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3214A - 단말 간 정보 교환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 간 정보 교환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3214A
KR20190063214A KR1020170162137A KR20170162137A KR20190063214A KR 20190063214 A KR20190063214 A KR 20190063214A KR 1020170162137 A KR1020170162137 A KR 1020170162137A KR 20170162137 A KR20170162137 A KR 20170162137A KR 20190063214 A KR20190063214 A KR 20190063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exchan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business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8374B1 (ko
Inventor
김경수
Original Assignee
김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수 filed Critical 김경수
Priority to KR1020170162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374B1/ko
Publication of KR20190063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단말 간 정보 교환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개시한다.
기 저장된 교환대상정보에 대한 식별정보를 광고기기에 등록하고 광고기기를 통해 다수의 단말기로 식별정보 기반의 광고를 수행하며, 다수의 단말기 중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정보의 교환을 요청하는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단말로 교환대상정보를 제공하는 단말 간 정보 교환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말 간 정보 교환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Terminals}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간 정보 교환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가 대중화됨에 따라 종이로 되어있던 다양한 문서들은 디지털화되고 있고 있다. 특히, 비지니스 또는 홍보 등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종이 명함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종이 명함도 디지털화된 전자 명함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전자 명함 교환방식은 동일한 어플을 사용하고 있어야만 명함 교환이 가능하거나 일대일로 전자명함을 주고 받아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예컨대, 블루투스를 이용한 전자명함 교환 방식의 경우, 단말 간 일대일 연결 후 전자 명함을 교환하는 방법만이 가능하다. 이러한 기존의 방식은 회의, 포럼, 세미나, 박람회, 가맹점 등에서 다수의 대상과 전자명함을 제공하거나 교환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다수의 단말기 간에 빠르고 정확한 식별을 수행하고, 기기 간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 저장된 교환대상정보에 대한 식별정보를 광고기기에 등록하고 광고기기를 통해 다수의 단말기로 식별정보 기반의 광고를 수행하며, 다수의 단말기 중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정보의 교환을 요청하는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단말로 교환대상정보를 제공하는 단말 간 정보 교환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정보 교환 서비스 시스템에서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간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명함 교환서버에서 상기 제1 단말기의 식별자 요청에 근거하여 제1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식별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제공하는 정보 생성과정; 명함 광고기기에 상기 제1 식별정보 및 상기 제1 단말기에 대한 단말 이름정보를 등록하는 정보 등록과정; 상기 명함 광고기기에서 주변 단말기로 상기 단말 이름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정보 광고과정; 및 상기 주변 단말기 중 상기 단말 이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정보 교환을 요청하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기로 상기 제1 단말기에 대한 제1 교환대상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간 정보 교환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간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의 식별자 요청에 근거하여 제1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식별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제공하는 명함 교환서버; 및 상기 제1 식별정보 및 상기 제1 단말기에 대한 단말 이름정보를 등록하여 주변 단말기로 상기 단말 이름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명함 광고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명함 교환서버는, 상기 주변 단말기 중 상기 단말 이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정보 교환을 요청하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기로 상기 제1 단말기에 대한 제1 교환대상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교환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기 간에 정보를 빠르고 편리하게 교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수의 단말기에서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일부 단말기를 선택하여 정보를 제공 또는 교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교환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교환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교환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교환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교환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보 교환 서비스 시스템은 단말기 간에 교환대상정보를 제공 또는 교환하는 것으로 기재하여 설명하며, 교환대상정보는 전자명함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기 간에 주고 받을 수 있는 그 어떤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전자명함 데이터는 소정의 정보를 임의로 설정 가능하며, 예컨대, 이름, 직함, 소속 회사명, 소속 부서명, 회사 소재지, 전화번호, E-mail, 얼굴 사진, 생일, 성별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보 교환 서비스 시스템은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간의 정보를 교환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는 복수의 단말기를 포함하는 단말 그룹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교환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교환 서비스 시스템은 제1 단말기(110), 명함 교환서버(120), 명함 광고기기(130) 및 제2 단말기(140)를 포함한다.
