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0132A - 위치기반에서 명함을 교환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치기반에서 명함을 교환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0132A
KR20210080132A KR1020190172572A KR20190172572A KR20210080132A KR 20210080132 A KR20210080132 A KR 20210080132A KR 1020190172572 A KR1020190172572 A KR 1020190172572A KR 20190172572 A KR20190172572 A KR 20190172572A KR 20210080132 A KR20210080132 A KR 20210080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ocation
requester
recipient
busi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2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형석
Original Assignee
권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형석 filed Critical 권형석
Priority to KR1020190172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0132A/ko
Publication of KR20210080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01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청자 주변 관심 있는 분야 키워드정보로 업태, 업종, 취미, 비즈니스 등 검색된 정보에서 특정 또는 불특정 다수의 수신자 아이콘을 선택하여 사회적 관계를 요청하고, 개인 간 정보를 공유하고 커뮤니티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들 간 온라인을 통하여 오프라인 인맥 형성으로 확장하여 다양한 사람들과 새로운 비즈니스 사회적 관계를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치기반에서 명함을 교환하는 방법 및 시스템. {How to exchange business cards based on location And system}
본 발명은 위치기반에서 명함을 교환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요청자의 현재 위치 또는 요청자가 지정하는 위치를 기반으로 주변의 키워드정보인 관심 있는 분야의 업태, 업종, 취미, 비즈니스 등 검색된 정보를 통하여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개인 간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커뮤니티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SNS(Social Network Service)란 개인이 인터넷상의 가상 공간에서 타인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서비스, 즉, 인맥 구축이나 소통, 정보 공유 등을 목적으로 개설된 커뮤니티 형 웹 사이트로서 온라인상에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개인 간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커뮤니티 서비스를 말한다.
이러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특정 또는 불특정 다수와 정보를 공유하거나 커뮤니케이션을 하면서 더욱 돈독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관심 있는 분야에 대한 커뮤니티 공간을 만들어 새로운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이처럼 다양한 사람들과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빠르게 정보를 나눌 수 있는 새로운 사회적 관계를 맺을 수 있다
현재 많은 사람이 특정한 관심이나 활동을 공유하는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을 하거나 관계망을 구축해 정보를 공유하고 검색하는 데 대표적인 예로 SNS(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인스타그램) 등으로서 전 세계 요청자 수는 23억 4천만 명이며, 2020년에는 29억 5천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처럼 SNS는 남녀노소 이용자가 증가하면서 쉽게 관계를 맺고 끊는 '인스턴트'식 인간관계로 오프라인 미팅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고 대부분 사람들이 아이러니하게도 SNS를 통하여 의미 없는 사회적 관계를 이용하는데 그치고 있다.
이와같이 SNS를 사용하더라도 단순 관심과 인맥을 만들기 위함이 아닌, 실질적으로 관심 있는 분야에 대한 효율성이 있는 모임과 정보를 공유하거나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SNS 활동이 필요하다.
이처럼 습관적인 이용보단 자신의 생활과 목적에 맞는 SNS 사용이 더욱더 중요하다.
하지만 오프라인을 위주로 관계를 형성하던 시대와 달리 현대는 온라인을 통한 다양한 교류와 정보의 제공이 일상화되고 온라인을 통한 개인의 동향과 개인의 취향, 개인의 사생활 노출이 늘어감에 따라 온라인을 통한 관계의 형성과 유지도 필연적으로 따라주어야 할 관계가 되어가고 있어 각 SNS의 사용자들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적절히 섞어서 유지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또한, SNS의 특징인 온라인에서의 관계정보는 소통이 편리하게 손쉽고 빠르게 형성되어 많은 사람들이 SNS를 통하여 관심 있는 분야에 대한 비즈니스 등 마케팅을 진행하는 것 또한 필수가 되었다.
하지만 오프라인으로 연결시켜 사회적 관계를 비즈니스로 형성하기가 쉽지가 않다.
