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7328B1 - 올레핀계열가소성엘라스토머발포체및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올레핀계열가소성엘라스토머발포체및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7328B1
KR100437328B1 KR1019960056453A KR19960056453A KR100437328B1 KR 100437328 B1 KR100437328 B1 KR 100437328B1 KR 1019960056453 A KR1019960056453 A KR 1019960056453A KR 19960056453 A KR19960056453 A KR 19960056453A KR 100437328 B1 KR100437328 B1 KR 100437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lefin
thermoplastic elastomer
weight
parts
per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6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7172A (ko
Inventor
께이지 오까다
마사토 까라이와
아끼라 우찌야마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27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7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7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73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비율의 부분적으로 가교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A)과, 특정의 올레핀계 플라스틱(B)과, 발포제(C)로 된 발포성 조성물을 가열하여 얻어지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체에 관한 것이다. 부분적으로 가교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A)는 특정한 에틸렌/α-올레핀/비공역디엔 공중합체고무인 과산화물가교형 공중합체고무(a)와 탄소원자수 3∼20의 α-올레핀 50∼100mol%를 함유하며 특정한 MFR을 갖는 (공)중합체인 과산화물분해형 올레핀계 플라스틱(b)의 일정비율로 혼합물을 유기과산화물의 존재하에서 동적으로 열처리함으로써 얻어진다. 올레핀계 플라스틱(B)은 탄소원자수 2∼20의 α-올레핀 50∼100mol%를 함유하며 특정한 MFR을 갖는 (공)중합체이다. 또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포체는 발포배율이 2배 이상일 경우라도 탈포(defoaming)로 인한 표면의 거칠어짐이 없다. 또한 본 발포체는 유연한 촉감을 가지며, 우수한 내열성과 내후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간략화된 공정으로 고생산성의 발포체를 제조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유연한 촉감과, 우수한 내열성을 가지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엘라스토머 발포체의 제조방법으로는 천연 또는 합성 고무에 가황제와 발포제를 혼련하여, 그 혼련물을 원하는 형상의 제품으로 성형하고, 그 성형품을 가열하여 가황 및 발포하는 공정으로 된 종래 공지의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따라 고무를 연속적인 압출방법에 의해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할 경우에는, 연속 압출전에 고무를 배합성분과 배치식으로 혼련하여 혼련물을 얻는 공정을 실시하여야 한다. 또한 압출기에 혼련물을 용이하게 공급하기 위해서 연속 압출전에 혼련물을 리본형상으로 성형하는 공정도 실시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방법은 공정이 복잡해져서 가황 및 발포공정에 장시간이 소요되어, 공업생산에 불리하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저밀도의 폴리에틸렌등의 열가소성 수지와 같은 연질 올레핀계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연질 올레핀계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방법을 채용하면, 상기와 같은 공정은 생략할 수가 있다.
그러나 연질 올레핀계 플라스틱은 근본적으로 내열성이 고무에 비해 뒤떨어지므로 생성된 발포체는 사용상 큰 제한을 받는다.
한편 예를 들어 일본국 특개소 48-26838 및 특개소 54-11296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올레핀계 공중합체고무와 올레핀계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부분적으로 가교된 조성물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 채용하면 연질 올레핀계 플라스틱과 가황고무의 중간성능을 구현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서는 과산화물의 존재하에서 동적으로 열처리하면 올레핀계 플라스틱 성분이 분해되어, 용융상태에서 장력이 열화되므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용이하게 탈포되고, 발포체가 얻어진 경우라도 발포배율이 겨우 1.5배에 지나지 않아서, 탈포로 인해 현저하게 표면이 거칠어진다.
따라서 발포배율이 적어도 2배 이상이며, 탈포로 인한 표면의 거칠어짐이 없고, 유연한 촉감을 가지며, 내열성이 우수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체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간략화된 공정으로 고생산성의 발포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포배율이 2배 이상일 경우라도 탈포로 인한 표면의 거칠음이 없고, 유연한 촉감을 가지며, 내열성이 우수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체를 제공함과 동시에, 간략화된 공정을 통해 고생산성의 발포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체는
(I) 에틸렌과 탄소원자수 3∼20의 α-올레핀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고무 또는 에틸렌, 탄소원자수 3∼20의 α-올레핀 및 비공역디엔의 에틸렌/α-올레핀/비공역디엔 공중합체고무인 과산화물가교형 올레핀계 공중합체고무(a) 60∼95중량부와,
탄소원자수 3∼20의 α-올레핀 50∼100mol%를 함유하고, 멜트플로우레이트(ASTM D 1238-65T, 230℃, 하중 2.16kg)가 5∼80g/10분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인 과산화물분해형 올레핀계 플라스틱 (b) 5∼40중량부로 되며,
(a) 및 (b)의 합계 100중량부의 혼합물을 유기과산화물의 존재하에서 동적으로 열처리하여 얻어지는,
부분적으로 가교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조성물(A) 100중량부와;
(II) 탄소원자수 2∼20의 α-올레핀 50∼100mol%를 함유하며, 멜트플로우레이트(ASTM D 1238-65T, 230℃, 하중 2.16kg)가 0.01∼2g/10분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인 올레핀계 플라스틱 (B) 1∼20중량부와,
(III) 발포제(C)
로 된 발포성 조성물을 가열하여 얻어지는 발포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체의 제조방법은 발포성 조성물을 가열하여 용융한 후, 용융 조성물을 발포하는 공정으로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체 및 발포체의 제조방법에서, 각각 과산화물가교형 올레핀계 공중합체고무(a)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고무 또는 에틸렌/α-올레핀/비공역 디엔 공중합체고무를 구성하는 α-올레핀은 프로필렌 또는 1-부텐이 바람직하다.
과산화물분해형 올레핀계 플라스틱(b)은 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또는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A)은 유기과산화물 및 디비닐벤젠의 존재하에서 열처리하여 부분적으로 가교된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올레핀계 플라스틱 (B)은 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또는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발포조성물중의 발포제(C) 함량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과 올레핀계 플라스틱의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해 통상 0.5∼20중량부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체는 발포배율이 2배 이상의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체 및 발포체의 제조방법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체는 특정한, 부분적으로 가교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A)과, 특정의 올레핀계 플라스틱(B)과, 발포제(C)로 된 발포성 조성물을 가열하여 얻어지는 발포체이다.
우선 발포성 조성물을 형성하는 성분에 대해 설명한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A)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A)은 부분적으로 가교된("부분가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이라고도 한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이며, 과산화물가교형 올레핀계 공중합체고무(a)와 과산화물분해형 올레핀계 플라스틱(b)로 된다.