제1 단말기(110) 및 제2 단말기(140)는 특정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장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특정 정보는 제1 단말기(110) 및 제2 단말기(140) 간에 교환 가능한 교환대상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교환대상정보는 전자명함, 개인정보, 홍보정보, 알림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10)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의 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2 단말기(140)는 정보를 제공받는 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기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단말기(140)는 제1 단말기(110)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뿐만 아니라 제2 단말기(140)의 정보를 제1 단말기(110)로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1 단말기(110)는 제1 교환대상정보를 제2 단말기(140)로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를 의미한다. 제1 단말기(110)는 명함 교환서버(120) 및 명함 광고기기(130)를 통해 제2 단말기(140)로 제1 교환대상정보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기(110)는 명함 교환서버(120)로 식별자 생성을 요청하여 제1 식별정보를 획득한다. 제1 단말기(110)는 식별자 생성을 요청하면서 제1 단말기(110)의 단말 또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 예컨대,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등을 명함 교환서버(12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기(110)는 식별자 생성을 요청하면서 제1 단말기(110)의 사용자 ID, 이메일 주소 등에 대한 정보를 명함 교환서버(120)로 제공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10)는 제1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제1 교환대상정보를 명함 교환서버(120)에 저장하고, 명함 광고기기(130)를 통해 제1 식별정보를 제2 단말기(140)에 포함된 복수의 단말기로 광고되도록 한다.
제2 단말기(140)는 제1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제1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명함 교환서버(120)로 정보 교환을 요청함으로써, 제1 단말기(110)에 대한 제1 교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단말기(140)가 명함 교환서버(120)로 정보 교환을 요청하는 과정에서, 명함 교환서버(120)는 제1 교환대상정보를 제2 단말기(140)에 제공할지 수락 여부를 제1 단말기(110)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기(140)가 명함 교환서버(120)로 정보 교환을 요청하는 과정에서, 제2 단말기(140)는 제1 교환대상정보를 획득하는 것뿐만 아니라, 제2 교환대상정보를 제1 단말기(110)로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10) 및 제2 단말기(140)는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센서 네트워크(USN), 사물지능통신(M2M), 사물인터넷(IoT) 등과 같은 유비쿼터스 영역의 다양한 디바이스들을 포괄하도록 해석될 수 있다.
제1 단말기(110) 및 제2 단말기(140)는 교환대상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명함 교환서버(120) 및 명함 광고기기(130)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명함 교환서버(120)는 제1 단말기(110) 및 제2 단말기(140) 간의 정보 교환을 중개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명함 교환서버(120)는 제1 단말기(110) 또는 제2 단말기(140)에 대한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각 단말기로부터 획득한 교환대상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명함 교환서버(120)는 제1 단말기(110)의 요청에 따라 제1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제1 단말기(110)로부터 획득한 제1 교환대상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명함 교환서버(120)는 각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생성하면서, 식별정보와 단말기 간의 매칭정보를 저장한다. 즉, 명함 교환서버(120)는 소정의 단말기로부터 식별정보를 획득하면, 식별정보에 대한 매칭정보를 이용하여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단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명함 교환서버(120)는 매칭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추출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식별정보에 포함된 정보만을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명함 교환서버(120)에서 생성된 식별정보(제1 식별정보 또는 제2 식별정보)는 고유 문자열 토큰(Token) 형태, 이메일 주소 형태, 사용자 ID 형태 등의 코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말기 자체를 식별하거나 단말기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함 교환서버(120)는 명함 광고기기(130)에 의해 제1 식별정보를 획득한 제2 단말기(140)로부터 정보 교환 요청이 존재하면, 제2 단말기(140)로 제1 교환대상정보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명함 교환서버(120)는 제2 단말기(140)로부터 제1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교환 요청신호를 획득하면, 제1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기 저장된 제1 교환대상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제1 교환대상정보를 제2 단말기(140)로 전송한다. 