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7426B1 - 평면핸들장치 - Google Patents

평면핸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7426B1
KR100437426B1 KR10-2000-0047082A KR20000047082A KR100437426B1 KR 100437426 B1 KR100437426 B1 KR 100437426B1 KR 20000047082 A KR20000047082 A KR 20000047082A KR 100437426 B1 KR100437426 B1 KR 100437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case
operation handle
fixing
cas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7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1303A (ko
Inventor
스기무라아츠로오
Original Assignee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46419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07359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46905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373458B2/ja
Application filed by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21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1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7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74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 E05B5/003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92Moving otherwise than only rectilinearly or only rotatively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바 등의 공구에 의해서 자물쇠유니트의 잠금고정수단이 폭력 파괴되는 일이 없음과 동시에, 고정케이스와 와셔판이 탈락하지 않도록 확실히 유지되기 때문에, 부착작업을 혼자서도 작업능률이 좋게 행할 수 있는 평면핸들장치를 제공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기단부의 횡단피벗축(3)을 중심으로 출몰회전이 가능하게 조작핸들(2)이 고정케이스(1)에 수용되고, 조작핸들(2)의 선단측에 설치된 자물쇠유니트(4)에 의해서 조작핸들(2)이 도복위치에 잠금고정되는 평면핸들장치에 있어서, 횡단피벗축(3)에 관하여 자물쇠유니트(4)의 잠금고정수단보다도 기계강도가 낮은 취약부(5)를 형성한다. 고정케이스(1)의 본체부분(29)에 끼워맞춤되는 와셔판(10)의 좌우 한 쌍의 측벽판부(10a,10b)의 내측면의 한쪽 또는 쌍방에 제1 걸림부(27)를 설치하고, 고정케이스(1)의 본체부분(29)의 좌우외측면(29a,29b)의 한쪽 또는 쌍방에 제2 걸림부(28)를 설치하여, 제1 걸림부(27)와 제2 걸림부(28)를 탄성걸어맞춤시켜서, 와셔판(10)을 고정케이스(1)의 본체부분(29)에 부착 유지한다.

Description

평면핸들장치{PLANE HANDLE DEVICE}
본 발명은, 각종 기기류의 수납박스 등의 문의 시정(施錠)과 개폐조작에 사용되는 평면핸들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단부의 횡단피벗축을 중심으로 출몰회전이 가능하게 조작핸들이 고정케이스에 수용되고, 조작핸들의 선단측에 설치된 자물쇠유니트에 의해서 조작핸들이 도복(倒伏)위치에 잠금고정되는 평면핸들장치로서는, 각종 구조의 것이 이미 알려져있다.
이러한 평면핸들장치를 자동판매기에 적용한 경우, 폭력적인 도범자가 조작핸들의 선단부와 고정케이스의 사이에 남겨진 간극에 바(못빼는 공구) 등의 공구를 끼워넣고, 지레의 작용에 의해서 배가된 힘을 조작핸들의 선단부에 가함으로써, 조작핸들을 선단부측으로부터 후벼서 열어, 고정케이스의 받이홈부와 걸어맞춤하고있는 자물쇠유니트의 잠금고정수단을 폭력적으로 파괴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또, 평면핸들장치를 문에 부착하는 방식의 하나로서, 단면 U자형의 와셔판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방식에서는, 고정케이스의 본체부분을 문의 부착구멍에 정면측으로부터 끼어넣고, 고정케이스의 앞면칼라부를 문의 앞면에 맞닿게 하고, 배면측으로부터 고정케이스의 본체부분에 끼운 단면 U자형의 와셔판을 문의 배면에 맞닿게 하고, 와셔판의 관통구멍으로부터 비스(작은 스크루)를 고정케이스의 배면벽부의 고착구멍에 비틀어 넣음으로써, 고정케이스를 문에 체결고착한다.
