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9803B1 - 명함 정보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명함 정보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9803B1
KR101789803B1 KR1020170041101A KR20170041101A KR101789803B1 KR 101789803 B1 KR101789803 B1 KR 101789803B1 KR 1020170041101 A KR1020170041101 A KR 1020170041101A KR 20170041101 A KR20170041101 A KR 20170041101A KR 101789803 B1 KR101789803 B1 KR 101789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exchange
business card
server
list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1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이승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훈 filed Critical 이승훈
Priority to KR1020170041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8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H04W4/003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하는 서버의 명함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로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거리에 위치하는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들 각각이 획득한 타 단말기의 블루투스 어드레스 리스트들을 수신하여, 상기 리스트들에 따라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들 각각으로 송신할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들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들 각각으로 송신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들 각각으로부터 해당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에 대한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명함 정보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usiness card exchange servic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명함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 발전에 따라 사회 전반에 걸쳐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명함 교환의 경우 여전히 종이 명함 교환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연락처 관리의 효율화를 추구하는 명함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나, 종래의 명함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종이 명함을 단순히 스캔해서 등록하거나 디지털 명함을 표명하더라도 교환 기능에서 한계를 보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연락처 및 개인 프로필 정보가 디지털화된 전자 명함을 사용하면서도, 상대방과 대면한 상태에서 종이 명함을 교환하는 것과 유사한 경험을 제공하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검색을 통해 전자 명함 교환에서도 사용자에게 실제 명함 교환과 유사한 경험을 제공하는 명함 교환 서비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가 수행하는 명함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로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거리에 위치하는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들 각각이 획득한 타 단말기의 블루투스 어드레스 리스트들을 수신하여, 상기 리스트들에 따라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들 각각으로 송신할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들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들 각각으로 송신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들 각각으로부터 해당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에 대한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들에 따라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리스트들에 포함된 블루투스 어드레스들 중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검색하고, 검색된 블루투스 어드레스들 간에 명함 교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들 각각으로 송신할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들 중 제1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명함 교환 액션 요청에 따라 상기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들 중 제2 휴대용 단말기의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들 각각으로 송신할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검색된 블루투스 어드레스들에 대응하는 사용자 이름 및 검색된 블루투스 어드레스들과, 상기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를 수신할 상기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와의 명함 교환 상태를 포함시켜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들 중 어느 하나의 요청에 따라 명함 교환용 URL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명함 교환용 URL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제공하는 명함 교환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들에 대한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들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전부 교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한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전부 교환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하나의 단말기가 수신한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에 속한 명함 교환 대상자 모두에게 전부 교환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명함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주변에 위치하는 타 단말기의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서버로 송신하여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검색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검색 결과에 따른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의 내용에 따라 명함 교환 대상자에 대한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은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명함 교환 액션 요청에 대한 처리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서버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함께 송신하여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명함 교환 서비스에 회원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명함 정보, 프로필 정보, 프로필 사진, 멀티미디어 파일 또는 URL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로부터 갱신된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갱신된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에 