최근 이러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기반하여 검증된 본인 인증으로 온라인에서 비즈니스 등 사회적 관계를 오프라인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인맥 구축이나 소통, 정보 공유서비스를 제공하는 합리적인 방안들이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10-1187575 (2012.09.26) 스마트 폰 앱에 기반한 명함 교환 방법 및 시스템. 10-1383518 (2014.04.02) 모바일 명함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다자간 명함교환 방법. 10-0438757 (2004.06.24) 휴대통신기구 및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및 그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요청자와 수신자 간의 현재 위치 또는 요청자가 지정하는 위치를 기반으로 주변에 관심 있는 분야의 업태, 업종, 취미, 비즈니스 등 키워드정보로 검색된 정보를 통하여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개인 간 정보를 공유하거나 커뮤니케이션을 하면서 더욱 돈독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위치기반에서 명함을 교환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요청자가 특정 또는 불특정 다수의 수신자와 정보를 공유하거나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도록 검증된 식별정보인 명함정보를 수신자에게 제공하여 수신자의 동의하에 새로운 비즈니스 사회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위치기반에서 명함을 교환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본인 인증 과정을 통하여 사용자를 검증되고 공통으로 관심 있는 분야의 사용자들끼리 요청자와 멀지 않은 곳에 거주하거나 생활 반경이 근거리에 위치한 수신자와 오프라인 만남을 쉽게 할 수 있게하여 오프라인 인맥 형성을 통하여 커뮤니티 활성화, 지식공유 등으로 다양한 사람들과 새로운 비즈니스 사회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위치기반에서 명함을 교환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위치기반에서 명함을 교환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사용자(요청자, 수신자) 관련 정보인 업태, 업종 등 또는 관심 분야인 취미, 비즈니스 등 공유할 수 있는 관련 명함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관련 명함정보를 본인 인증 과정을 거쳐 상기 입력된 명함정보를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명함정보가 서버에 저장된 이후에는 요청자의 현재 위치 또는 요청자가 지정하는 위치를 기반으로 관심 있는 분야 키워드정보인 업태, 업종, 취미, 비즈니스 등 검색을 통한 키워드정보가 생성되어 요청자의 현재 위치 또는 요청자가 지정하는 위치기반 위에 수신자 아이콘이 표시된다.
여기서 현재 위치 또는 요청자가 지정하는 위치기반 위에 수신자 아이콘이 생성되어 표시되는 단계에서는 수신자가 요청자의 조건을 성별, 나이, 직종, 관심 분야 등을 설정하여 부합될 때 요청자 현재 위치 또는 요청자가 지정하는 위치기반 위에 수신자 아이콘이 생성되어 요청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면 요청자는 관심 있는 분야의 불특정 다수 또는 특정 수신자 아이콘을 선택하여 사회적 관계를 요청한다.
여기서 선택된 수신자는 개인 간 정보를 공유하고 커뮤니티 할 수 있도록 요청된 정보를 승낙 또는 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자가 승낙할 시 수신자가 설정된 공개정보 범위 안에서 세부정보가 제공되어 통화, SNS, 상담, 구매, 비즈니스, 미팅 등 개인 간 정보 공유와 커뮤니티를 할 수 있다.
여기서 요청자와 수신자 간의 위치를 기반으로 거절된 요청자는 수신자의 위치정보와 수신자의 관련 정보가 요청자 스마트폰에 생성되지 않는다.
여기서 위치기반에서 명함을 교환할 수 있도록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더 포함한다.
이와같이 본인 인증 과정을 통하여 사용자를 검증되고 공통으로 관심 있는 분야의 사용자들끼리 요청자와 멀지 않은 곳에 거주하거나 생활 반경이 근거리에 위치한 수신자와 오프라인 만남을 쉽게 할 수 있게하여 오프라인 인맥 형성을 통하여 커뮤니티 활성화, 지식공유 등으로 다양한 사람들과 새로운 비즈니스 사회적 관계를 맺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제공하면, 요청자 현재 위치 또는 요청자가 지정하는 위치를 기반으로 관심 있는 분야 키워드정보로 수신자의 업태, 업종, 취미, 비즈니스 등 검색을 통하여 생성된 키워드정보가 요청자의 현재 위치 또는 요청자가 지정하는 위치기반 위에 수신자 아이콘이 생성되어 요청자는 관심 있는 분야의 불특정 다수 또는 특정 수신자 아이콘을 선택하면 수신자는 요청된 정보를 승낙 또는 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안심하고 요청자들 간 위치기반으로 온라인을 통한 인맥 형성과 개인 간 지식공유 등 커뮤니티를 통하여 오프라인까지 확장하여 다양한 사람들과 새로운 비즈니스 사회적 관계를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위치기반에서 명함을 교환하는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위치기반에서 명함을 교환하는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데이터베이스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위치기반에서 명함을 교환하는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시스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위치기반에서 명함을 교환하는 서비스 등록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요청자의 현재 위치 또는 요청자가 지정하는 위치를 기반으로 요청자는 관심 있는 분야의 불특정 다수 또는 특정 수신자 아이콘을 선택하여 커뮤니티를 통한 사회적 관계를 요청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요청자의 현재 위치 또는 요청자가 지정하는 위치를 기반으로 요청자는 관심 있는 분야의 불특정 다수 또는 특정 수신자 아이콘을 선택하여 커뮤니티를 통한 사회적 관계를 요청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예를 나타낸 스마트폰 해상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수신자가 승낙할 시 수신자가 설정된 공개범위 안에서 세부정보가 제공되어 통화, SNS, 상담, 구매, 비즈니스. 