부분가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분자량증가 중합체성분과 분자량감소 중합체성분이 공존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의미한다. 중합체의 분자량증가는 분해반응과 가교반응의 경쟁반응, 즉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가열하에 과산화물과 반응할 때 발생하는 경쟁 반응에 있어서, 가교반응이 많을 경우에 생기며, 중합체의 분자량감소는 그와 같은 경쟁반응에서 분해반응이 많을 경우에 생긴다.
과산화물가교형 올레핀계 공중합체고무(a)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과산화물가교형 올레핀계 공중합체고무(a)는 에틸렌과 탄소원자수 3∼20의 α-올레핀의 무정질, 랜덤, 엘라스토머계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과, 탄소원자수 3∼20의 α-올레핀과, 비공역디엔의 무정질, 랜덤, 엘라스토머계 공중합체이며, 가열하에 혼련할 때 가교되어 저유동성 또는 무유동성이 되는 올레핀계 공중합체고무이다. 이 올레핀계 공중합체(a)의 예로서는
(1)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고무(에틸렌/α-올레핀(mol)=약 90/10∼50/50),
(2) 에틸렌/α-올레핀/비공역디엔 공중합체(에틸렌/α-올레핀(mol)=약 90/10∼50/50)을 들 수가 있다.
비공역디엔 예로서는 디시클로펜타디엔, 1, 4-헥사디엔, 시클로옥타디엔, 메틸렌 노르보르넨, 에틸렌 노르보르넨 등을 들 수가 있다. 상기의 공중합체고무중에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고무, 에틸렌/프로필렌/비공역디엔 공중합체고무,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고무, 에틸렌/1-부텐/비공역디엔 공중합체고무등이 바람직하다. 이들중에서도 에틸렌/프로필렌/비공역디엔 공중합체고무가 바람직하다. 특히 에틸렌/프로필렌/에틸리덴 노르보르넨 공중합체고무는 적절한 가교구조를 갖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올레핀계 공중합체고무(a)의 무니점도[ML1+4(100℃)]는 10∼250이 바람직하며, 30∼150이 특히 바람직하다.
올레핀계 공중합체고무(a)의 요오드가는 25 이하가 바람직하다. 올레핀계 공중합체고무(a)의 요오드가가 이 범위 이내일 경우에는 부분가교가 균형이 잡힌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A)을 얻을 수가 있다.
과산화물가교형 올레핀계 공중합체고무(a)는 과산화물 가교형 올레핀계 공중합체고무(a)와 과산화물분해형 올레핀계 플라스틱 (b)의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해 60∼95중량부, 특히 70∼90중량부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과산화물가교형 올레핀계 공중합체고무(a)는 본 발명의 목적을 일탈하지 않는 한, 과산화물가교형 올레핀계 공중합체고무(a) 이외의 다른 고무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다른 고무의 예로서는 스티렌/부타디엔고무(SBR), 니트릴고무(NBR), 천연고무(NR)등의 디엔 고무 및 실리콘고무 등을 들 수 있다.
과산화물분해형 올레핀계 플라스틱(b)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과산화물분해형 올레핀계 플라스틱(b)은 탄소원자수 3∼20의 α-올레핀 50∼100mol%를 함유하며, 과산화물과 혼합하여 가열하에서 혼련할 때, 열 분해되어 분자량이 감소됨으로써 수지의 유동성이 증가되는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다.
올레핀계 플라스틱(b)의 예로서는
(1)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2) 프로필렌과 10mol%이하의 다른 α-올레핀의 랜덤 공중합체,
(3) 프로필렌과 30mol%이하의 다른 α-올레핀의 블록 공중합체,
(4) 1-부텐단독중합체,
(5) 1-부텐과 10mol%이하의 다른 α-올레핀의 랜덤 공중합체,
(6) 4-메틸-1-펜텐 단독중합체,
(7) 4-메틸-1-펜텐과 20mol%이하의 다른 α-올레핀의 랜덤공중합체를 들 수가 있다.
α-올레핀의 예로서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4-메틸-1-펜텐, 1-헥센, 1-옥텐등을 들 수가 있다. 상기 올레핀계 플라스틱(b)중에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및 프로필렌 함량이 50mol% 이상의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특히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프로필렌/1-헥센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4-메틸-1-펜텐 공중합체등의 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및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과산화물분해형 올레핀계 플라스틱 (b)의 멜트플로우레이트(ASTM D-1238-65T, 230℃, 하중 2.16kg)는 5∼80g/10분, 특히 5∼20g/10분이 바람직하다.
과산화물 분해형 올레핀계 플라스틱(b)은 생성 조성물의 유동성과 내열성을 개선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과산화물분해형 올레핀계 플라스틱(b)은 과산화물가교형 올레핀계 공중합체고무(a)와 과산화물분해형 올레핀계 플라스틱 (b)의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해 5∼40중량부, 바람직하기는 10∼3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과산화물분해형 올레핀계 플라스틱(b)을 이와 같은 양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우수한 유동성을 갖는 발포체를 제공할 수 있는 양호한 유동성의 발포성조성물을 얻을 수가 있다.
기타의 성분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A)은 과산화물가교형 올레핀계 공중합체고무(a)와 과산화물분해형 올레핀계 플라스틱 (b) 이외에 과산화물비가교형 고무상 물질(c)을 더 함유할 수가 있다.
과산화물비가교형 고무상물질(c)은 과산화물과 혼합하여 가열하에서 혼련하여도 가교되지 않고, 유동성이 감소되지 않는 탄화수소계 고무상물질이다. 이와 같은 재료의 예로서는 폴리이소부틸렌, 부틸고무, 프로필렌의 함량이 70mol% 이상인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고무,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고무등을 들 수가 있다. 이들중에서 물성과 취급성의 면에서 폴리이소부틸렌 및 부틸고무가 바람직하다. 특히 무니 점도[ML1+4(100℃)]가 각각 60 이하인 폴리이소부틸렌 및 부틸고무가 생성 조성물의 유동성을 개선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가교"라는 용어는 중합체를 과산화물과 열반응시킬 때 발생하는 분해반응과 가교반응의 경쟁반응에 있어서, 가교반응이 많아서, 조성물중의 중합체의 외관 상의 분자량이 증가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분해"라는 용어는 분해반응이 많아서, 중합체의 외관상의 분자량이 감소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과산화물비가교형 고무상물질(c)은 필요에 따라 과산화물가교형 올레핀계 공중합체고무(a)와 과산화물분해형 올레핀계 플라스틱(b)의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해 5∼100 중량부, 바람직하기는 5∼3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A)은 과산화물가교형 올레핀계 공중합체고무(a)와, 과산화물분해형 올레핀계 플라스틱(b)과, 과산화물비가교형 고무상물질(c) 이외에 광유계 연화제 (d)를 더 함유할 수가 있다.