따라 자동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갱신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은, 상기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에 속한 명함 교환 대상자 모두가 동시에 서로 명함을 교환하도록 요청하는 전부 교환 요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하여 명함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서로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거리에 위치하는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들 각각이 획득한 타 단말기의 블루투스 어드레스 리스트들을 수신하여, 상기 리스트들에 따라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검색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들 각각으로 송신할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들을 생성하는 리스트 생성부, 상기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들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들 각각으로 송신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들 각각으로부터 해당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에 대한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명함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주변에 위치하는 타 단말기의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획득하는 통신부, 획득된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서버로 송신하여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블루투스 어드레스의 검색을 요청하는 요청부, 상기 서버로부터 검색 결과에 따른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한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의 내용에 따라 명함 교환 대상자에 대한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은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명함 교환 액션 요청에 대한 처리 결과를 수신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전자 명함 교환에서 실제 사람 간에 대면한 상태에서 종이 명함을 교환하는 것과 같은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명함 교환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명함 교환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단말기에서 실행한 모습의 그림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명함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명함 교환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화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면들 중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 번호들 및 부호들을 부여하였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장치와 방법을 함께 서술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명함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명함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서로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100, 101, 102, 103)들과 해당 단말기들과 통신하는 명함 교환 서비스 제공 서버(200) (이하, 서버라 한다)로 구성된다. 서버(200)는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들로부터 회원 가입을 받고, 회원들이 등록한 명함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관리한다. 예를 들어, 서버(200)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어드레스와 전화번호,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의 이름 등이 데이터베이스화 되어 저장된다. 서버(200)는 이와 같은 데이터베이스의 관리를 통해서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간의 명함 교환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명함이란 종래의 종이 명함을 스캔 등에 의해 디지털화한 것뿐만 아니라, 연락처나 프로필 정보 등의 개인정보가 포함된 모든 정보전달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명함 교환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단말기에서 실행한 모습의 그림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명함 교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휴대용 단말기들에는 본 발명의 명함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하, 애플리케이션이라 한다.)이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에 따라 자신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함께 해당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서버(200)로 송신하여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를 서버(200)에 등록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명함 정보, 프로필 정보, 프로필 사진, 멀티미디어 파일, 또는 URL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고자 하는 정보로서, 멀티미디어 파일이나 URL 형식으로 존재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명함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의 구성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명함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가 타 단말기의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획득하는 단계(S10), 서버(200)가 단말기로부터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수신하는 단계(S20), 서버(200)가 수신한 블루투스 어드레스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단계(S30), 서버(200)가 검색 결과에 따라 명함 교환 대상자의 리스트를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S40) 및 단말기의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처리하는 단계(S50, S60, S70, S8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각 단계에 대해 실시예와 함께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해당 애플리케이션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온(On)시켜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거리에 위치하는 주변 단말기들에 노출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 A 내지 D와 같이, 서로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거리에 위치하는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들은 자신의 주변에 위치하여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노출시킨 타 단말기들의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거리에 단말기 A, B, C, D가 위치하는 경우, 단말기 A는 주변에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 B, C, D의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획득하고, 단말기 B는 단말기 A, C, D의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획득하며, 단말기 C는 단말기 A, B, D의 어드레스를 획득하고, 단말기 D는 단말기 A, B, C의 어드레스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주변 단말기들의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획득한 휴대용 단말기는 획득한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서버(200)로 송신하여, 해당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에서 획득한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검색할 것을 요청한다. 