여기서, 명함 교환서버(120)는 제1 교환대상정보를 제2 단말기(140)로 전송하기 전에 제1 단말기(110)의 정보 교환 수락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은 도 2 및 도 3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명함 교환서버(120)는 제2 단말기(140)로부터 획득한 정보 교환 요청신호에 제1 식별정보뿐만 아니라 제2 단말기(140)의 제2 식별정보 및 제2 교환대상정보가 포함된 경우, 제1 단말기(110)에는 제2 단말기(140)의 제2 교환대상정보를 제공하고, 제2 단말기(140)에는 제1 단말기(110)의 제1 교환대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은 도 4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명함 광고기기(130)는 특정 정보의 교환을 위한 식별정보를 주변 단말기로 광고하는 기기를 의미한다. 명함 광고기기(130)에서 식별정보를 광고하는 동작은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비컨 신호를 주변 단말기로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명함 광고기기(130)는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를 이용하여 비컨 신호를 기 설정된 주기로 브로드캐스팅하여 제1 단말기(110)의 제1 식별정보를 제2 단말기(140)에 포함된 복수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명함 광고기기(130)는 무선랜(WIFI), UWB(Ultra Wideband),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지그비(Zigbee) 및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또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비컨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면 그 어떤 장치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명함 광고기기(130)는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비컨 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선통신 방식 예컨대 USB, 시리얼 포트(Serial Port) 등을 이용하여 식별정보를 다수의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명함 교환서버(120) 및 명함 광고기기(130)가 각각 별도의 장치인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교환 처리부(미도시) 및 광고 처리부(미도시) 등을 포함하는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교환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교환 서비스 제공방법은 1 단계 내지 4 단계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하 각각의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 1 단계 : 식별정보 생성 및 교환대상정보 저장>
1 단계에서는 제1 단말기(110)의 제1 교환대상정보를 명함 교환서버(120)에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기(110)는 명함 교환서버(120)로 단말 식별자 생성을 위한 요청신호를 전송하고(S210), 명함 교환서버(120)는 요청신호에 근거하여 제1 식별정보를 생성한다(S212). 여기서, 제1 단말기(110)는 식별자 생성을 위해 제1 단말기(110)의 단말 또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 예컨대, IMEI, IMSI, MIN 등을 포함하는 요청신호를 명함 교환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기(110)는 식별자 생성을 요청하면서 제1 단말기(110)의 사용자 ID, 이메일 주소 등에 대한 정보를 명함 교환서버(120)로 제공할 수 있다.
명함 교환서버(120)에서 생성된 제1 식별정보는 고유 문자열 토큰(Token) 형태, 이메일 주소 형태, 사용자 ID 형태 등의 코드일 수 있으며, 단말기 자체를 식별하거나 단말기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함 교환서버(120)는 제1 식별정보와 제1 단말기 간의 매칭정보를 저장한다(S214). 명함 교환서버(120)는 매칭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추후 제2 단말기(140)로부터 제1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교환 요청이 존재하면, 매칭정보를 이용하여 제1 단말기(110)에 대한 단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정보는 제1 단말기(110)와 통신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명함 교환서버(120)는 제1 단말기(110)로 제1 식별정보를 전송하고(S220), 제1 단말기(110)는 제1 식별정보를 저장한다(S222).
제1 단말기(110)는 제1 식별정보를 저장한 후 명함 교환서버(120)로 제1 교환대상정보를 전달하고(S224), 명함 교환서버(120)는 제1 교환대상정보를 저장한다(S226). 여기서, 명함 교환서버(120)는 제1 식별정보와 제1 단말기 간의 매칭정보에 근거하여 제1 교환대상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제1 교환대상정보는 전자명함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나 개인정보, 홍보정보, 알림정보 등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 2 단계 : 단말 이름정보 및 식별정보 등록>
2 단계에서는 제1 단말기(110)의 광고를 위해 단말 이름정보 및 식별정보를 광고기기(130)에 등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기(110)는 제1 단말기(110)에 대한 제1 단말 이름정보 및 제1 식별정보를 명함 광고기기(130)로 전송하여 등록한다(S230). 여기서, 제1 단말 이름정보는 명함 광고기기(130)에서 광고(브로드캐스팅) 시 제2 단말기(140)에 노출시키고자 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제1 단말 이름정보는 제1 단말기(110)를 대표하는 이름정보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단말기(110)의 사용자에 대한 이름정보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대표정보일 수 있다.