이 부착방식에서는, 고정케이스의 본체부분을 문의 부착구멍에 정면측으로부터 끼워넣고, 배면측으로부터 고정케이스의 본체부분에 와셔판을 끼운 후, 와셔판의 관통구멍에 비스를 삽입하여 고정케이스의 고착구멍에 비틀어 넣을 때까지의 동안, 고정케이스가 부착구멍으로부터 빠지거나, 와셔판이 고정케이스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확실히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한 쪽 손으로 고정케이스를 유지하면서, 다른 한 쪽 손으로 와셔판의 끼워맞춤유지와 비스의 죄어 넣음을 동시에 하는 것은 실제상 용이하지 않고, 부착작업의 작업성이 매우 나쁘다. 이 부착작업을 신속히 하기 위해서는, 두사람의 작업원을 배치할 필요가 있으므로, 노임비용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 등의 공구에 의해서 자물쇠유니트의 잠금고정수단이 폭력 파괴되는 일이 없는 평면핸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케이스와 와셔판을 탈락하지 않도록 확실히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부착작업을 혼자서도 작업능률이 좋게 행할 수 있는 평면핸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문이 시정상태로, 청구항 1의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평면핸들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핸들장치의 배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핸들장치의 좌측면도,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1의 평면핸들장치에 있어서, 조작핸들의 선단부측에서 후벼서 열려고 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문이 시정상태로, 청구항 2의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평면핸들장치의 정면도,
도 8은 도 7의 평면핸들장치의 배면도,
도 9는 도 7의 평면핸들장치의 좌측면도,
도 10은 도 7의 A-A선 단면도,
도 11은 도 7의 B-B선 단면도, 그리고
도 12는 도 7의 평면핸들장치의 부착양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고정케이스 2 조작핸들
3 횡단피벗축 4 자물쇠유니트
5 취약부 6 공구
7 문 8 부착구멍
9 고정케이스의 앞면칼라부 10 와셔판
11 관통구멍 12 비스
13 고착구멍 14 축받이통부
15 고정쇠판 16 주축
17 조작핸들의 배면공간 18 고정틀체
19 받이쇠부 20 로터
21 편심돌기 22 래치볼트
23 수동구멍 24 열쇠
25 받이홈부 26 자물쇠유니트 수납부
27 제1 걸림부 28 제2 걸림부
29 고정케이스의 본체부분
도 1부터 도 6에 의거하여 설명되는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기단부의 횡단피벗축(3)을 중심으로 출몰회전이 가능하게 조작핸들(2)이 고정케이스(1)에 수용되고, 조작핸들(2)의 선단측에 설치한 자물쇠유니트(4)에 의해서 조작핸들(2)이 회전돌출됨이 없이 고정 케이스(1)내에 유지되는 도복위치에서 잠금고정되는 평면핸들장치에 있어서, 횡단피벗축(3)에 관하여 자물쇠유니트(4)보다 더 선단측에 위치한 조작핸들(2)의 부분에 자물쇠유니트(4)의 잠금고정수단보다도 기계강도가 낮은 취약부(5)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평면핸들장치에서는, 도범자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 등의 공구(6)를 조작핸들(2)의 선단부와 고정케이스(1)간의 간극에 끼워넣고, 지레의 작용에 의해서 배가된 힘을 조작핸들(2)의 선단부에 가하여, 조작핸들(2)을선단부측으로부터 후벼서 열고자 할 때, 자물쇠유니트(4)의 잠금고정수단이 파괴되기 전의 단계에서, 상기 취약부(5)가 파괴되어, 조작핸들(2)의 선단부가 자물쇠유니트(4)의 앞에서 파단되게 된다.
그 때문에, 자물쇠유니트(4)에 의한 고정케이스(1)에 대한 조작핸들(2)의 주체부분의 잠금고정기능은, 여전히 유효하게 유지되게 되어, 도범자는 조작핸들(2)을 고정케이스(1)로부터 돌출회전시켜서, 고정틀체에 대한 문의 시정을 해제할 수가 없다.
(청구항 1의 발명의 실시형태)
도 4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케이스(1)는, 본체부분을 문(7)의 부착구멍(8)에 정면측으로부터 끼워 넣고, 앞면칼라부(9)를 문(7)의 앞면에 맞닿게 하고, 배면측으로부터 고정케이스(1)의 본체부분에 끼운 단면 U자형의 와셔판(10)을 문(7)의 배면에 맞닿게 하고, 와셔판(10)의 관통구멍(11)으로부터 비스(12)를 고정케이스(1)의 배면벽부의 고착구멍(13)에 비틀어 넣음으로써, 문(7)에 체결고착되어 있다.