검색을 요청 받은 서버(200)는 각 단말기들이 송신한 블루투스 어드레스 리스트들에 따라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200)는 리스트들에 포함된 블루투스 어드레스들 중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검색하며, 더불어 검색된 블루투스 어드레스들 간에 명함 교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단말기의 사용자가 B, C, D의 블루투스 어드레스가 포함된 리스트를 서버(200)로 송신한 경우,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에서 B, C, D의 블루투스 어드레스가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한다. 검색 결과 B, C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서버(200)는 A와 B, A와 C 간에 명함 교환이 이루어졌는지 명함 교환 상태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양 단말기 간에 서로 명함 교환이 이루어졌는지, 또는 어느 한 단말기의 명함만이 다른 단말기로 송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후술하듯이, 서버는 이와 같은 검색 결과 및 명함 교환 상태에 따라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200)는 수신한 리스트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 검색 결과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들 각각으로 송신할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를 생성한다.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란, 어느 휴대용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 가능하여 해당 휴대용 단말기에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노출시킨 주변 단말기들 중 해당 휴대용 단말기와 명함 교환이 가능한 주변 단말기들의 사용자 리스트를 뜻한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A 단말기로부터 블루투스 어드레스 리스트를 수신하여 해당 리스트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서 A 단말기와 명함 교환이 가능한 대상자를 검색하며, 해당 결과를 이용하여 A 단말기로 송신할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를 생성한다. 마찬가지로, 서버(200)는 B 단말기로부터 블루투스 어드레스가 포함된 리스트를 수신하여 해당 리스트에 따라 B 단말기와 명함 교환이 가능한 대상자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해당 검색 결과를 이용하여 B 단말기로 송신할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를 생성할 때에는, 검색된 블루투스 어드레스들에 대응하는 사용자 이름 및 검색된 블루투스 어드레스들과, 해당 리스트를 수신할 단말기와 리스트의 대상자 간에 명함 교환 상태를 반영하여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명함 교환 상태를 반영하여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은, 예를 들어, A 단말기와 B 단말기 간에 이미 명함 교환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A 단말기로 송신할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에서 B 단말기를 제외하고, B 단말기로 송신할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에서는 A 단말기를 제외하여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에, 서버(200)는 생성한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들을 휴대용 단말기들 각각으로 송신하며,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를 수신한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해당 리스트에 따라 명함 교환 대상자를 화면에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200)로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송신하였던 각각의 단말기들은 서버(200)가 송신한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를 수신하고, 수신한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의 내용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명함 교환 대상자에 대한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입력 받는다. 예를 들어, A 단말기가 B, C 단말기가 포함된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를 수신한 경우, A 단말기는 사용자가 B, C 단말기에 대한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B 및/또는 C를 선택하여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이란 선택된 명함 교환 대상자에 대한 명함 교환 요청, 명함 송신 요청, 명함 수락 요청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단말기와 B 단말기 간에 명함 교환이 없었던 경우, A 단말기 또는 B 단말기는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에서 상대방을 선택하여 서로 간에 명함을 교환하는 명함 교환 요청의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A 단말기는 B 단말기의 명함을 받았는데, B 단말기는 A 단말기의 명함이 없는 경우, B 단말기는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에서 A 단말기를 선택하여 A 단말기의 명함을 송부할 것을 요청하는 명함 송신 요청의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또는, 반대로 A 단말기가 B 단말기로 자신의 명함을 송신하면서 자신의 명함을 받을 것을 요청하는 명함 수락 요청의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은 전부 교환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전부 교환 요청은 서로 블루투스 통신 가능한 복수의 단말기 간의 명함 교환을 일괄 처리하도록 요청하는 것을 말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들에 대해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 받는데, 선택된 대상자가 복수인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대상자 모두가 일괄적으로 명함 교환을 수행하는 전부 교환 요청의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입력 받아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대상자를 선택하는 과정이 생략될 수도 있다. 전부 교환 요청을 수신한 서버(200)는 전부 교환 요청의 대상자에게 전부 교환 수락 여부를 질의하고, 서버(200)는 수락한 대상자들을 포함하여 명함의 전부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B, C, D의 단말기가 서로의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획득하고, A 단말기의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에 B, C, D 단말기가 포함된 경우, A 단말기가 B, C, D 단말기를 모두 선택하여 전부 교환 요청을 입력하면, 서버(200)는 B에게 A, C, D 모두와 명함을 교환할 것인지, C 에게 A, B, D 모두와 명함을 교환할 것인지, D 에게 A, B, C 모두와 명함을 교환할 것인지를 질의한다. 