광유계 연화제(d)의 예로서는 고무의 롤 가공시에 고무의 분자간의 힘을 저감하여 롤 가공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카본블랙, 화이트카본의 분산을 돕거나, 가황고무의 경도를 감소하여 유연성을 증가하는 목적으로 종래에 사용되어 왔던 고비점의 석유유분을 들 수가 있다. 이 석유유분은 파라핀계, 나프텐계, 방향족계등으로 구분된다.
광유계 연화제 (d)는 과산화물가교형 올레핀계 공중합체고무(a)와 과산화물분해형 올레핀계 플라스틱(b)의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해 5∼100중량부, 바람직하기는 5∼8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기는 20∼4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한다. 광유계 연화제 (d)를 이와 같은 양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발포체의 내열성과 인장특성등을 저하시키지 않고 발포성 조성물의 유동성을 개선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광유계 연화제 (d) 이외의 연화제도 본 발명의 목적을 일탈하지 않는 한 사용할 수가 있다. 광유계 연화제(d) 이외의 연화제로서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는 종래의 고무에 사용된 연화제가 적당하다. 이러한 연화제의 예로서는:
프로세스오일, 윤활유, 파라핀, 유동파라핀, 폴리에틸렌왁스, 폴리프로필렌왁스, 석유아스팔트, 바셀린등의 합성석유계 물질;
콜타르, 콜타르피치등의 콜타르류;
피마자유, 아마인유, 평지유, 대두유, 야자유등의 지방유;
톨유, 비스왁스, 카르나우바왁스, 라놀린등의 왁스류, 리시놀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12-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몬탄산, 올레인산, 에루신산등의 지방산 또는 이들 산의 금속염;
석유수지, 쿠마론인덴수지, 아탁틱 폴리프로필렌등의 합성고분자물질;
디옥틸 프탈레이트, 디옥틸 아디페이트, 디옥틸 세바케니트등의 에스테르계 가소제;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액상 폴리부타디엔 또는 그 변성물 또는 수첨물, 액상티오콜 등을 들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부분가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A)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일탈하지 않은 한, 종래 공지의 내열안정제, 내후안정제, 노화방지제, 대전방지제, 충전제, 착색제, 윤활제등의 여러가지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첨가할 수가 있다.
부분가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A)의 제조방법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부분가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A)은 과산화물가교형 올레핀계 공중합체고무(a)와, 과산화물분해형 올레핀계 플라스틱(b)과, 필요에 따라 과산화물비가교형 고무상물질(c), 광유계 연화제(d)를 유기과산화물의 존재하에서 동적으로 열처리하여 얻을 수가 있다.
유기과산화물의 예로서는 디쿠밀퍼옥사이드, 디-tert-부틸퍼옥사이드, 2, 5-디메틸-2, 5-디-(tert-부틸퍼옥시)헥산, 2, 5-디메틸-2, 5-디-(tert-부틸퍼옥시)헥신-3, 1, 3-비스(ter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1, 1-비스(tert -부틸퍼옥시)-3, 3, 5-트리메틸시클로헥산, n-부틸-4, 4-비스(tert-부틸퍼옥시)발러레이트, 벤조일퍼옥사이드, p-클로로벤조일 퍼옥사이드, 2,4-디클로로벤조일퍼옥사이드, ter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tert-부틸퍼벤조에이트, ter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 카보네이트, 디아세틸퍼옥사이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tert-부틸쿠밀퍼옥사이드등을 들 수가 있다.
이들 중에서 2, 5-디메틸-2, 5-디-(tert-부틸퍼옥시)헥산, 2, 5-디메틸-2, 5-디-(tert-부틸퍼옥시)헥신-3, 1, 3-비스(ter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1, 1-비스(tert-부틸퍼옥시)-3, 3, 5-트리메틸시클로헥산, n-부틸-4, 4-비스(tert-부틸퍼옥시)발러레이트가 냄새, 스코치안정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들 중에서도 1, 3-비스(ter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이 가장 바람직하다.
유기과산화물은 과산화물가교형 올레핀계 공중합체고무(a)와 과산화물분해형 올레핀계 플라스틱(b)의 합계량 100중량에 대해 0.05∼3중량%, 바람직하기는 0.1∼2중량%의 양으로 사용한다.
유기과산화물에 의한 부분가교처리에서는 황, p-퀴논디옥심, pp'-디벤조일퀴논 디옥심, N-메틸-N-4-디니트로소아닐린, 니트로소벤젠, 디페닐구아니딘, 트리메틸올프로판-N, N'-m-페닐렌디말레이미드등의 퍼옥시 가교용조제; 디비닐벤젠,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알릴 메타크릴레이트등의 다관능성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비닐 부틸레이트, 비닐 스테아레이트등의 다관능성 비닐단량체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균일하고 완화한 가교반응을 기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화합물중에서 디비닐벤젠이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디비닐 벤젠은 취급하기가 용이하고, 가교처리 대상물의 주성분인 과산화물가교형 올레핀계 공중합체고무(a)와, 과산화물분해형 올레핀계 플라스틱 (b)과의 상용성이 양호하다. 또한 디비닐벤젠은 유기과산화물을 가용화하는 기능을 가져, 유기과산화물의 분산제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열처리시의 가교효과가 균질하며, 유동성과 기타 물성간에 균형이 잡힌 부분가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A)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가교용조제 또는 다관능성 비닐단량체는 가교 대상물 전체에 대해 바람직하기는 0.1∼3중량%, 특히 바람직하기는 0.3∼2중량%의 양으로 사용한다. 가교용조제 또는 다관능성 비닐단량체의 양이 상기와 같은 범위내이면, 생성된 부분가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A)중에 가교용조제 또는 다관능 비닐단량체가 미반응의 단량체로서 잔존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가공성형시의 열이력에 의한 물성의 변화가 생기지 않으며, 유동성이 우수하다.
"동적으로 열처리"라는 용어는 각 성분이 용융상태로 혼련하는 것을 의미한다.
