼 수 있는 수단과 연결된 단문메시지 서비스 접속수단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관리시스템.
KR10-2001-0017839A 2000-04-04 2001-04-04 휴대통신기구 및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및 그 방법 KR100438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839A KR100438757B1 (ko) 2000-04-04 2001-04-04 휴대통신기구 및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730 2000-04-04
KR1020000017730A KR20000037021A (ko) 2000-04-04 2000-04-04 인터넷과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
KR1020000030494A KR20000054371A (ko) 2000-04-04 2000-06-02 개인휴대통신 및 유무선 인터넷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
KR1020000030494 2000-06-02
KR10-2001-0017839A KR100438757B1 (ko) 2000-04-04 2001-04-04 휴대통신기구 및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2523A KR20010072523A (ko) 2001-07-31
KR100438757B1 true KR100438757B1 (ko) 2004-07-05

Family

ID=26637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7839A KR100438757B1 (ko) 2000-04-04 2001-04-04 휴대통신기구 및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RE45392E1 (ko)
JP (1) JP4311903B2 (ko)
KR (1) KR100438757B1 (ko)
CN (1) CN1271870C (ko)
AU (1) AU4482801A (ko)
WO (1) WO200108058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803B1 (ko) * 2017-03-30 2017-10-25 이승훈 명함 정보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10080132A (ko) 2019-12-22 2021-06-30 권형석 위치기반에서 명함을 교환하는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1278823A1 (en) * 2000-08-29 2002-03-13 Jung-Yong Kim Credit bar-code circulating method b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ed thereon 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 for performing the same
KR20030010954A (ko) * 2001-07-27 2003-02-06 고영석 웹 기반의 바코드가 장착된 전자 동영상 명함과 이를 통한 이미지메이킹 및 데이터 통계분석
KR20010090081A (ko) * 2001-09-11 2001-10-18 엄기문 바코드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시스템 및 신용카드 결제 방법
KR100464021B1 (ko) * 2001-10-31 2004-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자명함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30069325A (ko) * 2002-02-20 2003-08-27 김영길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부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기록매체
US7225280B2 (en) * 2002-02-28 2007-05-29 Sandisk Il Ltd. Portable device for one-on-one transfer between another such device wherein device is restricted to data storage and transfer with single interface for data exchange
KR100718873B1 (ko) * 2002-07-11 2007-05-16 엔에이치엔(주)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소록 자동 관리방법 및 시스템
JP4676274B2 (ja) * 2005-08-03 2011-04-27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の個人情報の管理方式
WO2007075569A2 (en) 2005-12-16 2007-07-05 Taylor Corporation Order fulfillment system and method for printing products including individualized information
CN101102528B (zh) 2006-07-07 2011-02-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短消息签名方法及系统
US20080016158A1 (en) * 2006-07-13 2008-01-17 Comverse Ltd. Method for appending a signature to a size limited text message
US20080120183A1 (en) * 2006-10-12 2008-05-22 Sung Park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personal information
US20100224678A1 (en) * 2008-10-03 2010-09-09 Brian Thomas Duk Automated contact management
KR101045822B1 (ko) * 2009-02-04 2011-07-01 한국과학기술원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 방법, 그 시스템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01901266A (zh) * 2010-08-03 2010-12-01 上海合合信息科技发展有限公司 输入联系信息后自动在网络上发布消息的方法及系统
JP6279797B1 (ja) * 2017-08-10 2018-02-14 パーソルプロセス&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名刺情報管理サーバ、名刺情報管理システム、名刺情報管理方法、および、名刺情報管理プログラム
WO2022009335A1 (ja) * 2020-07-08 2022-01-13 日本電気株式会社 サーバ装置、オンライン会議システム、名刺交換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憶媒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021A (ko) * 2000-04-04 2000-07-05 송승한 인터넷과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
KR20010019801A (ko) * 1999-08-30 2001-03-15 조영선 인터넷을 이용한 중앙 명함관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5958A (ja) 1988-11-17 1990-05-24 Nec Corp 発呼者情報表示方式
JPH05316009A (ja) * 1992-05-11 1993-11-26 Sharp Corp データ通信装置
US5748484A (en) * 1992-09-23 1998-05-05 Onkor, Ltd. System for printing social expression cards in response to electronically transmitted orders
WO1994017481A1 (en) 1993-01-22 1994-08-04 Taligent, Inc. Business card system
JPH08506670A (ja) 1993-01-22 1996-07-16 タリジェ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フレキシブル・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3175399B2 (ja) 1993-05-18 2001-06-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ドデータ管理装置
US5621729A (en) * 1995-06-07 1997-04-15 Geophonic Networks, Inc. Receiver controlled communication system
US5774117A (en) * 1995-09-29 1998-06-30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xchanging electronic business cards in a point-to-point or a multi-point personal computer conference
WO1997036233A1 (fr) 1996-03-22 1997-10-02 Athena Telecom Lab, Inc. Procede de generation d'informations, procede de preparation d'informations initiales, et dispositif et support d'enregistrement utilises