이에 B, C, D 단말기가 모두 수락을 입력하여 서버(200)로 수락 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우, 서버(200)는 A, B, C, D 단말기 간에 명함 교환을 일괄적으로 처리한다. 이를 통해, 3인 이상의 복수의 사용자들이 모여서 명함 교환을 실시하는 경우, 1:1로 여러 번 교환을 수행할 필요 없이 모여있는 사람들 모두가 한 번의 요청과 한 번의 수락으로 명함 교환을 일괄 처리하는 편의성을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 사용자가 명함 교환 대상자에서 일부를 제외하고 수락하는 경우에는, 서버(200)는 수락이 공통되는 대상자들 간에만 명함 교환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한 번에 복수의 사용자들과 명함을 교환하는 경우, 명함 정보에 프로필 사진을 포함시키면 일괄 수신한 명함들 각각이 누구의 것인지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200)가 검색 결과를 이용하여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들 각각으로 송신할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들을 생성하는 경우,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들 중 제1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명함 교환 액션 요청에 따라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들 중 제2 휴대용 단말기의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휴대용 단말기와 제2 휴대용 단말기가 서로 명함 교환이 없었던 상태인 경우, 제1 휴대용 단말기의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에서 제2 휴대용 단말기로 명함 교환 요청이 가능한 상태로 표시되며, 제2 휴대용 단말기의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에서는 제1 휴대용 단말기로 명함 교환 요청이 가능하다. 이 때, 제1 휴대용 단말기에서 자신의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에 있는 제2 휴대용 단말기로 명함 교환 요청을 송신하면, 서버(200)는 제2 휴대용 단말기로 전달할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를 갱신하고, 갱신된 리스트를 제2 휴대용 단말기로 송신하는데, 갱신된 리스트는 제1 휴대용 단말기에게 명함 교환 요청을 받은 상태를 반영하여, 제2 휴대용 단말기는 제1 휴대용 단말기에게 명함 교환 요청이 불가능하고, 명함 교환 요청을 수락할 수 있도록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들로부터 미차의 시간 간격으로 복수의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수신한 순서에 따라 우선적으로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를 갱신할 수 있다. 여기서, 미차의 시간 간격으로 복수의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수신한다는 것은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들 중 어느 한 단말기에서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서버로 입력하였는데, 해당 명함 교환 액션 요청에 따라 타 단말기의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가 갱신 되기 전에, 타 단말기로부터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이 입력되는 것을 뜻한다. 예를 들어, 서버(200)가 A 단말기(제1 휴대용 단말기)와 B 단말기(제2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거의 동시에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수신한 경우, 서버(200)는 먼저 도착한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판별하여, 나중에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보낸 단말기로 보낼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를 우선적으로 갱신한다. 즉, A 단말기에서 먼저 명함 교환 요청을 보냈다면, 서버(200)는 B 단말기가 A 단말기에 대해서는 명함 교환 수락만 가능하도록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를 갱신하여 B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200)는 미차의 시간 간격으로 수신된 복수의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이 서로 대응되는 경우 자동으로 해당 액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가 A 단말기(제1 휴대용 단말기)와 B 단말기(제2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거의 동시에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수신한 경우, 두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이 모두 명함 교환 요청이거나, 하나는 명함 송신 요청이고 다른 하나는 명함 수락 요청인 경우, 쌍방의 의사가 일치하므로 해당하는 명함 교환 또는 명함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만일 두 명함 교환 액션 요청 중 하나는 명함 교환 요청이고 다른 하나는 명함 송신 요청 또는 명함 수락 요청이라면, 쌍방의 의사가 일치되는 명함 송신만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갱신된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를 수신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갱신된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에 따라 자동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갱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자동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갱신한다는 의미는, 서버(200)로부터 갱신된 리스트를 수신하면 사용자의 추가적인 입력 조작 없이도 갱신된 리스트의 수신만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갱신하는 것을 뜻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200)는 명함 교환용 URL을 생성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자신과 대면하여 명함을 교환하고자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명함 교환 대상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서버(200)로 명함 교환용 URL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서버(200)는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명함 교환용 URL 생성을 요청받으면 명함 교환용 URL을 생성하고, 생성한 명함 교환용 URL을 생성을 요청한 휴대용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200)로부터 명함 교환용 URL을 수신한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선택한 주변 단말기 사용자(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주변 단말기 사용자)에게 수신한 명함 교환용 URL을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서버(200)가 생성한 명함 교환용 URL을 직접 주변 단말기 사용자에게 송신할 수 있다. 즉, 서버(200)가 휴대용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명함 교환용 URL을 생성하고, 휴대용 단말기가 생성된 명함 교환용 URL을 송신하고자 하는 주변 단말기 사용자를 선택하여 해당 사용자의 정보(카카오톡 계정, 휴대전화번호, E-mail 주소 등)를 서버(200)로 송신하면, 서버(200)는 수신한 사용자의 정보로 명함 교환용 URL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명함 교환용 URL에는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명함 교환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정보는 다운로드 서버에서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며, 다운로드 서버로 연결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명함 교환용 URL에는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명함 교환을 수행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명함 교환을 수행할 수 있는 정보는, 명함 교환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며. 