동적인 열처리는 개방형의 혼합롤, 비개방형의 밴버리 혼합기, 혼련기, 1축 또는 2축 압출기, 연속혼합기등의 각종 혼련장치를 사용하여 실시하나, 비개방형의 혼련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적인 열처리는 질소, 탄산가스등의 불활성가스 분위기하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련은 사용하는 유기 과산화물의 반감기가 1분 미만이 되는 온도로 실시하는 것이 요망된다. 혼련온도는 통상 150∼280℃, 바람직하기는 170∼240℃이며, 혼련시간은 1∼20분, 바람직하기는 1∼5분이다. 혼련시에 가해지는 전단력은 통상 전단속도로 10∼104sec-1, 바람직하기는 102∼104sec-1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성분을 하기의 방법에 의해 혼합 및 혼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과산화물 가교형 올레핀 공중합체고무(a)와 과산화물분해형 올레핀계 플라스틱(b)과, 필요에 따라 과산화물비가교형 고무상물질(c)과, 광유계 연화제(d)를 미리 혼합하여, 균일하게 혼련하여 펠릿화한다. 다음에 얻어진 펠릿과 디비닐벤젠중의 유기 과산화물 용액과, 필요에 따라 가교용조제, 가황촉진제등을 텀블링 배합기, V배합기, 헨셀혼합기등의 공지의 혼련기에 의해 바람직하기는 50℃ 이하의 온도에서 균일하게 혼합한다. 그 후에 혼합물을 상술한 소정의 조건하에서 혼련한다.
상기와 같은 처리에 의해 과산화물가교형 올레핀계 공중합체고무(a)가 부분적으로 가교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A)가 얻어진다.
여기서 사용하는 "부분가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이라는 용어는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한 겔 함량이 10중량% 이상, 바람직하기는 20∼97중량%, 특히 바람직하기는 30∼97중량%인 조성물을 의미한다.
겔 함량의 측정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시료 100g을 평량하여 세편(크기: 0.5mm×0.5mm×0.5mm)으로 재단한다. 얻어진 시료를 밀폐용기 중에서 시클로헥산 30ml에 23℃에서 48시간 침지한다. 다음에 시료를 꺼내어 여과지 위에 올려 놓고 실온에서 72시간 이상, 일정량이 될 때까지 건조한다.
이 건조잔사의 중량에서 중합체성분 이외의 모든 시클로헥산 불용성성분(예를들어 섬유상 충전제, 충전제, 안료 등)의 중량을 뺀다. 얻어진 값을 "보정된 최종중량(Y)"이라 한다.
한편 시료의 중량에서 중합체성분 이외의 시클로헥산 가용성성분(예를 들어 연화제)과 시클로헥산 불용성성분(예를 들어 섬유상 충전제, 충전제, 안료등)의 중량을 뺀다. 얻어진 값을 "보정된 초기중량(X)"이라 하면,
겔 함량(시클로헥산 불용성성분)은 다음 식으로 구해진다.
겔 함량[중량%] = [보정된 최종중량(Y)/보정된 초기중량(X)]×100
올레핀계 플라스틱(B)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올레핀계 프라스틱 (B)은 탄소원자수 2∼20의 α-올레핀 50∼100mol%를 함유한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다. 올레핀계 플라스틱 (B)의 예로서는
(1) 에틸렌 단독중합체(제조방법은 저압법 및 고압법 중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2) 에틸렌과 10mol% 이하의 다른 α-올레핀 또는 초산비닐, 에틸아크릴레이트등의 비닐단량체와의 공중합체,
(3)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4) 프로필렌과 10mol% 이하의 다른 α-올레핀과의 랜덤공중합체,
(5) 프로필렌과 30mol% 이하의 다른 α-올레핀과의 블록공중합체,
(6) 1-부텐 단독중합체,
(7) 1-부텐과 10mol% 이하의 다른 α-올레핀과의 랜덤 공중합체,
(8) 4-메틸-1-펜텐 단독중합체,
(9) 4-메틸-1-펜텐과 20mol% 이하의 다른 α-올레핀과의 랜덤공중합체를 들 수가 있다.
상기 α-올레핀의 예로서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4-메틸-1-펜텐, 1-헥센, 1-옥텐등을 들 수가 있다.
상기 올레핀계 플라스틱중에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 프로필렌 함량이 50mol% 이상의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올레핀계 플라스틱 (B)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올레핀계 플라스틱(B)는 멜트플로우레이트(ASTM D 1238-65T, 230℃, 하중 2.16kg)가 0.01∼2g/10분이 바람직하며, 0.02∼2g/10분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멜트플로우레이트를 갖는 올레핀계 플라스틱(B)을 사용하면 생성된 발포성 조성물의 용융장력을 향상시킬 수가 있고, 높은 발포배율의 발포체를 얻을 수가 있다.
올레핀계 플라스틱(B)은 부분가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A) 100중량부에 대해 1∼20중량부, 바람직하기는 1∼1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한다. 올레핀계 플라스틱 (B)을 상기와 같은 양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우수한 유동성과 높은 발포배율을 갖는 발포체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부분가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A)을 제조한 후에 올레핀계 플라스틱 (B)을 첨가하는 데에 특징이 있다. 부분가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A)의 제조시에 각 성분(예를 들어 과산화물가교형 올레핀계 공중합체 고무(a))에 이 올레핀계 플라스틱(B)를 첨가해서, 과산화물과 혼합하여, 가열하에서 혼련하면 올레핀계 플라스틱 (B)의 종류에 따라서는, 올레핀계 플라스틱 (B)이 열분해하여 분자량이 감소되거나, 또는 열에 의해 가교되어 겔화하여, 그 결과 목적하는 발포체를 얻을 수가 없게 된다.
발포제(C)
발포제로서는 유기 또는 무기 열분해형 발포제, 물, 탄화수소계 및 플레온계 용제, 질소, 이산화탄소, 프로판, 부탄등의 가스 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이들 중에서 열분해형 발포제가 바람직하다.
열분해형 발포제의 예로서는
탄산수소 나트륨, 탄산 나트륨, 탄산수소 암모늄, 탄산 암모늄, 아질산 암모늄등의 무기 발포제;
N, N'-디메틸-N, N'-디니트로소테레프탈아미드, N, N'-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아민등의 니트로소 화합물;
아조디카르본아미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시클로헥실니트릴, 아조디아미노벤젠, 바륨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등의 아조 화합물;
벤젠설포닐히드라지드, 톨루엔설포닐히드라지드, p, p'-옥시비스(벤젠설포닐히드라지드), 디페닐설폰-3, 3'-디설로닐히드라지드등의 설포닐히드라지드 화합물;
칼슘 아지드, 4, 4'-디페닐설포닐아지드, p-톨루엔설포닐아지드등의 아지드 화합물을 들 수가 있다.
발포제 (C)는 부분가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A)과 올레핀계 플라스틱(B)의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해 0.5∼20중량부, 바람직하기는 1∼1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한다.