미팅 등 개인 간 정보 공유와 커뮤니티를 할 수 있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예를 나타낸 스마트폰 해상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에 대한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게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요청자 스마트폰 및 수신자 스마트폰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임의의 전자장치일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 이동 단말기, 통신 단말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 휴대용 이동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 등으로 칭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전자장치는 스마트폰, 휴대폰, 게임기, 디스플레이 장치, 웨어러블 헤드 유닛,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Tablet) 컴퓨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내비게이션 장치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요청자 스마트폰 및 수신자 스마트폰은 플렉서블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요청자 스마트폰 및 수신자 스마트폰의 대표적인 구성은 휴대용 단말장치(예컨대, 스마트폰 등)에 대한 것이며, 이러한 전자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에서 일부 구성 소자는 필요에 따라 생략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는 방전관 디스플레이(ELD), 진공 형광 디스플레이(VFD),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LED), 음극선관(CRT), 액정 디스플레이(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표면 얼티네이트 라이팅(ALiS), 디지털 광원 처리(DLP), 실리콘 액정(LCoS),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표면 전도형 전자 방출 소자 디스플레이(SE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 레이저 TV(양자 점 레이저, 액정 레이저), 광유전성 액체 디스플레이(FLD), 간섭계 변조기 디스플레이(iMoD), 두꺼운 필름 유전체 전기(TDEL), 양자점 디스플레이(QD-LED), 텔레스코픽 픽셀 디스플레이(TPD), 유기 발광 트랜지스터(OLET), 레이저 형광 디스플레이(LPD), 빔 프로젝트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는 기록 매체로서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코드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펀치 카드(punch card), 페이퍼 테이프(paper tape), 피롬(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이피롬(EPROM: Erasable PROM), 플래시-이피롬(FLASH-EPROM),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CD-ROM(Compact Disc Read-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플렉서블 디스크(flexible disk), 광 코드 저장 장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솔리드 스테이트 하이브리드 드라이브(SSHD) 및 임베디드 멀티미디어 카드(eMMC: embedded Multi Media Car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원활한 기능 변경과 효율적인 트랜잭션 처리를 위하여 각 기능을 분리해 설계할 수 있도록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할 수 있는 독립된 환경을 조성할 수도 있다.
또한, 여러 조건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원하는 조건을 사용자가 입력하면 해당 조건을 만족하는 상황에서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키워드정보인 업태, 업종, 취미, 비즈니스 등에 대응되는 다수의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화하여 고유 식별정보 코드로 저장한다.
여기서 저장된 코드를 이용하여 요청자들에게 관심 있는 분야의 업태, 업종, 취미, 비즈니스 등에 필요한 키워드정보를 제공하고 쌍방향으로 소통하여 상품 홍보 또는 서비스 가입/물품 구매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명함정보 입력창에 포함된 딥러닝 기반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관련 서비스/상품 안내 정보를 더 표시하여 명함 관리 및 쌍방향으로 인맥 구축이나 소통하여 관심 있는 분야의 업태, 업종, 취미, 비즈니스 등 검색된 정보를 통하여 상품 홍보 또는 서비스 가입/물품 구매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부가서비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생성할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트랜잭션이 생성될 때마다 생성된 명함정보를 통하여 검증의 무결성을 유지하면서 컴퓨팅 자원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위치기반에서 명함을 교환하는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위치기반에서 명함을 교환하는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데이터베이스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위치기반에서 명함을 교환하는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위치기반에서 명함을 교환하는 시스템은 사용자(200)가 스마트폰을 통하여 인맥 구축이나 소통, 정보 공유 등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하고 통신망(400) 서비스 가입자에게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위치기반에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개인 간 정보를 공유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Based Service)는 스마트폰이나 지피에스(GPS, 위성 항법 장치)가 달린 사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해 그 지점에서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뜻한다.