고정케이스(2)의 기단부에 전후방향으로 돌출형성한 축받이통부(14)에는, 후단부에 고정쇠판(15)을 고착한 주축(16)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어 있다. 주축(16)의 전단부는 조작핸들(2)의 기단부의 배면공간(17)에 삽입되고, 횡단피벗축(3)에 의해서 조작핸들(2)과 주축(16)이 연결되어 있다.
도 3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핸들(2)을 횡단피벗축(3)을 중심으로 고정케이스(1)로부터 비스듬히 돌출 회전시키고, 조작핸들(2)을 잡고주축(16)을 소정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고정쇠판(15)이 고정틀체(18)측의 받이쇠부(19)로부터 이탈하기 때문에, 고정틀체(18)에 대한 문(7)의 시정이 해제되고, 문(7)은 조작핸들(2)을 앞으로 당김으로써 개방된다.
자물쇠유니트(4)는 공지의 실린더자물쇠로 구성되어 있고, 로터(20)의 내단부에 연동장비된 캠으로 형성된, 또는 로터(20)자체로 형성된 편심돌기(21)가 잠금고정수단인 래치볼트(22)의 수동구멍(23)에 삽입되어 있다. 소정의 열쇠(24)에 의해서 자물쇠유니트(4)의 로터(20)를 돌리면, 래치볼트(22)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고정케이스(1)의 배면벽부의 받이홈부(25)에 걸거나 벗겨진다.
래치볼트(22)의 선단부가 받이홈부(25)에 걸어맞춤함으로써, 조작핸들(2)은 고정케이스(1)내의 도복위치에 잠금고정된다. 취약부(5)는, 조작핸들(2)의 자물쇠유니트수납부(26)보다 더 선단측에 위치한 배면부분을, 전방을 향하여 V 자형으로 오목형성함으로써 얻어지고있다. 조작핸들(2)의 최선단부분은 손가락 걸기부로서 고정케이스(1)의 하측에 돌출하고 있다.
도 7로부터 도 12에 의해 설명되는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출몰회전이 가능하게 조작핸들(2)을 고정케이스(1)에 수용하고, 고정케이스(1)의 본체부분(29)을 문(7)의 부착구멍(8)에 정면측으로부터 끼워넣고, 고정케이스(1)의 앞면칼라부(9)를 문(7)의 앞면(7a)에 맞닿게 하고, 배면측으로부터 고정케이스(1)의 본체부분(29)에 끼운 단면 U자형의 와셔판(10)을 문(7)의 배면(7b)에 맞닿게 하고, 와셔판(10)의 관통구멍(11)으로부터 비스(12)를 고정케이스(1)의 배면벽부의 고착구멍(13)에 비틀어 넣음으로써, 고정케이스(1)를 문(7)에 체결 고착하도록 한 평면핸들장치에 있어서, 와셔판(10)의 좌우한 쌍의 측벽판부(10a, 10b)의 내측면의 한쪽 또는 쌍방에 제1 걸림부(27)를 설치하고, 고정케이스(1)의 본체부분(29)의 좌우외측면(29a,29b)의 한쪽 또는 쌍방에 제2 걸림부(28)를 설치하여, 제1 걸림부(27)와 제2 걸림부(28)를 탄성 걸어맞춤시키고, 와셔판(10)을 고정케이스(1)의 본체부분(29)에 부착하여 유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평면핸들장치를 문(7)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최초에 고정케이스(1)의 본체부분(5)을 문(7)의 부착구멍(8)에 정면측으로부터 끼워 넣고, 한 쪽 손으로 고정케이스(1)의 앞면칼라부(9)를 문(7)의 앞면(7a)에 맞닿게 한 상태로 유지된다. 다음에, 문(7)의 배면측으로부터 고정케이스(1)의 본체부분(5)에 와셔판(10)을 끼워 맞추고, 와셔판(10)의 제1 걸림부(27)를 고정케이스(1)의 본체부분(5)의 제2 걸림부(28)에 탄성 걸어맞춤시킨다.
(청구항 2의 발명의 실시형태)
도 7부터 도 12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고정케이스(2)의 기단부에 전후방향으로 돌출 형성한 축받이통부(14)에는, 후단부에 고정쇠판(15)을 고착한 주축(16)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어 있다. 주축(16)의 전단부는 조작핸들(2)의 기단부의 배면공간(17)에 삽입되고, 횡단피벗축(3)에 의해서 조작핸들(2)과 주축(16)이 연결되어 있다.