명함 교환용 URL을 생성시킨 단말기 또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0)는 명함 교환용 URL이나 그 식별자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명함 교환용 URL을 생성시킨 단말기 또는 사용자 정보와 매핑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단말기가 자신의 명함 교환 대상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B 단말기와의 명함 교환을 원하는 경우, A 단말기의 사용자는 서버로 명함 교환 URL의 생성을 요청한다. A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서버는 명함 교환 요청 URL을 생성하여 A 단말기로 송신한다. 이 때, 서버(200)는 명함 교환용 URL에 A 단말기 정보와 매핑 되는 식별자를 포함시키고, 해당 매핑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A 단말기의 사용자는 수신한 명함 교환용 URL을 문자 메시지, 이메일, 카카오톡 등의 임의의 방법을 통해 B 단말기에게 송신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명함 교환용 URL을 수신한 단말기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 해당 단말기의 사용자가 명함 교환용 URL을 클릭하면, 해당 URL에 포함된 식별자가 서버(200)로 송신되고, 서버(200)에서는 해당 식별자와 매핑 된 사용자 정보(단말기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사용자와의 명함 교환을 수행한다. 반면에 해당 단말기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해당 URL을 클릭하면, 다운로드 서버로 접속되어, 사용자는 해당 단말기에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운로드 서버는 구글 플레이 스토어일 수 있다.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 이후에 다시 URL을 클릭하여, 해당 URL에 포함된 식별자를 서버(200)로 송신함으로써, 해당 식별자와 매핑 된 사용자와의 명함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200)가 검색 결과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들 각각으로 송신할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들을 생성하는 경우, 리스트들에 따라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 결과 리스트들에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지 않은 블루투스 어드레스가 존재하면 서버(200)는 명함 교환용 URL을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200)는 명함 교환 QR 코드를 생성하여 이를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더불어, 해당 QR 코드는 QR 코드를 생성시킨 단말기 정보와 매핑 되어 서버(200)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단말기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지 않은 B 단말기의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획득한 후 이를 서버(200)로 송신하면, 서버(200)는 명함 교환 QR 코드를 생성하여 A 단말기 정보와 매핑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생성된 명함 교환 QR 코드를 A 단말기로 송신한다. A 단말기는 명함 교환 QR 코드를 화면에 출력하고, A 단말기 사용자는 해당 QR 코드를 타 단말기 사용자, 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지 않은 블루투스 어드레스 주소를 가진 B 단말기 사용자에게 보여주어, B 단말기가 해당 QR코드를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명함 교환용 QR 코드를 촬영한 단말기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 명함 교환용 QR 코드에 포함된 식별자가 서버(200)로 송신되고, 서버(200)에서는 해당 식별자와 매핑 된 사용자 정보(단말기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사용자와의 명함 교환을 수행한다. 반면에 해당 단말기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 다운로드 서버로 접속되어, 사용자는 해당 단말기에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들은 사용자들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은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서버(200)로 송신한다. 서버(200)는 단말기들로부터 수신한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처리한다. 예를 들어, A 단말기로부터 B 단말기와의 명함 교환 요청을 수신한 경우, 서버(200)는 B 단말기로 A 단말기의 명함 교환 요청을 전달하여, 수락 여부를 질의 한다. B 단말기가 명함 교환 요청을 수락하는 경우, A 단말기로 B 단말기의 명함을 송신하고, B 단말기로 A 단말기의 명함을 송신하여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처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명함 교환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단말기의 출력 화면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는 사용자가 클릭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그래픽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실제 회의실과 같은 곳에서 서로 초면인 사람들 간에 명함 교환이 이루어질 때에는, 종이 명함을 교환하고, 명함을 준 사람을 기억하기 위해 회의실 테이블 위에 사람들의 자리 배치대로 명함을 나열해 놓는 상황이 대부분 연출된다. 본 발명에서는 전자 명함 교환에서도 실제 대면하여 종이 명함 교환을 수행하는 것과 같은 경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를 실제 상황에서의 사람들의 위치, 배치에 따라 구성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4에 도시된 그림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예를 들어 명함 교환이 이루어진 후 명함 자체를 그래픽 인터페이스로 구성하여, 명함의 위치를 움직여 배치시키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하여 명함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200)는 검색부(210), 리스트 생성부(220), 수신부(230), 처리부(240) 및 데이터베이스(25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검색부(210)는 서로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거리에 위치하는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들로부터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들 각각이 획득한 타 단말기의 블루투스 어드레스 리스트들을 수신하여, 리스트들에 따라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250)를 검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리스트 생성부(220)는 검색 결과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들 각각으로 송신할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들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신부(230)는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들을 휴대용 단말기들 각각으로 송신하고, 휴대용 단말기들 각각으로부터 해당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에 대한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처리부(240)는 수신한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처리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명함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1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요청부(120), 