이를 위해서는 스마트폰의 위치를 파악하는 측위기술과 서비스를 위한 핵심 기반기술을 제공하는 LBS 플랫폼 기술, 그리고 다양한 LB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LBS 서비스 공동기술과 LBS 단말 및 응용 서비스 기술로 구성된다.
여기서 측위기술은 스마트폰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기술로서, 통신망의 기지국 수신신호를 이용하는 네트워크 신호 기반(network-signal based) 측위방식, GPS 등 위성신호를 이용하는 위성신호 기반 측위방식, 유비쿼터스 컴퓨팅 장치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측위방식, 그리고 이런 방식이 혼합된 혼합 측위방식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한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인터넷과 같은 유무선 통신망(400)으로 연결된 서비스 공급자 서버(100), 요청자(200a) 스마트폰 및 수신자(200b) 스마트폰을 포함한다.
여기서, 서비스 공급자 서버(100)는 통신부(110)를 통해 유무선 통신망(400)에 접속되어 복수의 단말장치들(200a, 200b)과 통신한다. 서버(100)는 프로세서(120), 제어부(130), 데이터베이스(140), 데이터베이스(14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서버(100)는 마이크로소프트사에 의해 제조된 WINDOWS 2000, WINDOWS 2008, WINDOWS NT 3.51, WINDOWS NT 4.0, 캘리포니아 쿠퍼티노(Cupertino)의 애플 컴퓨터에 의해 제조된 MacOS, 자바, 유닉스(UNIX) 또는 리눅스(LINUX)를 포함하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은 다양한 운영 시스템의 제어 아래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100)는 기계학습(딥러닝) 및 기계학습을 활용한 요소 기술들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계학습은 입력 데이터들의 특징을 스스로 분류/학습하는 알고리즘 기술이며, 요소 기술은 딥러닝 등의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간 두뇌의 인지, 판단 등의 기능을 모사하는 기술로서, 언어적 이해, 시각적 이해, 추론/예측, 지식 표현, 동작 제어 등의 기술 분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인공지능 기술이 응용되는 분야는 다음과 같다.
각종 고유식별정보, 설정 정보, 회원 정보 등을 판단하여 논리적으로 추론하고 예측하고 최적화 예측, 지식 구축(데이터 생성/분류), 지식 관리(데이터 활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140)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예컨대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 (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 (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당한 필드(field)들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키워드정보인 관심 있는 분야의 업태, 업종, 취미, 비즈니스 등 관련 정보를 코드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여기서 프로그램은 생성부(120a), 검출부(120b), 저장부(120c), 인식부(120d), 인코딩부(120e), 디코딩부(120f)를 포함하며 명함 서비스 프로그램에 대한 상세 설명은 후술에 다시 설명한다.
여기서, 생성부(120a)는 먼저 요청자(200a)로부터 관심 있는 분야의 업태, 업종, 취미, 비즈니스 등 키워드정보인 요청 정보를 기초로 URL / 특수 문자나 숫자 / 특수 기능 등 인터베이스를 포함한 유니크한 코드체계로서 사용자 스마트폰 정보(200)에 따라 서로 대응시켜 배치된 기준으로 정의된 코드체계(150)에서 고유 식별정보 데이터 코드를 생성한다.
여기서 생성된 고유식별정보(140a)와 설정 정보(140b), 회원 정보(140c)는 요청된 명함 이미지 정보와 1:1로 대응하여 생성한다.
여기서 생성된 정보에 대응되는 URL을 포함한 특수 문자나 숫자 또는 특수 기능(실행 버튼)이 포함된 인터페이스에 라이트 된다.
여기서 명함은 사용자(200)를 검증하고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서 생성된 고유식별정보(140a)와 설정 정보(140b), 회원 정보(140c)가 포함된다.
여기서 스마트폰으로 수신된 정보를 확인 실행하면 자동으로 관련 정보가 생성될 수 있도록 사용자(200)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고 스마트폰과 통신할 수 있는 서버(100)를 구비한다.
