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8076B1 - 점착라벨 - Google Patents

점착라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8076B1
KR100438076B1 KR1019960046634A KR19960046634A KR100438076B1 KR 100438076 B1 KR100438076 B1 KR 100438076B1 KR 1019960046634 A KR1019960046634 A KR 1019960046634A KR 19960046634 A KR19960046634 A KR 19960046634A KR 100438076 B1 KR100438076 B1 KR 100438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dhesive label
layer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6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2896A (ko
Inventor
도시카즈 야마다
다츠야 츠키다
가즈히로 곤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22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2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8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80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0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an adhesive lay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3Adhesive

Abstract

본 발명은 점착 라벨, 특히 세척된 피착체(被着體)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점착 라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예컨대 세척과 같은 물과의 접촉에 의해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점착 라벨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 점착 라벨(1)은 기재층(2)과 점착제층(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재층(2)은 각종 제지류, 직포, 부직포, 다공질 수지 필름과 같은 투수성을 가지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점착제층(3)은 계면활성제를 2.0 내지 20 중량% 정도 함유하는 에멀션계의 점착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물과의 접촉에 의해 점착력이 감소된다. 이 점착제층(3)은 70℃의 온수를 수압 5kg/cm2에서 연속적으로 충돌시켰을 때, 180초 이내에 피착체(4)로부터 박리된다고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점착 라벨
본 발명은 점착 라벨, 특히 세척될 피착체에 부착시켜 사용되는 점착 라벨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우유팩, 맥주병, 빵 등은 플라스틱제의 용기(케이스)에 넣어서 수송, 보관되고 있는데, 유통단계에서 내용물의 종류, 수량, 배송처 등을 인식하기위해서 이들에 관한 기록이 표시된 점착 라벨을 상기 용기에 부착한다.
종래, 이 점착 라벨의 점착제로서는 용제형의 아크릴계 점착제가 사용되어 왔으며, 이 접착제는 수송중에 라벨이 박리, 탈착 등이 일어나지 않도록 점착력을 비교적 높게 설정하였다.
그런데, 상기 용기는 여러번 재사용되기 때문에, 재사용할 때마다 그에 따른 점착 라벨을 다시 붙일 필요가 있다. 용기를 재사용할 경우에는 용기를 자동세척기를 이용해 세척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점착 라벨의 점착력이 높기 때문에, 상기 세척에 의해서 점착 라벨이 떨어지지 않아 사람이 직접 손으로 점착 라벨을 용기에서 떼어내는 작업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점착 라벨의 박리작업에 막대한 노동력이 소요되기 때문에, 용기를 재사용할 때마다 전회(前回)의 점착 라벨 위에 새로운 점착 라벨을 거듭해서 붙이는, 소위 겹쳐붙이기를 하고 있는 바, 이 경우에는 용기의 외관이 손상되며, 또 두께가 두꺼워짐으로 인해서 겹쳐붙이는 매수에도 한계가 있다는 문제가 대두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예컨대 세척 등에 의해 물과 접촉하는 경우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 있는 점착 라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점착 라벨은 기재층과 점착제 층을 가지며, 상기 점착제층은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에멀션계 점착제로 구성되어 있고, 물과의 접촉에 의해 점착력이 저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점착 라벨에 의하면, 점착 라벨을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는 원치않는 박리가 일어나는 일이 없고, 세척과 같은 물과의 접촉시에는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용기와 같은 세척된 피착체에 부착하여 사용한 경우에는 그 세척에 의해 점착 라벨을 박리,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수작업으로 점착 라벨을 박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 중의 상기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2.0 ∼ 20 중량%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을 건조하는 경우 점착력은 300 내지 2000g/25mm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층은 투수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 라벨은 세척된 피착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착 라벨은 기재층과 점착제층을 가지며, 상기 점착제층은 70℃의 온수를 수압 5kg/cm2에서 연속적으로 충돌시켰을 때, 180초 이내에 피착체로부터 박리되는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점착 라벨에 의해서도 점착 라벨을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뜻하지 않은 박리가 일어나는 일은 없으며, 예컨대 세척과 같은 물과의 접촉에 의해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용기와 같은 세척된 피착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세척에 의해 점착 라벨을 박리,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수작업으로 점착 라벨을 박리한다고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의 건조시 점착력은 300 내지 2000g/25mm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층은 투수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 라벨은 세척된 피착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구성 및 효과는 도면 및 실험예에 기초하여 설명하는 하기의 실시예에 대한 기재에서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점착 라벨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점착 라벨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점착 라벨
2 기재층
3 점착제층
4 피착체
5 라벨 부착면
6 요철
이하, 본 발명의 점착 라벨을 첨부도면에 나타내는 적합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점착 라벨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점착 라벨(1)이 피착체(4)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점착 라벨(1)은 기재층(2)과 점착제층(3)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재층(2)의 구성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등의 각종 수지나 알루미늄박 등의 금속박으로 구성된 것이 좋은데, 후술하는 점착제층(3)에의 수분공급에 의해 박리를 쉽게 하기 위해서, 투수성(특히 친수성)을 지니는 것이바람직하다.