필요에 따라 발포조제를 첨가할 수가 있다. 발포조제의 예로서는 아연, 칼슘, 납, 철, 바륨등의 각종 금속화합물, 살리실산, 프탈산, 스테아린산등의 유기산, 요소 또는 그 유도체등을 들 수가 있다. 발포조제는 발포제의 분해온도를 저하시키고, 발포제의 분해를 촉진하며, 균일한 기포를 발생하는 등의 기능이 있다.
기타 성분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목적을 일탈하지 않는 한, 발포성 조성물중에 충전제, 내열안정제, 노화방지제, 내후안정제, 대전방지제, 윤활제(예를 들어 금속비누, 왁스 등), 안료, 염료, 핵제, 난연제, 블로킹방지제등의 공지의 각종 첨가제를 첨가할 수가 있다.
충전제로서는 종래 사용되고 있는 고무용 충전제가 적절하다. 그와 같은 충전제의 예로서는 탄산칼슘, 규산칼슘, 점토, 카올린, 탈크, 실리카, 규조토, 운모분말, 아스베스토스, 황산바륨, 황산알루미늄, 황산칼슘, 탄산마그네슘, 2황화몰리브덴, 유리섬유, 유리구, 시라수 벌룬, 혹연, 알루미나등을 들 수가 있다.
충전제는 부분가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A)과 올레핀계 프라스틱(B)의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해 0∼40중량부, 바람직하기는 1∼3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한다.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공지의 내열안정제, 노화방지제, 내후안정제의 예로서는 페놀계, 설파이트계, 페닐알칸계, 포스파이트계, 아민계 안정제등을 들 수가 있다.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체의 제조
본 발명의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우선 일정 비율의 과산화물가교형 올레핀계 공중합체고무(a)와 과산화물분해형 올레핀계 플라스틱 (b)의 혼합물을 유기과산화물의 존재하에서 동적으로 열처리하여 부분가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A)을 얻는다.
다음에 상기에서 얻은 부분가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A)을 올레핀계 프라스틱(B) 및 발포제와 상술한 일정비율로 배합하고, 필요하다면 발포조제, 습윤제등과도 배합하여 발포성 조성물을 제조한다.
올레핀계 프라스틱(B)과 발포제(C)는 별도로 첨가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우선 부분가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A)에 올레핀계 프라스틱 (B)을 첨가한 후에 발포제(C)를 첨가하거나, 또는 그 첨가순서를 반대로 하여도 좋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A)의 제조시에 올레핀계 프라스틱 (B) 및/또는 발포제(C)를 첨가하면, 목적하는 발포체를 얻을 수가 없다. 마찬가지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A)의 제조시에 올레핀계 프라스틱 (B) 및/또는 발포제(C)를 첨가하면, 올레핀계 프라스틱(B)의 종류에 따라서는 올레핀계 프라스틱(B)이 동적으로 열처리할 때 분해하거나 겔화하여, 결과적으로 목적하는 발포체를 얻는데 필요한 용융점도가 크게 달라지거나 발포제(C)가 분해되어 가스가 빠지고 만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A)과 올레핀계 프라스틱(B) 및 발포제 (C)와의 배합은, 예를 들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A)의 펠릿, 올레핀계 프라스틱(B) 및 발포제(C)를 텀블링배합기, V배합기, 리본배합기, 헨셀혼합기등으로 혼련하고, 필요하다면 그 혼련물을 개방형의 혼합롤이나, 또는 밴버리혼합기, 압출기, 혼련기, 연속혼합기등의 비개방형 혼련기로 혼련하여 행한다.
내후안정제, 내열안정제, 노화방지제, 착색제등의 첨가제는 상기 공정중의 어떤 단계에서 첨가하여도 좋다.
다음에 상기에서 얻어진 발포성 조성물로부터 발포체를 제조한다. 발포체는 종래로부터 공지의 발포체를 얻기 위해 사용되어 왔던 각종 방법, 예를 들어 압출성형, 프레스성형, 사출성형, 칼렌더성형등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가 있다.
압출성형에 의해 발포체를 얻을 경우에는, 예를 들어 발포성 조성물을 압출기에서 용융한 후에 다이로부터 압출함과 동시에 발포성 조성물을 발포시켜서 성형한다거나, 또는 압출기내에서 발포시킨 조성물을 다이로부터 압출하여 성형한다. 압출시의 수지 온도는 110∼250℃가 바람직하다.
프레스성형에 의해 발포체를 얻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발포성 조성물의 펠릿을 프레스성형기의 가열된 금형에 주입한 후에 성형 압력을 걸거나, 또는 걸지 않고 용융하여 발포시켜서 성형한다. 수지온도는 110∼250℃가 바람직하다.
사출성형에 의해 발포체를 얻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사출성형기를 사용하여 발포성 조성물을 가열하에서 용융한 후에 금형내에 주입하여, 이 조성물을 노즐 선단부에서 발포시켜서 성형한다. 사출시의 수지온도는 110∼250℃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방법으로 얻어진 발포체에서는 과산화물가교형 올레핀계 공중합체고무(a)가 부분적으로 가교되어 있다. 따라서 발포체는 내열성, 인장 특성, 유연성, 내후성, 반발탄성등의 고무적 물성이 우수하며, 그 이외에도 가황고무에 비해 재활용에도 적합하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의 실시예에서 발포체의 제조 및 발포체의 기본물성의 평가는 하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실시하였다.
시험방법
(1) 압출성형
하기의 장치조건하에서 압출성형에 의해 튜브형 발포체 및 평판형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성형기: 직경 40mmΦ의 압출기(Toshiba Kikai K.K.제)
실린더 최고온도: 200℃
다이 온도: 150℃
다이: 선형 다이
튜브형 발포체: 다이/코어=12.5mm/10.0mm
평판형 발포체: 세로/가로=2mm/15mm
인취속도: 8m/분
(2)기본물성
상기 압출성형법(1)에 의해 얻어진 튜브형 발포체 및 평판형 발포체를 절단하여 시험편을 만들고, 시험편의 발포배율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시험편의 외관 및 감촉과 발포의 균일성을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다.
(a) 발포배율
미발포체의 밀도 0.88g/cm3을 발포체의 겉보기 밀도로 나누어서 구해진 값을 발포배율로 하였다.
(b) 발포체의 외관(표면바탕)
발포체의 외관(탈포로 인한 표면의 요철)을 관찰하여 다음 5등급으로 평가하였다.