여기서 정보를 매칭할 수 있도록 유무선 통신망(400)을 통하여 사용자 스마트폰(200) 정보에 해당되는 데이터 정보인 사용자 스마트폰(200)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112), 사용자 스마트폰(200)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20c), 수신된 사용자 스마트폰(200) 정보가 상기 서버(100)에 저장된 관련 정보와 일치하는지 진위를 확인하는 검출부(120b), 데이터양을 줄이기 위하여 정의된 코드체계에 따라 매핑하여 데이터를 코드화한 인코팅부(120e), 코드화(化)된 데이터나 명령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해독하는 디코딩부(120f)를 둔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140)는 사용자 스마트폰(200) 고유식별정보(140a), 설정정보(140b), 회원정보(140c)를 저장 관리한다.
여기서 고유식별정보(140a)는 이용자 스마트폰을 식별할 수 있는 모바일 식별 번호(MIN 또는 MSIN), 국제 모바일 장치 식별 정보(IMEI), 이동 통신 번호 정보, 소유자 정보, 국가별 언어 식별정보 및 전자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와 명함정보를 1:1로 매핑할 수 있는 정의된 코드체계로서 URL / 특수 문자나 숫자 / 특수 기능이 포함된 인터베이스, 설정정보(140b)는 업종, 업태, 취미, 비즈니스 등 각종 관심 분야 정보, 공개범위, 공개 기간, 재전송 범위, 사용자 위치정보 등, 회원 정보(140c)는 ID, 패스워드, 성별, 회원명, 생년월일, 주소, SNS 정보, 연락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사용자 스마트폰(200)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사용자 스마트폰(200)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100)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100)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100)와 연결된 사용자 스마트폰(200)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 스마트폰(200)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 (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사용자 스마트폰(200)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관심 있는 분야의 업태, 업종, 취미, 비즈니스 등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도 있다.
그리고, 요청자(200a) 스마트폰은 설정부(210a), 디스플레이(220a), 전송부(230a), 제어부(250a), GPS부(260a) 및 프로세서(240a)을 포함한 스마트폰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수신자(200b) 스마트폰은 설정부(210b), 디스플레이(220b), 전송부(230b), 제어부(250b), GPS부(260b) 및 프로세서(240b)을 포함한 스마트폰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스마트폰은 서버(100)와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스마트폰은 서버(100)와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장치, 태블릿 컴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200) 스마트폰은 명함정보를 통하여 관심 있는 분야의 업태, 업종, 취미, 비즈니스 등 정보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제품이다.
여기서 업태, 업종, 취미, 비즈니스 등에 해당되는 키워드정보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구조화하는 데이터 정보로 구성된다.
여기서, 사용자(200) 스마트폰은 서버(100)와 통신하여 조회를 요청하는 동작에 의해 다른 불편한 입력없이 곧바로 서버(100)에 링크되어 서비스, 즉 어떤 형태의 업태, 업종, 취미, 비즈니스 등에 관계없이 관련 정보를 쌍방향으로 소통하고 상품 홍보 또는 서비스 가입/물품 구매/명함 관리/인맥 관리 등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위치기반에서 명함을 교환하는 시스템은 정의된 코드체계(150)에 따라 입력되어 사용자(200)[요청자(200a), 수신자(200b)] 정보와 매핑하여 서버에 저장된 식별정보인 온라인 명함 이미지와 상기 요청자(200a)의 현재 위치 또는 요청자(200a)가 지정하는 위치를 기반으로 관심 있는 분야 키워드정보인 업태, 업종, 취미, 비즈니스 등으로 검색하여 생성된 수신자(200b) 아이콘 정보를 통하여 사회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는 스마트폰(200)과 요청자와 수신자(200b)를 통신(400)하여 연결할 수 있는 서버(100)를 구비 한다.