명함 광고기기(130)는 등록된 제1 단말 이름정보 및 제1 식별정보를 저장한다(S232).
< 3 단계 : 단말 이름정보 광고>
3단계: 명함 광고기기(130)는 제2 단말기(140) 즉, 복수의 단말기로 제1 단말기(110)를 광고하고, 식별 요청이 존재하는 제2 단말기(140)로 식별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명함 광고기기(130)는 제1 단말기(110)를 광고하기 위해 제1 단말 이름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한다(S240). 여기서, 명함 광고기기(130)는 제1 단말기(110) 또는 명함 광고기기(130)의 주변에 위치한 복수의 단말기(제2 단말기)로 제1 단말 이름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한다.
명함 광고기기(130)는 제1 단말 이름정보에 근거하여 제2 단말기(140)로부터 식별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S242), 제2 단말기(140)로 제1 단말 이름정보에 대응하는 제1 식별정보를 전송한다(S244). 여기서, 명함 광고기기(130)는 복수의 제2 단말기(140) 전체 또는 일부로부터 식별정보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식별정보를 요청한 제2 단말기(140)로만 제1 식별정보를 전송한다.
제2 단말기(140)는 명함 광고기기(130)로부터 획득한 제1 식별정보를 저장한다(S246).
< 4 단계 : 교환대상정보 제공>
4단계: 제1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제2 단말기(140)에서 명함 교환서버(120)로 정보 교환을 요청하면, 명함 교환서버(120)는 제1 교환대상정보를 제2 단말기(140)로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2 단말기(140)는 명함 교환서버(120)에 정보 교환을 요청한다(S250). 제2 단말기(140)에서 명함 교환서버(120)로 전송하는 정보 교환 요청신호는 제1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명함 교환서버(120)는 제1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제1 교환대상정보를 추출하고(S252), 추출된 제1 교환대상정보를 제2 단말기(140)로 전송한다(S254). 또는, 명함 교환서버(120)는 제2 단말기(140)로부터 제1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제1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매칭정보를 이용하여 제1 교환대상정보를 추출하고, 제2 단말기(140)로 제1 교환대상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교환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교환 서비스 제공방법은 1 단계 내지 4 단계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하 각각의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의 1 단계 내지 제3 단계에 포함된 단계 S310 내지 단계 S346은 도 2의 단계 S210 내지 단계 S246과 동일함으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 4 단계 : 교환대상정보 제공>
4단계: 제1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제2 단말기(140)에서 명함 교환서버(120)로 교환정보 요청하면, 명함 교환서버(120)는 제1 단말기(110)의 교환 수락 여부에 근거하여 제1 교환대상정보를 제2 단말기(140)로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2 단말기(140)는 명함 교환서버(120)에 정보 교환을 요청한다(S350). 제2 단말기(140)에서 명함 교환서버(120)로 전송하는 정보 교환 요청신호는 제1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명함 교환서버(120)는 제1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제1 단말기(110)의 정보를 추출하고, 제2 단말기(140)의 정보 교환 요청을 제1 단말기(110)로 전달한다(S360). 또는, 명함 교환서버(120)는 제2 단말기(140)로부터 제1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제1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매칭정보를 이용하여 제1 단말기(110)의 정보를 추출한다.
제1 단말기(110)에서 제2 단말기(140)에 대한 정보 교환을 수락한 경우(S362), 명함 교환서버(120)는 수락 여부를 확인하고 제1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제1 교환대상정보를 추출한다(S370). 또는, 명함 교환서버(120)는 제2 단말기(140)로부터 획득한 제1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매칭정보를 이용하여 제1 교환대상정보를 추출한다.