수신부(1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 송신부(140) 및 처리부(16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부(110)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주변에 위치하는 타 단말기의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획득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요청부(120)는 획득된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서버(200)로 송신하여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에서 블루투스 어드레스의 검색을 요청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신부(130)는 서버(200)로부터 검색 결과에 따른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를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는 수신한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의 내용에 따라 명함 교환 대상자에 대한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입력 받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송신부(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입력 받은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서버(200)로 송신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처리부(160)는 서버(200)로부터 상기 명함 교환 액션 요청에 대한 처리 결과를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 광학적 판독 매체 등 모든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메시지의 데이터 포맷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살펴보았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비록 본 명세서에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각 단계는 반드시 기재된 순서대로 수행되어야 할 필요는 없고, 병렬적, 선택적 또는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형태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균등물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101, 102, 103 : 휴대용 단말기
110 : 통신부 120 : 요청부
130 : 수신부 140 : 송신부
15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60 : 처리부 200 : 서버
210 : 검색부 220 : 리스트 생성부
230 : 수신부 240 : 처리부
250 : 데이터베이스

Claims (15)

  1. 서버가 수행하는 명함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서로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거리에 위치하는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들 각각이 획득한 타 단말기의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어드레스 리스트들을 수신하여 상기 블루투스 어드레스 리스트들에 포함된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할 것을 요청받음에 따라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들 각각으로 송신할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들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들 각각으로 송신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들 각각으로부터 해당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에 대한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블루투스 어드레스 리스트들에 포함된 블루투스 어드레스들 중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블루투스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사용자와 해당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를 수신할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 간에 명함 교환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포함하는 명함 교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명함 교환 상태에 따라 상기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들 중 제1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명함 교환 액션 요청에 따라 상기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들 중 제2 휴대용 단말기의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휴대용 단말기의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는,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의 명함 교환 액션 요청 상태를 반영하여,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에게 명함 교환 요청이 불가능한 상태로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들로부터 미차의 시간 간격으로 복수의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쌍방의 의사가 일치되는 명함 교환 또는 명함 송신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들 중 어느 하나의 요청에 따라 명함 교환용 URL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어드레스 리스트들에 포함된 블루투스 어드레스들 중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지 않은 블루투스 어드레스가 존재하는 경우, 명함 교환용 URL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들에 대한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들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전부 교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한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전부 교환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하나의 단말기가 수신한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에 속한 명함 교환 대상자 각각에게 상기 명함 교환 대상자 중 자신을 제외한 모두와 명함을 교환할 것인지 질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8. 휴대용 단말기의 명함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주변에 위치하는 타 단말기의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서버로 송신하여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검색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검색 결과에 따른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의 내용에 따라 명함 교환 대상자에 대한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은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명함 교환 액션 요청에 대한 처리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서버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함께 송신하여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명함 교환 서비스에 회원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명함 정보, 프로필 정보, 프로필 사진, 멀티미디어 파일 또는 URL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명함 교환 대상자들 또는 명함들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화면 내 특정 위치로 이동하여 배치시킬 수 있는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은,