여기서 서버(100)는 요청자(200a)와 수신자(200b) 간의 현재 위치 또는 요청자(200a)가 지정하는 위치를 기반으로 관심 있는 분야 키워드정보로 업태, 업종, 취미, 비즈니스 등을 검색하여 생성된 정보를 통하여 사회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그램은 요청자(200a) 현재 위치 또는 요청자(200a)가 지정하는 위치를 기반으로 요청자(200a)가 관심 있는 분야 키워드정보로 업태, 업종, 취미, 비즈니스 등을 검색된 정보에서 특정 또는 불특정 다수의 수신자(200b) 아이콘을 선택하여 사회적 관계를 요청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요청자(200a)의 현재 위치 또는 요청자가 지정하는 위치기반 위에 수신자(200b) 아이콘은 수신자(200b)가 요청자(200a)의 조건을 성별, 나이, 직종, 관심 분야 등을 설정하여 조건이 부합될 때 요청자(200a) 현재 위치 또는 요청자(200a)가 지정하는 위치기반 위에 수신자(200b) 아이콘이 생성되어 요청자(200a)가 선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선택된 수신자(200b)는 개인 간 정보를 공유하고 커뮤니티 할 수 있도록 요청자(200a)가 요청한 정보를 승낙 또는 거절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요청자(200a)와 수신자(200b) 간의 위치를 기반으로 거절된 요청자(200a)는 수신자(200b)의 위치정보와 수신자(200b)의 관련 정보가 요청자(200a) 스마트폰에 생성되지 않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요청자(200a)가 특정 또는 불특정 다수의 수신자(200b)를 선택하여 사회적 관계를 요청함에 있어서 수신자(200b)가 승낙할 시 수신자가 설정된 공개정보 범위 안에서 세부정보가 제공되어 통화, SNS, 상담, 구매, 비즈니스. 미팅 등 개인 간 정보 공유와 커뮤니티를 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다시 본 발명에서 도 4를 참조하면 위치기반에서 명함을 교환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사용자(200)(요청자(200a), 수신자(200b)) 관련 정보인 업태, 업종 등 또는 관심 있는 분야인 취미, 비즈니스 등 공유할 수 있는 관련 명함정보를 입력(220)하고 입력된 관련 명함정보를 본인 인증 과정을 통하여 검증(221)한다.
여기서 본인 인증 방법에는 SMS·이메일·공공 i-PIN· 주민등록번호나 패스워드와 같이 본인만이 아는 것, 휴대폰 번호·신용카드와 같이 본인만이 가지고 있는 것, 또는 지문, 음성, 홍채 등 본인만의 특징 등이 인증방법으로 이용되며, 2개 이상이 함께 인증방법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확인된 명함정보를 서버(100)로 전송(224)하여 저장(225)한다.
여기서 명함정보가 서버(100)에 저장된 이후에는 요청자(200a)의 현재 위치 또는 요청자(200a)가 지정하는 위치(230)를 기반으로 관심 있는 분야 키워드정보인 업태, 업종, 취미, 비즈니스 등으로 검색(231)을 통한 키워드정보가 생성(231a)되어 요청자(200a)의 현재 위치 또는 요청자(200a)가 지정하는 위치(230)기반 위에 수신자(200b) 아이콘이 표시된다.
그리고 요청자(200a)는 관심 있는 분야의 불특정 다수 또는 특정 수신자 (200b)를 선택하여 사회적 관계를 요청(232)한다.
여기서 선택된 수신자(200b)는 개인 간 정보를 공유하고 커뮤니티 할 수 있도록 요청된 정보를 승낙 또는 거절(235)한다.
여기서 요청자(200a)가 특정 또는 불특정 다수의 수신자(200b)를 선택하여 사회적 관계를 요청함에 있어서 수신자(200b)가 승낙(235a)할 시 수신자(200b)가 설정된 공개정보 범위 안에서 세부정보가 제공(236a)되어 통화, SNS, 상담, 구매, 비즈니스. 미팅 등 개인 간 정보 공유와 커뮤니티(237a)를 할 수 있다.
한편 요청자(200a)와 수신자(200b) 간의 위치를 기반으로 조건이 충족하지 않거나 거절(235b)된 요청자(200a)는 수신자(200b)의 위치정보와 수신자(200b)의 관련 정보가 요청자(200a) 스마트폰에 생성되지 않도록(236b) 한다.