5: 표면이 거의 평활한 것
3: 표면에 요철이 산재해 있는 것
1: 표면이 탈포로 인해 현저히 거친 것
4: 표면의 외관이 5와 3의 중간에 있는 것
2: 표면의 외관이 3과 1의 중간에 있는 것
(c) 감촉
튜브형 발포체를 손으로 만져보아 가황고무 스폰지같은 유연한 감촉의 발포체를 5로 하였고, 수지 같은 딱딱한 감촉의 발포체는 1로 하였다. 5와 1의 중간 감촉의 발포체는 4, 3, 2로 하였다.
(d) 발포의 균일성
발포체의 절단면을 눈으로 관찰하여, 기포의 크기와 형상의 변동에 따라 발포체를 평가하였다.
극히 균일한 크기와 형상의 기포을 갖는 발포체를 A로 하였다. 크기와 형상의 변동이 현저한 기포, 예를 들어 포말이 이어져서 커지거나 가스가 빠져서 생긴 편평한 기포를 갖는 발포체를 D로 하였다. A와 D의 중간 변동의 기포를 갖는 발포체를 B 또는 C로 하였다.
실시예 1
에틸렌 함량이 63mol%, 요오드가가 13, 무니점도[ML1+4(100℃)]가 100인 에틸렌/프로필렌/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공중합체고무(a)(이하 "EPDM(a)"라 한다) 70중량부와, 멜트플로우레이트(ASTM D 1238-65T, 230℃, 하중 2.16kg)가 50g/10분, 밀도가 0.91g/cm3인 폴리프로필렌(b)(이하 "PP-10(b)"라 한다) 30중량부와, 불포화도가 0.5%, 무니점도[ML1+4(100℃)]가 40인 부틸고무(c)(이하 "IIR(c)"라 한다) 30중량부와, 나프텐계 프로세스오일(d)(이하 "오일(d)"라 한다)(상표명: Sunsen 4240, Nippon Sun Oil K.K제) 50중량부를 벤버리혼합기로 질소 분위기 하, 180℃에서 5분간 혼련하였다. 다음에 혼련물을 시팅롤에 공급하고, 생성된 시트를 시트절단기에 의해 절단하여 펠릿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펠릿 180중량부와, 1,3-비스(ter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0.3중량부를 디비닐벤젠 0.5중량부에 용해하여 얻어진 용액을 텀블링배합기에 의해 배합하여, 이 용액으로 펠릿의 표면을 균일하게 도장하였다.
다음에 이 펠릿을 압출기를 사용하여 질소 분위기하, 210℃에서 압출하여 펠릿의 동적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이렇게 하여 겔 함량이 32%인 부분가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A)을 얻었다. 부분가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A) 100중량부와, 멜트플로우레이트(ASTM D 1238-65T, 230℃, 하중 2.16kg)가 0.3g/10분, 밀도가 0.91g/cm3인 폴리프로필렌(B)(이하 "PP-20(B)"라 한다) 5중량부와, 아조디카르본아미드(C) 1.5중량부를 텀블러 배합기에 의해 배합하였다. 다음에 이 혼합물을 상기 방법(1)에 의해 압출성형하여, 생성된 발포체를 상기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EPDM(a) 대신에 에틸렌 함량이 72mol%, 무니점도[ML1+4(100℃)]가 80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고무(a)(이하 "EPM(a)"라 한다) 70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의 방법을 반복하였다.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PP-10(b) 대신에 멜트플로우레이트(ASTM D 1238-65T, 230℃, 하중 2.16kg)가 10g/10분, 밀도가 0.91g/cm3인 폴리프로필렌(b)(이하 "PP-11(b)"라 한다) 30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의 방법을 반복하였다.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EPDM(a), PP-10(b) 및 IIR(c)의 양을 각각 85중량부, 15중량부 및 0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의 방법을 반복하였다. 이렇게하여 겔 함량이 48%인 부분 가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A)를 얻었다.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PP-20(B)의 양을 15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의 방법을 반복하였다.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실시예 6
PP-20(B) 대신에 멜트플로우레이트(ASTM D 1238-65T, 230℃, 하중 2.16kg)가 1.0g/10분, 밀도가 0.91g/cm3인 폴리프로필렌(B)(이하 "PP-21(B)"라 한다) 5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의 방법을 반복하였다.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실시예 7
PP-20(B) 대신에 멜트플로우레이트(ASTM D 1238-65T, 230℃, 하중 2.16kg)가 0.05g/10분, 밀도가 0.91g/cm3인 폴리프로필렌(B)(이하 "PP-22(B)"라 한다) 1.5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의 방법을 반복하였다.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실시예 8
PP-20(B) 대신에 멜트플로우레이트(ASTM D 1238-65T, 230℃, 하중 2.16kg)가 0.2g/10분, 밀도가 0.91g/cm3인 폴리부텐(B)(이하 "PB(B)"라 한다) 5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의 방법을 반복하였다.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실시예 9
아조디카르본아미드(C) 1.5중량부 대신에 탄산수소 나트륨(C) 2.0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의 방법을 반복하였다.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아조디카르본아미드(C) 1.5중량부 대신에 탄산수소 나트륨(C) 1.0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의 방법을 반복하였다.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EPDM(a) 및 PP-10(b)의 양을 각각 50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의 방법을 반복하였다. 이렇게 얻은 부분가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겔 함량은 23%이었다.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PP-20(B) 대신에 멜트플로우레이트(ASTM D 1238-65T, 230℃, 하중 2.16kg)가 4.0g/10분, 밀도가 0.91g/cm3인 폴리프로필렌(B)(이하 "PP-23(B)"라 한다) 5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의 방법을 반복하였다.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비교예 3
PP-20(B)를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의 방법을 반복하였다.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비교예 4
PP-20(B)의 양을 30중량부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1의 방법을 반복하였다.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비교예 5
PP-20(B) 5중량부를 부분가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A)의 제조시의 동적 열처리를 하기 전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부분가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제조후에는 PP-20(B)를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의 방법을 반복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부분가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겔 함량은 32%이었다.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본 발명의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체는 발포배율이 2배 이상일 경우라도 탈포로 인한 표면의 거칠음이 없다. 또한 이 발포체는 유연한 촉감을 가지며, 내열성과 내후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상기와 같는 효과를 갖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체를 간략화된 공정에 의해 고생산성으로 제조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체의 용도로서는 바람막이 스폰지, 본체패널, 자동차 핸들, 측면 실드등의 자동차부품, 구두창, 샌들등의 신발류; 전선 피복물질, 접속기, 캡플럭등의 전기부품; 상수판, 소음방지 벽등의 토목자재; 골프채, 야구배트잡이, 수영용 지느러미, 수중안경등의 레저용품, 개스킷, 방수복, 정원 호스, 벨트등의 잡품을 들 수가 있다.