이러한 투수성을 가지는 기재층(2)으로는 예컨대, 상질지(woodfree paper), 코팅지, 감열지 등의 각종 제지류, 직포, 부직포, 다공질 폴리프로필렌 필름과 같은 다공질 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
또한, 기재층(2)은 단층에 한정되지 않고, 2층 이상의 적층체로 구성된 것이라도 좋다.
점착제층(3)의 반대측 면에있는 기재층(2)의 표면에는 예컨대, 문자, 기호, 도형, 바코드 등의 표시(인쇄 등)가 필요에 따라 첨부된다.
점착제층(3)은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에멀션계 점착제로 구성되어 있다.
점착제(점착성 조성물)로는 각각 고무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등 어느것이라도 좋지만, 그중에서도 특히 아크릴계 점착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점착제로서는 점착성을 제공하는 저(低) Tg의 주(主) 단량체 성분, 접착성이나 응집력을 제공하는 고(高) Tg의 공단량체 성분, 가교나 접착성 개량을 위한 작용기를 함유한 단량체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진다.
주 단량체 성분으로는 예컨대,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아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옥틸 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벤질 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 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나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벤질 메타크릴레이트등의 알킬 에스테르 메타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공단량체 성분으로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아세테이트,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작용기 함유 단량체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말레산, 이타콘산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나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등의 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재료가 바람직한 이유는 점착력, 응집력이 우수하며 또한, 중합체 중에 불포화 결합이 없기 때문에 광이나 산소에 대한 안정성이 높고, 또 단량체의 종류나 분자량의 선택에 의해 용도에 따른 임의의 품질, 특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은 점착제는 비가교형, 가교형의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필요에 따라 각종 가교제를 첨가할 수 있다.
점착제층(3) 중에는 계면활성제가 함유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점착제층(3)의 친수성이 향상되어 물과의 접촉시에, 특히 세척시에는 점착력을 상실하여 용이하게 박리된다.
이러한 계면활성제로는 예컨대, 알킬 벤젠 설폰산나트륨, 알킬 디페닐 에테르 디설폰산나트륨, 라우릴 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황산나트륨과 같은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나 폴리옥시에틸렌 옥틸 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노닐 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와 같은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소수기가 비교적 작고 친수성이 높다는 이유에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는 HLB(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 친수성-소수성 밸런스) 값이 큰 종류가 특히 바람직하다.
점착제층(3) 중의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비교적 많은 양이 된다. 즉, 점착제층(3) 중의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2.0 내지 20 중량%(고형분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내지 18 중량%(고형분비)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4.0 내지 15 중량%(고형분비) 정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점착제층(3)의 친수성 향상이 불충분하게 되고, 물과의 접촉에 의한 점착제층(3)의 박리가 일어나기 어렵게 되며, 또한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점착제층(3)의 응집력 등의 물성 저하를 초래하고, 또 점착제의 얼룩제거나 기재층(2)으로 침투할 우려가 있다.
또, 계면활성제는 점착제를 만드는 도중에 첨가하여도 좋고, 점착제를 만든 후에 추가로 첨가하여도 된다.