    상기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에 속한 명함 교환 대상자 각각에게 상기 명함 교환 대상자 중 자신을 제외한 모두와 명함을 교환할 것인지 질의하도록 요청하는 전부 교환 요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14.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하여 명함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서로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거리에 위치하는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들 각각이 획득한 타 단말기의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어드레스 리스트들을 수신하여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할 것을 요청받음에 따라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검색 결과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들 각각으로 송신할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들을 생성하는 리스트 생성부;
    상기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들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들 각각으로 송신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들 각각으로부터 해당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에 대한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5. 명함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주변에 위치하는 타 단말기의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획득하는 통신부;
    획득된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서버로 송신하여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블루투스 어드레스의 검색을 요청하는 요청부;
    상기 서버로부터 검색 결과에 따른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한 명함 교환 대상자 리스트의 내용에 따라 명함 교환 대상자에 대한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은 명함 교환 액션 요청을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명함 교환 액션 요청에 대한 처리 결과를 수신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170041101A 2017-03-30 2017-03-30 명함 정보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789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101A KR101789803B1 (ko) 2017-03-30 2017-03-30 명함 정보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101A KR101789803B1 (ko) 2017-03-30 2017-03-30 명함 정보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9803B1 true KR101789803B1 (ko) 2017-10-25

Family

ID=60300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101A KR101789803B1 (ko) 2017-03-30 2017-03-30 명함 정보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98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214A (ko) * 2017-11-29 2019-06-07 김경수 단말 간 정보 교환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20220059761A (ko) 2020-11-03 2022-05-10 이용준 다이렉트 통신을 이용한 상호 인증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757B1 (ko) * 2000-04-04 2004-07-05 송승한 휴대통신기구 및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757B1 (ko) * 2000-04-04 2004-07-05 송승한 휴대통신기구 및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214A (ko) * 2017-11-29 2019-06-07 김경수 단말 간 정보 교환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2048374B1 (ko) * 2017-11-29 2019-11-25 김경수 단말 간 정보 교환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20220059761A (ko) 2020-11-03 2022-05-10 이용준 다이렉트 통신을 이용한 상호 인증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67400A1 (en) User matching server, user matching method and user matching program
JP2019040557A (ja) 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認証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4139525A (ja) 個人情報提供システム、個人情報提供方法
KR101045822B1 (ko)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 방법, 그 시스템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201411986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機器、認証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251927B2 (ja) 環境コンテキストを共有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14182411A (ja) 情報処理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処理実行方法及び処理実行プログラム
CN111221484A (zh) 投屏方法及装置
US10375122B2 (en) Control apparatus, communications control system,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that stores program
KR101789803B1 (ko) 명함 정보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06191384A (ja) 移動機及びコンテンツ送信方法
JP2011109258A (ja) 情報通信システム、情報検索サーバ、情報検索プログラム、通信装置及び要求元通信装置
KR102008450B1 (ko) 명함 정보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018987B2 (en) Resource reservation system, sett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JP2021163131A (ja) 受付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5224556B2 (ja) 名刺交換情報処理装置、名刺交換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972417B2 (ja) 携帯端末、システム、アクセス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608728B1 (ko) 명함정보의 등록 및 조회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JP2023164211A (ja) 受付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9055166A (ja) メールアドレス交換サーバ、メールアドレス交換システム、サーバの制御方法及び携帯電話端末
JP2005348327A (ja) 通信システム、アドレス帳管理サーバ、通信端末、通信方法
KR101700301B1 (ko) 주소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640512B1 (ko)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간에 데이터 동기화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3051642A (ja) 携帯端末装置、携帯端末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581807B1 (ko) 명함정보의 등록 및 조회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