도 3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핸들(2)을 횡단피벗축(3)을 중심으로 고정케이스(1)로부터 비스듬히 돌출 회전시키고, 조작핸들(2)을 잡고 주축(16)을 소정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고정쇠판(15)이 고정틀체(18)측의 받이쇠부(19)로부터 이탈하기 때문에, 고정틀체(18)에 대한 문(7)의 시정이 해제되고, 문(7)은 조작핸들(2)을 앞으로 당김으로써 개방된다.
자물쇠유니트(4)는 공지의 실린더 자물쇠로 구성되어 있고, 로터(20)의 내단부에 연동장비한 캠으로 형성된, 또는 로터(20)자체로 형성된 편심돌기(21)가, 잠금고정수단인 래치볼트(22)의 수동구멍(23)에 삽입되어 있다. 소정의 열쇠(24)에 의해서 자물쇠유니트(4)의 로터(20)를 돌리면, 래치볼트(22)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고정케이스(1)의 배면벽부의 홈받이부(25)에 걸거나 벗겨진다. 이것에 의하여 조작핸들(2)은 고정케이스(1)내의 도복위치에 잠금고정된다. 조작핸들(2)의 최선단부분은 손가락걸기부로서 고정케이스(1)의 하측에 돌출하고 있다.
와셔판(10)의 제1 걸림부(27)는, 프레스가공에 의해서 반구형상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돌기부로 구성되고, 고정틀체(1)의 제2 걸림부(28)는, 다이캐스팅성형에 의해서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오목부로 형성되어 있다. 제1 걸림부(27)를 오목부로 구성하고, 제2 걸림부(28)를 돌기부로 구성할 수도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횡단피벗축(3)을 중심으로 출몰회전이 가능하게 조작핸들(2)을 고정케이스(1)에 수용하고, 조작핸들(2)의 선단측에 설치한 자물쇠유니트(4)에 의해서 조작핸들(2)을 도복위치에 잠금고정하고, 횡단피벗축(3)에 관하여 자물쇠유니트(4)보다 더 선단측에 위치한 조작핸들(2)의 부분에, 자물쇠유니트(4)의 잠금고정수단보다도 기계강도가 낮은 취약부(5)를 형성하였으므로, 바 등의 공구에 의해서 조작핸들(2)의 선단부를 후벼서 열려고 하였을 때, 해당 선단부가 자물쇠유니트(4)의 잠금고정수단에 선행하여 파단하므로, 자물쇠유니트의 기능을 보전할 수가 있어, 방범성에 있어서 우수하다.
(청구항 2의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청구항 2의 발명의 평면핸들장치에서는, 와셔판(10)의 좌우한쌍의 측벽판부(10a,10b)의 내측면의 한쪽 또는 쌍방에 제1 걸림부(27)를 설치하고, 고정케이스(1)의 본체부분(29)의 좌우외측면(29a,29b)의 한쪽 또는 쌍방에 제2 걸림부(28)를 설치하여, 제1 걸림부(27)와 제2 걸림부(28)를 탄성걸어맞춤시키고, 와셔판(10)을 고정케이스(1)의 본체부분(29)에 부착유지하도록 하였으므로, 와셔판(10)의 관통구멍(11)에 비스(12)를 삽입하여, 비스(12)를 고정케이스(1)의 본체부분(29)의 고착구멍(13)에 비틀어 넣기까지의 동안에, 고정케이스(1)와 와셔판(10)으로부터 손을 떼어도, 이들이 탈락하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평면핸들장치의 부착작업을 혼자서도 작업능률이 좋게 행할 수 있어 인건비를 절감할 수가 있다.

Claims (2)

  1. 기단부의 횡단피벗축(3)을 중심으로 출몰회전이 가능하게 조작핸들(2)이 고정케이스(1)에 수용되고, 조작핸들(2)의 선단측에 설치된 자물쇠유니트(4)에 의해서 조작핸들(2)이 회전돌출됨이 없이 고정케이스(1)내에 유지되는 도복위치에서 잠금고정되는 평면핸들장치에 있어서, 횡단피벗축(3)에 관하여 자물쇠유니트(4)보다 더 선단측에 위치한 조작핸들(2)의 부분에 자물쇠유니트(4)의 잠금고정수단보다도 기계강도가 낮은 취약부(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핸들장치.