명함 교환서버(120)는 추출된 제1 교환대상정보를 제2 단말기(140)로 전송한다(S372).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교환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교환 서비스 제공방법은 1 단계 내지 4 단계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하 각각의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 1 단계 : 식별정보 생성>
1 단계에서는 제1 단말기(110)의 제1 식별정보 및 제2 단말기(140)의 제2 식별정보를 명함 교환서버(120)에 요청 및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기(110)는 명함 교환서버(120)로 단말 식별자 생성을 위한 요청신호를 전송하고(S410), 명함 교환서버(120)는 요청신호에 근거하여 제1 식별정보를 생성한다(S412). 여기서, 제1 단말기(110)는 식별자 생성을 위해 제1 단말기(110)의 단말 또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 예컨대, IMEI, IMSI, MIN 등을 포함하는 요청신호를 명함 교환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명함 교환서버(120)에서 생성된 제1 식별정보는 고유 문자열 토큰(Token) 형태, 이메일 주소 형태, 사용자 ID 형태 등일 수 있으며, 단말기 자체를 식별하거나 단말기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함 교환서버(120)는 제1 식별정보와 제1 단말기(110) 간의 매칭정보를 저장한다(S414). 명함 교환서버(120)는 매칭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추후 제2 단말기(140)로부터 제1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교환 요청이 존재하면, 매칭정보를 이용하여 제1 단말기(110)에 대한 단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정보는 제1 단말기(110)와 통신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명함 교환서버(120)는 제1 단말기(110)로 제1 식별정보를 전송하고(S420), 제1 단말기(110)는 제1 식별정보를 저장한다(S422).
또한, 제2 단말기(140)는 제1 단말기(110)와 동일한 방식으로 명함 교환서버(120)로부터 제2 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명함 교환서버(120)는 제2 식별정보와 제2 단말기(140) 간의 매칭정보를 저장한다. 제2 단말기(140)의 제2 식별정보 요청 및 저장하는 동작은 단계 S410 내지 S422와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의 2 단계 및 제3 단계에 포함된 단계 S430 내지 단계 S446은 도 2의 단계 S230 내지 단계 S246 또는 도 3의 단계 S330 내지 단계 S346과 동일함으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락하도록 한다.
< 4 단계 : 교환대상정보 제공>
4단계: 명함 교환서버(120)는 제1 단말기(110)로 제2 교환대상정보를 제공하고, 제2 단말기(140)로 제1 교환대상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2 단말기(140)는 명함 교환서버(120)에 정보 교환을 요청한다(S450). 제2 단말기(140)에서 명함 교환서버(120)로 전송하는 정보 교환 요청신호는 명함 광고기기(130)로부터 획득한 제1 식별정보와 제2 단말기(140)의 제2 식별정보 및 제2 교환대상정보를 포함한다.
명함 교환서버(120)는 제1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제1 단말기(110)의 정보를 추출하고(S452), 제2 단말기(140)의 정보 교환 요청을 제1 단말기(110)로 전달한다(S460). 여기서, 제2 단말기(140)의 정보 교환 요청은 제2 식별정보 및 제2 교환대상정보를 포함한다.
제1 단말기(110)는 제2 단말기(140)에 대한 정보 교환을 수락하고(S462), 제2 교환대상정보를 저장한다(S463).
제1 단말기(110)는 명함 교환서버(120)로 제2 단말기(140)에 대한 정보 교환 수락신호를 전송한다(S464). 여기서, 정보 교환 수락신호는 제2 식별정보 및 제1 교환대상정보를 포함한다.
명함 교환서버(120)는 정보 교환 수락신호를 획득하고, 정보 교환 수락신호에 포함된 제2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제2 단말기(140)의 단말 정보를 추출한다(S470). 여기서, 제2 단말기(140)의 단말 정보는 제2 단말기(140)와 통신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명함 교환서버(120)는 제2 단말기(140)의 정보를 이용하여 제2 단말기(140)로 제1 교환대상정보를 전송하며(S472), 제2 단말기(140)는 획득한 제1 교환대상정보를 저장한다(S474).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교환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교환 서비스 시스템은 제1 단말기(110)에 해당하는 단말 A는 명함 교환서버(120)로 식별자 생성 및 할당을 요청하고, 명함 교환서버(120)로부터 단말 A에 해당하는 제1 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한다.
단말 A는 제1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제1 교환대상정보를 명함 교환서버(120)로 전송하여 저장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1 교환대상정보는 사용자 A의 전자명함 정보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단말기(110)는 명함 광고기기(130)로 제1 식별정보를 등록하고, 명함 광고기기(130)는 등록된 제1 식별정보를 제2 단말기(140)에 해당하는 단말 B, 단말 C 등으로 브로드캐스팅한다. 여기서, 명함 광고기기(130)는 제1 식별정보를 제2 단말기(140)로 광고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단말기(140)에 노출시키고자 하는 제1 단말 이름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할 수도 있다.