여기서 요청자(200a) 현재 위치 또는 요청자(200a)가 지정하는 위치기반 위에 수신자(200b) 아이콘이 생성되어 표시되는 단계에서는 수신자(200b)가 요청자(200a)의 조건을 성별, 나이, 직종, 관심 있는 분야 등을 설정하여 조건이 부합될 때 요청자(200a) 현재 위치 또는 요청자(200a)가 지정하는 위치를 기반 위에 수신자(200b) 아이콘이 생성되어 요청자(200a)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본인 인증 과정을 통하여 사용자(200)를 검증되고 공통으로 관심 있는 분야의 사용자(200)들끼리 요청자(200a)와 멀지 않은 곳에 거주하거나 생활 반경이 근거리에 위치한 수신자(200b)와 오프라인 만남을 쉽게 할 수 있게하여 오프라인 인맥 형성을 통하여 커뮤니티 활성화, 지식공유 등으로 다양한 사람들과 새로운 비즈니스 사회적 관계를 맺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요청자(200a)의 현재 위치 또는 요청자(200a)가 지정하는 위치(230)를 기반으로 요청자(200a)는 관심 있는 분야(231)의 불특정 다수 또는 특정 수신자(200b) 아이콘을 선택(232)하여 커뮤니티를 통한 사회적 관계를 요청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예를 나타낸 스마트폰 해상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수신자(200b)가 승낙할 시 수신자(200b)가 설정된 공개범위 안에서 세부정보가 제공되어 통화, SNS, 상담, 구매, 비즈니스 등 개인 간 정보 공유와 커뮤니티(236를 할 수 있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예를 나타낸 스마트폰 해상도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코드 파일, 코드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서버 150 : 정의된 코드
200 : 사용자 200a : 요청자
200b : 수신자
400 : 통신망

Claims (10)

  1. 위치기반에서 명함을 교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요청자, 수신자) 관련 정보인 업태, 업종 등 또는 관심 있는 분야인 취미, 비즈니스, 미팅 등 공유할 수 있는 관련 명함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관련 명함정보를 본인 인증 과정을 통하여 검증하는 단계;
    상기 검증된 명함정보를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명함정보가 서버에 저장된 이후는,
    요청자의 현재 위치 또는 요청자가 지정하는 위치를 기반으로 관심 있는 분야 키워드정보인 업태, 업종, 취미, 비즈니스 등으로 검색을 통하여 키워드정보가 생성되어 요청자의 현재 위치 또는 요청자가 지정하는 위치기반 위에 수신자 아이콘이 표시되는 단계;
    상기 요청자는 관심 있는 분야의 불특정 다수 또는 특정 수신자를 선택하여 사회적 관계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수신자는 개인 간 정보를 공유하고 커뮤니티 할 수 있도록 요청된 정보를 승낙 또는 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에서 명함을 교환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자가 특정 또는 불특정 다수의 수신자를 선택하여 사회적 관계를 요청함에 있어서 수신자가 승낙할 시 수신자가 설정된 공개정보 범위 안에서 정보가 제공되어 통화, SNS, 상담, 구매, 비즈니스, 미팅 등 개인 간 정보 공유와 커뮤니티를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에서 명함을 교환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자와 수신자 간의 위치를 기반으로 조건이 충족하지 않거나 거절된 요청자는 수신자의 위치정보와 수신자의 관련 정보가 요청자 스마트폰에 정보가 생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에서 명함을 교환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자 현재 위치 또는 요청자가 지정하는 위치기반 위에 수신자 아이콘이 생성되어 표시되는 단계에서는 수신자가 요청자의 조건을 성별, 나이, 직종, 관심 있는 분야 등을 설정하여 조건이 부합될 때 요청자 현재 위치 또는 요청자가 지정하는 위치기반 위에 수신자 아이콘이 생성되어 요청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에서 명함을 교환하는 방법.