US6442263B1 (en) * 1997-04-23 2002-08-27 Nortel Networks Limited Electronic business cards
US6333973B1 (en) * 1997-04-23 2001-12-25 Nortel Networks Limited Integrated message center
US6910628B1 (en) * 1997-06-24 2005-06-28 Richard P. Sehr Travel system and methods utilizing multi-application airline passenger cards
US6085976A (en) * 1998-05-22 2000-07-11 Sehr; Richard P. Travel system and methods utilizing multi-application passenger cards
AU8496398A (en) * 1997-07-18 1999-02-10 Net Exchang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effecting correspondent-centric electronic mail
EP0923040A3 (en) 1997-12-12 2002-01-02 Texas Instruments Inc. Digital information system and portable device therefor
JP3654773B2 (ja) 1998-07-08 2005-06-02 富士通株式会社 情報交換方法、情報管理流通装置、情報管理装置、情報流通装置、情報管理流通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情報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情報流通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6141341A (en) 1998-09-09 2000-10-31 Motorola, Inc.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telephone system and method
US6607136B1 (en) * 1998-09-16 2003-08-19 Beepcard Inc. Physical presence digital authentication system
US6374259B1 (en) * 1998-10-01 2002-04-16 Onepin,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retreiving business contact information in computer system
GB2343091B (en) * 1998-10-19 2004-05-19 Ibm Electronic business card exchange
AU2577800A (en) * 1999-02-11 2000-09-04 Mun Ki Kim System and terminal for exchanging concise and detailed information among users
US6254001B1 (en) * 1999-02-22 2001-07-03 George Ming Fai Chan Electronic business card device
JP4004683B2 (ja) * 1999-04-22 2007-11-07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及びその方法
US8156074B1 (en) * 2000-01-26 2012-04-10 Synchronoss Technologies, Inc. Data transfer and synchronization system
US6671757B1 (en) * 2000-01-26 2003-12-30 Fusionone, Inc. Data transfer and synchronization system
JP2001243413A (ja) * 2000-03-01 2001-09-07 Just Syst Corp 名刺管理システム、方法、そのサーバ装置及びクライアント装置、携帯端末装置、並びに記録媒体
JP2001282793A (ja) 2000-03-30 2001-10-12 Nifty Corp 識別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識別情報管理方法
US7644274B1 (en) * 2000-03-30 2010-01-05 Alcatel-Lucent Usa Inc. Methods of protecting against spam electronic mai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9801A (ko) * 1999-08-30 2001-03-15 조영선 인터넷을 이용한 중앙 명함관리시스템
KR20000037021A (ko) * 2000-04-04 2000-07-05 송승한 인터넷과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803B1 (ko) * 2017-03-30 2017-10-25 이승훈 명함 정보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10080132A (ko) 2019-12-22 2021-06-30 권형석 위치기반에서 명함을 교환하는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80580A1 (en) 2001-10-25
JP4311903B2 (ja) 2009-08-12
US7698313B2 (en) 2010-04-13
AU4482801A (en) 2001-10-30
US20030158858A1 (en) 2003-08-21
CN1422501A (zh) 2003-06-04
CN1271870C (zh) 2006-08-23
KR20010072523A (ko) 2001-07-31
USRE45392E1 (en) 2015-02-24
JP2003531432A (ja) 2003-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8757B1 (ko) 휴대통신기구 및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및 그 방법
US6687362B1 (en) Automatic address book update system
EP1146701B1 (en) Method of transferring data being stored in a database
US6714965B2 (en) Group contacting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computer instructions for executing operations of the contact system
CN101897204B (zh) 用于促进移动社区的发展的系统和方法
KR20000054371A (ko) 개인휴대통신 및 유무선 인터넷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
CN101584181B (zh) 通信系统
JP5574554B2 (ja) グローバルディレクトリサービス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2527951A (ja) 電話接続を追加情報で補う方法および装置
CN101763566A (zh) 联系信息管理系统和方法
JP2016516314A (ja) 電話番号連動基盤の電子名刺伝送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1636945B1 (ko) 인맥 관계망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CA24997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grated communication id
KR100982877B1 (ko)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에서 친구 연결을 관리하는 방법 및장치
KR100598978B1 (ko) 통신망을 이용한 단축 다이얼 시스템 및 방법
JP2005109816A (ja) 情報検索装置、情報検索方法、および情報検索プログラム
KR20020006267A (ko) 번호를 이용한 네트웍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23836B1 (ko) 이동 단말기에서의 호 설정을 위한 시스템
CN101764851A (zh) 提供在线通讯录回收站的方法和机制
EP1172976A1 (en) Method of transferring data being stored in a database
JP2004280145A (ja) 訪問者応対のための情報処理方法及び受付装置
KR20070071734A (ko) 유무선 기간통신망과 인터넷을 연결하는 커뮤니케이션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13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2390;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808

Effective date: 2017041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200003249;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200003249;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70511

Effective date: 2018020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1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30000083;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0619

Effective date: 2018080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