명함 광고기기(130)로부터 제1 식별정보를 획득한 제2 단말기(140) 중 제1 교환대상정보의 정보 교환을 요청하는 단말 B가 존재하는 경우, 명함 교환서버(120)는 제1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기 저장된 제2 교환대상정보를 추출하여 단말 B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교환 서비스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 간에 정보를 제공 또는 교환하는 다양한 상황에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교환 서비스 시스템은 비지니스 회의 중 회의 참여자 간의 전자명함을 교환하는 상황, 학원 또는 강연장에서 강사가 본인을 홍보하기 위한 홍보정보를 청중에게 제공하는 상황에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정보 교환 서비스 시스템은 전시회 또는 박람회에서 관람객들에게 상품, 광고, 안내 정보 등을 제공하는 상황, 음식점과 같은 가맹점에서 방문 고객에게 음식, 제품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상황에서 적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각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2 내지 도 4에 기재된 과정을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2 내지 도 4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내지 도 4에 기재된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교환 서비스 제공방법은 애플리케이션(또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장치(또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교환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또는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단말장치(또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팅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제1 단말기 120: 명함 교환서버
130: 명함 광고기기 140: 제2 단말기

Claims (15)

  1. 정보 교환 서비스 시스템에서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간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명함 교환서버에서 상기 제1 단말기의 식별자 요청에 근거하여 제1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식별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제공하는 정보 생성과정;
    명함 광고기기에 상기 제1 식별정보 및 상기 제1 단말기에 대한 단말 이름정보를 등록하는 정보 등록과정;
    상기 명함 광고기기에서 주변 단말기로 상기 단말 이름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정보 광고과정; 및
    상기 주변 단말기 중 상기 단말 이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정보 교환을 요청하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기로 상기 제1 단말기에 대한 제1 교환대상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간 정보 교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생성과정은,
    상기 명함 교환서버에서 상기 제1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교환대상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간 정보 교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과정은,
    상기 명함 교환서버에서 상기 제2 단말기의 정보 교환 요청 시 획득한 상기 제1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기 저장된 상기 제1 교환대상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제1 교환대상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간 정보 교환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과정은,
    상기 명함 교환서버에서 상기 제2 단말기의 정보 교환 요청 시 획득한 상기 제1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기로 상기 제2 단말기의 정보 교환 요청을 전달하고, 상기 제1 단말기에서 정보 교환을 수락한 경우에만 기 저장된 상기 제1 교환대상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간 정보 교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생성과정은,
    상기 명함 교환서버에서 상기 제2 단말기의 식별자 요청에 근거하여 제2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식별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간 정보 교환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과정은,
    상기 명함 교환서버에서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제1 식별정보, 제2 식별정보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제2 교환대상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교환 요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로 상기 제2 단말기의 정보 교환 요청을 전달하면서 상기 제2 교환대상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간 정보 교환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과정은,
    상기 제1 단말기에서 상기 제2 교환대상정보를 저장한 후 정보 교환을 수락한 경우, 상기 명함 교환서버는 상기 제1 교환대상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간 정보 교환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과정은,
    상기 제1 단말기에서 상기 제2 단말기와의 정보 교환을 수락하면서 상기 명함 교환서버로 전송한 수락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2 식별정보 및 상기 제1 교환대상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상기 제1 교환대상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간 정보 교환 방법.