또한, 점착제층(3)에는 예컨대, 가소제, 점착부여제, 증점제, 충전제, 노화방지제, 방부제, 살균제, 염료, 안료 등의 각종 첨가제가 필요에 따라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점착제층(3)은 통상은 필요하고도 충분한 점착력을 가지며, 물과의접촉에 의해 점착력이 감소되는 것인데,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3)의 건조시(물과 접촉시키기 전의 통상의 상태) 점착력은 300 내지 2000g/25mm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 내지 1500g/25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점착력이 지나치게 낮으면, 점착 라벨의 사용시(피착체의 운반시, 보관시 등) 점착 라벨(1)이 뜻하지 않게 박리되기 쉬우며, 또한 점착력이 지나치게 높으면, 계면활성제의 함유량 등의 조건에 따라서는 물과의 접촉시에 점착제층(3)의 박리가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또한, 점착제층(3)은 점착 라벨(1)에 70℃의 온수를 5kg/cm2의 수압에서 연속적으로 충돌시켰을 때, 바람직하게는 180초 이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초 이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초 이내에 피착체(4)로부터 박리되는(또는 점착력을 잃게 되는) 특성을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경우에는 점착 라벨(1)을 부착시킨 용기, 예컨대 플라스틱제의 용기와 같은 피착체(4)가 세척, 특히 자동세척기에 의해 세척된 경우에 세척이 종료될 때까지의 시간 동안에 피착체(4)로부터 점착 라벨(1)을 자동적으로 박리, 제거할 수 있다.
점착제층(3)의 두께(건조막 두께)는 특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세척된 피착체(4)에 붙여서 사용하는 경우, 3 내지 100μm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50μm정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점착 라벨(1)은 예컨대, 점착제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며, 소정으로 조정된 도포액을 기재층(2)에 직접 도포하고 건조함으로써 점착제층(3)을 형성하거나 또는 같은 도포액을 소정의 전사용 시이트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점착제층(3)을 형성하고, 이 점착제층(3)을 기재층(2)의 한면에 전사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점착 라벨은 점착제층(3)에 이형 시이트(도시하지 않음)가 부착된 것이라도 좋다. 이 이형 시이트로는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 등의 각종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이나, 폴리에틸렌 라미네이트지, 점토-코팅지, 글라신지 등의 종이재를 기재로 하여, 이 기재의 점착제층(3)과의 접합면에 이형 코팅층(실리콘층 등)이 형성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라벨(1)은 세척, 특히 자동세척기에 의한 세척(세척액은 물, 알카리 수용액 등)에 제공되는 피착체(4)에 점착시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피착체(4)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예컨대 우유팩, 맥주병, 빵 등의 식품을 수납하는 플라스틱제의 용기(케이스)를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피착체(4)는 상술한 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착체(4)의 라벨 부착면(5)은 평활한 면인 것이 좋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엠보스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미소한 요철(6)을 가지는 거친면(조면(粗面))인 것이 바람직하다. 라벨 부착면(5)이 거친 면인 경우에는 라벨 부착면(5)에 대한 점착제층(3)의 점착력이 감소하는 동시에, 피착체(4)의 세척시 거친면의 오목부를 통해 수분이 침입하여, 점착제층(3)이 물과 접촉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실시예
이어서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1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을 아래와 같이 제조하여, 이 도포액을 기재층의 한면에 도포, 건조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한 후, 이 점착제층에 이형 시이트를 점착시켜 본 발명의 점착 라벨(치수 : 세로100mmX가로100mm)을 제조하였다.
· 도포액의 제조방법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비닐 아세테이트, 아크릴레이트, 및 계면활성제(폴리옥시에틸렌 노닐 페닐 에테르)를 일반적인 유화중합의 절차에 의해 반응시켜서 도포액을 제조하였다.
또한, 제조된 점착 라벨에 있어서의 각층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① 기재층
구성재료 : 상질지
두께 : 80μm
② 점착제층
[점착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 60 중량부,
부틸 아크릴레이트 : 32 중량부,
비닐 아세테이트 : 5 중량부,
아크릴레이트 : 3 중량부
의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계 중합체.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노닐 페닐 에테르(비이온계 계면활성제) : 6 중량% (고형분 비)
두께 : 20μm
③이형 시이트
구성재료 : 글라신지, 한면에 실리콘 처리
두께 : 70μm
실시예 2
점착제층의 두께를 30μm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점착 라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점착제층 중의 계면활성제를 아래와 같이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점착 라벨을 제조하였다.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노닐 페닐 에테르(비이온계 계면활성제) : 3 중량%(고형분 비).