  2. 출몰회전이 가능하게 조작핸들(2)을 고정케이스(1)에 수용하고, 고정케이스(1)의 본체부분(29)을 문(7)의 부착구멍(8)에 정면측으로부터 끼워넣고, 고정케이스(1)의 앞면칼라부(9)를 문(7)의 앞면(7a)에 맞닿게 하고, 배면측으로부터 고정케이스(1)의 본체부분(29)에 끼운 단면 U자형의 와셔판(10)을 문(7)의 배면(7b)에 맞닿게 하고, 와셔판(10)의 관통구멍(11)으로부터 비스(12)를 고정케이스(1)의 배면벽부의 고착구멍(13)에 비틀어 넣음으로써, 고정케이스(1)를 문(7)에 체결고착하도록 한 평면핸들장치에 있어서, 와셔판(10)의 좌우 한 쌍의 측벽판부(10a, 10b)의 내측면의 한쪽 또는 쌍방에 제1 걸림부(27)를 설치하고, 고정케이스(1)의 본체부분(29)의 좌우외측면(29a,29b)의 한쪽 또는 쌍방에 제2 걸림부(28)를 설치하여, 제1 걸림부(27)와 제2 걸림부(28)를 탄성 걸어맞춤시켜서, 와셔판(10)을 고정케이스(1)의 본체부분(29)에 부착하여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핸들장치.
KR10-2000-0047082A 1999-08-31 2000-08-16 평면핸들장치 KR1004374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246419 1999-08-31
JP24641999A JP2001073597A (ja) 1999-08-31 1999-08-31 平面ハンドル装置
JP99-246905 1999-09-01
JP24690599A JP3373458B2 (ja) 1999-09-01 1999-09-01 平面ハンド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303A KR20010021303A (ko) 2001-03-15
KR100437426B1 true KR100437426B1 (ko) 2004-06-23

Family

ID=26537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7082A KR100437426B1 (ko) 1999-08-31 2000-08-16 평면핸들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437426B1 (ko)
CN (1) CN1286344A (ko)
TW (1) TW471517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7485B2 (ja) * 2003-03-27 2006-07-19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扉開閉用ハンドルの掛金装置
JP2014234592A (ja) * 2013-05-31 2014-12-15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ハンドル施錠装置の取付構造
JP7193129B2 (ja) * 2019-01-29 2022-12-20 株式会社ホシモト 扉のハンドル
DE102019104733A1 (de) * 2019-02-25 2020-08-27 Rittal Gmbh & Co. Kg Schließanordnung für einen Schaltschra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303A (ko) 2001-03-15
CN1286344A (zh) 2001-03-07
TW471517U (en) 2002-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100283A (ja) 自動販売機用錠前
KR100437426B1 (ko) 평면핸들장치
JPS6217060B2 (ko)
US20170241161A1 (en) Security swing handle assembly
JP5056686B2 (ja) 自動販売機の扉ロック装置
CN210565689U (zh) 螺钉闭锁锁具
JP3790660B2 (ja) 冷却貯蔵庫の扉装置
JP2001073597A (ja) 平面ハンドル装置
EP1606482B1 (en) Double cylinder lock
JP4615739B2 (ja) 平面ハンドル装置
US7055874B1 (en) Door handle bracket and latch assembly
JP2704374B2 (ja) 抜差しハンドル装置の挿入口の閉塞装置
CN211776623U (zh) 一种机柜用锁具
JP2001073598A (ja) 平面ハンドル装置
JPH068207Y2 (ja) 錠機構付き抜差しハンドル装置
GB2488002A (en) A back plate with at least one fixing sleeve
EP1526230A2 (en) Lock assembly
JP3512688B2 (ja) 自動販売機等の扉用ロック装置
JP2905197B1 (ja) 扉の施錠装置
KR200209099Y1 (ko) 4짝창문 자동 시건 장치
JP2003129699A (ja) ポップアウト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200370943Y1 (ko) 중장비용 도어록킹장치
KR100520369B1 (ko) 자동차용 도어록의 장착구조
JP2001207705A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3919081B2 (ja) 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