  5. 위치기반에서 명함을 교환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정의된 코드체계에 따라 입력되어 요청자(요청자, 수신자) 정보와 매핑하여 서버에 저장된 식별정보인 온라인 명함 이미지;
    상기 요청자의 현재 위치 또는 요청자가 지정하는 위치를 기반으로 관심 있는 분야 키워드정보인 업태, 업종, 취미, 비즈니스, 미팅 등으로 검색하여 생성된 수신자 아이콘 정보를 통하여 사회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요청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및
    상기 요청자와 수신자를 통신하여 연결할 수 있는 서버를 구비 하고,
    상기 서버는 요청자와 수신자 간의 현재 위치 또는 요청자가 지정하는 위치를 기반으로 관심 있는 분야 키워드정보로 업태, 업종, 취미, 비즈니스 등을 검색하여 생성된 정보를 통하여 사회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요청자 현재 위치 또는 요청자가 지정하는 위치를 기반으로 요청자가 관심 있는 분야 키워드정보로 업태, 업종, 취미, 비즈니스 등을 검색된 정보에서 특정 또는 불특정 다수의 수신자 아이콘을 선택하여 사회적 관계를 요청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에서 명함을 교환하는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수신자는 개인 간 정보를 공유하고 커뮤니티 할 수 있도록 요청된 정보를 승낙 또는 거절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에서 명함을 교환하는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자와 수신자간의 위치를 기반으로 거절된 요청자는 수신자의 위치정보와 수신자의 관련 정보가 요청자 스마트폰에 생성되지 않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에서 명함을 교환하는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자의 현재 위치 또는 요청자가 지정하는 위치기반 위에 수신자 아이콘은 수신자가 요청자의 조건을 성별, 나이, 직종, 관심 분야 등을 설정하여 조건이 부합될 때 요청자 현재 위치 또는 요청자가 지정하는 위치기반 위에 수신자 아이콘이 생성되어 요청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에서 명함을 교환하는 방법.서 명함을 교환하는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자가 특정 또는 불특정 다수의 수신자를 선택하여 사회적 관계를 요청함에 있어서 수신자가 승낙할 시 수신자가 설정된 공개정보 범위 안에서 세부정보가 제공되어 통화, SNS, 상담, 구매, 비즈니스. 만남 등 개인 간 정보 공유와 커뮤니티를 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에서 명함을 교환하는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위치기반에서 명함을 교환할 수 있도록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90172572A 2019-12-22 2019-12-22 위치기반에서 명함을 교환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801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572A KR20210080132A (ko) 2019-12-22 2019-12-22 위치기반에서 명함을 교환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572A KR20210080132A (ko) 2019-12-22 2019-12-22 위치기반에서 명함을 교환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0132A true KR20210080132A (ko) 2021-06-30

Family

ID=76602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2572A KR20210080132A (ko) 2019-12-22 2019-12-22 위치기반에서 명함을 교환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01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6176B1 (ko) * 2023-02-20 2023-12-28 맹준영 전자명함 기반 모바일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757B1 (ko) 2000-04-04 2004-07-05 송승한 휴대통신기구 및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및 그 방법
KR101187575B1 (ko) 2010-12-01 2012-10-05 한국과학기술원 스마트 폰 앱에 기반한 명함 교환 방법 및 시스템
KR101383518B1 (ko) 2012-11-21 2014-04-08 모바일그룹 주식회사 모바일 명함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다자간 명함교환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757B1 (ko) 2000-04-04 2004-07-05 송승한 휴대통신기구 및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및 그 방법
KR101187575B1 (ko) 2010-12-01 2012-10-05 한국과학기술원 스마트 폰 앱에 기반한 명함 교환 방법 및 시스템
KR101383518B1 (ko) 2012-11-21 2014-04-08 모바일그룹 주식회사 모바일 명함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다자간 명함교환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6176B1 (ko) * 2023-02-20 2023-12-28 맹준영 전자명함 기반 모바일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3528B1 (ko) 지오-펜스 인가 프로비저닝
US9003556B2 (en) Techniques for in-app user data authorization
US10552542B1 (en) Techniques for graph base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US116717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digital meeting tool
US11966991B2 (en) Traveler tracking system
US2018013717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gital presence profiler service
US20220044345A1 (en) Flexible api framework
US8612478B1 (en) Location based query-response management system
US10439980B2 (en) Cross-messaging identity mapping
US10055498B2 (en) Methods for assessing and scoring user proficiency in topics determined by data from social networks and other sources
US1063112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dynamic remote assistance networks
US20200043103A1 (en) Proactive offers
US20140310778A1 (en) Method and system for third-party service platform login
US9571443B2 (en) Mobile device message enabled on-line community bulletin board
KR20210080132A (ko) 위치기반에서 명함을 교환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1032233B2 (en) Checkout chassis chat platform
US20180174058A1 (en) Providing dynamic and personalized recommendations
US1174125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anonymized information derived from data obtained from external data providers
US8731195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itiating secure transactions within a defined geographic region
KR20210050405A (ko) 고유 식별정보를 통한 도움요청 알림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20210113764A (ko) 스마트폰 분실정보 관리방법 및 시스템.
KR20210018985A (ko) 인공지능 기반에서 명함 이미지를 코드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53489A (ko) 고유 식별정보를 통한 도움요청 알림 제어방법 및 시스템.
CN115410011A (zh) 对象检测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80321957A1 (en) Non-coding application solu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