실시예 4
점착제층 중의 계면활성제를 아래와 같이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점착 라벨을 제조하였다.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노닐 페닐 에테르(비이온계 계면활성제) : 4 중량%(고형분 비),
도데실벤젠 설폰산나트륨(음이온계 계면활성제) : 2 중량%(고형분비)
실시예 5
점착제층 중의 점착제 및 계면활성제를 아래와 같이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점착 라벨을 제조하였다.
[점착제]
부틸 아크릴레이트 : 62 중량부,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 30 중량부,
비닐 아세테이트 : 5 중량부,
아크릴레이트 : 3 중량부
의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계 중합체.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노닐 페닐 에테르(비이온계 계면활성제) : 4 중량% (고형분 비),
도데실벤젠 설폰산나트륨(음이온계 계면활성제) : 2 중량%(고형분비)
실시예 6
기재층으로 두께 80μm의 감열지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같은 점착 라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기재층으로 두께 50μm의 다공질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점착 라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기재층으로 두께 150μm의 평직 목면포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점착 라벨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용액)을 아래와 같이 제조하고, 이 도포액을 이용하여 용제형의 아크릴계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점착 라벨을 제조하였다.
· 도포액의 제조방법
60중량부의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32중량부의 부틸 아크릴레이트, 5중량부의 비닐 아세테이트, 3중량부의 아크릴레이트를 에틸 아세테이트를 용매로 하여 일반적인 중합 절차에 의해 반응시켰다. 이 반응으로 수득한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 1중량부의 콜로네이트L(일본 폴리우레탄주식회사 제품)을 가교제로 첨가하여 도포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기재층으로 두께 50μm의 다공질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같은 점착 라벨을 제조하였다.
<테스트>
상기 실시예 1 내지 8, 비교예1, 2의 각 점착 라벨로부터 이형 시이트를 제거하여 노출시킨 점착제층을 다음의 A, B, 2종의 피착체에 각각 붙였다.
A. 폴리프로필렌제 판재이며, 라벨 부착면은 평활면.
B. 폴리프로필렌제 판재이며, 라벨 부착면은 거친면(표면거칠기 Rmax = 40μm).
이어서, 각 점착 라벨의 점착력을 JIS Z 0237에 준하여 측정함과 동시에, 세척테스트로서 피착체의 라벨 부착 부분을 향해 70℃의 온수를 5kg/cm2의 수압에서 연속적으로 분사하여, 점착 라벨이 박리, 탈착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이들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표 1a]
[표 1b]
표 1에 나타내는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실시예1 내지 8의 본 발명의 점착 라벨은 비교예의 점착 라벨에 비해 단시간에 피착체로부터 박리, 탈착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 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점착 라벨은 점착 라벨을 사용하는 동안에는 원치 않는 박리가 발생하는 일이 없으나, 예컨대 세척과 같은 물과의 접촉에 의해서는 용이하게 박리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용기와 같이 세척된 피착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세척에 의해 점착 라벨을 박리,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수작업으로 점착 라벨을 박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범위는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10)

  1. 기재층과 점착제층을 가지는 점착 라벨로서,
    상기 점착제층은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에멀션계의 점착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물과의 접촉에 의해 점착력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라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 중의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2.0 내지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라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라벨.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건조시 점착력이 300 내지 2000g/2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라벨.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상질지(woodfree paper), 코팅지, 감열지 등의 각종 제지류, 직포, 부직포, 다공질 폴리프로필렌 필름과 같은 다공질 수지 필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라벨.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라벨은 세척된 피착체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라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70℃의 온수를 수압 5kg/cm2에서 연속적으로 충돌시켰을 때, 180초 이내에 피착체로부터 박리되는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라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건조시 점착력이 300 내지 2000g/2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라벨.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상질지(woodfree paper), 코팅지, 감열지 등의 각종 제지류, 직포, 부직포, 다공질 폴리프로필렌 필름과 같은 다공질 수지 필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라벨.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라벨은 세척된 피착체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라벨.