  9.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간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의 식별자 요청에 근거하여 제1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식별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제공하는 명함 교환서버; 및
    상기 제1 식별정보 및 상기 제1 단말기에 대한 단말 이름정보를 등록하여 주변 단말기로 상기 단말 이름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명함 광고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명함 교환서버는, 상기 주변 단말기 중 상기 단말 이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정보 교환을 요청하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기로 상기 제1 단말기에 대한 제1 교환대상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교환 서비스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명함 교환서버는,
    상기 제1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교환대상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교환 서비스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명함 교환서버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정보 교환 요청 시 획득한 상기 제1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기 저장된 상기 제1 교환대상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제1 교환대상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교환 서비스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명함 교환서버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정보 교환 요청 시 획득한 상기 제1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기로 상기 제2 단말기의 정보 교환 요청을 전달하고, 상기 제1 단말기에서 정보 교환을 수락한 경우에만 기 저장된 상기 제1 교환대상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교환 서비스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명함 교환서버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식별자 요청에 근거하여 제2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식별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교환 서비스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명함 교환서버는,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제1 식별정보, 제2 식별정보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제2 교환대상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교환 요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로 상기 제2 단말기의 정보 교환 요청을 전달하면서 상기 제2 교환대상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제1 단말기에서 상기 제2 교환대상정보를 저장한 후 정보 교환을 수락한 경우, 상기 제1 교환대상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교환 서비스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명함 교환서버는,
    상기 제1 단말기에서 상기 제2 단말기와의 정보 교환을 수락하면서 전송한 수락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2 식별정보 및 상기 제1 교환대상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상기 제1 교환대상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교환 서비스 시스템.
KR1020170162137A 2017-11-29 2017-11-29 단말 간 정보 교환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2048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137A KR102048374B1 (ko) 2017-11-29 2017-11-29 단말 간 정보 교환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137A KR102048374B1 (ko) 2017-11-29 2017-11-29 단말 간 정보 교환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214A true KR20190063214A (ko) 2019-06-07
KR102048374B1 KR102048374B1 (ko) 2019-11-25

Family

ID=66849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137A KR102048374B1 (ko) 2017-11-29 2017-11-29 단말 간 정보 교환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83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538B1 (ko) * 2020-12-30 2021-05-14 윤원준 스마트 단말기 접촉 방식에 기반한 정보 공유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0683A (ko) * 2003-03-20 2005-11-23 가부시키가이샤 오피스 미스미 통신 시스템, 그 방법 및 그 프로그램
KR101789803B1 (ko) * 2017-03-30 2017-10-25 이승훈 명함 정보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0683A (ko) * 2003-03-20 2005-11-23 가부시키가이샤 오피스 미스미 통신 시스템, 그 방법 및 그 프로그램
KR101789803B1 (ko) * 2017-03-30 2017-10-25 이승훈 명함 정보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538B1 (ko) * 2020-12-30 2021-05-14 윤원준 스마트 단말기 접촉 방식에 기반한 정보 공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8374B1 (ko) 201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12334B2 (ja) 無線通信方法およびデバイス
US9591483B2 (en) Authentication mechanisms for wireless networks
US2014011496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ocial matching
US20070087732A1 (en) Wireless electronic coupon delivery system for use by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JP6410936B2 (ja) 近距離無線装置を用いた移動端末機の間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サービス提供方法
CN103052066A (zh) 基于无线热点标识名进行数据交换或授权的方法
JP2012098598A (ja) 広告提供システム、広告提供管理装置、広告提供管理方法および広告提供管理プログラム
US20150142512A1 (en) User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user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advertisement distribution system
JP6376616B2 (ja) データタグキャリア情報アプリケーション及び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
TW201541990A (zh) 區域化的附加資訊遞送方法及系統
Shu et al. Talk2me: A framework for device-to-device augmented reality social network
CN104869535A (zh) 基于位置的移动智能终端id认证的方法及其系统
KR102048374B1 (ko) 단말 간 정보 교환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WO2017214795A1 (zh) 无线网络接入设备的会员通行认证方法及系统
JP607274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10694315B2 (en) Technique for allowing registered mobile users of the same or different social networks in the vicinity to use mobile devices of the same or different operation system to identify each other and exchange business information
Lin et al. An innovative queue management system based on bluetooth beacon technology
KR101499531B1 (ko) 제품 기반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US1004517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specific service
US97498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a MAC address of a wireless station with personal identifying information of a user of the wireless station
US8411654B2 (en) Autonomo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CN104766218A (zh) 基于数据标签的会员身份信息应用管理系统
KR102057432B1 (ko) 제품 기반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US20110122856A1 (en) Autonomo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KR20140145655A (ko) 위치 기반 광고 서버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