Claims (16)

  1. [I] 에틸렌과 탄소원자수 3∼20의 α-올레핀의 에틸렌/α-올레핀계 공중합체고무 또는 에틸렌과 탄소원자수 3∼20의 α-올레핀과 비공역디엔의 에틸렌/α-올레핀/비공역 디엔 공중합체고무인 과산화물가교형 올레핀계 공중합체고무 (a) 60∼95중량부와,
    탄소원자수 3∼20의 α올레핀 50∼100mol%를 함유하고, 멜트플로우레이트(ASTM D 1238-65T, 230℃, 하중 2.16kg)가 5∼80g/10분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인 과산화물분해형 올레핀계 플라스틱 (b) 5∼40중량부로 되며,
    (a) 및 (b)의 합계량 100중량부의 혼합물을 유기과산화물의 존재하에서 동적으로 열처리하여 얻어지는,
    부분적으로 가교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A) 100중량부와;
    [II] 탄소원자수 2∼20의 α-올레핀 50∼100mol%를 함유하며, 멜트플로우레이트(ASTM D 1238-65T, 230℃, 하중 2.16kg)가 0.01∼2g/10분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인 올레핀계 플라스틱 (B) 1-20중량부와,
    [III] 발포제(C)로 된 발포성 조성물을 가열하여 얻어진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체.
  2. 제1항에 있어서, 과산화물가교형 올레핀계 공중합체고무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고무(a)인 또는 에틸렌/α-올레핀/비공역디엔 공중합체고무를 구성하는 α-올레핀이 프로필렌 또는 1-부텐인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과산화물분해형 올레핀계 플라스틱(b)이 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또는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인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A)이 유기 과산화물 및 디비닐벤젠의 존재하에서 열처리하여 부분적으로 가교된 조성물인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올레핀계 플라스틱 (B)이 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또는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인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체.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발포제(C)가 유기 또는 무기 열분해형 발포제인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체.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발포성 조성물중의 발포제(C)의 함량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A)과 올레핀계 플라스틱(B)의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해 0.5∼20중량부인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체.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의 발포배율이 2배 이상인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체.
  9. [I] 에틸렌과 탄소원자수 3∼20의 α-올레핀의 에틸렌/α-올레핀계 공중합체고무 또는 에틸렌과 탄소원자수 3∼20의 α-올레핀과 비공역디엔의 에틸렌/α-올레핀/비공역 디엔 공중합체고무인 과산화물가교형 올레핀계 공중합체고무 (a) 60∼95중량부와,
    탄소원자수 3∼20의 α-올레핀 50∼100mol%를 함유하고, 멜트플로우레이트(ASTM D 1238-65T, 230℃, 하중 2.16kg)가 5∼80g/10분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인 과산화물분해형 올레핀계 플라스틱 (b) 5∼40중량부로 되며,
    (a) 및 (b)의 합계량 100중량부의 혼합물을 유기과산화물의 존재하에서 동적으로 열처리하여 얻어지는,
    부분적으로 가교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A) 100중량부와;
    [II] 탄소원자수 2∼20의 α-올레핀 50∼100mol%를 함유하며, 멜트플로우레이트(ASTM D 1238-65T, 230℃, 하중 2.16kg)가 0.01∼2g/10분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인 올레핀계 플라스틱(B) 1∼20중량부와,
    [III] 발포제(C)로 된 발포성 조성물을 가열용융후, 용융된 조성물을 발포시키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체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과산화물가교형 올레핀계 공중합체 고무(a)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고무 또는 에틸렌/α-올레핀/비공역 디엔 공중합체고무를 구성하는 α-올레핀이 프로필렌 또는 1-부텐인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체의 제조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과산화물 분해형 올레핀계 플라스틱(b)이 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또는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인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체의 제조방법.
  12. 제9항 또는 제10에 있어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A)이 유기 과산화물 및 디비닐벤젠의 존재하에서 열처리하여 부분적으로 가교된 조성물인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체의 제조방법.
  13.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올레핀계 플라스틱(B)이 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또는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인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체의 제조방법.
  14.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발포제(C)가 유기 또는 무기 열분해형 발포제인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체의 제조방법.
  15. 제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발포성 조성물중의 발포제(C)의 함량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A)과 올레핀계 플라스틱(B)의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해 0.5∼20중량부인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체의 제조방법.
  16.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의 발포배율이 2배 이상인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체의 제조방법.
KR1019960056453A 1995-11-22 1996-11-22 올레핀계열가소성엘라스토머발포체및그제조방법 KR1004373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304661 1995-11-22
JP30466195A JP3844372B2 (ja) 1995-11-22 1995-11-22 オレフィン系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発泡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172A KR970027172A (ko) 1997-06-24
KR100437328B1 true KR100437328B1 (ko) 2005-04-13

Family

ID=17935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6453A KR100437328B1 (ko) 1995-11-22 1996-11-22 올레핀계열가소성엘라스토머발포체및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728744A (ko)
EP (1) EP0775727B1 (ko)
JP (1) JP3844372B2 (ko)
KR (1) KR100437328B1 (ko)
CN (1) CN1104463C (ko)
AU (1) AU700598B2 (ko)
CA (1) CA2190922A1 (ko)
DE (1) DE69600873T2 (ko)
ES (1) ES2126363T3 (ko)
MY (1) MY112998A (ko)
TW (1) TW33094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609B1 (ko) * 2006-04-21 2007-04-27 김병혁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체의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3144A (en) * 1994-09-19 1999-03-16 Sentinel Products Corp. Silane-grafted materials for solid and foam applications
US6506842B1 (en) 1997-01-29 2003-01-14 Dupont Dow Elastomers L.L.C. Rheology-modified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s and articles fabricated therefrom
DE19707136C2 (de) * 1997-02-22 2001-03-08 Moeller Plast Gmbh Verfahren und schäumbare Masse zur Ausschäumung oder Schaumbeschichtung von Bauteilen
JP3598487B2 (ja) * 1997-03-27 2004-12-08 豊田合成株式会社 自動車用ウェザストリップ
EP0872516A1 (en) 1997-04-15 1998-10-21 Dsm N.V. Foamable polymeric composition
DE69918638T2 (de) 1998-10-30 2005-07-21 Mitsui Chemicals, Inc. Vernetzter Elastomerschaum auf Basis von Polyolefin und Zusammensetzung dafür
JP2000265017A (ja) * 1999-03-17 2000-09-26 Nitto Denko Corp ゴム系発泡体
GB2360058B (en) * 2000-01-27 2004-03-31 Toyoda Gosei Kk Door weather strip
US6632382B1 (en) * 2000-02-29 2003-10-14 Owens-Corning Fiberglas Technology, Inc. Extruded foam product with reduced surface defects
JP2002080626A (ja) * 2000-09-08 2002-03-19 Sumitomo Chem Co Ltd スポンジ用ゴム組成物及びスポンジゴム
US6548600B2 (en) * 2000-09-22 2003-04-15 Dupont Dow Elastomers L.L.C.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s rheology-modified using peroxides and free radical coagents