KR1019960046634A 1995-10-19 1996-10-18 점착라벨 KR1004380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296264A JPH09114382A (ja) 1995-10-19 1995-10-19 粘着ラベル
JP95-296264 1995-10-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2896A KR970022896A (ko) 1997-05-30
KR100438076B1 true KR100438076B1 (ko) 2004-08-31

Family

ID=17831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6634A KR100438076B1 (ko) 1995-10-19 1996-10-18 점착라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09114382A (ko)
KR (1) KR100438076B1 (ko)
CN (1) CN1122250C (ko)
TW (1) TW3276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2239A (ko) * 2000-12-26 2002-07-04 임경보 취입 성형용 레이블
JP2002221906A (ja) * 2001-01-24 2002-08-09 Lintec Corp 粘着ラベル
WO2005064575A1 (ja) * 2003-12-25 2005-07-14 Yupo Corporation デラベリング可能なラベル
DE202004002207U1 (de) * 2004-02-12 2005-06-16 Steinbeis Ppl Gmbh Folienetikett für Mehrwegbehälter
GB2411882B (en) * 2004-03-09 2007-01-31 Spear Group Holdings Ltd Pressure sensitive film labels for reusable containers
GB2411879A (en) * 2004-03-12 2005-09-14 Spear Europ Ltd Label removable from article by hot washing
GB2411880A (en) * 2004-03-09 2005-09-14 Spear Group Holdings Ltd Label removable from article by hot washing
GB2411877A (en) * 2004-03-09 2005-09-14 Spear Europ Ltd Removable label with channels in surface of adhesive
GB2424865C (en) 2005-04-06 2007-12-11 Spear Group Holdings Ltd A label for removable attachment to an article.
JP5020563B2 (ja) * 2006-08-02 2012-09-05 日東電工株式会社 吸着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離型フィルム付き吸着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641634B2 (ja) * 2008-03-13 2014-12-1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部材および画像表示装置、並びに画像表示装置からの光学フィルムの剥離方法および表示パネルの取り出し方法
KR101011974B1 (ko) * 2010-08-27 2011-02-01 민준기 무점착 송장 라벨과 이의 제조방법
JP5760766B2 (ja) * 2011-07-05 2015-08-12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物流管理用ラベル
JP2014066892A (ja) * 2012-09-26 2014-04-17 Osaka Sealing Printing Co Ltd ラベル連続体
CN108913052A (zh) * 2018-07-05 2018-11-30 马可足 一种快速剥离型临时固定粘合片及其制备方法
TWI715123B (zh) * 2019-07-26 2021-01-01 達璞股份有限公司 感壓標籤
KR102361820B1 (ko) * 2019-12-23 2022-02-14 (주)트러스 삼투압 방식 수분 투입 박리형 이차전지 고정용 테이프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114382A (ja) 1997-05-02
KR970022896A (ko) 1997-05-30
CN1152760A (zh) 1997-06-25
CN1122250C (zh) 2003-09-24
TW327687B (en) 1998-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8076B1 (ko) 점착라벨
AU715370B2 (en) Prelaminat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structions
AU720438B2 (en) Water-activated polymers and adhesive image transfer technique
US6302994B1 (en) Process for producing labeled article
JP3853091B2 (ja) タックラベル及びタックラベル付きポリエステル製ボトル
JPH09114383A (ja) ラベル貼着部形成用粘着シート
JP5100204B2 (ja) 感熱ラベル及びラベル付き容器
JP5189800B2 (ja) 感熱性接着ラベル、及びラベル付き容器
JP4578307B2 (ja) 感熱ラベル
JP5052047B2 (ja) タックラベル付きポリエステル製ボトル
JP2002221906A (ja) 粘着ラベル
JP5119106B2 (ja) 感熱ラベルおよびラベル付き容器
JP2001200218A (ja) 水はく離性両面テープ
JP2010106143A (ja) 易剥離性感熱ニス及び易剥離性感熱ラベル
JP4356128B2 (ja) 熱処理により貼付面から剥離可能な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WO2001026893A1 (en) Repositionable article
JP2003177673A (ja) リサイクル対応ラベル
JP2001172578A (ja) 粘着シート
JPH06346031A (ja) 粘着シート
JP2006106234A (ja) 感熱ラベル
JP4880993B2 (ja) 感熱ラベルおよびラベル付き容器
JP4033702B2 (ja) スクリーン印刷版清浄用粘着シート
JP2000255814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材料用搬送補助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材料
JP2995909B2 (ja) 再剥離性粘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292161A (ja) ポリオレフィン用接着テ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