JP4808324B2 (ja) * 2001-03-29 2011-11-02 三井化学株式会社 発泡性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JP2002302581A (ja) * 2001-04-04 2002-10-18 Kinugawa Rubber Ind Co Ltd 遮音性複合材組成物および遮音カバー部材
US7338994B2 (en) * 2002-10-01 2008-03-04 Dow Global Technologies Inc. Rheology-modified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s for extruded profiles
JP2005154732A (ja) * 2003-10-31 2005-06-16 Nhk Spring Co Ltd 発泡成形用樹脂組成物、発泡体、および発泡体の製造方法
US7183343B2 (en) * 2004-02-23 2007-02-27 Polyone Coproration Thermoplastic vulcanizate with improved surface properties
US7989542B2 (en) * 2005-03-16 2011-08-02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rocess for producing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foamed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US20090270525A1 (en) * 2005-12-05 2009-10-29 Jsr Corporation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foam product,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the composition or foam product
JP4881634B2 (ja) * 2006-03-13 2012-02-22 中川産業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
CN101959942B (zh) * 2007-12-28 2013-05-08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用于制备吸振垫的具有高填充量的基于pe的交联弹性泡沫体以及用于鞋用制品和地面材料应用的制品
JP5167900B2 (ja) * 2008-03-27 2013-03-21 Jsr株式会社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発泡体、及び発泡体の製造方法
US9260577B2 (en) * 2009-07-14 2016-02-16 Toray Plastics (America), Inc. Crosslinked polyolefin foam sheet with exceptional softness, haptics, moldability, thermal stability and shear strength
WO2011079207A1 (en) 2009-12-24 2011-06-30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olymer compositions, methods of making the same, and articles prepared from the same
TW201431696A (zh) * 2013-02-05 2014-08-16 Formosan Rubber Group Inc 水上漂浮膠布及其製作方法
DE102015000393A1 (de) 2014-01-21 2015-07-23 Frank Becher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eschlossen-porigen Erzeugnissen mit hohlen Zellen, mittels dessen der Druck in den Zellen kontrolliert während des Aufschäumens erhöht oder reduziert werden kann, sowie Erzeugnisse, die nach diesem Verfahren hergestellt werden
KR20170039261A (ko) * 2014-09-08 2017-04-10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그의 성형체
US20160340488A1 (en) * 2015-05-23 2016-11-24 Eefoam Materials Co., Ltd. Composition of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e material applicable to in-mold foaming
EP3562871B1 (en) 2016-12-29 2021-02-17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Thermoplastic vulcanizates for foaming applications
US10508184B2 (en) 2016-12-29 2019-12-17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Foaming agent masterbatches for foaming thermoplastic vulcanizates
CN107057137A (zh) * 2017-06-02 2017-08-18 安徽爱舍家居制品有限公司 一种高弹性抗菌的工艺拖鞋的制备方法
CN111615535A (zh) 2017-12-06 2020-09-01 埃克森美孚化学专利公司 低密度发泡热塑性硫化橡胶组合物
CN109054201A (zh) * 2018-07-03 2018-12-21 广州领音航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填充减震发泡材料及其制备方法
CN113416363B (zh) * 2021-08-02 2023-03-31 无锡会通轻质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抑音且高回弹性发泡聚丙烯珠粒及其应用
FR3127867A1 (fr) * 2021-10-07 2023-04-14 Decathlon Article chaussant, en particulier pour la pratique d’un spor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7652A (en) * 1977-05-26 1981-01-27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Thermoplastic elastomer blends with olefin plastic, and foamed products of the blend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06558A (en) * 1971-08-12 1974-04-23 Uniroyal Inc Dynamically partially cured thermoplastic blend of monoolefin copolymer rubber and polyolefin plastic
JPS6011937B2 (ja) * 1978-02-24 1985-03-29 三井化学株式会社 熱可塑性エラストマ−発泡体の製造方法
JP2665373B2 (ja) * 1989-03-30 1997-10-22 三井石油化学工業株式会社 部分架橋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発泡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7652A (en) * 1977-05-26 1981-01-27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Thermoplastic elastomer blends with olefin plastic, and foamed products of the blen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609B1 (ko) * 2006-04-21 2007-04-27 김병혁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체의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728744A (en) 1998-03-17
ES2126363T3 (es) 1999-03-16
AU7185496A (en) 1997-05-29
JPH09143297A (ja) 1997-06-03
AU700598B2 (en) 1999-01-07
DE69600873D1 (de) 1998-12-03
EP0775727A1 (en) 1997-05-28
CN1104463C (zh) 2003-04-02
TW330941B (en) 1998-05-01
MY112998A (en) 2001-10-31
KR970027172A (ko) 1997-06-24
CA2190922A1 (en) 1997-05-23
DE69600873T2 (de) 1999-04-15
JP3844372B2 (ja) 2006-11-08
CN1158340A (zh) 1997-09-03
EP0775727B1 (en) 1998-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7328B1 (ko) 올레핀계열가소성엘라스토머발포체및그제조방법
US5786403A (en) Foamable olefin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s and foamed products thereof
JP3711183B2 (ja) 発泡性オレフィン系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およびその発泡体
JP4728735B2 (ja) オレフィン系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その発泡体
KR100564865B1 (ko)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체 및 상기 발포체용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JP5972200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それを用いた成形体、および用途
WO2016039310A1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EP1550693B1 (en) Thermoplastic elastomer and molded object thereof
JP5221000B2 (ja) オレフィン系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発泡体および発泡積層体
JP4588299B2 (ja) オレフィン系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発泡体および該発泡体用のオレフィン系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JP4938330B2 (ja) 発泡性オレフィン系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その発泡体
JP2665373B2 (ja) 部分架橋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発泡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011937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発泡体の製造方法
JP5221001B2 (ja) 発泡性オレフィン系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その発泡体
JPH09221516A (ja) オレフィン系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JP2013245235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該組成物から得られる成形体並びに発泡体
JP5361779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および該組成物から得られる発泡体
JP5361761B2 (ja) オレフィン系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その用途
JPS6011938B2 (ja) 熱可塑性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
JP2013209538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該組成物から得られる成形体並びに発泡体
JP3784226B2 (ja) 発泡性オレフィン系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その発泡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